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973A - 증점 안정제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증점 안정제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973A
KR20160094973A KR1020167015323A KR20167015323A KR20160094973A KR 20160094973 A KR20160094973 A KR 20160094973A KR 1020167015323 A KR1020167015323 A KR 1020167015323A KR 20167015323 A KR20167015323 A KR 20167015323A KR 20160094973 A KR20160094973 A KR 20160094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ening
organic material
stabilizer
compositio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979B1 (ko
Inventor
유이치 사카니시
다카시 사에키
유스케 나루사카
마미 이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야마구치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야마구치 다이가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6009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23L1/0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6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6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09D7/00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3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42Thicken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성 유기 물질을 원하는 점도로 증점 혹은 겔화, 또는 유동성 유기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균일하게 안정화시키는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증점 안정제, 상기 증점 안정제와 유동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증점 안정화 조성물, 및 증점 안정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식 (1)로 표시된다.
(R2-HNOC)4-n-R1-(CONH-R3)n (1)
식 (1) 중, R1은 벤젠의 구조식에서 4개의 수소 원자를 제외한 기이며, R2, R3은 서로 상이하고, 탄소수 6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다. n은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증점 안정제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THICKENER/STABILIZER AND THICKENED/STABILIZED COMPOSITION USING SAME}
본 발명은, 오일 등의 유동성 유기 물질을 증점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갖는 신규의 화합물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제, 그리고 그것을 함유하는 증점 안정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12월 6일에 일본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253375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의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액체를 증점 안정화시키는 방법은 산업상 매우 중요한 기술이며, 예를 들어 준안정 상태의 유화물인 마요네즈나 샐러드 드레싱 등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그의 유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수성 성분이 증점 안정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다양한 증점 안정제가 개발되어 왔다.
수성 매체를 증점 안정화시키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유동성 유기 물질(예를 들어 유성 매체 등의 유동성을 갖는 유기 물질)의 증점 안정제로서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등).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은, 주로 식용유의 폐기 처리에 그의 겔화 작용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은 겔화의 정도를 조정할 수 없으며, 완전히 고화시키거나 액체 그대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밖에 유도할 수 없었다. 즉, 유동성 유기 물질을 원하는 점도로 증점 또는 겔화시키는 화합물은 아직 발견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 상황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01-163111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성 유기 물질을 원하는 점도로 증점 혹은 겔화, 또는 유동성 유기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균일하게 안정화시키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증점 안정제, 상기 증점 안정제에 의하여 증점, 겔화, 또는 안정화된 증점 안정화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유동성 유기 물질을 증점, 겔화, 또는 유동성 유기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균일하게 안정화시키는 것(조성물의 침강, 국소적인 응집 또는 농축을 방지하여 균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 유동성 유기 물질의 종류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유동성 유기 물질의 점도를 원하는 점도로까지 증점 또는 겔화, 혹은 유동성 유기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균일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R2-HNOC)4-n-R1-(CONH-R3)n (1)
(식 중, R1은 벤젠의 구조식에서 4개의 수소 원자를 제외한 기이며, R2, R3은 서로 상이하고, 탄소수 6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다. n은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증점 안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증점 안정제와 유동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증점 안정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증점 안정제와 유동성 유기 물질을 상용시키는 공정을 거쳐 증점 안정화 조성물을 얻는, 증점 안정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하기에 관한 것이다.
(1)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R2-HNOC)4-n-R1-(CONH-R3)n (1)
(식 중, R1은 벤젠의 구조식에서 4개의 수소 원자를 제외한 기이며, R2, R3은 서로 상이하고, 탄소수 6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다. n은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식 (1) 중의 R2가 탄소수 6 내지 20(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이고, R3이 탄소수 6 내지 20(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인, (1)에 기재된 화합물.
(3) (1) 또는 (2)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증점 안정제.
(4) (3)에 기재된 증점 안정제와 유동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증점 안정화 조성물.
(5) 유동성 유기 물질이 25℃, 전단 속도 10(1/s)에 있어서의 점도(η)가 0.1㎩·s 미만인 유기 물질인, (4)에 기재된 증점 안정화 조성물.
(6) 유동성 유기 물질이 탄화수소유, 에테르, 할로겐화탄화수소, 석유 성분, 동식물유, 실리콘, 에스테르, 방향족 카르복실산 및 피리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4)에 기재된 증점 안정화 조성물.
(7) (3)에 기재된 증점 안정제와 유동성 유기 물질을 상용시키는 공정을 거쳐 증점 안정화 조성물을 얻는, 증점 안정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유동성 유기 물질과 상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유동성 유기 물질을 증점 혹은 겔화, 또는 유동성 유기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균일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하여, 화장품, 도료, 식품, 의약품 등에 사용함으로써, 그들의 점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고 그들의 조성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그들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식 (1)로 표시된다.
(R2-HNOC)4-n-R1-(CONH-R3)n (1)
식 (1) 중, R1은 벤젠의 구조식에서 4개의 수소 원자를 제외한 기이다. n은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1-1) 내지 (1-4)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그 중에서도 상기 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유동성 유기 물질의 용해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유동성 유기 물질에, 상기 유동성 유기 물질이 투명한 경우에는 그의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의사 소성 거동 및 강한 저장 탄성률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식 중, R2, R3은 서로 상이하고, 탄소수 6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헥실, 옥틸, 2-에틸헥실, 데실, 라우릴, 미리스틸, 스테아릴, 노나데실기 등의 탄소수 6 내지 20 정도(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 2-헥세닐, 3-헥세닐, 4-헥세닐, 5-헥세닐, 7-옥테닐, 9-데세닐, 11-도데세닐, 올레일기 등의 탄소수 6 내지 20 정도(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케닐기; 헥시닐, 옥티닐, 데시닐, 펜타데시닐, 옥타데시닐기 등의 탄소수 6 내지 20 정도(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키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특히 R2가 탄소수 6 내지 20 정도(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의 분지쇄상 알킬기이고, R3이 탄소수 6 내지 20 정도(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의 직쇄상 알킬기 또는 직쇄상 알케닐기인 화합물이, 유동성 유기 물질의 용해성이 우수하고, 유동성 유기 물질을 증점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방법 등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1,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을 염화티오닐과 반응시켜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클로라이드를 얻고, 얻어진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클로라이드에 아민 (1)(R2-NH2) 및 아민 (2)(R3-NH2)(R2, R3은 상기와 동일함)를 반응시키는 방법
2,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에 아민 (1)(R2-NH2)을 반응시켜 아미드산을 얻고, 또한 아민 (2)(R3-NH2)를 카르보디이미드를 사용하여 축합시키는 방법
상기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으로서는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아민(R2-NH2, R3-NH2)으로서는, 예를 들어 헥실아민, 옥틸아민, 2-에틸헥실아민, 데실아민, 라우릴아민, 미리스틸아민, 스테아릴아민, 올레일아민 등의, 탄소수 6 이상(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바람직하게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갖는 아민을 들 수 있다.
상기 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클로라이드와 아민의 반응은, 예를 들어 아민을 투입한 계 내에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클로라이드를 적하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아민의 사용량(아민 (1)과 아민 (2)의 사용량의 합)은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클로라이드 1몰에 대하여, 예를 들어 4 내지 8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몰이다.
그리고 아민 (1)과 아민 (2)의 사용 비율(전자:후자, 몰비)은 원하는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즉, 아민 (1)과 아민 (2)의 사용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얻어지는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CONH-R2)기와 (CONH-R3)기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클로라이드와 아민의 반응은 용매의 존재 하 또는 비존재 하에서 행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펜탄, 헥산, 헵탄, 옥탄, 석유 에테르 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브로모벤젠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계 용매;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부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벤조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계 용매; 술포란 등의 술포란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매; 실리콘 오일 등의 고비점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으로서는,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클로라이드와 아민의 총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50 내지 300중량% 정도이다. 용매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상회하면, 반응 성분의 농도가 낮아져 반응 속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클로라이드와 아민의 반응(=적하)은 통상, 상압 하에서 행해진다. 또한 상기 반응(=적하 시)의 분위기로서는,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공기 분위기, 질소 분위기, 아르곤 분위기 등 중 어느 것일 수도 있다. 반응 온도(=적하 시 온도)는, 예를 들어 30 내지 60℃ 정도이다. 반응 시간(=적하 시간)은, 예를 들어 0.5 내지 20시간 정도이다. 반응(=적하) 종료 후에는 숙성 공정을 설정할 수도 있다. 숙성 공정을 설정하는 경우, 숙성 온도는, 예를 들어 30 내지 60℃ 정도, 숙성 시간은, 예를 들어 1 내지 5시간 정도이다. 또한 반응은 회분식, 반회분식, 연속식 등 중 어느 방법으로도 행할 수 있다.
반응 종료 후,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예를 들어 여과, 농축, 증류, 추출, 정석, 흡착, 재결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분리 수단이나, 이들을 조합한 분리 수단에 의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상기 2의 제조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과 아민 (1)(R2-NH2) 및 하기 용매를 계 내에 투입하고 숙성시킴으로써 아미드산을 형성하고, 그 후, 아민 (2)(R3-NH2)와 축합제(카르보디이미드 또는 그의 염)를 투입하고 숙성시킴으로써,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로서는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2:4,5-2무수물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1), (2)로서는, 상기 1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예를 들 수 있다.
아민 (1)의 사용량으로서는,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1몰에 대하여, 예를 들어 2 내지 4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몰이다. 또한 아민 (2)의 사용량으로서는,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1몰에 대하여, 예를 들어 2 내지 4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몰이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는하기 식으로 표시된다.
R-N=C=N-R'
상기 식 중, R, R'으로서는, 예를 들어 헤테로 원자 함유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도 있는, 탄소수 3 내지 8의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의 알킬기, 또는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기이다. R, R'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R과 R'은 서로 결합하여 (-N=C=N-)기와 함께 환을 형성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탄소수 3 내지 8의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부틸, t-부틸, 펜틸, 이소펜틸, s-펜틸, t-펜틸, 헥실, 이소헥실, s-헥실, t-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옥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헤테로 원자 함유 치환기로서는, 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등의 디(C1-3)알킬아미노기 등의 질소 원자 함유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카르보디이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염산염(구체적으로는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보디이미드의 사용량으로서는,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1몰에 대하여, 예를 들어 2 내지 6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몰이다.
상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등의 아미드산의 용해성이 우수한 양성자 수용성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으로서는, 아미드산의 총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50 내지 300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중량%이다. 용매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상회하면, 반응 성분의 농도가 낮아져 반응 속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반응은 통상, 상압 하에서 행해진다. 또한 상기 반응의 분위기로서는,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공기 분위기, 질소 분위기, 아르곤 분위기 등 중 어느 것일 수도 있다. 숙성 온도(반응 온도)는, 예를 들어 30 내지 70℃ 정도이다. 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과 아민의 숙성 시간은, 예를 들어 0.5 내지 5시간 정도이고, 아미드산과 아민의 숙성 시간은, 예를 들어 0.5 내지 20시간 정도이다. 또한 반응은 회분식, 반회분식, 연속식 등 중 어느 방법으로도 행할 수 있다.
반응 종료 후,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예를 들어 여과, 농축, 증류, 추출, 정석, 흡착, 재결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분리 수단이나, 이들을 조합한 분리 수단에 의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미드 결합 부위에 있어서 수소 결합에 의하여 자기 회합하여 파이버형의 자기 조직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R2, R3기가 유동성 유기 물질에 대하여 친화성을 갖기 때문에, 유동성 유기 물질과 상용시킴으로써 유동성 유기 물질을 증점, 겔화, 또는 유동성 유기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균일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2, R3기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적합한 결정성을 갖는다. 그로 인하여, 유동성 유기 물질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증점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동성 유기 물질이 투명성을 갖는 경우에는 그의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증점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경시적으로 안정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유동성 유기 물질의 증점 안정제(더욱 상세하게는 증점제, 겔화제, 또는 안정제)로서 유용하다. 한편,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의 R2, R3기가 모두 동일한 기를 나타내는 경우(즉,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측쇄로서 동일한 기를 4개 갖는 경우)에는 결정성이 지나치게 높아지기 때문에, 증점 안정화시킬 수 있는 유동성 유기 물질이 한정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증점 안정화에 의하여 백탁되는 경우가 많아 외관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경시적으로 저점도화되는 경향도 있다.
[증점 안정제]
본 발명의 증점 안정제는,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증점 안정제」란, 유동성 유기 물질에 용해되어 점성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이며, 유동성 유기 물질에 점성을 부여하는 증점제, 유동성 유기 물질을 겔화시키는 겔화제, 및 유동성 유기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균일하게 안정화시킬 것을 목적으로 하여 그의 점성을 높이는 안정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증점 안정제에는,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예를 들어 기제(基劑), 히드록시지방산류, 아크릴 중합체,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올리고머에스테르류, 금속 산화물 등의 입자 등)을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증점 안정제 전체량(100중량%)에 있어서,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2종 이상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의 총량)이, 예를 들어 0.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상이 되는 범위 내이다. 또한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의 상한은 100중량%이다.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유동성 유기 물질을 증점, 겔화, 또는 유동성 유기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균일하게 안정화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증점 안정제의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어 분말상, 과립상, 액상, 유액상 등의 다양한 제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증점 안정제는 유동성 유기 물질과 상용시킴으로써(바람직하게는 혼합하고 가온하여 상용시킨 후 냉각함으로써), 상기 유동성 유기 물질을 증점 또는 겔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유동성 유기 물질의 점도를, 예를 들어 1배 초과 10000배 이하 정도(바람직하게는 1배 초과 600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0배)의 범위 내에서 용도에 따른 원하는 점도로 증점 또는 겔화시킬 수 있다.
[증점 안정화 조성물]
본 발명의 증점 안정화 조성물은 상기 증점 안정제와 유동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증점 안정제에 의하여 유동성 유기 물질이 증점, 겔화, 또는 유동성 유기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균일하게 안정화되어 이루어지는 조성물이다.
상기 증점 안정화 조성물은, 증점 안정제와 유동성 유기 물질을 상용시키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성 유기 물질의 전체량과 증점 안정제를 혼합하고 가온하여 상용시킨 후 냉각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동성 유기 물질의 일부에 증점 안정제를 혼합하고 가온, 상용시킨 후 냉각하여 증점 안정화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나머지 유동성 유기 물질에 혼합하는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원료로서의 유동성 유기 물질은, 레오미터에 의한 점도[25℃, 전단 속도 10(1/s)에 있어서의 점도(η)]가 0.1㎩·s 미만인 유기 물질이며, 예를 들어 탄화수소유(헥산, 시클로헥산, 이소도데칸, 벤젠, 톨루엔, 폴리α올레핀, 유동 파라핀 등), 에테르류(테트라히드로푸란 등), 할로겐화탄화수소(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등), 석유 성분(케로신, 가솔린, 경유, 중유 등), 동식물유(해바라기유, 올리브유, 대두유, 옥수수유, 피마자유, 우지, 호호바유, 스쿠알렌 등), 실리콘류(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 에스테르류(올레산옥틸도데실, 옥탄산세틸, 에틸헥산산세틸, 글리세릴트리이소옥타네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옥타네이트 등), 방향족 카르복실산, 피리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증점 안정제의 혼합량(또는 사용량)으로서는 유동성 유기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유동성 유기 물질 10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중량부이다. 증점 안정제를 상기 범위에서 혼합(또는 사용)함으로써, 유동성 유기 물질이 증점 혹은 겔화된 조성물, 또는 조성이 균일하게 안정화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증점 안정화 조성물은, 상기 증점 안정제와 유동성 유기 물질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화장품, 도료, 식품, 의약품 등의, 증점 안정화를 원하는 조성물에 함유되는 일반적인 화합물(예를 들어 약효 성분, 안료,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상용 시의 온도는, 사용하는 증점 안정제와 유동성 유기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며, 증점 안정제와 유동성 유기 물질이 상용되는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동성 유기 물질의 비점이 100℃ 이하인 경우에는 비점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용 후의 냉각은, 실온(예를 들어 25℃ 이하)까지 냉각할 수 있으면 되며, 실온에서 서서히 냉각할 수도 있고, 빙냉 등에 의하여 급속히 냉각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증점 안정화 조성물의 레오미터에 의한 점도[25℃, 전단 속도 10(1/s)에 있어서의 점도(η)]는, 원료로서의 유동성 유기 물질의 점도의, 예를 들어 1배 초과 10000배 이하 정도(바람직하게는 1배 초과 600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0배)의 범위 내에서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점 안정화 조성물로서는, 유동성 유기 물질을 함유하고, 그의 증점 안정화가 요망되는 조성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화장품, 도료, 식품, 의약품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증점 안정제 (1)(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디2-에틸헥실아미드디올레일아미드)의 합성]
딤로스 냉각관, 질소 도입구 및 적하 깔때기, 열전대를 구비한 100mL 4구 분리형 플라스크에 피리딘 20mL,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2:4,5-2무수물 3.0g(0.014㏖), 올레일아민 7.4g(0.028㏖)을 투입하였다. 계 내 온도를 50℃로 설정하고 3시간 숙성하였다.
그 후, 2-에틸헥실아민 3.6g(0.028㏖),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7.0g(0.056㏖)을 투입하고 8시간 더 숙성을 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조액(粗液)의 저비분(低沸分)을 증발기에서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정하여, 담황색의 습분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습분에 대하여 CHCl3/CH3OH(70/30(v/v))로 재결정을 행하여,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디2-에틸헥실아미드디올레일아미드[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4-디(2-에틸헥실아미드)-2,5-디(올레일아미드)와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5-디(2-에틸헥실아미드)-2,4-디(올레일아미드)의 혼합물]를 5.9g 얻었다(수율: 51%). 반응 생성물의 구조는 1H-NMR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2
합성예 2[증점 안정제 (2)(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디2-에틸헥실아미드디스테아릴아미드)의 합성]
딤로스 냉각관, 질소 도입구 및 적하 깔때기, 열전대를 구비한 100mL 4구 분리형 플라스크에 피리딘 20mL,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2:4,5-2무수물 3.0g(0.014㏖), 스테아릴아민 7.5g(0.028㏖)을 투입하였다. 계 내 온도를 50℃로 설정하고 3시간 숙성하였다.
그 후, 2-에틸헥실아민 3.6g(0.028㏖),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7.0g(0.056㏖)을 투입하고 8시간 더 숙성을 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조액의 저비분을 증발기에서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정하여, 담황색의 습분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습분에 대하여 CHCl3/CH3OH(70/30(v/v))로 재결정을 행하여,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디2-에틸헥실아미드디스테아릴아미드[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4-디(2-에틸헥실아미드)-2,5-디(스테아릴아미드)와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5-디(2-에틸헥실아미드)-2,4-디(스테아릴아미드)의 혼합물]를 5.1g 얻었다(수율: 53%). 반응 생성물의 구조는 1H-NMR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3
합성예 3[증점 안정제 (3)(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디2-에틸헥실아미드디라우릴아미드)의 합성]
딤로스 냉각관, 질소 도입구 및 적하 깔때기, 열전대를 구비한 100mL 4구 분리형 플라스크에 피리딘 20mL,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2:4,5-2무수물 3.0g(0.014㏖), 라우릴아민 5.1g(0.028㏖)을 투입하였다. 계 내 온도를 50℃로 설정하고 3시간 숙성하였다.
그 후, 2-에틸헥실아민 3.6g(0.028㏖),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7.0g(0.056㏖)을 투입하고 8시간 더 숙성을 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조액의 저비분을 증발기에서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정하여, 담황색의 습분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습분에 대하여 CHCl3/CH3OH(70/30(v/v))로 재결정을 행하여,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디2-에틸헥실아미드디라우릴아미드[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4-디(2-에틸헥실아미드)-2,5-디(라우릴아미드)와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5-디(2-에틸헥실아미드)-2,4-디(라우릴아미드)의 혼합물]를 6.0g 얻었다(수율: 62%). 반응 생성물의 구조는 1H-NMR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4
합성예 4[증점 안정제 (4)(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2-에틸헥실아미드)의 합성]
딤로스 냉각관, 질소 도입구 및 적하 깔때기, 열전대를 구비한 100mL 4구 분리형 플라스크에 클로로포름 20mL, 2-에틸헥실아민 4.8g(0.036㏖)을 투입하였다. 계 내 온도를 40℃로 설정하였다.
그 후, 피로멜리트산테트라클로라이드 3g(0.009㏖)의 10mL 클로로포름 용액을 2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2시간 더 숙성을 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조액의 저비분을 증발기에서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정하여, 백색의 습분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습분에 대하여 CHCl3/CH3OH(70/30(v/v))로 재결정을 행하여,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2-에틸헥실아미드를 3.7g 얻었다(수율: 59%). 반응 생성물의 구조는 1H-NMR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5
합성예 5[증점 안정제 (5)(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올레일아미드)의 합성]
딤로스 냉각관, 질소 도입구 및 적하 깔때기, 열전대를 구비한 100mL 4구 분리형 플라스크에 클로로포름 20mL, 올레일아민 9.8g(0.036㏖)을 투입하였다. 계 내 온도를 40℃로 설정하였다.
그 후, 피로멜리트산테트라클로라이드 3g(0.009㏖)의 10mL 클로로포름 용액을 2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2시간 더 숙성을 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조액의 저비분을 증발기에서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정하여, 백색의 습분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습분에 대하여 CHCl3/CH3OH(70/30(v/v))로 재결정을 행하여,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올레일아미드를 6.4g 얻었다(수율: 56%). 반응 생성물의 구조는 1H-NMR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6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2
표 1에 나타내는 각종 유동성 유기 물질(유동 파라핀, 이소도데칸, 옥탄산세틸: 모두 비점은 100℃ 이상)을 시험관에 1㎤씩 칭량하고, 이것에 상기 합성예에서 얻어진 증점 안정제를 각각 10㎎ 첨가하여 혼합하고, 100℃에서 가열 교반하여 유동성 유기 물질과 증점 안정제를 상용시키고, 25℃까지 냉각하여 증점 안정화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증점 안정화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여, 각종 유동성 유기 물질의 점도가 몇 배로 증점되었는지를 확인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 증점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1: 1.0배 초과 2.0배 이하
2: 2.0배 초과 4.8배 이하
3: 4.8배 초과 10배 이하
4: 10배 초과 50배 이하
5: 50배 초과 100배 이하
6: 100배 초과 10000배 이하
또한 각종 유동성 유기 물질 및 증점 안정화 조성물의 점도는, 콘 플레이트 센서(직경 60㎜에서 콘각 1°, 직경 35㎜에서 콘각 1°, 2°, 4°를 사용)와 펠티에 온도 컨트롤러를 장착한 점도·점탄성 측정 장치(레오미터)(상품명 「레오스트레스(RheoStress) 600」, 하케(HAAKE)사 제조)를 사용하여, 25℃ 조건 하에서 상류(常流) 점도 측정 모드에 의하여, 전단 속도를 로그 단위로 0.001 내지 100(1/s)까지 변화시켜 점도를 측정하여 점도 곡선을 얻고, 얻어진 점도 곡선으로부터 전단 속도 10(1/s)에 있어서의 점도를 구하여, 그것을 본 발명의 점도로 하였다. 또한 각 플롯은, 장치의 토크값 변동이 5% 범위에 들어가 데이터가 안정된 시점에서의 값을 채용하였다.
상기 결과를 하기 표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증점 안정제는, 유동성 유기 물질을 증점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에서 얻어진 증점 안정제는, 유동성 유기 물질의 증점 효과가 부족하다.
본 발명의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유동성 유기 물질과 상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유동성 유기 물질을 증점 혹은 겔화, 또는 유동성 유기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균일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하여, 화장품, 도료, 식품, 의약품 등에 사용함으로써, 그들의 점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고 그들의 조성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그들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R2-HNOC)4-n-R1-(CONH-R3)n (1)
    (식 중, R1은 벤젠의 구조식에서 4개의 수소 원자를 제외한 기이며, R2, R3은 서로 상이하고, 탄소수 6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다. n은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증점 안정제.
  3. 제2항에 기재된 증점 안정제와 유동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증점 안정화 조성물.
  4. 제2항에 기재된 증점 안정제와 유동성 유기 물질을 상용시키는 공정을 거쳐 증점 안정화 조성물을 얻는, 증점 안정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67015323A 2013-12-06 2014-12-03 증점 안정제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 KR102311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53375 2013-12-06
JP2013253375 2013-12-06
PCT/JP2014/081976 WO2015083740A1 (ja) 2013-12-06 2014-12-03 増粘安定剤、及びそれを用いた増粘安定化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973A true KR20160094973A (ko) 2016-08-10
KR102311979B1 KR102311979B1 (ko) 2021-10-14

Family

ID=5327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323A KR102311979B1 (ko) 2013-12-06 2014-12-03 증점 안정제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89043B2 (ko)
EP (1) EP3078655B1 (ko)
JP (1) JP6588338B2 (ko)
KR (1) KR102311979B1 (ko)
WO (1) WO20150837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239A (ko) * 2016-08-29 2019-05-02 주식회사 다이셀 증점 안정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4343A1 (ja) * 2014-05-14 2015-11-19 株式会社ダイセル ヘアオイル
EP3168209B1 (en) * 2014-07-07 2019-12-11 Daicel Corporation Thickening/stabilizing agent and thickened/stabilized composition using the same
JP6464428B2 (ja) * 2015-08-31 2019-02-06 株式会社ダイセル 増粘安定剤、及びそれを用いた増粘安定化組成物
IT201600099353A1 (it) * 2016-10-05 2018-04-05 Lamberti Spa Modificatore di reologia per fluidi per trattamenti sotterranei
WO2019181545A1 (ja) * 2018-03-20 2019-09-26 株式会社ダイセル 粉末状増粘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134290A (zh) * 2018-08-02 2019-01-04 新岸诺亚(北京)化工科技有限公司 均苯四甲酰四烷基胺的合成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3111A (ja) 1987-12-21 1989-06-27 Shiseido Co Ltd 透明性基剤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WO2013040718A1 (en) * 2011-09-23 2013-03-28 Synoil Fluids Holdings Inc. Pyromellitamide gelling agen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7203A (en) * 1957-09-27 1960-05-17 Du Pont Nu-tertiary-alkyl amides of terephthalic, isophthalic, and trimesic acids
JPH10231465A (ja) * 1997-02-18 1998-09-02 Pola Chem Ind Inc 1,3,5−トリス[(n−アルキルアミノ)カルボニル]ベンゼンを含有する組成物
DK1682491T3 (da) 2003-11-12 2011-05-09 Applied Nanosystems Bv Usymmetrisk geleringsmiddel
EP2254126A1 (en) 2009-05-20 2010-11-24 Nexans Organogel for electrical cable insulating layer
JP2012077195A (ja) * 2010-10-01 2012-04-1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流動性有機物の粘度調整方法及びそのための粘度調整剤
JP6246138B2 (ja) * 2013-02-08 2017-12-13 株式会社ダイセル 増粘安定剤、及びそれを用いた増粘安定化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3111A (ja) 1987-12-21 1989-06-27 Shiseido Co Ltd 透明性基剤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WO2013040718A1 (en) * 2011-09-23 2013-03-28 Synoil Fluids Holdings Inc. Pyromellitamide gelling ag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239A (ko) * 2016-08-29 2019-05-02 주식회사 다이셀 증점 안정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10384A1 (en) 2016-10-27
EP3078655A1 (en) 2016-10-12
EP3078655A4 (en) 2017-05-17
JPWO2015083740A1 (ja) 2017-03-16
EP3078655B1 (en) 2019-07-31
JP6588338B2 (ja) 2019-10-09
KR102311979B1 (ko) 2021-10-14
WO2015083740A1 (ja) 2015-06-11
US9789043B2 (en)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4973A (ko) 증점 안정제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
US9464036B2 (en) Thickening stabilizer, and thickening/stabilizing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102461100B1 (ko) 증점 안정제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
EP3594218B1 (en) Thickening stabilizer and thickening stabilizer composition including same
CN106478475B (zh) 增稠稳定剂、以及使用该增稠稳定剂的增稠稳定化组合物
EP3144294B1 (en) Thickening stabilizer and thickening stabilization composition using same
KR102454158B1 (ko) 증점 안정제
KR102628679B1 (ko) 증점 안정제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
TWI662016B (zh) 增黏安定劑、及使用其之增黏安定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