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863A -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863A
KR20160020863A KR1020140106146A KR20140106146A KR20160020863A KR 20160020863 A KR20160020863 A KR 20160020863A KR 1020140106146 A KR1020140106146 A KR 1020140106146A KR 20140106146 A KR20140106146 A KR 20140106146A KR 20160020863 A KR20160020863 A KR 20160020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electronic device
region
display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충환
이병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0863A/ko
Priority to PCT/KR2015/006482 priority patent/WO2016024714A1/ko
Publication of KR2016002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바디; 및 상기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바디에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하여 변형되지 않는 리지드(rigid)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바디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밴딩되는 플래서블(flexible) 영역이며, 상기 바디는, 스트립 형태(strip type)의 제1 상태와, 상기 제2 영역이 밴딩되어 복수의 상기 제1 영역이 실질적으로 상호 접촉된 제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디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바디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최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형태가 구현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구성 및/또는 UI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바디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바디; 및 상기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바디에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하여 변형되지 않는 리지드(rigid)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바디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밴딩되는 플래서블(flexible) 영역이며, 상기 바디는, 스트립 형태(strip type)의 제1 상태와, 상기 제2 영역이 밴딩되어 복수의 상기 제1 영역이 실질적으로 상호 접촉된 제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있을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디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제1,2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 전자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6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인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 전자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인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인 경우 동작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5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전자 디바이스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전자 디바이스(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제1,2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바디의 형상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 태양에 적합하도록 전자 디바이스(100)를 변형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상태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바디가 스트립 형태(strip type)으로 구성된 상태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내지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바디 상에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3 디스플레이(DP1, DP3)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양 끝단 영역에 위치하고, 제2 디스플레이(DP2)는 제1,3 디스플레이(DP1, DP3)의 사이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일 끝단에는 스피커(SPK)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DP1)가 위치한 끝단 영역에 스피커(SPK)가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타 끝단에는 인터페이스(IO)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디스플레이(DP3)가 위치한 끝단 영역에 인터페이스(IO)가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태의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U)의 목(N)에 착용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가 아치형상(arch-shape)이므로 사용자(U)의 목(N)에 착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U)의 목에 착용된 전자 디바이스(100)를 통해, 콜 수신, 음악 감상, 구두 및/또는 터치를 통한 명령입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로 수신된 콜을 전달받아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가 진행되는 상황에서도 양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 상태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바디가 감긴형상(coiled shape)으로 구성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에 있을 때,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ZX 평면상에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가 나란히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손목(W)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감겨진 부분이 시계줄과 같은 기능을 하여 시계 타입 또는 팔찌 타입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U)의 목(N)에 착용될 수 있는 제1 상태와 사용자(U)의 손목(W)에 착용될 수 있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형가능함으로 인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성이 높아진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아치형상의 스트랩 형태인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바디는, 리지드 영역(rigid area, R1내지 R3)과 플랙서블 영역(flexible area, F1, F2)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일 끝단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리지드 영역(R1), 제1 플랙서블 영역(F1), 제2 리지드 영역(R2), 제2 플랙서블 영역(F2), 제2 플랙서블 영역(F2), 제3 리지드 영역(R3)이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은, 전자 디바이스(10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외력에 저항하여 변형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적게 변형되는 영역일 수 있다.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의 내부에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자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지드 영역(R1 내지 R3) 내에는 디스플레이, 배터리, 스피커, 인터페이스, 마이크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은, 제1 상태일 때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나 제2 상태가 되면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에 디스플레이가 위치하는 경우에, 제2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가 인접하여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플랙서블 영역(F1, F2)은, 전자 디바이스(100)에 외력이 가해질 때 변형이 발행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바디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밴딩(bending)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플랙서블 영역(F1, F2)이 밴딩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플랙서블 영역(F1, F2)과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은, 각각 고유한 회전방향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지드 영역(R1 내지 R3) 각각은 RR1 내지 RR3의 회전반경을 가지고, 플랙서블 영역(F1, F2) 각각은 RR4, RR5의 회전반경을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회전반경 RR1 내지 RR5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 전체의 형상은 원형에 가깝게 될 수 있다.
회전반경 RR1 내지 RR5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의 회전반경은 상대적으로 크고 플랙서블 영역(F1, F2)의 회전반경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 전체의 형상은 아치형에 가깝게 될 수 있다.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의 회전반경 RR1, RR2, RR3를 손목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의 회전반경을 손목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설계하면, 제2 상태로 변경된 전자 디바이스(100)의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플랙서블 영역(F1, F2)의 회전반경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외력이 가해질 때 플랙서블 영역(F1, F2)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랙서블 영역(F1, F2)이 보다 자연스럽게 밴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을 실질적으로 평탄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랙서블 영역(F1, F2)은 RR6, RR7의 회전반경을 가지지만,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은 평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이 평탄하게 설계된 경우에는, 제2 상태로 변경된 상태에서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에 표시된 영상에 대한 식별력이 높아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바디는, 복수의 레이어가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바디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는, 경도(hardness)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재질의 레이어와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레이어가 적층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레이어의 경도는, 해당 부분이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인지 플랙서블 영역(F1, F2)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레이어의 경도는, 밴딩되는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바디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는, 제1 내지 3 레이어(L1 내지 L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이어(L1)는, 저경도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경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이 가해져도 쉽게 변형 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레이어(L1)는, 탄성변형할 수 있다. 즉,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최초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레이어(L1)의 경도가 낮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제1 레이어(L1)는 탄성변형될 수 있다.
제2 레이어(L2)와 제3 레이어(L3)는, 고경도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경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큰 외력이 가해져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3 레이어(L2, L3)는, 제2,3 레이어(L2, L3) 사이에 위치한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에 마련된 디스플레이(DP)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3 레이어(L2, L3)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외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DP)는,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DP)는, 적어도 하나의 LED(LD)와, LED패드(LP)를 포함할 수 있다. LED패드(LP)에는 미세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수의 미세 통공은, LED(LD)에서 생성된 빛이 외부에서 관측될 수 있도록 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DP)의 구조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2,3 레이어(L1, L2, L3)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각 부분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랙서블 영역(F1, F2)에서는 고경도 탄성부재인 제2,3 레이어(L2, L3)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즉, 플랙서블 영역(F1, F2)은,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강성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경도 탄성부재(La)와 고경도 탄성부재(Lb)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밴딩이 용이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부품(E)을 중심으로 하여 상측에는 저경도 탄성부재(La)가 배치되고, 하측에는 고경도 탄성부재(Lb)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력(F1)이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밴딩되도록 하는 제1 외력(F1)이 작용할 수 있다. 제1 외력(F1)이 작용하면, 저경도 탄성부재(La)는 쉽게 신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력(F1)에 의해 밴딩되며 외측방향(EL)으로 쉽게 신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저경도 탄성부재(La)의 신장으로 인하여 바디는 쉽게 변형되어, RRa 회전반경 만큼 밴딩될 수 있다.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방향의 제2 외력(F2)이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밴딩되도록 하는 제2 외력(F2)이 작용할 수 있다. 제2 외력(F2)이 작용하면, 고경도 탄성부재(Lb)에 힘이 작용될 수 있다. 고경도 탄성부재(Lb)는, 저경도 탄성부재(La)에 비하여 변형에 저항하는 힘이 클 수 있다. 따라서 고경도 탄성부재(Lb)는 제2 외력(F2)이 가해져도 쉽게 밴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바디는, RRa 보다 작은 RRb 만큼 밴딩될 수 있다. 즉, 방향이 다르고 동일한 크기의 제1,2 외력(F1, F2)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힘의 방향에 따라 변형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 전자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 상태는, 제1 상태와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제2 상태는, 제1 상태와 다른 신체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고 제2 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는 넥밴드(neck bend) 상태에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상태에서, 제1,2 방향(B1, B2)의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전자 디바이스(100)의 끝부분을 잡고 내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방향(B1, B2)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대적으로 약한 플랙서블 영역(F1, F2)이 밴딩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랙서블 영역(F1, F2)이 밴딩되며 전자 디바이스(100)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코일 스프링과 같이 꼬여진 형태로 되면, 사용자는 제2 리지드 영역(R2) 방향으로 제1,3 리지드 영역(R1, R3)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3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은, 실질적으로 상호 접촉될 수 있다. 제1,2,3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의 접촉강도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3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이 상호간에 밀착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약간의 틈이 있도록 느슨히 접촉된 상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다양한 접촉의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2,3 리지드 영역(R1 내지 R3)가 상호 접촉된 상태가, 제2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손목 등에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할 수 있다.
제1,2,3 리지드 영역(R1 내지 R3) 각각에는, 디스플레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상태가 되면 제1,2,3 리지드 영역(R1 내지 R3) 각각의 디스플레이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나란하게 위치됨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에 대한 시인성이 높아질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같이 동작하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도 8은, 제2 상태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측면도이다. 제2 상태에 있을때, 제3 리지드 영역(R3) 등은 실질적으로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2 플랙서블 영역(F2) 등은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고 잇을 수 있다.
제2 플랙서블 영역(F2) 등은 전체가 일정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또는, 제2 플랙서블 영역(F2) 등은 그 내부의 영역에 따라 구부러지는 밴딩값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랙서블 영역(F2) 등은 제1 내지 7 영역(P1 내지 P7)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내지 7 영역(P1 내지 P7) 중에서 제1,3,5,7 영역(P1, P3, P5, P7)은 상대적으로 밴딩이 크고, 제2,4,6 영역(P2, P4, P6)은 상대적으로 밴딩이 작을 수 있다. 제1 내지 7 영역(P1 내지 P7)의 밴딩 정도는, 제2 플랙서블 영역(F2)을 구성하는 저경도 탄성부재와 고경도 탄성부재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경도 탄성부재의 비율이 높은 부분은 밴딩량이 작고 저경도 탄성부재의 비율이 높은 부분은 밴딩량이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작은 힘으로도 필요한 부분이 밴딩될 수 있다.
제1,2 플랙서블 영역(F1, F2) 등 에는, 관통홀(BH)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관통홀(BH)은, 해당 부분이 사각형 등의 형태로 뚫려있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외부에서는 관통홀(BH)이 관측되지 않으나 내부적으로 해당 부분에 저경도 및/또는 고경도 탄성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관통홀(BH)은, 제1,2 플랙서블 영역(F1, F2) 등에서 큰 밴딩이 필요한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7 영역(도 8의 P1, P7)에 대응된 제1,2 관통홀(BH1, BH2)와 같이 길이에 비해 큰 밴딩량이 필요한 부분에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내부에 다양한 전자부품을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전자 부품은,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에는 전자부품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지드 영역(R1 내지 R3)는, 외력에 의한 변형이 없거나 최소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부품을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에 위치시키면, 전자부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전자 디바이스(10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3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에는,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및 제2 상태에 있을 때 해당 상태에 최적화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리지드 영역(R1)에는, 스피커(SPK)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스피커(SPK)는 제1 리지드 영역(R1)의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태에서 사용자가 목에 착용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리지드 영역(R1)에는, 제어부 등 각종 전자장비(CP)가 더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제2 리지드 영역(R2)에는, 배터리(BT)가 더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BT)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리지드 영역(R3)에는, 인터페이스(IO)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IO)는, 충전단자, 통신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3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은, 케이블(CB)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케이블(CB)은, FPCB 또는 와이어(wire) 형태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이 상호 밀착될 수 있는 결합유닛(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지드 영역(R1 내지 R3)가 상호간에 밀착되면,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가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가 마치 하나인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 상태에 있을 때,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의 측면이 서로 맞닿아 병렬로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에는, 결합유닛(M)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유닛(M)를 통하여 제1 내지 3 리지드 영역(R1 내지 R3)가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에 마련되어 있는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도 밀착될 수 있다.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가 밀착되면, 하나의 넓은 디스플레이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결합유닛(M)는,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유닛(M)는, 제1 자석(MM1)과 제2 자석(MM2)을 포함하는 자성체일 수 있다. 제1,2 자석(MM1, MM2)는 서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리지드 영역(R1)과 제2 리지드 영역(R2)가 가까워 지거나 제2 리지드 영역(R2)와 제3 리지드 영역(R3)이 가까워 지면, 자석 간의 인력에 의하여 상호간 밀착될 수 있다. 결합유닛(M)는, 한쪽이 자석이고 다른 쪽이 자력에 영향을 받는 금속재질일 수도 있다. 자석은, 금속자석 및/또는 고무자석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유닛(M)는 제1,2,3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제1,2 리지드 영역(R1, R2) 사이에는 제1 내지 3 결합구조(M1 내지 M3), 제2,3 리지드 영역(R2, R3) 사이에는 제4 내지 6 결합구조(M4 내지 M6)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내지 6 결합구조(M1 내지 M6) 중, 제2, 5 결합구조(M2, M5)를 구성하는 자석의 자력은, 제1, 3, 4, 6 결합구조(M1, M3, M4, M6)를 구성하는 자석의 자력보다 강할 수 있다. 즉, 중앙부에 위치한 제2, 5 결합구조(M2, M5)에는 강한 자석을 배치하여 리지드 영역(R1 내지 R3) 간에 체결이 견고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외곽에 위치한 제1, 3, 4, 6 결합구조(M1, M3, M4, M6)에는 약한 자석을 배치하여 자력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스피커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상대적으로 자력에 취약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효과적인 배치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분할된 복수의 구조를 포함하는 플랙서블 영역(F1, F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플랙서블 영역(F1, F2)은, 제1 내지 3 구조체(F1a 내지 F1c, F2a 내지 F2c)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조체는, 힌지(H)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각 구조체 자체는 밴딩되는 양이 적거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각 구조체 자체가 밴딩되기 보다는 힌지(H)를 중심으로 상대회동할 수 있다. 각 구조체가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하면, 전자 디바이스(100) 전체의 형상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LED(LD)를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의 (a)는 디스플레이(DP)의 단면을 도식적으로 표현하였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P)는 LED(LD)와 미세관통공(LH)이 마련된 LED 패드(LP)를 포함할 수 있다.
LED(LD)는, 디스플레이(DP) 내부에 배치된 발광체일 수 있다. LED(LD)는 복수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는, 특정 LED(LD)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LED(LD)의 ON/OFF, 색상 등을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LED패드(PD)는 LED(LD)의 상측에 위치한 커버일 수 있다. LED패드(PD) 자체는 불투명 내지 반투명할 수 있다. 즉, LED(LD)가 발광하는 경우에도 LED 패드(PD)를 통해서는 빛이 외부로 발산되지 않거나 발산양이 적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미세관통공(LH)은, LED 패드(PD)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미세관통공(LH)은, LED 패드(PD) 상에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미세관통공(LH)은 LED(LD)에 대응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미세관통공(LH)이 특정 LED(LD)에 대응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LED(LD)가 발광할 수 있다. 특정 LED(LD)로부터의 빛은 특정 미세관통공(LH)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LED(LD)에 대한 선택적 발광을 통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미세관통공(LH)을 통해 LED(LD)의 빛이 세어나오도록 하여 문자, 도형 등을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에서는, LED(LD)와 미세관통공(LH)을 사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표시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LCD 등을 적용한 디스플레이(DP)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5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들은, 특정 구성요소 하나 및/또는 구성요소 간 데이터 교환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의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마련된 조작버튼(30), 사용자의 음성명령 등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마이크(M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전자 디바이스(100) 내부 및/또는 외부의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2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사용자의 심박 및/또는 체온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목(NE)에 접촉되는 부분에 심박 및/또는 체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메모리(13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30)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4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200)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40)는, 방송 수신 모듈(141), 이동통신 모듈(142), 무선 인터넷 모듈(143), 근거리 통신 모듈(144), 위치정보 모듈(14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15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는, 인터페이스(15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16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부(160)는, 스피커(162), 디스플레이(164), 및/또는 진동유닛(16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70)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USIM 장착부(190)는, 이동통신 모듈(142) 등 무선통신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100)의 USIM 카드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 본체의 일측에 USIM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USIM 삽입구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USIM 카드를 USIM 장착부(19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USIM 카드에는, 무선통신을 위해 전자 디바이스(1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6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설정 및/또는 센싱부(120)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100)가 어떠한 상태에 있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지드 영역(R1 내지 R3)의 접근에 의한 자력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서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에 따라 제1 상태로 동작(S30하거나 제2 상태로 동작(S50)할 수 있다. 즉, 각 상태에 최적화된 동작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인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의 바디가 아치형의 스트랩 형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상태에 있을 때,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양 끝단 및 중앙 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에는 콘텐츠 A 내지 C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콘텐츠 A 및 C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 자체를 위한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콜의 수신, 메시지의 수신 등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전달할 정보가 있는 경우에 제1,3 디스플레이(DP1, DP3)를 통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B는, 주위의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한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DP2)에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착용시 제2 디스플레이(DP2)는 사용자의 목(N)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후방에 위치하는 다른 사람에게 필요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타고 있는 사용자의 속도가 급격히 감소되는 경우에, 제2 디스플레이(DP2)를 특정 색상 및/또는 특정 주기로 동작되도록 하여 후방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도 19는 도 1 전자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인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제2 상태에 있을 때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의 표시를 이에 대응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위한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 현재시각, 미확인 메시지 등의 정보가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에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에 표시될 정보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에 표시될 정보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즉, 제2 상태로 변형되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서 표시면적이 증가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새로운 메시지가 표시된 경우에, 아이콘 및/또는 문자를 특정 디스플레이를 넘어서는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조합하여, 제어부(180)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새로운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아이콘(IC)이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제한된 넓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아이콘(IC)을 쉽게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2개 내지 3개의 디스플레이에 걸쳐 아이콘(IC)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명확하게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인 경우 동작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 또는 그 반대로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가 결합되어 있는 제2 상태에 있을 때, 제어부(180)는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 전체를 사용하여 특정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 전체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표시함으로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되어 있던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 중에서 특정 디스플레이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디스플레이(DP3)가 분리되어 제1,2 디스플레이(DP1, DP2)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분리된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디스플레이 간에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DP3)가 분리되면, 분리된 제3 디스플레이(DP3)에 표시할 콘텐츠와 제1,2 디스플레이(DP1, DP2)에 표시할 콘텐츠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2 디스플레이(DP1, DP2)에는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컨텐츠를 표시하고, 분리된 제3 디스플레이(DP3)에는 다른 종류의 컨텐츠인 현재 시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DP1)도 제2 디스플레이(DP2)에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가 모두 분리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가 모두 분리되면, 제어부(180)는 각 디스플레이에 서로 다른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분리되었으나 일정 정도 구부러져 있는 중간 상태와 완전히 펼쳐져 제1 상태를 구분하여 컨텐츠를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분리되었으나 일정 정도 구부러져 있는 중간 상태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주시하고 있을 수 있음으로 제1 내지 3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 전체를 사용하여 표시하던 컨텐츠를 하나의 디스플레이에만 표시될 수 있도록 변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에서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t1 시점 이전까지는 제1 상태(S1)에 있고 t1 시점 이후에는 제2 상태(S2)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동일한 컨텐츠인 경우에도 제1 상태(S1)에서는 VA의 볼륨으로 재생하다가 제2 상태(S2)에서는 VB의 볼륨으로 재생할 수 있다. 즉, 제2 상태에서 보다 큰 소리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사용자의 귀에서부터의 거리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보다 멀어질 수 있다는 점으로 고려한 동작일 수 있다.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태(S1)인 t1 시점 이전까지는 BA 밝기로 디스플레이에 컨텐츠를 표시하다가 제2 상태(S2)인 t1 시점 이후에는 BB 밝기로 디스플레이에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컨텐츠인 경우에도 밝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손목에 착용함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거리가 멀어져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동작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바디에 포함되어 있는 마이크 등의 감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태(S1)인 경우보다 제2 상태(S2)인 경우에 마이크의 감도가 더 민감하도록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입에서의 거리가 멀어져도 사용자의 음성 획득이 원활하게 되도록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2 내지 도 25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와 이동 단말기(200) 간의 정보 교환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메시지가 이동 단말기(200)로 수신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가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 전자 디바이스(100)는 상태 A 또는 상태 B에 있을 수 있다. 상태 A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는 넥밴드(neckbend) 상태이고, 상태 B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워치(watch) 상태일 수 있다.
상태 A에 있을 때,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새로운 메시지 수신을 통지받은 전자 디바이스(100)는 음성으로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목에 착용하고 있는 상태라는 점을 고려할 때 효과적은 정보 전달 방법일 수 있다. 즉, 목에 착용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를 눈으로 확인하기는 쉽지 않을 수 있지만 전자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한 사운드는 사용자에게 잘 전달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가 목에 착용된 상태인 경우에는, 스피커를 통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태 B에 있을 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정보를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목에 착용하고 있는 경우 및/또는 이동 단말기(200)를 들어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보다 편리한 손목 착용 상태인 경우에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DP1 내지 DP3)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상태 A 및/또는 상태 B에서 진동유닛 등 다른 요소를 함께 활성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진동효과를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 및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이동 단말기(200)의 표시를 변경하는 단계(S110)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가 목에 착용되고 있는지 손목에 착용되고 있는지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200)의 표시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넥밴드 형태의 상태 A 또는 워치 형태의 상태 B에 있을 수 있다.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251)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아이콘 및/또는 문자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가 현재 어떠한 상태에 있는가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이동 단말기(200)에서 변경한 설정값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가 동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여부, WiFi 활성화 여부, 무선통신 기능의 활성화 여부 및/또는 진동유닛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선택된 값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가 이동 단말기(200)에 종속되어,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서 기지국(AP)과 통신하는 상태가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200)와는 블루투스, WiFi 등으로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AP)과 직접 통신 가능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가 메인 디바이스가 되고, 이동 단말기(200)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에 USIM이 장착된 경우에 가능할 수 있다.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기지국(AP)과 통신 가능할 수 있다. 즉, 필요한 데이터를 기지국(AP)으로부터 직접 획득하며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전자 디바이스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13)

  1.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바디; 및
    상기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바디에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하여 변형되지 않는 리지드(rigid)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바디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밴딩되는 플래서블(flexible) 영역이며,
    상기 바디는,
    스트립 형태(strip type)의 제1 상태와,
    상기 제2 영역이 밴딩되어 복수의 상기 제1 영역이 실질적으로 상호 접촉된 제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있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바디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상기 목의 형상에 대응된 아치형상(arch-shape)이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바디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도록, 상기 제2 영역이 복수회 감긴형상(coiled shape)인 전자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호간 중첩되지 않도록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전자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측면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인접한 다른 제1 영역의 측면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유닛이 마련된 전자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제1 영역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상호 대향된 지점에 마련된 자성체인 전자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지는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동일한 외력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밴딩값을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발광체와,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체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복수의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과하도록 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상기 바디의 상태에 따라 변경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의 조합으로 특정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분리되면,
    상기 분리된 제1 영역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변경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디의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 상기 바디에 포함된 스피커의 볼륨, 상기 바디에 포함된 마이크의 감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140106146A 2014-08-14 2014-08-14 전자 디바이스 KR20160020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146A KR20160020863A (ko) 2014-08-14 2014-08-14 전자 디바이스
PCT/KR2015/006482 WO2016024714A1 (ko) 2014-08-14 2015-06-25 전자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146A KR20160020863A (ko) 2014-08-14 2014-08-14 전자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863A true KR20160020863A (ko) 2016-02-24

Family

ID=5530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146A KR20160020863A (ko) 2014-08-14 2014-08-14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20863A (ko)
WO (1) WO20160247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0157B2 (en) * 2002-04-23 2005-11-29 Quadtri Technologies, Llc Wearable computing, input, and display device
WO2005083546A1 (en) * 2004-02-27 2005-09-09 Simon Richard Daniel Wearable modular interface strap
JP2007078670A (ja) * 2005-03-04 2007-03-29 Seiko Epson Corp 装着型電子機器、携帯機器の製造方法及び携帯機器
US20130271355A1 (en) * 2012-04-13 2013-10-17 Nokia Corporation Multi-segment wearable access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4714A1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468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37119B2 (en) Watch type terminal
US9886093B2 (en) Band with haptic actuators
US9665068B2 (en) Smart bracelet
EP2984537B1 (en) Smart watch
KR2017001711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3306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552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27390B1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0348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454499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7002816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4129A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EP3220196A1 (en) Wearable device
KR20160032563A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60016412A (ko) 폴리오 케이스,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4777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90037967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20863A (ko) 전자 디바이스
KR20170093671A (ko)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및 제어방법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60100732A (ko) 전자기기
KR101616374B1 (ko) 와치형 단말기
JP2018137083A (ja) 電子機器、制御装置、車両、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KR20170022143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