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071A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071A
KR20150065071A KR1020130150167A KR20130150167A KR20150065071A KR 20150065071 A KR20150065071 A KR 20150065071A KR 1020130150167 A KR1020130150167 A KR 1020130150167A KR 20130150167 A KR20130150167 A KR 20130150167A KR 20150065071 A KR20150065071 A KR 20150065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stimulus
stimulation
pattern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421B1 (ko
Inventor
카르심 유세프
이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421B1/ko
Priority to US14/555,944 priority patent/US9886842B2/en
Priority to EP14195819.9A priority patent/EP2881842B1/en
Publication of KR2015006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신체에 착용시 자극을 전달하는 자극 발생부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자극의 전달 패턴을 다르게 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OF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자극을 발생시키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수행하면서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등을 들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손목에 시계처럼 착용이 가능하며, 휴대폰처럼 전화를 걸 수 있고,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을 보내거나, 웹서핑을 하는 등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 글래스는 안경과 같이 가볍게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물체를 촬영 하거나 영상을 시청하는 등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을 하므로 신체와 접촉부위가 생긴다. 일반적인 디바이스는 동작 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사운드를 발생시키거나 디스플레이 상에 특정한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있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처럼 신체와 접촉을 하고 있는 특징이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동작 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한가지 더 있다. 즉, 사용자 신체에 자극을 줌으로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 신체에 적당한 자극을 줌으로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식은 간단한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부터 복잡한 상태까지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자극을 줄 것인지 문제된다. 이 경우 적절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설계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자극을 주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이나 청각이 디바이스로부터 자유로워지도록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다양한 패턴의 자극을 발생시켜 다양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신체에 착용시 자극을 전달하는 자극 발생부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자극의 전달 패턴을 다르게 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극 발생부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극 발생부는, 복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actuator)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를 순차적으로 진동시켜 원형, 타원형, 선형, 직사각형 및 점선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진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패턴화된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전화 수신을 알리는 제1 패턴의 자극, 전화의 상대방을 알리는 제2 패턴의 자극 및 전화의 성격을 알리는 제3 패턴의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제1 패턴의 자극, 메시지 중요도를 알리는 제2 패턴의 자극 및 메시지 성격을 알리는 제3 패턴의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극 발생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신체와 접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일 수 있다.
상기 자극 발생부는, 압력 발생부, 전기 자극 발생부, 촉감 발생부 및 온도 자극 발생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밴드를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자 신체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상기 사용자 신체에 착용시 상기 밴드의 일부를 자동적으로 권취시키는 권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 카운트가 증가할 때까지 상기 밴드의 일부에 대한 권취를 계속하다가 상기 회전 카운트가 중지하는 경우 상기 회전 모터가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자 신체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와, 상기 밴드의 착용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착용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 상태 표시부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종류에 따라 자극의 전달 패턴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자극의 전달 패턴에 따라 자극을 발생시켜 신체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자극을 발생시켜 신체로 전달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actuator)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을 발생시켜 신체로 전달하는 단계는, 복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actuator)를 순차적으로 진동시켜 원형, 타원형, 선형, 직사각형 및 점선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진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을 발생시켜 신체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자극의 전달 패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패턴화된 자극을 전달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전화가 걸려오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종류에 따라 자극의 전달 패턴을 결정한다. 이 경우 전화 수신을 알리는 제1 패턴의 자극, 전화의 상대방을 알리는 제2 패턴의 자극 및 전화의 성격을 알리는 제3 패턴의 자극을 상기 신체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메시지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종류에 따라 자극의 전달 패턴을 결정한다. 이 경우,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제1 패턴의 자극, 메시지 중요도를 알리는 제2 패턴의 자극 및 메시지 성격을 알리는 제3 패턴의 자극을 상기 신체로 전달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을 발생시켜 신체로 전달하는 단계는, 압력 발생부, 전기 자극 발생부, 촉감 발생부 및 온도 자극 발생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자극을 주어 사용자에게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이나 청각이 디바이스로부터 자유로워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다양한 패턴의 자극을 발생시켜 다양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멀티 레벨의 패턴 자극을 발생시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멀티 레벨의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양한 패턴의 자극 발생 수단에는 제약이 없으며, 다양한 구현 예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자극을 주어 사용자에게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이나 청각이 디바이스로부터 자유로워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다양한 패턴의 자극을 발생시켜 다양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면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자극 발생부의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스마트 워치의 하단부에 다양한 자극 발생부가 결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패턴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순차 진동 패턴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레벨 알림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면도,
도 15 내지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8는 본 발명의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9 내지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자극 발생부(110)와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자극 발생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신체에 착용시 사용자 신체에 자극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자극 발생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극 발생부(110)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진동 모듈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로 구성되며, 코인형 진동 모터 (Coin Type Vibration Motor), 편심 모터 및 보이스 코일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는 코일형으로 설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액추에이터는 고정된 영구자석과 진동하는 영구자석, 진동판과 코일을 포함한다. 이때, 엑추에이터는 고정부측 영구자석과 진동부측 영구자석이 서로 동일한 극성으로 마주보도록 설계되며, 전류가 코일에 인가되기 전에는 고정부측 영구자석에 의해 진동부측 영구자석이 척력을 받아 진동판이 밀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따른 신호의 전달 등으로 전기적 신호, 즉, 전류가 코일에 인가되어 주기적으로 전류의 방향을 변환시키면, 코일의 중심부에 배치된 코어를 통해 발생되는 전자기장과 고정부측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진동부가 진동판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진동부가 진동한다.
엑추에이터는 피에조 또는 폴리머 엑추에이터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엑추에이터는 기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엑추에이터를 공진 주파수로 진동시키는데, 제1 동작 모드에 따라 엑추에이터를 공진 주파수로 진동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동작 모드와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제2 동작 모드에 따라 엑추에이터를 상기 공진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구동 주파수로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는 필요한 반응 속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예를 들어 전화가 수신되었을 경우일 수 있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예를 들어 문자 입력 또는 게임 등을 구동시킬 경우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같이 전화가 수신된 경우에는 반응 속도보다는 진동이 크게 오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진동력이 가장 큰 공진 주파수로 엑추에이터를 진동시키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와 같이 문자 입력 또는 게임 등을 구동 시키는 경우에는 진동력보다는 반응 속도가 중요하므로, 공진 주파수와 주파수가 다른 구동 주파수로 엑추에이터를 진동시킬 수 있다.
공진 주파수는 엑추에이터의 물질 고유의 공진 주파수를 의미하며, 이러한 공진 주파수는 엑추에이터의 두께, 길이 개수 등에 의해서 좌우될 수 있다.
이러한 공진 주파수는 공진력이 크지만 반응 속도가 느리고, 공진 주파수와 주파수가 다른 구동 주파수는 공진력이 작지만 반응 속도가 빠르다. 여기서 반응 속도는 사용자가 접촉 압력을 인가한 이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반응이 수행되는 동안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구동 주파수는 상기 공진 주파수와 주파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 기 구동 주파수는 50Hz 이상 부터 공진 주파수 미만 까지의 주파수 중 또는 공진 주파수 초과 부터 500Hz 이하까지의 주파수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50Hz는 사용자가 진동으로 인지할 수 있을 정도의 주파수이고, 500Hz는 진동과 함께 소리가 발생하는 주파수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의 범위를 설정하는 기술적 의미가 된다.
그러나, 자극 발생부(110)는 상기와 같은 진동형 엑추에이터 외에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자극 발생부(110)는, 촉감 발생부, 압력 발생부, 전기 자극 발생부, 및 온도 자극 발생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촉감 발생부는 피부 이동 자극(Skin Displacement Stimuli- Stretching, Compression and Pressure Mechanisms)을 발생시킴으로써, 촉감을 발생시키거나 신경 입력 자극(Nerve Input Stimuli - Touch, Pain, Pressure, Texture Stimuli Mechanisms)을 발생시켜 촉감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그 밖에도 촉감 발생부는 부 피부 자극(Sub skin Stimuli - Epidermis, Dermis, Hypodermis and Adipose tissue Stimuli Mechanisms)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압력 발생부는 자극의 정도가 강한 촉감을 발생시킨다. 전기 자극 발생부는 전기적 자극(Electrical Stimuli -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lectromyostimulation, Electrotactile, Pitch and Variable Pulse Mechanisms)을 발생시킴으로써, 전기 자극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온도 자극 발생부는 온도 자극(Temperature Stimuli - Variable Heat, Chill Mechanisms)을 발생시킴으로써, 체온 변화를 느끼게 한다.
제어부(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자극의 전달 패턴을 다르게 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에 대해서는 뒤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과,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한다. 시스템 클럭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명령이 메모리에서 읽혀지며, 읽혀진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하드웨어의 각 구성요소들을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하기의 실시 예와 같이 스마트 워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실시 예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의 전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는 상기 자극 발생부(110)와 제어부(120)를 하우징(130)이 감싸고,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부는 디스플레이부(140)가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0)의 양측으로 손목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밴드(15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자극발생부(110)의 제어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상기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라면, 이에 대응되는 자극의 전달 패턴을 생성하도록 자극발생부(110)를 제어하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자극 발생부(110)의 엑추에이터(111)는 하우징(130)으로 돌출형성 될 수 있다. 또한, 뒤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서처럼 이 경우 자극 발생부(110)는, 복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복수의 진동형 엑츄 에이터는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므로, 좀더 복잡하고 다양한 패턴 정보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자극 발생부(110)는 진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것처럼 전기 자극 방식이나, 온도 변화 방식, 촉감 발생 방식, 압력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자극 발생부(110)의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진동 엑추에이터(111) 를 포함하는 자극 발생부(110-1)를 도시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의 하단부에 복수의 자극 전달부(1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신체에 착용시에 복수의 자극 전달부(112)는 신체와 접촉하며, 진동 자극이 발생되어 신체에 전달된다. 복수의 자극 발생부(110)는 독립적으로 자극을 발생시키므로 개별 자극을 조합하여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B)는 복수의 압력 엑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자극 발생부(110-2)를 도시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신체에 착용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신체 사이에 이격이 생기므로 자극이 제대로 전달되기 어렵다. 따라서, 도 4의 (B)와 같이 자극 발생부(110-2) 하단부에 날개 모양의 압력 전달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압력 전달부(113)는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하로 움직여서 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자극 발생부(110-2)의 영역이 구별되어 있는 경우 각 영역별로 개별적으로 압력이 전달되어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압력전달과 함께 진동이 전달될 수 있으며, 진동 전달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의 (C)는 촉감 자극을 발생시키는 브리슬(bristle : 솔)을 포함하는 자극 발생부(110-3)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C)와 같이 자극 발생부(110-3)의 배면,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배면에 솔(113)을 구비할 수 있다. 솔(113)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하면 모터(114)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상에서 이동하고,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여 신체에 촉감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모터(114)를 구동시켜 솔(113)을 이동시켜 자극 발생부(110-3)의 배면 상에 알파벳 ‘M’모양의 움직임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방식 외에도 다양한 자극 전달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어떠한 방식이건 간에 인간의 감각이 패턴을 구별할 수 있는 경우여야 한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스마트 워치로 구현되는 경우 자극 발생부(110)는 신체와 접촉하는 스마트 워치(10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자극 발생부(110)를 스마트 워치의 하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즉, 도 5는 스마트 워치의 하단부에 다양한 자극 발생부가 결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즉, 스마트 워치의 상단부(도 5의 (A))와 하단부(도 5의 (B))를 결합할 수 있다(도 5의 (C)참조).
전술한 것처럼 자극 발생부(110)는, 복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actuator)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패턴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어부(120)는, 복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111)를 진동시켜 원형, 타원형, 선형, 직사각형, 점선형, 및 기타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진동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A)의 경우 마름모형 진동을 형성하고 있고, (B)는 타원형 진동을 형성하고 있으며, (C)의 경우 수평 직선형 진동을 형성하고 있고, (D)는 수직선형 진동을 형성하고 있다.
도 7의 (A)의 경우 직사각형 진동을 형성하고 있고, (B)는 원형 진동을 형성하고 있으며, (C)의 경우 X형 진동을 형성하고 있고, (D)는 십자형 진동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복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111)를 순차적으로 진동시켜 원형, 타원형, 선형, 직사각형, 점선형, 및 기타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진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순차 진동 패턴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수직선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진동하는 형태의 진동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제일 처음에 가장 위 라인의 엑추에이터(111-1)가 진동하였고(A), 다음 라인의 엑추에이터(111-2)가 진동하였으며(B), 순차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엑추에이터(111-3, 111-4)가 진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C, D).
도 9는 직사각형 패턴을 따라 순차적으로 진동하는 형태의 진동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제일 처음에 가장 왼쪽 수직선 방향의 세 개의 엑추에이터(111-1)가 진동하였고(A), 다음 아래 세 라인의 엑추에이터(111-2)가 진동하였으며(B), 그 다음으로 제일 아래 라인의 세 개의 엑추에이터(111-3)가 진동하였고(C), 다음으로, 오른쪽 끝의 세 개의 엑추에이터(111-4)가 진동하였다(D).
도 10은 대각선 방향 패턴을 따라 순차적으로 진동하는 형태의 진동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제일 처음에 대각선의 가장 왼쪽 끝의 두 개의 엑추에이터(111-1)가 진동하였고(A), 다음 대각선 방향 아래 두 개의 엑추에이터(111-2)가 진동하였으며(B), 그 다음으로 나머지 엑추에이터(111-3, 111-4)가 두 개씩 진동하였다(C, D).
다만, 전술한 다양한 진동 패턴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그 밖의 다양한 패턴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자극의 전달 패턴을 공간적으로 달리한 것이라면, 이를 시간적으로 달리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패턴화된 자극을 전달하도록 자극 발생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전화 수신을 알리는 제1 패턴의 자극, 전화의 상대방을 알리는 제2 패턴의 자극 및 전화의 성격을 알리는 제3 패턴의 자극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어부(120)의 동작은 반드시 시간순으로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 패턴 자극, 제2 패턴 자극, 제3 패턴 자극은 그 자체만으로 구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패턴, 제2 패턴, 제1 패턴 순으로 수신하여도 패턴 자극 자체만으로 구별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어떤 상황이 발생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1 및 12는 이러한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즉,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레벨 알림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전화 수신을 알리는 제1 패턴의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패턴의 자극은 도 11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 직선의 형태(111-1)를 나타낸다. 또한, 제어부(120)는, 전화의 상대방을 알리는 제2 패턴의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전화의 상대방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이와 연결된 스마트 폰 등 장치의 전화번호 부 상의 단축번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머니’인 1번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아라비아 숫자인 1을 나타내야 하므로 시계의 ‘1시’로 이를 표현할 수 있다. 제2 패턴의 자극은 도 11의 B에 도시된 것처럼 ‘1시를’ 나타내는 시침과 분침의 형태에 대응되는 엑추에이터 진동(111-2)으로 표현된다. 또한, 제어부(120)는, 전화의 성격을 알리는 제3 패턴의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전화의 성격은 가족이나 친구로 등록된 것이라면 ‘급하지 않은 것’, 직장 동료로부터 온 것이거나 관공서로부터 온 것이라면 ‘급한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제3 패턴의 자극은 도 11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전자의 경우를 나타내는 직사각형 패턴의 진동 액츄에이터(111-3)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2의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제1 패턴의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패턴의 자극은 도 12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메시지를 의미하는 영어 알파벳의 ‘M’을 나타내는 엑추에이터(111-1) 진동으로 표현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시지 중요도를 알리는 제2 패턴의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 중요도는 상, 중, 하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엑추에이터의 라인 위치로 표현할 수 있다. 제2 패턴의 자극은 도 1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중요한 메시지에 해당하여 상위 라인의 엑추에이터 진동(111-2)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시지 성격을 알리는 제3 패턴의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 성격은 단문 메시지인지 장문 메시지인지 나뉠 수 있으며, 단문 메시지의 경우는 중앙부의 작은 액츄에이터 진동으로 표현되고 장문 메시지는 전체 면적에 걸친 엑추에이터 진동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실시 예의 경우 단문 메시지의 경우로 중앙부의 작은 엑추에이터 진동(111-3)으로 표현하고 있다. 상기 실시 예의 경우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이와 다른 실시 예의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 외에도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멀티 레벨 알림의 실시 예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를 알려주거나, 읽지 않는 메일을 알려주는 경우 등의 다양한 알림 서비스에서 다양한 레벨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스마트 워치의 밴드(150)의 배면(背面)에 상기 자극 발생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4)는 제어부(120)와 밴드(150)를 포함한다.
각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외에는 동일한 명칭의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전술한 구성과 상이하게 밴드(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4)의 동작 상태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4)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밴드(150)의 변형 형태를 다르게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원리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4)의 측면도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4)의 밴드(150)는 압전 효과를 이용하는 압전체(Z)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체(Z)에 전계(electric field)가 가해지면, 그 전계에 의해 압전체(Z)의 형상이 변형된다. 이를 압전 효과라 한다. 압전 효과를 이용해서 밴드(15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밴드(150)는 복수 개의 압전체(Z)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압전체(Z)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압전체(Z)들은 제2 보호층(미도시)에 의해 커버된다. 제2 보호층은 고무나 플라스틱, 기타 플렉서블한 특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전체(Z)들 사이 공간은 빈 스페이스(empty space)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압전체(Z)들은 유니몰프(unimorph) 형, 바이몰프(bimorph) 형, 적층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유니몰프 형이란 하나의 압전층이 디스크 형태의 메탈층 상에 적층된 형태를 의미한다. 바이몰프 형이란 두 개의 압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의미한다. 적층형이란 세라믹스 시트에 금속 전극 재를 인쇄하여 여러 장을 압착한 후 내부에 전극을 포함시켜 소결하여 제작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4)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압전체(Z)를 이용하여 밴드(15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도 14의 (A)는 밴드(150)가 변형되기 전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4)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14의 (B)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4)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밴드(150)가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밴드(150)가 변형된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알게 된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밴드(150)가 손목을 조일 수 있다. 그리고, 노티스(notice)의 종류에 따라 밴드(150)의 변형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밴드의 변형은 자극의 전달 패턴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밴드(150)를 독립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벤트를 노티스 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100-1, 100-2, 100-3, 100-4)는 발생된 자극을 신체에 좀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신체에 착용시 밴드(150)를 신체에 밀착시킬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밴드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는, 자극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자극을 사용자 신체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와 사용자 신체를 밀착시킨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를 신체에 착용하는 경우 이러한 자동 최적 착용 기능(Automatic Best Fit)이 수행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가 사용자 신체와 밀착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는 밴드(150)의 연결 부위 사이에 인위적인 체결이 이루어진 경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신체 착용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할 수 있다. 신체 착용이 이루어진 경우 자동적으로 자동 최적 착용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에 마련된 특정한 키를 누르는 등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최적 착용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를 사용자 신체에 착용시 밴드의 일부(150-1)를 자동적으로 권취시키는 권취부(155)를 포함한다. 권취부(155)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에 포함된 회전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밴드의 일부(150-1)를 권취부(155)의 하우징 내부로 권취시킨다. 상기 회전 모터는 DC 기어 헤드 모터(Gearhead Motor)가 될 수 있다. 권취부(155)는 회전 모터의 회전 카운트가 증가할 때까지 밴드의 일부(150-1)에 대한 권취를 계속하다가 회전 카운트가 중지하는 경우 회전 모터를 중지시킨다. 권취부(155)의 하우징은 밴드의 일부(150-1)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설계 된다. 회전 모터가 중지된 경우 밴드(150)는 장력이 커진 상태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와 신체 사이에 밀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자극이 발생하는 경우 좀더 효과적으로 사용자 신체에 도달하게 된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를 더 이상 신체에 착용하지 않는 경우 밴드의 일부(150-1)는 릴리즈(release)되어 밴드(150)가 연장된다. 이 경우 권취부(155)는 역방향의 구동을 줄 수 있는 모터를 사용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에 마련된 특정한 키를 누르는 등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착용 해제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 최적 착용(Automatic Best Fit)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사용자가 수동으로 착용하고 착용상태를 인디케이터로 표시해주는 스마트 핏(Smart Fir)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6)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자극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자극을 사용자 신체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는 직접 밴드(150)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밴드(150)는 착용 상태 표시부(157)를 포함한다.
착용 상태 표시부(157)는 밴드(150)의 장력 상태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5)와 사용자 신체를 밀착 정도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발생된 자극이 사용자 신체에 제대로 전달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이러한 정보를 표시해준다. 도 16에 표시된 실시 예와 같이 착용 상태 표시부(157)는 복수 개의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인디케이터는 발생된 자극이 전달될 수 있는 밀착 상태를 표시해준다. 예를 들어, 각 인디케이터는 램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린 컬러 램프가 점등되면 자극의 전달이 양호함을 나타내며, 레드 컬러 램프가 점등되면, 정확한 자극의 전달이 어려울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통해 밴드(15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는 복수의 자극 발생부(110-1 ~ 110-n), 디스플레이부(140), 제어부(120), 버스(160), 센서부(170), 저장부(180), 통신부(190), 하우징(130), 비디오 처리부(210), 오디오 처리부(220), 버튼(230), 스피커(240), 인터페이스(250-1 ~ 250-m), 카메라(260), 마이크(270)를 포함한다.
각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내용 외에는 전술한 내용을 따른다.
센서부(170)는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터치 센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지자기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는 둘 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중 하나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14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4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80)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자극의 전달 패턴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선형, 직사각형 및 점선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진동 경로를 형성하는 자극의 전달 패턴이 저장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에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패턴화된 자극을 전달하는 자극 전달 패턴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80)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운영체제, 전술한 제어부(120)의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기타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부(19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9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주로 통신부(19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것이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중계장치와 연결되어 인터넷 상의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94)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이다.
기존의 무선 전화망을 이용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셀룰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3세대) 이동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즉,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및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중 적어도 하나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4G(4세대) 이동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2.3GHz(포터블 인터넷)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또는 와이브로(WiBro)는 고속으로 움직일 때도 사용 가능한 인터넷 기술이다.
또한, 4세대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LTE는 WCDMA의 확장 기술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과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 다중 안테나)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WCDMA 기술을 활용한 것이므로 기존의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넓은 대역폭을 갖고 효율성이 높은 와이맥스, 와이파이, 3G, LTE 등이 활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본적으로 데이터 전송량이 많다고 볼 수는 없으므로 좀더 효율적인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다.
와이파이(WIFI) 칩(191)은 IEEE 802.11 기술 규격에 따르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IEEE 802.11 기술 규격에 따르면, 단일 캐리어 DSSS(Single Carrier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으로 불리는 대역확산 방식의 무선 통신 기술과, 다중캐리어 OFDM(Multi Carrier Orthogonal Frequency Multiflexing)으로 불리는 직교 주파수 분할 방식의 무선 통신 기술이 사용된다.
NFC 칩(193)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한다.
블루투스 칩(19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는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칩이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처리부(21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2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22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20) 및 비디오 처리부(21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나 DMB 방송 신호 등을 처리하여 재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비디오 처리부(210)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240)는 오디오 처리부(22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로 구성되는데,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LCD로 구현될 경우에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이 요구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나 LED와 같은 광원이 직하형 또는 에지형으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 백라이트를 제공한다.
패널 구동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패널 구동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패널 구동부는 a-si TFT(Thin Film Transistor),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패널 구동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화소 셀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체 및 그 유기 발광체의 양면을 덮는 전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구동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화소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트랜지스터는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연결된 화소 셀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그 밖에, 컬러 필터도 더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부(140)는 전자 종이(e-paper)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종이는 정전하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볼을 이용하는 방법과, 전기영동법과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방법, 콜레스테롤 액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구현되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버튼(23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카메라(26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260)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27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20)는 마이크(2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8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260) 및 마이크(27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20)는 마이크(2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260)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는 터치, 버튼 입력 뿐 아니라,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카메라(26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음성이나 사용자 모션, 버튼(230) 조작 등에 기초하여, 각 자극 발생부(110-1 ~ 110-n)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 밖에,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250-1 ~ 250-m)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1)는 전원부(미도시)도 더 포함한다. 전원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4)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술한 제어부(120)의 동작은 저장부(18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80)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제스쳐, 자극 발생부의 구동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4)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ROM(Read Only Memory)(121), RAM(Random Access Memory)(122), CPU(Central Processing Unit)(123), GPU(Graphic Processing Unit)(124), 시스템 버스(125)를 포함한다.
ROM(121), RAM(122), CPU(123), GPU(124)는 시스템 버스(12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2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8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1)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23)는 ROM(121)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80)에 저장된 O/S를 RAM(122)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23)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22)에 복사하고, RAM(122)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CPU(124)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의 동작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22)에 복사하고, 대기 상태에 진입시킨다. 이메일,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전화가 걸려오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자극의 전달 패턴을 결정한다. 이러한 자극의 전달 패턴은 자극 발생부(110-1 ~ 110-n)의 주소 정보, 방향 정보, 구동 신호 정보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은 결정된 자극의 전달 패턴에 따라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자극 발생부(110-1 ~ 110-n)로 인가될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운영체제에 자극 발생부의 동작을 요청한다. 운영체제는 핸들러를 통해 자극 발생부(110)를 동작시킨다.
GPU(12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4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연산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의 동작 상태에 따른 정보를 연산하고, 렌더링부는 연산된 정보를 프레임 레이트에 맞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가 발생시키는 자극은 촉각에 의해 전달을 하는 것이므로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시각적인 정보 전달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시각적인 정보 전달은 멀티 레벨 알림과 같이 복잡한 정보 전달의 경우 도움이 된다. 도 11의 (B)에서 시침과 분침의 형태에 대응되는 엑추에이터 진동(111-2) 으로 전화의 상대방이 1번으로 저장된 ‘어머니’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가 1번이 ‘어머니’라는 것을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면, 이 방법은 효율적이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현재 전화가 온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해줄 필요가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7)가 밴드(150)에 압전체(Z)를 더 포함하는 경우, 압전체(Z)는 구동부(175)와 연결된다. 구동부(175) 제어부(120)로부터의 제어 입력에 따라 전기 신호를 변화시키는 구동 입력을 압전체(Z)로 가한다. 압전체(Z)는 입력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모양이 틀어진다. 압전체(Z)의 모양 변화에 따라 밴드(150)의 모양도 변하게 된다.
도 18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 따르면, 저장부(180)에는 베이스 모듈(181), 센싱 모듈(182), 통신 모듈(183), 프리젠테이션 모듈(184), 웹 브라우저 모듈(185), 서비스 모듈(18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81)이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81)은 스토리지 모듈(181-1), 위치 기반 모듈(181-2), 보안 모듈(181-3), 네트워크 모듈(181-4)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8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CPU(123)는 스토리지 모듈(181-1)을 이용하여 저장부(18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위치 기반 모듈(181-2)이란 GPS 칩 등과 같은 각종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보안 모듈(181-3)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81-4)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82)은 센서부(170)에 포함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의 좌표값, 터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등과 같은 조작 속성을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그 밖에, 경우에 따라서는, 센싱 모듈(182)은 회전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터치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벤딩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인식 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70)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형상 변형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통신 모듈(18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8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18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18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8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8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18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8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18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18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8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86)이란 형상 변형이나, 사용자 음성, 모션, 터치, 버튼 조작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졌을 경우, 그 조작 내용에 매칭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가령, 서비스 모듈(146)은 워드 프로그램이나,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일정 관리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위젯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9 내지 22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이벤트가 발생하면(S1910-Y), 이벤트 종류에 따라 자극의 전달 패턴을 결정한다(S1920). 그리고, 상기 결정된 자극의 전달 패턴에 따라 자극을 발생시켜 신체로 전달한다(S1930).
이때, 상기 자극을 발생시켜 신체로 전달하는 단계(S1930) 적어도 하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actuator)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을 발생시켜 신체로 전달하는 단계(S1930)는, 복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actuator)를 순차적으로 진동시켜 원형, 타원형, 선형, 직사각형 및 점선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진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을 발생시켜 신체로 전달하는 단계(S1930)는, 상기 결정된 자극의 전달 패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패턴화된 자극을 전달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전화가 걸려오는 이벤트가 발생하면(S2010-Y), 이벤트 종류에 따라 자극의 전달 패턴을 결정한다(S2020). 이 경우 전화 수신을 알리는 제1 패턴의 자극, 전화의 상대방을 알리는 제2 패턴의 자극 및 전화의 성격을 알리는 제3 패턴의 자극을 상기 신체로 전달할 수 있다(S2030, S2040, S2050).
도 2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메시지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S2110-Y), 이벤트 종류에 따라 자극의 전달 패턴을 결정한다(S2120). 이 경우,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제1 패턴의 자극, 메시지 중요도를 알리는 제2 패턴의 자극 및 메시지 성격을 알리는 제3 패턴의 자극을 상기 신체로 전달하는 것이 될 수 있다(S2130, S2140, S2150).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을 발생시켜 신체로 전달하는 단계는, 압력 발생부, 전기 자극 발생부, 촉감 발생부 및 온도 자극 발생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자극을 주어 사용자에게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이나 청각이 디바이스로부터 자유로워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다양한 패턴의 자극을 발생시켜 다양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멀티 레벨의 패턴 자극을 발생시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멀티 레벨의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이벤트가 발생하면(S2210-Y), 이벤트 종류에 따라 패턴을 결정한다(S2220). 그리고, 상기 결정된 패턴에 따라 밴드의 형상을 변형시킨다(S2230).
이때, 이벤트가 발생되면, 밴드를 조여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양한 패턴의 자극 발생 수단에는 제약이 없으며, 다양한 구현 예를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 자극 발생부 120 : 제어부
130 : 하우징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밴드 160 : 버스
170 : 센서부 180 : 저장부
190 : 통신부 210 : 비디오처리부
220 : 오디오처리부 230 : 버튼
240 : 스피커 250 : 인터페이스
260 : 카메라 270 : 마이크

Claims (20)

  1.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신체에 착용시 자극을 전달하는 자극 발생부;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자극의 전달 패턴을 다르게 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발생부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발생부는,
    복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actuator)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를 순차적으로 진동시켜 원형, 타원형, 선형, 직사각형 및 점선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진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패턴화된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전화 수신을 알리는 제1 패턴의 자극, 전화의 상대방을 알리는 제2 패턴의 자극 및 전화의 성격을 알리는 제3 패턴의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제1 패턴의 자극, 메시지 중요도를 알리는 제2 패턴의 자극 및 메시지 성격을 알리는 제3 패턴의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발생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신체와 접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발생부는,
    압력 발생부, 전기 자극 발생부, 촉감 발생부 및 온도 자극 발생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밴드를 조여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자 신체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상기 사용자 신체에 착용시 상기 밴드의 일부를 자동적으로 권취시키는 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 카운트가 증가할 때까지 상기 밴드의 일부에 대한 권취를 계속하다가 상기 회전 카운트가 중지하는 경우 상기 회전 모터가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자 신체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 및
    상기 밴드의 착용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착용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상태 표시부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9.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 종류에 따라 자극의 전달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자극의 전달 패턴에 따라 자극을 발생시켜 신체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을 발생시켜 신체로 전달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형 엑추에이터(actuator)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 방법.
KR1020130150167A 2013-12-04 2013-12-04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 KR102205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167A KR102205421B1 (ko) 2013-12-04 2013-12-04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
US14/555,944 US9886842B2 (en) 2013-12-04 2014-11-28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of wearable device
EP14195819.9A EP2881842B1 (en) 2013-12-04 2014-12-02 Vibration pattern on a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167A KR102205421B1 (ko) 2013-12-04 2013-12-04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071A true KR20150065071A (ko) 2015-06-12
KR102205421B1 KR102205421B1 (ko) 2021-01-20

Family

ID=5223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167A KR102205421B1 (ko) 2013-12-04 2013-12-04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86842B2 (ko)
EP (1) EP2881842B1 (ko)
KR (1) KR1022054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912B1 (ko) * 2016-02-05 2016-12-02 (주)거노코퍼레이션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WO2017022873A1 (ko) * 2015-08-05 2017-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
WO2018230949A1 (ko) * 2017-06-13 2018-12-20 주식회사 비햅틱스 촉각자극 제공 장치
KR20190029552A (ko) * 2019-03-11 2019-03-20 주식회사 닷 전자 표시 장치
WO2019190008A1 (ko) * 2018-03-30 2019-10-03 김신일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689A1 (en) * 2016-02-24 2017-08-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otifications in a wearable device
US10915174B1 (en) * 2017-07-20 2021-02-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directional haptic output
KR101863649B1 (ko) * 2017-10-11 2018-06-04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커브드 햅틱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EP3650959A1 (fr) * 2018-11-07 2020-05-13 Tissot S.A. Procede de diffusion d'une alerte descriptive d'un message de notification
EP3650956A1 (fr) * 2018-11-07 2020-05-13 Tissot S.A. Procede de diffusion d'un signal acoustique
EP3650960A1 (fr) * 2018-11-07 2020-05-13 Tissot S.A. Procede de diffusion d'un message par une montre
US10890974B2 (en) 2018-11-07 2021-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magnetically actuating a haptic feedback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5848A (en) * 1991-01-31 1996-01-23 Jackson; Sandra R. Portable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blood pressure
KR20050055168A (ko) * 2003-12-05 2005-06-13 박주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세서리를 이용한 착신알림 및통화시스템
KR20060102724A (ko) * 2005-03-24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
US20120218091A1 (en) * 2011-02-25 2012-08-30 Reagan Inventions Ll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s to communicate through skin respons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20136A1 (en) 1990-06-18 1991-12-26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a variable frequency vibrator
US5282181A (en) * 1991-08-23 1994-01-25 Shelly Karen Entner Silent alarm timepiece
US6028531A (en) 1996-10-21 2000-02-22 Wanderlich; Ronald E. Terminal units for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EP0866592A3 (en) * 1997-03-20 1999-06-16 Nortel Networks Corporatio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and call process status signalling method
US6218958B1 (en) * 1998-10-08 2001-04-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ed touch-skin notification system for wearable computing devices
JP3784362B2 (ja) 2002-10-08 2006-06-07 田旗造園建設株式会社 携帯無線装置用ホルダー
AU2011229916B2 (en) 2010-03-25 2016-05-12 Reza Taghavi Tactile communication device for the neck
US8344862B1 (en) 2012-04-09 2013-01-01 John Donham Tactile messaging system
US8712383B1 (en) * 2012-06-21 2014-04-29 Google Inc. Tactile output device for computing device notifications
US20140180582A1 (en) * 2012-12-21 2014-06-26 Mark C. Pontarelli Apparatus, method and techniques for wearable navig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5848A (en) * 1991-01-31 1996-01-23 Jackson; Sandra R. Portable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blood pressure
KR20050055168A (ko) * 2003-12-05 2005-06-13 박주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세서리를 이용한 착신알림 및통화시스템
KR20060102724A (ko) * 2005-03-24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
US20120218091A1 (en) * 2011-02-25 2012-08-30 Reagan Inventions Ll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s to communicate through skin respons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873A1 (ko) * 2015-08-05 2017-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
US10136206B2 (en) 2015-08-05 2018-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outputting audio signal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KR101681912B1 (ko) * 2016-02-05 2016-12-02 (주)거노코퍼레이션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WO2017135534A1 (ko) * 2016-02-05 2017-08-10 (주) 거노코퍼레이션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WO2017135533A1 (ko) * 2016-02-05 2017-08-10 (주) 거노코퍼레이션 광원의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7135536A1 (ko) * 2016-02-05 2017-08-10 (주) 거노코퍼레이션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WO2017135535A1 (ko) * 2016-02-05 2017-08-10 (주) 거노코퍼레이션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284252B2 (en) 2016-02-05 2022-03-22 Kono Corporation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using visual afterimage of light source
US11910189B2 (en) 2016-02-05 2024-02-20 Kono Corporation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using visual afterimage of light source
WO2018230949A1 (ko) * 2017-06-13 2018-12-20 주식회사 비햅틱스 촉각자극 제공 장치
WO2019190008A1 (ko) * 2018-03-30 2019-10-03 김신일 다기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90029552A (ko) * 2019-03-11 2019-03-20 주식회사 닷 전자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81842B1 (en) 2018-08-01
EP2881842A2 (en) 2015-06-10
US20150154853A1 (en) 2015-06-04
KR102205421B1 (ko) 2021-01-20
US9886842B2 (en) 2018-02-06
EP2881842A3 (en)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421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
JP6346891B2 (ja) フレキシブル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9778744B2 (en) Orientation adjustable multi-channel haptic device
US10121455B2 (en) Attachable device with flexible electronic display orientation detection
Gemperle et al. Design of a wearable tactile display
US202100642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message
EP3200043B1 (en) Watch typ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60086568A1 (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Having Control Program Stored Thereon
CN109478392A (zh) 显示驱动方法、支持该方法的显示驱动器集成电路、包括该显示驱动器集成电路的电子设备
US20190101986A1 (en) Haptic actuator having a smart material actuation component and an electromagnet actuation component
CN105630153A (zh) 用于控制多个输入/输出装置的装置和方法
CN109002250A (zh) 一种触控操作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05976852B (zh) 一种音乐播放器
CN110109549A (zh) 应用通知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8604082A (zh) 一种智能手表以及振动控制方法
Hussein Wearable computing: Challenges of implementation and its future
CN108351681A (zh) 电子设备及其托架
US201902608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198072B2 (en) Haptic feedback for opportunistic displays
CN111163218A (zh) 一种交互提醒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2201378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message
KR101600944B1 (ko) 시계형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15102355A (zh) 一种透明的线性振动驱动器及阵列
KR20100118636A (ko) 탄성반력을 이용한 진동발생모듈
KR20160020863A (ko) 전자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