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90008A1 -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90008A1
WO2019190008A1 PCT/KR2018/011051 KR2018011051W WO2019190008A1 WO 2019190008 A1 WO2019190008 A1 WO 2019190008A1 KR 2018011051 W KR2018011051 W KR 2018011051W WO 2019190008 A1 WO2019190008 A1 WO 20191900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input device
home network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105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신일
Original Assignee
김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일 filed Critical 김신일
Publication of WO20191900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900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and a home network system including the same.
  • early home networks meant a range of home automation and home control systems, which automatically controlled security, lighting, and temperature in the hom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network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that provides a control command of home network devices.
  • the wearable device and the home network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re worn on the user's finger, and the control commands and physical stimulation microcurrents of the home network devices are worn.
  • a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including: a motion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motion; A control command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devices according to the sensed motion; An LED unit for outputting ligh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an IR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n infrared signal including the control command to a home network controller.
  •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interworking with the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wearing a finger,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n-off operation of the home network devices can be controlled only by the user's gesture.
  • the wearable device has an advantage of reducing fatigue of a user by providing a microcurrent for body stimulation to a user's finger.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ome network system including a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 FIG.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hape of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command sent according to a gesture pattern of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ome network controller shown in FIG. 1.
  •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computing environment in which one or mor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first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block diagram of a position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unction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secon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n installation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 thir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pression “A or B,” “at least one of A or / and B,” or “one or more of A or / 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together.
  •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includes (1) at least one A, (2) at least one B, Or (3) both of cases including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 first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in any order and / or in importance. It is used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es not limit the components.
  •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the order or importance.
  •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One component (such as a first component) i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 to" to another component (such as a second component) or " When referred to as “connect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y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 no 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is, for example, “having the capacity to,” “suitable for,” “ 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 the term “configured to” may not necessarily mean only “specifically designed to” in hardware. Instead, in some situations, the expression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can” along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 the phrase “processor configured (or configured to) perform A, B, and C” may be implemented by executing a dedicated processor (eg, an embedded processor) to perform its operation, or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a memory device. It may mean a general-purpose processor (for example, a CPU or an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corresponding operations.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ome network system including a multifunc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 FIG. 3 is FIG. 1.
  •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 FIG.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hape of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 FIG. 5 is a gesture pattern of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home network controller illustrated in FIG. 1.
  • a home network system 100 using a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200 and a home network controller 300.
  •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200 may be manufactured in a ring shape of a circular ring wearable on a user's finger, may provide a control command of home network devices based on gesture recognition, and may also internally stimulate itself internally.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fine current.
  • the wearable device 200 may include a motion detection unit 210, a control command providing unit 220, an LED unit 230, and an IR output unit 240.
  •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200 may include a frame of a polyhedron in which a circular ring or a hollow is formed on a user's body (finger).
  • the frame may include a character display member (not shown) detachable from a surface.
  • the motion detector 21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to detect a movement (motion)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 gesture of the user.
  • control command providing unit 220 provide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motion (motion)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210.
  • the control command may be an electronic code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devices.
  • the LED unit 230 outputs ligh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user's gesture.
  • the LED unit 230 may include a memory, and the memory stores light output information for each control command.
  • control command 1 is set as LED_R
  • control command 2 as LED_G
  • control command 3 as LED_RG, and the like.
  • the IR output unit 240 outputs an infrared signal including a control command to the home network controller 300.
  • the multifunction wearabl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manipulation unit 250 for selecting a color of light output from the LED unit 230.
  • the LED unit 230 emits light of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signal of the selection manipulation unit 250.
  • control command providing unit 220 may provid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lor emitted from the LED unit 230 to the IR output unit 240.
  • control command may be provided based on the user's gesture, or may be provided through the user's selection.
  • the multifunction wearabl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low frequency (high frequency) stimulator 260 that outputs a microcurrent for body stimulation.
  • a low frequency (high frequency) stimulator 260 that outputs a microcurrent for body stimulation.
  • the low frequency (high frequency) stimulator 260 may include a low frequency (high frequency) generator 261, a microcurrent generator 262, and an electrode pad 263.
  • the low frequency (high frequency) generator 261 generates a low frequency signal or a high frequency signal using firmware.
  • the microcurrent generator 262 generates a microcurrent for body stimulation according to a low frequency signal or a high frequency signal generated by the low frequency (high frequency) generator 261.
  • the electrode pads 263 are manufactured in a pair and are in contact with a user's body (finger) to provide a microcurrent for body stimulation generated by the microcurrent generator 262.
  • the low frequency (high frequency) stimulator 260 is used to stimulate the user's skin through the microcurrent for body stimulation, thereby releasing the rigid muscles of the user's body (finger) and reducing fatigue caused by muscle stiffness. .
  • the low frequency (high frequency) stimulator 260 may be operated based on an on / off signal of a low frequency (high frequency) 'ON / OFF' button.
  • the multifunction wearabl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call unit 270 that may request an emergency call in an emergency situation.
  • the emergency call unit 270 may include a call unit 271 and an alarm unit 272, and the call unit 271 may call a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set therein through a push button.
  • Output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set in the call unit 271 may be a fire station, a police station, a hospital, etc.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current position.
  • the alarm unit 272 outputs a warning sound based on the call signal.
  • the emergency call unit 270 may interwork with the LED unit 230.
  • the LED unit 230 may output light of different colors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call signal.
  • the multifunction wearabl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280.
  • the multi-function wearable device 200 is a microcurrent intensity control application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 microcurrent with the intensity controlled based on the incoming call signal, the telephone ringing of the user terminal; Can work together.
  • the microcurrent intensity control application may be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n enable signal for generating the microcurrent for body stimulation output from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and adjusting the intensity.
  • the microcurrent intensity control application when the multifunction wearable device is paired with the user terminal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280, based on the incoming call signal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enable signal for the generation of the body current stimulation microcurrent to the user terminal Can provide.
  • the enable signal may include intensity information of a ring tone or vibration set in the user terminal.
  • the low frequency (high frequency) stimulator 260 of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200 is a low frequency signal or a high frequency signal that is proportional to an incoming signal (incoming tone or vibration intensity information) included in an enable signal provided in a microcurrent intensity control application. It can generate a microcurrent for body stimulation proportional to the size of.
  • the microcurrent intensity control application may enable the corresponding incoming call signal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ringing tone or vibration).
  • the signal is provided to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200.
  • the low frequency (high frequency) stimulator 260 of the multifunction wearable device 200 may generate a low frequency signal or a high frequency signal and a microcurrent for body stimulation based on the enable signal.
  •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200 may provide a body stimulus microcurrent to the user's body whenever the incoming call signal is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 the multi-function wearabl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microcurrent strength control button that allows the user to arbitrarily adjust the strength of the microcurrent.
  • the home network controller 300 controls (on / off)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utput from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200.
  • the home network controller 300 may include an infrared receiver 310, a control command converter 320, a communicator 330, and a signal processor 340.
  • the infrared receiver 310 receives the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200.
  • the control command converting unit 320 converts the control command sent from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200 into a specific type of code.
  • the signal processor 340 generates a control signal (on / off) based on the code converted by the control command converter 320.
  • the communication unit 330 transmits a control signal (on / off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340 to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device.
  • the communication unit 330 communicates with home network devices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Bluetooth, Zigbee,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WAVE, and the like.
  • the home network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smart TV, a set top box, a robot cleaner,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 smart phone, a home telephone, and the like.
  • the home network controller 300 may further include a home device setting unit 350.
  • the home network device setting unit 350 functions to group the control signals so that the home network devices can be controlled individually or in group units.
  • the user may control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home network devices with one control signal through the home network device setting unit 350.
  • the home network device setting unit 350 may set and regis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home network devices to be controlled.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set as lo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D of home network devices.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may be directly registered by a user or through an RF tag, a sensor, or the like provided in each home network device.
  •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device may be mapped to a name of a room where the home network device is located, for example, a refrigerator as a kitchen and a TV as a living room.
  •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have a location that is generally installed for each home network device as a default value.
  • the wearable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inger, and the on-off operation of the home network devices may be controlled using only a user's gesture.
  • the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 ha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user's depth by providing a low frequency or high frequency stimulus signal to a user's finger.
  •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computing environment in which one or mor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nd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ystem 1000 that includes a computing device 1100 configured to implement one or mor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 the computing device 1100 may be a personal computer, server computer, handheld or laptop device, mobile device (mobile phone, PDA, media player, etc.), multiprocessor system, consumer electronics, mini computer, mainframe computer,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ny of the systems or devices described above.
  • the computing device 1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ing unit 1110 and a memory 1120.
  • the processing unit 1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 microprocess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and the like. It may have a plurality of cores.
  • the memory 1120 may be volatile memory (eg, RAM, etc.), nonvolatile memory (eg, ROM, flash memory, etc.), or a combination thereof.
  • computing device 1100 may include additional storage 1130.
  • Storage 1130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magnetic storage, optical storage, and the like.
  • Storage 1130 may stor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one or mor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nd other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operating systems, application programs, and the lik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stored in storage 1130 may be loaded into memory 1120 for execution by processing unit 1110.
  • computing device 1100 may include input device (s) 1140 and output device (s) 1150.
  • the input device (s) 1140 may include, for example, a keyboard, mouse, pen, voice input device, touch input device, infrared camera, video input device, or any other input device.
  • output device (s) 1150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displays, speakers, printers, or any other output device.
  • computing device 1100 may use an input device or output device included in another computing device as input device (s) 1140 or output device (s) 1150.
  • computing device 1100 may include communication connection (s) 1160 that enable computing device 1100 to communicate with another device (eg, computing device 1300).
  •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 1160 may be a modem, a network interface card (NIC), an integrated network interface, 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 receiver, an infrared port, a USB connection, or other for connecting the computing device 1100 to another computing device. It may include an interface. In addition, communication connection (s) 1160 may include a wired connection or a wireless connection.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1100 described above may be connected by various interconnections such as a bus (eg,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USB, firmware (IEEE 1394), optical bus structure, etc.). And may be interconnected by the network 1200.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component”, “system” and the like generally refer to a computer-related entity that is hardwar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oftware, or running software.
  • PCI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 IEEE 1394 firmware
  • optical bus structure etc.
  • a componen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being, a process running on a processor, a processor, an object, an executable, a thread of execution, a program, and / or a computer.
  • an application running on a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can be a component.
  • One or more components may reside within a thread of process and / or execution, and the components may be localized on one computer and distributed between two or more computers.
  •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includes a ring-shaped input device 2100 worn on a finger and a cradle 2200 positioned below the input device to wirelessly charge the input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at the index finger wearing the input device 2100 is bent on the cradle 2200, using the input device 2100 as a mouse, and can wirelessly charge the input device through the cradle 2200. Have a mechanism.
  • FIG. 10 is a first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put device 2100 includes a housing 2110, a position sensing unit 2120, a function button unit 2130, a control unit 214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50, and a power supply unit 2160. Each of these input devices 2100 may be automatically turned on while sensing the charge on the cradle 2200.
  • the housing 2110 is formed in a ring shape to be worn on a finger. As shown in FIG. 9, the housing 2110 is the first node of the index finger among the five fingers (the first nod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closest to the nail). It refers to the position of the finger joints) can be moved downward of the cradle 2200 by bending the index finger.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using 2110 includes protective members 2111 in the bottom surface portion, so that the protective members 2111 are cradles when the housing 2110 contacts the cradle 2200. By first contacting the 2200, the housing 2110 may be protected.
  • the position sensing unit 2120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sense a change in position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 FIG. 12 is a block diagram of a position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sition sensing unit 2120 senses an optical sensor 2121 and a gyro sensor 2122, respectively.
  • An acceleration sensor 2123 and a magnetic force sensor 2124 may be included.
  • the optical sensor 2121, the gyro sensor 2122, the acceleration sensor 2123, and the magnetic force sensor 2124 each sense a change in position of the housing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position, and the controller 214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ent to.
  • the function button unit 213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that can touch the thumb.
  • the function button unit 21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right-handed and left-handed users can easily touch the corresponding function button with their thumb.
  • FIG.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unction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unction button unit 2130 includes a selection / execution button 2131, a menu button 2132, and an additional function button 2133 as the function button.
  • 2131, the menu button 2132 and the additional function button 2133 each include a tactile sensor (not shown), so that the corresponding tactile sensor generates a sensing signal when the thumb is touche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2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ave.
  • the select / execute button 2131 may correspond to a left click button in a general mouse. For example, when the select / execute button 2131 is touched once, a specific command may be selected, and if the touch is performed twice consecutively, the corresponding command may be selected. You can run
  • the menu button 2132 may correspond to a right-click button in a general mouse. For example, when the menu button 2132 is touched once, the popup window is activated to display a menu of the popup window.
  • the additional function button 2133 may be set by a user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 the controller 2140 may generate a posi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housing and each func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 FIG. 1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2140 includes a position control module 2141 for generating a position control signal and a function control module 2142 for generating a function control signal.
  • the position control module 2141 may generate a position control signal for moving a mouse cursor of a control target device (not shown)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hange of a housing sens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 the position control module 2141 analyzes sensing signals generated by the optical sensor 2121, the gyro sensor 2122, the acceleration sensor 2123, or the magnetic force sensor 2124 included in the position sensing unit 2120, respectively. By generating a specific position control signal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actual mouse curso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nsing signal, and then transmits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5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evice to move the mouse cursor You can do that.
  • the function control module 2142 corresponds to a func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function button by a sensing signal of a tactile sensor provided in a specific function button touched by a thumb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provided in the function button unit 2130. Can be generated.
  • the function control module 2142 is a tactile sensor provided in each of the selection / execution button 2131, the menu button 2132, or the additional function button 2133 included in the function button unit 2130 when the thumb is touched. After generating a function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signal generated in the transmission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trol target device can perform the function. .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50 may wirelessly transmit the position control signal and the function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5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to transmit the position control signal and the function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respectively.
  • the power supply unit 2160 may supply power to the input device, and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formed of a battery that is embedded in the input device and can be charged by the cradle.
  • the input device 2100 may operate in a non-mouse mode when the input device 2100 is not charged from the cradle 2200 or is not optically sensed through the optical sensor 2121. Specifically, the input device 2100 may operate in a non-mouse mode. By operating in the remote control mode or game mode, respectively, you can control the controlled device.
  • 15 is a secon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put device 2100 may further include a mode switch 2170 for the user to directly select the input device as the mouse mode or the non-mouse mode.
  • the us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input device in the mouse mode, the user switches on the mode switch 2170 provided in the input device 2100 to the mouse mode, and operates the input device in the non-mouse mode.
  • the corresponding input device can be operated in a mouse mode or a non-mouse mode by switching on the corresponding mode switch 2170 in a non-mouse mode.
  • the input device 2100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identifier (not shown) that is provided in the housing 2110 to allow a user to check whether the battery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2160 is charged. have.
  • a charging identifier (not shown) that is provided in the housing 2110 to allow a user to check whether the battery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2160 is charged. have.
  • the charge identifier (not shown) may be mad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when such a charge identifier flashes red, lights up red or lights up blue, respectively, an abnormal state of charge, normal The charging state or the charging completion state may be respectively indicated.
  • LED light emitting diode
  • the input device 2100 may be charged in a state seated on the cradle by combining with the cradle 2200 through a separate detachable member (not shown) when not in use.
  • FIG.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adle 2200 is positioned below the input device to wirelessly charge the input device to provide an active area of the input device.
  • the cradle 2200 is shown in FIG. It may be made of a polyhedron (ie, a hexahedron) or as shown in FIG. 20B, and may be made of a planar body.
  • the user wears the input device 2100 on the index finger on a cradle 2200 made of a polyhedron or a planar body. In one state, typing of the keyboard may be possible.
  • the cradle 2200 when the cradle 2200 is made of a polyhedron, the cradle 2200 includes an upper surface 2220 where the user's palm is located and a side surface 2230 that is an area where the user's index finger is bent and moves.
  • 2220 may include a groove-shaped seating portion (not shown) in which the palm of the user is seated.
  • the wrist protector 2240 in which the user's wrist is located, and the sensing region 2250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optical sensor 2121 by bending the user's index finger may include.
  • the input device 2100 is not shown, a structure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2110 in which the optical sensor 2121 is disposed is formed longer than the front end (that is, th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of the bottom end). Structure),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level the optical sensor 2121 with the sensing area 2250, the index finger is plac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put device 2100. By bending more, it is possible to make it easier to touch the function button of the input device 2100 as a result.
  • the polyhedron or flat cradle 2200 is a mode switch capable of operating the input device in a mouse mode or a non-mouse mode, similarly to the input device 2100 described above. 221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user switches on the mode switch 2210 provided in the cradle 2200 to the mouse mode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input device in the mouse mode, or the mode switch 2210 to the non-mouse mode. (On) enables the input device to operate in non-mouse mode.
  • the input device 2100 and the cradle 2200 each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2300 for wirelessly charging the power supply unit 2160.
  • 16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less charging unit 300 includes a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2310 provided in the cradle 2200 and a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2320 provided in the input device 2100. It may include.
  • FIG. 1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2310 may be provided in the cradle 2200 to supply charging power to the input device 2100.
  •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2310 is illustrated in FIG. 17. As shown, it may include an oscillator 2311 and a transmission coil 2312.
  • the oscillator 2311 may generate AC by receiving DC power from the outside. Specifically, the oscillator 2311 generates AC by receiving external power through a USB connec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cradle 2200. You can.
  • the transmission coil 2312 may generate a magnetic field around the transmission coil by the movement of alternating current generated by the oscillator.
  • FIG. 18 is an installation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2310 may be provided in the cradle 2200 made of a polyhedron, as shown in Figure 18 (a).
  •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2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2312, as shown in Figure 18, each transmission coil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or more on each side of the polyhedron By this position, a magnetic field can be generated.
  •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be provided in the cradle 2200 made of a flat body, as shown in (b) of FIG.
  •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2310 may generate only a single transmission coil 2312 in the sensing region 2250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 FIG. 19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2320 may charge the battery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unit 2160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cradle. Specifically,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2320 is illustrated in FIG. 19. Likewise, it may include a receiving coil 2321, a rectifier 2232, and a voltage regulator 2323.
  • the receiving coil 2321 may generate an induced current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transmitting coil.
  •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include one or two receiving coils, when the receiving coils are made of two, each receiving coil is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each side of the optical sensor 2121 Can be positioned to generate an induced current.
  • the rectifier 2232 may convert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the receiving coil into direct current.
  • the voltage regulator 2323 may charge the battery of the power supply unit by adjusting the direct current converted by the rectifier to a set voltage for operating the input device 2100 and supplying it to the power supply unit.
  • 21 is a thir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put device 2100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generator 2180 installed in the housing 2110 to generate vibratio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 the control unit 2140 when the control unit 2140 checks the operating time of the input device 2100 and the corresponding operating time passes a predetermined operating time, the control unit 2140 may generate a vibration control signal. By controlling the vibration generator 2180 through a vibration control signal, the vibration generator 2180 may generate vibration.
  • the user can maintain his or her health by stopping the use of the input device through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input device 2100.
  • the wearable interface device can be worn on the finger to prevent the pain of the wrist caused by the use of the mouse, and also can be easily operated remotely by using the finger to place the digital device at a place or time. It can be operated easily regardless of the need, and there is no need to touch the screen of a digital device like a touch screen type input device directly to prevent scratches or damage of the digital device.
  • the power is wirelessly charged, so there is no need to replace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네트워크 기기들의 제어명령 및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기기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본 발명은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초기의 홈 네트워크 가정 내 보안, 조명, 온도 등을 자동 통제하는 수준인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홈 컨트롤 시스템(home control system) 정도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 후, 한 가정 내에서 여러 대의 PC 및 주변기기를 보유한 가구 수가 증가하면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킹 기술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키트(home networking kit)들이 등장하면서 홈 네트워킹 개념이 본격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전화선이나 전력선, 무선 등 진일보한 전송매체 기술의 발전과 DSL, Cable Modem 등 가입자망의 광대역화로 초고속 인터넷이 급속히 확대되고, PC 뿐만 아니라 각종 디지털 정보 단말기들이 가정 내에 등장하면서 홈네트워킹은 가정 내 디지털 정보가전기기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 인터넷 망과의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지능화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미세전류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시켜, 근육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제어명령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기와 연동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고,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제어명령 및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기기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 감지된 모션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제공하는 제어명령 제공부; 상기 제어명령과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는 LED 부; 및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적외선 신호를 홈 네트워크 제어부로 출력하는 IR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기와 연동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가락 착용 형태로 제작되고, 사용자의 제스처만으로도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여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스처 패턴에 따라 송출되는 제어명령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 1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센싱부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버튼부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 2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부의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무선충전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무선충전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부의 설치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 3구성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스처 패턴에 따라 송출되는 제어명령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및 홈 네트워크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가능한 원형 링의 반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제스처 인식에 기반하여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제어명령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모션 감지부(210), 제어명령 제공부(220), LED 부(230) 및 IR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신체(손가락)에 착용가능한 원형 링 또는 중공이 형성된 다면구조체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표면에 탈부착 가능한 캐릭터 표시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션 감지부(210)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모션)을 감지하도록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명령 제공부(220)는 상기 모션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움직임(모션)에 따른 제어명령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명령은 홈 네트워크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코드일 수 있다.
상기 LED 부(230)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제어명령과 대응하는 광을 출력한다. 상기 LED 부(230)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제어명령 별로 광 출력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제어명령 1은 LED_R, 제어명령 2는 LED_G, 제어명령 3은 LED_RG 등과 같이 설정된다.
상기 IR 출력부(240)는 제어명령이 포함된 적외선 신호를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부(30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상기 LED 부(230)에서 출력되는 광의 색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조작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부(230)은 상기 선택조작부(250)의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색의 광을 조사한다.
이때, 상기 제어명령 제공부(220)는 LED 부(230)에서 발광하는 색과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IR 출력부(24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명령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반하여 제공할 수 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저주파(고주파) 자극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고주파) 자극부(260)는 저주파(고주파) 생성부(261), 미세전류 생성부(262) 및 전극패드(2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고주파) 생성부(261)는 펌웨어를 이용하여 저주파 신호 또는 고주파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미세전류 생성부(262)는 저주파(고주파) 생성부(261)에서 생성한 저주파 신호 또는 고주파 신호에 따른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생성한다.
상기 전극패드(263)는 한쌍으로 제작되며, 사용자의 신체(손가락)와 접촉되어, 미세전류 생성부(262)에서 생성한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제공한다.
따라서, 저주파(고주파) 자극부(260)는 상기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자극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손가락)의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고, 근육 경직으로 인한 피로감을 저감시키는데 사용된다.
한편 상기 저주파(고주파) 자극부(260)는 저주파(고주파) 'ON/OFF' 버튼의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비상상황시에 긴급호출을 요청할 수 있는 긴급호출부(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호출부(270)은 도 6을 참조하면, 호출부(271) 및 알람부(27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호출부(271)는 푸쉬 버튼을 통해 내부에 설정된 외부 디바이스로 호출신호를 출력, 예컨대, 호출부(271)에서 설정된 외부 디바이스는 현 위치에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소방서, 경찰서, 병원 등일 수 있다. 알람부(272)는 상기 호출신호에 기초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긴급호출부(270)은 상기 LED 부(230)과 연동할 수 있다.
상기 LED 부(230)은 호출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일정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블루투스 통신부(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단말의 전화 착신신호, 전화 벨소리에 기초하여 강약이 조절된 미세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미세전류 강약조절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 강약조절 어플리케이션은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생성 및 강약을 조절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 강약조절 어플리케이션은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부(280)를 페어링되면,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전화 착신신호에 기초하여 신체자극용 미세전류의 생성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는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착신음(벨소리) 또는 진동의 강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저주파(고주파) 자극부(260)는 미세전류 강약조절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된 인에이블 신호에 포함된 착신신호(착신음 또는 진동의 강약정보)에 비례하는 저주파 신호 또는 고주파 신호 의 크기에 비례하는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사용자 단말이 페어링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에 전화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미세전류 강약조절 어플리케이션은 전화 착신신호(착신음 또는 진동의 강약정보)에 상응하는 인에이블 신호를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제공한다.
이후,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저주파(고주파) 자극부(260)는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저주파 신호 또는 고주파 신호 및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단말에 전화 착신신호가 수신될 때 마다,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사용자의 신체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가 임의로 미세전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미세전류 강약 조절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부(300)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출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기기를 제어(온/오프)한다.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부(300)는 적외선 수신부(310), 제어명령 변환부(320), 통신부(330) 및 신호처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수신부(310)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송출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명령 변환부(320)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송출된 제어명령을 특정 형태의 코드로 변환한다.
상기 신호처리부(340)는 제어명령 변환부(320)에서 변환한 코드에 기초하여 제어신호(온/오프)를 생성한다.
상기 통신부(330)는 신호처리부(340)에서 생성한 제어신호(온/오프 신호)를 해당 홈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330)와 홈 네트워크 기기들 간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Z-WA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는 예컨대, 스마트 TV, 셋톱박스, 로봇 청소기, 냉장고, 세탁기, 스마트 폰, 댁내 전화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부(300)는 홈 기기설정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 설정부(350)는 홈 네트워크 기기를 개별 또는 그룹단위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그룹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기기 설정부(350)를 통해 하나의 제어신호로 복수 개의 홈 네트워크 기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홈 네트워크 기기 설정부(350)는 제어하고자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설정등록 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는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위치정보, 통신 ID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 등록은 사용자가 직접 등록하거나 또는 각 홈 네트워크 기기에 구비된 RF(Radio Frequency) 태그, 센서 등을 통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의 위치 정보는 예컨대, 냉장고는 주방(kitchen), TV는 거실(Living room)과 같이 홈 네트워크 기기가 위치된 룸의 명칭에 맵핑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홈 네트워크 기기 마다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위치를 디폴트 값으로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면, 손가락 착용 형태로 제작되고, 사용자의 제스처만으로도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저주파 또는 고주파 자극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도로를 줄여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에 착용하는 링 형상의 입력장치(2100) 및 입력장치의 하부에 위치되어 입력장치를 무선 충전하는 크래들(2200)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은 크래들(2200) 상에서 입력장치(2100)를 착용한 검지손가락이 구부려지는 것을 감지하여 해당 입력장치(2100)를 마우스로 사용하고, 해당 크래틀(2200)을 통해 입력장치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매커니즘을 가진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 1구성도이다.
상기 입력장치(2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10), 위치센싱부(2120), 기능버튼부(2130), 제어부(2140), 무선통신부(2150) 및 전원공급부(2160)를 각각 포함하는데, 이러한 입력장치(2100)는 크래들(2200) 상에서 충전을 감지하게 되면서 자동으로 전원이 온(On)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10)은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하우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섯 손가락 중 검지손가락의 첫째 마디(본원발명에 기재된 첫째 마디는 손톱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손가락 마디를 의미함)에 착용되어 검지손가락의 구부러짐에 의해 크래들(2200)의 하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이다.
특히, 하우징(21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모시리부에 보호부재(2111)를 각각 포함함으로써, 하우징(2110)과 크래들(2200)의 접촉시, 해당 보호부재(2111)가 크래들(2200)과 먼저 접촉함으로써 하우징(2110)을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치센싱부(2120)는 하우징에 설치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하우징의 위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센싱부의 구성도이다.
상기 위치센싱부(21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손가락의 구부러짐에 의해 하우징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해당 하우징의 위치 변화를 각각 센싱하는 광센서(2121), 자이로센서(2122), 가속도센서(2123) 및 자력센서(212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2121), 자이로센서(2122), 가속도센서(2123) 및 자력센서(2124)는 각각 하우징의 위치 변화를 센싱하여 해당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센싱신호를 발생시켜 후술하는 제어부(21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능버튼부(2130)는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어 엄지손가락의 터치가 가능한 다수의 기능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버튼부(2130)는 하우징의 양측면에 다수의 기능버튼을 각각 대응되게 구비함으로써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사용자가 각각 자신의 엄지손가락으로 해당 기능버튼을 용이하게 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버튼부의 구성도이다.
상기 기능버튼부(21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버튼으로 선택/실행버튼(2131), 메뉴버튼(2132) 및 추가기능버튼(2133)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선택/실행버튼(2131), 메뉴버튼(2132) 및 추가기능버튼(2133)은 각각 촉각센서(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엄지손가락의 터치시 해당 촉각센서가 센싱신호를 발생시켜 후술하는 제어부(21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선택/실행버튼(2131)은 일반 마우스에서 좌측 클릭 버튼과 대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선택/실행버튼(2131)이 한번 터치되는 경우 특정 명령어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두번 연속 터치되는 경우 해당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뉴버튼(2132)은 일반 마우스에서 우측 클릭 버튼과 대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메뉴버튼(2132)이 한번 터치되는 경우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해당 팝업창의 메뉴를 디스플레할 수 있다.
상기 추가기능버튼(2133)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40)는 하우징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위치제어신호 및 다수의 상기 기능버튼에 대응하는 각각의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14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제어모듈(2141) 및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제어모듈(2142)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제어모듈(2141)은 제어 대상 기기(미도시)의 마우스 커서를 상기 위치센싱부에서 센싱된 하우징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제어모듈(2141)은 위치센싱부(2120)에 포함된 광센서(2121), 자이로센서(2122), 가속도센서(2123) 또는 자력센서(2124)에서 각각 발생된 센싱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센싱신호와 각각 대응되는 실제 마우스 커서의 현재 위치를 특정한 위치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후술하는 무선통신부(2150)을 통해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제어 대상 기기가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능제어모듈(2142)은 기능버튼부(2130)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버튼 중 엄지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특정 기능버튼에 구비된 촉각센서의 센싱신호에 의해 해당 기능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제어모듈(2142)은 엄지손가락의 터치시 기능버튼부(2130)에 포함된 선택/실행버튼(2131), 메뉴버튼(2132) 또는 추가기능버튼(2133)에 각각 구비된 촉각센서에서 발생된 센싱신호와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후술하는 무선통신부(2150)을 통해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제어 대상 기기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2150)는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위치제어신호 및 기능제어신호를 제어 대상 기기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통신부(2150)는 제어 대상 기기와 블루투스 무선 통신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위치제어신호 및 기능제어신호를 각각 블루투스 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 대상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2160)는 상기 입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입력장치에 내장되어 상기 크래들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장치(2100)는 크래들(2200)로부터 충전되거나, 광센서(2121)를 통해 광센싱되는 경우, 마우스 모드로 작동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대상 기기의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켜 제어 대상 기기 상의 특정 명령어를 선택 및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2100)는 크래들(2200)로부터 충전되지 않거나, 광센서(2121)를 통해 광센싱되지 않는 경우 비(非)마우스 모드로 작동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입력장치는 비마우스 모드로 리모컨 모드 또는 게임 모드로 각각 작동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 2구성도이다.
상기 입력장치(21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입력장치를 상기한 마우스 모드나, 비마우스 모드로 선택하기 위한 모드스위치(2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해당 입력장치를 마우스 모드로 작동시킬 경우, 입력장치(2100)에 구비된 모드스위치(2170)를 마우스 모드로 스위치 온(On) 하고, 해당 입력장치를 비마우스 모드로 작동시킬 경우, 해당 모드스위치(2170)를 비마우스 모드로 스위치 온(On) 함으로써 해당 입력장치를 마우스 모드 또는 비마우스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2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2110)에 구비되어 전원공급부(2160)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시킬 수 있는 충전식별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식별자(미도시)는 LED(light-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충전식별자가 예를 들어 적색 점멸, 적색 점등 또는 청색 점등을 하는 경우, 각각 비정상적인 충전 상태, 정상적인 충전 상태 또는 충전 완료 상태를 각각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입력장치(2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미사용시에 별도의 착탈부재(미도시)를 통해 크래들(2200)과 결합함으로써 크래들 상에 안착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한편, 상기 크래들(2200)은 입력장치의 하부에 위치되어 입력장치를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해당 입력장치의 활동영역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크래들(2200)은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즉,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면체나 평면체로 이루어지는 크래들(2200) 상에서 입력장치(2100)를 검지손가락에 착용한 상태에서 키보드의 타이핑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래들(2200)은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손바닥이 위치하는 상부면(2220)과,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이 구부려져 움직이는 영역인 측면(2230)을 각각 포함하는데, 해당 경우, 상부면(222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의 손바닥이 안착되는 홈 형상의 안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200)은 평면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손목이 위치하는 손목보호부(2240)와,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이 구부려져 상기 광센서(2121)와 수평을 이루는 센싱영역부(225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해당 경우, 입력장치(2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광센서(2121)가 배치된 하우징(2110)의 저면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구조(즉, 저면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해당 구조의 경우, 사용자가 광센서(2121)를 센싱영역부(2250)와 수평이 되도록 하기 위해, 검지손가락을 입력장치(2100)의 저면이 평행한 구조의 경우보다 더 구부리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엄지손가락으로 입력장치(2100)의 기능버튼을 더 쉽게 터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다면체형 또는 평편체형 크래들(2200)은 각각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입력장치(2100)와 동일하게, 해당 입력장치를 마우스 모드 또는 비마우스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는 모드스위치(2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크래들(2200)에 구비된 모드스위치(2210)를 마우스 모드로 스위치 온(On) 하여 해당 입력장치를 마우스 모드로 작동시키거나, 해당 모드스위치(2210)를 비마우스 모드로 스위치 온(On) 하여 해당 입력장치를 비마우스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2100) 및 상기 크래들(2200)은 각각 상기 전원공급부(2160)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충전부(2300)를 포함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부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충전부(3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2200)에 구비되는 제1 무선충전모듈(2310) 및 입력장치(2100)에 구비되는 제2 무선충전모듈(2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무선충전모듈의 구성도이다.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23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크래들(2200)에 구비되어 입력장치(2100)로 충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1 무선충전모듈(231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기(2311) 및 송신코일(2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진기(2311)는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교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발진기(2311)는 크래들(2200)에 구비된 USB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교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송신코일(2312)은 발진기에서 발생된 교류의 이동에 의해 송신코일 주변에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부의 설치도이다.
한편,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2310)은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크래들(2200)에 구비될 수 있다.
해당 경우, 제1 무선충전모듈(231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송신코일(2312)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송신코일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며 다면체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됨으로써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은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체로 이루어지는 크래들(2200)에 구비될 수 있다.
해당 경우, 제1 무선충전모듈(2310)은 센싱영역부(2250)에 하나의 송신코일(2312)만이 위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무선충전모듈의 구성도이다.
상기 제2 무선충전모듈(2320)은 크래들로부터 공급받은 충전 전원으로 전원공급부(2160)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2 무선충전모듈(232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코일(2321), 정류기(2322) 및 전압조정기(2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코일(2321)은 송신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무선충전모듈은 1개 또는 2개의 수신코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수신코일이 2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수신코일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며 광센서(212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정류기(2322)는 수신코일에서 발생된 유도전류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전압조정기(2323)는 정류기에서 변환된 직류를 입력장치(2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설정 전압으로 조정하여 전원공급부로 공급함으로써 해당 전원공급부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 3구성도이다.
한편, 상기 입력장치(210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10)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2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에서는 제어부(2140)가 입력장치(2100)의 작동시간을 체크하여 해당 작동시간이 기설정된 작동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진동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어부(2140)는 진동제어신호를 통해 진동발생부(2180)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진동발생부(2180)가 진동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장치(2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통해 입력장치의 사용을 중단함으로써 자신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는 손가락에 착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마우스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손목의 통증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어 디지털 기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력장치와 같이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을 직접 터치할 필요가 없어 해당 디지털 기기의 긁힘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손가락에 착용하여 사용시 전원이 무선 충전되므로 별도의 전원을 교체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1)

  1.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고,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제어명령 및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기기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
    감지된 모션에 따른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제공하는 제어명령 제공부;
    상기 제어명령과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는 LED 부; 및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적외선 신호를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부로 출력하는 IR 출력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LED 부에서 출력되는 광의 색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 제공부는
    상기 선택조작부의 선택신호 수신시, 상기 선택신호와 연관된 제어명령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저주파(고주파) 자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주파(고주파) 자극부는
    펌웨어를 이용하여 저주파 신호 또는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저주파(고주파) 생성부;
    상기 저주파 신호 또는 고주파 신호에 따른 상기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미세전류 생성부; 및
    상기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한쌍의 전극패드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하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주파(고주파) 자극부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화 착신신호에 따른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강약이 조절된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미세전류 강약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는 착신 벨소리 및 착신 진동의 강약정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긴급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호출부는
    푸쉬 버튼을 통해 내부에 설정된 디바이스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호출부; 및
    상기 호출신호에 기초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ED 부는
    상기 호출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일정시간 동안 출력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8.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고,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고, 감지된 모션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제공하는 제어명령 제공부;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명령과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는 LED 부; 및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적외선 신호를 홈 네트워크 제어부로 출력하는 IR 출력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ED 부에서 출력되는 광의 색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 제공부는
    상기 선택조작부의 선택신호 수신시, 상기 선택신호와 연관된 제어명령을 제공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저주파(고주파) 자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주파(고주파) 자극부는
    펌웨어를 이용하여 저주파 신호 또는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저주파(고주파) 생성부;
    상기 저주파 신호 또는 고주파 신호에 따른 상기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미세전류 생성부; 및
    상기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한쌍의 전극패드를 포함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긴급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호출부는
    푸쉬 버튼을 통해 내부에 설정된 외부 디바이스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호출부; 및
    상기 호출신호에 기초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하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주파(고주파) 자극부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화 착신신호에 따른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강약이 조절된 신체자극용 미세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미세전류 강약 조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는 착신 벨소리 및 착신 진동의 강약정보를 포함하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신체자극용 미세전류의 강약을 조절하기 위한 강약 조절 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원형 링 또는 중공이 형성된 다면구조체이며,
    표면에 탈부착 가능한 캐릭터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손가락에 착용하는 링 형상의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의 하부에 위치되어 해당 입력장치를 무선 충전하는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링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하우징의 위치 변화를 센싱하는 위치센싱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어 엄지손가락의 터치가 가능한 다수의 기능버튼이 구비된 기능버튼부;
    상기 하우징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위치제어신호 및 다수의 상기 기능버튼에 대응하는 각각의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위치제어신호 및 기능제어신호를 제어 대상 기기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입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손가락 중 검지손가락의 첫째 마디에 착용되고,
    하우징 저면의 모시리부에 보호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싱부는,
    상기 하우징의 위치 변화를 각각 센싱하는 광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자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버튼부는,
    상기 기능버튼으로 선택/실행버튼, 메뉴버튼 및 추가기능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실행버튼, 메뉴버튼 및 추가기능버튼은 각각 촉각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마우스 커서를 상기 위치센싱부에서 센싱된 하우징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제어모듈; 및
    상기 기능버튼부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버튼 중 상기 엄지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특정 기능버튼에 구비된 촉각센서의 센싱신호에 의해 해당 기능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위치제어신호 및 기능제어신호를 각각 블루투스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크래들로부터 충전되거나 상기 광센서를 통해 광센싱이 되는 경우 마우스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크래들로부터 충전되지 않거나 상기 광센서를 통해 광센싱이 되지 않는 경우 비마우스 모드로 작동하되,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크래들 상에서 충전을 감지하게 되는 경우 자동으로 전원이 온(On) 되고,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충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미사용시 상기 크래들과 결합하여 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 또는 상기 크래들은,
    상기 입력장치를 상기 마우스 모드나 비마우스 모드로 선택하기 위한 모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크래들은,
    상기 전원공급부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크래들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장치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무선충전모듈; 및
    상기 입력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크래들로부터 공급받은 충전 전원으로 상기 전원공급부를 충전하는 제2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은,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교류를 발생시키는 발진기; 및
    상기 발진기에서 발생된 교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송신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수신코일;
    상기 수신코일에서 발생된 유도전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및
    상기 정류기에서 변환된 직류를 설정 전압으로 조정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를 충전하는 전압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사용자의 손바닥이 위치하는 상부면과,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이 구부려져 움직이는 영역인 측면을 각각 포함하는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은,
    다수의 송신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코일은 병렬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사용자의 손목이 위치하는 손목보호부와,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이 구부려져 상기 광센서와 수평을 이루는 센싱영역부를 각각 포함하는 평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센싱영역부에 하나의 송신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충전모듈은,
    2개의 수신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코일은 병렬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광센서의 양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이 평면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광센서가 배치된 하우징의 저면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저면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가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여 작동되는 경우, 상기 진동발생부를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PCT/KR2018/011051 2018-03-30 2018-09-19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WO201919000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643 2018-03-30
KR20180037643 2018-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0008A1 true WO2019190008A1 (ko) 2019-10-03

Family

ID=6806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1051 WO2019190008A1 (ko) 2018-03-30 2018-09-19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19000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071A (ko) * 2013-12-04 2015-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
KR20150082079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홈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60128701A (ko) * 2015-04-29 2016-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KR101678292B1 (ko) * 2015-02-03 2016-11-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027624A (ko) * 2015-09-02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크래들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071A (ko) * 2013-12-04 2015-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
KR20150082079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홈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678292B1 (ko) * 2015-02-03 2016-11-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128701A (ko) * 2015-04-29 2016-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KR20170027624A (ko) * 2015-09-02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크래들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45947A1 (e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WO2017188801A1 (ko) 동작-음성의 다중 모드 명령에 기반한 최적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WO201515254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flip cover thereof
WO2016182181A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피드백 제공 방법
WO2018066841A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connectable t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074062A1 (en) Adapting user interface of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remote control device
WO2018124809A1 (ko) 착용형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WO2018143509A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WO2018208093A1 (ko)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WO2021020851A1 (en) Electronic device identifying gesture with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20076055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en inpu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6104824A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342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EP3791254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WO2019190008A1 (ko)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WO2020111727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90040768A (ko)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WO2020013542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WO2016080565A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45614A1 (ko)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0171607A1 (ko) 온도 변화에 따른 오류 터치를 방지하는 터치 회로, 터치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6137070A1 (ko)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032668A1 (ko)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164178A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전자 장치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
WO2020022617A1 (ko) 복수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배열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외부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122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122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