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520A -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520A
KR20160096520A KR1020150032943A KR20150032943A KR20160096520A KR 20160096520 A KR20160096520 A KR 20160096520A KR 1020150032943 A KR1020150032943 A KR 1020150032943A KR 20150032943 A KR20150032943 A KR 20150032943A KR 20160096520 A KR20160096520 A KR 20160096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information
terminal
pieces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831B1 (ko
Inventor
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ublication of KR20160096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단말기에 미리 정해진 시간에 구동되어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메모리의 테이블에 기록하며,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고,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말기,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ENTS PRODUC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 정보를 이용한 UCC(User Created Contents) 및 UGC(User Generate Contents) 동영상 자동 제작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필요에 따라 검색된 화면을 단말기의 내외장 메모리 또는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최근에는 메모리에 저장된 시계열적인 사진 또는 동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전자 액자 또는 스마트폰 대기 화면에 슬라이드 쇼 방식으로 연속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의 사이트이라(sightera)의 매지스토 어플리케이션은 "설정" 메뉴에서 "Surprise me!"를 설정해 두면, 스마트폰에 저장된 사진 또는 동영상이 매지스토 서버로 전송되고, 매지스토 서버에서 동영상을 자동으로 제작하여 스마트폰에 알림 메시지로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매지스토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스마트폰에 저장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매지스토 서버로 업로드 해야 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네트워크 트래픽으로 인한 데이터 요금을 부담해야 된다.
또한, 서버-클라이언트 기반 모델이므로, 사용자는 매지스토 서버에서 제작된 동영상에 대한 수정 내용을 알 수 없으며, 제작 동영상에 포함된 사진에 대한 한정된 수정 기능만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동영상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대부분 반드시 사용자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선택하여 동영상을 제작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부담이 있다. 특히 다수의 컨텐츠 정보(사진 또는 동영상) 가 포함되는 동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편집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자동으로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서버를 통하지 않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제작할 수 있어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단말기에서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미리 보기 기능 및 다양한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자동으로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작된 컨텐츠를 간편하게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상기 다이어리 파일을 프리뷰(preview)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 가능하도록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프리뷰 파일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스크립트(script) 기반 파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선별 조건은 특정 날짜에 상기 컨텐츠 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선별 조건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다이어리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선별 조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동일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선별 조건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외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푸시(push)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편집되어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 편집이 되어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미지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인물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물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인식된 얼굴 주변에 미리 설정된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인물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소정의 영역에 상기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날짜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날짜 정보 및 상기 날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정보를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물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물 식별 정보 중 가장 높은 비율의 인물 식별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메인 컨텐츠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각각의 유사도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상기 각각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유사 컨텐츠로 정보로 그룹핑(grouping)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테마를 적용하여 상기 테마에 해당하는 템플릿에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배치되도록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도록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구동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메모리의 테이블에 기록하며,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다이어리 파일을 프리뷰(preview)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 가능하도록 프리뷰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편집되어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 편집이 되어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이미지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인물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인물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인식된 얼굴 주변에 미리 설정된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삽입하며, 상기 인물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소정의 영역에 상기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날짜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고, 상기 날짜 정보 및 상기 날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정보를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물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물 식별 정보 중 가장 높은 비율의 인물 식별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메인 컨텐츠로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각각의 유사도를 추출하고,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상기 각각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유사 컨텐츠로 정보로 그룹핑(grouping)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정해진 테마를 적용하여 상기 테마에 해당하는 템플릿에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배치되도록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푸시(push)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단말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록 매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자동으로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를 통하지 않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제작할 수 있어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에서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미리 보기 기능 및 다양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으로 선별된 컨텐츠로 동영상을 제작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작된 컨텐츠를 간편하게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다이어리 파일을 만들 수 있는 프리뷰 파일에 대한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프리뷰 파일을 로딩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편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푸시 메시지를 출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 다이어리 파일 생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디스플레이(110), 디스플레이(110)에 의하여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120), 및 디스플레이(110)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도록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구동하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다이어리 컨텐츠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제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미리 정해지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정해진 시간(일례로, 매일 오전 4시)에 배터리 잔량이 특정 수치 이상이거나 배터리 충전 중일 경우, 자동으로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구동되어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한다.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설정에 따라,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및 프리뷰 파일의 생성 시간을 고려하여 단말기의 리소스가 확보될 수 있도록 가능한 사용자의 일과 시간을 제외하여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는 단말기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 동영상 및 텍스트 정보 등의 다양한 컨텐츠 정보일 수 있고, 다른 단말기로부터 제공 받은 사진, 동영상 및 텍스트 정보 등의 다양한 컨텐츠 정보일 수도 있으며, 메모리(120)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및 텍스트 정보 등의 다양한 컨텐츠 정보일 수도 있다.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메모리(120)의 테이블에 기록한다.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한다.
일례로,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 선별 조건으로,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날짜 및 분석 결과가 기록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특정 날짜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다이어리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여부, 및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동일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가 있는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할 수 있다.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 분석 결과가 기록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외 조건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선별 대상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한 컨텐츠 선별 과정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한다. 다이어리 파일은 mp4 및 mpeg 등의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동영상 파일 형태로 인코딩 되는 경우 HD 및 Full-HD 등의 해상도를 설정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다이어리 파일의 생성 전에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뷰 파일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텍스트(TEXT) 기반의 스크립트(script) 기반 파일일 수 있다.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프리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티(notification)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노티 메시지는 프리뷰 파일이 생성되기 전 또는 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노티 메시지를 선택 후 즉시 프리뷰 파일이 재생이 가능하도록 프리뷰 파일이 생성된 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노티 메시지는 프리뷰 파일의 생성 된 즉시 보다 사용자가 노티 메시지의 즉시 확인이 가능한 일과 시간(예를 들면 오전 6시~9시)에 맞추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티 메시지는 동영상이 제작되었다는 알림 문구와 함께 프리뷰 파일에 경로 정보가 포함된 대표적인 컨텐츠 정보가 같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서(130)는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확인한다.
프로세서(130)는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프리뷰 파일을 디스플레이(110)에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뷰 파일은 스크립트 기반의 파일 형태로 렌더러(renderer)에 의하여 재생될 수 있다.
단말기는 사용자가 프리뷰 파일을 확인하고 원하는 방식으로 프리뷰 파일을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노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프리뷰 파일을 기반으로 프리뷰 파일을 재생 또는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11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이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크립트 기반의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속성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프리뷰 파일을 인코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이어리 파일은 프리뷰 파일과 다르게 다른 컨텐츠 정보의 참조 없이 재생할 수 있는 mp4 및 mpeg 등의 동영상 파일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다이어리 파일로 생성되기 전에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설정된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자동으로 편집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프리뷰 정보를 확인 후 입력하는 편집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편집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한 컨텐츠 정보 편집 과정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 다이어리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컨텐츠 선별 과정>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이미지 분석 엔진(210), 스케줄러 엔진(220), 및 멀티미디어 엔진(230)을 포함한다.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이미지 분석 관리부(211),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 분석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13), 분석 데이터 오브젝트(214), 및 라이브러리(21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러 엔진(220)은 스케줄러 관리부(221), 스케줄러 설정부(222), 및 프리뷰 스크립트 엔진(223)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엔진(230)은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231), 멀티미디어 바이너리(232), 및 멀티미디어 출력부(2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스케줄러 엔진(220)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스케줄러 관리부(221)을 구동하고, 스케줄러 관리부 (221)는 스케줄러 설정부(222)의 내용을 참조하여 이미지 분석 엔진(210)을 구동시켜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분석된 컨텐츠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스케줄러 엔진(220)은 선별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 및 프리뷰 스크립트 엔진(223)을 통해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도록 제어 하고,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프리뷰 파일의 인코딩을 거쳐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 할 수 있다.
스케줄러 관리부(221)는 디폴트(default)로 정해지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매일 오전 4시)에 배터리 잔량이 특정 수치 이상이거나 배터리 충전 중일 경우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정보 분석을 이미지 분석 엔진(21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스케줄러 관리부(221)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13)를 통해 분석 데이터 오브젝트(214)의 테이블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록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이미 분석되어 테이블에 기록된 컨텐츠 정보를 제외하고 새로 저장되어 분석되지 않은 컨텐츠 정보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에서 처음 구동되는 경우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 전체를 분석해야 하므로, 분석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컨텐츠 정보의 생성 일을 기준으로 최신 정보부터 순차적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컨텐츠 정보를 나누어 분석 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는 아래 표 1 또는 표 2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항목에 따라 분석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예를 들어,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얼굴 관련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데, 표 1에 도시된 분석 항목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분석 데이터 오브젝트(214)의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02
다른 예로, 이미지 분석 엔진(210)는 사진 분석 관련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데, 표 2에 도시된 분석 항목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이후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테이블을 참조하여, 스케줄러 엔진(220)의 스케줄러 설정부(222)에 설정된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러 설정부(221)는 다음과 같은 컨텐츠 선별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이미지 분석 엔진(210)이 구동되는 현재 날짜(예를 들어, 오늘 날짜, 및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날짜 등) 및 분석 결과가 기록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스케줄러 설정부(221)에 설정된 컨텐츠 선별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만족하는 선별 조건에 대한 우선 순위에 따라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할 컨텐츠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컨텐츠 선별 조건으로, 특정 날짜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다이어리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여부, 및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동일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가 있는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특정 일: 오늘 날짜 하루 전 날짜에 촬영한 사진이 5장 이상인 경우
(2) 특정 요일: 오늘 날짜 하루 전이 일요일일 경우 해당 일요일과 그 전날 토요일(주말)에 촬영한 사진이 5장 이상인 경우
(3) 특정 기간: 과거 3년간 "오늘 날짜"에 사진이 5장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오늘 날짜가 2015년 1월 1일인 경우 2014년 1월 1일, 2013년 1월 1일, 2012년 1월 1일 등에 촬영된 사진이 5장 이상인 경우)
(4) 기념일: 오늘 날짜 하루 전 날짜가 일반 기념일, 사용자 지정 기념일인 경우 (여기서, 일반 기념일은 발렌타인 데이, 화이트 데이, 어린이날, 어버이날 등이 있고, 사용자 지정 기념일은 생일, 졸업일, 돌 등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기념일을 의미한다.)
(5) 위치: 신규로 분석된 사진의 촬영 위치와 다른 날짜에 생성(촬영)된 사진의 위치가 동일하고, 동일한 위치에서 촬영한 사진들이 5장 이상인 경우(상기 경우에는 GPS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서버로부터 POI(Point of Interest)를 제공받아 적용할 수 있다.)
(6) 다이어리 생성일: 연속적으로 다이어리 파일 또는 프리뷰 파일이 4일(특정 일) 이상 생성되지 않은 경우(상기 경우에는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들 중 가장 많이 촬영한 날짜부터 차례 대로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를 선별한다.)
위에서 설명한 조건은 다이어리 파일(또는 프리뷰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최소 조건이며, 만일 이미지 분석 엔진(210)이 컨텐츠 정보인 사진 최대 80장, 및 동영상 최대 2개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또는 프리뷰 파일)을 자동으로 제작 가능할 경우 컨텐츠 선별 조건으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제외 조건은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사진)가 80장을 초과하는 경우(예를 들면 전날 촬영한 사진이 300장인 경우), 300장의 사진 중 80장의 사진을 선별하기 위한 컨텐츠 선별 조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컨텐츠 선별 조건으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외 조건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 대상에서 제외하거나 우선 조건으로 다이어리 파일(또는 프리뷰 파일)의 생성시 포함되는 컨텐츠정보를 선별할 수도 있다.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상기 촬영한 300장의 사진 중 다이어리 파일에 포함될 80장의 사진을 선별하기 위하여 테이블을 조회하여 아래와 같은 컨텐츠 제외 조건에 해당하는 사진을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적으로 제외할 수 있다.
(1) 밝기 값(Brightness value)이 10 이하 또는 90 이상인 사진 (예를 들어, 기준치 이상으로 어둡거나 밝은 사진)
(2) 선명도(Sharpness value)가 50 이하인 사진 (예를 들어, 동작 잡음(motion artifact)이 기준치 이상인 사진)
(3) 얼굴 개수(number of faces)가 0인 사진 (예를 들어,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사진)
(4) 미소 값(Smile Value)이 30 이하인 사진
(5) 전체 점수(Total score)가 50 이하인 사진
(6) 품질 점수(Quality score)가 50 이하인 사진
(7) 특정 폴더: 스크린 샷 및 문서(document) 폴더 등의 사진
(8) 특정 잠금 사진: 잠금 설정된 사진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상기 컨텐츠 제외 조건에 해당하는 사진을 제외시키고, 다이어리 파일(또는 프리뷰 파일)에 포함되는 사진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상기 컨텐츠 제외 조건에 해당하는 사진(컨텐츠 정보)을 제외시키고, 다이어리 파일(또는 프리뷰 파일)의 제작에 필요한 사진(컨텐츠 정보)의 최대 허용 수를 초과하는 경우 우선 순위 조건으로 사진의 분석을 통해 분석된 인물 식별 정보 중 가장 높은 비율의 인물 식별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메인 컨텐츠로 선별하여 해당 컨텐츠 정보를 위주로 선별하고, 만약 최대 허용 수를 초과하는 경우 임의로 컨텐츠 정보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외 조건 중 우선 제외 조건을 예로 들면 (7) 특정 폴더, (8) 특정 잠금 사진, (1) 밝기 값(Brightness value)에 따른 조건에 해당하는 사진 등이 필수 제외 조건에 포함 될 수도 있으며, 프로세서는 상기 필수 제외 조건에 해당하는 사진을 제외하여 선별된 컨텐츠 정보가 최소 제작에 필요한 컨텐츠 정보의 수(예를 들면 5건/장) 미만인 경우 다이어리 파일(또는 프리뷰 파일)을 제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라이브러리(215)는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본 배경 음악, 기본 테마 이미지 또는 부가 컨텐츠 정보 등의 다이어리 제작에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프리뷰 스크립트 엔진(223)은 멀티미디어 엔진(230)에 의하여 생성되는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설계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뷰 스크립트 엔진(223)은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프리뷰 파일에 포함된 각각의 장면에 적용되는 영상 효과의 종류 및 길이, 트랜지션 효과(transition effect)의 종류 및 길이, 테마의 종류, 음악 등을 기록 및 설계할 수 있다. 테마라 함은 컨텐츠 정보의 배치, 재생 시간에 따른 컨텐츠 정보의 이동. 테마에 따른 기본 이미지 정보, 테마에 따른 기본 배경 음악 정보 등이 포함된 템플릿 정보이다.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다수의 테마를 미리 구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엔진(230)은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고, 실시간으로 해석하여 재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멀티미디어 엔진(230)은 프리뷰 파일의 경로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불러와 미리 설정된 효과를 적용하여 버퍼링 상태를 유지하고, 버퍼링 상태에서 효과가 적용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엔진(230)은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231), 멀티미디어 바이너리(232), 및 멀티미디어 출력부(2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엔진(230)의 각 구성의 역할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231)는 프리뷰 파일의 영상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엔진(230)은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231)에서 처리한 데이터에 각종 영상 효과(예를 들어, 상기 테마)를 적용하여 프리뷰 파일 생성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엔진(230)은 프리뷰 파일 재생 중에 백(back) 단에서 버퍼링 상태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효과를 적용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엔진(230)은 이 후 프리뷰 파일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코딩 과정을 거쳐 다이어리 파일(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바이너리(232)는 멀티미디어 엔진(230)에서 각종 효과들을 적용한 데이터를 muxing/demuxing하여 프리뷰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바이너리(232)는 컨텐츠 정보에 상기 테마 등을 적용하여 프리뷰 파일을 특정 해상도(예를 들어, 640*360)로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출력부(233)는 상기 생성된 프리뷰 파일을 mp4 형태의 실제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 컨텐츠 정보 편집 과정>
프로세서는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는 프리뷰 파일 생성시 이미지 분석 엔진(210)의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에서 미리 설정된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자동으로 편집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프리뷰 파일을 확인 후 입력하는 편집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편집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편집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프리뷰 파일은 포함되는 컨텐츠 정보에 따라 다양한 편집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동되는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편집되어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 편집이 되어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이미지 필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보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생성된 프리뷰 파일의 편집 모드에서 사용자는 표시되는 컨텐츠 정보에 적용될 미리 제공되는 복수의 이미지 필터를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이미지 보정 입력에 따라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이미지 필터를 적용하는 것은 컨텐츠 정보의 표시 속성을 변경 등 종래 알려진 기술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구체 설명은 생략한다.
이미지 분석 엔진(210)의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프리뷰 파일의 생성시 테이블의 분석된 컨텐츠 정보를 참조하여 프리뷰 파일에 포함되는 컨텐츠 정보에 적용될 필터를 자동으로 적용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하여 프리뷰 파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싱글 샷(single shot) 사진들 중 포인트를 주기 위하여 2장에만 필터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품질 점수가 낮은 사진에 필터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미소 값이 낮거나 흔들린 사진으로 판단되는 사진에 필터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배경 사진(인물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사진)에 우선적으로 필터 처리를 적용할 수도 있고, 사진들 중 2명 이하의 사람이 등장하는 사진에 필터 처리를 적용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특정 영역에 부가 컨텐츠를 정보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를 통해 구동되는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로 구동되는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프리뷰 파일 생성시 이미지 분석 엔진(210)을 통해 분석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인물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자동으로 컨텐츠 정보의 특정 영역에 부가 컨텐츠를 정보가 부가되어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하여 프리뷰 파일에 포함시키거나 사용자의 편집 시 인물 정보의 포함 여부에 따라 부가 컨텐츠를 정보의 삽입 영역을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인물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인식된 얼굴 주변에 미리 설정된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삽입 영역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부가 컨텐츠 삽입 입력 요청에 따라 해당 영역에 부합되는 부가 컨텐츠가 삽입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인물 정보가 포함된 경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인식된 얼굴 주변에 미리 설정된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삽입할 수 있으며, 인물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소정의 영역에 부가 컨텐츠 정보가 삽입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얼굴 인식이 되는 인물 사진의 경우, 인물의 얼굴 주변에 수염, 모자 등의 스티커 그림을 삽입할 수 있다.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얼굴 인식이 되지 않는 사물 또는 풍경 사진의 경우, 사진 화면의 가장자리 부분을 꾸미기 위한 스티커 그림이 삽입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날짜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고, 날짜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정보를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삽입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사진 및 동영상의 촬영 날짜를 분석하여 촬영된 계절을 확인하고, 확인된 계절에 대응하는 계절 스티커 그림을 삽입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컨텐츠 정보의 일부 영역만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리뷰 파일의 생성시 이미지 분석 엔진(210)은 자동으로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인물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물이 표시된 영역 위주로 표시되도록 표시 영역을 자동으로 지정하여 편집 정보를 생성하여 프리뷰 파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 및 프리뷰 스크립트 엔진(223)은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콜라주 기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얼굴 일부가 잘리지 않도록 사진을 배치하거나, 사진들 중 유사 색감의 사진들로 배치하기 위하여 컨텐츠 정보의 일부 영역만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하고, 프리뷰 스크립트 엔진(223)을 통해 선정된 특정 테마를 적용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편집 정보는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물 식별 정보가 추출되고, 하나 이상의 인물 식별 정보 중 가장 높은 비율의 인물 식별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메인 컨텐츠로 선별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동일 날짜에 촬영된 사진에 대한 인물 식별자(Person ID)를 분석하여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사진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주인공 위주로 사진들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는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각각의 유사도를 추출하고, 편집 정보는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각각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유사 컨텐츠 정보로 그룹핑(grouping) 하여 프리뷰 스크립트 엔진(223)을 통해 적용된 템플릿을 통해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편집 정보는 인물 간의 포즈에 대한 유사도를 분석하여, 유사한 포즈의 사진들로 구성하거나 다양한 포즈의 사진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편집 정보는 연속 촬영된 사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사진에 대한 인물의 동작을 인식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는 사진이 추출되고, 추출된 연속 촬영된 사진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편집 정보는 촬영 시간이 3초 이내에 촬영되었으며, 서로 사진의 유사도가 80% 이상인 사진을 연속 촬영된 사진으로 추출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보정 관리부(212)에 의하여 편집 정보가 생성된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편집된 컨텐츠 정보는 스케줄러 엔진(220)의 프리뷰 스크립트 엔진(223)으로 전송되고, 프리뷰 스크립트 엔진(223)은 편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테마(일례로, 사랑, 생일 등)의 템플릿을 적용하여 프리뷰 파일을 생성한 후,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프리뷰 파일은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스크립트(script) 기반의 파일로 생성되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뷰 파일은 사진 파일들의 경로 정보, 트랜지션 효과(transition effect), 테마 종류, 자동 편집 기능 등이 어떠한 사진에 적용되는지 결정되는 텍스트 형태의 스크립트 기반의 파일로 생성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엔진(230)은 프리뷰 파일의 경로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불러와 미리 설정된 효과를 적용하여 버퍼링 상태를 유지하고, 버퍼링 상태에서 효과가 적용된 다이어리 파일을 프리뷰 방식으로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엔진(230)은 프리뷰 재생 중에 백(back) 단에서 버퍼링 상태의 미디어 파일에 대한 효과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후 프로세서는 재생된 프리뷰 파일을 확인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프리뷰 파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속성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인코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분석 및 선별하고, 선별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이 제작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다이어리 파일이 제작되는 과정은 단말기 내부에서 자동으로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동작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각각의 과정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사용자가 촬영한 날짜 별로 사진들(310, 320)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사진들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메모리의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단말기는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사진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자동으로 선별하고, 선별된 사진들을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다이어리 파일을 만들 수 있는 프리뷰 파일에 대한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프리뷰 파일을 로딩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생성된 다이어리 파일을 만들 수 있는 프리뷰 파일 (410, 420, 430, 440)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프리뷰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스크립트 방식의 프리뷰 파일을 불러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510, 520, 530)가 배치된 다이어리를 디스플레이에 재생되도록 출력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프리뷰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 파일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프리뷰 정보에 공유 아이콘(411)을 함께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공유 아이콘(411)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해당 미디어 파일을 공유하기 위한 설정 모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설정 모드 조작에 따라 미디어 파일을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다이어리 파일이 생성되지 않은 프리뷰 파일에 대해 공유 아이콘이 사용자에게 선택될 경우, 다이어리 파일(동영상 파일)이 제작된 후 다이어리 파일을 공유할 수도 있으며, 다이어리 파일이 제작된 프리뷰 파일이라도 사용자의 편집에 의하여 변경된 내용이 있을 경우 해당 내용이 반영된 다이어리 파일이 제작된 후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이때,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는 프리뷰 파일 생성시 미리 설정된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자동으로 편집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프리뷰 정보를 확인 후 입력하는 편집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편집될 수도 있다.
단말기는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인물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물 정보의 포함 여부에 따라 부가 컨텐츠를 정보의 삽입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편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기는 사진에 인물 정보가 포함된 경우, 사진으로부터 인식된 얼굴 주변에 미리 설정된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삽입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된 컨텐츠 정보가 인물 사진(610)인 경우, 부가 컨텐츠로 수염이 그려진 스티커 사진(620)을 인물의 얼굴 주변에 삽입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사진에 인물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사진의 소정의 영역에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삽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된 컨텐츠 정보가 풍경 사진(710)인 경우, 부가 컨텐츠로 꽃 장식 스티커 사진(720)을 풍경 사진 외곽에 삽입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사진에 대한 날짜 정보 및 날씨 정보 등을 추출하고, 날짜 정보 및 날씨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사진에 삽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된 컨텐츠 정보의 촬영된 날짜가 봄(810)인 경우, 부가 컨텐츠로 태양 그림 스티커 사진(820)을 사진 특정 영역에 삽입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푸시 메시지를 출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기는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고, 선별된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푸시 메시지(910)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은 전술한 단말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 바, 단말기 관점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한다(1010).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테이블에 기록한다(1020).
이때, 단말기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단말기는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할 때 미리 정해진 시간에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분석 후 아래의 선별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단말기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한다(1030).
단말기는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한다(1040).
단말기는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기 전에 프리뷰(preview) 방식으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어 재생 또는 편집이 가능하도록 프리뷰 파일을 먼저 생성 할 수도 있다.
이때, 프리뷰 파일은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텍스트 기반의 스크립트(script) 기반 파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컨텐츠 선별 조건은 특정 날짜에 컨텐츠 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다이어리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여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동일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외 조건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해 이미지 필터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가 보정되어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미리 정해진 테마에 해당하는 템플릿이 적용되어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배치되어 재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제작 방법>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은 전술한 단말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 바, 단말기 관점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한다(1110).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테이블에 기록한다(1120).
단말기의 프로세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단말기는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할 때 미리 정해진 시간에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분석 후 아래의 선별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단말기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한다(1130).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푸시(push)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1140).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한다(1150).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단말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록 매체에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10: 이미지 분석 엔진
220: 스케줄러 엔진
230: 멀티미디어 엔진

Claims (34)

  1.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파일을 프리뷰(preview)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 가능하도록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파일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스크립트(script) 기반 파일인,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별 조건은,
    특정 날짜에 상기 컨텐츠 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별 조건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다이어리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별 조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동일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별 조건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외 조건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푸시(push)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편집되어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 편집이 되어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미지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인물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물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인식된 얼굴 주변에 미리 설정된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인물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소정의 영역에 상기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날짜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날짜 정보 및 상기 날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정보를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물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물 식별 정보 중 가장 높은 비율의 인물 식별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메인 컨텐츠로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각각의 유사도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상기 각각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유사 컨텐츠로 정보로 그룹핑(grouping)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테마를 적용하여 상기 테마에 해당하는 템플릿에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배치되도록 편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8.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도록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구동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메모리의 테이블에 기록하며,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다이어리 파일을 프리뷰(preview)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 가능하도록 프리뷰 파일을 생성하는,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파일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속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스크립트(script) 기반 파일인,
    단말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별 조건은,
    특정 날짜에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별 조건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다이어리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별 조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동일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별 조건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외 조건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편집되어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 편집이 되어 표시되도록 편집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이미지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보정하는,
    단말기.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인물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인물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인식된 얼굴 주변에 미리 설정된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삽입하며,
    상기 인물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의 소정의 영역에 상기 부가 컨텐츠 정보를 삽입하는,
    단말기.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날짜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고,
    상기 날짜 정보 및 상기 날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정보를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삽입하는,
    단말기.
  3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물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물 식별 정보 중 가장 높은 비율의 인물 식별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메인 컨텐츠로 선별하는,
    단말기.
  3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로부터 각각의 유사도를 추출하고,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상기 각각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유사 컨텐츠로 정보로 그룹핑(grouping) 하는,
    단말기.
  3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정해진 테마를 적용하여 상기 테마에 해당하는 템플릿에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가 배치되도록 편집하는,
    단말기.
  3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푸시(push)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말기.
  34. 단말기에 설치된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단말기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정해진 컨텐츠 선별 조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록 매체에 설치되는,
    다이어리 제작 어플리케이션.
KR1020150032943A 2015-02-05 2015-03-10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KR101722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201 2015-02-05
KR20150018203 2015-02-05
KR20150018201 2015-02-05
KR1020150018203 2015-02-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623A Division KR20160106033A (ko) 2015-02-05 2016-08-30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520A true KR20160096520A (ko) 2016-08-16
KR101722831B1 KR101722831B1 (ko) 2017-04-03

Family

ID=5685449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919A KR101722830B1 (ko) 2015-02-05 2015-03-06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KR1020150032943A KR101722831B1 (ko) 2015-02-05 2015-03-10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KR1020160110623A KR20160106033A (ko) 2015-02-05 2016-08-30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919A KR101722830B1 (ko) 2015-02-05 2015-03-06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623A KR20160106033A (ko) 2015-02-05 2016-08-30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722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401A (ko) * 2016-10-14 2018-04-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922A (ko) * 2009-08-21 2011-03-02 주식회사 패턴플랜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미리보기 파일 생성 시스템
KR20140034423A (ko) * 2012-09-11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KR101467840B1 (ko) * 2007-04-30 201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제작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50006404A (ko) * 2014-12-24 2015-01-16 (주)듀얼로그 아이디로 작성되는 온라인 다이어리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607A (ko) * 2007-03-07 2009-01-08 팅크웨어(주) 다이어리 자동 작성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840B1 (ko) * 2007-04-30 201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제작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10019922A (ko) * 2009-08-21 2011-03-02 주식회사 패턴플랜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미리보기 파일 생성 시스템
KR20140034423A (ko) * 2012-09-11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KR20150006404A (ko) * 2014-12-24 2015-01-16 (주)듀얼로그 아이디로 작성되는 온라인 다이어리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401A (ko) * 2016-10-14 2018-04-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519A (ko) 2016-08-16
KR101722831B1 (ko) 2017-04-03
KR101722830B1 (ko) 2017-04-03
KR20160106033A (ko)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76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text color for a group of images
US106573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emantic-segmentation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effects and transitions in video productions
CN110832583A (zh) 用于从多个图像帧生成概要故事板的系统和方法
EP3046107B1 (en) Generating and display of highlight video associated with source contents
US20160110070A1 (en) Photo collec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15002340B (zh) 一种视频处理方法和电子设备
GB2382696A (en) Multimedia presentation creator
CN101420612A (zh) 数字图像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和数字图像压缩方法
US20150324395A1 (en) Image organization by date
US2012027577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Editing Media Data
US20120251081A1 (en) Image editing device, image editing method, and program
CN109618111B (zh) 云剪多渠道分发系统
US20190082002A1 (en) Media file sharing method, media file sharing device, and terminal
US20150009227A1 (en) Color grading preview method and apparatus
JP6043753B2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サーバ、携帯端末、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722831B1 (ko)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US7610554B2 (en) Template-based multimedia capturing
KR20170077000A (ko) 콘텐츠 인식 기술 기반 콘텐츠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WO2013187796A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монтажа цифровых видеофайлов
KR101970383B1 (ko) 단말 및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CN113840099B (zh) 视频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8020944A (ja) 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CN104853245A (zh) 一种电影预览方法和装置
KR20160038375A (ko) 컨텐츠 제작 장치 및 상기 컨텐츠 제작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20292748A1 (en) Imagery keepsake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