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362A - 신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362A
KR20160094362A KR1020167001460A KR20167001460A KR20160094362A KR 20160094362 A KR20160094362 A KR 20160094362A KR 1020167001460 A KR1020167001460 A KR 1020167001460A KR 20167001460 A KR20167001460 A KR 20167001460A KR 20160094362 A KR20160094362 A KR 20160094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represented
substituted
alk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히로 오카다
켄 마츠모토
유키코 카네하라
이즈미 마츠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16009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36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3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5/34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with cyano groups linked to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or to the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hat ring, by unsaturated carbon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14Styryl dyes
    • C09B23/143Styryl dyes the ethylene chain carrying a COOH or a functionally modified derivative, e.g.-CN, -COR, -COOR, -CON=, C6H5-CH=C-C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3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5/37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etherified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3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5/38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esterified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3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5/4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further bound to other hetero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 C07D25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51/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51/30Only oxygen atoms
    • C07D251/32Cyanuric acid; Isocyanur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3/00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3/0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 C07D303/1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008Triarylamine dyes containing no other chromopho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Epoxy Compound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착색 감광성 조성물의 염료로서 적절한 신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사용한 착색 감광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A), 산가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B),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C) 및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모노머(D)를 함유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식(1)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 기재와 같다.

Description

신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NOVEL COMPOUND AND COMPOSITION CONTAINING NOVEL COMPOUND}
본 발명은 소망하는 색상으로 설계되어, 내열성을 향상시킨 염료 및 상기 염료에 적절한 신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염료를 사용한 에너지선에 의해 중합 가능한 착색 감광성 조성물 및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을 사용한 컬러 필터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빛에 대한 흡수 강도가 큰 화합물은 CD-R, DVD-R, DVD+R, BD-R 등의 광학 기록매체의 기록층이나,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ELD), 음극관 표시장치(CRT), 형광 표시관, 전계 방사형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표시장치의 광학 요소로서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ELD), 음극관 표시장치(CRT), 형광 표시관, 전계 방사형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표시 장치용의 광학 필터에 있어서는, 300~1100㎚의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각종 화합물이 광흡수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광흡수제에는 광흡수가 특별히 급격하게 변화한 것, 즉, λmax의 반치폭(半値幅)이 작은 것, 또한 빛이나 열 등에 의해 기능이 상실되지 않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주로 액정표시장치(LCD)에 사용되는 광학 필터에는 컬러 필터가 있다. 컬러 필터에는 일반적으로 RGB의 3원색이 사용되어 왔지만, 단독 색재로는 순수한 RGB의 색상을 가지게 하는 것은 곤란하고, 복수의 색재를 사용해서 순수한 RGB의 색상에 가깝게하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그 때문에 RGB가 아닌 황색, 귤색, 보라색 등의 색재도 필요하게 되었다.
컬러 필터에 사용되는 광흡수제에는 내열성의 수위에 따라 유기 및/또는 무기안료가 사용되어 왔지만, 안료이기 때문에 표시장치로서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어서, 광원의 휘도를 높임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해 왔다. 그러나 저소비 전력화의 흐름에 따라, 염료를 사용한 컬러 필터의 개발이 왕성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고체 촬상 소자에 사용되는 컬러 필터에 있어서, 화질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착색 패턴의 박막화가 요구되고 있고, 박막화하기 위해서는 색농도의 관점에서 염료 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염료의 몰흡광계수가 낮은 경우에도, 다량의 염료를 첨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염료 농도를 높이면, 성막(成膜) 후에 가열 처리(후 열처리(post bake))를 실시한 경우, 인접 화소 간이나 적층구조 중의 상하층 간에서 혼색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내열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컬러 필터에 사용되는 광흡수제는 외부 빛에 의해 열화하기 쉬운 것도 문제가 되고 있어서, 내광성도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3에는 특정 구조의 유기색소를 함유하는 컬러 필터용 착색 수지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 기재된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내열성 및 내광성을 양립하는 점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WO2012/039286 WO2012/101946 WO2012/11140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규 화합물을 사용한 착색 감광성 조성물 등의 착색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을 사용한 광학 필터, 특히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액정표시패널 등의 화상표시장치에 적절한 컬러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 내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것을 지견하고, 또한,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이 광학 필터(특히 컬러 필터)의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액정표시패널 등의 화상표시장치용 컬러 필터에 적절한 것을 지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했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pct00001
(식 중, A는 벤젠환, 나프탈렌환 또는 안트라센환을 나타내고, 이들 환은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수산기, 니트로기,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Y는 시아노기 또는 -COOR4를 나타내고,
R1은 수소원자, 페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원자,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12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1~12의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1~12의 할로겐화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으로 표시되는 알킬기, 아릴기 및 아릴알킬기는 할로겐원자 또는 니트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2 및 R3으로 표시되는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COO-, -O-, -OCO-, -NHCO-, -NH- 또는 -CONH-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4는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R4로 표시되는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COO-, -O-, -OCO-, -NHCO-, -NH- 또는 -CONH-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X는 단결합, 질소원자, -NR5-, 산소원자, 유황원자, -SO2-, -SO-, 인원자, -PR6- 또는 하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기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를 나타내고,
m=2~6의 정수이다.)
<1> m=2이며, X가 하기 식(2)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2
(식 중, X1은 -NR13-, 2가의 탄소원자수 1~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2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2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 2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 또는 하기 (2-1)~(2-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X1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수산기, 니트로 기,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X1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Z1 및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O-, -S-, -SO2-, -SO-, -NR13- 또는 -PR14-를 나타내고,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를 나타내고,
R13 및 R14로 표시되는 알킬기, 아릴기 및 아릴알킬기는 할로겐원자, 수산기 또는 니트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13 및 R14로 표시되는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COO-, -O-, -OCO-, -NHCO-, -NH- 또는 -CONH-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단, 상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기는 탄소원자수 1~35의 범위 내이다.)
Figure pct00003
(식 중, R21은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에 의해 치환되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22는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10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2~10의 알케닐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21 및 R22로 표시되는 알킬기, 알콕시기 및 알케닐기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거나 또는 무치환이며,
d는 0~5의 정수이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식 중, R23 및 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옥시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티오기, 탄소원자수 8~20의 아릴알케닐기,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 탄소원자수 2~20의 복소환 함유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23 및 R24로 표시되는 알킬기, 아릴기, 아릴옥시기, 아릴티오기, 아릴알케닐기, 아릴알킬기 및 복소환 함유기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거나 또는 무치환이며,
R23 및 R24로 표시되는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불포화 결합, -O- 또는 -S-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23은 인접하는 R23끼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e는 0~4의 수를 나타내고,
f는 0~8의 수를 나타내고,
g는 0~4의 수를 나타내고,
h는 0~4의 수를 나타내고,
g와 h의 수의 합계는 2~4이다.)
<2> m=3이며, X가 하기 식(3)으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6
(식 중, X2는 R25로 치환된 탄소원자, 3가의 탄소원자수 1~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3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3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 또는 3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를 나타내고,
R25는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를 나타내고,
X2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수산기, 니트로기,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X2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Z1~Z3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2)에서의 Z1 및 Z2로 표시되는 기와 동일하다.
단,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기는 탄소원자수 1~35의 범위 내이다.)
<3> m=4이며, X가 하기 식(4)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7
(식 중, X3은 탄소원자, 4가의 탄소원자수 1~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4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4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 또는 4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를 나타내고,
X3으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수산기, 니트로기,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X3으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Z1~Z4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2)에서의 Z1 및 Z2로 표시되는 기와 동일하다.
단, 상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기는 탄소원자수 1~35의 범위 내이다.)
<4> m=5이며, X가 하기 식(5)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8
(식 중, X4는 5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5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5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 또는 5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를 나타내고,
X4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수산기, 니트로기,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X4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Z1~Z5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2)에서의 Z1 및 Z2로 표시되는 기와 동일하다.
단, 상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기는 탄소원자수 2~50의 범위 내이다.)
<5> m=6이며, X가 하기 식(6)으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9
(식 중, X5는 6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6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6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 또는 6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를 나타내고,
X5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수산기, 니트로기,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X5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Z1~Z6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2)에서의 Z1 및 Z2로 표시되는 기와 동일하다.
단, 상기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기는 탄소원자수 2~50의 범위 내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어도 1종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염료(A), 산가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B),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C) 및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모노머(D)를 함유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의 경화물 및 상기 경화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디바이스용 컬러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정한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조성물(착색 알칼리 현상성 감광성 조성물)은 내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그 경화물은 표시 디바이스용 컬러 필터에 적절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m개의 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달라도 된다. m의 값은 2~6이며, 합성이 용이한 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2~3이다.
상기 일반식(1)에서의 A를 치환하고 있어도 되는 할로겐원자, R1로 표시되는 할로겐원자, 또는 R2 및 R3으로 표시되는 알킬기, 아릴기, 아릴알킬기를 치환하고 있어도 되는 할로겐원자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를 들 수 있고,
A를 치환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 또는 R1~R6으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iso-프로필, 부틸, sec-부틸, tert-부틸, iso-부틸, 아밀, iso-아밀, tert-아밀, 시클로펜틸, 헥실, 2-헥실, 3-헥실, 시클로헥실, 4-메틸시클로헥실, 헵틸, 2-헵틸, 3-헵틸, iso-헵틸, tert-헵틸, 1-옥틸, iso-옥틸, tert-옥틸, 아다만틸 등을 들 수 있고,
A를 치환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원자수 1~12의 알콕시기 또는 R1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1~12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부틸옥시, s-부틸옥시, t-부틸옥시, 이소부틸옥시, 펜틸옥시, 이소아밀옥시, t-아밀옥시, 헥실옥시, 시클로헥실옥시, 시클로헥실메틸옥시,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옥시,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옥시 등을 들 수 있고,
A를 치환해도 되는 탄소원자수 1~12의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R1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1~12의 할로겐화 알킬기로서는, 상술한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의 적어도 하나의 수소원자가 상술한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것, 예를 들면, 클로로메틸, 디클로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노나플루오로부틸 등을 들 수 있고,
A를 치환해도 되는 탄소원자수 1~12의 할로겐화 알콕시기 또는 R1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1~12의 할로겐화 알콕시기로서는, 상술한 탄소원자수 1~12의 알콕시기의 적어도 하나의 수소원자가 상술한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것, 예를 들면, 클로로메틸옥시, 디클로로메틸옥시, 트리클로로메틸옥시, 플루오로메틸옥시, 디플루오로메틸옥시, 트리플루오로메틸옥시, 노나플루오로부틸옥시 등을 들 수 있고,
R2~R6으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로서는, 페닐, 나프틸, 안트라세닐, 2-메틸페닐, 3-메틸페닐, 4-메틸페닐, 4-비닐페닐, 3-iso-프로필페닐, 4-iso-프로필페닐, 4-부틸페닐, 4-iso-부틸페닐, 4-tert-부틸페닐, 4-헥실페닐, 4-시클로헥실페닐, 4-옥틸페닐, 4-(2-에틸헥실)페닐, 4-스테아릴페닐, 2,3-디메틸페닐, 2,4-디메틸페닐, 2,5-디메틸페닐, 2,6-디메틸페닐, 3,4-디메틸페닐, 3,5-디메틸페닐, 2,4-디-tert-부틸페닐, 2,5-디-tert-부틸페닐, 2,6-디-tert-부틸페닐, 2,4-디-tert-펜틸페닐, 2,5-디-tert-아밀페닐, 2,5-디-tert-옥틸페닐, 2,4-디큐밀페닐, 4-시클로헥실페닐, (1,1'-비페닐)-4-일, 2,4,5-트리메틸페닐, 페로세닐 등을 들 수 있고,
R2~R6으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로서는, 벤질, 플루오레닐, 인데닐, 9-플루오레닐메틸, 2-페닐프로판-2-일, 디페닐메틸, 트리페닐메틸, 스티릴, 신나밀 등을 들 수 있고,
R4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3~25의 복소환기로서는, 피리딜, 피리미딜, 피리다질, 피페리딜, 피라닐, 피라졸릴, 트리아질, 피롤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이미다졸릴, 벤조이미다졸릴, 트리아졸릴, 프릴, 푸라닐, 벤조푸라닐, 티에닐, 티오페닐, 벤조티오페닐, 티아디아졸릴, 티아졸릴, 벤조티아졸릴, 옥사졸릴, 벤조옥사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소옥사졸릴, 인돌릴, 2-피롤리디논-1-일, 2-피페리돈-1-일, 2,4-디옥시이미다졸리딘-3-일, 2,4-디옥시옥사졸리딘-3-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2)~(6) 및 식(2-1)~(2-3)에 기재된 할로겐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할로겐화 알콕시기, 아릴기 및 아릴알킬기 각각의 예로서는, 본 단락에 있어서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할로겐화 알콕시기, 아릴기 및 아릴알킬기 각각의 예로서 상기에 든 기와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한편, 이들 기 중, 탄소원자수가 본 단락에서 든 기와 다른 것에 대해서는, 본 단락에서 든 기 중, 소정의 탄소원자수를 만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A에서의 -NR2R3기 및 -C(R1)=C(CN)Y기의 치환 위치는 A가 벤젠환의 경우는 통상 파라위치이며, A가 나프탈렌환의 경우는 보통 1,4위치 또는 1,5위치이며, A가 안트라센환의 경우는 보통 1,4위치, 1,5위치, 1,10위치 또는 9,10위치이다.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로 표시되는 2가의 탄소원자수 1~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탄, 에탄, 프로판, iso-프로판, 부탄, sec-부탄, tert-부탄, iso-부탄, 헥산, 2-메틸헥산, 3-메틸헥산, 헵탄, 2-메틸헵탄, 3-메틸헵탄, iso-헵탄, tert-헵탄, 1-메틸옥탄, iso-옥탄, tert-옥탄, 시클로프로판, 시클로부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2,4-디메틸시클로부탄, 4-메틸시클로헥산 등의 기가 Z1 및 Z2로 치환된 2가의 기를 들 수 있고, 이들 기 중,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이들을 조합시킨 기란, 예를 들면, -COO-O-, -COO-S-, -O-OCO-, -S-OCO-, -CO-NH-, -NH-CO- 등을 나타내고, 그중에서도 -COO-, -O-, -OCO-, -NHCO-, -NH-, -CONH-, -O-CONH-, -NHCO-O-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시클로데카닐, 1-아다만틸, 2-아다만틸, 노르아다만틸, 2-메틸아다만틸, 노르보닐, 이소노르보닐, 퍼하이드로나프틸, 퍼하이드로안트라세닐, 비시클로[1.1.0]부틸, 비시클로[1.1.1]펜틸, 비시클로[2.1.0]펜틸, 비시클로[3.1.0]헥실, 비시클로[2.1.1]헥실, 비시클로[2.2.0]헥실, 비시클로[4.1.0]헵틸, 비시클로[3.2.0]헵틸, 비시클로[3.1.1]헵틸, 비시클로[2.2.1]헵틸, 비시클로[5.1.0]옥틸, 비시클로[4.2.0]옥틸, 비시클로[4.1.1]옥틸, 비시클로[3.3.0]옥틸, 비시클로[3.2.1]옥틸, 비시클로[2.2.2]옥틸, 스피로[4,4]노나닐, 스피로[4,5]데카닐, 데카인, 트리시클로데카닐, 테트라시클로도데카닐, 세드롤, 시클로도데카닐 등의 기가 Z1 및 Z2로 치환된 2가의 기 등을 들 수 있고,
2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로서는, 페닐렌, 나프틸렌, 비페닐 등의 기가 Z1 및 Z2로 치환된 2가의 기 등을 들 수 있고,
2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로서는, 피리딘, 피라딘, 피페리딘, 피페라진, 피리미딘, 피리다진, 트리아진, 헥사하이드로트리아진, 푸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크로만, 크산텐, 티오펜, 티오란 등의 기가 Z1 및 Z2로 치환된 2가의 기를 들 수 있다.
이들 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또는 탄소원자수 1~8의 알콕시기로 더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식(2-1)에 있어서, R21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에부틸, 시클로옥틸 등 및 이들 기가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1~10의 알콕시기로 치환된 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원자수 2~10의 알케닐기로서는, 비닐, 알릴, 1-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2-부테닐, 1,3-부타디에닐, 2-펜테닐, 2-옥테닐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R22에서의 알킬기, 알콕시기 및 알케닐기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치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식(2-3)에 있어서, R23 및 R24로 표시되는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옥시 기로서는, 페닐옥시, 나프틸옥시, 2-메틸페닐옥시, 3-메틸페닐옥시, 4-메틸페닐옥시, 4-비닐페닐옥시, 3-iso-프로필페닐옥시, 4-iso-프로필페닐옥시, 4-부틸페닐옥시, 4-tert-부틸페닐옥시, 4-헥실페닐옥시, 4-시클로헥실페닐옥시, 4-옥틸페닐옥시, 4-(2-에틸헥실)페닐옥시, 2,3-디메틸페닐옥시, 2,4-디메틸페닐옥시, 2,5-디메틸페닐옥시, 2.6-디메틸페닐옥시, 3.4-디메틸페닐옥시, 3.5-디메틸페닐옥시, 2,4-디-tert-부틸페닐옥시, 2,5-디-tert-부틸페닐옥시, 2,6-디-tert-부틸페닐옥시, 2.4-디-tert-펜틸페닐옥시, 2,5-tert-아밀페닐옥시, 4-시클로헥실페닐옥시, 2,4,5-트리메틸페닐옥시, 페로세닐옥시 등의 기 및 이들 기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기를 들 수 있고,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티오기로서는, 상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옥시기의 산소원자를 유황원자로 치환한 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원자수 8~20의 아릴알케닐기로서는, 상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옥시기의 산소원자를 비닐, 알릴, 1-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2-부테닐, 1,3-부타디에닐, 2-펜테닐, 2-옥테닐 등의 알케닐기로 치환한 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원자수 2~20의 복소환 함유기로서는, 피리딘, 피라딘, 피페리딘, 피페라진, 피리미딘, 피리다진, 트리아진, 헥사하이드로트리아진, 푸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크로만, 크산텐, 티오펜, 티오푸란 등의 기 및 이들 기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3)에서의 X2로 표시되는 3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의 설명에서 예시한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Z1, Z2 및 Z3로 치환된 3가의 기를 들 수 있고, 이들 기 중,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이들을 조합시킨 기란, 예를 들면, -COO-O-, -COO-S-, -O-OCO-, -S-OCO-, -CO-NH-, -NH-CO- 등을 들 수 있고, 그중에서도 -COO-, -O-, -OCO-, -NHCO-, -NH-, -CONH-, -O-CONH-, -NHCO-O-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의 설명에서 예시한 지환식 탄화수소기가 Z1, Z2 및 Z3로 치환된 3가의 기를 들 수 있고,
3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의 설명에서 예시한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가 Z1, Z2 및 Z3으로 치환된 3가의 기를 들 수 있고,
3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의 설명에서 예시한 복소환 함유기가 Z1, Z2 및 Z3으로 치환된 3가의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4)에서의 X3로 표시되는 4가의 탄소원자수 1~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의 설명에서 예시한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Z1, Z2, Z3 및 Z4로 치환된 4가의 기를 들 수 있고, 이들 기 중,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이들을 조합시킨 기란, 예를 들면, -COO-O-, -COO-S-, -O-OCO-, -S-OCO-, -CO-NH-, -NH-CO- 등을 나타내고, 그중에서도 -COO-, -O-, -OCO-, -NHCO-, -NH-, -CONH-, -O-CONH-, -NHCO-O-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4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의 설명에서 예시한 지환식 탄화수소기가 Z1, Z2, Z3 및 Z4로 치환된 4가의 기를 들 수 있고,
4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3)에서의 X1의 설명으로 예시한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가 Z1, Z2, Z3 및 Z4로 치환된 4가의 기를 들 수 있고,
4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의 설명에서 예시한 복소환 함유기가 Z1, Z2, Z3 및 Z4로 치환된 4가의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5)에서의 X4로 표시되는 5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의 설명에서 예시한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Z1, Z2, Z3, Z4 및 Z5로 치환된 5가의 기를 들 수 있고, 이들 기 중,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이들을 조합시킨 기란, 예를 들면, -COO-O-, -COO-S-, -O-OCO-, -S-OCO-, -CO-NH-, -NH-CO- 등을 나타내고, 그중에서도 -COO-, -O-, -OCO-, -NHCO-, -NH-, -CONH-, -O-CONH-, -NHCO-O-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의 설명에서 예시한 지환식 탄화수소기가 Z1, Z2, Z3, Z4 및 Z5로 치환된 5가의 기를 들 수 있고,
5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의 설명에서 예시한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가 Z1, Z2, Z3, Z4 및 Z5로 치환된 5가의 기를 들 수 있고,
5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로 설명에서 예시한 복소환 함유기가 Z1, Z2, Z3, Z4 및 Z5로 치환된 5가의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6)에서의 X5로 표시되는 6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의 설명에서 예시한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Z1, Z2, Z3, Z4, Z5 및 Z6로 치환된 6가의 기를 들 수 있고, 이들 기 중,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이들을 조합시킨 기란, 예를 들면, -COO-O-, -COO-S-, -O-OCO-, -S-OCO-, -CO-NH-, -NH-CO- 등을 나타내고, 그중에서도 -COO-, -O-, -OCO-, -NHCO-, -NH-, -CONH-, -O-CONH-, -NHCO-O-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6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의 설명에서 예시한 지환식 탄화수소기가 Z1, Z2, Z3, Z4, Z5 및 Z6으로 치환된 6가의 기를 들 수 있고,
6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2)에서의 X1로 설명에서 예시한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가 Z1, Z2, Z3, Z4, Z5 및 Z6으로 치환된 6가의 기를 들 수 있고,
6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로서는, 상기 일반식(3)에서의 X1의 설명에서 예시한 복소환 함유기가 Z1, Z2, Z3, Z4, Z5 및 Z6으로 치환된 6가의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도 A가 벤젠환인 것; R1이 수소원자인 것; R2 및 R3이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인 것; R4이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인 것; m이 2일 때, X가 일반식(2)로 표시되고, 상기 식(2) 중의 X1이 하기 군 1로부터 선택되는 기인 것; m이 3일 때, X가 일반식(3)으로 표시되고, 상기 식(3) 중의 X2가 하기 군 2로부터 선택되는 기인 것; m이 4일 때, X가 일반식(4)로 표시되고, 상기 식(4) 중의 X3이 군 3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인 것; m이 5일 때, X가 일반식(5)로 표시되고, 상기 식(5) 중의 X4가 하기 군 4로부터 선택되는 기인 것; m이 6일 때, X가 일반식(6)으로 표시되고, 상기 식(6) 중의 X5가 하기 군 5로부터 선택되는 기인 것은 원료의 입수나 제조가 용이하고, 내열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0
(식 중, R5는 상기 일반식(1)에서의 R5와 동일한 기이며, 기 중에 2개 이상 있을 경우, 동일하거나 달라도 되고, p는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q는 0~3의 정수를 나타내며, r은 1~19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 화합물에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본 발명의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구조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화합물은 염료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등의 착색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 외, 디스플레이나 광학 렌즈에 사용되는 광학 필터, 은염사진용 감광재료, 염색물, 도료, 잉크, 전자사진 감광체, 토너, 감열 기록지, 전사 리본, 광학 기록 색소, 태양 전지, 유기반도체, 임상검사 시약, 레이저 치료용 색소, 염색 등에 사용된다.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m=2, A가 벤젠환, Y가 시아노기, X가 *-Z1-X1-Z2-*로 표시될 때, 하기의 반응식과 같이, 알데히드체와 말로노니트릴을 염기성 조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m=3~6의 경우도 이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염기로서는, 하기에 나타내는 트리에틸아민 대신에 무수피페라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24
(식 중, R1, R2 및 R3은 상기 일반식(1)과 동일하고, Z1, Z2 및 X1은 상기 일반식(2)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염료(A)는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어도 1종 함유하고 있으면 되고, 단독 또는 복수종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에 공지의 염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지의 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조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인디고이드 염료, 트리아릴메탄 염료, 크산텐 염료, 알리자린 염료, 아크리딘 염료, 스틸벤 염료, 티아졸 염료, 나프톨 염료, 퀴놀린 염료, 니트로 염료, 인다민 염료, 옥사진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시아닌 염료 등의 염료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복수를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여기서 "염료"란, 유기용매에 용해시켜서 사용하는 것이며, 분산 수지 등과 분산하여 사용할 경우는 후술하는 "안료"라고 칭한다.
본 발명의 염료(A)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100질량%이다.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50질량%보다 작으면,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하거나 내열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착색 조성물 중,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염료(A), 산가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B),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C), 및 상기 (B)성분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모노머(D)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이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조성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 중, 상기 염료(A)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2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질량%이다. 염료(A)의 함유량이 0.1질량% 미만이면 착색성이 불충분해지고, 20질량%이면 착색 감광성 조성물 중에 염료(A)가 석출할 우려가 있다.
상기 산가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메타)아크릴산, α-크롤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시트라콘산, 푸마르산, 하이믹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비닐아세트산, 알릴아세트산, 계피산, 소르빈산, 메사콘산, 숙신산모노[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 프탈산모노[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양 말단에 카르복시기와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머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말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말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엔·말레이트 혹은 한 개의 카르복시기와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다염기산; 페놀 및/또는 크레졸노볼락에폭시 수지, 비페닐 골격, 나프탈렌 골격을 가지는 노볼락에폭시 수지, 비스페놀A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디시클로펜타디엔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등의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다관능 에폭시기를 가지는 폴리페닐메탄형 에폭시 수지, 하기 일반식(7)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 등의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기초로 불포화 일염기산을 작용시키고, 또한, 다염기산무수물을 작용시켜서 얻어진 수지, 펜타에리스리톨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와 무수숙신산, 무수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등의 이염기산 무수물의 반응물인 산가를 가지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등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5
(식 중, X41은 직접 결합, 메틸렌기, 탄소원자수 1~4의 알킬리덴기, 탄소원자수 3~20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O-, -S-, -SO2-, -SS-, -SO-, -CO-, -OCO- 또는 상기 식(2-1)~(2-3)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리덴기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41, R42, R43 및 R4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5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2~5의 알케닐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알콕시기 및 알케닐기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s는 0~10의 정수이다.)
이들 중합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산가를 가지지 않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로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그들을 미리 공 중합하여 공중합체로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산가를 가지지 않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하기 화합물 No.A1~No.A4,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t-부틸,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n-옥틸,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이소노닐, (메타)아크릴산스테아릴, (메타)아크릴산라우릴, (메타)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메틸, (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산에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폴리(에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부톡시에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산테트라하이드로푸릴, (메타)아크릴산비닐, (메타)아크릴산알릴, (메타)아크릴산벤질,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로일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등의 불포화 일염기산 및 다가 알코올 또는 다가 페놀의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아연, (메타)아크릴산마그네슘 등의 불포화 다염기산의 금속염; 말레산무수물, 이타콘산무수물, 시트라콘산무수물, 메틸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트리알킬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5-(2,5-디옥소테트라하이드로푸릴)-3-메틸-3-시클로헥센-1,2-디카르본산무수물, 트리알킬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무수말레산부가물, 도데세닐무수숙신산, 무수메틸하이믹산 등의 불포화 다염기산의 산무수물;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틸렌비스-(메타)아크릴아미드, 디에틸렌트리아민트리스(메타)아크릴아미드, 크실릴렌비스(메타)아크릴아미드, α-클로로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불포화 일염기산 및 다가 아민의 아미드; 아크롤레인 등의 불포화 알데히드; (메타)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시안화비닐리덴, 시안화알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 스티렌, 4-메틸스티렌, 4-에틸스티렌, 4-메톡시스티렌, 4-하이드록시스티렌, 4-클로로스티렌, 디비닐벤젠, 비닐톨루엔, 비닐안식향산, 비닐페놀, 비닐술폰산, 4-비닐벤젠술폰산, 비닐벤질메틸에테르, 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불포화 방향족 화합물; 메틸비닐케톤 등의 불포화케톤; 비닐아민, 알릴아민, N-비닐피롤리돈, 비닐피페리딘 등의 불포화 아민 화합물;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n-부틸비닐에테르, 이소부틸비닐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 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불포화 이미드류; 인덴, 1-메틸인덴 등의 인덴류;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지방족 공역 디엔류;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 등의 중합체 분자쇄의 말단에 모노(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매크로모노머류;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등의 그 밖의 비닐 화합물,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매크로모노머, 폴리스티렌매크로모노머 등의 매크로모노머류, 트리시클로데칸골격의 모노메타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이미드, 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3-에틸옥세탄 등과, (메타)아크릴산과의 공중합체 및 이들에 쇼와덴코(주)사 제품 카렌즈 MOI, AOI와 같은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킨 (메타)아크릴산의 공중합체나, 비닐클로리드, 비닐리덴클로리드, 디비닐숙시네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트리알릴포스페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비닐티오에테르, 비닐이미다졸, 비닐옥사졸린, 비닐카르바졸, 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수산기 함유 비닐 모노머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비닐 우레탄 화합물, 수산기 함유 비닐 모노머 및 폴리에폭시 화합물의 비닐에폭시 화합물, 펜타에리스리톨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와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물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산가 조정하여 상기 감광성 조성물의 현상성을 개량하기 위해, 상기 산가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과 함께, 또한 단관능 또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가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은 고형분의 산가가 5~120㎎KOH/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관능 또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사용량은 상기 산가를 만족시키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관능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에테르, 에틸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글리시딜에테르, 이소프로필글리시딜에테르, 부틸글리시딜에테르, 이소부틸글리시딜에테르, t-부틸글리시딜에테르, 펜틸글리시딜에테르, 헥실글리시딜에테르, 헵틸글리시딜에테르, 옥틸글리시딜에테르, 노닐글리시딜에테르, 데실글리시딜에테르, 운데실글리시딜에테르, 도데실글리시딜에테르, 트리데실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데실글리시딜에테르, 펜타데실글리시딜에테르, 헥사데실글리시딜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프로파르길글리시딜에테르, p-메톡시에틸글리시딜에테르, 페닐글리시딜에테르, p-메톡시글리시딜에테르, p-부틸페놀글리시딜에테르, 크레질글리시딜에테르, 2-메틸크레질글리시딜에테르, 4-노닐페닐글리시딜에테르, 벤질글리시딜에테르, p-쿠밀페닐글리시딜에테르, 트리틸글리시딜에테르, 2,3-에폭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아마인유, 글리시딜부티레이트, 비닐시클로헥산모노옥시드, 1,2-에폭시-4-비닐시클로헥산, 스티렌옥시드, 피넨옥시드, 메틸스티렌옥시드, 시클로헥센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 및 글리시딜에테르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면, 특성이 한층 양호한 착색 알칼리 현상성 감광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상기 일반식(7)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수첨(水添)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 등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에테르류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8-옥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10-데칸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2,2-디메틸-1,3-프로판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헥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글리시딜에테르, 1,1,1-트리(글리시딜옥시메틸)프로판, 1,1,1-트리(글리시딜옥시메틸)에탄, 1,1,1-트리(글리시딜옥시메틸)메탄, 1,1,1,1-테트라(글리시딜옥시메틸)메탄을 들 수 있다.
그 외,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비페닐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비스페놀A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디시클로펜타디엔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등의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1-에폭시에틸-3,4-에폭시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다이머산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글리시딜에스테르류; 테트라글리시딜디아미노디페닐메탄, 트리글리시딜-p-아미노페놀, N,N-디글리시딜아닐린 등의 글리시딜아민류; 1,3-디글리시딜-5,5-디메틸히단토인,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복소환식 에폭시 화합물;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시드 등의 디옥시드 화합물; 나프탈렌형 에폭시 화합물, 트리페닐메탄형 에폭시 화합물,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산가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B)의 함유량은 착색 감광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1~9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질량%이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B)의 함유량이 0.1% 미만이면 현상 특성이 불충분해지고, 90%를 넘으면 경화막의 강도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는 광조사를 받음으로써 라디칼 중합을 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화합물이면 되고,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질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등의 케톤계 화합물, 옥심계 화합물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예시할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4'-이소프로필-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프로피오페논,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p-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p-제3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p-제3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p-아지드벤잘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온-1,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포리노페닐)-부탄온-1,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벤질계 화합물로서는, 벤질, 아니실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o-벤조일안식향산메틸, 미히라케톤,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피드 등을 들 수 있다.
옥심계 화합물로서는, 1,2-옥탄디온,1-[4-(페닐티오)-,2-(O-벤조일옥심)], 에탄온,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1-(O-아세틸옥심), 메탄온,(2-메틸페닐)[6-니트로-9-[3-(트리메틸실릴)프로필]-9H-카르바졸-3-일]-,1-O-아세틸옥심), 메탄온,(9-에틸-6-니트로-9H-카르바졸-3-일)(2-메틸페닐),O-아세틸옥심, 메탄온,(9-에틸-6-니트로-9H-카르바졸-3-일)[2-메틸-4-(4-모르폴리닐)페닐),O-아세틸옥심, 메탄온,(3,5-디니트로페닐)(9-에틸-6-니트로-9H-카르바졸-3-일)(2-메틸페닐),O-아세틸옥심, 메탄온,(9-에틸-6-니트로-9H-카르바졸-3-일)(3-니트로페닐),O-아세틸옥심, 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1,3,5-트리스[2-(아세틸옥시)-3-[3-[(1E)-1-[(아세틸옥시)이미노에틸]-6-니트로-9H-카르바졸-9-일]프로필]-, 1,2-부탄디온,1-[4-(페닐티오)페닐]-,2-(O-아세틸옥심), 1,2-부탄디온,1-[4-[[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티오]페닐]-,2-(O-아세틸옥심), 1,2-부탄디온,1,1'-(티오디-4,1-페닐렌)비스-,2,2-비스(O-아세틸옥심), 1,2-옥탄디온,1-[4-(페닐티오)페닐]-,2-[O-(4-메틸벤조일)옥심] 등을 들 수 있다.
티오크산톤계 화합물로서는, 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에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페인옥사이드,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비스[2,6-디플루오로-3-(필-1-일)]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는 1종 혹은 2종 이상인 것을 소망하는 성능에 따라 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C)의 함유량은 착색 감광성 조성물 중, 0.1~30질량%, 특히 0.5~10질량%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개시제(C)의 함유량이 0.1질량%보다 작으면 노광에 의한 경화가 불충분해질 경우가 있고, 30질량%보다 크면 수지 조성물 중에 개시제(C)가 석출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조성물에 있어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모노머(D)로서는, 상기 산가를 가지지 않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모노머(D)의 함유량은 산가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 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10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0질량%이다.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에는 더욱 무기안료 혹은 유기안료를 더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니트로소 화합물, 니트로 화합물, 아조 화합물, 디아조 화합물, 크산텐화합물, 퀴놀린 화합물, 안트라퀴논 화합물, 쿠마린 화합물,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이소인돌리논 화합물, 이소인돌린 화합물, 퀴나크리돈 화합물, 안탄트론(anthanthrone) 화합물, 페리논(perynone) 화합물, 페릴렌(perylene) 화합물, 디케토피롤로피롤 화합물, 티오인디고 화합물, 디옥사진 화합물, 트리페닐메탄 화합물, 퀴노프탈론 화합물,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본산; 아조 염료, 시아닌 염료의 금속 착체 화합물; 레이크(lake) 안료; 퍼니스(furnace)법, 채널(cannel)법, 서멀(thermal)법에 의해 얻어지는 카본 블랙, 혹은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또는 램프 블랙 등의 카본 블랙; 상기 카본 블랙을 에폭시 수지로 조정, 피복한 것, 상기 카본 블랙을 미리 용매 중으로 수지로 분산 처리하고, 20~200㎎/g의 수지를 흡착시킨 것, 상기 카본 블랙을 산성 또는 알카리성 표면 처리한 것, 평균 입경이 8㎚ 이상으로 DBP 흡유량이 90㎖/100g 이하인 것, 950℃에서의 휘발분 중 CO, CO2로부터 산출한 전 산소량이 카본 블랙의 표면적 100㎡당 9㎎ 이상인 것; 흑연, 흑연화 카본 블랙, 활성탄, 탄소섬유, 카본 나노튜브, 카본 마이크로코일, 카본 나노혼, 카본 에어로겔, 풀러린; 아닐린 블랙, 피그먼트 블랙 7, 티탄 블랙; 소수성 수지, 산화크롬 그린, 밀로리, 코발트 그린, 코발트 블루, 망간계, 페로시안화물, 인산염 군청, 감청, 울트라마린, 세룰리안 블루(cerulean blue), 비리디안(viridian), 에메랄드 그린, 황산납, 황색납, 아연황, 철단(적색 산화철(Ⅲ)), 카드뮴 레드, 합성 철흑, 앰버 등의 무기 함량 또는 유기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안료는 단독으로, 혹은 복수를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안료 또는 유기안료로서는, 시판의 안료를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피그먼트 레드 1, 2, 3, 9, 10, 14, 17, 22, 23, 31, 38, 41, 48, 49, 88, 90, 97, 112, 119, 122, 123, 144, 149, 166, 168, 169, 170, 171, 177, 179, 180, 184, 185, 192, 200, 202, 209, 215, 216, 217, 220, 223, 224, 226, 227, 228, 240, 254; 피그먼트 오렌지 13, 31, 34, 36, 38, 43, 46, 48, 49, 51, 52, 55, 59, 60, 61, 62, 64, 65, 71; 피그먼트 옐로우 1, 3, 12, 13, 14, 16, 17, 20, 24, 55, 60, 73, 81, 83, 86, 93, 95, 97, 98, 100, 109, 110, 113, 114, 117, 120, 125, 126, 127, 129, 137, 138, 139, 147, 148, 150, 151, 152, 153, 154, 166, 168, 175, 180, 185; 피그먼트 그린 7, 10, 36; 피그먼트 블루 15, 15:1, 15:2, 15:3, 15:4, 15:5, 15:6, 22, 24, 56, 60, 61, 62, 64; 피그먼트 바이올렛 1, 19, 23, 27, 29, 30, 32, 37, 40, 5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유기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얻어진 도액을 스핀코터, 롤코터, 바코터, 다이코터, 커튼코터, 각종 인쇄, 침지 등의 공지의 수단으로, 소다 유리, 석영 유리, 반도체 기판, 금속, 종이, 플라스틱 등의 지지 기체상에 도포하고, 광조사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서는, 통상, 필요에 따라 상기의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용매, 예를 들면, 메틸에틸케톤, 메틸아밀케톤, 디에틸케톤, 아세톤,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2-헵탄올 등의 케톤류; 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1,2-디에톡시에탄,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시클로헥실, 유산에틸, 숙신산디메틸, 텍사놀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셀로솔브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ISO- 또는 n-프로판올, ISO- 또는 n-부탄올, 아밀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PGMEA),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에톡시에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에테르에스테르계 용매;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BTX계 용매; 헥산, 헵탄, 옥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 테레핀유, D-리모넨, 피넨 등의 테르펜계 탄화수소유; 미네랄 스피릿, 스와졸#310(코스모마츠야마세키유(주)), 솔벳소#100(엑손카가쿠(주)) 등의 파라핀계 용매;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틸렌, 염화메틸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계 용매; 카르비톨계 용매, 아닐린,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아세트산, 아세토니트릴, 이황화탄소,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술폭시드, 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용매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케톤류, 에테르에스테르계 용매 등, 특히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사논 등이 감광성 조성물에 있어서 레지스트와 광중합 개시제의 상용성이 좋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에는, 더욱 무기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무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니켈, 산화철, 산화이리듐,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칼륨, 실리카, 산화알미늄 등의 금속산화물; 층상 점토광물, 밀로리 블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코발트계, 망간계, 유리 분말, 마이카, 탈크, 카올린, 페로시안화물, 각종 금속 황산염, 황화물, 셀렌 화물,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수산화알루미늄, 백금, 금, 은, 구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에 있어서, 안료 및/또는 무기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분산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로서는, 색재, 무기 화합물을 분산, 안정화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되고, 시판의 분산제, 예를 들면, 빅케미사 제품, BYK 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염기성 관능기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분산제, 염기성 관능기로서 질소원자를 가지고, 질소원자를 가지는 관능기가 아민, 및/또는 그 4급염이며, 아민값이 1~100㎎KOH/g인 것이 적절히 사용된다.
또한,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p-아니솔, 하이드로퀴논, 피로카테콜, t-부틸카테콜, 페노티아진 등의 열중합 억제제; 가소제; 접착 촉진제; 충전제; 소포제; 레벨링제; 표면 조정제; 페놀계 산화 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 방지제, 티오에테르계 산화 방지제 등의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분산 조제; 응집 방지제; 촉매; 효과 촉진제; 가교제; 증점제 등의 관용의 첨가물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가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과 함께, 다른 유기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의 경화물의 특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메타)아크릴산, 스티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염화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수지, ABS 수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폴리비닐부티랄,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포화 폴리에스테르, 페놀 수지, 페녹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아믹산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폴리스티렌, (메타)아크릴산-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에는 또한, 열 라디칼 중합개시제, 연쇄 이동제, 증감제, 계면활성제, 실란커플링제, 멜라민 등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열 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메틸이소부티레이트),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1'-아조비스(1-아세톡시-1-페닐에탄) 등의 아조계 개시제; 벤조일퍼옥시드, 디-t-부틸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과황산 암모늄, 과황산 나트륨, 과황산 칼륨 등의 과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쇄 이동제, 증감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유황원자 함유 화합물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티오글리콜산, 티오사과산, 티오살리실산, 2-메르캅토프로피온산,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3-메르캅토낙산, N-(2-메르캅토프로피오닐)글리신, 2-메르캅토니코틴산, 3-[N-(2-메르캅토에틸)카르바모일]프로피온산, 3-[N-(2-메르캅토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 N-(3-메르캅토프로피오닐)알라닌, 2-메르캅토에탄술폰산, 3-메르캅토프로판술폰산, 4-메르캅토부탄술폰산, 도데실(4-메틸티오)페닐에테르, 2-메르캅토에탄올,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 1-메르캅토-2-프로판올, 3-메르캅토-2-부탄올, 메르캅토페놀, 2-메르캅토에틸아민, 2-메르캅토이미다졸, 2-메르캅토벤조이미다졸, 2-메르캅토-3-피리디놀,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메르캅토아세트산,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메르캅토 화합물, 상기 메르캅토 화합물을 산화해서 얻어지는 디술피드 화합물, 요오드아세트산, 요오드프로피온산, 2-요오드에탄올, 2-요오드에탄술폰산, 3-요오드프로판술폰산 등의 요오드화 알킬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메르캅토이소부티레이트), 부탄디올비스(3-메르캅토이소부티레이트), 헥산디티올, 데칸디티올, 1,4-디메틸메르캅토벤젠, 부탄디올비스티오프로피오네이트, 부탄디올비스티오글리콜레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티오글리콜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티오글리콜레이트, 부탄디올비스티오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티오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티오글리콜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티오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티오글리콜레이트,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트리스티오프로피오네이트, 하기 화합물 No.C1, 트리메르캅토프로피온산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지방족 다관능 티올 화합물, 쇼와덴코사 제품 카렌즈 MT BD1, PE1, NR1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0
상기 계면활성제로서는,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퍼플루오로알킬카르본산염 등의 불소 계면활성제, 고급 지방산 알칼리염, 알킬술폰산염, 알킬황산염 등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고급 아민 할로겐산염, 제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모노글리세리드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조합시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면, 신에츠카가쿠사 제품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중에서도 KBE-9007, KBM-502, KBE-403 등, 이소시아네이트기, 메타크릴로일기, 에폭시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가 적절히 사용된다.
상기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폴리)메틸올멜라민, (폴리)메틸올글리콜우릴, (폴리)메틸올벤조구아나민, (폴리)메틸올우레아 등의 질소화합물 중의 활성메틸올기(CH2OH기)의 전부 또는 일부(적어도 2개)이 알킬에테르화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알킬에테르를 구성하는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부틸기를 들 수 있고,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알킬에테르화되어 있지 않은 메틸올기는 1분자내에서 자기 축합하고 있어도 되고, 2분자간에서 축합하고, 그 결과 올리고머 성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테트라메톡시메틸글리콜우릴, 테트라부톡시메틸글리콜우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등의 알킬에테르화된 멜라민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에 있어서, 염료(A), 산가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B),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C) 및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모노머(D) 이외의 임의 성분(단, 유기용매를 제외)의 함유량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산가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B) 100질량부에 대하여, 합계로 500질량부이하다.
또한,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을 경화시킬 때에 사용되는 활성광의 광원으로서는, 파장 300~450㎚의 빛을 발광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초고압 수은, 수은 증기 아크, 카본 아크, 크세논 아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노광 광원에 레이저광을 사용함으로써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컴퓨터 등의 디지털 정보로부터 직접 화상을 형성하는 레이저 직접 묘화법이 생산성뿐만 아니라, 해상성이나 위치 정밀도 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유용하며, 그 레이저광으로서는, 340~430㎚의 파장의 빛이 적절히 사용되지만, 아르곤이온 레이저, 헬륨네온 레이저, YAG 레이저 및 반도체 레이저 등의 가시로부터 적외 영역의 빛을 발하는 것도 사용된다. 이들 레이저를 사용할 경우에는, 가시로부터 적외의 당해 영역을 흡수하는 증감 색소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또는 그 경화물)은 광경화성 도료 혹은 바니쉬, 광경화성 접착제, 프린트 기판 혹은 컬러 TV, PC 모니터, 휴대 정보 단말, 디지털 카메라 등의 컬러 표시의 액정 표시 패널에서의 컬러 필터, CCD 이미지 센서의 컬러 필터, 플라즈마 표시 패널용의 전극재료, 분말 코팅, 인쇄 잉크, 인쇄판, 접착제, 치과용 조성물, 광조형용 수지, 겔 코트, 전자 공학용의 포토레지스트, 전기 도금 레지스트, 에칭 레지스트, 액상 및 건조막의 쌍방, 솔더 레지스트, 각종 표시 용도용의 컬러 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혹은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발광 표시장치 및 LCD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레지스트, 전기 및 전자부품을 봉입하기 위한 조성물, 솔더 레지스트, 자기기록재료, 미소기계부품, 도파로, 광 스위치, 도금용 마스크, 에칭 마스크, 컬러 시험계, 유리 섬유 케이블 코팅, 스크린 인쇄용 스텐실, 스테레오리소그래피에 의해 삼차원물체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 홀로그래피 기록용 재료, 화상기록재료, 미세전자회로, 탈색재료, 화상기록재료를 위한 탈색재료,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하는 화상기록재료용의 탈색재료, 인쇄 배선판용 포토레지스트 재료, UV 및 가시 레이저 직접 화상계용의 포토레지스트재료, 프린트 회로 기판의 순차 적층에서의 유전체층 형성에 사용하는 포토레지스트재료 혹은 보호막 등의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용도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컬러 필터의 화소를 형성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특히 액정표시패널 등의 화상표시장치용의 표시 디바이스용 컬러 필터를 형성하기 위한 감광성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상기 표시 디바이스용 컬러 필터는, (1)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의 도막을 기판상에 형성하는 공정, (2) 상기 도막에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가지는 마스크를 통해서 활성광을 조사하는 공정, (3) 노광 후의 피막을 현상액으로 현상하는 공정, (4) 현상 후의 상기 피막을 가열하는 공정에 의해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현상 공정이 없는 잉크젯 방식의 착색 감광성 조성물로서도 유용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을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1 및 1-2] 화합물 No.1 및 No.2의 합성
반응용기에 알데히드체(4m㏖), 말로노니트릴(8m㏖), 무수피페라진(0.03g) 및 디메틸 아세트아미드(5g)를 넣어 용해시켜, 80℃에서 5시간 교반했다. 에탄올 7g을 적하해서 정석시켜 얻어진 고체를 여과, 에탄올 세정한 후 농축하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액: 톨루엔)에 의해 정제하고, 건조해서 황색 고체를 각각 얻었다. 얻어진 황색 고체가 목적물인 것은 1H-NMR, IR로 확인했다. 또한, 흡수 파장 특성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및 1-4] 화합물 No.3 및 No.4의 합성
반응용기에 알데히드체(4m㏖), 시아노아세트산에틸(8m㏖), 무수피페라진(0.03g)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5g)를 넣어 용해시켜, 50℃에서 5시간 교반했다. 에탄올 7g을 적하해서 정석시켜, 얻어진 고체를 여과, 에탄올 세정하고, 황색 고체를 각각 얻었다. 얻어진 황색 고체가 목적물인 것은 1H-NMR, IR로 확인했다. 또한, 흡수 파장 특성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화합물 No.5의 합성
반응용기에 알데히드체(4m㏖), 말로노니트릴(12m㏖), 무수피페라진(0.04g) 및 디메틸 아세트아미드(5g)를 넣어 용해시켜, 50℃에서 3시간 교반했다. 에탄올 7g을 적하해서 정석시켜서 얻어진 고체를 여과, 에탄올 세정하고, 황색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황색 고체가 목적물인 것은 1H-NMR, IR로 확인했다. 또한, 흡수 파장 특성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31
[표 2]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평가예 1-1~1-5] 흡수 파장 특성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화합물 No.1~No.5 및 상기의 비교 화합물 No.1 및 2의 흡수 파장 특성을 CHCl3용액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34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염료(A)는 적절한 흡수 파장을 가지는 것이 명확하다.
[실시예 2-1~2-5] 착색 감광성 조성물 No.1~No.5의 조제
<스텝 1> 감광성 조성물 No.1의 조제
(B)성분으로서 SPC-1000(쇼와덴코사 제품)을 39.7g 및 (D)성분으로서 A-9300-1-CL(신나카무라카가쿠코교사 제품)을 9.2g, (C)성분으로서 일거큐어 OXE-01(BASF사 제품)을 0.8g, 용매로서 PGMEA를 28.0g 및 기타 성분으로서 FZ2122(토레·다우코닝사 제품)를 2.31g 혼합하고, 불용물이 없어질 때까지 교반하여 감광성 조성물 No.1을 얻었다.
<스텝 2> 염료액 No.1~No.5의 조제
(A)성분으로서 상기에서 얻어진 화합물 No.1~No.5 각각의 0.10g에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1.90g을 첨가하고, 교반해서 용해시켰다.
<스텝 3> 착색 감광성 조성물 No.1~No.5의 조제
스텝 1에서 얻어진 감광성 조성물 No.1의 5.0g과 스텝 2에서 얻어진 염료액No.1~No.5 각각 1.0g을 혼합하고,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조성물 No.1~No.5를 각각 얻었다.
[비교예 2-1 및 2-2] 비교 착색성 감광성 조성물 No.1 및 No.2의 조제
실시예 2-1의 스텝 2에서의 (A)성분의 화합물 No.1을 비교 화합물 No.1 및 No.2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같은 수법으로 비교 착색 감광성 조성물 No.1 및 No.2를 얻었다.
[평가예 2-1~2-5 및 비교 평가예 2-1 및 2-2] 소성에 의한 내열성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착색 감광성 조성물 No.1~No.5 및 비교 착색 감광성 조성물No.1 및 No.2를 각각 유리 기판에 410rpm×7sec의 조건으로 도공하고, 핫플레이트에서 건조(90℃, 90sec)시켰다. 얻어진 도막에 초고압수은 램프로 노광(150mJ/㎠)했다. 노광 후의 도막을 230℃×30min의 조건으로 소성했다. 사용한 화합물(염료)의 극대 흡수 파장(λmax)에서의 소성 전(노광 후)의 도막의 흡광도와 소성 후의 도막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소성 전(노광 후)의 도막의 흡광도를 100으로 했을 때의 소성 후의 도막의 흡광도의 비율을 상대 강도로서 평가했다. 한편, 소성 후의 도막의 흡광도가 100에 가까울 만큼 내열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pct00035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내열성이 높은 것은 명확하다.
[평가예 3-1~3-5 및 비교 평가예 3-1 및 3-2] 내광성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착색 감광성 조성물 No.1~No.5 및 비교 착색 감광성 조성물 No.1 및 No.2를 각각 유리 기판에 410rpm×7sec의 조건으로 도공하고, 핫플레이트로 건조(90℃, 90sec)시켰다. 얻어진 도막에 초고압수은 램프로 노광(150mJ/㎠)했다. 노광 후의 도막을 스가시험기 제품 키세논 내광성 시험기 테이블선 XT-1500L로 12시간 내광성 시험을 실시했다. 사용한 화합물(염료)의 극대흡수 파장(λmax)에서의 내광성 시험 전의 도막의 흡광도와 내광성 시험 후의 도막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내광성 시험 전의 도막의 흡광도를 100으로 했을 때의 내광성 시험 후의 도막의 흡광도 비율을 상대 강도로서 평가했다. 한편, 내광성 시험 후의 도막의 흡광도가 100에 가까울 만큼 내광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5]
Figure pct00036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내광성이 높은 것은 명확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을 사용한 염료는 적절한 파장 영역에 흡수를 가지는 것은 명확하고, 그 염료를 사용한 감광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에서의 내열성 및 내광성이 높은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 및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표시 디바이스용 컬러 필터 및 그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액정표시패널에 유용하다.

Claims (5)

  1.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Figure pct00037

    (식 중, A는 벤젠환, 나프탈렌환 또는 안트라센환을 나타내고, 이들 환은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수산기, 니트로기,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Y는 시아노기 또는 -COOR4를 나타내고,
    R1은 수소원자, 페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원자,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12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1~12의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1~12의 할로겐화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으로 표시되는 알킬기, 아릴기 및 아릴알킬기는 할로겐원자 또는 니트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2 및 R3으로 표시되는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COO-, -O-, -OCO-, -NHCO-, -NH- 또는 -CONH-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4는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 또는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R4로 표시되는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COO-, -O-, -OCO-, -NHCO-, -NH- 또는 -CONH-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X는 단결합, 질소원자, -NR5-, 산소원자, 유황원자, -SO2-, -SO-, 인원자, -PR6- 또는 하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기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12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를 나타내고,
    m=2~6의 정수이다.)
    <1> m=2이며, X가 하기 식(2)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38

    (식 중, X1은 -NR13-, 2가의 탄소원자수 1~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2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2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 2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 또는 하기 (2-1)~(2-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X1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수산기, 니트로 기,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X1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Z1 및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O-, -S-, -SO2-, -SO-, -NR13- 또는 -PR14-를 나타내고,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를 나타내고,
    R13 및 R14로 표시되는 알킬기, 아릴기 및 아릴알킬기는 할로겐원자, 수산기 또는 니트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13 및 R14로 표시되는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COO-, -O-, -OCO-, -NHCO-, -NH- 또는 -CONH-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단, 상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기는 탄소원자수 1~35의 범위 내이다.)
    Figure pct00039

    (식 중, R21은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에 의해 치환되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22는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10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2~10의 알케닐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21 및 R22로 표시되는 알킬기, 알콕시기 및 알케닐기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거나 또는 무치환이며,
    d는 0~5의 정수이다.)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식 중, R23 및 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옥시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티오기, 탄소원자수 8~20의 아릴알케닐기,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 탄소원자수 2~20의 복소환 함유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23 및 R24로 표시되는 알킬기, 아릴기, 아릴옥시기, 아릴티오기, 아릴알케닐기, 아릴알킬기 및 복소환 함유기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거나 또는 무치환이며,
    R23 및 R24로 표시되는 알킬기 및 아릴알킬기 중의 메틸렌기는 불포화 결합, -O- 또는 -S-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23은 인접하는 R23끼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e는 0~4의 수를 나타내고,
    f는 0~8의 수를 나타내고,
    g는 0~4의 수를 나타내고,
    h는 0~4의 수를 나타내고,
    g와 h의 수의 합계는 2~4이다.)
    <2> m=3이며, X가 하기 식(3)으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42

    (식 중, X2는 R25로 치환된 탄소원자, 3가의 탄소원자수 1~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3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3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 또는 3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를 나타내고,
    R25는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7~20의 아릴알킬기를 나타내고,
    X2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수산기, 니트로기,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X2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Z1~Z3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2)에서의 Z1 및 Z2로 표시되는 기와 동일하다.
    단,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기는 탄소원자수 1~35의 범위 내이다.)
    <3> m=4이며, X가 하기 식(4)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43

    (식 중, X3은 탄소원자, 4가의 탄소원자수 1~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4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4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 또는 4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를 나타내고,
    X3으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수산기, 니트로기,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X3으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Z1~Z4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2)에서의 Z1 및 Z2로 표시되는 기와 동일하다. 단, 상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기는 탄소원자수 1~35의 범위 내이다.)
    <4> m=5이며, X가 하기 식(5)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44

    (식 중, X4는 5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5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5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 또는 5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를 나타내고,
    X4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수산기, 니트로기,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X4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Z1~Z5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2)에서의 Z1 및 Z2로 표시되는 기와 동일하다. 단, 상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기는 탄소원자수 2~50의 범위 내이다.)
    <5> m=6이며, X가 하기 식(6)으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45

    (식 중, X5는 6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6가의 탄소원자수 3~35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6가의 탄소원자수 6~35의 방향환 함유 탄화수소기 또는 6가의 탄소원자수 2~35의 복소환 함유기를 나타내고,
    X5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수산기, 니트로기, 탄소원자수 1~8의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X5로 표시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중의 메틸렌기는 -O-, -S-, -CO-, -CO-O-, -O-CO-, -SO2-, -NH-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Z1~Z6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2)에서의 Z1 및 Z2로 표시되는 기와 동일하다. 단, 상기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기는 탄소원자수 2~50의 범위 내이다.)
  2.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
  3.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적어도 1종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염료(A), 산가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B),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 (C) 및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모노머(D)를 함유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4. 제3항에 기재된 착색 감광성 조성물의 경화물.
  5. 제4항에 기재된 경화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디바이스용 컬러 필터.
KR1020167001460A 2013-12-05 2014-11-27 신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600943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52228 2013-12-05
JP2013252228 2013-12-05
PCT/JP2014/081361 WO2015083606A1 (ja) 2013-12-05 2014-11-27 新規化合物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362A true KR20160094362A (ko) 2016-08-09

Family

ID=5327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460A KR20160094362A (ko) 2013-12-05 2014-11-27 신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39584B2 (ko)
KR (1) KR20160094362A (ko)
CN (1) CN105473666B (ko)
TW (1) TWI664244B (ko)
WO (1) WO201508360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422A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8327A (ko) * 2017-10-05 2020-05-27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화합물, 잠재성 산화 방지제, 조성물, 경화물 및 경화물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0705B2 (ja) * 2016-05-20 2020-08-19 Jsr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材料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材料用着色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表示素子及び受光素子
KR20200144089A (ko) * 2018-04-19 2020-12-28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화합물, 광 흡수제, 조성물 및 광학 필터
WO2020111864A1 (ko)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적층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9286A1 (ja) 2010-09-22 2012-03-29 株式会社Adeka 染料及び着色感光性組成物
WO2012101946A1 (ja) 2011-01-25 2012-08-02 株式会社Adeka 新規化合物、染料及び着色感光性組成物
WO2012111400A1 (ja) 2011-02-18 2012-08-23 株式会社Adeka 着色感光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97311A5 (ko) * 1974-05-14 1978-03-31 Sandoz Ag
EP0215124B1 (en) * 1985-02-06 1991-09-04 Fuji Photo Film Co., Ltd. Silver halide phot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
DE4004613A1 (de) * 1990-02-15 1991-08-22 Basf Ag Bichromophore cyanogruppen aufweisende methinfarbstoffe und ein verfahren zu ihrer uebertragung
JP2857466B2 (ja) * 1990-04-16 1999-02-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H03295687A (ja) * 1990-04-16 1991-12-26 Sankyo Kagaku Kk 感熱転写記録用色素
JP2010015025A (ja) * 2008-07-04 2010-01-21 Adeka Corp 特定の光重合開始剤を含有する感光性組成物
US8507569B2 (en) * 2009-03-23 2013-08-13 Basf Se Photoresist compositions
KR101577491B1 (ko) * 2012-12-17 2015-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티릴계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9286A1 (ja) 2010-09-22 2012-03-29 株式会社Adeka 染料及び着色感光性組成物
WO2012101946A1 (ja) 2011-01-25 2012-08-02 株式会社Adeka 新規化合物、染料及び着色感光性組成物
WO2012111400A1 (ja) 2011-02-18 2012-08-23 株式会社Adeka 着色感光性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327A (ko) * 2017-10-05 2020-05-27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화합물, 잠재성 산화 방지제, 조성물, 경화물 및 경화물의 제조 방법
KR20190054422A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29748A (zh) 2015-08-01
WO2015083606A1 (ja) 2015-06-11
CN105473666B (zh) 2018-06-08
JPWO2015083606A1 (ja) 2017-03-16
TWI664244B (zh) 2019-07-01
CN105473666A (zh) 2016-04-06
JP6539584B2 (ja)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002B1 (ko) 잠재성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68509B1 (ko) 착색 감광성 조성물
KR20160140652A (ko) 옥심에스테르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중합 개시제
KR20180058657A (ko) 옥심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 개시제
US9334270B2 (en) Polymerizable (photosensitive or reactive) cyano-containing compound, a dye, and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KR102369427B1 (ko) 신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316645B1 (ko) 감광성 조성물 및 신규 화합물
KR102229645B1 (ko) 착색 감광성 조성물 및 신규 화합물
US9029434B2 (en)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JP6539584B2 (ja) 新規化合物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
KR102314688B1 (ko) 조성물 및 신규 화합물
JP6748083B2 (ja) 新規化合物、潜在性添加剤及び該添加剤を含有する組成物
KR102326662B1 (ko) 신규 화합물 및 착색 감광성 조성물
KR102545326B1 (ko) 옥심에스테르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중합 개시제
JP2013116945A (ja) 染料及び着色感光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