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174A - 터치센서 - Google Patents

터치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174A
KR20150049174A KR1020130129390A KR20130129390A KR20150049174A KR 20150049174 A KR20150049174 A KR 20150049174A KR 1020130129390 A KR1020130129390 A KR 1020130129390A KR 20130129390 A KR20130129390 A KR 20130129390A KR 20150049174 A KR20150049174 A KR 20150049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
base substrate
substrate
bezel
tou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범석
이태경
이호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9174A/ko
Priority to JP2014207154A priority patent/JP2015088185A/ja
Priority to US14/512,241 priority patent/US20150116242A1/en
Publication of KR2015004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4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 H05K3/245Reinforcing conductive patterns made by printing techniques or by othe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s, inks or powders; Reinforcing other conductive patterns by such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윈도우기판; 일면은 상기 윈도우기판과 접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면은 제1 전극패턴이 형성된 베이스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베젤; 상기 베젤과 베젤사이를 충진하면서, 상기 전극패턴을 도포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터치센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센서{TOUCH SENSOR}
본 발명은 터치센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센서(Touch screen)이 개발되었다.
터치센서는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터치센서의 종류는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센서은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전자제품에 채용되는데, 현재 가장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저항막방식 터치센서과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이다.
이러한 터치센서은 통상 터치센서 구조의 최외곽에 구비되는 윈도우 글라스(window glass)에 전극 배선을 가리거나 장식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 블랙 또는 화이트 등의 색을 갖는 베젤이 형성된다.
베젤이 형성되는 종래 터치센서의 구체적인 일 예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4226호에 개시된 터치센서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종래 터치센서는 윈도우기판의 파손시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지 못하거나, 다양한 디자인 형상 및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422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윈도우기판에 파손시 흩어지지 않는 베이스기판을 접합함으로써, 윈도우기판의 파손시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는 터치센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베이스기판의 표면에 기능성 층을 형성함으로써, 베이스기판의 표면에 도트/헤어라인(Dot/Hair Line) 등의 디자인 형상 및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터치센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윈도우기판; 일면은 상기 윈도우기판과 접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면은 제1 전극패턴이 형성된 베이스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베젤;상기 베젤과 베젤사이를 충진하면서, 상기 전극패턴을 도포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터치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상기 베이스기판과 베젤 사이에 형성되고, 색 및 재질을 표현하는 기능성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상기 기능성 층은 UV 코팅, 멀티 증착 공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상기 베이스기판에서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높이가 75㎛ 이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상기 절연층의 재질은 아크릴(acryl)계, 우레탄(urethane)계, 실리콘(silicone)계,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에폭시(epoxy)계, 비닐알킬에테르(vinyl alkyl ether)계, SiOx 및 SiNx의 재질 중 하나이상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상기 윈도우기판과 베이스기판을 접착하는 물질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일면은 상기 윈도우기판과 접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면은 전극패턴이 형성된 베이스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베젤을 포함하는 터치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상기 베이스기판과 베젤 사이에 형성되고, 색 및 재질을 표현하는 기능성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상기 전극패턴은 제1 전극패턴과 제2 전극패턴으로 기능성 층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상기 기능성 층은 UV 코팅, 멀티 증착 공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상기 베이스기판에서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높이는 75㎛ 이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상기 윈도우기판과 베이스기판을 접착하는 물질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제조방법은, a) 윈도우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b) 베이스기판의 표면에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기능성 층에 전극패턴과 베젤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윈도우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제조방법은, c) 단계에서, c1) 상기 전극패턴은 제1 전극패턴과 절연층 및 제2 전극패턴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제조방법은 b) 단계에서, b1) 기능성 층은 상기 베이스기판의 표면에 색 및 재질을 표현하기 위하여 유브이코팅 및 멀티증착 공정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우기판에 파손시 흩어지지 않는 베이스기판을 접합함으로써, 인쇄오류 시 윈도우기판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베이스기판만 폐기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윈도우기판에 파손시 흩어지지 않는 베이스기판을 접합함으로써, 윈도우기판의 파손시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윈도우기판에 파손시 흩어지지 않는 베이스기판을 접합함으로써, 윈도우기판의 파손시 전극패턴이 파손되지 않는 터치센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윈도우기판에 파손시 흩어지지 않는 베이스기판을 접합함으로써, 인쇄불량에 대하여 베이스기판만 폐기하여 윈도우기판의 폐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윈도우기판에 파손시 흩어지지 않는 베이스기판을 접합함으로써, 윈도우기판의 파손시 전극패턴이 파손되지 않아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 터치센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기판의 표면에 기능성 층을 형성함으로써, 도트/헤어라인(Dot/Hair Line) 등의 디자인 형상 및 다양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한 터치센서롤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대한 터치센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전극패턴의 평면도, 및
도 5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터치’라는 용어는 접촉 수용면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접촉 수용 면으로부터 입력수단이 상당한 거리만큼 근접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대한 터치센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전극패턴의 평면도, 및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공정도이다.
도면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1)는, 윈도우기판; 일면은 윈도우기판과 접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면은 제1 전극패턴이 형성된 베이스기판; 베이스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베젤; 베젤과 베젤사이를 충진하면서, 전극패턴을 도포하는 절연층 및 절연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패턴을 포함한다.
도면 1,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윈도우기판(200)은 터치센서(1)의 최 외곽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방향에 형성되며, 소정 강도 이상의 강화유리등을 사용함으로써 터치센서(1)를 보호하는 보호층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윈도우기판(200)에 파손시 흩어지지않는 베이스기판(100)을 필름형태로 접합하는 공정을 제시하고, 베이스기판(100)의 표면에 기능성 층(180)을 형성하여, 제품의 생산효율을 개선함과 동시에 제품의 디자인 및 색상을 다양화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켜 줄 수 있다. 윈도우기판(200)은 베이스기판(100)과 접하여 형성된다. 이때, 윈도우기판(200)과 베이스기판(100)을 접착하는 접착제(13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학투명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양면접착테이프(Double Adhesive Tape, DAT)나 기타 투명 절연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베이스기판(100)은 윈도우기판(200)과 일면이 접합 되어 형성된다. 베이스기판(100)의 일면은 윈도우기판(200)과 접하고, 타면은 기능성 층(180)이 표면에 형성된다. 베이스기판(100)은 기능성 층(180)의 디자인 형상 및 색이 외부로 표현되도록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베이스기판(100)의 재질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베이스기판(100)은 윈도우기판(200)이 파손시에 외부로 흩어지지 않도록 한다. 즉, 윈도우기판(200)이 파손으로 인하여 파편조각이 흩어져서, 파편으로 인한 사용자의 피해 및 손실을 방지한다.
베이스기판(100)은 전극패턴(120) 및 전극배선(미도시)이 형성될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베이스기판(100)은 활성 영역(111)과 비활성 영역(112)으로 구획되는데, 활성 영역(111)은 입력수단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전극패턴(120)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베이스기판(100)의 중심에 구비되고, 비활성 영역(112)은 전극패턴(120)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극배선(미도시)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활성 영역(111)의 테두리에 구비된다. 이때, 베이스기판(100)은 전극패턴(120)과 전극배선(미도시)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과 화상표시장치(미도시)에서 제공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성을 갖추어야 한다.
베이스기판(100)은 전술한 지지력과 투명성을 고려할 때, 베이스기판(10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기판(100)의 타측 표면은 유브이코팅(uv coating), 멀티코팅(multi coating) 등을 이용하여 기능성 층(180)이 형성된다.
기능성 층(180)은 베이스기판(100)의 타측 표면에 형성된다. 기능성 층(180)은 베이스기판(200)의 표면에 형성되고, 전극패턴(120)과 베젤(140)이 베이스기판(20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기능성 층(180)은 유브이코팅(uv coating), 멀티코팅(multi coating) 등의 공정을 이용하여 다양한 디자인 형상 및 색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페블블루(헤어라인,금속느낌)와 이트 프로스트나 블랙 미스트(격자형,펄느낌) 등과 같은 디자인 형상 및 색을 표현할 수 있다.
기능성 층(180)에 베젤(140)과 전극패턴(120)을 형성하면 원가 및 투과성, 수율 모두 개선할 수 있다. 이는, 기존 PET위에 sensor를 올릴 경우 제조 공정상 핸들링 등의 이유로 100um대의 PET를 사용하고 있다. 윈도우기판과 부착을 위해 별도의 접착제(OCA:정도의 두께가) 등을 75um의 두께가 적용되고 있다. 즉, 윈도우 기판에 PET과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공정상 핸들링을 고려하여 175um 정도의 두께가 소요되는 반면, 본 발명의 베이스기판(100)에 기능성 층(180)이 일체로 형성하면 75u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고, 접착제를 75um를 고려하여도 150um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대비 두께 25um를 적게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능성 층(180)은 활성영역(111)과 비활성영역(112)이 서로 다른 기능성 층으로 구획되어 사용할 수 있다. 활성영역(111)의 주기능은 윈도우기판(200) 상에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비활성영역(112)의 주기능은 전극패턴(1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배선(미도시)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차폐기능을 주로 수행한다. 따라서, 기능성 층(160)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각각 충족시키도록 구획(나뉘어)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기능성 층(180)은 베이스기판(100)의 테두리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기능성 층(180)은 베이스기판(100)과 베젤(140) 사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2 를 참조하면, 베젤(140)은 베이스기판(100)의 비활성 영역(112)에 형성된다. 베젤(140)은 베이스기판(10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고, 기능성 층(180)의 표면에 형성된다. 베젤(140)은 윈도우기판(200)의 비활성 영역(112)에서 전극배선의 일측을 가리거나 장식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베젤(140)은 필요에 따라 제조사의 로고와 같은 장식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전극패턴(120)은 입력수단인 터치 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에서 터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베이스기판(100)의 X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패턴을 제1 전극패턴(122)으로 명명하고, 베이스기판(100)의 Y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패턴을 제2 전극패턴(124)으로 명명한다.
도1 을 참조하면, 제1 전극패턴(122)은 기능성 층(180)에 형성된다. 제2 전극패턴(124)은 후술할 절연층(160)에 형성된다.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은 일방향의 바패턴과 직교하는 바패턴을 서로 다른 층에 각각 형성한다.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은 서로 다른 층을 결합하여 뮤추얼(Mutual type)방식의 터치센서로 터치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은 도금 공정이나 스퍼터(Sputter)를 이용한 증착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은 은염(銀鹽) 유제층을 노광/현상하여 형성된 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도성을 갖는 금속으로 메쉬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물질이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은 마름모형 패턴, 사각형 패턴, 삼각형 패턴, 원형 패턴 등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60)은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사이에 형성된다. 절연층(160)은 제1 전극패턴(122)을 도포하도록 형성된다. 절연층(160)은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시켜 준다. 절연층(160)의 표면에는 제2 전극패턴(124)이 형성된다. 절연층(160)의 재질은 아크릴(acryl)계, 우레탄(urethane)계, 실리콘(silicone)계,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에폭시(epoxy)계, 비닐알킬에테르(vinyl alkyl ether)계,SiOx 및 SiNx 등의 박막 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절연층(160)은 베젤(140) 높이와 동일높이로 형성된다. 이는, 제2 전극패턴(124)이 수평으로 형성하면서, 전극배선의 단차를 줄이기 위함이다. 절연층(160)은 베젤(140)과 베젤(140) 사이를 충진 한다. 이때, 절연층(160)은 베젤(140)의 높이까지 도포하여 수평을 형성한다. 절연층(160)은 프린팅(Printing), CVD(Chemical Vape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스핀코팅, 슬럿다이, 라미네이션 등을 통해서 유기 절연막 또는 무기 절연막으로 형성된다.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터치센서는, 제일실시예의 동일구성요소인 윈도우기판(200), 베이스기판(100), 기능성 층(180) 및 절연층(160)의 구조 및 재질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전극패턴(120)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1)는, 윈도우기판; 일면은 윈도우기판과 접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면은 전극패턴이 형성된 베이스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베젤층을 포함한다.
베이스기판(100)상에 X축 방향의 제1 전극패턴(122)과 제1 전극패턴(122)에 교차되는 Y축 방향의 제2 전극패턴(124)이 형성될 수 있다. 기능성 층(180)의 일면에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이 교차되어 형성되기 위해,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이 교차되는 부분에는 어느 하나의 전극패턴(120)상에 절연패턴(I)이 형성되고, 절연패턴(I)상에 다른 전극패턴(120)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교차되는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도 4를 참조). 교차되는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의 교차각은 수직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교차각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차원 평면에서의 좌표를 추출하기 위해 X축과 Y축의 좌표가 나올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교차 된다.
전극패턴(120)은 금속세선으로 형성되는 메쉬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그 메쉬패턴을 이루는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다이아몬드형 등 다각형 형상을 포함하며, 특별한 형상에 한정을 두는 것은 아니다. 전극패턴(120)은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메시패턴(Mesh Pattern)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극패턴(120)의 형성방법은 건식 공정, 습식 공정 또는 다이렉트(direct) 패터닝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건식공정은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Evaporation) 등을 포함하고, 습식 공정은 딥 코팅(Dip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등을 포함하며, 다이렉트 패터닝 공정은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 등을 포함한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공정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1)의 공정방법은,a) 윈도우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b) 베이스기판의 표면에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기능성 층에 전극패턴과 베젤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윈도우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a)단계는, 윈도우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윈도우기판(200)은 터치센서(1)의 최 외곽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방향에 형성되며, 소정 강도 이상의 강화유리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터치센서(1)를 보호한다. 윈도우기판(200)은 베이스기판(100)의 일면에 접착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윈도우기판(200)과 별도의 공간에서 베이스기판(100)을 준비한다. b)단계는, 베이스기판(100)의 표면에 기능성 층(18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베이스기판(100)의 타면에 유브이코팅 및 멀티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기능성 층(180)을 형성한다. 유브이 증착과 멀티증착 공정을 진행해서 표면에 색 및 재질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트/헤어라인(Dot/Hair Line) 등의 디자인을 형성한다. 베이스기판(100)은 윈도우기판(200)의 파손시 흩어지지않도록 한다. 윈도우기판(200)의 파손시에 파편이 흩어지면서 사용자가 다치는 경우를 예방한다. 더욱이 윈도우기판(200)의 파손시에 파편으로 전기적 단선을 막아 준다.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c)단계는, 상기 기능성 층(180)에 전극패턴(120)과 베젤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기능성 층(180)의 표면에 제1 전극패턴(122)과 베젤층(140)이 형성된다. 베젤(140)과 베젤(140)사이를 충진하는 절연층(160)이 형성된다. 즉 제1 전극패턴(122), 절연층(160) 및 제2 전극패턴(12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절연층(160)은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이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절연층(160)은 제2 전극패턴(124)이 제1 전극패턴(122)에 대하여 수직형태로 형성된다. 절연층(160)을 프린팅(Printing), CVD(Chemical Vape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스핀코팅, 슬럿다이 등을 이용하여 베젤(140)과 베젤(140) 사이를 충진 한다. 충진된 절연층(160)은 유기 절연막 또는 무기 절연막으로 형성된다. 이때, 절연층은 베젤(140)의 높이까지 충진한다.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f)단계는, 상기 윈도우기판(200)과 상기 베이스기판(100)의 일면을 접착하는 단계이다. 베이스기판(100)과 윈도우기판(200)을 접착한다. 이때, 접착제(130)는 투명재질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광학투명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양면접착테이프(Double Adhesive Tape, DAT)나 기타 투명 절연재료 등을 사용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터치센서 100: 베이스기판
111: 활성영역 112: 비활성영역
120: 전극패턴 130: 접착제
140: 베젤 160: 절연층
180: 기능성 층 200: 윈도우 기판

Claims (15)

  1. 윈도우기판;
    일면은 상기 윈도우기판과 접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면은 제1 전극패턴이 형성된 베이스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베젤;
    상기 베젤과 베젤사이를 충진하면서, 상기 전극패턴을 도포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기판과 베젤 사이에 형성되고, 색 및 재질을 표현하는 기능성 층을 구비하는 터치센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층은 유브이코팅, 멀티 증착 공정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기판에서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높이가 75㎛ 이하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재질은 아크릴(acryl)계, 우레탄(urethane)계, 실리콘(silicone)계,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에폭시(epoxy)계, 비닐알킬에테르(vinyl alkyl ether)계, SiOx 및 SiNx의 재질 중 하나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기판과 베이스기판을 접착하는 물질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사용하는 터치센서 모듈.
    로 구성되는 터치센서.
  7. 윈도우기판;
    일면은 상기 윈도우기판과 접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면은 전극패턴이 형성된 베이스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베젤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기판과 베젤 사이에 형성되고, 색 및 재질을 표현하는 기능성 층을 구비하는 터치센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턴은 제1 전극패턴과 제2 전극패턴으로 기능성 층에 형성되는 터치센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층은 유브이코팅, 멀티 증착 공정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기판에서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높이는 75㎛ 이하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기판과 베이스기판을 접착하는 물질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사용하는 터치센서.
  13. a) 윈도우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b) 베이스기판의 표면에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기능성 층에 전극패턴과 베젤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윈도우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센서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c) 단계에서,
    c1) 상기 전극패턴은 제1 전극패턴과 절연층 및 제2 전극패턴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b) 단계에서,
    b1) 기능성 층은 상기 베이스기판의 표면에 색 및 재질을 표현하기 위하여 유브이코팅 및 멀티증착 공정을 진행하는 터치센서의 제조방법.
KR1020130129390A 2013-10-29 2013-10-29 터치센서 KR20150049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390A KR20150049174A (ko) 2013-10-29 2013-10-29 터치센서
JP2014207154A JP2015088185A (ja) 2013-10-29 2014-10-08 タッチセンサ
US14/512,241 US20150116242A1 (en) 2013-10-29 2014-10-10 Touch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390A KR20150049174A (ko) 2013-10-29 2013-10-29 터치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174A true KR20150049174A (ko) 2015-05-08

Family

ID=5299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390A KR20150049174A (ko) 2013-10-29 2013-10-29 터치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16242A1 (ko)
JP (1) JP2015088185A (ko)
KR (1) KR201500491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6051B2 (ja) 2009-04-20 2013-12-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情報入力装置、表示装置
JP7174630B2 (ja) * 2016-04-13 2022-11-17 タクトテク オーユー 埋め込まれた多層電子機器を有する多層構造体
KR101965871B1 (ko) * 2016-08-17 2019-04-05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포스-터치 패널, 이를 갖는 포스-터치 감지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1609887B (zh) * 2020-05-29 2021-07-13 上海交通大学 一种柔性聚合物封闭膜仿生纤毛微传感器及其制备方法
WO2022027575A1 (en) * 2020-08-07 2022-02-1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310A (ko) * 2011-01-13 2012-07-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US8890824B2 (en) * 2012-02-07 2014-11-18 Atmel Corporation Connecting conductive layers using in-mould lamination and decoration
CN103896242A (zh) * 2012-12-28 2014-07-02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提高碳纳米管膜异向性的方法
US20140338191A1 (en) * 2013-05-15 2014-11-20 Uni-Pixel Display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grated touch sensor with decorative color graphics
JP5964273B2 (ja) * 2013-05-27 2016-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88185A (ja) 2015-05-07
US20150116242A1 (en)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05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328368B1 (ko) 입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1681B1 (ko) 터치패널
KR20150095449A (ko) 터치센서 및 제조방법
US20140333555A1 (en) Touch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242540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119355B1 (ko) 터치패널
TW201514820A (zh) 靜電電容型曲面形狀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KR20150007107A (ko) 터치센서
KR20150087613A (ko) 터치센서
KR20140030727A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5908A (ko) 터치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1803A (ko) 터치패널
KR20150049174A (ko) 터치센서
US20130278521A1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119762A (ko) 터치패널
KR20140125932A (ko) 인쇄층 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
KR101077424B1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TW201530386A (zh) 觸控感應元件
US20140158507A1 (en) Touch panel
US20150049259A1 (en) Touch sensor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043081A1 (en) Multi-function touch panel
US20140184953A1 (en) Touch panel
US9383842B2 (en) Touch sensor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56464A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