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397A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397A
KR20160095397A KR1020150016617A KR20150016617A KR20160095397A KR 20160095397 A KR20160095397 A KR 20160095397A KR 1020150016617 A KR1020150016617 A KR 1020150016617A KR 20150016617 A KR20150016617 A KR 20150016617A KR 20160095397 A KR20160095397 A KR 20160095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server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internet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8292B1 (ko
Inventor
장민수
김건호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6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2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95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서버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부;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 및 상기 모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제1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모션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서버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전송되고,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IoT(Internet of Things) DEVICE USING A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및 센서기술의 발전 및 스마트 폰의 보급 확산으로 사물인터넷의 영향력은 전 산업 분야에서부터 일상 생활까지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 폰의 급속한 보급을 통해 외부에서 댁내의 상태를 확인하고, 보일러, 전등, 가스밸브 등을 제어하는 기능이 많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스마트 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 폰으로 사물 인터넷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항상 휴대하여야 하며, 스마트 폰의 화면에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즉,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이 직관적인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하기에는 제한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물 인터넷 기반의 서버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직관적인 동작으로 사물 인터넷 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서버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부;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 및 상기 모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제1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모션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서버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전송되고,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정보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가 배치된 공간 내에서 임의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관성 좌표계(Inertial Frame)로 표현되는 기준 좌표계(Global Coordinate)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정보가 소정의 제스처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소정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소정의 제스처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서버에 포함된 제2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사물 인터넷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정보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스처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기기 중에서 제스처의 방향에 위치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를 선택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정보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스처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출력부에 출력되는 포인터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되는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정보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스처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출력부에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전 화면 또는 초기 화면으로 돌아가도록 제어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복수의 모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정보가 상기 복수의 모션 센서부 간의 거리가 변화하도록 이동하는 제스처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출력부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줌인 또는 줌 아웃하도록 제어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서버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기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 제어 신호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대응되어 발생된 모션 정보가 소정의 제스처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정보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가 배치된 공간 내에서 임의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관성 좌표계(Inertial Frame)로 표현되는 기준 좌표계(Global Coordinate)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인 것으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직접 생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직관적인 UX(User Experience)를 기반으로, 사물 인터넷 기기를 제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서버, 및 사물 인터넷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서버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의 위치를 특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 내지 도7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선택된 사물 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서버(200), 사물 인터넷 기기(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은 내부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에서 사용자 단말(400)을 통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300), 예를 들면 홈 기기와 같은 댁내의 전등, 보일러, 스마트 텔레비전, 스마트 컴퓨터 등등의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400) 또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는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네비게이션 장치, 디지털 TV,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장착되어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내에 탑재된 모션 센서부(110)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모션 정보는 서버(200)에 송신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링 형태의 디바이스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에 반지 또는 시계처럼 착용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서버(20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게이트웨이(Gateway), 라즈베리 기반의 P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외부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와 네트워크(2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기 제어 신호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에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300)는 서버(200)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물 인터넷 기기(3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200)에서 생성된 기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사물 인터넷 기반의 서버(200)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직관적인 동작으로 사물 인터넷 기기(300)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20)는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시스템(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서버(200), 사물 인터넷 기기(300) 및 사용자 단말(400) 간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20)는 WPAN,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등, 사용자와 사물 인터넷 기기(300), 서버(200)를 연결시킬 수 있는 모든 유, 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서버(200) 및 사물 인터넷 기기(300)간에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들이 송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서버(200) 및 사물 인터넷 기기(300)간의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하는 접속 통신 회선망이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다이렉트(WIFIDIREC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서버(200), 및 사물 인터넷 기기(300) 간에 네트워크(20)만 연결되어 있으면, 별도의 프로그램의 실행 없이도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2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에 포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서버(200), 및 사물 인터넷 기기(3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모션 센서부(110), 제1 메모리(120), 입출력부(130), 제1 통신부(140),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센서부(110), 제1 메모리(120), 입출력부(130), 제1 통신부(140),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는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스는 병렬 및 직렬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일종인 비동기화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션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는 비동기화 송수신기를 통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에 전달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생성된 모션 정보도 비동기화 송수신기를 통해서 통신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는 온도, 습도, 열, 가스, 조도, 초음파 센서 등에서부터 원격 감지, S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 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한경으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물리적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센서부(110)는 사용자에게 장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센서부(110)는 자이로 스코프, 관성 측정 유닛(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가속도계, 자기 센서(magnetome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센서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성 측정 유닛(IMU모션 센서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IMU모션 센서부는 3축 가속도계 및 3축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하는 6축 IMU모션 센서부 및 3축 가속도계, 3축 자이로스코프 및 3축 지자계를 포함하는 9축 IMU모션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는, 모션 센서부(110)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동체 좌표계(Body Frame)로 표현되는 로컬 좌표계(local coordinate)에서 한 축 또는 여러 축의 회전 움직임의 각 변화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모션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는 버스를 통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은 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므로,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메모리(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입력 및/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웹 상에서 제1 메모리(1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200)를 운영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미도시), 터치 스크린 모듈(미도시)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미도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른 UI모듈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움직임을 감지하여 모션 센서부(110)를 생성하는데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출력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또는 외부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부(1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생성된 모션 정보를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부(140)는 근거리 통신의 일 예인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체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는 모션 센서부(110), 제1 메모리(120), 입출력부(130) 및 제1 통신부(140)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모션 센서부(110), 제1 메모리(120), 입출력부(130), 제1 통신부(140),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성 중 일부가 하드웨어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모션 센서부(110), 제1 메모리(120), 입출력부(130) 및 제1 통신부(140), 중 적어도 일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형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 제1 메모리(120), 입출력부(130)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MPU)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과 관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모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는 버스를 통하여 모션 센서부(110)로부터 감지된 센싱 정보을 전달받을 수 있고, 센싱 정보를 기초로 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과 관련하여 감지되는 센싱 정보는, 모션 센서부(110)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동체 좌표계(Body Frame)로 표현되는 로컬 좌표계(local coordinate)에서 한 축 또는 여러 축의 회전 움직임의 각 변화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정보란 댁내의 임의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관성 좌표계(Inertial Frame)로 표현되는 기준 좌표계(Global Coordinate) 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로컬 좌표계에서 획득되는 센싱 정보를 기준 좌표계로 변환하여 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는 모션 정보를 프로파일에 알맞게 변환하여 블루투스 HID 프로파일(HID Profile)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루투스 HID 프로파일(HID Profile)은 버스를 통하여 제1 통신부(140)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 HID 프로파일(HID Profile)의 형식에서,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인지 여부, 왼쪽 또는 오른쪽 클릭인 지 여부, 마우스 포인터의 변화량(예를 들면, 픽셀의 단위) 및 스크롤의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의 서버(200)는 제2 통신부(210), 제2 메모리(220) 및 서버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통신부(210)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모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제2 통신부(210)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통신부(140)의 구성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메모리(220)는 서버 프로세서(2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서버(200)에 입력 및/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있는 UI모듈은 서버(200)에서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데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제2 메모리(220)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메모리(120)의 구성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프로세서(230)는 서버(200)의 전체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프로세서(230)는 제2 통신부(210)에서 수신한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 제어 신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모션 정보와, 제2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제스쳐들의 정보와 대응되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동작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기 제어 신호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300)에 전송될 수 있고,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의 사물 인터넷 기기(300)는 제3 통신부(310), 제3 메모리(320) 및 사물 인터넷 기기 프로세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다른 제3 통신부(310)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서버(200)로부터 기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제3통신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통신부(140)의 구성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메모리(320)는 사물 인터넷 기기 프로세서(3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사물 인터넷 기기(300)에 입력 및/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UI모듈은 사물 인터넷 기기(300)에서 동작을 제어하는데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제3 메모리(320)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메모리(120)의 구성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프로세서(330)는 서버(200)의 전체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사물 인터넷 기기 프로세서(33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기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 서버 프로세서(230) 또는 사물 인터넷 기기 프로세서(3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제1 메모리(120), 제2 메모리(220) 또는 제3 메모리(320)에 저장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 서버 프로세서(230) 또는 사물 인터넷 기기 프로세서(3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3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서버(200)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300)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생성된 모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기기 제어 신호를 사물 인터넷 기기(300)에 송신할 수 있고, 기기 제어 신호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단계 10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탑재된 모션 센서부(110)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센서부(110)가 관성 측정 유닛 즉, IMU모션 센서부인 경우 모션 센서부(110)에서 감지되는 센싱 정보는, 모션 센서부(110)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동체 좌표계(Body Frame)로 표현되는 로컬 좌표계(local coordinate)의 한 축 또는 여러 축의 회전 움직임의 각 변화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센서부(1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과 관련하여 감지되는 센싱 정보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고정된 위치에서 수평과 수직 사이의 회전을 감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한 축 또는 여러 축의 회전 움직임의 각 변화량을 측정, 또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절대적인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센서부(1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과 관련하여 감지되는 센싱 정보는 오일러 각의 변화량, 가속도의 변화량, 자기장의 변화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단계 100 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는 모션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를 버스를 통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정보란 댁내의 임의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관성 좌표계(Inertial Frame)로 표현되는 기준 좌표계(Global Coordinate)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로컬 좌표계에서 획득되는 센싱 정보를 기준 좌표계로 변환하여 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12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단계 110에서 생성된 모션 정보를 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150)에서 생성된 모션 정보는 블루투스 HID 프로파일(HID Profile)의 형식으로 변환되어 버스를 통하여 제1 통신부(140)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부(140)는 변환된 블루투스 HID 프로파일(HID Profile)을 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다.
단계 130에서 서버(200)는 단계 12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모션 정보를 수신하고,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정보가 제2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제스처의 정보와 매칭이 되는 경우, 소정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기 제어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제스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시계 방향/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복수의 모션 센서부(110)간의 거리가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기 제어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140에서 서버(200)는 단계 130에서 생성된 기기 제어 신호를 사물 인터넷 기기(3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프로세서(230)는 제2통신부(210)에서 수신한 모션 정보를 제2 메모리(220)에 저장된 소정의 제스쳐와 매칭이 되는지 판단하여, 매칭이 되는 경우 소정의 제스쳐에 대응되는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300)에 전송할 있다. 이 경우, 기기 제어 신호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에 전송하기 위한 포맷 변환이 완료된 신호일 수 있다.
단계 150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300)는 단계 140에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기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300)는 제3 통신부(310)를 통하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기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동작으로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홈 모드(Home mode) 또는 돌아가기 모드(Back mode), 또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출력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줌인/줌 아웃(Zoom In/Ou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4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위치를 특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에서는 3개의 좌표계가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모션 센서부(110)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동체 좌표계(Body Frame)로 표현되는 제1 로컬 좌표계(1000),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제2 로컬 좌표계(30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물 인터넷 기기(300)가 배치되어 있는 댁내의 임의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관성 좌표계(Inertial Frame)로 표현되는 기준 좌표계(20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모션 센서부(110)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동체 좌표계(Body Frame)로 표현되는 제1 로컬 좌표계(1000)는 YAW축, PITCH축 및 ROLL축을 포함하는 좌표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과 관련하여 YAW축, PITCH축 중 ROLL축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이 회전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팔 길이인 L을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원기둥을 3차원 공간에 제2 로컬 좌표계(3000)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의 원기둥에서의 좌표는 복수의 프레임(3100)와, 각 프레임에 포함된 블록(3200)의 위치로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은 사용자의 팔 길이인 L 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주 2πL 를 Yaw의 범위인 360도(Deg)로 나누어주고, 그 후 일정 크기 이상의 직사각형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에 포함된 블록의 높이H는 H=tan(a)ⅹL 의 수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중심의 제2 로컬 좌표계(3000)에서 모든 프레임에 포함되는 블록들은 식별될 수 있다.
도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좌표계(20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물 인터넷 기기(300)가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에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직관적인 동작에 기초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소정의 제스처가 인식된 경우, 소정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동작이 사물 인터넷 기기(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제스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시계 방향/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복수의 모션 센서부(110)간의 거리가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에서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5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300)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따라 제1 로컬 좌표계에서 YAW축, PITCH축의 변화량이 센싱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YAW축, PITCH축의 변화량을 기초로 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에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를 포인팅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를 향해 포인팅을 하는 움직임이 센싱된 경우, 포인팅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모션 정보는 기준 좌표계에서의 X 값의 변화량 및 Y 값의 변화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YAW축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기준 좌표계에서 X 값의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고, PITCH축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기준 좌표계에서 Y 값의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산출된 모션 정보는 서버(200)에 송신될 수 있고, 서버(200)는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제스처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마우스 커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기 제어 신호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로 송신되어,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화면의 마우스 커서는 X 값의 변화량 및 Y 값의 변화량을 기초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6 내지 도7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선택된 사물 인터넷 기기(300)를 제어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따라 1 로컬 좌표계에서 ROLL축의 변화량이 센싱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ROLL축의 변화량을 기초로 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정보는 기준 좌표계에서 ROLL축의 변화량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모션 정보는 서버(200)에 송신될 수 있고, 서버(200)는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제스처가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제스처가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 서버(200)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전 화면/초기화면으로 돌아가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기 제어 신호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로 송신되어,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어플리케이션은 이전 화면/초기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도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는 두 개의 모션 센서부(110)가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따라 제1 모션 센서부(110a)를 기준으로 하는 제3 로컬 좌표계(1000a)의 YAW축 및 제2 모션 센서부(110b)을 기준으로 하는 제4 로컬 좌표계(1000b)의 YAW축 간의 거리 이동의 변화량이 센싱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정보는 제3 좌표계의 YAW축 및 제4 좌표계의 YAW축간의 거리 이동의 변화량이 증가/감소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모션 정보는 서버(200)에 송신될 수 있고, 서버(200)는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제스처가 제1 모션 센서부(110a) 및 제2 모션 센서부(110b)가 멀어지는 방향/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줌인/줌아웃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제스처가 제1 모션 센서부(110a) 및 제2 모션 센서부(110b)가 멀어지는 방향/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 서버(200)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줌인/줌아웃할 수 있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기 제어 신호는 사물 인터넷 기기(300)로 송신되어, 사물 인터넷 기기(300)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는 줌인/줌 아웃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 20: 네트워크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200: 서버
300: 사물 인터넷 기기 40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서버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부;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세서; 및
    상기 모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제1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모션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서버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전송되고,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정보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가 배치된 공간 내에서 임의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관성 좌표계(Inertial Frame)로 표현되는 기준 좌표계(Global Coordinate)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정보가 소정의 제스처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소정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소정의 제스처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서버에 포함된 제2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사물 인터넷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정보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스처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기기 중에서 제스처의 방향에 위치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를 선택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정보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스처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출력부에 출력되는 포인터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되는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정보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스처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출력부에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전 화면 또는 초기 화면으로 돌아가도록 제어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복수의 모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정보가 상기 복수의 모션 센서부 간의 거리가 변화하도록 이동하는 제스처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출력부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줌인 또는 줌 아웃하도록 제어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시스템.
  8.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서버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기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 제어 신호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대응되어 발생된 모션 정보가 소정의 제스처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정보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가 배치된 공간 내에서 임의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관성 좌표계(Inertial Frame)로 표현되는 기준 좌표계(Global Coordinate)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인 것으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직접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방법.
  10.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16617A 2015-02-03 2015-02-03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78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617A KR101678292B1 (ko) 2015-02-03 2015-02-03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617A KR101678292B1 (ko) 2015-02-03 2015-02-03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397A true KR20160095397A (ko) 2016-08-11
KR101678292B1 KR101678292B1 (ko) 2016-11-21

Family

ID=5671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617A KR101678292B1 (ko) 2015-02-03 2015-02-03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2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8320A1 (pt) * 2017-05-30 2018-12-06 Christian Krammer Dispositivo com sensor de movimento interligado por rede para detecção de desvios atípicos de molde de injeção e congênere
KR20190123359A (ko) * 2018-04-06 2019-11-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기기의 위치를 데이터화하여 it 기기와 가전기기를 연동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13672091A (zh) * 2021-08-26 2021-11-19 歌尔科技有限公司 智能穿戴设备控制方法、装置、智能穿戴设备及介质
WO2023043073A1 (ko) * 2021-09-15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사물 인터넷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488B1 (ko) 2017-10-27 2020-12-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력 및 모션 감응형 교육용 로봇
WO2019190008A1 (ko) * 2018-03-30 2019-10-03 김신일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34B1 (ko) * 2006-12-06 2008-01-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 동작을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1059020A (ja) * 2009-09-11 2011-03-24 Chiba Inst Of Technology 三次元姿勢推定装置、三次元姿勢推定方法及び三次元姿勢推定プログラム
KR20140062892A (ko) * 2012-11-15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34B1 (ko) * 2006-12-06 2008-01-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 동작을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1059020A (ja) * 2009-09-11 2011-03-24 Chiba Inst Of Technology 三次元姿勢推定装置、三次元姿勢推定方法及び三次元姿勢推定プログラム
KR20140062892A (ko) * 2012-11-15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8320A1 (pt) * 2017-05-30 2018-12-06 Christian Krammer Dispositivo com sensor de movimento interligado por rede para detecção de desvios atípicos de molde de injeção e congênere
KR20190123359A (ko) * 2018-04-06 2019-11-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기기의 위치를 데이터화하여 it 기기와 가전기기를 연동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13672091A (zh) * 2021-08-26 2021-11-19 歌尔科技有限公司 智能穿戴设备控制方法、装置、智能穿戴设备及介质
WO2023043073A1 (ko) * 2021-09-15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사물 인터넷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292B1 (ko) 201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29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327577B2 (en) Multi-function stylus with sensor controller
US10572012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gestur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orientation thereof
US2015022015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pping of Arbitrary Human Motion Within an Arbitrary Space Bounded by a User's Range of Motion
WO2015180588A1 (zh) 手势遥控、接收装置、无线遥控系统和操作终端设备方法
CN106527670A (zh) 一种手势动作互动装置
WO2014137947A1 (en) Modifying functionality based on distances between devices
CN107272892B (zh) 一种虚拟触控系统、方法及装置
US11822731B2 (en) Gesture detection using external sensors
KR102379635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스처 처리 방법
KR20150092962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527672A (zh) 一种隔空的文字输入方法
US20160291703A1 (en) Operating system, wearab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US1071914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212834A1 (en) Software gyroscope apparatus
KR102025595B1 (ko) 사용자 동작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동작 인식 장치
KR2018003751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116628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functionality of electronic devices
KR102125100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759829B1 (ko) 센서를 이용하는 인터페이싱 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단말
KR101617233B1 (ko) Cctv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모니터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17891343A (zh) 用于对输入设备的输入进行消抖的方法和设备
Fahmi et al. 3d-to-2d projection algorithm for remote control using smartphone: Enhancing smartphone capability for costless wireless audio visual consumer applianc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