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461A - 전자 기기 카바의 금속 데코레이션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카바의 금속 데코레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461A
KR20160097461A KR1020150019035A KR20150019035A KR20160097461A KR 20160097461 A KR20160097461 A KR 20160097461A KR 1020150019035 A KR1020150019035 A KR 1020150019035A KR 20150019035 A KR20150019035 A KR 20150019035A KR 20160097461 A KR20160097461 A KR 20160097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cover
transparent substrate
metal thin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주)삼원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원에스티 filed Critical (주)삼원에스티
Priority to KR102015001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7461A/ko
Publication of KR2016009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카바의 데코레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정전식 터치패널을 갖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자기기에 사용이 되는 투명 카바(Transparent Cover)로서 특히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카바 글라스에 부착된 금속 박막을 사용하는 금속 데코레이션 효과로서, 터치스크린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금속 박막의 구조와 제조 공법과, 금속 박막에 의한 빛의 반사를 최소화 하는 전면 카바(cover)로서 사용되는 투명 기판에 관한 것이다.
더우기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과 같은 무선 통신을 사용하며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배면 케이스에 적용이 되면서, 무선 전파신호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금속 소재를 사용할 수 있게 하되, 빛의 반사를 최소화 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카바의 금속 데코레이션{Metal Decoration for the cover of the electronics device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글라스의 데코레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정전식 터치패널을 갖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자기기에 사용이 되는 투명 카바(Transparent Cover)로서 특히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카바 글라스에 부착된 금속 박막을 사용하는 금속 데코레이션 효과로서, 터치스크린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금속 박막의 구조와 제조 공법과, 금속 박막에 의한 빛의 반사를 최소화 하는 전면 카바(cover)로서 사용되는 투명 기판에 관한 것이다.
더우기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과 같은 무선 통신을 사용하며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배면 케이스에 적용이 되면서, 무선 전파신호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금속 소재를 사용할 수 있게 하되, 빛의 반사를 최소화 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중에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기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스마트워치, 노트북, 모니터 등은 디스플레이를 나타내기 위한 투명한 부분이 있는 투명 카바를 사용하며 특히 투명한 플라스틱내지 강화유리를 사용한 카바 글라스(Cover Glass)를 전면에 부착을 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부분을 제외한 테두리는 인쇄 공법 등을 통해서 데코레이션을 형성한다.
특히 데코레이션은 전자기기의 디자인을 표현하기 때문에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시도 중에는 인쇄 칼라 뿐만이 아니라 산화물 멀티코팅 등과 같이 새로운 소재를 사용도 적극적으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소재를 사용은 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금속을 데코레이션으로 사용할 경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한 금속은 빛의 반사가 심하기 때문에 금속이 디스플레이의 주변 데코레이션 부에 코팅이 되면 거울 반사 효과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방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하는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의 데코레이션을 터치스크린의 오동작을 유발하지 않고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는 금속 소재를 사용한 구조를 고안하고 있다.
또 한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통신기기로서 안테나를 내장하고 있는 전자기기로서 뒷면의 보호 케이스는 금속 재질을 사용하면 무선 통신을 방해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투명한 필름이나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강화유리를 사용하되, 금속 박막을 형성을 해서 금속 질감을 내면서 안테나의 통신을 방해하지 않는 금속 박막의 구조를 형성하고, 외광 반사를 최소화 하는 구조를 고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용 외장(Extrnal) 카바( Cover)에 있어서, 특히 외장 카바의 일례로서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카바로서 강화유리를 카바글라스로 사용한 구조를 일례로서 설명을 하며, 기타의 투명한 필름이나,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 한 전면 카바 뿐만이 아니라 배면의 케이스에도 적용이 된다.
본 발명은 일례로서. 정전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의 금속 데코레이션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의 미러 효과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금속 데코레이션에 산란(Hazy) 효과를 내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 한 본 발명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전기적인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는 금속 박막의 구조에 있어서, 금속 박막의 에칭이 된 구조의 시인성을 최소화 하기 위한 산란 구조와 금속 박막 구조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 한 부분적으로 금속 반사 효과를 가지게 해서 데코레이션 효과를 배가시킨 것이다.
또 한 카바글라스의 에지 부분에는 산란층이 형성되지 않게 해서 강화글라스의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의 미러 효과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금속 데코레이션에 산란(Hazy) 효과를 내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으로서 금속 효과와 인쇄 효과가 나오게 하기 위해 금속 사이로 인쇄 면이 나타나도록 금속이 코팅된 반대 면에 흑백 또는 칼라 인쇄를 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무선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전면 보호 카바로서의 투명 기판으로서 특히 카바 글라스를 제조하여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의 금속 효과를 낼 수 있는 데코레이션 효과를 높이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 한 이러한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무선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뒷면 보호 카바로서의 투명 기판으로서 필름이나 강화유리이거나 투명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뒷면 케이스에 금속을 사용하면서 안테나의무선 신호를 방해하지 않는 금속 박막을 사용한 투명 기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덮는 전면에 사용하는 투명 기판으로서, 전자기기, 특히 스마트폰의 카바글라스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이 되는 데코레이션 부에 있어서, 카바글라스의 상면에 데코레이션 부에 부분적으로 산란구조를 형성을 하며, 카바글라스의 상면의 반대면인 배면에 금속 박막층을 형성을 하며, 금속 박막층이 전기적으로 절연이 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에칭을 해서 박막 도형 내지 정전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방해하지 않는 전기 절연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는 전자기기, 특히 스마트폰의 카바글라스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이 되는 데코레이션 부에 있어서, 카바글라스의 상면에 데코레이션 부에 부분적으로 산란구조를 형성을 하며, 카바글라스의 상면의 반대면인 배면에 부차하는 필름에 금속 박막층을 형성을 하며, 금속 박막층이 전기적으로 절연이 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에칭을 해서 박막 도형 내지 정전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방해하지 않는 전기 절연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 구조에 따라서 외부 광원으로 부터의 빛이 카바글라스의 데코레이션의 표면 부분의 산란 구조에서 산란이 되게 해서 빛의 반사를 최소로 줄이는 것이다.
또 한 카바글라스의 상면에 산란 구조가 있고, 반대면에 카바글라스에 직접 금속 박막이 부분적으로 에칭이 된 상태로 형성이 되거나, 카바글라스의 반대면에 금속 박막이 형성이 된 필름을 붙이는 구조에서, 금속박막과 산란 구조 사이의 kqkrmf라스 두께 이상의 이격이 있게 해서 금속 절연 구조에 의한 에칭이 된 부분을 보이지 않도록 하는 시인성의 개선 효과가 있다.
금속 산란 구조는 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분말을 분사해서 글라스에 흠집을 내서 산란 구조를 형성하는 샌딩기법(Sanding)이거나 산(acid)을 이용한 에칭 기법에 의해 미세한 굴곡이 형성되게 해서 산란 구조를 형성을 하는 기법이거나, 플라즈마 에칭 내지 PECVD 기법에 의한 에칭 등으로 산란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정전식 터치 패널을 갖는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의 배면 내지 배면에 부착되는 필름에 형성이되는 금속 데코레이션을 0.2 마이크로미터 이내의 두께의 금속 박막으로서 형성을 하되, 금속 박막의 구조가 다수개의 다각형 또는 랜덤한 구조의 도형을 사용한 것으로서 각각의 도형은 분리되어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전기적으로 상호 간에 절연된(Electrically Insulation) 다수개의 금속 도형을 형성하는 방법은 열 증착(Thermal Evaporation), e-beam 증착(e-beam evaporation), 스퍼트링(Sputtering) 등으로 단일 금속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금속을 필름의 일면에 통상적으로 0.2 micrometer 이내의 두께의 박막으로 코팅을 한 다음 포토리쏘그라피 공정으로 디스플레이 부분과 데코레이션 부분의 도형 외의 금속 박막 분분을 에칭해 내거나, 레이저로 금속을 날리는 것이다.
그 다음 빛이 에칭이 된 부분으로 새는 현상인 빛 샘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와 데코레이션 효과를 내기 위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랜덤(random)한 형태로 에칭이 된 금속 박막 도형에 다시 실크스크린으로 희색, 유색, 블랙 등의 색 상으로 인쇄를 한다.
또 한 금속 박막외에도 SiO2, Si3N4, TiN (Titanium Nitride), MgF2, Al2O3, TiO2 등의 금속 산화물이거나 금속 불화물이거나, 금속 질화물 등을 단층 내지 적층으로 코팅을 하고 금속을 코팅을 하거나 잉크로 인쇄를 해서 다양한 색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조를 전자기기의 배면 케이스에 사용이 되는 투명기판으로서 PET 와 같은 투명한 필름 내지, 강화유리 내지 PMMA 수지등을 사용한 xnad한 플라스틱 기판에 적용을 해서 금속을 사용하면서 안테나의 신호 방해를 최소화 하고, 금속에 의한 빛의 반사를 최소로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식 터치 패널을 갖는 전자기기의 전기적으로 절연된 금속도형을 데코레이션으로 형성한 카바 글라스는 금속질감을 내면서 빛의 반사를 최소화 하는 구조로서 금속질감의 고급 데코레이션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배면 케이스에 사용이 되는 투명기판으로서 PET 와 같은 투명한 필름 내지, 강화유리 내지 PMMA 수지등을 사용한 xnad한 플라스틱 기판에 적용을 해서 금속을 사용하면서 안테나의 신호 방해를 최소화 하고, 금속에 의한 빛의 반사를 최소로 줄이는 것이다.
도 1 은 도 1 은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카바글라스(Cover Glass)(100) 에 금속 박막층(102)이 카바글라스의 아랫면 내지 카바글라스에 투명양면접착제(OCA) 에 의해 부착된 투명한 필름의 일면에 형성이 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이며, (b)는 카바글라스에 직접 금속 박막이 형성이 된 단면도이며, (c)는 카바글라스에 부착이 되는 필름에 금속박막이 형성이 된 단면도이다.
도 2 는 미세 굴곡이 카바글라스(100)의 데코레이션부(102)에 형성이 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은 미세굴곡부(201)과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금속 박막을 코팅을 한 금속 박막층(301)을 형성한 구조이다.
도 4 는 미세굴곡부(201)와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금속 박막을 코팅을 한 금속 박막층(301)의 다음에 인쇄층(401)을 형성한 구조이다.
도 5 는 미세굴곡부(201)과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무기물 박막 코팅을 통한 무기물 박막 코팅층(501)을 형성한 다음 금속 박막을 코팅을 한 금속 박막층(301)의 다음에 인쇄층(401)을 형성한 구조이다.
도 6 은 카바글라스의 디스플레이부 주변의 데코레이션 부에 부분적으로 미세굴곡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킹을 한 구조의 도면이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되어 있다.
도 7 은 카바글라스의 디스플레이부 주변의 데코레이션 부에 부분적으로 미세굴곡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킹을 한 다음 미세굴곡을 형성한 구조가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되어 있다.
도 8 은 데코레이션 부에 마이크로 굴곡이 형성이 된 다음 마스킹을 제거한 카바글라스의 구조가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되어 있다.
도 9 는 미세굴곡부(201)과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금속 박막을 코팅을 한 금속 박막층(301)을 형성한 구조가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 은 미세굴곡부(201)와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금속 박막을 코팅을 한 금속 박막층(301)의 다음에 인쇄층(401)을 형성한 구조가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 은 미세굴곡부(201)과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무기물 박막 코팅을 통한 무기물 박막 코팅층(501)을 형성한 다음 금속 박막을 코팅을 한 금속 박막층(301)의 다음에 인쇄층(401)을 형성한 구조가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 는 금속층과 인쇄층을 별도의 필름에 형성을 해서 카바글라스에 부착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의 (a) 는 필름(1202)의 아랫면에 금속박막층(301)이 형성이 된 구조이다.
도 12 의 (b) 는 필름(1202)의 윗면에 금속박막층(301)이 형성이 된 구조이다.
도 13 에는 무기물 박막층과 금속층과 인쇄층을 별도의 필름에 형성을 해서 카바글라스에 부착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의 (a) 는 필름(1202)의 아랫면에 무기물 박막층(501)과 금속박막층(301)이 형성이 된 구조이다.
도 13 의 (b) 는 필름(1202)의 윗면에 무기물 박막층(501)과 금속박막층(301)이 형성이 된 구조이다.
도 14 에는 미세굴곡부(201)과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무기물 박막 코팅을 통한 무기물 박막 코팅층(501)을 형성한 다음에 인쇄층(401)을 형성한 구조이다.
도 15 의 (a) 는 카바글라스(100)의 상면 데코레이션 부에 미세굴곡(201) 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대면인 아랫면에 금속코팅층(301)이 형성이 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15 의 (b) 는 카바글라스(100)의 아랫면 데코레이션 부에 미세굴곡(201) 이 형성되어 있으며 미세굴곡이 형성이 된 면에 금속코팅층(301)이 형성이 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 실시 례로서 카바글라스의 상면과 아랫면 양 쪽에 미세굴곡을 형성한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 실시 례로서 카바글라스의 상면에는 미세굴곡을 형성하고 아랫면에는 인쇄내지 수지코팅에 의해 산란 구조를 형성한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8 은 카바글라스와 금속 코팅층 사이에 접착층이 추가로 형성이 된 구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 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의 뒷면 케이스의 평면도(a)와 단면도(b)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용 외장(Extrnal) 카바( Cover)에 있어서, 특히 외장 카바의 일례로서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카바로서 강화유리를 카바글라스로 사용한 구조를 일례로서 설명을 하며, 기타의 PET 등의 투명한 필름이나, PMMA 와 같은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 한 전면 카바 뿐만이 아니라 배면의 케이스에도 적용이 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서 투명 기판의 일례로서 강화유리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투명 기판을 사용한 전면 카바로서 강화유리 소재의 카바글라스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와 공정은 다음과 같다.
도 1 은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카바글라스(Cover Glass)(100) 에 금속 박막층이 카바글라스의 아랫면 내지 카바글라스에 투명양면접착제(OCA) 에 의해 부착된 투명한 필름의 일면에 형성이 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a)는 평면도이며, (b)는 카바글라스에 직접 금속 박막이 형성이 된 단면도이며, (c)는 카바글라스에 부착이 되는 필름에 금속박막이 형성이 된 단면도이다.
도 1 의 (a)의 평면도에 도시가 된대로 카바글라스(100)에는 전자기기, 특히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가 보이는 투명한 디스플레이부(101)이 있으며, 디스플레이 부 주변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막층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스피커 구멍(103)과 버튼 구멍(104)가 형성이 된다.
이의 단면 방향(108)의 구조에서 (a)에는 카바글라스(100) 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외한 주변의 데코레이션 부(102)의 카바글라스 (Cover Glass) 의 아랫면에 금속 박막층(109)이 형성된 단면도이며, (c) 에는 비산방지 필름을 부착할 경우 카바글라스(100)의 아랫면에 투명 양면 접착필름(OCA)등에 의한 투명 접착층(106)으로 부착이된 PET 등과 같은 투명 필름(107)의 일면에 형성이 된 금속박막층(109)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의 구조에 있어서 금속 박막층은 거울 반사와 같은 빛 반사가 일어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카바글라스의 상면의 디스플레이부 주변의 데코레이션부의 일부분에 미세 굴곡을 형성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는 미세 굴곡이 카바글라스(100)의 데코레이션부(102)에 형성이 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카바글라스의 디스플레이가 보이는 디스플레이부(101)는 투명한 상태이며 디스플레이부의 외곽 데코레이션부(102)에는 부분적으로 0,1 마이크로미터에서 2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크기의 미세 굴곡이 부분적으로 정형(Regular) 또는 비정형 (Irregular, Random)으로 형성된 미세굴곡부(201)가 형성되며, 미세굴곡이 형성되지 않는 데코레이션 부는 경면부(202)가 혼합된 구조이다.
전체적으로 데코레이션 부를 미세굴곡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미세굴곡부는 본 발명에서는 카바글라스의 상면에 형성을 한다.
도 3 에는 미세굴곡부(201)과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금속 박막을 코팅을 한 금속 박막층(301)을 형성한 구조이다.
금속 박막층과 미세굴곡부는 카바글라스의 서로 반대면에 형성이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금속 박막에 의한 빛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다.
금속의 종류는 알루미늄, 골드, 주석, 크롬, 티타늄, 백금 등 전기가 흐르는 모든 금속을 포함하며, 박막 코팅 두께에 따라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주석(Sn), 인듐을 포함한다.
모든 금속은 두께가 아주 얇은 경우, 예를 들어서 1 나노미터 내지 수 나노마터 사이의 두께에서 금속의 종류에 따라 금속이 코팅이 되더라도 금속 원자 내지 금속 박막이 연결이 되지를 않아서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가지게 되며, 특히 주석이나 인듐은 수십나노미터 두께로 코팅이 되더라도 코팅이 된 주석 끼리 전체적으로 연결이 되지를 않아서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가지게 된다.
도 4 에는 미세굴곡부(201)와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금속 박막을 코팅을 한 금속 박막층(301)의 다음에 인쇄층(401)을 형성한 구조이다.
인쇄층의 두께는 통상 5-20 micrometer 정도의 두께로 실크스크린 등의 인쇄 방법을 통해서 인쇄 층을 형성한다.
인쇄는 한번 또는 여러 번의 인쇄를 겹쳐서 할 수 있다.
인쇄의 효과는 빛 샘 방지 효과와 이에 덧붙여 금속 박막과의 질감 차이를 통해서 새로운 디자인 효과를 나타낸다.
인쇄를 통해서 빛샘 방지 기능 등을 할 수 있다.
도 5 에는 미세굴곡부(201)과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무기물 박막 코팅을 통한 무기물 박막 코팅층(501)을 형성한 다음 금속 박막을 코팅을 한 금속 박막층(301)의 다음에 인쇄층(401)을 형성한 구조이다.
무기물 박막 코팅층은 SiO2, Si3N4, TiN (Titanium Nitride), MgF2, Al2O3, TiO2 등의 금속 산화물이거나 금속 불화물이거나, 금속 질화물 등을 단층 내지 적층으로 코팅을 해서 형성되며, 그 다음에 금속을 코팅을 하거나 잉크로 인쇄를 해서 다양한 색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 에는 카바글라스의 디스플레이부 주변의 데코레이션 부에 부분적으로 미세굴곡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킹을 한 구조의 도면이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가 된대로 카바글라스(100)의 디스플레이부(101)와 데코레이션의 일부인 경면부(202)에 마스킹부(601)가 형성되며, 미세굴곡이 형성되어야 할 미세굴곡부(201)는 마스킹이 되어 있지 않는다.
마스킹 방법으로는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한 잉크를 인쇄를 하거나, 감광성 수지를 코팅하고 포토리쏘그라피방법으로 감광성 수지를 미세굴곡부에서 박리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도 7 은 카바글라스의 디스플레이부 주변의 데코레이션 부에 부분적으로 미세굴곡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킹을 한 다음 미세굴곡을 형성한 구조가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가 된대로 카바글라스(100)의 디스플레이부(101)와 데코레이션의 일부인 경면부(202)에 마스킹부(601)가 형성되며, 미세굴곡이 형성되어야 할 미세굴곡부(201)는 마스킹이 되어 있지 않는 부분에 미세굴곡을 형성한 것이다.
미세굴곡을 형성하는 방법은 수 마이크로미터의 입자를 분사해서 글라스의 표면에 부딪치게 하는 샌드블라스트(Sand Blast) 공법이거나 산 (Acid)을 이용한 에칭이거나 플라즈마를 이용한 글라스 표면 에칭등의 방법이 있다.
도 8 은 데코레이션 부에 마이크로 굴곡이 형성이 된 다음 마스킹을 제거한 카바글라스의 구조가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되어 있다.
카바글라스의 디스플레이가 보이는 디스플레이부(101)는 투명한 상태이며 디스플레이부의 외곽 데코레이션부(102)에는 부분적으로 0,1 마이크로미터에서 2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크기의 미세 굴곡(이 부분적으로 정형(Regular) 또는 비정형 (Irregular, Random)으로 형성된 미세굴곡부(201)이 형성되며, 미세굴곡이 형성되지 않는 데코레이션 부는 경면부(202)가 혼합된 구조이다.
도 9 는 미세굴곡부(201)과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금속 박막을 코팅을 한 금속 박막층(301)을 형성한 구조가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되어 있다.
금속 박막층은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의 신호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금속부(901)과 에칭이 된 절연부(902)로 구성이된 금속 박막 도형의 형태로 photolithography 에칭, 레이저 에칭증을 통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금속 박막 도형의 크기는 1 mm 이내의 임의의 크기를 통상적으로 사용하지만, 터치스크린의 신호 혼선을 막기 위해서는 터치스크린의 신호 선의 피치의 1/2 이내가 바람직하다.
터치 센서의 베젤 부의 신호 선의 피치가 0.2 mm이면 도형의 크기가 0.1 mm이내가 바람직하다.
각각의 금속 도형의 사이는 금속이 에칭이 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이 된다.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이유는 터치 센서의 무선신호가 금속을 통해서 인접한 신호 선으로 전달이 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로 송수신되는 전파신호가 금속 박막 도형 사이의 절연부를 통해서 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금속 박막은 열 증착, e-beam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코팅을 하며 금속의 종류로는 크롬, 알루미늄, 주석, 팔라듐, 몰리브데늄, 구리, 골드, 로듐, 실버, 팔라듐, 백금, 로듐 등의 모든 종류의 금속이나 금속합금이 가능하며, 신뢰성 확보 등을 위해서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적층으로 다수 층을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속 박막의 두께는 보통 0.01 micrometer에서 0.5 micrometer 정도까지 다양한 두께가 가능하다.
또는 금속 박막을 코팅하기 전에 미리 AL203, Si02, Ti02 등의 산화물 박막 내지, Si3N4, TiN, MgF2 등의 투명한 무기물 박막을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 은 미세굴곡부(201)와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금속 박막을 코팅을 한 금속 박막층(301)의 다음에 인쇄층(401)을 형성한 구조가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되어 있다.
인쇄를 통해서 빛샘 방지 기능 등을 할 수 있다.
도 11 은 미세굴곡부(201)과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무기물 박막 코팅을 통한 무기물 박막 코팅층(501)을 형성한 다음 금속 박막을 코팅을 한 금속 박막층(301)의 다음에 인쇄층(401)을 형성한 구조가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되어 있다.
무기물 박막 코팅층은 SiO2, Si3N4, TiN (Titanium Nitride), MgF2, Al2O3, TiO2 등의 금속 산화물이거나 금속 불화물이거나, 금속 질화물 등을 단층 내지 적층으로 코팅을 해서 형성되며, 그 다음에 금속을 코팅을 하거나 잉크로 인쇄를 해서 다양한 색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 는 금속층과 인쇄층을 별도의 필름에 형성을 해서 카바글라스에 부착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카바글라스(100)에 미세굴곡부(201)와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양면 접착필름(OCA)이거나 액상(Liquid)의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층(1202) 으로 PET 등과 같은 필름(1201)이 부착되며, 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금속박막층(301)이 형성이 되며, 또 한 인쇄층(401)이 형성된다.
도 12 의 (a) 는 필름(1202)의 아랫면에 금속박막층(301)이 형성이 된 구조이다.
도 12 의 (b) 는 필름(1202)의 윗면에 금속박막층(301)이 형성이 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카바글라스에 직접 금속 박막을 형성하지 않고 필름에 형성하여 부착함으로서 제조공정을 다양화 할 수 있다.
카바글라스에는 샌드플라스트(Sand Blast) 공법이거나, 플라즈마 에칭(Plasma Etching) 공법이거나, 산(Acid)에 의한 에칭이거나 카바글라스의 데코레이션 부분의 전부 내지 일부에 미세 굴곡을 형성을 하고, 미세굴곡은 빛의 산란효과, 굴절효과 등을 가지게 하며, 금속 박막내지 무기물 박막은 별도의 필름에 형성을 해서 접착층으로 카바글라스에 부착을 하는 구조와 방식인 것이다.
카바글라스의 종류는 유리 이거나 사파이어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는 화학 강화를 한 강화 유리를 사용한다.
이러한 공정과 구조의 분리에 의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3 에는 무기물 박막층과 금속층과 인쇄층을 별도의 필름에 형성을 해서 카바글라스에 부착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카바글라스(100)에 미세굴곡부(201)와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양면 접착필름(OCA)이거나 액상(Liquid)의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층(1202) 으로 PET 등과 같은 필름(1201)이 부착되며, 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무기물 박막층(501)과 금속박막층(301)이 형성이 되며, 또 한 인쇄층(401)이 형성된다.
도 13 의 (a) 는 필름(1202)의 아랫면에 무기물 박막층(501)과 금속박막층(301)이 형성이 된 구조이다.
도 13 의 (b) 는 필름(1202)의 윗면에 무기물 박막층(501)과 금속박막층(301)이 형성이 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카바글라스에 직접 무기물 박막층과 금속 박막을 형성하지 않고 필름에 형성하여 부착함으로서 제조공정을 다양화 할 수 있다.
도 14 에는 미세굴곡부(201)과 경면부(202)가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의 데코레이션 부(102)에 형성이 된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는 데코레이션 부에 형성이 되는 무기물 박막 코팅을 통한 무기물 박막 코팅층(501)을 형성한 다음에 인쇄층(401)을 형성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서 무기물 박막의 단층 내지 적층코팅에 의한 빛의 굴절 효과도 배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로서 미세굴곡층과 금속박막층 내지 무기물 박막층을 카바글라스의 상하의 반대면에 형성을 함으로서 미세굴곡층에 의한 빛 산란 효과 내지 굴절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설명이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 의 (a) 는 카바글라스(100)의 상면 데코레이션 부에 미세굴곡(201) 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대면인 아랫면에 금속코팅층(301)이 형성이 되어 있는 구조이다.
금속 코팅층 외에 무기물 박막 코팅층도 마찬가지이다.
이 구조에서는 글라스에 입사되는 입사광(1501)은 미세굴곡층(201)의 계면(1502)에서 굴절과 산란에 의해 랜덤하게 빛의 경로가 바뀌어서 글라스 내로 입사가 되며(1503) 이 빛은 금속코팅층(301)에서 반사가 되고 다시 미세굴곡층(201)의 계면(1505)에서 빛의 경로가 랜덤하게 바뀌는 산란이 일어나서 다시 반사되는 빛이 한 번 더 산란되는 각도로 확산(1506)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미세굴곡층이 카바글라스의 표면에 있고 금속반사층 내지 무기물 박막 코팅층이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 있는 구조에서는 외부에서 입사되고 다시 반사되는 빛이 미세굴곡층을 두번을 통과하게 되어 미세굴곡층에 의한 빛의 산란 내지 굴절 효과가 배가가 된다.
도 15 의 (b) 는 카바글라스(100)의 아랫면 데코레이션 부에 미세굴곡(201) 이 형성되어 있으며 미세굴곡이 형성이 된 면에 금속코팅층(301)이 형성이 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구조에서는 카바글라스에 입사가 되는 입사광(1501)은 카바글라스의 계면(1501)에서 산란이 일어나지 않고 굴절만 일어나서 입사가 되며(1503), 금속 코팅층(301)이 있는 카바글라스 아랫면의 미세굴곡층(201)의 계면(1508)에서 빛의 경로가 랜덤하게 바뀌면서 반사가 되는 확산 반사가 한번 일어나며(1504) 이에 따라 확산 효과가 나타난다.
도 15의 (b) 에 따라 미세굴곡과 금속 코팅층이 카바글라스의 아랫면에 같이 형성이 되는 구조에서는 빛의 확산이 한번 만 일어나서 확산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도 15 의 (b)와 같이 카바글라스의 전면이 경면인 구조에서는 바깥에서 입사되는 빛이 일정량은 표면에서 반사(1509)가 되어서 금속의 시인성ㅇㄹ 방해한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 실시 례로서 카바글라스의 상면과 아랫면 양 쪽에 미세굴곡을 형성한 구조이다.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에 미세굴곡(1601)이 형성되며, 또 한 아랫면에도 미세굴곡(1602)가 형성되고, 아랫 면에는 금속 박막층(301)이 코팅이 된 구조이다.
이러한 양면의 미세굴곡에 따라 빛의 산란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라 상면의 미세굴곡의 형성 방법과 아랫면의 미세굴곡의 형성 방법을 같은 방법을 사용하거나, 다른 방법을 사용을 해서 산란효과의 조합을 이룰 수 있다.
글라스에 미세굴곡을 형성하는 방법은 샌드블라스트(Sand Blast)공법에 의한 샌딩이나 불산 등의 산(Acid)을 이용한 에칭이나, 이온빔이나 플라즈마에 의한 에칭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샌딩은 빛의 산란에 있어서 거친 표면을 나타내며, 산에 의한 에칭은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표면이 되며 이온빔이나 플라즈마에 의한 에칭에 의한 산란 구조는 마이크로 사이즈 내지 나노 사이즈의 미세한 광 산란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카바글라스의 상면과 아랫면에 같은 방식의 미세굴곡의 형성 방법을 사용하거나 다른 방법의 미세굴곡의 형성 방법을 사용해서 산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코팅층의 금속 박막은 열 증착, e-beam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코팅을 하며 금속의 종류로는 크롬, 알루미늄, 주석, 팔라듐, 몰리브데늄, 구리, 골드, 로듐, 실버, 팔라듐, 백금, 로듐 등의 모든 종류의 금속이나 금속합금이 가능하며, 신뢰성 확보 등을 위해서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적층으로 다수 층을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속 박막의 두께는 보통 0.01 micrometer에서 0.5 micrometer 정도까지 다양한 두께가 가능하다.
또는 금속 박막을 코팅하기 전이나 코팅을 한 다음에 미리 투명한 무기물 박막을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기물 박막층의 무기물의 종류는 AL203, Si02, Ti02 등의 산화물 박막 내지, Si3N4, TiN, MgF2 등의 산화물, 질화물, 불화물 등의 모든 무기물 박막을 포함하며, 단층 내지 적층으로 다수개의 무기물 박막을 코팅하는 적층의 코팅도 가능하다.
또는 카바글라스와 금속면의 사이에 자외선 경화 수지이거나 감광성 수지등의 유기물 코팅을 먼저하고 금속 박막을 코팅할 수도 있다.
이 구조에서는 유가물 코팅층이 투명할 수도 있고 특정의 색상을 혼합해서 금속의 색상과 혼합이 된 색상을 낼 수도 있다.
금속의 종류에 따라 밀착력이 떨어지는 금속에서는 카바글라스와 금속코팅층 사이에 접착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 실시 례로서 카바글라스의 상면에는 미세굴곡을 형성하고 아랫면에는 인쇄 내지 수지(Polymer Resin) 코팅에 의해 산란 구조를형성한 구조이다.
산란 구조라고 함은 빛을 산란을 시켜서 미러(Mirror) 반사(Reflection)를 줄이는 구조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박막층이 산란구조의 아랫 면에 코팅이 되어 있으면 외부의 빛이 반사가 될 때 산란이 되어 거울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구조이다.
카바글라스(100)의 상면에 미세굴곡(1601)이 형성되며, 아랫면에도 데코레이션 부의 일부에 스크린 인쇄등에 의한 수지 (Resin) 산란층(1701)이 형성되며, 산란층의 아랫 면에는 금속 박막층(301)이 코팅이 된 구조이다.
인쇄에 의한 산란층은 인쇄용 잉크에 산란 비드(bead) 등을 혼합해서 빛의 굴절 방향을 바꿔서 산란을 일으키거나 표면을 거칠게 만들어서 산란이 일어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양면에 빛의 산란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에 의해 산란효과를 배가시키면서 금속 박막에 의한 빛의 반사를 줄일 수 있다.
도 18 은 카바글라스와 금속 코팅층 사이에 접착층이 추가로 형성이 된 구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금속에 따라 글라스에 밀착력이 떨어지므로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추가적인 유기물 내지 무기물에 의한 접착층(1801)을 형성한 다음 금속을 코팅을 해서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전면의 보호 덮개로서 강화 유리 (Tempered Glass)를 카바글라스로서 사용하는 경우 외에도 사파이어(Sapphire) 기판이거나 투명한 플라스틱이거나 기타의 투명한 기판을 카바(Cover)로서 사용하는 구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이 된다.
투명한 기판의 상면에는 데코레이션부의 전부 또는 일부에 미세굴곡층을 형성하고 반대면인 아랫면에는 금속 박막층 내지 무기물 박막층 내지 금속박막층과 무기물 박막층의 혼합 구조 내지 유기물 박막층 내지 유기물 박막층과 금속 박막층의 혼합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금속 박막층에 있어서는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금속 박막을 에칭을 해서 금속 박막 도형을 형성해서 금속 박막 도형의 주변은 에칭이되어 각각의 금속 박막도형은 인접한 금속박막도형과는 전기적으로 절연이 되는
또 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기판의 상면인 바깥면에 미세굴곡 구조을 형성하는 것과 반대면에 금속 박막층 내지 무기물 박막층 내지 금속박막층과 무기물 박막층의 혼합 구조 내지 유기물 박막층 내지 유기물 박막층과 금속 박막층의 혼합층을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전자기기의 뒷면 케이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9 에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의 뒷면 케이스의 평면도(a)와 단면도(b)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로서 뒷면 케이스(1901)의 기판(1902)의 바깥면에는 미세굴곡(1903)이 부분적으로 내지 전체적으로 형성이 되며, 반대면에는 금속 박막(1904)이 형성이 되는 구조이다.
또 한 금속은 전체적으로 내지 안테나 주변으로 부분적으로 금속 박막 도형으로 제작이 되어 안테나 신호를 위한 무선 전파의 송수신이 금속에 의해 방해를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뒷면 케이스 재질로서는 인몰드를 통한 필름도 가능하며, 강화유리, 플라스틱 기판 등으이 다양한 소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굴곡과 금속 박막에 의한 구조는 카바 글라스의 전면에 붙이는 보호 필름이나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하는 보호 필름에 직접 점착 층을 형성하거나, 다른 점착 필름을 붙여서 일반적으로 쉽게 붙일 수 있는 보호필름내지 보호글라스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스마트폰의 전면 보호 필름 내지 보호 글라스의 형태는 보 발명에 따른 카바글라스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굴곡과 금속 박막의 구조에 의한 금속 효과와 금속 박막 도형에 의한 터치스크린 내지 통신의 무선 전파 신호의 안테나에 의한 송수신의 방해를 최소화 하는 구조에서, 카바글라스 외에도 필름, 플라스틱, 사파이어 등의 다양한 투명 기판이 사용이 가능하다.
또 한 사용이 되는 전자기기도 스마트폰 내지 스마트워치 내지 태블릿 내지 TV, 모니터, 노트북 등의 다양한 기기에 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카바글라스(100) 디스플레이부(101)
데코레이션 부(102) 스피커 구멍(103)
버튼 구멍(104) 단면 방향(108)
투명 접착층(106) 투명 필름(107)
금속박막층(109) 미세굴곡부(201)
경면부(202) 금속 박막층(301)
인쇄층(401) 무기물 박막 코팅층(501)
마스킹부(601) 금속부(901)
절연부(902) 접착층(1202)
필름(1201) 입사광(1501)
계면(1502) 글라스 내로 입사(1503)
계면(1505) 확산(1506)
계면(1508) 확산 반사(1504)
상면미세굴곡(1601) 아랫면에도 미세굴곡(1602)
수지산란층(1701) 접착층(1801)
뒷면 케이스(1801) 기판(1802)
미세굴곡(1803) 금속 박막(1804)

Claims (15)

  1.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용 외장(Extrnal) 카바( Cover)에 있어서,
    외장 카바의 소재로서 투명기판을 사용하며,
    투명 기판의 바깥면에는 전부 내지 일부에 0.5 마이크로미터에서 5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깊이와 넓이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 굴곡이 정형(Regular) 내지 비정형(Irregular) 의 형태로 형성이 되며,
    투명 기판의 바깥면의 미세굴곡이 형성된 면의 반대 편에는 0.01 마이크로미터에서 1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박막층이 형성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용 외장 카바.
  2. 청구항 1 에 있어서,
    무선 전파 신호는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을 위한 안테나(Anthena)를 통해서 송수신 되는 무선전파 신호 내지,
    정전방식 터치스크린을 동작시키는 무선 전파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용 외장 카바.
  3. 청구항 1 에 있어서,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는 스마트폰(Smart Phone)과 스마트와치(Smart Watch)와 태블릿(Tablet)과 노트북과 TV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용 외장 카바.
  4. 청구항 1 에 있어서,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용 외장(Extrnal) 카바(Cover)에 있어서,
    외장 카바는 디스플레이를 덮는 전면 투명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용 외장 카바.
  5. 청구항 1 에 있어서,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용 외장(Extrnal) 카바( Cover)에 있어서,
    외장 카바의 소재로서 투명기판을 사용하며,
    투명 기판의 바깥면에는 전부 내지 일부에 0.5 마이크로미터에서 5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깊이와 넓이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 굴곡이 정형(Regular) 내지 비정형(Irregular)의 형태로 형성이 되며,
    투명 기판의 바깥면의 미세굴곡이 형성된 면의 반대 편에는 0.01 마이크로미터에서 1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박막층이 형성이 된 것으로서,
    금속 박막층은 투명기판의 미세굴곡이 형성이 된 면의 반대 면에 직접 형성이 되는 것과,
    미세 굴곡이 형성이 된 투명기판 외의 또 다른 투명 기판에 금속 박막층을 형성을 한 다음 미세 굴곡이 형성이 된 투명기판에 접착층을 통해서 금속 박막층이 형성이 된 투명 기판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용 외장 카바.
  6. 청구항 1 에 있어서,
    금속 박막층은 무선 신호의 통신을 위한 구조로서,
    금속부와 절연부로 구성이 된 금속 박막 도형의 형태로 형성이 되거나, 금속 박막이 일정 두께 이하에서의 전기적으로 절연이 되는 구조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용 외장 카바.
  7. 청구항 1 에 있어서,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용 외장(Extrnal) 카바( Cover)에 있어서,
    외장 카바의 소재로서 투명기판을 사용하며,
    투명 기판의 바깥면에는 전부 내지 일부에 0.5 마이크로미터에서 5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깊이와 넓이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 굴곡이 정형(Regular) 내지 비정형(Irregular) 하게 형성이 되며,
    투명 기판의 바깥면의 미세굴곡이 형성된 면의 반대 편에는 0.01 마이크로미터에서 1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박막층이 형성이 된 것으로서,
    금속 박막층과 미세굴곡이 형성이 된 면의 사이에 무기물 박막층이 형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용 외장 카바.
  8. 청구항 1 에 있어서,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용 외장(Extrnal) 카바( Cover)에 있어서,
    외장 카바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덮는 전면에 부착이 되며,
    디스플레이가 나타나는 부분은 투명하며,
    외장 카바의 투명 기판의 바깥 면으로서, 투명한 디스플레이부의 주변의 데코레이션 부분의 전부 내지 일부분에 미세 굴곡이 형성이 되며,
    외장 카바의 투명 기판의 미세굴곡이 형성이 된 면의 반대면으로서 투명한 디스플레이부의 주변의 데코레이션 부분의 전부 내지 일부분에 금속 박막층이 형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용 외장 카바.
  9. 청구항 1 에 있어서,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용 외장(Extrnal) 카바(Cover)에 있어서,
    외장 카바는 전자기기의 뒷면을 덮는 케이스로 부착이 되며,
    외장 카바의 케이스로서의 투명 기판의 바깥 면으로서 전부 내지 일부분에 미세 굴곡이 형성이 되며,
    외장 카바의 투명 기판의 미세굴곡이 형성이 된 면의 반대면으로서 전부 내지 일부분에 금속 박막층이 형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용 외장 카바.
  10. 청구항 1 에 있어서,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용 외장(Extrnal) 카바( Cover)에 있어서,
    외장 카바의 소재로서 투명기판을 사용하며,
    투명 기판의 바깥면에는 전부 내지 일부에 0.5 마이크로미터에서 5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깊이와 넓이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 굴곡이 정형(Regular) 내지 비정형(Irregular) 의 형태로 형성이 되며,
    투명 기판의 바깥면의 미세굴곡이 형성된 면의 반대 편에 추가적인 산란층이 형성되며,
    산란층에 0.01 마이크로미터에서 1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박막층이 형성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용 외장 카바.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투명 기판의 바깥면의 미세굴곡이 형성된 면의 반대 편에 추가적인 산란층이 형성방법으로서,
    샌드블라스트(Sand Blast)공법에 의한 샌딩이나 불산 등의 산(Acid)을 이용한 에칭이나, 이온빔이나 플라즈마에 의한 에칭 내지 수지 (Resin) 산란층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용 외장 카바.
  12.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외장카바로서,
    외장 카바의 소재로서 투명기판을 사용하며,
    투명 기판의 바깥면에는 전부 내지 일부에 0.5 마이크로미터에서 5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깊이와 넓이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 굴곡이 정형(Regular) 내지 비정형(Irregular) 의 형태로 형성이 되며,
    투명 기판의 바깥면의 미세굴곡이 형성된 면의 반대 편에는 0.01 마이크로미터에서 1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박막층이 형성이 된 외장 카바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
  13. 청구항 12 에 있어서,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외장 카바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덮는 전면에 부착이 되며,
    디스플레이가 나타나는 부분은 투명하며,
    외장 카바의 투명 기판의 바깥 면으로서, 투명한 디스플레이부의 주변의 데코레이션 부분의 전부 내지 일부분에 미세 굴곡이 형성이 되며,
    외장 카바의 투명 기판의 미세굴곡이 형성이 된 면의 반대면으로서 투명한 디스플레이부의 주변의 데코레이션 부분의 전부 내지 일부분에 금속 박막층이 형성이 된 전자기기의 전면에 부착되는 카바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
  14. 청구항 12 에 있어서,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외장 카바는 전자기기의 뒷면을 덮는 케이스로 부착이 되며,
    외장 카바의 케이스로서의 투명 기판의 바깥 면으로서 전부 내지 일부분에 미세 굴곡이 형성이 되며,
    외장 카바의 투명 기판의 미세굴곡이 형성이 된 면의 반대면으로서 전부 내지 일부분에 금속 박막층이 형성이 된 전자기기의 뒷면을 덮는 케이스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
  15. 청구항 12 에 있어서,
    금속 박막층은 금속부와 절연부로 구성이 된 금속 박막 도형의 형태로 형성이 되거나, 금속 박막이 일정 두께 이하에서의 전기적으로 절연이 되는 구조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용 외장 카바.

KR1020150019035A 2015-02-07 2015-02-07 전자 기기 카바의 금속 데코레이션 KR20160097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035A KR20160097461A (ko) 2015-02-07 2015-02-07 전자 기기 카바의 금속 데코레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035A KR20160097461A (ko) 2015-02-07 2015-02-07 전자 기기 카바의 금속 데코레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461A true KR20160097461A (ko) 2016-08-18

Family

ID=5687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035A KR20160097461A (ko) 2015-02-07 2015-02-07 전자 기기 카바의 금속 데코레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4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706A1 (ko) * 2018-10-17 2020-04-23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데코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952342B2 (en) 2016-11-22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window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indow pan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2342B2 (en) 2016-11-22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window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indow panel
WO2020080706A1 (ko) * 2018-10-17 2020-04-23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데코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322825B2 (en) 2018-10-17 2022-05-03 Dongwoo Fine-Chem Co., Ltd. Antenna-deco film stack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9331B2 (en) Cover glass for electronic device
US9890074B2 (en) Electronic device, glass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cover
US10330860B2 (en) Cover plate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JP5906572B2 (ja) 表示用前面板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0365689B2 (en) Transparent cover for electronic device
KR101600871B1 (ko) 장식 부착 터치 센서와 그 제조 방법, 및 거기에 사용되는 터치 센서
CN114882799A (zh) 电子设备及其图案化玻璃层
US20170120668A1 (en) Rear case for electronic device
KR20150095449A (ko) 터치센서 및 제조방법
KR20160097461A (ko) 전자 기기 카바의 금속 데코레이션
KR20150049174A (ko) 터치센서
KR20150143286A (ko) 전자기기용 보호케이스
US11413849B2 (en) Transparent member having fine uneven portions and applied to portable device
JP6907778B2 (ja) カバー部材及び情報機器
KR20150114182A (ko) 전자 기기용 카바글라스의 데코레이션 필름
KR101688021B1 (ko) 전자기기용 커버글라스
KR20180023095A (ko) 안테나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금속재질 커버
CN109369033B (zh) 电子设备中玻璃结构的内部涂层
KR20180043429A (ko) 안테나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금속재질 커버
JP2015230510A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用基板、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表示装置
KR20180007634A (ko) 스마트폰 보호유리
JP2014199350A (ja) 表示装置用前面保護板及び表示装置
KR20130002694U (ko) 다기능의 터치 패널
KR20170000302A (ko) 스마트워치 사파이어글라스 카바의 금속 데코레이션
JP2016153963A (ja) 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