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631A -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631A
KR20160096631A KR1020167017361A KR20167017361A KR20160096631A KR 20160096631 A KR20160096631 A KR 20160096631A KR 1020167017361 A KR1020167017361 A KR 1020167017361A KR 20167017361 A KR20167017361 A KR 20167017361A KR 20160096631 A KR20160096631 A KR 20160096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resin
group
parts
resin composition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879B1 (ko
Inventor
요이치로 사카키
에리코 기다
Original Assignee
수미카 스타이론 폴리카보네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카 스타이론 폴리카보네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미카 스타이론 폴리카보네이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96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7Cyclic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5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와, 화학식 (1): HO(C4H8O)m(C3H6O)nH(식 중,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4 내지 60의 정수를 나타내고, m+n은 20 내지 90의 정수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양이,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0중량부이고, 상기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0중량부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해당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광학용 성형품.

Description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품{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MOLDED ARTICLE}
본 개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면상 광원 장치에는, 도광판이 구비되어 있다.
도광판의 재료로서, 종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하, PMMA라고 함)가 사용되어 왔지만, 내열성이 높고, 또한 기계적 강도도 높다는 점에서, PMMA로부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로의 치환이 진행되고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PMMA와 비교하여,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 전기적 성질에는 우수하지만, 광선 투과율이 약간 떨어진다. 따라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제의 도광판을 사용한 면상 광원 장치는, PMMA제의 도광판을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휘도(輝度)가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내지 6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PMMA와 동등 이상의 광선 투과율을 얻고, 도광판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와 다른 재료를 병용한 수지 조성물이 각종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내지 6에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최근의 도광판의 재료로서의 요구를 충분히 충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10-05571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09-0208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11-15836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1533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51700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1/083635호 공보
본 개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가 원래 갖는 내열성,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고, 광선 투과율이 높고, 게다가 고온에서 성형 가공한 경우에도 광선 투과율이 우수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해당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휘도가 높고, 황색도가 작고 색상이 우수하고, 게다가 고온에서 성형 가공한 경우에도 휘도 및 색상이 우수한 광학용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와,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4 내지 60의 정수를 나타내고, m+n은 20 내지 90의 정수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양이,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0중량부이고,
상기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0중량부인
것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광학용 성형품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와,
화학식 (1):
Figure pct00002
(식 중,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4 내지 60의 정수를 나타내고, m+n은 20 내지 90의 정수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양이,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0중량부이고,
상기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0중량부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을 성형한 것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가 원래 갖는 내열성,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고, 광선 투과율이 높고, 게다가 고온에서 성형 가공한 경우에도 광선 투과율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광학용 성형품은, 해당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휘도가 높고, 황색도가 작고 색상이 우수하고, 게다가 고온에서 성형 가공한 경우에도 휘도 및 색상이 우수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두께 0.3mm 정도의 박형의 도광판이어도, 색상이 변화하여 외관이 저하되는 일이나, 고온 성형을 거쳐서 수지 자체가 열화되는 일이 적고, 공업적 이용 가치가 극히 높다.
이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필요 이상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미 잘 알려져진 사항의 상세 설명이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이하의 설명이 불필요하게 장황해지는 것을 피하고, 당업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발명자들은, 당업자가 본 개시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의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들에 의해 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실시 형태 1에 관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와,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를 함유한 것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는, 여러 가지 디히드록시디아릴 화합물과 포스겐을 반응시키는 포스겐법, 또는 디히드록시디아릴 화합물과 디페닐카르보네이트 등의 탄산에스테르를 반응시키는 에스테르 교환법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이다. 대표예로서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로부터 제조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디히드록시 디아릴 화합물로서는, 비스페놀 A 이외에, 예를 들어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옥탄, 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3-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3-제3부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등의 비스(히드록시아릴)알칸류;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펜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등의 비스(히드록시아릴)시클로알칸류; 4,4'-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4,4'-디히드록시-3,3'-디메틸디페닐에테르 등의 디히드록시디아릴에테르류;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피드 등의 디히드록시디아릴술피드류;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폭시드, 4,4'-디히드록시-3,3'-디메틸디페닐술폭시드 등의 디히드록시디아릴술폭시드류;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4,4'-디히드록시-3,3'-디메틸디페닐술폰 등의 디히드록시디아릴술폰류를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된다. 이들 외에도, 피페라진, 디피페리딜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신, 4,4'-디히드록시디페닐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히드록시디아릴 화합물과,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3가 이상의 페놀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3가 이상의 페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플로로글루신,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텐, 2,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졸,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및 2,2-비스-[4,4-(4,4'-디히드록시디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0000 내지 100000, 나아가 12000 내지 3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를 제조할 때에는, 분자량 조절제, 촉매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는 화학식 (1):
Figure pct00003
(식 중,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4 내지 60의 정수를 나타내고, m+n은 20 내지 90의 정수를 나타냄)
로 표시된다.
지금까지,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을 첨가하여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광선 투과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시도할 수 있어 왔지만, 해당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은 내열성이 불충분하므로, 해당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을 배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고온에서 성형하면, 성형품의 휘도나 광선 투과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에 비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는 2관능성의 랜덤 공중합체이고, 내열성이 높고, 당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를 배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고온에서 성형한 성형품은, 휘도나 광선 투과율이 높다.
또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는 적당한 친유성을 갖는 점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와의 상용성도 우수하므로, 해당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를 배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의 투명성도 향상된다.
또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를 배합함으로써,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할 때에, 전단열이 필요 이상으로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이형성을 부여할 수도 있으므로, 예를 들어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과 같은 이형제를 별도 첨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화학식 (1)에 있어서,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4 내지 60의 정수이고, m+n은 20 내지 90의 정수이지만, 나아가,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6 내지 40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m+n은 20 내지 60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4000, 나아가 2000 내지 3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에는, 광선 투과율의 충분한 향상 효과를 바랄 수 없는 우려가 있고, 반대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을 초과하는 경우도, 광선 투과율이 저하되어서 흐림화율이 상승할 우려가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로서는, 예를 들어 니찌유(주)제의, 폴리세린 DCB-2000(중량 평균 분자량 2000), 폴리세린 DCB-1000(중량 평균 분자량 1000) 등(「폴리세린」은 등록 상표)을 들 수 있다.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양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0중량부이고, 0.1 내지 2.0중량부, 또한 0.5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양이 0.00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광선 투과율 및 색상의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양이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선 투과율이 저하되어 흐림화율이 상승해버린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 함께,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가 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를 동시에 배합함으로써,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가 원래 갖는 내열성,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고, 광선 투과율이 향상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
상기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로서는, 예를 들어 화학식 (2):
Figure pct00004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특히 적합하다.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지만, 나아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크레질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가 적합하고, 예를 들어 BASF사제의 이르가포스 168(「이르가포스」는 비에이에스에프 소시에타스·유로피어의 등록 상표)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상기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로서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에도, 예를 들어 화학식 (3):
Figure pct00005
(식 중, R2, R3,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식: -CHR7-(여기서, R7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A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 또는 식: *-COR8-(여기서, R8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는 산소측의 결합손인 것을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Y 및 Z는 어느 한쪽이 히드록실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다른 한쪽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에 있어서, R2, R3,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알킬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t-펜틸기, i-옥틸기, t-옥틸기, 2-에틸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6 내지 12의 알킬시클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1-메틸시클로펜틸기, 1-메틸시클로헥실기, 1-메틸-4-i-프로필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기, α-메틸벤질기, α,α-디메틸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R2, R3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알킬시클로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R2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t-부틸기, t-펜틸기, t-옥틸기 등의 t-알킬기, 시클로헥실기 또는 1-메틸시클로헥실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R3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t-펜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기, t-부틸기 또는 t-펜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R6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t-펜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3)에 있어서,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R2, R3, R5 및 R6의 설명에서 예시한 알킬기를 들 수 있다. 특히,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3)에 있어서, X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식: -CHR7-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식: -CHR7- 중의 R7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및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각각 상기 R2, R3, R5 및 R6의 설명에서 예시한 알킬기 및 시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다. 특히, X는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t-부틸기 등으로 치환된 메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결합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3)에 있어서, A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 또는 식: *-COR8-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타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옥타메틸렌 기, 2,2-디메틸-1,3-프로필렌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기이다. 또한, 식: *-COR8-에 있어서의 R8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R8을 나타내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A의 설명에서 예시한 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R8은, 단결합 또는 에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 *-COR8-에 있어서의 *는 산소측의 결합손이고, 카르보닐기가 포스파이트기의 산소 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화학식 (3)에 있어서, Y 및 Z는 어느 한쪽이 히드록실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다른 한쪽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t-부톡시기, 펜틸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옥시기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옥시기, α-메틸벤질옥시기, α,α-디메틸벤질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R2, R3, R5 및 R6의 설명에서 예시한 알킬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4,8,10-테트라-t-부틸-6-〔3-(3-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폭시〕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 6-[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폭시]-2,4,8,10-테트라-t-부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 6-[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폭시]-4,8-디-t-부틸-2,10-디메틸-12H-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6-[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4,8-디-t-부틸-2,10-디메틸-12H-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광학 특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2,4,8,10-테트라-t-부틸-6-〔3-(3-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폭시〕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이 적합하고, 예를 들어 스미토모 가가꾸(주)제의 스밀라이저 GP(「스밀라이저」는 등록 상표)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상기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로서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에도, 예를 들어 화학식 (4):
Figure pct00006
(식 중,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b 및 c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주)ADEKA제의 아데카스탭 PEP-36(「아데카스탭」은 등록 상표)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0중량부이고, 0.01 내지 0.5중량부, 또한 0.02 내지 0.1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0.00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광선 투과율 및 색상의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도, 광선 투과율 및 색상의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다.
또한,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로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의 양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광선 투과율 및 색상의 향상 효과가 보다 크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로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의 양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광선 투과율 및 색상의 향상 효과가 보다 크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어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이형제, 연화제, 대전 방지제, 충격성 개량제 등의 각종 첨가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이외의 중합체 등이 적절히 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는 특별히 한정이 없고,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 및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 및 필요에 따라 상기 각종 첨가제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이외의 중합체 등에 대해서, 각 성분의 종류 및 양을 적절히 조정하여, 이들을, 예를 들어 텀블러, 리본 블렌더 등의 공지된 혼합기에서 혼합하는 방법이나,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있어서 개시하는 기술의 예시로서, 실시 형태 1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술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 치환, 부가, 생략 등을 행한 실시 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 형태 2: 광학용 성형품)
실시 형태 2에 관한 광학용 성형품은, 상기와 같이 얻어지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광학용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는 특별히 한정이 없고, 예를 들어 공지된 사출 성형법, 압축 성형법 등에 의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지는 광학용 성형품은, 예를 들어 도광판, 면 발광체 재료, 명판 등으로서 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있어서 개시하는 기술의 예시로서, 실시 형태 2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술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 치환하고, 부가, 생략 등을 행한 실시 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에, 본 개시를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히 거절이 없는 한, 「부」 및 「%」는 각각 중량 기준이다.
원료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1.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비스페놀 A와 염화카르보닐과로부터 합성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칼리버 200-80
(상품명, 스미까 스타이론 폴리카르보네이트(주)제, 「칼리버」는 스타이론 유럽 게엠베하의 등록 상표, 점도 평균 분자량: 15000, 이하 「PC」라고 함)
2.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랜덤 타입)
폴리세린 DCB-2000
(상품명, 니찌유(주)제, 중량 평균 분자량: 2000, 이하 「화합물 B」라고 함)
3.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
3-1. 이하의 식으로 표시되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Figure pct00007
이르가포스 168
(상품명, BASF사제, 이하 「화합물 C1」이라고 함)
3-2. 이하의 식으로 표시되는 2,4,8,10-테트라-t-부틸-6-〔3-(3-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폭시〕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
Figure pct00008
스밀라이저 GP
(상품명, 스미토모 가가꾸(주)제, 이하 「화합물 C2」라고 함)
4. 기타
4-1.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랜덤 공중합 폴리에테르
폴리세린 DC-3000E
(상품명, 니찌유(주)제, 중량 평균 분자량: 3000, 이하 「화합물 B'」이라고 함)
4-2. 페닐기, 메톡시기 및 비닐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
KR-511
(상품명, 신에쯔 가가꾸 고교(주)제, 이하 「KR」이라고 함)
(1) 제1 실시 형태
실시예 1-1 내지 1-8 및 비교예 1-1 내지 1-6
상기 각 원료를,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일괄하여 텀블러에 투입하고, 10분간 건식 혼합한 후, 2축 압출기((주)니혼 세코쇼제, TEX30α)를 사용하여, 용융 온도 220℃에서 용융 혼련하고,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펠릿을 사용하여, 이하의 방법에 따라서, 각 평가용 시험편을 제작하여 평가에 제공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편의 제작 방법)
(I) 체류 전 시험편
얻어진 펠릿을 120℃에서 4시간 이상 건조한 후, 사출 성형기(파낙(주)제, ROBOSHOT S2000i100A)를 사용하여, 성형 온도 360℃, 금형 온도 80℃에서, JIS K 7139 「플라스틱-시험편」에서 규정한 다목적 시험편 A형(전체 길이 168mm×두께 4mm)을 제작하였다. 이 시험편의 단부면을 절삭하고, 절삭 단부면에 대해서, 수지판 단부면 경면기(메가로테크니카(주)제, 플라뷰티 PB-500)를 사용하여 경면 가공하였다.
(II) 체류 후 시험편
용융 펠릿을 상기 사출 성형기의 실린더 내에서 360℃에서 10분간 유지한 후, 상기 체류 전 시험편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체류 후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적산 투과율의 평가 방법)
분광 광도계((주)히타치 세이사꾸쇼제, U-4100)에 장광로 측정 부속 장치를 설치하고, 광원으로서 50W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여, 광원 전 마스크 5.6mm×2.8mm, 시료전 마스크 6.0mm×2.8mm를 사용한 상태에서, 파장 380 내지 780nm의 영역에서 1nm마다의, 체류 전 시험편 및 체류 후 시험편 각각의 분광 투과율을, 시험편의 전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분광 투과율을 적산하고, 10의 위치를 반올림함으로써, 각각의 적산 투과율을 구하였다. 또한, 적산 투과율이 30000 이상을 양호(표 중, ○로 나타냄), 30000 미만을 불량(표 중, ×로 나타냄)으로 하였다.
(황색도의 평가 방법)
상기 적산 투과율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측정한 분광 투과율에 기초하여, 표준 광원 D65를 사용하여, 10도 시야에서 각각의 황색도를 구하였다. 또한, 황색도가 20 이하를 양호(표 중, ○로 나타냄), 20을 초과하면 불량(표 중, ×로 나타냄)으로 하였다.
Figure pct00009
실시예 1-1 내지 1-8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가 각각 특정한 비율로 배합된 것이다. 따라서, 해당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체류 전 시험편, 즉, 사출 성형기 내에서 유지되는 일없이 성형된 시험편은 물론, 체류 후 시험편, 즉, 사출 성형기의 실린더 내에서 360℃에서 10분간 유지된 후에 성형된 시험편이어도, 적산 투과율이 높고, 또한 황색도가 작다.
이와 같이, 실시예 1-1 내지 1-8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가 원래 갖는 내열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고,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높고, 게다가 고온에서 성형 가공한 경우에도 광선 투과율이 우수하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성형품은, 황색도가 작고 색상이 우수하고, 게다가 고온에서 성형 가공한 경우에도 색상이 우수하다.
또한, 이들 실시예 1-1 내지 1-8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로서, 특히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배합되어 있으므로, 당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 고온에서 성형 가공한 경우의 광선 투과율, 색상 및 고온에서 성형 가공한 경우의 색상의 향상 효과가 보다 크다.
이에 비해, 비교예 1-1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양이 적으므로, 체류 전 시험편 및 체류 후 시험편 모두, 적산 투과율이 낮고, 또한 황색도가 크다. 이와 같이, 비교예 1-1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낮고, 고온에서 성형 가공한 경우의 광선 투과율도 낮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성형품은, 황색도가 커 색상이 떨어지고, 게다가 고온에서 성형 가공한 경우의 색상도 떨어진다.
비교예 1-2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양이 많으므로, 체류 전 시험편의 적산 투과율이 낮다. 게다가, 체류 후 시험편에서는 성분의 분해가 발생하고, 분광 투과율의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비교예 1-2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이 매우 떨어진다.
비교예 1-3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적으므로, 체류 전 시험편은 적산 투과율이 높고, 또한 황색도가 작지만, 체류 후 시험편은 적산 투과율이 낮고, 또한 황색도가 크다. 이와 같이, 비교예 1-3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이 떨어진다.
비교예 1-4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많으므로, 체류 전 시험편의 적산 투과율이 낮고, 또한 황색도가 크다. 게다가, 체류 후 시험편에서는 성분의 분해가 발생하고, 분광 투과율의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비교예 1-4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이 매우 떨어진다.
비교예 1-5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가 아니고,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랜덤 공중합 폴리에테르가 배합되어 있으므로, 체류 전 시험편은 적산 투과율이 높고, 또한 황색도가 작지만, 체류 후 시험편은 적산 투과율이 낮고, 또한 황색도가 크다. 이와 같이, 비교예 1-5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이 떨어진다.
비교예 1-6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1-5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추가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을 배합한 것이고, 체류 전 시험편은 적산 투과율이 높고, 또한 황색도가 작다. 그러나, 체류 후 시험편은, 비교예 1-5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체류 후 시험편과 비교하면, 다소는 적산 투과율이 높고, 황색도도 작지만, 모두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값과의 차는 크다. 이와 같이, 비교예 1-6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이 떨어진다.
(2) 제2 실시 형태
실시예 2-1 내지 2-3
상기 각 원료를, 표 2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펠릿을 사용하고, 이하의 방법에 따라서, 각 평가용 시험편을 제작하여 평가에 제공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편의 제작 방법)
얻어진 펠릿을 120℃에서 4시간 이상 건조한 후, 사출 성형기(파낙(주)제, ROBOSHOT S2000i100A)를 사용하여, 성형 온도 360℃, 금형 온도 80℃에서, JIS K 7139 「플라스틱-시험편」에서 규정된 다목적 시험편 A형(전체 길이 168mm×두께 4mm)을 제작하였다. 이 시험편의 단부면을 절삭하고, 절삭 단부면에 대해서, 수지판 단부면 경면기(메가로테크니카(주)제, 플라뷰티 PB-500)를 사용하여 경면 가공하였다.
(적산 투과율의 평가 방법)
분광 광도계((주)히타치 세이사꾸쇼제, U-4100)에 장광로 측정 부속 장치를 설치하고, 광원으로서 50W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여, 광원 전 마스크 5.6mm×2.8mm, 시료 전 마스크 6.0mm×2.8mm를 사용한 상태에서, 파장 380 내지 780nm의 영역에서 1nm마다의 시험편 분광 투과율을, 시험편의 전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분광 투과율을 적산하고, 10의 위치를 반올림함으로써, 적산 투과율을 구하였다. 또한, 적산 투과율이 30000 이상을 양호(표 중, ○로 나타냄)로 하였다.
(색상의 평가 방법)
파장 450nm의 가시광선은 청색을 나타내므로, 파장 450nm의 광선 투과율이 높을수록 황색도가 작고, 시험편은 색상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적산 투과율의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편의 분광 투과율을 측정하고, 파장 450nm의 광선 투과율에서 색상을 평가하였다. 파장 450nm의 광선 투과율이 65% 이상을 양호(표 중, ○로 나타냄)로 하였다.
Figure pct00010
실시예 2-1 내지 2-3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가 각각 특정한 비율로 배합된 것이다. 따라서, 해당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시험편은, 적산 투과율이 높고 또한 파장 450nm의 광선 투과율이 높다.
이와 같이, 실시예 2-1 내지 2-3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가 원래 갖는 내열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고,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높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성형품은, 황색도가 작고 색상이 우수하다.
또한, 이들 실시예 2-1 내지 2-3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로서, 특히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배합되어 있으므로, 당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 및 색상의 향상 효과가 보다 크다.
(3) 제3 실시 형태
실시예 3-1 내지 3-10 및 비교예 3-1 내지 3-4
상기 각 원료를, 표 3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펠릿을 사용하여,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평가용 시험편을 제작하고,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에 제공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적산 투과율의 평가에 있어서, 적산 투과율이 28000 이상을 양호(표 중, ○로 나타냄), 28000 미만을 불량(표 중, ×로 나타냄)으로 하였다. 또한, 색상의 평가에 있어서, 파장 450nm의 광선 투과율이 55% 이상을 양호(표 중, ○로 나타냄), 55% 미만을 불량(표 중, ×로 나타냄)으로 하였다.
Figure pct00011
실시예 3-1 내지 3-10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가 각각 특정한 비율로 배합된 것이다. 따라서, 해당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시험편은 적산 투과율이 높고, 또한 파장 450nm의 광선 투과율이 높다.
이와 같이, 실시예 3-1 내지 3-10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가 원래 갖는 내열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고,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높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성형품은, 황색도가 작고 색상이 우수하다.
이에 비해, 비교예 3-1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양이 적으므로, 적산 투과율이 낮고, 또한 파장 450nm의 광선 투과율이 낮다. 이와 같이, 비교예 3-1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낮고,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성형품은, 황색도가 크고 색상이 떨어진다.
비교예 3-2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양이 많으므로, 적산 투과율이 낮고, 또한 파장 450nm의 광선 투과율이 낮다. 이와 같이, 비교예 3-2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낮고,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성형품은, 황색도가 크고 색상이 떨어진다.
비교예 3-3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적으므로, 적산 투과율이 낮다. 이와 같이, 비교예 3-3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낮다.
비교예 3-4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많으므로, 적산 투과율이 낮고, 또한 파장 450nm의 광선 투과율이 낮다. 이와 같이, 비교예 3-4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낮고,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성형품은, 황색도가 크고 색상이 떨어진다.
(4) 제4 실시 형태
실시예 4-1 내지 4-3 및 비교예 4-1 내지 4-2
상기 각 원료를, 표 4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펠릿을 사용하여,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평가용 시험편을 제작하고,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에 제공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적산 투과율의 평가에 있어서, 적산 투과율이 28000 이상을 양호(표 중, ○로 나타냄), 28000 미만을 불량(표 중, ×로 나타냄)으로 하였다. 또한, 색상의 평가에 있어서, 파장 450nm의 광선 투과율이 55% 이상을 양호(표 중, ○로 나타냄), 55% 미만을 불량(표 중, ×로 나타냄)으로 하였다.
Figure pct00012
실시예 4-1 내지 4-3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가 각각 특정한 비율로 배합된 것이다. 따라서, 해당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시험편은, 적산 투과율이 높고, 또한 파장 450nm의 광선 투과율이 높다.
이와 같이, 실시예 4-1 내지 4-3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가 원래 갖는 내열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고,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높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성형품은, 황색도가 작고 색상이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 4-1 내지 4-3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는,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로서, 특히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배합되어 있으므로, 당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특정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 및 색상의 향상 효과가 보다 크다.
이에 비해, 비교예 4-1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적으므로, 적산 투과율이 낮다. 이와 같이, 비교예 4-1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낮다.
비교예 4-2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많으므로, 적산 투과율이 낮고, 또한 파장 450nm의 광선 투과율이 낮다. 이와 같이, 비교예 4-2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시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낮고,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성형품은, 황색도가 커 색상이 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술의 예시로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그를 위해,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성 요소 중에는, 과제 해결을 위하여 필수적인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상기 기술을 예시하기 위해서, 과제 해결을 위해서는 필수적이지 않은 구성 요소도 포함될 수 있다. 그로 인해, 그러한 필수적이지 않은 구성 요소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갖고, 즉시, 그들의 필수적이지 않은 구성 요소가 필수적이라는 인정을 해서는 안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술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특허 청구 범위 또는 그의 균등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치환, 부가, 생략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광판, 면 발광체 재료, 명판 등의 광학용 성형품으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와,
    화학식 (1):
    Figure pct00013

    (식 중,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4 내지 60의 정수를 나타내고, m+n은 20 내지 90의 정수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와,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양이,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0중량부이고,
    상기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0중량부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가 적어도, 화학식 (2):
    Figure pct00014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양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1.0중량부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가 적어도, 화학식 (3):
    Figure pct00015

    (식 중, R2, R3,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식: -CHR7-(여기서, R7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A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 또는 식: *-COR8-(여기서, R8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는 산소측의 결합손인 것을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Y 및 Z는 어느 한쪽이 히드록실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다른 한쪽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2,4,8,10-테트라-t-부틸-6-〔3-(3-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폭시〕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양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2.0중량부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양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부이고,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중량부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유도체 (B)의 양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5중량부이고, 아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C)의 양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 내지 0.1중량부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광학용 성형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성형품이 도광판인, 광학용 성형품.

KR1020167017361A 2013-12-10 2014-12-05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품 KR101681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54902 2013-12-10
JP2013254902 2013-12-10
JP2014104844 2014-05-21
JPJP-P-2014-104844 2014-05-21
JPJP-P-2014-125563 2014-06-18
JP2014125563 2014-06-18
JPJP-P-2014-125566 2014-06-18
JP2014125566 2014-06-18
PCT/JP2014/006091 WO2015087526A1 (ja) 2013-12-10 2014-12-05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光学用成形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921A Division KR101715582B1 (ko) 2013-12-10 2014-12-05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631A true KR20160096631A (ko) 2016-08-16
KR101681879B1 KR101681879B1 (ko) 2016-12-01

Family

ID=533708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361A KR101681879B1 (ko) 2013-12-10 2014-12-05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품
KR1020167032921A KR101715582B1 (ko) 2013-12-10 2014-12-05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921A KR101715582B1 (ko) 2013-12-10 2014-12-05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17418B2 (ko)
EP (1) EP3081596B1 (ko)
JP (5) JP5801516B1 (ko)
KR (2) KR101681879B1 (ko)
CN (3) CN105793357B (ko)
ES (1) ES2689690T3 (ko)
TW (3) TWI565753B (ko)
WO (1) WO201508752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517A (ko) * 2015-06-12 2016-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광학 성형품
KR20170093177A (ko) * 2015-01-07 2017-08-14 미쓰비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얇은 광학 부품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얇은 광학 부품
KR20200008126A (ko) * 2017-06-05 2020-01-23 미쓰비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광학 부품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 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7526A1 (ja) * 2013-12-10 2015-06-18 住化スタイロン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光学用成形品
JP6401044B2 (ja) * 2014-12-24 2018-10-03 住化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車両ランプ用ライトガイド
WO2016111117A1 (ja) * 2015-01-07 2016-07-14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薄肉光学部品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薄肉光学部品
JP5893774B1 (ja) * 2015-01-07 2016-03-23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薄肉光学部品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薄肉光学部品
WO2016129018A1 (ja) * 2015-02-10 2016-08-18 住化スタイロン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2016156969A (ja) * 2015-02-25 2016-09-01 住化スタイロン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Led照明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製レンズ
JP6063101B1 (ja) * 2015-03-26 2017-01-18 住化スタイロン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光学用成形品
JP6490490B2 (ja) * 2015-05-08 2019-03-27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薄肉光学部品
JP6472321B2 (ja) * 2015-05-18 2019-02-20 住化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2017002295A (ja) * 2015-06-09 2017-01-05 住化スタイロン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光学部品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6615626B2 (ja) * 2016-01-27 2019-12-04 住化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US10676612B2 (en) 2016-01-28 2020-06-09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eat ray shielding molded body and heat ray shielding lamination body
JP6645886B2 (ja) * 2016-03-24 2020-02-14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6648361B2 (ja) * 2016-05-12 2020-02-14 住化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車両ランプ用ライトガイド
JP6721427B2 (ja) * 2016-06-23 2020-07-15 住化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光学用成形品
KR102049577B1 (ko) 2016-10-31 2019-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광학 성형품
US20200032051A1 (en) * 2017-02-01 2020-01-30 Idemitsu Kosan Co.,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6522818B2 (ja) * 2017-04-18 2019-05-29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光学部品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光学部品
KR102642651B1 (ko) * 2017-04-18 2024-02-29 미쓰비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광학 부품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 부품
KR102036651B1 (ko) * 2017-12-27 2019-10-25 주식회사 삼양사 투명성 및 내화학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6639594B2 (ja) * 2018-09-06 2020-02-05 住化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車両ランプ用ライトガイド
WO2020137926A1 (ja) * 2018-12-27 2020-07-0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成形体、光学レンズ、及び光学レンズユニット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860A (ja) 1995-07-07 1997-01-21 Teijin Chem Ltd 面発光性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H1055712A (ja) 1996-08-09 1998-02-24 Asahi Chem Ind Co Ltd 面状光源用導光板及びその成形法
JPH11158364A (ja) 1997-11-27 1999-06-15 Idemitsu Petrochem Co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導光板
JP2001215336A (ja) 2000-01-31 2001-08-10 Idemitsu Petrochem Co Ltd 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51700A (ja) 2002-07-17 2004-02-19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導光板用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面光源体
JP2006144026A (ja) * 2006-01-25 2006-06-08 Ge Plastics Japan Ltd 光学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7016079A (ja) * 2005-07-05 2007-01-25 Idemitsu Kosan Co Ltd 光拡散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同樹脂組成物を用いた光拡散板
WO2011083635A1 (ja) 2010-01-07 2011-07-14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成形品
JP2013139097A (ja) * 2011-12-28 2013-07-18 Idemitsu Kosan Co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ペレ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8364A (ja) 1987-09-17 1989-06-21 Showa Denko Kk 落錘衝撃試験方法および装置
JPH09194712A (ja) * 1996-01-18 1997-07-29 Mitsubishi Eng Plast Kk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EP1116751B1 (en) * 1999-05-27 2009-07-29 Teijin Limit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substrate therefor
TW487811B (en) 2000-01-27 2002-05-21 Idemitsu Petrochemical Co Light guide plat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01070882A1 (fr) * 2000-03-22 2001-09-27 Teijin Limited Composition polycarbonate aromatique
JP2005096421A (ja) * 2003-09-02 2005-04-14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導光板用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ペレット、導光板、導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面光源体
JP2008163070A (ja) * 2006-12-27 2008-07-17 Sumitomo Dow Ltd 導光板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導光板
JP2009180895A (ja) * 2008-01-30 2009-08-13 Sumitomo Chemical Co Ltd 光拡散板及び面光源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5315015B2 (ja) * 2008-02-18 2013-10-16 住化スタイロン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光学用成形品
JP2010138263A (ja) * 2008-12-11 2010-06-24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光学部材の製造方法
WO2010137729A1 (ja) * 2009-05-28 2010-12-02 帝人化成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2011137060A (ja) * 2009-12-28 2011-07-14 Sumika Styron Polycarbonate Ltd 光反射性に優れた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IT1400743B1 (it) * 2010-06-30 2013-07-0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zioni polimeriche
JP5947095B2 (ja) * 2012-05-01 2016-07-06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導光板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導光板
WO2015087526A1 (ja) * 2013-12-10 2015-06-18 住化スタイロン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光学用成形品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860A (ja) 1995-07-07 1997-01-21 Teijin Chem Ltd 面発光性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H1055712A (ja) 1996-08-09 1998-02-24 Asahi Chem Ind Co Ltd 面状光源用導光板及びその成形法
JPH11158364A (ja) 1997-11-27 1999-06-15 Idemitsu Petrochem Co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導光板
JP2001215336A (ja) 2000-01-31 2001-08-10 Idemitsu Petrochem Co Ltd 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51700A (ja) 2002-07-17 2004-02-19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導光板用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面光源体
JP2007016079A (ja) * 2005-07-05 2007-01-25 Idemitsu Kosan Co Ltd 光拡散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同樹脂組成物を用いた光拡散板
JP2006144026A (ja) * 2006-01-25 2006-06-08 Ge Plastics Japan Ltd 光学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1083635A1 (ja) 2010-01-07 2011-07-14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成形品
JP2013139097A (ja) * 2011-12-28 2013-07-18 Idemitsu Kosan Co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ペレ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177A (ko) * 2015-01-07 2017-08-14 미쓰비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얇은 광학 부품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얇은 광학 부품
KR20160146517A (ko) * 2015-06-12 2016-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광학 성형품
KR20200008126A (ko) * 2017-06-05 2020-01-23 미쓰비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광학 부품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29717A (zh) 2015-08-01
EP3081596B1 (en) 2018-07-25
CN107266894B (zh) 2019-07-19
JPWO2015087526A1 (ja) 2017-03-16
ES2689690T3 (es) 2018-11-15
KR101681879B1 (ko) 2016-12-01
JP6271057B2 (ja) 2018-01-31
CN105793357A (zh) 2016-07-20
CN107383823A (zh) 2017-11-24
TWI565753B (zh) 2017-01-11
TWI663208B (zh) 2019-06-21
JP6677705B2 (ja) 2020-04-08
WO2015087526A1 (ja) 2015-06-18
KR101715582B1 (ko) 2017-03-13
JP2018053263A (ja) 2018-04-05
JP5801516B1 (ja) 2015-10-28
US9617418B2 (en) 2017-04-11
TW201708384A (zh) 2017-03-01
JP6987911B2 (ja) 2022-01-05
CN107266894A (zh) 2017-10-20
KR20160140968A (ko) 2016-12-07
JP2017125208A (ja) 2017-07-20
EP3081596A4 (en) 2017-07-05
EP3081596A1 (en) 2016-10-19
JP2016020504A (ja) 2016-02-04
TW201809136A (zh) 2018-03-16
TWI664235B (zh) 2019-07-01
CN105793357B (zh) 2017-05-31
US20160326365A1 (en) 2016-11-10
CN107383823B (zh) 2019-07-12
JP2020094227A (ja)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582B1 (ko)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품
JP2016020504A5 (ko)
KR101981561B1 (ko)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품
JP6401044B2 (ja) 車両ランプ用ライトガイド
JP6386343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光学用成形品
JP6480068B1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光学用成形品
JP2018003031A (ja) 光学部品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WO2019146693A1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光学用成形品
JP2019031675A (ja) 車両ランプ用ライトガイド
JP2017197704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光学用成形品
JP2017226768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光学用成形品
JP2017226769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光学用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