KR20160098244A -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세포의 부분모집단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세포의 부분모집단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244A
KR20160098244A KR1020167015654A KR20167015654A KR20160098244A KR 20160098244 A KR20160098244 A KR 20160098244A KR 1020167015654 A KR1020167015654 A KR 1020167015654A KR 20167015654 A KR20167015654 A KR 20167015654A KR 20160098244 A KR20160098244 A KR 20160098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composition
placental perfusate
cell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디 피. 거니
샤오구이 장
스테이시 허브
로버트 제이. 하리리
Original Assignee
안트로제네시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트로제네시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안트로제네시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703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277A/ko
Publication of KR20160098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0Placenta; Placental stem cells; Amniotic fluid; Amnion; Amniotic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2035/124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the cells being hematopoietic, bone marrow derived or bloo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Neur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besit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단핵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세포를 조혈 세포와 함께, 예를 들어, 키메라증(chimerism)을 확립하기 위해, 이식편 대 숙주 질환의 중증도 또는 기간을 줄이기 위해, 근육감소증, 대사 장애 및 혈액암과 같은 혈액 장애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개선시키고 허혈성 뇌증(예를 들어,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 및 기타 중추신경계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러한 세포의 사용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세포의 부분모집단 및 이의 용도{COMPOSITIONS COMPRISING HUMAN PLACENTAL PERFUSATE CELLS, SUBPOPULATIONS THEREOF, AND THEIR USES}
본원은 2013년 11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905,076호 및 2013년 11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905,077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의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도입된다.
사람 태반 관류액(placental perfusate)으로부터의 단핵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세포를 조혈 세포와 함께, 예를 들어, 키메라증(chimerism)을 확립하기 위해, 이식편 대 숙주 질환의 중증도 또는 기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근육감소증, 대사 장애 및 혈액암과 같은 혈액 장애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개선시키고 허혈성 뇌증(예를 들어,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 및 기타 중추신경계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러한 세포의 사용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태반 관류액은 태반 맥관구조를 통한 관류 용액의 통과에 의해 수득된 태반 세포의 수집물, 및 맥관 구조, 태반의 모체측면(maternal surface) 또는 둘 다로부터의 관류액의 수집물을 포함한다. 포유동물 태반의 관류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7,045,146호 및 제7,255,879호에 기재되어 있다. 관류에 의해 수득된 태반 세포의 모집단(population)은 이종(heterogeneous)으로서, 특히 CD34+ 세포, 과립구, 단핵구 및 대식세포와 같은 유핵세포(nucleated cells), 및 조직배양 기질-착생 태반줄기세포(tissue culture substrate-adherent placental stem cell)를 포함한다.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6 ×105개 이상의 CD34+ 세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2배 더 많은 수의 CD34+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10배 더 많은 수의 CD34+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50배 더 많은수의 CD34+ 세포를 더 포함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5 ×105개 이상의 CD34+CD45- 세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2배 더 많은 수의 CD34+CD45-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10배 더 많은 수의 CD34+CD45-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50배 더 많은 수의 CD34+CD45- 세포를 더 포함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CD45-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6 ×105개 이상의 CD34+CD31+ 세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2배 더 많은 수의 CD34+CD31+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10배 더 많은 수의 CD34+CD31+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50배 더 많은 수의 CD34+CD31+ 세포를 더 포함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CD31+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5 ×105개 이상의 CD34+KDR+ 세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2배 더 많은 수의 CD34+KDR+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10배 더 많은 수의 CD34+KDR+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50배 더 많은 수의 CD34+KDR+ 세포를 더 포함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KDR+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5 ×105개 이상의 CD34+CXCR4+ 세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2배 더 많은 수의 CD34+CXCR4+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10배 더 많은 수의 CD34+CXCR4+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50배 더 많은 수의 CD34+CXCR4+ 세포를 더 포함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CXCR4+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6 ×105개 이상의 CD34+CD38- 세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2배 더 많은 수의 CD34+CD38-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10배 더 많은 수의 CD34+CD38-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50배 더 많은 수의 CD34+CD38- 세포를 더 포함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CD38-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7 ×105개 이상의 CD34+CD117- 세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2배 더 많은 수의 CD34+CD117-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10배 더 많은 수의 CD34+CD117-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50배 더 많은 수의 CD34+CD117- 세포를 더 포함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CD117-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6 ×105개 이상의 CD34+CD140a+ 세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2배 더 많은 수의 CD34+CD140a+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10배 더 많은 수의 CD34+CD140a+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50배 더 많은 수의 CD34+CD140a+ 세포를 더 포함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CD140a+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3 ×105개 이상의 CD34+네스틴+(Nestin+) 세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2배 더 많은 수의 CD34+네스틴+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10배 더 많은 수의 CD34+네스틴+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50배 더 많은 수의 CD34+네스틴+ 세포를 더 포함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네스틴+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3 ×104개 이상의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2배 더 많은 수의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10배 더 많은 수의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50배 더 많은 수의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더 포함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은 단일 태반 관류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대상체에서의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방법으로서, 본원에 제공된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방법이 본원에 또한 제공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는 허혈성 뇌증(예를 들어,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이다.
대상체에서의 근육감소증(sarcopenia)의 치료방법으로서, 본원에 제공된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방법이 본원에 또한 제공된다.
대상체에서의 키메라증(chimerism)의 유도방법으로서, 본원에 제공된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도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대상체에서의 세포 생착(cell engraftment) 방법으로서, 본원에 제공된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생착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대상체에서의 이식편 대 숙주 질환(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의 기간 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본원에 제공된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감소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대상체에서의 대사 장애의 치료방법으로서, 본원에 제공된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대상체에서의 혈액 장애 또는 혈액암의 치료방법으로서, 본원에 제공된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a) 대상체에서의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방법,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가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인, 치료방법; (b) 대상체에서의 키메라증의 유도방법; (c) 세포 생착방법; (d) 대상체에서의 이식편 대 숙주 질환(GVHD)의 기간 또는 중증도의 감소방법; (e) 대상체에서의 대사 장애의 치료방법; (f) 대상체에서의 혈액 장애 또는 혈액암의 치료방법; 또는 (g) 대상체에서의 근육감소증의 치료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 또는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a) 대상체에서의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방법,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가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인, 치료방법; (b) 대상체에서의 키메라증의 유도방법; (c) 세포 생착방법; (d) 대상체에서의 이식편 대 숙주 질환(GVHD)의 기간 또는 중증도의 감소방법; (e) 대상체에서의 대사 장애의 치료방법; (f) 대상체에서의 혈액 장애 또는 혈액암의 치료방법; 또는 (g) 대상체에서의 근육감소증의 치료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 또는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이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이 본원에 또한 제공된다.
도 1은 사람 태반 관류액과 제대혈 유닛(unit)의 43개의 대응 짝(matched pairs)에 대한 유핵세포 총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2c는 CD45+ 세포(도 2b)가 먼저 통과된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 및 CD34+ 세포(도 2c)가 먼저 통과된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의 FACS 분석(도 2a)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3e는 CD34+ 세포가 먼저 통과된 사람 태반 관류액(도 3a)과 제대혈(도 3b) 간의 비교를 도시한 것이다. 이어서, CD34+ 세포(도 3c)가 통과된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CD34+CD45- 세포(도 3d) 및 CD34+CD45+ 세포(도 3e)로 분리하여 분류할 수 있다.
도 4는 사람 태반 관류액(HPP) 또는 사람 제대혈(HUCB)에서 특정한 CD34+ 표현형을 발현하는 유핵세포의 퍼센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사람 태반 관류액 내피 세포를 사용한 지단백 흡수 실험(위), 및 HUVEC 및 사람 태반 관류액(HPP) 세포에서 관찰된 미세혈관 생성(아래)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사람 태반 관류액(HPP) 또는 사람 제대혈(HUCB)에서 CD34 및/또는 네스틴을 발현하는 유핵세포의 퍼센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사람 태반 관류액(HPP) 또는 사람 제대혈(HUCB)에서 특정 HLA 항원을 발현하는 유핵세포의 퍼센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사람 태반 관류액 또는 사람 제대혈(HUCB)에서 CD4의 존재 또는 부재하 및 CD8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CD3을 발현하는 유핵세포의 퍼센트를 도시한 것이다.
다양한 양태에서, 사람 태반 관류액(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단핵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 이러한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갖는 개체의 치료에서의 이러한 세포의 용도가 본원에 제공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병태는 허혈성 뇌증(예를 들어,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이다. 이식편 대 숙주 질환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고 대사장애 및 혈액암과 같은 혈액 장애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개선시키기 위해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을 대상체, 예를 들어, 사람 대상체에 투여하는 방법이 또한 본원에 제공된다. 근육감소증을 치료하거나 개선시키기 위해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을 대상체, 예를 들어, 사람 대상체에 투여하는 방법이 또한 본원에 제공된다.
1.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태반 관류액은 본원에 기재한 바와 같이 태반을 통과한 관류 용액으로부터 수득된 단핵 세포 전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단일 태반 관류로부터의 태반 관류액은 약 1억 내지 약 5억개의 유핵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일 태반 관류로부터의 태반 관류액은 약 1억 내지 약 4억개의 유핵세포, 약 1억 내지 약 3억개의 유핵세포 및 약 1억 내지 약 2억개의 유핵세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사람 태반 관류액(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단핵 세포는 의학적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방식으로 수집할 수 있고, 조성물, 예를 들어, 약제학적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예를 들어, 약제학적 조성물, 즉 사람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약제학적 등급 용액)은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 관류액 또는 관류액 세포는 CD34+ 세포, 예를 들어,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 조혈 전구세포(hematopoietic progenitor cell) 또는 내피 전구세포를 포함한다. 이러한 세포는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CD34+CD45- 줄기세포(stem cell) 또는 전구세포, CD34+CD45+ 줄기세포 또는 전구세포, 골수 전구세포, 림프구 전구세포 및/또는 적혈구 전구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태반 관류액 및 태반 관류액 세포는, 예를 들어, 내피 전구세포, 골전구세포(osteoprogenitor cell) 및/또는 자연 살해 세포(natural killer cell)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으로부터 수집되고 적혈구가 고갈된 태반 관류액, 또는 이러한 관류액으로부터 분리된 관류액 세포는 약 60 내지 90%, 예를 들어, 약 60%, 약 65%, 약 70%, 약 80%, 약 85% 또는 약 90%, 예를 들어, 약 60 내지 90%. 약 65 내지 90%, 약 70 내지 90% 또는 약 75 내지 90%의 백혈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으로부터 수집되고 적혈구가 고갈된 태반 관류액, 또는 이러한 관류액으로부터 분리된 관류액 세포는, 예를 들어, 유동 세포측정법, 예를 들어, FACS 분석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약 2 내지 11%, 예를 들어, 약 2%, 약 3%, 약 4%, 약 5%, 약 6%, 약 7%, 약 8%, 약 9%, 약 10% 또는 약 11%, 예를 들어, 약 5 내지 8% 또는 약 6 내지 7%의 자연 살해 세포(CD3-, CD56+); 및/또는 약 7 내지 37%, 예를 들어, 약 7%, 약 8%, 약 9%, 약 10%, 약 11%, 약 12%, 약 13%, 약 14%, 약 15%, 약 16%, 약 17%, 약 18%, 약 19%, 약 20%, 약 21%, 약 22%, 약 23%, 약 24%, 약 25%, 약 26%, 약 27%, 약 28%, 약 29%, 약 30%, 약 31%, 약 32%, 약 33%, 약 34%, 약 35%, 약 36% 또는 약 37%, 예를 들어, 약 20 내지 25%, 약 22 내지 24% 또는 약 22 내지 23%의 T 세포(CD3+); 및/또는 약 5 내지 15%, 예를 들어, 약 5%, 약 6%, 약 7%, 약 8%, 약 9%, 약 10%, 약 11%, 약 12%, 약 13%, 약 14% 또는 약 15%, 예를 들어, 약 8 내지 12% 또는 약 10 내지 11%의 B 세포(CD19+); 및/또는 약 20 내지 32%, 예를 들어, 약 20%, 약 21%, 약 22%, 약 23%, 약 24%, 약 25%, 약 26%, 약 27%, 약 28%, 약 29%, 약 30%, 약 31% 또는 32%, 예를 들어, 약 22 내지 28%, 25 내지 28% 또는 약 26 내지 27%의 단핵구(CD14+); 및/또는 약 1 내지 5%, 예를 들어, 약 1%, 약 2%, 약 3%, 약 4% 또는 약 5%, 예를 들어, 약 2 내지 4% 또는 약 2 내지 3%의 내피 전구세포(예를 들어, CD34+, CD31+); 및/또는 약 0.5 내지 5%, 예를 들어, 약 0.5%, 약 1%, 약 2%, 약 3%, 약 4% 또는 약 5%, 예를 들어, 약 2 내지 4% 또는 약 2 내지 3%의 자연전구세포(네스틴+); 및/또는 약 1 내지 7%, 예를 들어, 약 1%, 약 2%, 약 3%, 약 4%, 약 5%, 약 6% 또는 약 7%, 예를 들어, 약 2 내지 4% 또는 약 3 내지 4%의 조혈 전구세포(CD34+); 및/또는 약 1 내지 5%, 예를 들어, 약 1%, 약 2%, 약 3%, 약 4% 또는 약 5%, 예를 들어, 약 2 내지 4%, 약 2 내지 3% 또는 약 1 내지 2%의 착생 태반줄기세포(adherent placental stem cell)(예를 들어, CD34-, CD117-, CD105+ 및 CD44+)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CD34+ 세포를 포함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는 CD34+CD45-세포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는 태반으로부터 분리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의 모집단은 상기 관류액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예를 들어, 제대혈, 태반 혈액, 말초 혈액, 골수 등으로부터 분리된) 추가의 분리된 CD34+ 세포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추가의 CD34+ 세포는 제대혈, 태반 혈액, 말초 혈액 또는 골수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는 또한 CD117-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는 또한 CD31+, CXCR4+ 및/또는 KDR+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는 또한 CD140a+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는 또한 네스틴+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더 많은 CD117-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더 많은 CD31+, CXCR4+ 및/또는 KDR+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 중 어느 것은 CD34+CD45-세포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더 많은 CD140a+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더 많은 네스틴+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CD34+ 세포보다 높은 수준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혈관형성 관련 마커를 생산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마커는 CD31, KDR 및/또는 CXCR4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는 CD45-이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 또는 CD34+CD45-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CD34+ 세포보다 높은 수준의 적어도 하나의 CD31, CXCR4 또는 KDR을 발현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높은 수준의 네스틴을 발현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CD34+ 세포가 강화(enrich)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CD45- 세포가 강화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CD34+CD45- 세포가 강화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CD31+, KDR+ 및/또는 CXCR4+ 세포가 강화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CD34+CD31+, CD34+KDR+ 및/또는 CD34+CXCR4+ 세포가 강화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CD140a+ 세포가 강화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CD34+CD140a+ 세포가 강화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CD117- 세포가 강화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CD34+CD117- 세포가 강화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CD38- 세포가 강화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CD34+CD38- 세포가 강화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네스틴+ 세포가 강화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CD34+네스틴+ 세포가 강화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은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가 강화된 것이다.
강화(enrichment)에 대해, 특정 세포 모집단이 하나 이상의 세포 종류, 예를 들어, 이러한 세포 종류의 상기 모집단으로의 도입, 상기 모집단으로의 추가량의 상기 세포 종류(들)의 첨가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세포 종류, 예를 들어, 상기 모집단으로부터의 상이한 특정 세포 표면 마커 표현형을 발현하는 세포의 고갈(이러한 세포 종류 중 몇몇 또는 전부의 제거)에 의한 특정 세포 표면 마커 표현형을 발현하는 세포가 강화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의 세포의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강화는 1회 이상의 세포 분류, 예를 들어, FACS 세포 분류를 통해 달성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의 세포의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강화는 세포의 하나 이상의 다른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제거를 통해 달성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의 세포의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강화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분리된 세포의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첨가를 통해 달성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의 세포의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강화는 다른 공급원(예를 들어, 제대혈)으로부터 분리된 세포의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첨가를 통해 달성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의 세포의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강화는 세포의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이 강화된 태반 관류액의 첨가를 통해 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의 세포의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강화는 세포의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확대(expansion)를 통해 달성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의 세포의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강화는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의 그러한 세포의 총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의 세포의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강화는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의 세포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의 세포의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강화는 배양을 통한 세포의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확대를 통해 달성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의 세포의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고갈은 배양을 통한 세포의 다른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확대를 통해 달성된다. 세포의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강화 또는 분리는 세포의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확대 후에 수행할 수 있거나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약 2 × 106, 약 3 × 106, 약 4 × 106, 약 5 × 106, 약 6 × 106, 약 7 × 106, 약 8 × 106 또는 약 9 × 106개의 CD34+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6 × 105 내지 3 × 107개의 CD34+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6 내지 1 × 107개의 CD34+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5 내지 1 × 108개의 CD34+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4 내지 1 × 108개의 CD34+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는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는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CD34+ 세포는 배지 중에서 확대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약 10%의 CD34+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약 8% 내지 12%의 CD34+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약 2 × 106, 약 3 × 106, 약 4 × 106, 약 5 × 106, 약 6 × 106, 약 7 × 106, 약 8 × 106 또는 약 9 × 106개의 CD34+CD45-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5 × 105 내지 1 × 107개의 CD34+CD45-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6 내지 1 × 107개의 CD34+CD45-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5 내지 1 × 108개의 CD34+CD45-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4 내지 1 × 108개의 CD34+CD45-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45- 세포는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D45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45- 세포는 CD45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45- 세포는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약 2 × 106, 약 3 × 106, 약 4 × 106, 약 5 × 106, 약 6 × 106, 약 7 × 106, 약 8 × 106 또는 약 9 × 106개의 CD34+CD31+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6 × 105 내지 3 × 107개의 CD34+CD31+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6 내지 1 × 107개의 CD34+CD31+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5 내지 1 × 108개의 CD34+CD31+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4 내지 1 × 108개의 CD34+CD31+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31+ 세포는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D31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31+ 세포는 CD31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31+ 세포는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약 2 × 106, 약 3 × 106, 약 4 × 106, 약 5 × 106, 약 6 × 106, 약 7 × 106, 약 8 × 106 또는 약 9 × 106개의 CD34+KDR+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5 × 105 내지 2 × 107개의 CD34+KDR+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6 내지 1 × 107개의 CD34+KDR+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5 내지 1 × 108개의 CD34+KDR+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4 내지 1 × 108개의 CD34+KDR+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KDR+ 세포는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KDR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KDR+ 세포는 KDR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KDR+ 세포는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약 2 × 106, 약 3 × 106, 약 4 × 106, 약 5 × 106, 약 6 × 106, 약 7 × 106, 약 8 × 106 또는 약 9 × 106개의 CD34+CXCR4+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6 × 105 내지 3 × 107개의 CD34+CXCR4+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6 내지 1 × 107개의 CD34+CXCR4+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5 내지 1 × 108개의 CD34+CXCR4+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4 내지 1 × 108개의 CD34+CXCR4+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XCR4+ 세포는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XCR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XCR4+ 세포는 CXCR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XCR4+ 세포는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약 2 × 106, 약 3 × 106, 약 4 × 106, 약 5 × 106, 약 6 × 106, 약 7 × 106, 약 8 × 106 또는 약 9 × 106개의 CD34+CD38-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6 × 105 내지 3 × 107개의 CD34+CD38-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6 내지 1 × 107개의 CD34+CD38-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5 내지 1 × 108개의 CD34+CD38-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4 내지 1 × 108개의 CD34+CD38-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38- 세포는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D38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38- 세포는 CD38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38- 세포는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약 2 × 106, 약 3 × 106, 약 4 × 106, 약 5 × 106, 약 6 × 106, 약 7 × 106, 약 8 × 106 또는 약 9 × 106개의 CD34+CD117-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7 × 105 내지 2 × 107개의 CD34+CD117-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6 내지 1 × 107개의 CD34+CD117-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5 내지 1 × 108개의 CD34+CD117-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4 내지 1 × 108개의 CD34+CD117-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117- 세포는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D117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117- 세포는 CD117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117- 세포는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약 2 × 106, 약 3 × 106, 약 4 × 106, 약 5 × 106, 약 6 × 106, 약 7 × 106, 약 8 × 106 또는 약 9 × 106개의 CD34+CD140a+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6 × 105 내지 2 × 107개의 CD34+CD140a+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6 내지 1 × 107개의 CD34+CD140a+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5 내지 1 × 108개의 CD34+CD140a+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4 내지 1 × 108개의 CD34+CD140a+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140a+ 세포는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D140a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140a+ 세포는 CD140a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CD140a+ 세포는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약 2 × 106, 약 3 × 106, 약 4 × 106, 약 5 × 106, 약 6 × 106, 약 7 × 106, 약 8 × 106 또는 약 9 × 106개의 CD34+네스틴+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6 × 105 내지 2 × 107개의 CD34+네스틴+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6 내지 1 × 107개의 CD34+네스틴+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5 내지 1 × 108개의 CD34+네스틴+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4 내지 1 × 108개의 CD34+네스틴+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네스틴+ 세포는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네스틴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네스틴+ 세포는 네스틴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세포 분류에 이어 CD34에 대한 항체를 갖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전체 유핵세포의 분류를 통해 수득된 것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네스틴+ 세포는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약 2 × 106, 약 3 × 106, 약 4 × 106, 약 5 × 106, 약 6 × 106, 약 7 × 106, 약 8 × 106 또는 약 9 × 106개의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4 × 104 내지 5 × 106개의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6 내지 1 × 107개의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5 내지 1 × 108개의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1 × 104 내지 1 × 108개의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는 분리된 것이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는 사람 CD4+CD25hiCD127low 조절 T 세포(Cat#15861, StemCell)에 대한 컴플리트 키트(complete kit)를 사용하여 분리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CD34+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45-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45-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45-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또는 2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CD45-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45-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45-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45-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CD34+CD45-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1+, KDR+ 및/또는 CXCR4+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1+, KDR+ 및/또는 CXCR4+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1+, KDR+ 및/또는 CXCR4+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CD31+, KDR+ 및/또는 CXCR4+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31+, CD34+KDR+ 및/또는 CD34+CXCR4+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31+, CD34+KDR+ 및/또는 CD34+CXCR4+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31+, CD34+KDR+ 및/또는 CD34+CXCR4+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CD34+CD31+, CD34+KDR+ 및/또는 CD34+CXCR4+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117-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117-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117-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CD117-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117-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117-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117-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CD34+CD117-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8-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8-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8-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CD38-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38-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38-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38-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CD34+CD38-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140a+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140a+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140a+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CD140a+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140a+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140a+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CD140a+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CD34+CD140a+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네스틴+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네스틴+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네스틴+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네스틴+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네스틴+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네스틴+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4+네스틴+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CD34+네스틴+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3배 많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가 강화된 것은 강화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많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의 모집단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낮은 수준으로 CD3을 발현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낮은 수준으로 CD3 및 CD8을 발현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낮은 수준으로 CD3 및 CD4를 발현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은 CD3+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은 CD3+CD8+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은 CD3+CD4+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CD3+ 세포가 고갈되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CD3+CD8+ 세포가 고갈되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CD3+CD4+ 세포가 고갈되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 세포의 고갈은 고갈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보다 2배 적은 CD3+ 세포를 야기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 세포의 고갈은 고갈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보다 3배 적은 CD3+ 세포를 야기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 세포의 고갈은 고갈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또는 20배 적은 CD3+ 세포를 야기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CD8+ 세포의 고갈은 고갈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보다 2배 적은 CD3+CD8+ 세포를 야기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CD8+ 세포의 고갈은 고갈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보다 3배 적은 CD3+CD8+ 세포를 야기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CD8+ 세포의 고갈은 고갈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적은 CD3+CD8+ 세포를 야기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CD4+ 세포의 고갈은 고갈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보다 2배 적은 CD3+CD4+ 세포를 야기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CD4+ 세포의 고갈은 고갈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보다 3배 적은 CD3+CD4+ 세포를 야기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CD4+ 세포의 고갈은 고갈되지 않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에서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8배, 9배, 10배, 15배, 20배, 25배, 30배, 40배 또는 50배 적은 CD3+CD4+ 세포를 야기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25hiCD127lowCD45RA+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25hiCD127lowCD45RA-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25hiCD127lowCD45RA-HLADR+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25+/-CD127+/-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25+/-CD127+/-CD45RA+HLADR-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25+/-CD127+/-CD45RA-CCR7+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25+/-CD127+/-CD45RA-CCR7-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25+/-CD127+/-CD45RA+CCR7-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25+/-CD127+/-CD45RA-HLADR+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25+/-CD127+/-CD45RA-CD69+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45RA+HLADR-CCR7+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45RA-CCR7+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45RA+CCR7-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45RA-CCR7-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45RA-HLADR+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 예를 들어,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세포보다 적게 CD3+CD4-CD8-CD69+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CD34+ 세포 중 어느 것 또는 CD34+ 세포의 모집단이 확대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CD34+ 세포 중 어느 것 또는 CD34+ 세포의 모집단이 강화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CD3+ 세포 중 어느 것, 예를 들어, CD34+CD3+ 세포가 고갈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CD3+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처리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CD3+CD8+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처리되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또는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CD3+CD4+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처리되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CD3+CD4+ 세포의 증식 억제는 분리된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의 첨가에 의해 달성된다.
태반 관류액, 태반 관류액 세포 및 이의 임의의 모집단과 부분모집단을 조합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의 하나 이상의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을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유핵세포 전체와 합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의 하나 이상의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을 서로 합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은 하나 이상의 특정 종류의 세포로 강화된 것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은 태반 관류액 또는 태반 관류액 세포로부터 분리된 것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은 1회 이상의 세포 분류에 의해 수득된 것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은 하나 이상의 특정 표현형의 세포가 고갈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태반 관류액 또는 관류액 세포의 모집단을 복수의 CD34+ 세포와 합한다. 이러한 CD34+ 세포는, 예를 들어, 비가공된 태반, 제대혈 또는 말초혈 내에; 태반혈, 제대혈 또는 말초혈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에; 태반혈, 제대혈 또는 말초혈로부터의 CD34+ 세포의 분리된 모집단에; 비가공된 골수에; 골수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에; 골수로부터의 CD34+ 세포의 분리된 모집단 등에 함유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조혈모세포는 CD34+ 태반 내피 전구세포이다.
한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태반 관류액 또는 임의의 세포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 또는 이들의 조합을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검출가능한 개선 또는 악화의 감소를 초래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를 갖는 개체의 치료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는 허혈성 뇌증(예를 들어,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는 본원에 기재된 태반 관류액을 포함하는 임의의 모집단, 부분모집단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의 모집단은 단일 태반 관류로부터 분리된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태반 관류액 세포의 모집단은 상기 태반에서 분리되지 않은, 분리된 CD34+ 세포를 포함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는 태반으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 태반혈, 말초혈 또는 골수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CD34+ 세포는 제대혈로부터의 동등한 수의 CD34+ 세포보다 높은 수준의 네스틴을 발현한다.
다른 양태에서,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을 대상체, 예를 들어, 사람 대상체에 투여하여 이식편 대 숙주 질환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대사장애 및 혈액암과 같은 혈액 장애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개선시키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서,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을 대상체, 예를 들어, 사람 대상체에 투여하여 근육감소증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개선시키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의 추가의 실시양태는 아래에 상세히 기재한다.
2. 태반 관류액 세포의 분리, 분류 및 특징화
포유동물 태반으로부터 태반 관류액 및 태반 관류액 세포를 수득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본원에 기재된 모든 실시양태에서, 바람직한 관류액은 사람 태반 관류액이고, 바람직한 관류액 세포는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이다. 세포 모집단 및 부분모집단의 분리 방법, 및 세포 모집단 및 부분모집단, 및 이들의 조합의 특징화 방법이 또한 본원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사람 태반 관류액(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단핵 세포를 임의의 의학적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방식으로 수집할 수 있고, 조성물, 예를 들어, 약제학적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예를 들어, 약제학적 조성물, 즉 사람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약제학적 등급 용액)은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부분적으로 방혈된 태반에서 수득된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방혈된 태반에서 수득된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분리된 세포, 예를 들어, 줄기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유핵세포, 예를 들어, 단핵 세포 또는 전체 유핵세포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은 살균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PC 또는 사람 태반 관류액은 유핵세포 모집단을 생성시키는 표준 방법에 따라 적혈구 및/또는 과립구를 제거함으로써 가공된다. 세포의 이러한 강화된 모집단은 냉동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추후 사용을 위해 냉동시킬 수 있다. 세포의 모집단을 냉동시키려는 경우, 상기 강화된 모집단을 냉동시키기 전에 표준 냉동보존제(예를 들어, DMSO, 글리세롤, Epilife™ Cell Freezing Medium(Cascade Biologics))를 상기 세포의 강화된 모집단에 첨가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단핵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단핵 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관류액은 헤타스타치(hetastarch)(하이드록실에틸 전분)를 상기 관류액에 첨가한 다음 중력에 의해 침전시켜 적혈구가 제거되거나 실질적으로 제거되도록 가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는 단일 태반으로부터 수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는 1개가 넘는 태반으로부터 수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는 2개의 태반으로부터 수득된다. 상기 세포가 1개가 넘는 태반으로부터 수득되는 실시양태에서, 상이한 태반으로부터의 세포는 서로 친족관계에 있거나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태반 관류액은, 태반 세포를 수득하기 위해 관류시키기 전에, 탯줄혈액이 배출되고 잔류 혈액을 제거하기 위해 관류된 태반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태반 관류액은, 탯줄혈액이 배출되고 잔류 혈액을 제거하기 위해 관류되지 않은 태반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태반 관류액은 제대로부터 거의 0.5 내지 6.0인치, 예를 들어, 0.5 내지 1.0인치, 1.0 내지 1.5인치, 1.5 내지 2.0인치, 2.0 내지 2.5인치, 2.5 내지 3.0인치, 3.0 내지 3.5인치, 3.5 내지 4.0인치, 또는 4.0 내지 6.0인치 떨어진 태반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고, 제대는 잔류 탯줄혈액을 함유할 수 있고, 이의 일부가 관류 동안 태반 관류액으로 유입되어 태반 관류액에 포함될 수 있다. 태반 관류액은, 탯줄혈액이 배출되지 않고 잔류 혈액을 제거하기 위해 관류되지도 않은 태반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후자의 두 실시양태에서, 태반 세포, 예를 들어, 태반 관류액, 예를 들어, HPC로부터의 유핵세포는 태반혈 및/또는 탯줄혈액으로부터의 유핵세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태반 관류액은 제대혈을 함유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태반 관류액은 실질적으로 제대혈을 함유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상기 태반 관류액은 10% 미만, 5% 미만, 1% 미만, 0.5% 미만 또는 0.1% 미만의 탯줄혈액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관류액으로부터의 세포가 탯줄혈액 세포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세포는 본원에 제공된 방법의 목적을 위해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의 일부가 아니라 HPC 모집단의 일부로 간주된다.
태반 관류액은 투여를 위해 단일 개체로부터(즉, 단일 단위로서) 수집할 수 있거나, 다른 단위, 예를 들어, 동일한 개체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개체로부터의 단위와 연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 관류액 또는 이로부터 수득된 세포를 투여 전에 저장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 관류액 단위는 충분한 수의 세포를 함유하여 대상체의 체중 kg당 약 1.0 × 105개 이상, 약 0.5 × 106개 이상, 약 1.0 × 106개 이상, 약 1.5 × 106개 이상, 약 2.0 × 106개 이상, 약 2.5 × 106개 이상, 약 3.0 × 106개 이상, 약 4.0 × 106개 이상, 약 5.0 × 106개 이상 또는 약 1.0 × 107개 이상의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 예를 들어, 전체 유핵세포가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 관류액 또는 이로부터 수득된 세포의 1단위가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1단위 미만이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1단위를 초과하여 투여된다.
태반 관류액을 수득하기 위한 태반은 성공적인 출산과 태반 배출 후에 회수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은 만삭출생(fill-term birth)으로부터 수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은 조산으로부터 수득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태반은 임신 약 23주 내지 약 25주에 출생한 영아의 태반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태반은 임신 약 26주 내지 약 29주에 출생한 영아의 태반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태반은 임신 약 30주 내지 약 33주에 출생한 영아의 태반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태반은 임신 약 34주 내지 약 37주에 출생한 영아의 태반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태반은 임신 약 37주 내지 약 42주에 출생한 영아의 태반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임의의 잔류 탯줄혈액을 제거하기 위해 태반을 관류시키기 전에 또는 잔류 탯줄혈액을 제거하지 않고 태반을 관류시키기 전에, 태반을 약 1시간 내지 약 72시간 또는 약 4시간 내지 약 24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다. 태반은 약 5℃ 내지 25℃의 온도, 예를 들어, 대략 실온에서 항응고 용액에 저장할 수 있다. 적합한 항응고 용액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헤파린 또는 와파린(warfarin) 나트륨의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응고 용액은 헤파린 용액(1:1000 용액 중 1% w/w)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을 수집하기 전에 태반을 36시간 이하 동안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사람 태반 관류액 또는 이로부터 수득된 세포는 일반적으로 세포의 대상체 수령자와 친족관계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사람 태반 관류액 또는 이로부터 수득된 세포는 일반적으로 세포의 대상체 수령자와 불일치하거나 부분적으로 불일치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사람 태반 관류액 또는 이로부터 수득된 세포는 임의의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태반 관류액은, 예를 들어, 전문이 참조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7,045,148호, 미국 특허 제7,255,879호 및/또는 미국 특허 제8,057,788호에 기재된 대로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관류는, 예를 들어, 관류액이 태반 혈관계로 강제로 통과되고 태반, 일반적으로 모체쪽으로부터 흐르는 관류액이 태반을 함유하는 팬에 수집되는 팬 방법에 의한 관류일 수 있다. 관류는 또한, 예를 들어, 관류액이 태반의 태아 혈관계만을 통과하고 이로부터 수집되는 폐쇄순환관류일 수 있다. 전문이 참조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8,057,788호를 참조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관류는 연속일 수 있는데, 즉 태반을 통과한 관류액이 태반 관류액(예를 들어, HPC,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으로부터 수득된 세포의 분리 전에 두 번째 또는 복수 회 통과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약 0.5 내지 2L, 예를 들어, 약 0.5 내지 1L 또는 약750mL의 관류 유체가 태반을 관류시키는데에 사용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태반의 관류는 약 15분 내지 약 2시간 내에, 예를 들어, 약 30분 내지 1.5시간, 약 30분 내지 1시간 또는 약 30분 내에 종결된다.
포유동물 태반으로부터 수집된 세포의 수 및 종류를, 예를 들어, 유동 세포분석법, 세포 분류, 면역세포화학(예를 들어, 조직 특이적 또는 세포 마커 특이적항체를 사용한 염색),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FACS), 자기 활성화 세포 분류(MACS)와 같은 표준 세포 검출 기술을 사용하여 형태 및 세포 표면 마커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광 또는 공초점 현미경관찰법을 사용하여 세포의 형태를 검사함으로써 및/또는 PCR 및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과 같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유전자 발현에서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또한 하나 이상의 특정 마커에 양성인 세포를 확인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34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고 상기한 기술을 사용하여 세포가 검출가능한 양의 CD34를 포함하는지를 측정할 수 있고; 그 경우, 상기 세포는 CD34+이다. 마찬가지로, 세포가 RT-PCR에 의해 검출가능하도록 특정 마커에 대해 충분한 RNA를 생산하거나 특정 마커에 대해 성숙 세포보다 현저히 많은 RNA를 생산하는 경우, 상기 세포는 그 마커에 대해 양성이다. 세포 표면 마커(예를 들어, CD34와 같은 CD 마커)에 대한 항체 및 특정 유전자의 서열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태반 세포, 예를 들어, 태반 관류액 또는 관류액 세포가 콜로니 생성 단위 분석으로 확인되고 특징화될 수 있다. 콜로니 생성 단위 분석은 통상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태반 관류액 또는 관류액 세포는 트리판 블루 배제 분석, 플루오레세인 디아세테이트 흡수 분석, 프로피듐 요오다이드 흡수 분석(생존력 평가를 위함) 및 티미딘 흡수 분석, MTT 세포 증식 분석(증식 평가를 위함)과 같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생존력, 증식 잠재력 및 수명에 대해 더 평가할 수 있다. 수명은 확대된 배지 중의 모집단 배가(doubling)의 최대수를 측정하는 것과 같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세포를, 예를 들어,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FACS)를 사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FACS)는 세포를 포함한 입자를 입자의 형광 특성을 기초로 하여 분류하는 잘 알려진 방법이다(Kamarch, 1987, Methods Enzymol, 151:150-165). 각각의 입자 중의 형광성 잔기의 레이저 여기는 혼합물로부터 양성 입자와 음성 입자가 전자기 분리될 수 있도록 작은 전하를 생성시킨다. 한 실시양태에서, 세포 표면 마커 특이적 항체 또는 리간드는 구별되는 형광성 라벨로 표지된다. 세포를 세포 분류기로 통과시켜, 사용된 항체에 결합하는 능력을 기초로 하여 세포가 분리되도록 한다. FACS 분류된 입자는 분리 및 클론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96웰 또는 384웰 플레이트의 개개의 웰에 직접 침착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세포를 분리하거나 분류하고/하거나 세포 모집단을 고갈시키는데에 자기 비드를 사용할 수 있다. 세포는, 예를 들어, 자기 비드(직경 0.5 내지 100㎛)에 결합하는 능력을 기초로 하여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인 자기 활성화 세포 분류(MACS) 기술을 사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특정 세포 표면 분자를 특이적으로 식별하는 항체 또는 합텐(hapten)의 공유 첨가(covalent addition)를 포함한 여러 가지의 유용한 개질을 자기 미세비드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비드를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세포와 혼합한다. 이어서, 특이적 세포 표면 마커를 갖는 세포가 분리되도록 세포를 자기장으로 통과시킨다. 한 실시양태에서, 이들 세포를 이어서 분리하고 추가의 세포 표면 마커에 대해 항체에 커플링된 자기 비드와 다시 혼합한다. 세포를 다시 자기장으로 통과시켜 상기 두 항체에 결합된 세포를 분리한다. 이어서 이러한 세포를 클론 분리용 마이크로티터 디쉬와 같은 분리 디쉬 내로희석시킨다.
태반 관류액 세포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기타 기술, 예를 들어, 바람직한 세포의 선택적 성장(양성 선택), 바람직하지 않은 세포의 선택적 파괴(음성 선택); 예를 들어, 대두 응집소와의 혼합된 모집단에서의 시차 세포 응집력을 기초로 한 분리; 냉동-해동 절차; 여과; 통상의 구역(zonal) 원심분리; 원심 세정(역-스팀 원심분리(counter-streaming centrifugation)); 단위 중력 분리; 역류 분배법; 전기영동 등을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3. 조혈 세포, 예를 들어, 제대혈 세포, 및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세포의 사용 방법
한 양태에서, 조혈 세포를 사람 태반 관류액(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단핵 세포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혈 세포를 대상체, 예를 들어, 사람 대상체에 이식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상기 HPC는 사람 태반 관류액,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 또는 특정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이 강화되거나 고갈된 것을 포함한 본원에 기재된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단핵 세포의 임의의 모집단, 부분모집단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조혈 세포의 이식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조혈 세포의 공급원은, 예를 들어, 골수 또는 이로부터의 세포, 말초혈 또는 이로부터의 세포, 및 제대혈 또는 이로부터의 세포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조혈 세포의 이러한 공급원은 총괄하여 "HT 세포"로 칭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사람 제대혈(UCB) 세포, 예를 들어, 사람 제대혈을 사람 태반 관류액(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단핵 세포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HT 세포, 예를 들어, 사람 제대혈 세포(UCB), 예를 들어, 사람 제대혈을 대상체, 예를 들어, 사람 대상체에 이식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사람 UCB 세포, 예를 들어, 사람 UCB는 대상체와 친족관계가 아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예를 들어, 사람 UCB는 대상체와 부분적으로 불일치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은 대상체와 친족관계가 아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은 대상체와 부분적으로 불일치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은 대상체와 일치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사람 UCB 세포, 예를 들어, 사람 UCB는 대상체와 친족관계가 아니고,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은 대상체와 친족관계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사람 UCB 세포, 예를 들어, 사람 UCB는 대상체와 친족관계가 아니고 부분적으로 불일치하고,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은 대상체와 친족관계가 아니고 부분적으로 불일치하거나 불일치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은 HT 세포, 예를 들어, 사람 UCB 세포, 예를 들어, UCB와 친족관계가 아니고 불일치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은 HT 세포, 예를 들어, 사람 UCB 세포, 예를 들어, UCB, 및 수령자와 친족관계가 아니고 불일치한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UCB 또는 HPC와 관련하여 본원에 사용된 "친족관계"는 자신이나 1촌 또는 2촌 혈족을 말한다. 예를 들면, 대상체와 친족관계인 UCB는 대상체 자신, 또는 대상체의 1촌 또는 2촌 혈족으로부터의 UCB를 말한다. 다른 예로, HPC와 친족관계인 UCB는 동일한 공여자, 또는 1촌 또는 2촌 혈족인 공여자로부터의 UCB 및 HPC를 말한다. 마찬가지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이 맥락에서의 "친족관계가 아닌"은 2촌 혈족보다 먼 관계를 말한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UCB 또는 사람 태반 관류액(예를 들어, HPC)으로부터의 세포와 관련하여 본원에 사용된 "일치"는 일치된 HLA를 말한다. 추가로, UCB 또는 사람 태반 관류액(예를 들어, HPC)으로부터의 세포와 관련하여 본원에 사용된 "부분적으로 불일치"는 3/6, 4/6 또는 5/6의 HLA 부위가 일치하는 상황을 말한다. 또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UCB 또는 사람 태반 관류액(예를 들어, HPC)으로부터의 세포와 관련하여 본원에 사용된 "불일치"는 0/6, 1/6 또는 2/6의 HLA 부위가 일치하는 상황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일치", "부분적으로 불일치" 및 "불일치"는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와 HPC 사이,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단위들 사이, 및/또는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및/또는 HPC와 세포 수령자인 대상체 사이의 관계를 말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방법은 UCB 또는 이로부터의 세포 1단위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은 UCB 또는 이로부터의 세포의 다중 단위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방법은 UCB 또는 이로부터의 세포의 2단위, 3단위 또는 4단위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1단위가 넘는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가 사용되는 경우에,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의 적어도 일부가 대상체, HPC 및/또는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 다른 UCB 세포 단위)과 친족관계가 아닐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1단위가 넘는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가 사용되는 경우에,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의 적어도 일부가 대상체, HPC 및/또는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다른 부분(예를 들어, 다른 UCB 세포 단위)의과 불일치하거나 부분적으로 불일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은 HT 세포 또는 UCB, 또는 이로부터의 세포의 1단위 미만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방법은 HT 세포 또는 UCB, 또는 이로부터의 세포의 0.2, 0.3, 0.4, 0.5, 0.6, 0.7, 0.8 또는 0.9단위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은 다중 투여에 걸쳐 특정 수의 단위(1 미만, 1, 또는 1 초과)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대상체에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예를 들어, UCB, 및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의 조합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키메라증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의 적어도 일부는 대상체와 부분적으로 불일치하고/하거나, HPC는 대상체와 불일치하거나 부분적으로 불일치하여 대상체에서 키메라증이 발생하게 된다. 본원에 사용된 "키메라증"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비자기(non-self) DNA, 예를 들어, 수령자 대상체에 대해 불일치하거나 부분적으로 불일치하는 세포로부터의 DNA가 대상체에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방법의 한 실시양태에서, 1단위 초과의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가 대상체에 투여되는데, 예를 들어, 2, 3 또는 4단위의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가 대상체에 투여된다. 1단위 초과의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가 대상체에 투여되는 특정 실시양태에서, 키메라증을 유도하는 방법은 다중 키메라증을 야기할 수 있는데, 즉, 투여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또는 그의 자손의 1단위 초과 내지 모든 단위를 포함하는 키메라증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HPC 또는 그의 자손을 포함하는 키메라증을 야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또는 그의 자손을 포함하는 키메라증(1단위 초과의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가 투여되는 경우에서의 다중 키메라증 포함), 및 HPC 또는 그의 자손을 포함하는 키메라증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다. 1단위 초과의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가 투여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닐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HPC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고, 추가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와 친족 관계가 아닐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및 HPC는 둘 다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다.
이러한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키메라증(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또는 그의 자손, 또는 HPC 또는 그의 자손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은 먼저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를 HPC와 조합하여 대상체에 투여한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일내 또는 그 후에 대상체에서 탐지된다.
키메라증은 당해 분야에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메라증은 혈액 샘플을 사용하여 탐지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키메라증은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PCR)을 기초로 한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짧은 반복 서열(short tandem repeat: STR) 분석으로 탐지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혈모세포 이식 후의 키메라증에 대한 시험은 수령자 및 공여자의 유전자 프로파일을 동정한 다음, 수령자의 혈액, 골수 또는 기타 조직에서의 혼합물 정도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DNA에 의한 키메라증 시험(생착 분석)은 사람 동정 시험에 통상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하고 STR 부위로 불리는 유전체 다형성(genomic polymorphism) 분석으로 수행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기준선에서의 공여자 세포(UCB 및 관류액 세포)의 키메라증과 함께 기준선에서 평가된 말초혈 수령자 키메라증의 정량화(예를 들어, STR 분석 사용)와, 말초혈 공여자 키메라증(UCB/s 및 관류액 세포)(전혈, NK 및 T 세포)의 정량화(예를 들어, STR 분석 사용)를 7, 14, 30, 60, 100 및 180일(±10일)에 평가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에 HT 세포, 예를 들어, 사람 UCB 세포, 예를 들어, UCB, 및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의 조합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의 세포 생착 방법이 본원에 제공되는데,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의 적어도 일부가 대상체에 부분적으로 일치하고/하거나 HPC가 대상체에 불일치하거나 부분적으로 불일치하여 대상체에서 세포 생착이 일어나게 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세포 생착은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또는 그의 자손의 생착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세포 생착은 HPC 또는 그의 자손의 생착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생착은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또는 그의 자손, 및 HPC 또는 그의 자손의 생착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의 한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는 대상체와 부분적으로 불일치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HPC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고, 추가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와 친족 관계가 아닐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PC는 대상체와 부분적으로 불일치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HPC는 대상체와 일치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UCB 세포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고 HPC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고 대상체와 부분적으로 불일치하고 HPC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고 대상체와 부분적으로 불일치하거나 불일치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를 단독 투여하는 것에 비해 향상된 생착 능력을 나타낸다.
생착은 당해 분야에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서, 온혈구 감별계산을, 0일부터 최하점에 도달한 후 3일 동안의 절대 호중구수가 500/㎣를 넘을 때까지 및 최소 7일 동안 혈소판 수혈을 하지 않으면서 혈소판수가 추가의 3일 동안 3회 연속 측정한 바 20,000/㎣ 이상일 때까지 1 내지 3일 간격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호중구 생착"은 호중구 최하점 이후 절대 호중구수가 500/㎣를 넘는 3일의 첫째날을 말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혈소판 생착"은 수혈 없이 혈소판수가 20,000/㎣ 이상인 7일의 기간 후, 혈소판수가 20,000/㎣ 이상을 나타내는 연속되는 3일의 첫째날을 말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에서의 세포 생착은 대상체에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를 HPC와 조합하여 투여한 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또는 62일, 또는 2개월, 2.5개월, 3개월 또는 그 후에 탐지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1단위의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예를 들어, UCB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다중 단위의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예를 들어, UCB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2, 3 또는 4단위의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예를 들어, UCB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대상체에 HT 세포, 예를 들어, 사람 UCB 세포, 예를 들어, UCB, 및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의 조합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의 GVHD의 기간 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의 적어도 일부가 대상체에 부분적으로 일치하고/하거나 HPC가 대상체에 불일치하거나 부분적으로 불일치하여 대상체에서 GVHD의 기간 또는 중증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의 한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는 대상체와 부분적으로 불일치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HPC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고, 추가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와 친족 관계가 아닐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PC는 대상체와 부분적으로 불일치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HPC는 대상체와 불일치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UCB 세포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고 HPC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고 대상체와 부분적으로 불일치하고, HPC는 대상체와 친족 관계가 아니고 대상체와 부분적으로 불일치하거나 불일치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를 단독 투여하는 것에 비해 감소된 GVHD의 중증도 또는 기간을 나타낸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1단위의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예를 들어, UCB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다중 단위의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예를 들어, UCB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2, 3 또는 4단위의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예를 들어, UCB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태반 관류액 또는 임의의 세포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근육감소증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검출가능한 개선 또는 악화의 감소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근육감소증을 갖는 개체의 치료방법으로서, HT 세포, 예를 들어, 사람 UCB 세포, 예를 들어, UCB와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의 조합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태반 관류액 또는 임의의 세포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검출가능한 개선 또는 악화의 감소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를 갖는 개체의 치료방법으로서, HT 세포, 예를 들어, 사람 UCB 세포, 예를 들어, UCB와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의 조합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는 허혈성 뇌증(예를 들어,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예를 들어, UCB를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과 동시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세포가 대상체에 동시에 투여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및 HPC가 서로 대상체에 0.5, 1, 1.5, 2, 3, 4, 6, 8, 10, 12, 16, 18 또는 24시간 내에 또는 그 후에, 또는 1, 2, 3, 4, 5, 6 또는 7일 내에 또는 그 후에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예를 들어, UCB가 대상체에 투여된 다음, HPC, 예를 들어, 사람 태반 관류액이 투여되는데, 예를 들어, UCB의 투여 후 1시간 내에 또는 대상체가 UCB 투여에 대해 역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이 확인되는 최소한의 기간 내에 투여된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예를 들어, UCB의 투여에 비해, 예를 들어, 세포 생착까지의 기간의 단축, 대상체가 호중성 백혈구감소증에 걸리는 시간의 제한, 대상체가 혈소판감소성자반증에 걸리는 시간의 제한, 키메라증의 확립, 및 GVHD의 중증도 또는 기간의 감소 또는 이의 예방을 포함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낼 수 있다.
투여되는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와 HPC의 비율은 변할 수 있다.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와 HPC의 비율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의 판단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대 HPC의 비율은 약 100,000,000:1, 50,000,000:1, 20,000,000:1, 10,000,000:1, 5,000,000:1, 2,000,000:1, 1,000,000:1, 500,000:1, 200,000:1, 100,000:1, 50,000:1, 20,000:1, 10,000:1, 5,000:1, 2,000:1, 1,000:1, 500:1, 200:1, 100:1, 50:1, 20:1, 10:1, 5:1, 2:1, 1:1, 1:2, 1:5, 1:10, 1:100, 1:200, 1:500, 1:1,000, 1:2,000, 1:5,000, 1:10,000, 1:20,000, 1:50,000, 1:100,000, 1:500,000, 1:1,000,000, 1:2,000,000, 1:5,000,000, 1:10,000,000, 1:20,000,000, 1:50,000,000 또는 약 1:100,000,000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대 HPC의 비율은 약 20:1 내지 약 1:20, 또는 약 1:10, 약 1:5, 약 1:1, 약 5:1 또는 약 10:1이다.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및 HPC의 투여는 당해 분야에 알려진 세포 투여를 위한 임의의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투여는 정맥, 예를 들어, IV, PICC 라인, 중심 라인 등을 통한 정맥내이다. 예를 들어,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와 HPC를 별도 조성물로 또는 단일 조성물로 대상체에 주사 또는 수혈을 포함하는 임의의 약제학적으로 또는 의학적으로 허용되는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조성물(들)은 주사가능한 조성물(예를 들어,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도입된 WO 96/39101)로 제형화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또는 HPC를 대상체에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주사,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또는 HPC를 대상체에 정맥내로 투여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또는 HPC를 대상체에 심실내로 투여할 수 있다.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및 HPC는 임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에 별도로 또는 함께 함유될 수 있다.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또는 HPC는 임의의 약제학적으로 또는 의학적으로 허용되는 용기, 예를 들어, 혈액주머니, 이송 백, 플라스틱 튜브, 시린지, 바이알 등으로 나르거나 저장하거나 이송할 수 있다.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및/또는 HPC의 대상체로의 투여는 1회 또는 다수회로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투여는 1회 수행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투여는 다수회, 예를 들어, 2회, 3회, 4회 또는 이를 초과하는 횟수로 수행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는 다수회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PC는 다수회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대상체에 투여되는 탯줄혈액 또는 그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제대혈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의 양을 탯줄혈액에 존재하는 세포수를 기초로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대상체에 투여되는 UCB 또는 그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제대혈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 및/또는 사람 태반 관류액 또는 HPC 또는 그로부터 수득된 유핵세포의 전체 양 또는 총수는 제대혈의 공급원 또는 그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제대혈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 및/또는 사람 태반 관류액 또는 HPC 또는 그로부터 수득된 전체 유핵세포, 치료되는 장애 또는 병태의 중증도 또는 본질, 뿐만 아니라 대상체의 연령, 체중 및 신체 상태 등에 좌우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의 체중 ㎏당 약 0.01 내지 약 0.1개, 약 0.1 내지 약 1개, 약 1 내지 약 10개, 약 10 내지 약 102개, 약 102 내지 약 103개, 약 103 내지 약 104개, 약 104 내지 약 105개, 약 105 내지 약 106개, 약 106 내지 약 107개, 약 107 내지 약 108개 또는 약 108 내지 약 109개의 제대혈 세포(예를 들어, 제대혈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 사람 태반 관류액 또는 그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HPC,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 또는 전체 제대혈 세포 및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HPC 또는 전체 유핵세포)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의 체중 ㎏당 약 0.1, 1, 10,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또는 109개 이상의 제대혈 세포(예를 들어, 제대혈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HPC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 또는 제대혈 세포 및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가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의 체중 ㎏당 약 0.5 × 106개 이상, 약 1.0 × 106개 이상, 약 1.5 × 106개 이상, 약 2.0 × 106개 이상, 약 2.5 × 106개 이상, 약 3.0 × 106개 이상, 약 3.5 × 106개 이상, 약 4.0 × 106개 이상, 약 4.5 × 106개 이상, 약 5.0 × 106개 이상, 약 5.5 × 106개 이상, 약 6.0 × 106개 이상, 약 6.5 × 106개 이상, 약 7.0 × 106개 이상, 약 7.5 × 106개 이상, 약 8.0 × 106개 이상, 약 8.5 × 106개 이상, 약 9.0 × 106개 이상, 약 9.5 × 106개 이상, 약 1.0 × 107개 이상, 약 1.5 × 107개 이상, 약 2.0 × 107개 이상, 약 2.5 × 107개 이상, 약 3.0 × 107개 이상, 약 3.5 × 107개 이상, 약 4.0 × 107개 이상, 약 4.5 × 107개 이상, 약 5.0 × 107개 이상, 약 5.5 × 107개 이상 또는 약 6.0 × 107개 이상의 제대혈 세포(예를 들어, 제대혈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HPC,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 또는 전체 제대혈 세포 및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HPC,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가 투여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의 체중 ㎏당 약 0.5 × 106개 이상, 약 1.0 × 106개 이상, 약 1.5 × 106개 이상, 약 2.0 × 106개 이상, 약 2.5 × 106개 이상, 약 3.0 × 106개 이상, 약 3.5 × 106개 이상, 약 4.0 × 106개 이상, 약 4.5 × 106개 이상 또는 약 5.0 × 106개 이상의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HPC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가 투여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의 체중 ㎏당 1.5 × 107개, 2.0 × 107개, 2.5 × 107개, 3.0 × 107개, 3.5 × 107개, 4.0 × 107개, 4.5 × 107개, 5.0 × 107개, 5.5 × 107개 또는 6.0 × 107개 이상의 제대혈 세포(예를 들어, 제대혈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가 투여된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의 체중 ㎏당 최대한 약 104, 105, 106, 107, 108 또는 109개의 제대혈 세포,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HPC,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 또는 제대혈 세포 및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HPC,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가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의 체중 ㎏당 최대한 약 0.5 × 106개, 약 1.0 × 106개, 약 1.5 × 106개, 약 2.0 × 106개, 약 2.5 × 106개, 약 3.0 × 106개, 약 3.5 × 106개, 약 4.0 × 106개, 약 4.5 × 106개, 약 5.0 × 106개, 약 5.5 × 106개, 약 6.0 × 106개, 약 6.5 × 106개, 약 7.0 × 106개, 약 7.5 × 106개, 약 8.0 × 106개, 약 8.5 × 106개, 약 9.0 × 106개, 약 9.5 × 106개, 약 1.0 × 107개, 약 1.5 × 107개, 약 2.0 × 107개, 약 2.5 × 107개, 약 3.0 × 107개, 약 3.5 × 107개, 약 4.0 × 107개, 약 4.5 × 107개, 약 5.0 × 107개, 약 5.5 × 107개 또는 약 6.0 × 107개의 제대혈 세포(예를 들어, 제대혈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HPC,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 또는 전체 제대혈 세포 및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HPC,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가 투여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의 체중 ㎏당 최대한 약 0.5 × 106개, 약 1.0 × 106개, 약 1.5 × 106개, 약 2.0 × 106개, 약 2.5 × 106개, 약 3.0 × 106개, 약 3.5 × 106개, 약 4.0 × 106개, 약 4.5 × 106개 또는 약 5.0 × 106개의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HPC,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가 투여된다. 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의 체중 ㎏당 최대한 약 1.5 × 107개, 약 2.0 × 107개, 약 2.5 × 107개, 약 3.0 × 107개, 약 3.5 × 107개, 약 4.0 × 107개, 약 4.5 × 107개, 약 5.0 × 107개, 약 5.5 × 107개 또는 약 6.0 × 107개의 제대혈 세포(예를 들어, 제대혈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가 투여된다.
위의 실시양태 중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대혈 세포(예를 들어, 제대혈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전체 HPC,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는 CD34+ 세포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체중 ㎏당 약 104 내지 약 107개의 CD34+ 세포가 투여된다. 이러한 CD34+ 세포는 탯줄혈액 단독으로부터 수득된 것일 수 있거나, 탯줄혈액과 태반 관류액으로부터 수득된 것일 수 있다.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예를 들어, UCB, 및 HPC, 예를 들어, 태반 관류액은 대상체의 체격에 적합한 용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사람 성인의 보통의 혈액 용적은 약 85 내지 100mL/㎏ 체중이다. 따라서, 사람 성인에 대한 혈액 용적은 대략 40mL 내지 대략 300mL 범위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 예를 들어, UCB, 및 HPC, 예를 들어, 태반 관류액은 약 0.5mL, 약 1.0mL, 약 2mL, 약 3mL, 약 4mL, 약 5mL, 약 6mL, 약 7mL, 약 8mL, 약 9mL, 약 10mL, 약 11mL, 약 12mL, 약 13mL, 약 14mL, 약 15mL, 약 16mL, 약 17mL, 약 18mL, 약 19mL, 약 20mL, 약 21mL, 약 22mL, 약 23mL, 약 24mL, 약 25mL, 약 26mL, 약 27mL, 약 28mL, 약 29mL 또는 약 30mL, 또는 이보다 많은 총 용적으로 투여된다. 이러한 용적의 투여는 단일 투여 또는 다중 투여일 수 있다. 이러한 용적의 탯줄혈액 또는 탯줄혈액 세포 수, 또는 사람 태반 관류액 또는 그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HPC 또는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가 투여될 수 있는 시간은, 예를 들어, 0.5시간, 1시간, 1.5시간, 2시간, 2.5시간, 3시간, 3.5시간, 4시간 또는 그 초과로 달라질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20mL 미만의 적은 수혈은 시린지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고용적 수혈은 주입 장치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1 내지 4시간의 시간 내에 투여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임의의 대상체에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조혈 재구성, 부분적 재구성 또는 확대술이 필요하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사람 대상체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성인 사람 대상체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25세 이하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영아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 예를 들어, 이식(transplanting), 키메라증 유도 방법 및/또는 생착(engraftment) 방법 전에, 대상체에, 예를 들어, TBI, 클로파라빈 및/또는 Ara-C1을 사용한 골수형성 컨디셔닝; 예를 들어, 부설판, 플루다라빈 및/또는 알렘투주맙을 사용한 감소된 독성 컨디셔닝; 방사선치료; 또는 면역억제 치료 또는 혈구 세포수를 감소시키는 치료와 같은 기타 치료 중 하나 이상을 부여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선천성 대사이상증, 부신백색질형성장애증(adrenoleukodystrophy), 뮤코다당증, 니이만-픽병(Niemann-Pick disease), 이염색백색질장애(metachromatic leukodystrophy), 울만병(Wolman disease), 크라베병(Krabbe's disease), 고쉐병(Gaucher's disease), 푸코시드축적증(fucosidosis) 또는 배튼병(Batten disease)과 같은 대사장애의 치료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혈액 장애 또는 혈액암, 예를 들어, 림프조혈성 악성종양(lymphohematopoietic malignancy), 골수형성이상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 무거대핵세포혈소판감소증(amegakaryocytic thrombocytopenia),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ALL)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과 같은 백혈병, 호중성백혈구감소증, 겸상적혈구 빈혈과 같은 겸상적혈구 질환, 베타 탈라세미아(예를 들어, 베타 탈라세미아 메이저(beta thalassemia major)), 중증 합병성 면역결핍질환, 골수 기능부전, 또는 중증 무형성 빈혈 또는 다이아몬드-블랙판 빈혈(Diamond-Blackfan anemia)과 같은 빈혈의 치료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장애 또는 병태, 또는 이러한 장애 또는 병태의 임의의 매개변수 또는 증상의 진행, 중증도 및/또는 기간의 감소 또는 개선을 말한다. 대상체가 생존하는 경우, 또는 치료되는 장애 또는 병태가 치료 결과로서 어떤 식으로든 측정가능하게 개선되는 경우, 그 치료는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러한 개선은, 예를 들어, 생리학적 상태의 탐지가능한 변화, 또는 특정 질환, 장애 또는 병태와 관련된 생리학적 상태의 세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가능한 지표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표의 값이 상기 치료가 없는 경우 예상되는 것에 비해, 예를 들어, 유사한 연령의 개체에 대한 정상값 내이거나 그에 보다 근접한 값으로 변함으로써 이러한 치료에 반응성인 것으로 보이는 경우, 그 치료는 또한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은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에서 하나 이상의 제2 치료와 조합되어 제1 치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치료는 수술, 호르몬치료, 면역요법, 광선요법 또는 특정 약물을 사용한 치료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 제공된 방법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치료의 예는 환경 온도의 조절; 산소 지원; 호흡기 또는 환기기; 말초혈 수혈; 철 보충; 정맥내 공급; 광선요법; 수술; 대사장애 또는 혈액장애(혈액암 포함) 치료용 약제;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소염제(예를 들어,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화합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NSAID) 화합물); 산화질소; 항히스타민제; 면역억제제; 및 면역조절 화합물(예를 들어, TNF-α 억제제)을 포함한다.
4. 제대혈 세포
본 기재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제대혈(본원에서는 UCB 또는 "탯줄혈액"으로도 지칭됨)은 임의의 의학적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방식으로 수집할 수 있고, 조성물, 예를 들어, 약제학적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탯줄혈액의 수집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문이 참조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6,102,871호, 미국 특허 제6,179,819호 및 미국 특허 제7,147,626호를 참조한다. 탯줄혈액의 수집을 위한 통상의 기술은 중력의 도움으로 사용되는 니들 또는 캐눌라의 사용을 기초로 한다. 탯줄혈액은, 예를 들어, 혈액주머니, 이송 백 또는 멸균 플라스틱 튜브 속에 수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제대혈은 시중의 탯줄혈액 은행(예를 들어, LifeBankUSA 등)으로부터 수득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대혈은 분만 후 포유동물 제대로부터 수집하고 즉시(예를 들어, 수집 후 1, 2, 3, 4, 5, 6, 7 , 8, 9, 10, 11 또는 12시간 내) 사용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를 치료하는 데 사용된 탯줄혈액은 냉동보존된 탯줄혈액이다. 제대혈은 하나의 제대 또는 다수의 제대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는 대상체 및/또는 HPC와 친족 관계가 아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는 대상체 및/또는 HPC와 부분적으로 불일치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는 HPC와 불일치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UCB 세포는 HPC와 친족 관계가 아니고 불일치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UCB는 대상체와 3/6, 4/6 또는 5/6의 HLA 부위가 일치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HT 세포, 예를 들어, 성인 공급원으로부터의 세포는 대상체와 6/8, 7/8 또는 8/8의 HLA 부위가 일치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제대혈은 조산 제대로부터 준비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대혈은 만삭출생 제대로부터 준비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대혈은 만삭출생의 분만 후 포유동물 제대로부터 수득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대혈은 조산의 분만 후 포유동물 제대로부터 수득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제대는 임신 약 23주 내지 약 25주에 출생한 영아의 제대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제대는 임신 약 26주 내지 약 29주에 출생한 영아의 제대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제대는 임신 약 30주 내지 약 33주에 출생한 영아의 제대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제대는 임신 약 34주 내지 약 37주에 출생한 영아의 제대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제대는 임신 약 37주 내지 약 42주에 출생한 영아의 제대이다.
탯줄혈액 또는 그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전체 유핵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줄기세포)를 투여를 위해 단일 개체(즉, 단일 단위)로부터 수집할 수 있거나, 다른 단위와 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탯줄혈액 또는 그로부터 수득된 세포(예를 들어, 전체 유핵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줄기세포)는 투여 전에 저장한다. 제대혈을 복수개의 제대와 합하는 경우, 합쳐진 탯줄혈액은 오직 만삭출생으로부터의 제대혈, 만삭출생의 조합으로부터의 탯줄혈액, 또는 오직 조산으로부터의 탯줄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산 영아의 제대로부터의 탯줄혈액은, 예를 들어, 다른 조산 영아로부터의 탯줄혈액, 오직 만기출생으로부터의 탯줄혈액, 또는 조산 및 만삭 태반으로부터의 탯줄혈액의 배합물과 합할 수 있다. 자가(autologous) 또는 동종이계(allogeneic) 탯줄혈액을 포함하는 탯줄혈액을 또한 말초혈과 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조산으로부터의 탯줄혈액이 만삭출생으로부터의 탯줄혈액에 비해 단위 용적당 비교적 많은 수의 CD34+ 줄기세포를 포함하기 때문에 조산으로부터의 탯줄혈액을 사용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탯줄혈액 단위는 대상체의 체중 ㎏당 약 1.0 × 106개 이상, 약 1.5 × 106개 이상, 약 2.0 × 106개 이상, 약 2.5 × 106개 이상, 약 3.0 × 106개 이상, 약 3.5 × 106개 이상, 약 4.0 × 106개 이상, 약 4.5 × 106개 이상, 약 6.0 × 106개 이상, 약 6.5 × 106개 이상, 약 7.0 × 106개 이상, 약 7.5 × 106개 이상, 약 8.0 × 106개 이상, 약 8.5 × 106개 이상, 약 9.0 × 106개 이상, 약 9.5 × 106개 이상, 약 1.0 × 107개 이상, 약 1.5 × 107개 이상, 약 2.0 × 107개 이상, 약 2.5 × 107개 이상, 약 3.0 × 107개 이상, 약 3.5 × 107개 이상, 약 4.0 × 107개 이상, 약 4.5 × 107개 이상, 약 5.0 × 107개 이상, 약 5.5 × 107개 이상 또는 약 6.0 × 107개 이상의 상기 탯줄혈액으로부터 수득된 세포, 예를 들어, 탯줄혈액으로부터의 전체 유핵세포가 투여되도록 충분한 수의 세포를 함유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1단위의 탯줄혈액 또는 그로부터 수득된 세포가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1단위 미만이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1단위 초과가 투여되고, 예를 들어, 2 이상(예를 들어, 2, 3, 4, 5, 6 또는 그 초과)의 단위가 투여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 조성물
본 실시예는 세포 종류 및 관련된 표현형에 의한 사람 태반 관류액 조성물의 측정을 설명한다.
사람 태반 관류액(HPP)을 위의 섹션 "2. 태반 관류액 세포의 분리, 분류 및 특징화"에 기재한 대로 수득하였다. 공여자 일치된 HPP 백(bag) 및 사람 제대혈(HUCB) 백을 37℃에서 각각 해동시킨 다음, 동용적의 해동 매질(IMDM(Cat# 30-2005, ATCC)+2% FBS(Cat# SH30070.03, Hyclone)+P/S(Cat# 15140-122, Gibco))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세포 혼합물을 400g에서, 15ml 원뿔형 튜브(conical tube)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8분 동안, 50ml 원뿔형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0분 동안 회전(spin)시켰다. 세포 펠렛을 FACS 버퍼(PBS(Cat# 10010-023, Gibco)+2%FBS+P/S)를 사용하여 1×107/ml로 재현탁하였다. 염화암모늄 용액(Cat# 07850, StemCell) 대 세포의 비를 9:1로 하여 염화암모늄 용액을 얼음에서 10분 동안 첨가함으로써 RBC(적혈구)를 용해시켰다. RBC 용해 후, 상기 샘플을 400g에서 5분 동안 회전시킨 다음, FACS 버퍼로 2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1×107개의 세포당 1ml의 Cytofix/cytoperm 용액(Cat# 554722, BD Biosciences)을 사용하여 20분 동안 4℃에서 세포 펠렛을 재현탁하였다. 상기 샘플을 FACS 버퍼로 2회 세척한 다음, 형광색소 결합된 항체를 사용하여 20분 동안 RT(실온)의 암 환경에서 염색하였다. 표현형 패널을 표 1 및 표 2에 열거하였다. 항체에 대한 정보는 표 3에 열거하였다. 염색된 샘플을 FACS 버퍼로 2회 세척하고 데이터 수집을 위해 200㎕의 FACS 버퍼에 재현탁하였다: 제조자가 제공한 지시에 따라 FACS Aria(BD Biosciences)에 의한 9색 패널 및 FACS Canto II(BD Biosciences)에 의한 6색 패널. 데이터 분석은 FlowJo(Tree Star)로 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스튜던트 T 시험(paired student T-test)을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다양한 단핵 세포 종류의 조성을 측정하기 위해 HPP로부터의 단핵구 세포를 분석하였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2: 사람 태반 관류액 중의 유핵세포의 총수
본 실시예는 사람 태반 관류액 및 제대혈 단위의 유핵세포의 총수의 측정을 설명한다.
공여자 일치된 HPP 및 HUCB 단위 43쌍을 유핵세포의 총수의 측정을 위해 가공하였다. HPP의 단일 단위에 대한 평균 유핵세포 총수는 ~1억 3천 5백만개였다. HUCB의 단일 단위에 대한 평균 유핵세포의 총수는 ~ 6억 6천 6백만개였다(도 1).
실시예 3: 사람 태반 관류액 중의 전구세포 모집단
본 실시예는 사람 태반 관류액 및 제대혈에서의 CD34+CD45- 및 CD34+CD45+ 세포의 모집단의 측정을 설명한다.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의 부분모집단을 측정하는데에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FACS)를 사용하였다(도 2a). CD34+ 세포의 부분모집단은 CD45-이고, 따라서 CD45+ 세포를 먼저 통과시키는, 순차적 게이팅 전략(도 2b)인 ISHAGE 프로토콜(Barnett, et al., 1999, Clin. Lab. Haem. 21:301-308)을 사용한 계수는 배제하였다. 사람 태반 관류액에서의 CD34+CD45- 및 CD34+CD45+ 세포 둘 다를 분석하기 위해 다른 순차적 게이팅 전략을 사용한 프로토콜을 확립함으로써 CD34+ 세포를 먼저 통과시키도록 하였다(도 2c). 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CD34+CD45- 세포의 뚜렷한 모집단이 사람 태반 관류액에 분명히 있었다.
FACS에 의한 세포 분류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공여자 일치된 HPP 및 HUCB의 백을 370℃에서 각각 해동시킨 다음, 염화암모늄으로 RBC를 용해시켰다. 이어서 상기 샘플을 FITC 항-사람 CD34(Cat# 555821, BD Biosciences) 및 PE 항-사람 CD45(Cat# 555483, BD Biosciences)로 15분 동안 RT의 암 환경에서 염색하였다. FACS 버퍼로 2회 세척한 후, 상기 샘플을 1×107/ml로 재현탁하고 제조자가 제공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FACS Aria(BD Biosciences)로 분류하였다.
FACS 분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공여자 일치된 쌍에서 사람 태반 관류액이 제대혈에 비해 CD34+ 세포를 더 높은 비율로 함유한다는 것을 측정하였다(도 3a 및 3b).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사용한 콜로니 형성 분석은 분류 뒤 CD34+CD45+ 세포 및 CD34+CD45- 세포로부터의 성장을 나타냈다.
실시예 4: 사람 태반 관류액 중의 CD34 + 부분모집단
본 실시예는 사람 태반 관류액 및 제대혈에서의 CD34+CD31+, CD34+KDR+ 및 CD34+CXCR-4+ 세포의 모집단의 측정을 설명한다.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표현형 특징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PP CD34+ 세포가 HUCB CD34+ 세포에 비해 CD31+, KDR+ 및 CXCR-4+ 세포를 더 높은 비율로 포함한다는 것을 측정하였다(도 4). 이들 표현형은 혈관모세포의 모집단을 함유하는 HPP와 일치한다.
실시예 5: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세포의 기능 평가
본 실시예는 제대혈과 비교한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의 혈관형성 특성의 측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람 태반 관류액은 본원에 기재된 분석에서 제대혈에 비해 더 높은 혈관형성 활성을 보였다.
HPP 세포를 위의 섹션 5에 기재한 대로 수득하였다. HPP 세포(도 5의 위 왼쪽)를 37℃에서 4시간 동안 10㎍/mL Dil-AC LDL(Cat# L3484, Life technology)과 함께 항온시키고, HPP로부터의 내피 세포에 의한 지단백 흡수의 형광 사진(도 5의 위 오른쪽)을 Axiovert 200M(Zeiss)으로 촬영하였다. 시험관내 기능 분석을 수행하여 사람 태반 관류액으로부터의 세포의 혈관형성 특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섹션 5에 따라 수득된 HPP 세포를, 시험관내 혈관형성 분석 키트(In Vitro Angiogenesis Assay Kit)(Chemicon cat# ECM625)(세포가 TGF-베타, FGF, 플라스미노겐, tPA 및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의 존재하에 배양된다)를 사용하여 ECMATRIXTM로 96웰 플레이트 내에서 웰당 약 106개의 세포로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미세혈관 형성이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 배지에서 관찰되었다(도 5의 오른쪽 아래). HUVEC(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을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도 5의 왼쪽 아래). 제대혈 배지에서는 유의한 튜브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6: 사람 태반 관류액 중의 원시 전구세포 모집단
본 실시예는 사람 태반 관류액 및 제대혈에서의 다양한 CD34+ 원시 전구세포의 모집단의 측정을 설명한다.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표현형 특징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람 태반 관류액이 제대혈에 비해 네스틴+/CD34+ 세포를 실질적으로 더 높은 비율로 함유한다는 것을 측정하였다(도 6). 네스틴+CD34+ 세포는 보다 더 원시적인 신경(neuronal) 전구체인 것으로 시사된다(Mii et al., J. Cell Biol., 2013).
사람 태반 관류액은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대혈보다 미숙한 혈관모세포 모집단(즉, CD34+CD45-, CD34+CD38-)을 유의적으로 더 높은 비율로 함유한다.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추정상의 혈관모세포 모집단(즉, CD34+C31+, CD34+KDR+ 및 CD34+CXCR4+)이 제대혈에서 보다 사람 태반 관류액에서 더 많은 양으로 발견된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7: 사람 태반 관류액 중의 T 세포 함량
본 실시예는 사람 태반 관류액 및 제대혈에서의 다양한 T 세포 모집단의 측정을 설명한다.
종합적인 HLA I 및 II 부류 평가와 대규모의 면역표현형 특징화를, 위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이, T 세포 부분모집단 CD45RA, CD8, CD25, CD127, CD69, CD3, CCR7, HLADR 및 CD4를 도시하기 위해 9색 T 세포 FACS 패널을 사용하여 사람 태반 관류액 및 제대혈로 수행하였다.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과는 사람 태반 관류액이 제대혈에 비해 현저히 낮은 T 세포 함량을 함유하는 것을 보인다. 마찬가지로,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는 HLA 부류 I 및 HLA 부류 II의 발현이 더 낮다(도 7). CD3, CD4 및/또는 CD8을 발현하는 특이적 T 세포 모집단의 상대적 비율 역시 사람 태반 관류액 및 제대혈로 측정하였다(도 8). 사람 태반 관류액의 T 세포 함량은, 예를 들어, 동종이계(allogeneic) 불일치된 이식에 대한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의 적합성을 가리킨다.
Figure pct00006

실시예 8: T 세포 분리, 기능 평가 및 확대
본 실시예는 사람 태반 관류액 및 제대혈에서의 Treg 세포 모집단의 성공적인 분리, 평가 및 확대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의 기타 모집단 또는 부분모집단의 분리, 평가 및 확대에 유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 공여자 일치된 HPP 또는 HUCB로부터 Treg 세포를 분리하는데에 사람 CD4+CD127lowCD25+ 조절 T 세포(Cat# 15861, StemCell)의 컴플리트 키트(complete kit)를 사용할 수 있다. 각각 공여자 일치된 HPP 또는 HUCB로부터 분리된 Treg 세포, 공여자 일치된 HPP 또는 HUCB, 또는 Treg 세포가 없는 공여자 일치된 HPP 또는 HUCB를 시험관내 비드(bead) T 세포 반응(BTR) 분석으로 평가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항(anti)-CD3/CD28 비드로 활성화된 말초혈(PB)로부터의 T 세포를 위에 열거한 샘플과 함께 5일 동안 공배양(coculture)할 수 있다. CD4 및 CD8 T 세포의 증식의 억제를 FACS로 측정할 수 있다.
2개의 비드를 기초로 한 확대 키트를, Treg 확대 키트(Cat#: 130-095-345, Miltenyi) 및 DYNABEADS® 조절 CD4+CD25+ T 세포 키트(Cat# 11363D, Life Technology)를 사용하여 각각 공여자 일치된 HPP 및 HUCB로부터의 Treg 세포 확대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 임상용의 확대된 Treg 세포의 효능의 향상은 괴사인자 수용체 구성원(개선용 OX40, 4-1BB)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Hippen et al, 2008).
균등물: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특정 실시양태에 의해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사실, 본원에 기재된 것 이외에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이 상기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들은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도입되고 각각의 개별적 출판물, 특허 또는 특허출원이 특별히 개별적으로 모든 목적을 위해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도입되는 것으로 제시된 것과 같이 동일한 정도로 모든 목적을 위해 도입된다.
임의의 출판물의 인용은 출원일 이전의 기재에 대한 것이고, 본 발명이 선행 발명에 의해 이러한 출판물을 앞설 권리가 없음을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61)

  1.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placental perfusate)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이 6 ×105개 이상의 CD34+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2배 더 많은 수의 CD34+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10배 더 많은 수의 CD34+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50배 더 많은 수의 CD34+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6.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이 5 ×105개 이상의 CD34+CD45-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2배 더 많은 수의 CD34+CD45-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10배 더 많은 수의 CD34+CD45-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50배 더 많은 수의 CD34+CD45-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CD45-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11.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이 6 ×105개 이상의 CD34+CD31+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2배 더 많은 수의 CD34+CD31+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10배 더 많은 수의 CD34+CD31+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50배 더 많은 수의 CD34+CD31+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CD31+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16.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이 5 ×105개 이상의 CD34+KDR+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2배 더 많은 수의 CD34+KDR+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10배 더 많은 수의 CD34+KDR+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50배 더 많은 수의 CD34+KDR+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KDR+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21.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이 5 ×105개 이상의 CD34+CXCR4+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2배 더 많은 수의 CD34+CXCR4+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10배 더 많은 수의 CD34+CXCR4+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50배 더 많은 수의 CD34+CXCR4+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CXCR4+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26.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이 6 ×105개 이상의 CD34+CD38-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2배 더 많은 수의 CD34+CD38-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10배 더 많은 수의 CD34+CD38-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50배 더 많은 수의 CD34+CD38-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CD38-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31.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이 7 ×105개 이상의 CD34+CD117-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2배 더 많은 수의 CD34+CD117-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10배 더 많은 수의 CD34+CD117-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50배 더 많은 수의 CD34+CD117-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CD117-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36.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이 6 ×105개 이상의 CD34+CD140a+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2배 더 많은는 수의 CD34+CD140a+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10배 더 많은 수의 CD34+CD140a+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50배 더 많은 수의 CD34+CD140a+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CD140a+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41.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이 3 ×105개 이상의 CD34+네스틴+(Nestin+)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2배 더 많은 수의 CD34+네스틴+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10배 더 많은 수의 CD34+네스틴+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50배 더 많은 수의 CD34+네스틴+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45.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4+네스틴+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46. 분리된 사람 태반 관류액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이 3 ×104개 이상의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2배 더 많은 수의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10배 더 많은 수의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50배 더 많은 수의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5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사람 태반 관류액 CD3+CD4+CD8-CD25hiCD127low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51.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 태반 관류액이 단일 태반 관류로부터 분리된 것인, 조성물.
  52. 대상체에서의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가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인, 치료방법.
  54. 대상체에서의 근육감소증(sarcopenia)의 치료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방법.
  55. 대상체에서의 키메라증(chimerism)의 유도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도방법.
  56. 대상체에서의 세포 생착(cell engraftment)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생착방법.
  57. 대상체에서의 이식편 대 숙주 질환(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의 기간 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감소방법.
  58. 대상체에서의 대사 장애의 치료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방법.
  59. 대상체에서의 혈액 장애 또는 혈액암의 치료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방법.
  60. (a) 대상체에서의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방법,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추신경계 손상, 질환 또는 장애가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인, 치료방법;
    (b) 대상체에서의 키메라증의 유도방법;
    (c) 세포 생착방법;
    (d) 대상체에서의 이식편 대 숙주 질환(GVHD)의 기간 또는 중증도의 감소방법;
    (e) 대상체에서의 대사 장애의 치료방법;
    (f) 대상체에서의 혈액 장애 또는 혈액암의 치료방법; 또는
    (g) 대상체에서의 근육감소증의 치료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조혈 세포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67015654A 2013-11-15 2014-11-14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세포의 부분모집단 및 이의 용도 KR20160098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0425A KR20210121277A (ko) 2013-11-15 2014-11-14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세포의 부분모집단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905076P 2013-11-15 2013-11-15
US201361905077P 2013-11-15 2013-11-15
US61/905,077 2013-11-15
US61/905,076 2013-11-15
PCT/US2014/065665 WO2015073800A2 (en) 2013-11-15 2014-11-14 Compositions comprising human placental perfusate cells, subpopulations thereof, and their us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425A Division KR20210121277A (ko) 2013-11-15 2014-11-14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세포의 부분모집단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244A true KR20160098244A (ko) 2016-08-18

Family

ID=530582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654A KR20160098244A (ko) 2013-11-15 2014-11-14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세포의 부분모집단 및 이의 용도
KR1020247005001A KR20240023709A (ko) 2013-11-15 2014-11-14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세포의 부분모집단 및 이의 용도
KR1020217030425A KR20210121277A (ko) 2013-11-15 2014-11-14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세포의 부분모집단 및 이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001A KR20240023709A (ko) 2013-11-15 2014-11-14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세포의 부분모집단 및 이의 용도
KR1020217030425A KR20210121277A (ko) 2013-11-15 2014-11-14 사람 태반 관류액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세포의 부분모집단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160279171A1 (ko)
EP (1) EP3068432A4 (ko)
JP (4) JP2016537362A (ko)
KR (3) KR20160098244A (ko)
CN (2) CN105916521A (ko)
AU (3) AU2014348454A1 (ko)
CA (1) CA2930573C (ko)
MX (2) MX2016006270A (ko)
RU (1) RU2016123361A (ko)
WO (1) WO2015073800A2 (ko)
ZA (1) ZA2016032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7491B2 (en) * 2016-11-11 2023-07-25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Methods of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EP3595683A1 (en) 2017-03-15 2020-01-22 Orca Biosystem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s
AU2019387571A1 (en) * 2018-11-30 2021-06-03 Celularity Inc. Placenta-derived allogeneic CAR-T cell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1172A1 (de) 2000-01-13 2001-07-26 Max Planck Gesellschaft Templatieren von Feststoffpartikeln mit Polymermultischichten
US7311905B2 (en) * 2002-02-13 2007-12-25 Anthrogenesis Corporation Embryonic-like stem cells derived from post-partum mammalian placenta, and uses and methods of treatment using said cells
US7045148B2 (en) 2000-12-06 2006-05-16 Anthrogenesis Corporation Method of collecting placental stem cells
US20080152629A1 (en) * 2000-12-06 2008-06-26 James Edinger Placental stem cell populations
MX352687B (es) * 2001-02-14 2017-12-04 Anthrogenesis Corp Placenta de mamiferos postparto, su uso y celulas madres placentales extraidas de ella.
EP2316919B1 (en) * 2001-02-14 2015-10-07 Anthrogenesis Corporation Post-partum mammalian placenta, its use and placental stem cells therefrom
US7498171B2 (en) * 2002-04-12 2009-03-03 Anthrogenesis Corporation Modulation of stem and progenitor cell differentiation, assays, and uses thereof
EP1743025A4 (en) * 2004-03-29 2007-12-05 Cytomatrix Llc METHOD OF MANUFACTURING REGULATOR T CELLS AND THEIR USE
PL1957633T3 (pl) 2005-10-13 2014-05-30 Anthrogenesis Corp Immunomodulacja z zastosowaniem komórek macierzystych łożyska
CA2633775A1 (en) 2005-12-29 2007-07-12 Anthrogenesis Corporation Co-culture of placental stem cells and stem cells from a second source
PL1976977T3 (pl) 2005-12-29 2015-12-31 Anthrogenesis Corp Populacje komórek macierzystych łożyska
EP4094578A1 (en) * 2006-05-11 2022-11-30 Celularity Inc. Methods for collecting and using placenta cord blood stem cells
DK2084268T3 (en) * 2006-10-23 2019-01-21 Celularity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BONE JOIN DEFECTS WITH PLACENTACLE POPULATIONS
MX2009008559A (es) * 2007-02-12 2009-08-21 Anthrogenesis Corp Hepatocitos y condorcitos de celulas madre de la placenta adherentes, y poblaciones de celulas enriquecidas con celulas madre de la placenta cd34+, cd45-.
WO2008156659A1 (en) * 2007-06-18 2008-12-24 Children's Hospital & Research Center At Oakland Method of isolating stem and progenitor cells from placenta
US20090104164A1 (en) * 2007-09-26 2009-04-23 Celgene Cellular Therapeutics Angiogenic cells from human placental perfusate
KR20220119515A (ko) * 2007-09-28 2022-08-29 셀룰래리티 인코포레이티드 인간 태반 관류액 및 인간 태반-유래 중간체 천연 킬러 세포를 사용한 종양 억제 방법
AU2009316376B2 (en) 2008-11-21 2015-08-20 Celularity Inc. Treatment of diseases, disorders or conditions of the lung using placental cells
WO2010105144A2 (en) 2009-03-12 2010-09-16 University Of South Florida Method of disease-induced and receptor-mediated stem cell neuroprotection
WO2010141654A1 (en) * 2009-06-05 2010-12-09 Anthrogenesis Corporation Improved method of collecting placental cells
WO2011008277A2 (en) * 2009-07-14 2011-01-2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ematopoietic stromal progenitor cells and uses thereof
US20110280849A1 (en) * 2010-03-26 2011-11-17 Anthrogenesis Corporation Tumor suppression using human placenta-derived intermediate natural killer cells and immunomodulatory compounds
EP2556145B1 (en) 2010-04-07 2016-07-20 Anthrogenesis Corporation Angiogenesis using placental stem cells
NZ605505A (en) * 2010-07-13 2015-02-27 Anthrogenesis Corp Methods of generating natural killer cells
EP2652126B1 (en) 2010-12-17 2016-07-13 Anthrogenesis Corporation Treatment of immune-related diseases and disorders using amnion derived adherent cells
WO2012083023A1 (en) 2010-12-17 2012-06-21 Anthrogenesis Corporation Treatment of spinal cord injury and traumatic brain injury using amnion derived adherent cells
WO2012092480A1 (en) * 2010-12-30 2012-07-05 Anthirogenesis Corporation Compositions comprising amnion derived adherent cells and platelet-rich plasma
US9925221B2 (en) 2011-09-09 2018-03-27 Celularity, Inc. Treatment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using placental stem cells
AU2013302853A1 (en) 2012-08-13 2015-03-05 Anthrogenesis Corporation Natural killer cells and uses thereof
DK2909314T3 (da) 2012-10-19 2021-03-08 Celularity Inc Behandling af smerte med amnion afledte vedhæftende ce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02182A1 (en) 2020-04-16
WO2015073800A3 (en) 2015-07-02
US20190117705A1 (en) 2019-04-25
JP2020019777A (ja) 2020-02-06
JP2022020622A (ja) 2022-02-01
CA2930573C (en) 2023-12-05
ZA201603270B (en) 2022-09-28
WO2015073800A8 (en) 2015-12-17
WO2015073800A2 (en) 2015-05-21
CN113679740A (zh) 2021-11-23
JP2016537362A (ja) 2016-12-01
KR20240023709A (ko) 2024-02-22
EP3068432A2 (en) 2016-09-21
AU2022215291A9 (en) 2022-11-24
RU2016123361A (ru) 2017-12-20
AU2014348454A1 (en) 2016-06-02
CA2930573A1 (en) 2015-05-21
CN105916521A (zh) 2016-08-31
MX2021003799A (es) 2021-06-04
JP2024016037A (ja) 2024-02-06
US20160279171A1 (en) 2016-09-29
AU2022215291A1 (en) 2022-09-01
EP3068432A4 (en) 2017-04-19
MX2016006270A (es) 2016-09-07
KR20210121277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2761B2 (ja) キメラ抗原受容体及び他の受容体の発現に対するt細胞
Arora et al. Effect of developmental stage of HSC and recipient on transplant outcomes
JP5341525B2 (ja) 造血幹細胞の生着を増強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JP2018516586A (ja) TCRγδ+T細胞の生産方法
JP2022020622A (ja) ヒト胎盤灌流液細胞、その亜集団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使用
Hess et al. Human progenitor cells rapidly mobilized by AMD3100 repopulate NOD/SCID mice with increased frequency in comparison to cells from the same donor mobilized by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US20050118142A1 (en) Cellular compositions which facilitate engraftment of hematopoietic stem cells while minimizing the risk of gvhd
Basford et al. The cord blood separation league table: a comparison of the major clinical grade harvesting techniques for cord blood stem cells
CN106434552B (zh) 新型nkt样细胞亚群及其治疗肿瘤的用途
US20190231823A1 (en) Rejuvenated aged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methods of use
BR112019024077A2 (pt) Métodos para selecionar uma unidade de sangue do cordão umbilical criopreservada para transplantação e expansão ex-vivo e para preparar uma única unidade de sangue do cordão umbilical, e, artigo de fabricação.
Isidori et al. Positive selection and transplantation of autologous highly purified CD133+ stem cells in resistant/relapsed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patients results in rapid hematopoietic reconstitution without an adequate leukemic cell purging
WO2023081320A1 (en)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JP7024145B2 (ja) 末梢血原料の採取/凍結融解工程における単球純化法
CA3063674A1 (en) Selection and use of umbilical cord cell fractions suitable for transplantation
US20140154219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large-scale isolation of very small embryonic-like (vsel) stem cells
KR20210133996A (ko) 치료법에 사용하는 세포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한 감마델타 t 세포의 귀소 및 체류 방법
JP2010508854A (ja) 幹細胞移植の後の生着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
Akdeniz et al. Differences in lymphocyte subpopulation count and function in cord, maternal and adult bl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