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004A -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 Google Patents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004A
KR20160097004A KR1020150018779A KR20150018779A KR20160097004A KR 20160097004 A KR20160097004 A KR 20160097004A KR 1020150018779 A KR1020150018779 A KR 1020150018779A KR 20150018779 A KR20150018779 A KR 20150018779A KR 20160097004 A KR20160097004 A KR 20160097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user
weight
tim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승완
박소라
Original Assignee
고승완
박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승완, 박소라 filed Critical 고승완
Priority to KR1020150018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7004A/ko
Publication of KR20160097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착석 자세가 올바르지 않거나 장시간 착석시 이를 인지시켜 자세교정과 스트래칭을 유도하여 방석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방석에 있어서, 방석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진동을 발생시키는지하는 무게감지부, 진동부와 무게감지부를 이동단말기이동단말기주는 통신부, 상기 방석을 작동시키는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석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부, 진동부와 무게감지부를 이동단말기와 연결해주는 통신부, 상기 방석을 작동시키는 전원부로 구성함으로써, 현대인들의 생활습관을 바꿔주는 다기능 방석으로서 자세를 바로잡아 건강증진을 돕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A cushion that corrects the sitting habit of modern people}
본 발명은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석에 있어서, 방석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부, 진동부와 무게감지부를 이동단말기와 연결해주는 통신부, 상기 방석을 작동시키는 전원부로 구성하여서, 사용자의 착석 자세가 올바르지 않거나 장시간 착석시 이를 인지시켜 자세교정과 스트래칭을 유도하여 방석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석은 의자에 둔부가 위치하는 곳에 설치하며, 사용자의 둔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같은 방석은, 심체를 구성하는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 외부를 감싸는 외피와, 상기 외피를 감싸 장식하는 커버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바와같은 방석은 쿠션부가 넣어진 외피를 커버부를 씌운 후 방바닥 또는 의자, 소파 등에 깔아 비치한 후 사용자가 앉을 때 차가움과 딱딱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석은 상요자의 둔부를 보호하는 기능 이외의 그 기능성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혹 둔부를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진동을 통한 안마기능이나, 발열기능으로써 건강을 위한 보조기구로서의 역할에 국한되어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방석과 같이 건강을 위한 보조기구로서의 역할을 하나 그 의미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진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부여하여 잘못된 앉기습관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과정으로는, 진동 및 지정된 알림를 통한 알람으로써 사용자에게 일어나 스트레칭을 유도 하며,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로 앉아있을 시 무게감지부를 통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3254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석의 둔부를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는 그 기능성이 한정되는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방석에 있어서, 방석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부, 진동부와 무게감지부를 이동단말기와 연결해주는 통신부, 상기 방석을 작동시키는 전원부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석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부, 진동부와 무게감지부를 이동단말기와 연결해주는 통신부, 상기 방석을 작동시키는 전원부로 구성함으로써, 현대인들의 생활습관을 바꿔주는 다기능 방석으로서 자세를 바로잡아 건강증진을 돕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다기능방석의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이동단말기의 구성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다기능방석과 이동단말기를 나타낸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다기능방석과 이동단말기를 연동된 자세교정 방법과 스트래칭유도를 설명하기위한 동작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중감지를 통하여 자세교정과 장시간 착석시 스트래칭을 유도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방석(100)에 있어서, 방석(100)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110),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부(120), 진동부(110)와 무게감지부(120)를 이동단말기와 연결해주는 통신부(130), 상기 방석(100)을 작동시키는 전원공급부(170) 및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진동부(110)는 진동모터와 진동웨이트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무게감지부(120)는 스트레인게이지로 구성되는 것이다. 스트레인게이지는 물체가 외력으로 변형될 때 등에 변형을 측정하는 측정기를 말하며, 물체에 부착시켜 측정한다. 합금선은 인장방향의 변형을 받으면 길이가 증가하여 단면적이 감소되어 전기저항이 증가하며, 그 증가분을 측정한다. 저항측정은 원리적으로는 전기저항 측정기(Wheatstone Bridge)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로 선택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170)는 내부에 구비되는 일차전지와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또는 외부에서 A/C전원으로 선택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로 앉아있을 시 무게감지부(120)를 통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둔부에 안마가 필요할경우 진동부(110)를 통해 안마를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통신부(130)를 통하여 사용자가 진동을 무시 할 경우에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이동단말기(300)로 지정된 알림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100)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방석(100) 착석을 감지하는 착석감지과정(410)과 방석(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착석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과정(420), 상기 시간측정과정(420)에 따라 착석시간 경과 알려주는 제1차알림과정(430) 및 제1차알림과정(430)에 사용자가 대응 행동을 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게 제차 경고하는 제2차알림과정(44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착석감지과정(410)은 사용자의 둔부가 착석할경우 방석(100) 내부에 구비된 무게감지부(120)를 통하여 무게를 감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간측정과정(420)은 방석(100)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150)가 싱기 착석감지과정(410)을 통하여 무게가 감지되어 착석이 시작된 시간을 측정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1제차알람과정(430)은 상기 시간측정과정(420)을 통하여 감지된 사용자가 설정시간 이상 착석시 방석(100) 내부에 구비된 진동부(110) 또는 알람부(15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착석제한시간 경과를 알려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차알람과정(440)은 상기 제1차알람과정(430)에서 지정된 시간동안 알람이 지속될경우 사용자의 인지도를 높이고 경고할 수 있게 통신부(130)를 통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하여서 문자 또는 소리로 사용자에 알려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석(100)에 있어서, 방석(100)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110),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부(120), 진동부(110)와 무게감지부(120)를 이동단말기(300)와 연결해주는 통신부(130), 상기 방석(100)을 작동시키는 전원공급부(170)로 구성한 본 발명이 적용된 방석(100)을 사용하게 되면, 장시간 착석할 경우와 장시간 사용자의 잘못된 자세로 인하여 무게가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을 경우, 진동과 지정된 알림을 전송하여 장시간 착석을 통한 건강문제와 잘못된 자세를 교정해 주는 기능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착석감지과정(410)과 시간측정과정(420), 제1차알림과정(430), 제2차알림과정(44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착석감지과정(410)을 통하여 사용자의 둔부가 착석할경우 방석(100) 내부에 구비된 무게감지부(120)를 통하여 무게를 감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간측정과정(420)을 통하여 방석(100)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150)가 상기 착석감지과정(410)을 통하여 무게가 감지되어 착석이 시작된 시간을 측정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1제차알람과정(430)은 상기 시간측정과정(420)을 통하여 감지된 사용자가 설정시간 이상 착석시 방석(100) 내부에 구비된 진동부(110) 또는 알람부(15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착석제한시간 경과를 알려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차알람과정(440)은 상기 제1차알람과정(430)에서 지정된 시간동안 알람이 지속될경우 사용자의 인지도를 높이고 경고할 수 있게 통신부(130)를 통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하여서 문자 또는 소리로 사용자에 알려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0 : 방석
110 : 진동부
120 : 무게감지부
130 : 통신부
140 : 센서부
150 : 제어부
160 : 알람부
170 : 전원공급부
300 : 이동단말기
310 : 이동단말기제어부
320 : 이동단말기입력부
330 : 이동단말기통신부
340 : 이동단말기출력부
350 : 이동단말기메모리부
360 : 이동단말기인터페이스부
370 : 이동단말기전원부
410 : 착석감지과정
420 : 시간측정과정
430 : 제1차알림과정
440 : 제2차알림과정

Claims (9)

  1. 방석에 있어서;
    방석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부, 진동부와 무게감지부를 이동단말기와 연결해주는 통신부, 상기 방석(100)을 작동시키는 전원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진동모터와 진동웨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감지부는 스트레인게이지로 구성되는 것이다. 스트레인게이지는 물체가 외력으로 변형될 때 등에 변형을 측정하는 측정기를 말하며, 물체에 부착시켜 측정한다. 합금선은 인장방향의 변형을 받으면 길이가 증가하여 단면적이 감소되어 전기저항이 증가하며, 그 증가분을 측정한다. 저항측정은 원리적으로는 전기저항 측정기(Wheatstone Bridge)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로 선택구성되고, 상기 전원부는 내부에 구비되는 일차전지와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또는 외부에서 A/C전원으로 선택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로 앉아있을 시 무게감지부를 통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으로 하는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6. 제 1 항에 있어서;
    둔부에 안마가 필요할경우 진동부를 통해 안마를 수행하게 하는 특징으로 하는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
  7.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진동을 무시 할 경우에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이동단말기로 지정된 알림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특징으로 하는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8.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방석 착석을 감지하는 착석감지과정과 방석에 착석한 사용자의 착석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과정, 상기 시간측정과정에 따라 착석시간 경과 알려주는 제1차알림과정 및 제1차알림과정에 사용자가 대응 행동을 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게 제차 경고하는 제2차알림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착석감지과정은 사용자의 둔부가 착석할경우 방석 내부에 구비된 무게감지부를 통하여 무게를 감지하게 이루어지고,
    시간측정과정은 방석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가 싱기 착석감지과정을 통하여 무게가 감지되어 착석이 시작된 시간을 측정 하게 이루어지며,
    1제차알람과정은 상기 시간측정과정을 통하여 감지된 사용자가 설정시간 이상 착석시 방석 내부에 구비된 진동부 또는 알람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착석제한시간 경과를 알려 주는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지며,
    제2차알람과정은 상기 제1차알람과정에서 지정된 시간동안 알람이 지속될경우 사용자의 인지도를 높이고 경고할 수 있게 통신부를 통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하여서 문자 또는 소리로 사용자에 알려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의 제어방법.
KR1020150018779A 2015-02-06 2015-02-06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KR20160097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779A KR20160097004A (ko) 2015-02-06 2015-02-06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779A KR20160097004A (ko) 2015-02-06 2015-02-06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004A true KR20160097004A (ko) 2016-08-17

Family

ID=5687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779A KR20160097004A (ko) 2015-02-06 2015-02-06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0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4062A (zh) * 2018-06-20 2018-11-16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多功能坐具和多功能坐具系统
KR102072561B1 (ko) * 2019-06-26 2020-03-02 신중섭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5336880A (zh) * 2022-08-23 2022-11-15 慕思健康睡眠股份有限公司 基于智能床垫的按摩方法及相关产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541A (ko) 2013-05-08 2014-11-18 정용준 거북목증후군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541A (ko) 2013-05-08 2014-11-18 정용준 거북목증후군 교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4062A (zh) * 2018-06-20 2018-11-16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多功能坐具和多功能坐具系统
KR102072561B1 (ko) * 2019-06-26 2020-03-02 신중섭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20262839A1 (ko) * 2019-06-26 2020-12-30 신중섭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5336880A (zh) * 2022-08-23 2022-11-15 慕思健康睡眠股份有限公司 基于智能床垫的按摩方法及相关产品
CN115336880B (zh) * 2022-08-23 2024-04-30 慕思健康睡眠股份有限公司 基于智能床垫的按摩方法及相关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2223B2 (en) Seat assembly and method
JP6262853B2 (ja) 車両座席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及び車両座席を調節するためのシステム
EP27895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a mattress
WO2017166235A1 (zh) 一种坐姿矫正座椅、系统及方法
KR102537565B1 (ko) 목 또는 어깨 위치에 따른 안마의자 초기위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안마의자
KR20160097004A (ko)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교정해주는 방석
JP6358567B2 (ja) 静電センサを用いたシートヒータ制御装置
US20100064443A1 (en) Structure of automatic pressure adjustable air bed
KR102082510B1 (ko) 앉은 자세를 측정 및 평가하여 피드백하는 방법 및 장치
JP6695743B2 (ja) マッサージ機
US20160022047A1 (en) Chair having a reminder function
KR101145647B1 (ko) 자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89646A (ko) 기능성 의자
JP3194304U (ja) リマインダー機能を有する椅子
US10793024B2 (en) Seat and seat control system
JP2016192998A (ja) 報知装置
KR20170069423A (ko) 낙상경보기능 휠체어
JP2019168443A (ja) 便座装置
JP3731475B2 (ja) シートの着座検出装置
KR20160097942A (ko) 사용자 어깨 위치 정밀 검출 안마의자
GB2529660A (en) Chair having a reminder function
JP7432839B2 (ja) シート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138330A (ko) 힙 보정용 방석
JP2022054853A (ja) シート体験システム
KR20090060487A (ko) 자세교정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