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519A -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519A
KR20160096519A KR1020150031919A KR20150031919A KR20160096519A KR 20160096519 A KR20160096519 A KR 20160096519A KR 1020150031919 A KR1020150031919 A KR 1020150031919A KR 20150031919 A KR20150031919 A KR 20150031919A KR 20160096519 A KR20160096519 A KR 20160096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information
file
preview file
d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830B1 (ko
Inventor
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ublication of KR20160096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단말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고, 프리뷰 파일의 생성에 대응하여,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확인하고,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프리뷰 파일을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ENTS PRODUC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 정보를 이용한 다이어리 제작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필요에 따라 검색된 화면을 단말기의 내외장 메모리 또는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최근에는 메모리에 저장된 시계열적인 사진 또는 동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전자 액자 또는 스마트폰 대기 화면에 슬라이드 쇼 방식으로 연속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넥스트 스트리밍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인 키네마스터는 사용자가 직접 고른 사진과 동영상을 이용하여 한 편의 슬라이드 쇼(slide show) 형식의 동영상 다이어리를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키네마스터는 미리 보기 영상을 편집 동영상(mp4 등)으로 저장하기 위해서 반드시 사용자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선택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부담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자동으로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편집 동영상 제작에 부담을 느끼는 대다수의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자동으로 편집 동영상을 제작해 주는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생성된 편집 동영상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을 통해 공유하는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에게 동영상 다이어리의 미리 보기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 다이어리를 제작하거나 미리 보기에 포함된 사진을 포토 북의 형태로 인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뷰 파일의 생성에 대응하여,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프리뷰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프리뷰 파일은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크립트(script) 기반 파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상기 프리뷰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모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상기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리 파일은 동영상 파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프리뷰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상기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프리뷰 파일의 생성에 대응하여,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상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프리뷰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뷰 파일 또는 상기 노티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뷰 파일의 생성에 대응하여,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프리뷰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록 매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자동으로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편집 동영상 제작에 부담을 느끼는 대다수의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자동으로 편집 동영상을 제작해 주는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된 편집 동영상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동영상 다이어리의 미리 보기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 다이어리를 제작하거나 미리 보기에 포함된 사진을 포토 북의 형태로 인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진 또는 동영상 선택 및 편집 과정 없이 자동으로 컨텐츠 정보를 선택 및 편집이 된 미리보기 재생이 가능한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고, 프리뷰 파일에 대해 사용자에게 편집 및 실제 인코딩 시간이 소요되는 다이어리 파일의 생성 과정 없이 즉시 편집 내용을 재생할 수 있게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 제작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노티 메시지를 출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프리뷰 파일 및 편집 모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이어리 파일 생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디스플레이(110), 디스플레이(110)에 의하여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120), 및 디스플레이(110)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는 단말기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 동영상 및 텍스트 정보 등의 다양한 컨텐츠 정보일 수 있고, 다른 단말기로부터 제공 받은 사진, 동영상 및 텍스트 정보 등의 다양한 컨텐츠 정보일 수도 있으며, 메모리(120) 또는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및 텍스트 정보 등의 다양한 컨텐츠 정보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단말기의 메모리(120)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고,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테이블에 기록하며,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미리 정해지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정해진 시간(일례로, 매일 오전 4시)에 배터리 잔량이 특정 수치 이상이거나 배터리 충전 중일 경우, 자동으로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설정에 따라,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및 프리뷰 파일의 생성 시간을 고려하여 단말기의 리소스가 확보될 수 있도록 가능한 사용자의 일과 시간을 제외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선별 조건으로,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날짜 및 분석 결과가 기록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특정 날짜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다이어리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여부, 및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동일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가 있는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선별 조건으로 분석 결과가 기록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외 조건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 대상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프리뷰 파일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텍스트(TEXT) 형태의 스크립트(script) 기반의 파일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프리뷰 파일에 대한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10)에 출력한다. 상기 노티 메시지는 푸시(push)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에게 프리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노티 메시지는 프리뷰 파일이 생성되기 전 또는 후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노티 메시지를 선택 후 즉시 프리뷰 파일이 재생이 가능하도록 프리뷰 파일이 생성된 후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노티 메시지는 프리뷰 파일의 생성 된 즉시 보다 사용자가 노티 메시지의 즉시 확인이 가능한 일과 시간(예를 들면 오전 6시~9시)에 맞추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티 메시지는 동영상이 제작되었다는 알림 문구와 함께 프리뷰 파일에 경로 정보가 포함된 대표적인 컨텐츠 정보가 같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서(130)는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확인한다.
프로세서(130)는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프리뷰 파일을 디스플레이(110)에 재생한다.
예를 들어, 프리뷰 파일은 스크립트 기반의 파일 형태로 렌더러(renderer)에 의하여 재생될 수 있다.
단말기는 사용자가 프리뷰 파일을 확인하고 원하는 방식으로 프리뷰 파일을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프리뷰 파일을 기반으로 프리뷰 파일을 재생 또는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11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이후 스크립트 기반의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속성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프리뷰 파일을 인코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이어리 파일은 프로뷰 파일과는 달리 다른 컨텐츠 정보의 참조 없이 재생할 수 있는 mp4 및 mpeg 등의 동영상 파일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편집 모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프리뷰 파일에 대한 편집 요청 입력을 수신하고,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프리뷰 파일을 편집 요청 입력에 따라 상기 프리뷰 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는 미리 설정된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자동으로 편집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프리뷰 파일을 확인 후 입력하는 편집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편집될 수도 있다.
프리뷰 파일은 편집 과정을 거치는 다이어리 파일(예를 들어, 동영상 파일)과 달리 별도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인코딩 과정 없이 즉시 재생이 가능하므로 편집에 따른 수정된 내용을 사용자가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단말기는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노티 메시지 또는 상기 프리뷰 파일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오프라인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오프라인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오프라인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프리뷰 파일을 파싱(parsing)하여 상기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경로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고,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직접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오프라인 다이어리로 인화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는 프리뷰 파일 또는 다이어리 파일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프리뷰 파일에 공유 아이콘을 함께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공유 아이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프리뷰 파일 또는 다이어리 파일을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는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중 다이어리 파일로 제작되지 않은 프리뷰 파일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공유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경우, 다이어리 파일로 제작되지 않은 프리뷰 파일의 컨텐츠 정보를 다이어리 파일(동영상 파일) 형태로 제작하여 공유할 수도 있으며, 다이어리 파일로 제작되는 프리뷰 파일이라도 사용자의 편집에 의하여 변경된 내용이 있을 경우 해당 편집 내용이 반영된 다이어리 파일로 제작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프리뷰 파일 편집>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노티 메시지를 출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프리뷰 파일 및 프리뷰 파일에 대한 편집 모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컨텐츠 정보를 해석하여 프리뷰(preview) 파일을 생성하고, 프리뷰 파일을 생성에 대응하는 노티 메시지(210)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노티 메시지(210)를 확인하고, 프리뷰 파일을 확인하기 위하여 선택 입력을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다.
단말기는 사용자의 노티 메시지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 파일(310)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리뷰 파일(310)의 재생 및 편집은 단말기에 설치된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프리뷰 파일(310)에 대한 편집을 원하는 경우, 단말기를 조작하여 편집 모드로 전환하여 원하는 형태로 프리뷰 파일을 편집할 수도 있다. 프리뷰 파일의 편집은,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컨텐츠 정보의 삭제, 추가, 및 순서 변경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단말기는 프리뷰 파일을 기반으로 프리뷰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단말기는 편집 모드 화면으로 프리뷰 파일의 제목(320), 테마(330), 배경음악(340), 및 시나리오(350) 등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수정을 할 수 있는 편집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프리뷰 파일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삭제 및 추가할 수 있으며,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고, 프리뷰 파일의 제목(320)을 변경할 수도 있으며, 프리뷰 파일에 적용된 테마(330) 및 시나리오(350)를 변경하거나 배경 음악(340)을 변경 또는 삽입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편집 모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편집 입력을 수신하고,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컨텐츠 정보의 배치를 변경하거나 배경 음악을 삽입하여, 프리뷰 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편집된 프리뷰 파일은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인코딩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사용자는 편집 모드를 통하여 편집된 프리뷰 파일을 즉시 재생하여 편집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는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리 파일은 mp4 및 mpeg 등의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동영상 파일 형태로 인코딩 되는 경우 HD 및 Full-HD 등의 해상도를 설정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이미지 분석 엔진(410), 스케줄러 엔진(420), 및 멀티미디어 엔진(430)을 포함한다.
이미지 분석 엔진(410)은 이미지 분석 관리부(411), 이미지 보정 관리부(412), 분석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13), 분석 데이터 오브젝트(414), 및 라이브러리(41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러 엔진(420)은 스케줄러 관리부(421), 스케줄러 설정부(422), 및 프리뷰 스크립트 엔진(423)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엔진(430)은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1), 멀티미디어 바이너리(432), 및 멀티미디어 출력부(4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프리뷰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스케줄러 엔진(420)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스케줄러 관리부(421)을 구동하고, 스케줄러 관리부(421)는 스케줄러 설정부(422)의 내용을 참조하여 이미지 분석 엔진(410)을 구동시켜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분석된 컨텐츠 정보를 선별하며, 선별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프리뷰 스크립트 엔진(423)을 통해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 엔진(410)은 스케줄러 관리부(421)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13)를 통해 분석 데이터 오브젝트(414)의 테이블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록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 엔진(410)은 이미 분석되어 테이블에 기록된 컨텐츠 정보를 제외하고 새로 저장되어 분석되지 않은 컨텐츠 정보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 엔진(410)은 테이블을 참조하여, 스케줄러 엔진(420)의 스케줄러 설정부(422)에 설정된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415)는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본 배경 음악, 기본 테마 이미지 또는 부가 컨텐츠 정보 등 등이 다이어리 제작에 필요한 정보 들이 저장되어 있다.
프리뷰 스크립트 엔진(423)은 멀티미디어 엔진(430)에 의하여 생성되는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설계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뷰 스크립트 엔진(423)은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각각의 장면에 적용되는 영상 효과의 종류 및 길이, 트랜지션 효과(transition effect)의 종류 및 길이, 테마의 종류, 음악 등을 기록 및 설계할 수 있다.
테마라 함은 컨텐츠 정보의 배치, 재생 시간에 따른 컨텐츠 정보의 이동. 테마에 따른 기본 이미지 정보, 테마에 따른 기본 배경 음악 정보 등이 포함된 템플릿 정보이다.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다수의 테마를 미리 구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엔진(430)은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고, 실시간으로 해석하여 재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엔진(430)은 프리뷰 파일의 경로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불러와 미리 설정된 효과를 적용하여 버퍼링 상태를 유지하고, 버퍼링 상태에서 효과가 적용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엔진(430)은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1), 멀티미디어 바이너리(432), 및 멀티미디어 출력부(4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엔진(430)의 각 구성의 역할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1)는 프리뷰 파일의 영상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엔진(430)은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431)에서 처리한 데이터에 각종 영상 효과(예를 들어, 상기 테마)를 적용하여 프리뷰 파일 생성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엔진(430)은 프리뷰 파일 재생 중에 백(back) 단에서 버퍼링 상태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효과를 적용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엔진(430)은 이 후 프리뷰 파일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코딩 과정을 거쳐 다이어리 파일(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바이너리(432)는 멀티미디어 엔진(430)에서 각종 효과들을 적용한 데이터를 muxing/demuxing하여 프리뷰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바이너리(432)는 컨텐츠 정보에 상기 테마 등을 적용하여 프리뷰 파일을 특정 해상도(예를 들어, 640*360)로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출력부(433)는 상기 생성된 프리뷰 파일을 mp4 형태의 실제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는 프리뷰 파일 생성시 이미지 분석 엔진(410)의 이미지 보정 관리부(412)에서 미리 설정된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자동으로 편집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프리뷰 파일을 확인 후 입력하는 편집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편집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편집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프리뷰 파일에는 포함되는 컨텐츠 정보 별로 편집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이미지 필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보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생성된 프리뷰 파일의 편집 모드에서 표시되는 컨텐츠 정보에 적용되기 위한 미리 제공되는 복수의 이미지 필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이미지 보정 입력에 따라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이미지 필터를 적용하는 것은 컨텐츠 정보의 표시 속성을 변경 등 종래 알려진 기술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구체 설명은 생략한다.
이미지 분석 엔진(410)의 이미지 보정 관리부(412)는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 테이블의 분석된 컨텐츠 정보를 참조하여 프리뷰 파일에 포함되는 컨텐츠 정보에 적용될 필터가 자동으로 적용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편집 정보를 프리뷰 파일에 포함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특정 영역에 부가 컨텐츠를 정보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를 통해 구동되는 이미지 분석 엔진(410)은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분석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로 구동되는 이미지 보정 관리부(412)는 프리뷰 파일 생성시 이미지 분석 엔진(410)을 통해 분석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인물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자동으로 컨텐츠 정보의 특정 영역에 부가 컨텐츠 정보가 부가되어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편집 정보를 프리뷰 파일에 포함시키거나 사용자의 인물 정보의 포함 여부에 대한 편집 입력에 따라 부가 컨텐츠를 프리뷰 파일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인물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인식된 얼굴 주변에 미리 설정된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삽입 영역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부가 컨텐츠 삽입 입력 요청에 따라 해당 영역에 부합되는 부가 컨텐츠를 삽입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는 얼굴 인식이 되는 인물 사진의 경우, 인물의 코 주변의 부가 컨텐츠 삽입 영역인 경우, 다양한 수염 종류의 부가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시된 수염 종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입력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선택된 수염을 인물의 코 주변에 삽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는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삽입할 수 있는 날짜 및 날씨에 대한 부가 컨텐츠를 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날짜 및 날씨에 대한 부가 컨텐츠를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컨텐츠 정보의 일부 영역만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리뷰 파일의 생성시 이미지 분석 엔진(410)은 자동으로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인물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물이 표시된 영역 위주로 부가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표시 영역을 자동으로 지정하여 편집 정보를 생성한 후, 편집된 편집 정보를 프리뷰 파일에 포함시킬 수 있다.
<프리뷰 파일에 대한 인화 서비스>
단말기는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오프라인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노티 메시지(510)의 대상이 되는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520)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52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오프라인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530)을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520)은 프리뷰 파일을 재생하는 화면의 일측에 노출될 수 있고, 프리뷰 파일 재생 중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오프라인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530)을 구동할 수 있다.
오프라인 다이어리 제작 기능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라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기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오프라인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530)은 프리뷰 파일을 파싱(parsing)하여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경로 정보를 추출 하거나,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직접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경로 정보를 수신 할 수 있다. 상기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오프라인 다이어리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오프라인 다이어리는 출력되기 이전에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프리뷰 화면(540)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프리뷰 화면(540)을 확인하고 원하는 테마 또는 시나리오 등을 적용하거나, 원하는 스타일로 편집하여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출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단말기는 오프라인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53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프리뷰 파일을 수정하여 오프라인 다이어리 제작용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수정된 오프라인 다이어리 제작용 컨텐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서버 기반 모델 실시예>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단말기는, 단말기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610)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WAS(Web Application Server)(620)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WAS(620)는 전송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고, 단말기(610)로 프리뷰 파일에 대한 노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610)는 수신된 노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가 노티 메시지를 확인하면, WAS(620)는 상기 확인에 따라 프리뷰 파일을 단말기(610)로 전송한다. 단말기(610)로 전송된 프리뷰 파일에 대한 다이어리 파일 생성 및 오프라인 다이어리 출력 서비스 모델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리뷰 파일 생성>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은 전술한 단말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 바, 단말기 관점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한다(710).
단말기는 프리뷰 파일의 생성에 대응하여,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720).
단말기는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확인한다(730).
단말기는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프리뷰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한다(74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프리뷰 파일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크립트(script) 기반 파일일 수 있다.
단말기는 프리뷰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는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다이어리 파일은 동영상 파일일 수 있다.
단말기는 프리뷰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경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을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노출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으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를 추출하고,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는 프리뷰 파일을 생성함에 있어,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고,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테이블에 기록하며,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고,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의 기록 매체에 설치되며, 단말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고, 프리뷰 파일의 생성에 대응하여,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확인하고,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프리뷰 파일을 디스플레이에 재생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디스플레이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Claims (15)

  1.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뷰 파일의 생성에 대응하여,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프리뷰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파일은,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크립트(script) 기반 파일인,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모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파일은,
    동영상 파일인,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0.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프리뷰 파일의 생성에 대응하여,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상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프리뷰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파일은,
    동영상 파일인,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뷰 파일 또는 상기 노티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노출하는,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이어리 제작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오프라인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말기.
  15. 단말기에 설치된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뷰 파일의 생성에 대응하여,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프리뷰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단계
    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록 매체에 설치되는,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
KR1020150031919A 2015-02-05 2015-03-06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KR101722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203 2015-02-05
KR20150018203 2015-02-05
KR20150018201 2015-02-05
KR1020150018201 2015-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519A true KR20160096519A (ko) 2016-08-16
KR101722830B1 KR101722830B1 (ko) 2017-04-03

Family

ID=5685449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919A KR101722830B1 (ko) 2015-02-05 2015-03-06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KR1020150032943A KR101722831B1 (ko) 2015-02-05 2015-03-10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KR1020160110623A KR20160106033A (ko) 2015-02-05 2016-08-30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943A KR101722831B1 (ko) 2015-02-05 2015-03-10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KR1020160110623A KR20160106033A (ko) 2015-02-05 2016-08-30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722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401A (ko) * 2016-10-14 2018-04-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607A (ko) * 2007-03-07 2009-01-08 팅크웨어(주) 다이어리 자동 작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19922A (ko) * 2009-08-21 2011-03-02 주식회사 패턴플랜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미리보기 파일 생성 시스템
KR20140034423A (ko) * 2012-09-11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KR101467840B1 (ko) * 2007-04-30 201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제작시스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404A (ko) * 2014-12-24 2015-01-16 (주)듀얼로그 아이디로 작성되는 온라인 다이어리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607A (ko) * 2007-03-07 2009-01-08 팅크웨어(주) 다이어리 자동 작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67840B1 (ko) * 2007-04-30 201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제작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10019922A (ko) * 2009-08-21 2011-03-02 주식회사 패턴플랜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미리보기 파일 생성 시스템
KR20140034423A (ko) * 2012-09-11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830B1 (ko) 2017-04-03
KR20160106033A (ko) 2016-09-09
KR101722831B1 (ko) 2017-04-03
KR20160096520A (ko)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077B1 (ko) 공유된 및 개별화된 자산으로부터 스토리보드-지향형 비디오 제작
US11049522B2 (en) Digital media editing
US10728354B2 (en) Slice-and-stitch approach to editing media (video or audio) for multimedia online presentations
US20190238919A1 (en) Video broadcast system and a method of disseminating video content
US88195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multimedia editing projects
JP6120169B2 (ja) 画像編集装置
CN109275028B (zh) 视频获取方法、装置、终端和介质
US20140193138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d for exchanging multimedia content
US201901997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iewing content
KR20160098949A (ko) 동영상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20251081A1 (en) Image editing device, image editing method, and program
JP4142382B2 (ja) コンテンツ作成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作成方法
US10783319B2 (en) Methods and systems of creation and review of media annotations
US20180098099A1 (en) Real-time data updates from a run down system for a video broadcast
US115517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ance-based instant assembling of video clips
KR101722830B1 (ko)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KR20140146592A (ko) 컬러 그레이딩 미리 보기 방법 및 장치
JP4129162B2 (ja) コンテンツ作成実演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作成実演方法
KR101823767B1 (ko) 사용자 요구 및 환경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구조 및 그 시스템
US113950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ent recording and streaming
CN113038014A (zh) 应用程序的视频处理方法和电子设备
US20130232144A1 (en) Managing storyboards
KR102595431B1 (ko) 실감형 영상 콘텐츠 제작 및 배포 시스템 및 방법
JP2013021654A (ja) 再生装置
US20220292748A1 (en) Imagery keepsake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