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383B1 - 단말 및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383B1
KR101970383B1 KR1020150152059A KR20150152059A KR101970383B1 KR 101970383 B1 KR101970383 B1 KR 101970383B1 KR 1020150152059 A KR1020150152059 A KR 1020150152059A KR 20150152059 A KR20150152059 A KR 20150152059A KR 101970383 B1 KR101970383 B1 KR 101970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usic
terminal
screen transiti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473A (ko
Inventor
서상태
김철환
한우진
이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15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3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음악 컨텐츠의 화성적 특징(harmonic characteristics)이 변화하는 시점에 대응하는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설정된 음악 마디 구간에 소스 컨텐츠를 대응시키며, 상기 소스 컨텐츠에 미리 정의된 화면 트랜지션(transition)을 적용하고,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적용을 기초로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및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ENTS PRODUCTION}
아래 실시예들은 컨텐츠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단말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저장된 시계열적인 사진 또는 동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전자 액자 또는 스마트폰 대기 화면에 슬라이드 쇼 방식으로 연속 재생할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1997호(발명의 명칭: 동영상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출원인: 김진수)가 있다. 상기 한국 공개특허공보에는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불러오는 이미지 입력부; 상기 이미지 입력부와 연결되어,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여, 이미지 편집, 프레임생성, 저장에 관한 작업 제어를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이미지 입력부에서 선택된 이미지의 위치, 크기, 회전, 투명도 조절 등의 편집 작업을 하는 편집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편집부의 편집 작업에 따라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프레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생성부; 상기 제어부 및 이미지 입력부와 연결되어, 원화 이미지 또는 프레임 생성부에서 생성된 각 프레임을 저장하거나, 연속된 프레임을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프레임 생성부에서 생성된 동영상 파일을 특정 사이트에 업로드하는 업로드부를 포함하는 동영상 제작 시스템이 개시된다.
실시예들은 음악의 리듬에 맞게 사용자 컨텐츠의 화면이 전환되도록 음악을 분석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사용자 컨텐츠의 미리 보기 기능 및 다양한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자동으로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생성된 사용자 컨텐츠를 간편하게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은 음악 컨텐츠의 화성적 특징(harmonic characteristics)이 변화하는 시점에 대응하는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설정된 음악 마디 구간에 소스 컨텐츠를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소스 컨텐츠에 미리 정의된 화면 트랜지션(transition)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적용을 기초로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컨텐츠에 미리 정의된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 및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컨텐츠에 미리 정의된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에 다음 소스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상기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컨텐츠에 미리 정의된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 및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가 상기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상기 소스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상기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악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음악 컨텐츠의 주파수 특성을 기초로 상기 음악 컨텐츠의 비트 속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비트 속도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소스 컨텐츠를 그룹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컨텐츠가 얼굴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얼굴 정보에 대응되게 부가 컨텐츠를 상기 소스 컨텐츠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편집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소스 컨텐츠의 노출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컨텐츠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기념일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생성된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단말은 디스플레이; 소스 컨텐츠 및 음악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소스 컨텐츠 및 상기 음악 컨텐츠를 기초로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컨텐츠를 입력 받고, 상기 음악 컨텐츠의 화성적 특징이 변화하는 시점에 대응하는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설정된 음악 마디 구간에 상기 소스 컨텐츠를 대응시키며, 상기 소스 컨텐츠에 미리 정의된 화면 트랜지션(transition)을 적용하고,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적용을 기초로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 및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에 다음 소스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상기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 및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가 상기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상기 소스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상기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악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음악 컨텐츠를 주파수 특징을 기초로 상기 음악 컨텐츠의 비트(beat) 속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비트 속도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스탬프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소스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소스 컨텐츠를 그룹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컨텐츠가 얼굴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얼굴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얼굴 정보에 대응되게 부가 컨텐츠를 상기 소스 컨텐츠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편집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노출하고, 상기 편집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소스 컨텐츠의 노출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컨텐츠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기념일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생성된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음악 컨텐츠의 화성적 특징이 변화하는 시점에 대응하는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설정된 음악 마디 구간에 소스 컨텐츠를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소스 컨텐츠에 미리 정의된 화면 트랜지션(transition)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적용을 기초로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실시예들은 음악의 리듬에 맞게 사용자 컨텐츠의 화면이 전환되도록 음악을 분석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사용자 컨텐츠의 미리 보기 기능 및 다양한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자동으로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생성된 사용자 컨텐츠를 간편하게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은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스 컨텐츠가 입력될 수 있다(110).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에 메모리에 저장된 소스 컨텐츠가 단말의 프로세서에 입력될 수 있다. 소스 컨텐츠는, 예를 들어, 정적 이미지(예를 들어, 사진) 및/또는 동적 이미지(예를 들어, 동영상)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컨텐츠가 프로세서로 입력된 경우, 프로세서는 콜라주 기능을 통해 복수의 소스 컨텐츠를 그룹핑하여 하나의 소스 컨텐츠로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사진의 유사도를 추정할 수 있고, 유사도가 높게 추정된 사진끼리 그룹핑하여 하나의 소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소스 컨텐츠가 얼굴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컨텐츠가 얼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얼굴 정보에 대응되게 부가 컨텐츠를 소스 컨텐츠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스티커 삽입 기능을 이용하여 사진에 포함된 사람 얼굴에 모자 또는 콧수염 등을 삽입할 수 있고, 사진에 포함된 동물 얼굴에 안경 등을 삽입할 수 있다.
단말은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음악 컨텐츠에 설정된 음악 마디 구간에 소스 컨텐츠를 대응시킨다(120). 여기서, 타임 스탬프는 음악 컨텐츠의 화성적 특징(harmonic characteristics)이 변화하는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음악 컨텐츠의 화성적 특징은 강박 또는 센박에서 변화할 수 있고, 단말은 음악 컨텐츠의 강박 또는 센박에 대응하는 비트(beat)를 다운 비트로 결정할 수 있다. 다운 비트가 결정된 경우, 단말은 타임 스탬프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타임 스탬프의 획득 과정을 설명한다.
단말은 음악 컨텐츠의 주파수 특성을 기초로 음악 컨텐츠의 특성 세트(feature set)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음악 컨텐츠를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으로 변환할 수 있고, 스펙트로그램을 멜(mel) 주파수 스펙트로그램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단말은 멜 주파수 스펙트로그램의 피크값을 추출하여 특성 세트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특성 세트 및 미리 정의된 복수의 비트 그리드(beat grid)를 이용하여 음악 컨텐츠의 비트(beat)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비트 속도는 bpm(beat per minute)일 수 있다. 복수의 비트 그리드 각각은 비트 속도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트 그리드는 60bpm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비트 그리드는 70bpm에 대응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비트 그리드 각각과 특성 세트 사이의 상관도(correlation)를 획득할 수 있고, 특성 세트와 상관도가 가장 높은 비트 그리드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확인된 비트 그리드에 대응하는 비트 속도를 음악 컨텐츠의 비트 속도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결정된 비트 속도에 대응하는 비트 그리드로부터 조정 비트 그리드를 획득할 수 있고, 조정 비트 그리드의 자기 유사성(self-similarity)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조정 비트 그리드의 비트 각각의 자기 상관도(autocorrelation)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비트 각각의 자기 상관도를 피크 피킹(peak picking)하여 피크값을 갖는 비트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비트의 비트 인덱스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에 매칭되는 다운 비트 인덱스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비트 인덱스를 미리 정의된 숫자(예를 들어, 8)로 나눈 나머지가 1인 비트가 몇 개인지, 나머지가 2인 비트가 몇 개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비트의 개수가 가장 많은 나머지를 다운 비트 인덱스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다운 비트 인덱스를 기초로 다운 비트 그리드를 생성할 수 있고, 다운 비트 그리드를 이용하여 타임 스탬프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음악 컨텐츠에 복수의 음악 마디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소스 컨텐츠에 미리 정의된 화면 트랜지션(transition)을 적용할 수 있다(130). 예를 들어,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정보를 기초로 소스 컨텐츠에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화면 트랜지션은 디스플레이에 노출된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고 다음 소스 컨텐츠가 노출되는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트랜지션은 소스 컨텐츠가 페이드 아웃(fade out)되고 다음 소스 컨텐츠가 페이드 인(fade in)되는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제1 트랜지션,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의 좌측으로 사라지고, 다음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의 우측에서 등장하는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제2 트랜지션,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의 우측으로 사라지고 다음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의 좌측에서 등장하는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제3 트랜지션, 또는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의 위로 사라지고 다음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의 아래에서 등장하는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제4 트랜지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화면 트랜지션의 종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사항일 뿐, 화면 트랜지션의 종류는 전술한 사항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은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 및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는 0.4초일 수 있고, 제2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는 0.5초일 수 있다. 소스 컨텐츠가 페이드 아웃되고, 다음 소스 컨텐츠가 페이드 인 되어 다음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완전히 노출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0.4초일 수 있다. 또한,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의 좌측으로 사라지고, 다음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의 우측에서 등장하여 다음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완전히 노출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0.5초일 수 있다. 단말은 다음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완전히 노출되는 시점과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이 동일하도록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단말은 소스 컨텐츠에 적용된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 및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음 음악 마디 구간은 소스 컨텐츠와 대응된 음악 마디 구간과 인접한 음악 마디 구간이다.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가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보다 긴 경우, 단말은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도 소스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 음악 마디 구간이 짧아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이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보다 짧을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소스 컨텐츠에 제2 트랜지션이 적용되고,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이 0.3초인 경우, 제2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가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보다 길다. 이 경우, 다음 음악 마디 구간 동안에도 제2 트랜지션이 진행되므로, 단말은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서도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노출되게 제2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단말은 화면 트랜지션의 적용을 기초로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140).
사용자 컨텐츠가 생성된 경우, 단말은 사용자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편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노출할 수 있다. 또한, 편집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단말은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소스 컨텐츠의 노출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컨텐츠가 생성된 경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편집 인터페이스의 일 측에는 사용자 컨텐츠가 노출될 수 있고, 다른 일 측에는 사용자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편집 버튼이 노출될 수 있다. 편집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은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소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소스 컨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드래그(drag)가 있고, 선택된 소스 컨텐츠가 특정 위치에 드롭(drop)되는 경우, 선택된 소스 컨텐츠의 노출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음악 컨텐츠 및 소스 컨텐츠(예를 들어, 사진 및/또는 동영상)를 이용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음악 컨텐츠의 리듬에 맞게 화면이 전환되도록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음악 컨텐츠에 복수의 음악 마디 구간이 설정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단말은 음악 컨텐츠를 분석하여 타임 스탬프 t1, t2, t3, 및 t4를 획득할 수 있다. 타임 스탬프 t1, t2, t3, 및 t4에서 음악의 화성적 특징이 변화할 수 있다. 타임 스탬프에 의해 음악 컨텐츠에는 음악 마디 구간 1, 음악 마디 구간 2, 음악 마디 구간 3, 및 음악 마디 구간 4가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음악 컨텐츠의 타임 스탬프에 화면 전환이 되도록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복수의 음악 마디 구간이 설정된 경우, 각각의 음악 마디 구간에 소스 컨텐츠를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마디 구간 1 내지 4가 설정된 경우, 단말은 음악 마디 구간 1 내지 4 각각에 소스 컨텐츠 1 내지 4 각각을 대응시킬 수 있다. 단말은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복수의 소스 컨텐츠를 배열할 수 있다. 단말은 각각의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에 각각의 대응 소스 컨텐츠가 완전히 사라지고 다음 소스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소스 컨텐츠를 배열할 수 있고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은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 및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을 이용하여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화면 트랜지션의 종료 시점과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이 동일하도록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1이 1초라 하고, 음악 마디 구간 1에서 적용된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가 0.3초이며, 화면 트랜지션의 초기 시작 시점이 0.8초라 하자. 0.8초에서 화면 트랜지션이 시작되는 경우, 화면 트랜지션은 1.1초에서 종료되므로, 화면 트랜지션의 종료 시점과 t1, 즉,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이 경우, 단말은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0.7초로 조정할 수 있다. 즉,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가 0.3초이고, t1이 1초 이므로, 단말은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0.7초(1초-0.3초)로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면 트랜지션의 종료 시점과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이 일치할 수 있다. 전술한 예와 다르게, 화면 트랜지션의 초기 시작 시점이 0.5초라 하자. 0.5초에서 화면 트랜지션이 시작되는 경우, 화면 트랜지션은 0.8초에서 종료되어, 화면 트랜지션의 종료 시점과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단말은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0.7초로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면 트랜지션의 종료 시점과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이 일치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 단말은 먼저 복수의 소스 컨텐츠를 복수의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시키고, 복수의 소스 컨텐츠 각각에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달리, 단말은 소스 컨텐츠를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시켜 소스 컨텐츠에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하고, 다음 소스 컨텐츠를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시켜 다음 소스 컨텐츠에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음악 마디 구간과 소스 컨텐츠을 대응시킬 수 있다. 단말은 음악 마디 구간 1에 소스 컨텐츠 1을 대응시킬 수 있고, 소스 컨텐츠 1에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은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 및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을 이용하여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화면 트랜지션의 종료 시점과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이 동일하도록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t1에 소스 컨텐츠 1이 디스플레이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다음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완전히 노출되도록 소스 컨텐츠 1에 적용되는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의 결정은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소스 컨텐츠 1에 화면 트랜지션이 적용된 경우, 단말은 음악 마디 구간 2와 소스 컨텐츠 2를 대응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은 소스 컨텐츠 2에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은 t2에 소스 컨텐츠 2가 디스플레이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다음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완전히 노출되도록 소스 컨텐츠 2에 적용되는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소스 컨텐츠 2에 화면 트랜지션이 적용된 경우, 단말은 음악 마디 구간 3과 소스 컨텐츠 3을 서로 대응시킬 수 있다.
소스 컨텐츠 1 내지 4 및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음악 마디 구간 1의 특정 시점에서 소스 컨텐츠 1이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거나 희미해지기 시작하고 소스 컨텐츠 2가 디스플레이에 노출되기 시작한다. 타임 스탬프 t1에서 소스 컨텐츠 1은 디스플레이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소스 컨텐츠 2가 디스플레이에 완전히 노출된다. 마찬가지로, 음악 마디 구간 2의 특정 시점에서 소스 컨텐츠 2가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거나 희미해지기 시작하고 소스 컨텐츠 3이 디스플레이에 노출되기 시작한다. 타임 스탬프 t2에서 소스 컨텐츠 2는 디스플레이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소스 컨텐츠 3이 디스플레이에 완전히 노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컨텐츠의 화성적 특징이 변화하는 시점과 사용자 컨텐츠의 화면 전환 시점이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음악 컨텐츠에 복수의 음악 마디 구간이 설정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단말은 음악 컨텐츠를 분석하여 타임 스탬프 t1, t2, t3, t4, 및 t5를 획득할 수 있고, 타임 스탬프에 의해 음악 컨텐츠에는 음악 마디 구간 1, 음악 마디 구간 2, 음악 마디 구간 3, 음악 마디 구간 4, 및 음악 마디 구간 5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마디 구간이 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가 규칙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음악 컨텐츠의 경우, 음악 마디 구간이 좁을 수 있다. 이 경우,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가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보다 길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t1=0.2초, t2=0.3초, t3=0.4초, 및 t4=0.55초라 하고, 소스 컨텐츠 1에 적용되는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가 0.3초라 하자. 단말은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와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음 음악 마디 구간(t1-t2)은 소스 컨텐츠 1에 대응하는 음악 마디 구간(0-t1) 다음에 나타나는 음악 마디 구간이다.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가 0.3이고,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은 0.1이므로,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는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보다 길다. 이 경우,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이 조정되더라도 t1에서 화면 트랜지션이 종료되지 않는다. 단말은 음악 마디 구간(0-t1) 내의 임의의 시점을 기준으로 화면 트랜지션의 종료 시점이 속하는 음악 마디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t1을 기준으로 화면 트랜지션의 종료 시점이 음악 마디 구간(t3-t4)에 속한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확인된 음악 마디 구간의 시작 시점과 화면 트랜지션의 종료 시점이 대응되게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0.1초로 결정할 수 있다. 결국,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가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 정보보다 긴 경우, 단말은 일부 타임 스탬프를 무시하여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단말은 타임 스탬프 t1 및 t2를 무시하여 소스 컨텐츠 1에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타임 스탬프 t1 및 t2에서 화면 트랜지션에 따른 시각적 효과가 발생하고, 화면 트랜지션이 종료되지 않는다. 타임 스탬프 t3에서 소스 컨텐츠 1이 디스플레이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소스 컨텐츠 2가 완전히 노출된다.
도 4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실행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소스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노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소스 컨텐츠가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복수의 소스 컨텐츠는 특정 기준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짜(410)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복수의 소스 컨텐츠는 날짜 별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인물(420)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스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기념일(430)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미리 지정된 기념일에 생성된 복수의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기념일은 발렌타인 데이, 화이트 데이, 어린이날, 및/또는 어버이날 등의 일반 기념일과 생일, 졸업일, 및/또는 돌 등의 사용자 지정 기념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소스 컨텐츠 각각의 우측 상단에 표시된 체크 박스를 통해 복수의 소스 컨텐츠 각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는 복수의 음악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 컨텐츠의 배경 음악을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선택된 음악 컨텐츠의 음악 마디 구간에 선택된 소스 컨텐츠를 대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음악 마디 구간은 선택된 음악 컨텐츠의 화성적 특징이 변화하는 시점에 대응하는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음악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선택된 음악 컨텐츠를 분석하여 선택된 음악 컨텐츠의 타임 스탬프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복수의 음악 마디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전처리하여 미리 복수의 음악 컨텐츠 각각의 타임 스탬프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음악 컨텐츠 각각의 타임 스탬프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를 참조하여 선택된 음악 컨텐츠의 타임 스탬프를 리트리브(retrieve)할 수 있다.
음악 마디 구간에 소스 컨텐츠가 대응된 경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소스 컨텐츠에 미리 정의된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에 다음 소스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타임 스탬프에 대응되게 다음 소스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소스 컨텐츠에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 및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트랜지션이 더 빨리 시작되거나 더 늦게 시작될 수 있다.
화면 트랜지션이 적용된 경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컨텐츠(510)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재생 버튼 또는 사용자 컨텐츠(510)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 컨텐츠(510)가 재생될 수 있다.
사용자 컨텐츠(510)가 표시된 영역과 인접하게 사용자 컨텐츠(510)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의 식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음악 컨텐츠의 식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음악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컨텐츠(510)의 배경 음악을 선택된 다른 음악 컨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소스 컨텐츠에 부가 컨텐츠가 삽입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소스 컨텐츠에 인물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소스 컨텐츠에 인물 정보가 포함된 경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소스 컨텐츠에 부가 컨텐츠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물 사진(610)인 경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수염이 그려진 스티커 사진(620)을 부가 컨텐츠로서 인물 사진(610)에 삽입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소스 컨텐츠에 인물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소스 컨텐츠의 특정 영역에 부가 컨텐츠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경 사진인 경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꽃 장식 스티커 사진을 부가 컨텐츠로서 풍경 사진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소스 컨텐츠의 생성 날짜 정보 및 날씨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고, 생성 날짜 정보 및 날씨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를 소스 컨텐츠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 날짜 정보는 소스 컨텐츠가 생성된 계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컨텐츠가 봄에 생성된 경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태양 그림 스티커 사진을 부가 컨텐츠로서 소스 컨텐츠의 특정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노출할 수 있다.
편집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컨텐츠가 노출되는 영역 및 사용자 컨텐츠의 스타일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컨텐츠의 스타일 정보는 사용자 컨텐츠의 테마 정보 및 배경 음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컨텐츠에 적용된 테마 정보 및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배경 음악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테마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복수의 테마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테마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컨텐츠에 적용된 테마 정보를 선택된 테마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배경 음악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복수의 음악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상세 편집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는 도 8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소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편집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세 편집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소스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소스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소스 컨텐츠의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소스 컨텐츠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을 통해 소스 컨텐츠의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900)은 디스플레이(910), 프로세서(920), 및 메모리(930)를 포함한다.
메모리(930)는 소스 컨텐츠 및 음악 컨텐츠를 저장한다.
프로세서(920)는 소스 컨텐츠 및 음악 컨텐츠를 기초로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20)는 메모리(930)로부터 소스 컨텐츠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20)는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설정된 음악 마디 구간에 소스 컨텐츠를 대응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타임 스탬프는 음악 컨텐츠의 화성적 특징이 변화하는 시점에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소스 컨텐츠에 미리 정의된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정보를 기초로 소스 컨텐츠에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 및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 트랜지션이 빨리 시작되거나 늦게 시작될 수 있다.
특정 음악 컨텐츠의 경우, 타임 스탬프 간의 간격은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보다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과 화면 전환 시점이 서로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 및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가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보다 긴 경우, 프로세서(920)는 다음 음악 마디 구간을 무시하여 화면 트랜지션을 소스 컨텐츠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20)는 화면 트랜지션의 종료 시점이 속하는 음악 마디 구간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과 화면 트랜지션의 종료 시점이 서로 대응되도록 화면 트랜지션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9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1)

  1.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제작 방법에 있어서,
    음악 컨텐츠의 강박 또는 센박자와 관련된 다운 비트에 대응하는 다운 비트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음악 컨텐츠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설정된 음악 마디 구간에 소스 컨텐츠를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소스 컨텐츠에 화면 전환에 대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화면 트랜지션(transition)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적용을 기초로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컨텐츠에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 및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컨텐츠에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에 다음 소스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상기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컨텐츠에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 및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가 상기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상기 소스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상기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음악 컨텐츠의 주파수 특성을 기초로 상기 음악 컨텐츠의 비트 속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속도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소스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소스 컨텐츠를 그룹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컨텐츠가 얼굴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얼굴 정보에 대응되게 부가 컨텐츠를 상기 소스 컨텐츠에 삽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편집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소스 컨텐츠의 노출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컨텐츠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인,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기념일 기준 및 날짜 별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11. 단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스 컨텐츠 및 음악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소스 컨텐츠 및 상기 음악 컨텐츠를 기초로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컨텐츠를 입력 받고, 상기 음악 컨텐츠의 강박 또는 센박자와 관련된 다운 비트에 대응하는 대응하는 다운 비트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음악 컨텐츠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며, 상기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설정된 음악 마디 구간에 상기 소스 컨텐츠를 대응시키고, 상기 소스 컨텐츠에 화면 전환에 대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화면 트랜지션(transition)을 적용하고,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적용을 기초로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 및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악 마디 구간의 종료 시점에 다음 소스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상기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 및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화면 트랜지션의 시간 길이 정보가 상기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다음 음악 마디 구간에 상기 소스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상기 화면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악 컨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음악 컨텐츠의 주파수 특징을 기초로 상기 음악 컨텐츠의 비트(beat) 속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비트 속도를 기초로 상기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는,
    단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소스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소스 컨텐츠를 그룹핑하는,
    단말.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컨텐츠가 얼굴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얼굴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얼굴 정보에 대응되게 부가 컨텐츠를 상기 소스 컨텐츠에 삽입하는,
    단말.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편집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노출하고, 상기 편집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소스 컨텐츠의 노출 순서를 변경하는,
    단말.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컨텐츠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인,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기념일 기준 및 날짜 별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21. 제1항 내지 제10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152059A 2015-10-30 2015-10-30 단말 및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KR101970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059A KR101970383B1 (ko) 2015-10-30 2015-10-30 단말 및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059A KR101970383B1 (ko) 2015-10-30 2015-10-30 단말 및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473A KR20170057473A (ko) 2017-05-25
KR101970383B1 true KR101970383B1 (ko) 2019-04-18

Family

ID=5905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059A KR101970383B1 (ko) 2015-10-30 2015-10-30 단말 및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369B1 (ko) * 2020-12-18 2021-10-06 주식회사 스파크엑스 (SPARKX Co.,Ltd.) 인공지능 음원 분석을 통한 동영상 자동 편집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903B1 (ko) 2022-11-28 2023-04-17 (주)비디오몬스터 오토 라벨링을 활용한 영상 자동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59B1 (ko) 2004-06-07 2006-08-21 (주)잉카엔트웍스 개인 휴대 단말기를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편집,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860510B1 (ko) * 2007-04-23 2008-09-26 엠엠비 주식회사 모바일 장치에서 시각 효과가 삽입된 슬라이드 쇼의 생성방법
KR101315970B1 (ko) 2012-05-23 2013-10-08 (주)엔써즈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콘텐츠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15099603A (ja) * 2010-02-24 2015-05-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840B1 (ko) * 2007-04-30 201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제작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00051997A (ko) * 2008-11-10 2010-05-19 김진수 동영상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59B1 (ko) 2004-06-07 2006-08-21 (주)잉카엔트웍스 개인 휴대 단말기를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편집,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860510B1 (ko) * 2007-04-23 2008-09-26 엠엠비 주식회사 모바일 장치에서 시각 효과가 삽입된 슬라이드 쇼의 생성방법
JP2015099603A (ja) * 2010-02-24 2015-05-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
KR101315970B1 (ko) 2012-05-23 2013-10-08 (주)엔써즈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콘텐츠 인식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369B1 (ko) * 2020-12-18 2021-10-06 주식회사 스파크엑스 (SPARKX Co.,Ltd.) 인공지능 음원 분석을 통한 동영상 자동 편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473A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1433B2 (ja) 画像選択装置、画像選択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380380B (zh) 视频编辑方法及其数字装置
TWI579838B (zh) 編譯視訊的自動產生
US8319086B1 (en) Video editing matched to musical beats
CN101300567B (zh) 在Web上的媒体共享和创作的方法
JP2017503394A (ja) 映像処理方法、映像処理装置および表示装置
WO2016029745A1 (zh) 一种生成视频幻灯片的方法及装置
JP2007533271A (ja) テレビジョン・ニュースのための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作業および対応するテキストの編集システム
EP2132624A1 (en) Automatically generating audiovisual works
JP2005065244A (ja) ビデオをレビュー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18076174A1 (zh) 一种多媒体编辑方法、装置及智能终端
WO20170629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multimedia creation
WO201216077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集積回路
KR101970383B1 (ko) 단말 및 단말의 컨텐츠 제작 방법
US20120251081A1 (en) Image editing device, image editing method, and program
JP2011217183A (ja) 電子機器、画像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50285B1 (ko) 영상 스크립트 생성 장치 및 방법, 영상 스크립트 기반 동영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컴퓨터프로그램 저장 매체
JP2007267356A (ja)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サムネイル画像表示方法および動画再生装置
JP2008084021A (ja) 動画シナリオ生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JP5225330B2 (ja) 電子機器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401667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9122923B2 (en) Image gener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WO2015131651A1 (zh) 幻灯片生成方法和装置
JP4401740B2 (ja) 編集装置
JP2004096617A (ja) ビデオ編集方法、ビデオ編集装置、ビデオ編集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48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522

Effective date: 201901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