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231A - Electric device unload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Electric device unloading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4231A KR20160094231A KR1020150015600A KR20150015600A KR20160094231A KR 20160094231 A KR20160094231 A KR 20160094231A KR 1020150015600 A KR1020150015600 A KR 1020150015600A KR 20150015600 A KR20150015600 A KR 20150015600A KR 20160094231 A KR20160094231 A KR 201600942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jig
- electronic component
- unloading
- test tr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테스트트레이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언더필지그로 언로딩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unloading an electronic part loaded in a test tray with an underfill jig.
에스에스디(SSD: Solid State Drive)와 같은 전자부품은 생산된 후 공정용 트레이에 적재된다. 그리고 공정용 트레이에 적재된 전자부품은 테스트를 위해 테스트트레이로 이동 적재된다. 전자부품은 테스트트레이에 적재된 상태에서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자부품에 대한 제1 테스트 공정이 수행된다.Electronic parts such as solid state drives (SSD) are produced and loaded on the process tray.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in the process tray are then transported to the test tray for tes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while being loaded in the test tray, so that a first test process for the electronic component is performed.
제1 테스트 공정에서 양품으로 판정된 전자부품은 케이싱 공정과 라벨링 공정을 통해 출하 제품으로 완성된 후, 제2 테스트 공정이 진행된다. 제2 테스트 공정 후 테스트 결과에 따라 전자부품은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류되고, 양품만이 출하된다.The electronic component determined to be good in the first test process is completed with the shipped product through the casing process and the labeling process, and then the second test process proceeds. After the second test process, the electronic parts are classified as good and defectiv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and only good parts are shipped.
종래에는 테스트 공정을 제외한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들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본 발명에 앞서서 전자부품에 대한 케이싱 공정과 라벨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라벨링 장비(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4-0041140호, 이하 '선행발명1'이라 함), 라벨링이 완료된 전자부품에 대한 제2 테스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테스트 장비(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4-0091798호, 이하 '선행발명2'라 함), 제2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테스트 결과에 따라 분류하는 전자부품 분류장비(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4-0154576호, 이하 '선행발명2'라 함)를 제안한 바 있다.Conventionally,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except for the test process were performed by hand, resulting in low productivity. 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labeling apparatu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411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선행발명1은 제1 테스트 공정 후 양품으로 판정된 전자부품에 대하여 케이싱 작업과 라벨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기술이다.
선행발명2는 케이싱 작업과 라벨링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에 대하여 제2 테스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기술이다.The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erforming a second test process on an electronic component for which casing work and labeling work have been completed.
선행발명3은 제2 테스트 공정 후 테스트 결과에 따라 전자부품을 분류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기술이다.Prior Art 3 is a technology relating to equipment for sorting electronic components according to a test result after a second test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위의 선행발명1 내지 선행발명3에 따른 장비들과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면서, 제1 테스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공정용 트레이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테스트트레이로 로딩시키기 위한 장비(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4-01909640호, 이하 '선행발명4'라 함)를 제안한 바 있다.Further,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system for forming a system with the devic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rst to third inventions, and for loading the electronic parts loaded on the process tray into the test tray for performing the first test proces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19096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본 발명은 위의 선행발명4에 따른 전자부품 로딩장비에 의해 전자부품이 테스트트레이에 적재된 후에 테스터에 의해 제1 테스트가 이루어진 후, 테스트트레이로부터 언더필지그로 언로딩하는 공정과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unloading from a test tray to an underfill jig after a first test is performed by a tester after the electronic component is loaded on the test tray by the electronic component load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fourth invention.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장비에 의해 테스트트레이에서 언로딩되면서 언더필지그에 적재된 전자부품은, 위의 선행발명1에 따른 장비로 제공되어서 케이싱 및 라벨링 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언더필지그는 선행발명1에서 부호 'T'의 트레이로 명명되어 있다.
For reference, the electronic parts loaded on the underfill jig while being unloaded from the test tray by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first invention, and the casing and the labeling operation are performed. In this specification, the underpark is referred to as a tray of the symbol 'T' in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테스트 공정이 수행된 후 테스트트트레이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테스트트레이로부터 언로딩시키기 위한 신규한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vel apparatus for unloading an electronic part loaded in a test tray from a test tray after a first test process is perform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언로딩장비는, 수직 상태의 전자부품을 수평 상태로 회전시키는 전자부품 회전장치; 언로딩위치에 있는 테스트트레이에 수직 상태로 적재된 전자부품을 테스트트레이로부터 언로딩한 후, 수직 상태의 전자부품을 상기 전자부품 회전장치로 공급하는 제1 픽킹장치; 및 상기 전자부품 회전장치에 의해 수평 상태로 회전된 전자부품을 적재위치에 있는 언더필지그로 이동 적재시키는 제2 픽킹장치; 를 포함한다.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n electronic part rotating device for rotating a vertical electronic part in a horizontal state; A first picking device for unloading the vertically stacked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test tray in the test tray at the unloading position and then supplying the vertical electronic component to the electronic component rotating device; And a second picking device for moving the electronic component horizontally rotated by the electronic component rotating device to an underfill jig in a loading position; .
상기 전자부품 언로딩장비는 테스트트레이를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언로딩위치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언로딩위치로부터 상기 대기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트레이이송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lectronic component unloading equipment comprises a tray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unloading position or from the unloading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s shown in FIG.
상기 전자부품 언로딩장비는 수급위치에 있는 테스트트레이를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키는 트레이이동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device comprises: a tray moving device for moving the test tray in the receiving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s shown in FIG.
상기 전자부품 언로딩장비는 상기 대기위치에 있는 테스트트레이를 트레이반출위치로 운반하는 트레이운반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device comprises: a tray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test tray at the standby position to a tray unloading position; As shown in FIG.
상기 전자부품 언로딩장비는 제1 형태의 테스트트레이를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언로딩위치로 이송시키기거나 상기 언로딩위치로부터 상기 대기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형태의 트레이이송장치; 및 상기 제1 형태의 테스트트레이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는 제2 형태의 테스트트레이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언로딩위치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언로딩위치로부터 상기 대기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형태의 트레이이송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comprises a first type of tray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a first type of test tray from a standby position to the unloading position or from the unloading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nd a second type of test tray for transferring a second type of test tray hav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type of test tray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unloading position or from the unloading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Conveying device; As shown in FIG.
상기 전자부품 언로딩장비는 언로딩위치에 있는 테스트트레이를 트레이받침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comprises a test tray in an unloading position, As shown in FIG.
상기 트레이받침장치는, 제1 형태의 제1 테스트트레이를 받치는 지지기; 및 상기 제1 테스트트레이와 다른 구조를 가지는 제2 형태의 테스트트레이를 받치는 한 쌍의 지지레일; 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y supporting apparatus comprises: a support for supporting a first test tray of a first type; And a pair of support rails for supporting a second type of test tray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first test tray; . ≪ / RTI >
상기 전자부품 언로딩장비는 제1 대기위치에 있는 테스트트레이를 제2 대기위치로 운반하기 위한 상기 트레이운반장치; 및 상기 제2 대기위치에 있는 테스트트레이를 상기 언로딩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트레이이송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Said electronic component unloading equipment comprising: said tray carrying device for conveying a test tray in a first stand-by position to a second stand-by position; And a tray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test tray in the second standby position to the unloading position; As shown in FIG.
상기 전자부품 언로딩장비는 언더필지그의 상판을 하판으로부터 탈착시키기 위한 상판탈착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device includes an upper plate removing device for detaching the upper plate of the underfill jig from the lower plate; As shown in FIG.
상기 하판에는 개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탈착장치는 상기 개구홈을 통해 상기 상판을 파지한다.An op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removing device grips the upper plate through the opening groove.
상기 전자부품 언로딩장비는 상기 상판탈착장치에 의해 상기 상판이 탈거된 상기 하판을 제1 이동종료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지그이동장치; 상기 제1 이동종료위치에 있는 하판을 상기 적재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하판이송장치; 및 상기 적재위치에서 전자부품의 적재가 완료된 후, 상기 상판탈착장치에 의해 상기 상판이 결합된 언더필지그를 제2 이동종료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지그이동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device includes a first jig moving device for moving the lower plate, from which the upper plate is detached, to a first movement end position by the upper plate removing device; A lower plate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lower plate at the first movement end position to the loading position; And a second jig moving device for positioning the underfill jig to which the upper plate is coupled by the upper plate removing device at a second movement end position after the load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t the loading posi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상기 전자부품 언로딩장비는 공급위치에 있는 빈 언더필지그를 이동시작위치로 운반하는 지그운반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그이동장치는 상기 이동시작위치에 있는 언더필지그를 상기 상판탈착장치에 의해 상기 상판이 탈거되는 상판탈거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상판이 탈거된 상기 하판을 상기 제1 이동종료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Wherein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comprises a jig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an empty underfill jig at a supply position to a movement start position; Wherein the first jig moving device moves the underfill jig at the movement start position to a top plate removing position where the top plate is detached by the top plate removing device, 1 movement end position.
상기 전자부품 언로딩장비는 반전위치에 있는 언더필지그를 수평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키는 지그반전장치; 및 상기 제2 이동종료위치에 있는 언더필지그를 상기 반전위치로 운반하는 지그운반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comprises a jig reversing device for rotating the underfill jig in the reversal position by 180 degrees around a horizontal line as a rotation axis; And a jig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underfill jig at the second movement ending position to the reversing position; As shown in FIG.
상기 제1 픽킹장치는 상기 테스트트레이에 구비되어서 적재된 전자부품을 홀딩시키는 홀딩기의 홀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핀을 가진다.The first picking apparatus has a release pin provided on the test tray for releasing the holding state of the holding device for holding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
상기 제1 픽킹장치는 상기 해제핀의 작용에 의해 홀딩 상태가 해제된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를 더 가질 수 있다.
The first picking device may further have an escape prevention member for preventing the escap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whose holding state is released by the action of the release pin.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제1 테스트 공정이 수행된 후, 자동화된 흐름을 통해 테스트트레이에 적재된 수직 상태의 전자부품을 언로딩하여 제1 선행발명에서 제안된 케이싱 및 라벨링 장비로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더필지그에 수평 상태로 적재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after the first test process is performed, unloading of the vertical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test tray through an automated flow is used to supply electronic components to the casing and labeling equipment proposed in the first prior art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being mounted horizontally on the underfill jig.
둘째, 서로 다른 종류의 테스트트레이를 모두 수용하여 언로딩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트레이의 종류마다 그에 맞는 언로딩 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Second, because unloading operations can be performed by accommodating different types of test trays,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unloading equipment for each kind of test trays, thereby reducing investment costs.
셋째, 언더필지그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필요에 따라서 상하 반전시켜 줌으로써 번거로움을 줄이고, 전체 시스템에서 자동화된 흐름을 유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ird, by reversing the electronic parts loaded on the underfill jig as need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assle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by maintaining the automatic flow in the whole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되는 제1 테스트트레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되는 제2 테스트트레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제2 테스트트레이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언로딩장비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재프레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되는 언더필지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6 및 도7은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서 이루어지는 전자부품의 이동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8은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서 이루어지는 제1 형태를 가지는 테스트트레이의 이동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9는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서 이루어지는 제2 형태를 가지는 테스트트레이의 이동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10은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서 이루어지는 언더필지그의 이동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11은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된 제1 트레이이동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2 내지 도14는 도11의 제1 트레이이동장치를 구성하는 제2 트레이이동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5는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된 제1 트레이이송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6은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된 제3 트레이이송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7 및 도18은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된 제2 트레이받침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9는 도17의 제2 트레이받침장치에 구성된 제1 지지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0은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된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1 및 도22는 도20의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23은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된 제1 픽킹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4는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된 제1 트레이반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5는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된 제2 픽킹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6은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된 상판탈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7은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된 지그반전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8은 도27의 지그반전장치에 대한 일부 분해도이다.
도29 내지 도32는 도28의 지그반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지그반전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33은 도5의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 적용된 지그이송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rst test tray applied to an electronic component un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test tray applied to an electronic component un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acking frame used to supply the second test tray of FIG. 2 to the electronic component unload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underfill jig applied to an electronic part un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top view of an electronic component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a movement flow of th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electronic component unloading equipment of Fig.
8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moving flow of the test tray having the first form in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of FIG.
9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flow of the test tray having the second form in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of FIG.
10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flow of movement of the underfill jig in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of Fig.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rst tray moving apparatus applied to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apparatus of FIG.
Figs. 12 to 14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 second tray mover constituting the first tray mover of Fig. 11. Fig.
Figure 1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rst tray transfer device applied to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of Figure 5;
Figure 1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hird tray transfer device applied to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of Figure 5;
17 and 18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 second tray supporting apparatu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unloading apparatus of FIG.
Fig. 1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supporting device constructed in the second tray supporting device of Fig. 17; Fig.
2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lectronic component rotating apparatu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unloading apparatus of FIG.
Figs. 21 and 22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lectronic component rotating apparatus of Fig. 20; Fig.
2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picking apparatus applied to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of FIG.
2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y carry-out apparatus applied to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apparatus of FIG.
Fig. 2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icking apparatus applied to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apparatus of Fig. 5; Fig.
2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op plate desorption apparatus applied to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apparatus of FIG.
Fig. 2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jig reversing device applied to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of Fig. 5; Fig.
28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the jig inverting apparatus of Fig.
29 to 32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showing a front view of the jig inverting apparatus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jig inverting apparatus of Fig.
Fig. 3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jig transfer device applied to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of Fig. 5; Fi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simplicity of description,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or compressed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언로딩장비(EDUE)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전자부품 언로딩장비(EDUE)에서 사용되는 테스트트레이들과 언더필지그에 대하여 살펴본다.
Before describing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ED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trays and the underfill jig used in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EDUE) will be described.
<제1 테스트트레이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First Test Tray >
도1에서와 같이 제1 테스트트레이(TT1)에는 제1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ED)이 적재되어 있다. 전자부품(ED, 예를 들면 'SSD')은 제1 테스트트레이(TT1)에 적재된 상태로 제1 테스트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 테스트트레이(TT1)는 접촉모듈(CM)을 구비한다. 접촉모듈(CM)에는 수직 상태의 전자부품(ED)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IS)과 연결단자(하부에 구성되기 때문에 미도시됨)들을 가진다. 여기서 삽입홈(IS)에 삽입된 전자부품(ED)은 연결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연결단자들은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단자를 매개로 하여 전자부품(ED)과 테스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제1 테스트가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또한, 접촉모듈(CM)에는 삽입홈(IS)에 삽입된 전자부품(ED)을 홀딩(holding)시키기 위한 홀딩기가 내부에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test tray TT 1 is loaded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ED having undergone the first test. The first test tray TT 1 is provided with the contact module CM since the first test is performed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ED (for example, 'SSD') being loaded in the first test tray TT 1 do. The contact module CM has an insertion groove IS into which a vertical electronic component ED can be inserted and a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because it is configured at the bottom). Here,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IS is electrically conta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and the connection terminals can be electrically contacted to the tester. Therefore, the first test is per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ED) and the tester via the connection terminal. The contact module CM is provided therein with a holding device for holding an electronic component ED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IS.
참고로, 제1 테스트트레이(TT1)는 자기를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수단(IDC1)을 가진다.
For reference, the first test tray TT 1 has an identification means IDC1 for identifying itself.
<제2 테스트트레이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second test tray >
도2에서와 같이 제2 테스트트레이(TT2)는 제1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ED)이 적재되어 있다. 이러한 제2 테스트트레이(TT2)는 수직 상태의 전자부품(ED)을 적재시키기 위한 적재모듈(LM)들과 적재모듈(LM)들이 설치되는 회로보드(CB)를 구비한다. 제2 테스트트레이(TT2)의 적재모듈(LM)에 수직 상태로 적재된 전자부품(ED)은 회로보드(CB)에 구비된 회로를 통해 회로보드(CB)의 연결부분(CP)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분(CP)은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적재모듈(LM)에 적재된 전자부품(ED)이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제1 테스트가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test tray TT 2 is loaded with an electronic component ED having undergone the first test. This second test tray TT 2 has stacking modules LM for stacking the vertical electronic components ED and a circuit board CB on which the stacking modules LM are mounted. The electronic component ED vertically stacked on the stacking module LM of the second test tray TT 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CP of the circuit board CB through a circuit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CB Lt; / RTI > And the connection portion (CP)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Thus, the electronic component (ED) loaded on the stacking module (LM)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to perform the first test.
마찬가지로, 적재모듈(LM)은 적재된 전자부품(ED)을 홀딩(holding)시키기 위한 홀딩기가 내부에 구비된다.Similarly, the loading module LM is provided with a holding device for holding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 ED therein.
제2 테스트트레이(TT2)도 자기를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수단(IDC2)을 가진다.The second test tray TT 2 also has an identification means IDC2 for identifying itself.
한편, 제2 테스트트레이(TT2)를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언로딩장비(EDUE)로 공급하기 위해서, 도3에서와 같은 트레이적재프레임(TLF)이 사용된다. 트레이적재프레임(TLF)에는 수평 상태의 제2 테스트트레이(TT2)가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 적재된다. 이러한 트레이적재프레임(TLF)에는 견고함을 유지하기 위한 보강살(S)과 제2 테스트트레이(TT2)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한 레일(R)이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upply the second test tray TT 2 to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EDU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ray loading frame (TLF) as shown in Fig. 3 is used. In the tray loading frame (TLF), a plurality of second test trays (TT 2 ) in a horizontal state ar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tray loading frame TLF is provided with a rail R for guiding and supporting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reinforcing bar S and the second test tray TT 2 for maintaining firmness.
참고로 위에서 제1 테스트트레이(TT1)와 제2 테스트트레이(TT2)의 구조가 다른 이유는 테스터의 종류에 따라 전기적인 연결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언로딩장비(EDUE)는 제1 테스트트레이(TT1)와 제2 테스트트레이(TT2)가 임의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테스트트레이(TT1)를 테스트트레이(TT1)라 약칭하고, 제2 테스트트레이(TT2)를 제1 테스트트레이와 구분하기 위해 테스트보드(TT2)라 칭한다.
The reason why the structures of the first test tray (TT 1 ) and the second test tray (TT 2 ) are different is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ester.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EDU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test tray TT 1 and the second test tray TT 2 can be arbitrarily appli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test tray (TT 1) to test trays (TT 1) La abbreviated, and the test to separate the two test tray, the test first for (TT 2) tray board (TT 2) to avoid confusion It is called.
<언더필지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underfill jig>
도4에서와 같이 언더필지그(Under Fill Jig, UJ)에는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로부터 언로딩된 전자부품이 수평 상태로 적재될 수 있다. 이러한 언더필지그(UJ)는 상판(JT)과 하판(TB)으로 구성된다. 전자부품(ED)들은 수평 상태로 하판(TB)에 안착되며, 상판(JT)은 하판(J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전자부품(ED)을 언더필지그(UJ)에 적재시키기 위해서는 상판(JT)을 하판(JB)에서 분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하판(JB)에는 4개의 개구홈(OS)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4개의 개구홈(OS)을 통해서 후술될 상판탈착장치(2700)의 파지부재(2711)가 상판(JT)만을 파지 및 지지할 수 있게 된다(도26 참조). 그리고 이력관리를 위해 하판(JB)에는 바코드와 같은 식별수단(IDC3)이 구비되고, 상판(JP)에는 식별수단(IDC3)과 대응되는 위치에 식별수단(IDC3)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E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JP)에는 정렬구멍(UAH)이 형성되어 있고 하판(JB)에는 정렬핀(UAP)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판(JP)과 하판(JB)의 적절한 결합의 유도 및 결합 상태의 유지를 도모한다. 물론, 개구홈(OS)의 개수나 위치 또는 정렬핀(UAP)과 정렬구멍(UAH)의 위치 및 개수는 알맞게 선택될 수 있다.The unloaded electronic components from the test tray TT 1 or the test board TT 2 can be horizontally stacked on the underfill jig UJ as shown in FIG. The underfill jig UJ is composed of a top plate JT and a bottom plate TB. The electronic components ED are mounted on the lower plate TB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upper plate J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late JB. Therefore, in order to mount the electronic component ED on the underfill jig UJ, the upper plate JT must be separated from the lower plate JB. For this purpose, four opening grooves OS are formed in the lower plate JB. Through these four opening grooves OS, the holding
더 나아가 하판(JB)에는 자석(M)을 구비시키고, 상판(JT)은 자성체로 구비되어서, 하판(JB)과 상판(JT)의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lower plate JB is provided with a magnet M and the upper plate JT is provided with a magnetic substance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ower plate JB and the upper plate JT can be maintained.
참고로 언더필지그(UJ)도 지그적재프레임에 다수개가 적재된 상태로 전자부품 언로딩장비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re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underfill jig (UJ) is also supplied to th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underfill jigs (UJ) are mounted on the jig mounting frame.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의 구성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An overview of the configuration of electronic unloading equipment>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언로딩장비(EDUE)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5 is a conceptual top view of an electronic component unloading equipment (ED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부품 언로딩장비(EDUE)는 제1 트레이이동장치(1100), 제2 트레이이동장치(1200), 제1 트레이이송장치(1300), 제2 트레이이송장치(1400), 제3 트레이이송장치(1500), 제1 트레이받침장치(1600), 제2 트레이받침장치(1700),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 제1 픽킹장치(2100), 트레이운반장치(2200), 트레이반출장치(2300), 제2 픽킹장치(2400), 제1 지그이동장치(2500), 제2 지그이동장치(2600), 상판탈착장치(2700), 하판이송장치(2800), 지그상승장치(2900), 지그운반장치(3100), 지그반전장치(3200), 지그이송장치(3300), 지그반출장치(3400) 및 제어장치(3500)를 포함한다.The electronic component unloading equipment EDUE includes a first
제1 트레이이동장치(1100)는 제1 수급위치(SDP1)로 공급된 테스트트레이(TT1)나 적재프레임(TLF)에 적재된 상태에 있는 테스트보드(TT2)를 제1 대기위치(WP1)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1 트레이이동장치(1100)는 제1 대기위치(WP1)에 있는 빈 테스트보드(TT2)를 제1 수급위치(SDP1)로 이동시킨다.The first
제2 트레이이동장치(1200)는 제2 수급위치(SDP2)로 공급된 테스트트레이(TT1)나 적재프레임(TLF)에 적재된 상태에 있는 테스트보드(TT2)를 제2 대기위치(WP2)로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 트레이이동장치(1200)는 제2 대기위치(WP2)에서 적재프레임(TLF) 적재된 상태로 있는 빈 테스트보드(TT2)를 제2 수급위치(SDP2)로 이동시킨다.The second
제1 트레이이송장치(1300)는 제1 대기위치(WP1)에 있는 테스트보드(TT2)를 제1 언로딩위치(UP1)로 이송시키거나 제1 언로딩위치(UP1)에 있는 빈 테스트보드(TT2)를 제1 대기위치(WP1)로 이송시킨다.A first
제2 트레이이송장치(1400)는 제2 대기위치(WP2)에 있는 테스트보드(TT2)를 제2 언로딩위치(UP2)로 이송시킨다. 또한, 제2 트레이이송장치(1400)는 제2 언로딩위치(UP2)에 있는 테스트보드(TT2)를 제2 대기위치(WP2)로 이송시키기도 한다.The second
제3 트레이이송장치(1500)는 제2 대기위치(WP2)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를 제2 언로딩위치(UP2)로 이송시킨다. 물론, 제3 트레이이송장치(1400)도 제2 언로딩위치(UP2)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를 제2 대기위치(WP2)로 이송시킨다.The third
제1 트레이받침장치(1600)는 제1 언로딩위치(UP1)에 있는 테스트보드(TT2)를 받친다.The first
제2 트레이받침장치(1700)는 제2 언로딩위치(UP2)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를 받친다.The second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와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는 제1 픽킹장치(2100)에 의해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로부터 언로딩되어 와서 수직 상태로 적재된 전자부품(ED)을 수평 상태로 회전시킨다.The first electronic
제1 픽킹장치(2100)는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로부터 전자부품(ED)을 언로딩한 후, 수직 상태의 전자부품(ED)을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나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로 공급한다. 또한, 제1 픽킹장치(2100)는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로부터 언로딩된 전자부품(ED) 중 제1 테스트 공정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전자부품(ED)을 제거위치(RP)에 있는 제거트레이(RT)에 적재시킨다.The
트레이운반장치(2200)는 제1 대기위치(WP1)에 있는 전자부품(ED)이 적재된 테스트트레이(TT1)를 제2 대기위치(WP2)로 운반하고, 제2 대기위치(WP2)에 있는 빈 테스트트레이(TT1)를 트레이반출위치(TCP)로 운반한다.The
트레이반출장치(2300)는 트레이반출위치(TCP)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를 외부의 장비나 적재장치로 반출시킨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트레이반출장치(2300)가 전자부품(ED)이 적재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테스트트레이(TT1)를 트레이반출위치(TCP)에 위치시키고, 트레이운반장치(2200)가 트레이반출위치(TCP)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를 제1 대기위치(WP1)나 제2 대기위치(WP2)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제2 픽킹장치(2400)는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나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에 의해 수평 상태로 회전된 전자부품(ED)을 파지한 후 적재위치(LP)에 있는 언더필지그(UJ)의 하판(JB)에 적재시킨다.The
제1 지그이동장치(2500)는 지그운반장치(3100)에 의해 이동시작위치(MSP)로 공급된 언더필지그(UJ)를 상판탈거위치(TTP)로 이동시키고, 상판탈거위치(TTP)에서 상판(JT)이 탈거된 하판(JB)을 제1 이동종료위치(MEP1)로 이동시킨다.The first
제2 지그이동장치(2600)는 적재위치(LP)에 있는 하판(JB)을 상판결합위치(TJP)로 이동시키고, 상판결합위치(TJP)에서 상판(JT)이 결합된 언더필지그(UJ)를 제2 이동종료위치(MEP2)로 이동시킨다.The second
상판탈착장치(2700)는 상판탈거위치(TTP)에 있는 언더필지그(UJ)로부터 상판(JT)을 탈거시킨 후, 상판결합위치(TJP)에 있는 하판(JB)에 상판(JT)을 결합시킨다.The upper
하판이송장치(2800)는 제1 이동종료위치(MEP1)에 있는 하판(JB)을 후방의 적재위치(LP)로 이동시킨다.The lower
지그상승장치(2900)는 지그공급위치(JSP)로 공급된 언더필지그(UJ)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현재 가장 상측에 위치한 언더필지그(UJ)가 지그운반장치(3100)에 의해 이송시작위치(MSP)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The
지그운반장치(3100)는 지그공급위치(JSP)에 있는 빈 언더필지그(UJ)를 이송시작위치(MSP)로 운반한다. 또한, 지그운반장치(3100)는 제2 이동종료위치(MEP2)에 있는 전자부품(ED)이 채워진 언더필지그(UJ)를 반전위치(JDP)로 이동시킨다. The
지그반전장치(3200)는 반전위치(JDP)에 있는 언더필지그(UJ)를 좌우 수평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킨다.The
지그이송장치(3300)는 반전위치(JDP)에 있는 언더필지그(UJ)를 지그반출위치(JCP)로 이송시킨다.The
지그반출장치(3400)는 지그반출위치(JCP)에 있는 언더필지그(UJ)를 반출시킨다.The jig take-
참고로, 지그반출장치(3400)도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우측에서 별개의 장비에 의해 공급되어 오는 빈 언더필지그(UJ)를 지그반출위치(JCP)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지그이송장치(3300)에 의해 빈 언더필지그(UJ)를 반전위치(JDP)로 이송시킨 다음 반전위치(JDP)에 위치된 언더필지그(UJ)를 지그운반장치(3100)에 의해 이송시작위치(MSP)로 공급할 수 있게 구현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For the reference, the jig take-out
제어장치(3500)는 상기한 각 구성을 제어한다. 특히, 도시되지 않는 식별장치를 통해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의 식별정보를 취득한 후, 양품인 전자부품(ED)을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나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로 보내고, 불량품인 전자부품(ED)은 제거위치(RP)로 보내도록 제1 픽킹장치(2100)를 제어한다.
The
이어서,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EDLE)에서 이루어지는 전자부품(ED), 테스트트레이(TT1), 테스트보드(TT2) 및 언더필지그(UJ)의 이동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A description will now be given of a flow of movemen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the test tray TT 1 , the test board TT 2 and the underfill jig UJ in the electronic component unloading equipment EDL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에서 이루어지는 물류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Logistics Performed in Electronic Unloading Equipment>
1. 전자부품(ED)의 이동 흐름1. Movement Flow of Electronic Components (ED)
A. 테스트트레이(TTA. Test Tray (TT 1One )가 적용된 경우(도6의 화살표 참조)) Is applied (see arrows in Fig. 6)
전자부품(ED)은 테스트트레이(TT1)에 적재된 상태로 제1 수급위치(SDP1) 및 제2 수급위치(SDP2)로 공급된다. 이후 전자부품(ED)은 테스트트레이(TT1)에 적재된 상태로 제1 트레이이동장치(1100)와 제2 트레이이동장치(1200)에 의해 제1 수급위치(SDP1) 및 제2 수급위치(SDP1)에서 제1 대기위치(WP1) 및 제2 대기위치(WP2)로 이동(①-1, ①-2)된다.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supplied to the first supply position SDP 1 and the second supply position SDP 2 while being loaded on the test tray TT 1 .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moved to the first supply position SDP 1 and the second supply position AL by the first
제2 대기위치(WP2)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는 제3 트레이이송장치(1700)에 의해 제2 언로딩위치(UP2)로 이송(②)되고, 제1 픽킹장치(2100)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 또는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로 공급(③-1, ③-2)된다. 참고로 불량으로 판정된 전자부품(ED)은 제1 픽킹장치(2100)에 의해 제거위치(RP)로 보내진다(③-3).The test tray TT 1 in the second standby position WP 2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unloading position UP 2 by the third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 또는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에 의해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ED)은 제2 픽킹장치(2400)에 의해 적재위치(LP)에 있는 언더필지그(UP)의 하판(JB)으로 이동 적재(④-1, ④-2)되고, 제2 지그이동장치(2500)에 의한 언더필지그(UJ)의 이동에 따라 적재위치(LP)에서 상판결합위치(TJP)를 거쳐 제2 이동종료위치(MEP2)로 이동(⑤)된다.The electronic component ED which has been switched from the vertical state to the horizontal state by the first electronic
계속하여 전자부품(ED)은 언더필지그(UJ)에 적재된 상태로 제2 이동종료위치(MEP2)에서 반전위치(JDP)로 이동(⑥)되고, 지그반전장치(3200)에 의해 180도 반전되는 언더필지그(UJ)와 함께 180도 반전된 후 지그이송장치(3300)에 의해 지그반출위치(JCP)로 이동(⑦)된다. 그리고 지그반출장치(3400)에 의해 우측에 연결된 장비나 준비된 적재요소로 반출(⑧)된다.Subsequently,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moved (⑥) from the second movement end position MEP 2 to the inversion position JDP in a state of being loaded on the underfill jig UJ, and is rotated 180 degrees by the
한편, 제1 대기위치(WP1)에 있는 전자부품(ED)은 테스트트레이(TT1)와 함께 트레이운반장치(2200)에 의해 제2 대기위치(WP2)로 운반(①-3)된 후, 제2 대기위치(WP2)로부터 상기한 각 위치들을 거쳐 지그반출위치(JCP)로 이동되고, 반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waiting position (WP 1) electronic components (ED) is to carry the second waiting position (WP 2) by the
B. 테스트보드(TTB. Test board (TT 22 )가 적용된 경우(도7의 화살표 참조)) Is applied (see arrows in Fig. 7)
전자부품(ED)은 테스트보드(TT2)에 적재된 상태로 제1 수급위치(SDP1) 및 제2 수급위치(SDP2)에서 제1 대기위치(WP1) 및 제2 대기위치(WP2)로 이동(①-1, ①-2)된다. 그리고 제1 트레이이송장치(1300)와 제2 트레이이송장치(1400)에 의해 제1 대기위치(WP1) 및 제2 대기위치(WP2)로부터 제1 언로딩위치(UP1) 및 제2 언로딩위치(UP2)로 이송(②-1, ②-2)되고, 제1 픽킹장치(2100)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나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로 이동(③-1 내지 ③-4)된다. 이어서 적재위치(LP), 상판결합위치(TJP), 제2 이동종료위치(MEP2), 반전위치(JDP), 지그반출위치(JCP)를 거친 후 반출된다(④-1, 2 내지 ⑧). 물론, 불량으로 판정된 전자부품(ED)은 제1 언로딩위치(UP1)나 제2 언로딩위치(UP2)에서 제거위치(RP)로 보내진다.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moved to the first standby position WP 1 and the second standby position WP in the first supply position SDP 1 and the second supply position SDP 2 while being loaded on the test board TT 2 , 2 ) (①-1, ①-2). From the first waiting position WP 1 and the second waiting position WP 2 to the first unloading position UP 1 and the second unloading position UP 2 by the first
2. 테스트트레이의 이동 흐름(도8의 화살표 참조)2. Movement flow of test tray (see arrow in Fig. 8)
전자부품(ED)이 적재된 테스트트레이(TT1)는 제1 수급위치(SDP1)와 제2 수급위치(SDP2)로 공급된 후, 제1 트레이이동장치(1100) 및 제2 트레이이동장치(1200)에 의해 제1 대기위치(WP1)와 제2 대기위치(WP2)로 이동(①-1, ①-2)된다.The test tray TT 1 loaded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supplied to the first supply position SDP 1 and the second supply position SDP 2 and then the first
제2 대기위치(WP2)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는 제3 트레이이송장치(1500)에 의해 제2 언로딩위치(UP2)로 이송(②)되고, 제1 픽킹장치(2100)에 의해 적재된 전자부품(ED)의 언로딩이 완료된 빈 테스트트레이(TT1)는 제3 트레이이송장치(1500)에 의해 제2 대기위치(WP2)로 되돌려(③)진다. 그리고 트레이운반장치(2200)에 의해 제2 대기위치(WP2)에서 트레이반출위치(TCP)로 이동(④)된 후, 반출(⑤)된다.The test tray TT 1 in the second standby position WP 2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unloading position UP 2 by the third
한편, 제1 대기위치(WP1)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는 트레이운반장치(2200)에 의해 제2 대기위치(WP2)로 이동(①-3)된 후, 제2 언로딩위치(UP2), 제2 대기위치(WP2) 및 트레이반출위치(TCP)를 거쳐 반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ove to the first waiting position (WP 1) test tray (TT 1) to the second waiting position (WP 2) by the
3. 테스트보드의 이동 흐름(도9의 화살표 참조)3. Movement flow of test board (see arrow in Fig. 9)
전자부품(ED)이 적재된 테스트보드(TT2)는 제1 수급위치(SDP1)와 제2 수급위치(SDP2)로 공급된 후, 제1 트레이이동장치(1100) 및 제2 트레이이동장치(1200)에 의해 제1 대기위치(WP1)와 제2 대기위치(WP2)로 이동(①-1, ①-2)된다.The test board TT 2 loaded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supplied to the first supply position SDP 1 and the second supply position SDP 2 and then the first
그리고 제1 대기위치(WP1)와 제2 대기위치(WP2)에서 제1 트레이이송장치(1300)와 제2 트레이이송장치(1400)에 의해 제1 언로딩위치(UP1)와 제2 언로딩위치(UP2)로 이동(②-1, ②-2)된다.And the first unloading position UP 1 and the second unloading position T 2 are moved by the first
차후, 제1 언로딩위치(UP1)와 제2 언로딩위치(UP2)에서 전자부품(ED)의 언로딩이 완료된 빈 테스트보드(TT2)는 제1 트레이이송장치(1300)와 제2 트레이이송장치(1400)에 의해 제1 대기위치(WP1)와 제2 대기위치(WP2)로 되돌려(③-1, ③-2)지고, 다시 제1 트레이이동장치(1100)와 제2 트레이이동장치(1200)에 의해 제1 수급위치(SDP1)와 제2 수급위치(SDP2)로 되돌려(④-1, ④-2)진 후 반출된다.
The empty test board TT 2 in which the unload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completed in the first unloading position UP 1 and the second unloading position UP 2 is performed by the first tray transfer device 1300 (③-1, ③-2) to the first waiting position WP 1 and the second waiting position WP 2 by the first
4. 언더필지그의 이동 흐름(도10의 화살표 참조)4. Movement of the underfill jig (see arrows in Fig. 10)
빈 언더필지그(UJ)는 지그공급위치(JSP)로 공급되고, 지그운반장치(3100)에 의해 이송시작위치(MSP)로 이송(①)된 후, 제1 지그이동장치(2500)에 의해 상판탈거위치(TTP)로 이동(②)된다.The empty underfill jig UJ is supplied to the jig feed position JSP and is conveyed to the feed start position MSP by the
상판탈거위치(TTP)에서 상판탈착기(2700)에 의해 하판(JB)으로부터 탈거 분리된 상판(JT)은 상판결합위치(TJP)로 이동(③-1)되고, 하판(JB)은 제1 지그이동장치(2500)에 의해 제1 이동종료위치(MEP1)로 이동(③-2)된다.The upper plate JT detached from the lower plate JB by the upper plate despooler 2700 at the upper plate removing position TTP is moved to the upper plate engaging position TJP (? -1) and the lower plate JB is moved And moved to the first movement end position MEP 1 (? -3) by the
제1 이동종료위치(MEP1)에 있는 하판(JB)은 하판이송장치(2800)에 의해 적재위치(LP)로 이동(④)되고, 적재위치(LP)에서 전자부품(ED)의 적재가 완료된 하판(JB)은 제2 지그이동장치(2600)에 의해 상판결합위치(TJP)로 이동(⑤)된다.The lower plate JB in the first movement end position MEP 1 is moved to the loading position LP by the lower
상판결합위치(TJP)에서 상판탈착기(2700)에 의해 하판(JB)에 상판(JT)이 결합된 언더필지그(UJ)는 제2 지그이동장치(2600)에 의해 제2 이동종료위치(MEP2)로 이동(⑥)된다. 이어서 언더필지그(UJ)는 지그운반장치(3100)에 의해 제2 이동종료위치(MEP2)에서 반전위치(JDP)로 운반(⑦)된다. 그리고 반전위치(JDP)에서 지그반전장치(3200)에 의해 180도 반전된 언더필지그(UJ)는 지그이송장치(3300)에 의해 지그반출위치(JCP)로 이동(⑧)되고, 지그반출장치(3400)에 의해 반출된다.
The underfill jig UJ to which the upper plate JT is coupled to the lower plate JB by the upper plate despooler 2700 at the upper plate engaging position TJP is moved to the second movement end position MEP 2 ) (⑥). Subsequently, the underfill jig UJ is transported (⑦) from the second movement end position MEP 2 to the reverse position JDP by the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의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detailed configuration of electronic unloading device>
위에서 설명한 전자부품(ED)의 이동 흐름을 위해 구성된 기 언급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Each of the above-mentioned constituent elements configured for the movement flow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component (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제1 트레이이동장치와 제2 트레이이동장치1. A first tray moving device and a second tray moving device
제1 트레이이동장치(1100)는 제1 수급위치(SDP1)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를 제1 대기위치(WP1)로 이동시키기 위해 도11에서와 같이 2개의 트레이이동기(1110, 1120)를 구비한다.The first
제1 트레이이동기(1110)는 제1 수급위치(SDP1)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가 적재된 적재프레임(TLF)을 받친다.The
제2 트레이이동기(1120)는 제1 대기위치(WP1)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가 적재된 적재프레임(TLF)을 받친다.The
또한, 위의 제1 트레이이동기(1110) 및 제2 트레이이동기(1120)는 제1 수급위치(SDP1)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가 적재된 적재프레임(TLF)을 제1 대기위치(WP1)로 이동시킨다.Furthermore, the first tray, the
이어서 테스트트레이(TT1)나 적재프레임(TLF)의 승강 및 이동에 필요한 세부 구성을 살펴본다.Next, the detailed configuration required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the test tray (TT 1 ) or the stacking frame (TLF) will be described.
도12는 제2 트레이이동기(112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2에서와 같이 제2 트레이이동기(1120)는 승강프레임(1121), 승강원(1122), 제1 이동벨트부분(1123), 제2 이동벨트부분(1124), 이동모터(1125), 스토퍼(STP) 및 승강기(U/D)를 포함한다.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승강프레임(1121)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승강프레임(1121)의 승강에 따라서 제1 이동벨트부분(1123)과 제2 이동벨트부분(1124) 놓인 테스트트레이(TT1)나 적재프레임(TLF)이 승강하게 된다.The
승강원(1122)은 승강프레임(1121)을 승강시킨다.The elevating
제1 이동벨트부분(1123)은 승강프레임(1121)에 설치되어서 승강프레임(1121)과 함께 승강하며, 1 쌍의 이동벨트(MB1, MB2), 구동풀리(DP)들 및 피동풀리(PP)들을 포함한다.First moving
제2 이동벨트부분(1124)은 제1 이동벨트부분(1123)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second moving
참고로, 테스트트레이(TT1)의 경우에는 도13에서와 같이 제1 이동벨트부분(1123)과 제2 이동벨트부분(1124)에 각각 받쳐지지만, 테스트보드(TT2)가 적재된 적재프레임(TLF)의 경우에는 도14에서와 같이 제1 이동벨트부분(1123)과 제2 이동벨트부분(1124)이 함께 받치게 된다.For reference, in the case of the test tray TT 1 , as shown in FIG. 13, the test board TT 1 is supported by the first moving
이동모터(1125)는 구동풀리(DP)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동벨트(MB1, MB2)들이 구동풀리(DP)와 피동풀리(PP)를 회전 반환점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Moving
스토퍼(STP)는 테스트트레이(TT1)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스토퍼(STP)가 미도시된 구동원에 의해 세워지면 테스트트레이(TT1)나 적재프레임(TLF)이 밀리는 것이 방지되고, 스토퍼(STP)가 눕혀지면 테스트트레이(TT1)나 적재프레임(TLF)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stopper STP is provided to prevent the test tray TT 1 from being pushed. Therefore, if the stopper STP is raised by a drive source (not shown), the test tray TT 1 or the stacking frame TLF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and the test tray TT 1 or the stacking frame TLF Can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승강기(U/D)는 제1 이동벨트부분(1123)이나 제2 이동벨트부분(1124)에 놓인 테스트트레이(TT1)나 적재프레임(TLF)을 일정 간격 승강시킨다. 이러한 승강기(U/D)는 테스트보드(TT2) 또는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테스트트레이(TT1)가 전방으로 배출될 때 작용한다. 예를 들어, 테스트트레이(TT1)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테스트트레이(TT1)의 전단이 스토퍼(STP)에 닿아 스토퍼(STP)가 전방으로 밀리면, 센서(미도시)에 의해 스토퍼(STP)의 밀림을 감지한다. 스토퍼(STP)의 밀림이 감지되면, 승강기(U/D)가 작동하여 테스트트레이(TT1)를 상승시킴으로써 테스트트레이(TT1)의 하면을 제1 이동벨트부분(1123)이나 제2 이동벨트부분(1124)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1 이동벨트부분(1123)이나 제2 이동벨트부분(1124)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제1 이동벨트부분(1123)이나 제2 이동벨트부분(1124)의 작동이 정지되면, 승강기(U/D)가 역동작하여 테스트트레이(TT1)를 제1 이동벨트부분(1123)이나 제2 이동벨트부분(1124)에 올려놓게 된다. 이렇게 승강기(U/D)에 의해 테스트트레이(TT1)를 승강시키는 이유는 스토퍼(STP)에 의해 이동이 정지된 가장 하층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와 가장 하층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에 적재된 전자부품(ED)이 작동하는 제1 이동벨트부분(1123)이나 제2 이동벨트부분(1124)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elevator U / D elevates the test tray TT 1 or the loading frame TLF placed on the first moving
도11에서 미설명부호 r은 테스트트레이(TT1)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이다.In FIG. 11, reference character r denotes a roller for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test tray TT 1 .
한편, 제1 트레이이동기(1110)는 제2 트레이이동기(11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제1 트레이이동기(1110)에서는 테스트트레이(TT1)나 적재프레임(TLF)을 승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승강프레임과 승강원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the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트레이이동기(1110)와 제2 트레이이동기(1120)의 이동모터(1125)들이 작동하면, 제1 수급위치(SDP1)로 공급된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가 적재된 적재프레임(TLF)은 이동벨트(MB1, MB2)의 순환 회전과 함께 제1 수급위치(SDP1)에서 후방의 제1 대기위치(WP1)로 이동된다. 물론, 제1 트레이이동기(1110)와 제2 트레이이동기(1120)의 이동모터(125)들이 역으로 작동하면, 제1 대기위치(WP1)에 있는 적재프레임(TLF)이 제1 대기위치(WP1)에서 제1 수급위치(SDP1)로 이동된다.When the
또한, 제1 대기위치(WP1)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가 적재된 적재프레임(TLF)은 제2 트레이이동기(1120)의 승강원(1122)이 동작함으로써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대기위치(WP1)에서 테스트트레이(TT1)나 적재프레임(TLF)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한 이유는, 차후 설명할 제1 트레이이송장치(1300) 및 트레이운반장치(2200)가 가장 상측의 테스트보드(TT2)나 테스트트레이(TT1)를 이송시키는데 필요한 적절한 작동을 위해 테스트트레이(TT1)나 적재프레임(TLF)의 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대기위치(WP1)에서 가장 상측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는 제2 대기위치(WP2)를 경유하여 제2 언로딩위치(UP2)로 보내진다. 그리고 전자부품(ED)의 언로딩이 완료된 테스트트레이(TT1)는 제2 대기위치(WP2) 및 트레이반출위치(TCP)를 거쳐 반출된다. 이어서 적층된 테스트트레이(TT1)가 일정 높이 상승함으로써 반출된 테스트트레이(TT1)의 다음 순위의 상측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가 앞서 배출된 테스트트레이(TT1)와 동일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적재프레임(TLF)에 적재된 테스트보드(TT2)도 가장 상측의 것부터 전자부품(ED)이 언로딩된 후 적재프레임(TLF)에 다시 적재되면, 적재프레임(TLF)이 일정 높이 상승하여 다음 순위의 높이에 있는 테스트보드(TT2)에 적재된 전자부품(ED)이 언로딩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The loading frame TLF in which the test tray TT 1 or the test board TT 2 in the first standby position WP 1 is loaded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테스트트레이(TT1)가 적용된 경우 제2 트레이이동기(1120)의 제1 이동벨트부분(1123)과 제2 이동벨트부분(1124)이 독립적으로 승강되게 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It is also contemplated that the first moving
제2 트레이이동장치(1200)는 제2 수급위치(SDP2)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가 적재된 적재프레임(TLF)을 제2 대기위치(WP2)로 이동시키며, 제1 트레이이동장치(1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second
2. 제1 트레이이송장치와 제2 트레이이송장치2. The first tray transfer device and the second tray transfer device
제1 트레이이송장치(1300)는 제1 대기위치(WP1)에 있는 테스트보드(TT2)를 제1 언로딩위치(UP1)로 이송시키거나 제1 언로딩위치(UP1)에 있는 테스트보드(TT2)를 제1 대기위치(WP1)로 이송시키기 위해 도15에서와 같이 파지부재(1310), 승강기(1320) 및 전후이동기(1330)를 포함한다.A first
파지부재(1310)는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파지핀(1311)을 가진다. 이러한 파지부재(1310)는 상승에 의해 파지핀(1311)으로 테스트보드(TT2)를 파지하고, 하강에 의해 파지핀(1311)에 의한 테스트보드(TT2)의 파지를 해제한다. 물론, 이를 위해 테스트보드(TT2)의 저면에는 파지핀(1311)이 삽입될 수 있는 파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ipping
승강기(1320)는 파지부재(1310)를 승강시킴으로써, 파지핀(1311)이 테스트보드(TT2)의 파지구멍에 삽입되거나 파지구멍으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파지부재(1310)가 테스트보드(TT2)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The
전후이동기(1330)는 파지부재(1310) 및 승강기(13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파지부재(131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테스트보드(TT2)가 전방의 제1 대기위치(WP1)에서 적재프레임(TLF)으로부터 인출되면서 후방의 제1 언로딩위치(UP1)로 이송되거나, 제1 언로딩위치(UP1)에서 전방의 제1 대기위치(WP1)로 이송되면서 적재프레임(TLF)에 적재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적재프레임(TLF)에 적재된 테스트보드(TT2)가 후방 이동을 위해 파지부재(1310)에 의해 파지되거나, 제1 언로딩위치(UP1)에 있는 테스트보드(TT2)가 적재프레임(TLF)에 적절히 적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 언급한 바와 같이 테스트보드(TT2)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제2 트레이이동기(1120)에 의한 적재프레임(TLF)의 승강이 필요하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15에서와 같이 공간 활용을 위해 전후이동기(1330)로서 로드레스 실린더를 적용시키고 있으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비용 절감 등을 위해 일반 실린더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The forward / backward
제2 트레이이송장치(1400)는 제2 대기위치(WP2)에 있는 테스트보드(TT2)를 제2 언로딩위치(UP2)로 이송시키거나, 제2 언로딩위치(UP2)에 있는 빈 테스트보드(TT2)를 제2 대기위치(WP2)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1 트레이이송장치(1300)의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그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in the
3. 제3 트레이이송장치3. Third tray transfer device
제3 트레이이송장치(1500)는 제2 대기위치(WP2)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를 제2 언로딩위치(UP2)로 이송시키고, 제2 언로딩위치(UP2)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를 제2 대기위치(WP2)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제3 트레이이송장치(1500)는 도16에서와 같이 제1 트레이이송기(1510) 및 제2 트레이이송기(1520)를 가진다.A third
제1 트레이이송기(1510)는 그립퍼(1511), 수평이동기(1512) 및 수직이동기(1513)를 포함한다.The
그립퍼(1511)는 한 쌍의 구동실린더(DS1, DS2)에 의해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는 한 쌍의 그립부재(1511a, 1511b)로 테스트트레이(TT1)의 전후 양단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립퍼(1511)는 그립부재(1511a, 1511b)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원(RDF)을 가질 수 있다. 회전원(RDF)은 그립부재(1511a, 1511b)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립부재(1511a, 1511b)를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접거나 또는 펼친다. 이에 따라 제2트레이이송장치(1400)에 의한 테스트보드(TT2)의 이동시에, 테스트보드(TT2)와 그립부재(1511a, 1511b)간의 간섭이 배제될 수 있다.The
수평이동기(1512)는 그립퍼(151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립퍼(1511)에 의해 파지된 테스트트레이(TT1)를 제2 대기위치(WP2)에서 제2 언로딩위치(UP2)로 이송시키거나 제2 언로딩위치(UP2)에서 제2 대기위치(WP2)로 이송시킨다.The
수직이동기(1513)는 그립퍼(1511)를 승강시킨다. 따라서 그립퍼(1511)가 테스트트레이(TT1)를 파지할 수 있는 높이로 하강 또는 상승되거나, 테스트트레이(TT1)의 파지를 해제한 상태에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The
제2 트레이이송기(1520)는 제1 트레이이송기(1510)과 대칭되게 구비되며, 제1 트레이이송기(15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물론, 제1 트레이이송기(1510)와 제2 트레이이송기(1520)는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되거나 연동할 수 있다.Of course, the
여기서도 제1 트레이이송기(1510)와 제2 트레이이송기(1520)가 테스트트레이(TT1)를 파지할 수 있는 높이에 테스트트레이(TT1)가 위치하여야 하므로, 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트레이이동기(1120)에 의해 테스트트레이(TT1)를 승강시킬 필요성이 있다.Since the test tray TT 1 must be positioned at a height at which the first
4. 제1 트레이받침장치와 제2 트레이받침장치4. The first tray support unit and the second tray support unit
제1 트레이받침장치(1600)는 제1 언로딩위치(UP1)에 있는 테스트보드(TT2)를 받치고, 제2 트레이받침장치(1700)는 제2 언로딩위치(UP2)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를 받친다.The first
먼저 제2 트레이받침장치(1700)를 살펴보면, 제2 트레이받침장치(1700)는 도17에서와 같이 한 쌍의 지지레일(1711, 1712), 한 쌍의 지지기(1721, 1722) 및 설치프레임(1730)을 구비한다.17, the second
한 쌍의 지지레일(1711, 1712)은 테스트보드(TT2)의 양단을 받치고, 제2 트레이이송장치(150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테스트보드(TT2)의 전후 이동을 안내한다.A pair of support rails (1711, 1712) is supporting the both ends of the test board (TT 2), the second guides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test board (TT 2) to move back and forth by the
한 쌍의 지지기(1721, 1722)는 도18에서와 같이 테스트트레이(TT1)를 받친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기(1721, 1722) 중 먼저 제1 지지기(1721)를 살펴본다.A pair of
제1 지지기(1721)는 도19에서와 같이 지지판(1721a) 및 승강기(1721b)를 포함한다.The
지지판(1721a)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테스트트레이(TT1)를 받친다.The
승강기(1721b)는 지지판(1721a)을 승강시킨다. 따라서 테스트보드(TT2)가 적용된 경우에는 지지판(1721a)이 하강됨으로써 지지판(1721a)이 테스트보드(TT2)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테스트트레이(TT1)가 적용된 경우에는 지지판(1721a)이 상승됨으로써 테스트트레이(TT1)를 전자부품(ED)의 언로딩이 필요한 적절한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The
제2 지지기(1722)는 제1 지지기(1721)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The
한편, 제1 트레이받침장치(1600)는 제2 트레이받침장치(17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언로딩장비(EDUE)에서 이루어지는 테스트트레이(TT1)의 물류를 고려하면, 제1 트레이받침장치(1600)가 테스트트레이(TT1)를 받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제1 트레이받침장치(1600)에는 테스트트레이(TT1)를 받치기 위한 한 쌍의 지지기를 생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first
5.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와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5. The first electronic component rotating device and the second electronic component rotating device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와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는 제1 픽킹장치(2100)로부터 받은 수직 상태의 전자부품(ED)을 수평 상태로 회전시킨다.The first electronic
먼저, 도20을 참조하여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를 살펴본다.First, the first electronic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는 이동판(1810), 전후이동원(1820), 부품회전기(1830) 및 부품정렬기(1840)를 포함한다.The first electronic
이동판(181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이동판(1810)에는 부품회전기(1830)와 부품정렬기(1840)가 설치된다. 참고로,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처리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동판(1810)에 부폼회전기와 부품정렬기를 복수개씩 설치할 수도 있다. The moving
전후이동원(1820)은 이동판(181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이동판(1810)에 설치된 부품회전기(1830) 및 부품정렬기(1840)가 제1 픽킹장치(2100)로부터 전자부품(ED)을 받는 위치와 제2 픽킹장치(2400)로 전자부품(ED)을 주는 위치 간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픽킹장치(2100)로부터 전자부품(ED)을 받는 경우에는 이동판(1810)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고, 제2 픽킹장치(2400)로 전자부품(ED)을 주는 경우에는 이동판(1810)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픽킹장치(2100)와 제2 픽킹장치(2400)의 동작 영역이 상호 분리됨으로써, 제1 픽킹장치(2100)와 제2 픽킹장치(2400)의 동작 간섭은 방지된다.The back and forth moving
부품회전기(1830)는 설치프레임(1831), 회전부재(1832), 한 쌍의 파지부재(1833a, 1833b), 제1 간격조정기(1834) 및 회전구동원(1835)을 포함한다.The
설치프레임(1831)은 하단이 이동판(18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설치프레임(1831)의 상측에는 회전부재(1832) 등이 설치된다.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회전부재(1832)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한 쌍의 파지부재(1833a, 1833b)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다소간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부재(1832)에 설치되며, 전자부품(ED)을 파지거하나 파지를 해제한다. 이러한 한 쌍의 파지부재(1833a, 1833b)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자부품(ED)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는 파지홈(GSa, GSb)이 형성되어 있다.The pair of gripping
제1 간격조정기(1834)는 한 쌍의 파지부재(1833a, 1833b)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근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이동시킴으로써 한 쌍의 파지부재(1833a, 1833b)가 전자부품(ED)을 파지하거나 전자부품(ED)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자부품(ED)이 삽입될 시의 한 쌍의 파지부재(1833a, 1833b) 간의 간격은 전자부품(ED)이 낙하하면서 파지홈(GSa, GSb)에 미끄러지듯 삽입되면서도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 벌어진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파지홈(GSa, GSb)의 하단은 폐쇄된 턱 구조이기 때문에 전자부품(ED)의 추락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전자부품(ED)이 파지홈(GSa, GSb)에 완전히 삽입되면, 한 쌍의 파지부재(1833a, 1833b)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근시켜 전자부품(ED)을 안정적으로 파지한다. 이로써 전자부품(ED)의 흔들림 이탈이 방지된다.The
회전구동원(1835)은 회전부재(1832)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수직 상태로 파지부재(1833a, 1833b)에 의해 파지된 전자부품(ED)은 회전부재(1832)의 회전에 따라 수평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The
부품정렬기(1840)는 좌우정렬기(1841), 한 쌍의 정렬부재(1842a, 1842b) 및 제2 간격조정기(1843)를 포함한다.The
좌우정렬기(1841)는 수평 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ED)의 우측단을 받치며, 전자부품(ED)의 좌우 위치를 정렬시킨다. 이를 위해 좌우정렬기(1841)는 실린더(1841a)와 받침부재(1841b)를 포함한다. 받침부재(1841b)는 실린더(1841a)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전진함으로써 전자부품(ED)의 좌우 위치를 정렬하게 된다. 물론, 받침부재(1841b)에는 전자부품(ED)의 우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다.The left-
한 쌍의 정렬부재(1833a, 1833b)는 받침판(1841)에 놓인 수평 상태의 전자부품(ED)을 정렬시킨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정렬부재(1842a, 1842b)는 상호 접근하는 방향이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정렬부재(1833a, 1833b)에도 전자부품(ED)의 전후단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다. The pair of
제2 간격조정기(1843)는 한 쌍의 정렬부재(1842a, 1842b)를 상호 접근하는 방향이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계속하여 위와 같은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lectronic
현재, 도20은 이동판(1810)이 전방으로 전진한 상태에서 한 쌍의 파지부재(1833a, 1833b) 간의 간격이 다소 벌어져 있는 상태이다.20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a pair of gripping
도20과 같은 상태에서 제1 픽킹장치(2100)에 의해 수직 상태의 전자부품(ED)이 양 파지부재(1833a, 1833b)의 파지홈(GS1, GS2)에 삽입되면, 제1 간격조정기(1834)에 의해 한 쌍의 파지부재(1833a, 1833b) 간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양 파지부재(1833a, 1833b)에 의해 전자부품(ED)이 파지된다. 그리고 도21에서와 같이 전후이동원(1820)에 의해 이동판(1810)이 후방으로 후퇴한다. 물론, 도21과 달리 전자부품 언로딩장비(EDUE) 내의 다른 구조물들과의 간섭 방지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전자부품(ED)을 먼저 회전시킨 뒤 이동판(1810)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When the vertical electronic component ED is inserted into the gripping grooves GS1 and GS2 of the gripping
이어서 도21의 상태에서 회전구동원(1835)이 작동하여 도22에서와 같이 회전부재(1832)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1832)와 함께 한 쌍의 파지부재(1833a, 1833b)도 회전하면서, 전자부품(ED)도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전환된다. Then, in the state of FIG. 21, the
참고로, 도22의 상태에서는 수평 상태로 자세 변환되는 전자부품(ED)의 낙하 시에 한 쌍의 정렬부재(1842a, 1842b)에 의한 낙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정렬부재(1842a, 1842b) 간의 간격이 다소 벌려져 있는 상태이다.22, in order to prevent drop interference caused by the pair of
도22의 상태에서 제1 간격조정기(1834)가 역으로 작동하여 한 쌍의 파지부재(1833a, 1833b)에 의한 전자부품(ED)의 파지를 해제하면, 전자부품(ED)은 수평인 상태에서 하방으로 평행되게 낙하한다. 이 때, 한 쌍의 정렬부재(1842a, 1842b)가 상호 마주보는 면이 전자부품(ED)의 낙하를 안내해주기 때문에, 전자부품(ED)의 전후단이 한 쌍의 정렬부재(1842a, 1842b)가 상호 마주보는 면에 접촉하면서 안정되게 낙하된다. 그리고 회전구동원(1835)이 역으로 작동하여 회전부재(1832)를 역으로 회전시킨다.22, when the
한편, 전자부품(ED)의 낙하가 완료되면, 전자부품(ED)은 받침부재(1841b)와 한 쌍의 정렬부재(1833a, 1833b)의 지지턱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어서 받침부재(1841b)가 좌측 방향으로 전진하여 전자부품(ED)의 좌우 위치를 정렬시키고, 제2 간격조정기(1843)가 작동하여 한 쌍의 정렬부재(1842a, 1842b) 간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전자부품(ED)을 전후 방향 상에서 정위치에 바르게 정렬시킨다. 그리고 제2 간격조정기(1843)가 역으로 작동하여 한 쌍의 정렬부재(1842a, 1842b) 간의 간격을 다소 벌린다. 따라서 제2 픽킹장치(2400)에 의한 전자부품(ED)의 파지가 적절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픽킹장치(2400)에 의해 수평 상태의 전자부품(ED)이 파지되어서 적재위치(LP)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2 픽킹장치(2400)에 의해 전자부품(ED)이 적재위치(LP)로 이동되면, 이동판(1810)이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어서 제1 픽킹장치(2100)에 의해 오는 전자부품(ED)을 받을 수 있는 상태로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op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completed,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jaws of the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는 처리 용량을 높이기 위해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와 더불어 추가 구비된 것이므로,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는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second electronic
6. 제1 픽킹장치6. First picking device
제1 픽킹장치(2100)는 제1 언로딩위치(UP1)나 제2 언로딩위치(UP2)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로부터 전자부품(ED)을 언로딩한 후, 전자부품(ED)을 이동판(1810)이 전방으로 전진한 상태에 있는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나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제1 픽킹장치(2100)는 도23에서와 같이 픽킹모듈(2110), 제1 수평이동기(2120), 제2 수평이동기(2130) 및 수직이동기(2140)를 포함한다.The
픽킹모듈(2110)은 한 쌍의 픽커(2111a, 2111b) 및 한 쌍의 승강기(2112a, 2112b)를 포함한다.The
한 쌍의 픽커(2111a, 2111b)는 각각 전자부품(ED)의 양단을 파지하기 위해 서로 쌍을 이루는 파지부재(CE1, CE2)와 파지부재(CE1, CE2)들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진퇴시키기 위한 진퇴원(AR1, AR2)들을 가진다.A pair of picker (2111a, 2111b) is the viewing direction face each other the holding members (CE 1, CE 2) and the gripping member (CE 1, CE 2) to each other in a pair in order to grip the opposite ends of the respective electronic components (ED) to have a retractable circle (AR 1, AR 2) for advance and retreat.
한 쌍의 승강기(2112a, 2112b)는 제1 픽커(2111a)와 제2 픽커(2111b)를 상호 독립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1회에 2개씩의 전자부품(ED)을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와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 각각에 전자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 pair of
제1 수평이동기(2120)는 픽킹모듈(211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first
제2 수평이동기(2130)는 픽킹모듈(211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second
수직이동기(2140)는 픽킹모듈(2110)을 승강시킨다.The
본 실시예에서의 제1 픽킹장치(2100)는 한 쌍의 픽커(2111a, 2111b)가 각각 전자부품(ED)을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에 2개씩의 전자부품(ED)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그러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하나의 픽커만 구비되거나, 3쌍 이상의 픽커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the
또한, 한 쌍의 픽커(2111a, 2111b)는 해제핀(RP)과 이탈방지부재(PP)를 구비한다. 해제핀(RP)은 전자부품(ED)을 파지하기에 앞서서 테스트트레이(TT1)의 접촉모듈(CM)이나 테스트보드(TT2)의 적재모듈(LM)에 구비된 홀딩기에 의한 전자부품(ED)의 홀딩상태를 해제시킨다. 이러한 해제핀(RP)은 중도에 외경이 확장된 스토퍼(SP)를 가지며, 실린더(CD)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해제핀(RP)과 실린더(CD) 사이에는 스프링(S)이 구비된다. 따라서 해제핀(RP)이 하강할 시에 스토퍼(SP) 부분이 구멍에 걸리기 때문에, 해제핀(RP)은 접촉모듈(CM)이나 적재모듈(LM)의 홀딩기를 조작할 정도의 거리만 하강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CD)가 해제핀(RP)을 하강시킴으로써 해제핀(RP)의 과도한 하강이 발생한 경우, 스프링(S)이 압축됨으로써 해제핀(RP)에 의한 접촉모듈(CM)이나 적재모듈(LM)의 손상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이탈방지부재(PP)는 해제핀(RP)에 의한 전자부품(ED)의 해제 시에, 해제 작동에 따른 충격에 의해 전자부품(ED)이 접촉모듈(CM)이나 적재모듈(LM)에서 상방으로 튕겨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참고로 제1 픽킹장치(2100)가 전자부품(ED)을 접촉모듈(CM)이나 적재모듈(LM)에 적재시키도록 구현된 장비에서는, 전자부품(ED)을 접촉모듈(CM)이나 적재모듈(LM)에 적재시킬 때 이탈방지부재(PP)가 전자부품(ED)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PP can prevent the electronic part ED from being moved upward from the contact module CM or the loading module LM by the impact of the releasing operation when the electronic part ED is released by the releasing pin RP.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For reference, in the equipment in which the
7. 트레이운반장치7. Tray conveyor
트레이운반장치(2200)는 테스트트레이(TT1)를 제1 대기위치(WP1)에서 제2 대기위치(WP2)로 운반하거나, 제2 대기위치(WP2)에서 트레이반출위치(TCP)로 운반한다. 이러한 트레이운반장치(2200)는 테스트트레이(TT1)의 운반 방향만 다를 뿐, 앞서 설명한 제3 트레이이송장치(1500)의 제1 트레이이송기(15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8. 트레이반출장치8. Tray ejector
트레이반출장치(2300)는 트레이반출위치(TCP)에 있는 테스트트레이(TT1)를 좌측 방향으로 반출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트레이반출장치(2300)는 도24에서와 같이 한 쌍의 반출벨트(2311, 2312), 반출모터(2320), 구동풀리(2330) 및 피동풀리(2340)를 포함한다.The
반출벨트(2311, 2312)는 반출모터(2320)의 동작에 의해 구동풀리(2330)와 피동풀리(2340)를 회전 반환점으로 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반출모터(2320)가 작동하면 트레이운반장치(2200)에 의해 트레이반출위치(TCP)에 놓인 테스트트레이(TT1)가 좌측 방향으로 반출된다. 이 때, 좌측 방향에는 테스트트레이(TT1)를 받기 위한 적재장치가 구비되거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언로딩장비의 좌측에 연결된 다른 장비일 수 있다.
The take-out
9. 제2 픽킹장치9. Second picking device
제2 픽킹장치(2400)는 이동판(1810)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는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나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로부터 전자부품(ED)을 흡착 파지한 후 적재위치(LP)에 있는 언더필지그(UJ)의 하판(JB)으로 이동 적재시킨다. 이를 위해 제2 픽킹장치(2400)는 도25에서와 같이 픽킹모듈(2410), 제1 수평이동기(2420), 제2 수평이동기(2430) 및 수직이동기(2440)를 포함한다.The
픽킹모듈(2410)은 수평 상태의 전자부품(ED)을 진공압에 의해 흡착 파지할 수 있는 2개의 픽커(P1, P2)를 가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픽커(P1, P2)가 하나의 전자부품(ED)을 파지하도록 구현되었다. 그러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하나의 픽커가 하나의 전자부품을 파지함으로써, 1회에 2개씩의 전자부품을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서로 다른 거리차 또는 픽커의 파지부분의 크기를 달리한 구성을 실린더와 함께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연장과 수축을 하도록 구현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규격의 전자부품을 하나의 픽커 또는 여러 개의 픽커로 파지 또는 해제가 가능하게 설계할 수도 있다.The
제1 수평이동기(2420)는 픽킹모듈(241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픽킹모듈(2410)이 언더필지그(UJ)의 하판(JB) 상의 현재 빈 적재부분을 목표위치로 하여 전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제2 수평이동기(2430)는 픽킹모듈(241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픽킹모듈(2410)이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나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 측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적재위치(LP)에 위치되도록 한다.The second
수직이동기(2440)는 픽킹모듈(2410)을 승강시킴으로써 픽킹모듈(2410)이 전자부품(ED)을 파지하거나 언더필지그(UJ)의 하판(JB)에 전자부품(ED)을 적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구성들과의 간섭 없이 픽커모듈(2410)의 수평 이동이 가능할 수 있게 한다.
The
10. 제1 지그이동장치 및 제2 지그이동장치10. The first jig moving device and the second jig moving device
제1 지그이동장치(2500)는 지그운반장치(3100)에 의해 이동시작위치(MSP)로 공급된 언더필지그(UJ)를 상판탈거위치(TTP)로 이동시키고, 상판탈거위치(TTP)에서 상판(JT)이 탈거된 하판(JB)을 제1 이동종료위치(MEP1)로 이동시킨다.The first
또한, 제2 지그이동장치(2600)는 적재위치(LP)에 있는 하판(JB)을 상판결합위치(TJP)로 이동시키고, 상판결합위치(TJP)에서 상판(JT)이 결합된 언더필지그(UJ)를 제2 이동종료위치(MEP2)로 이동시킨다.The second
위와 같은 제1 지그이동장치(2500)과 제2 지그이동장치(2600)는 기 언급한 도24의 트레이반출장치(2300)와 실질적인 구성이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first
11. 상판탈착장치11. Top plate removing device
상판탈착장치(2700)는 상판탈거위치(TTP)에 있는 언더필지그(UJ)로부터 상판(JT)을 탈거시킨 후, 상판결합위치(TJP)에 있는 하판(JB)에 상판(JT)을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상판탈착장치(2700)는 도26에서와 같이 파지모듈(2710), 수직이동기(2720) 및 수평이동기(2730)를 포함한다.The upper
파지모듈(2710)은 상판(JT)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모듈(2710)의 파지부재(2711)들은 하판(JB)의 개구홈(OS)을 통해 상판(JT)만을 파지 및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자석(M)에 의해 상판(JT)과 하판(JB)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판(JT)이 들어 올려 질 때 하판(JB)이 함께 들어 올려 질 수 있다. 따라서 전자부품 언로딩장비(EDUE)에는 상판(JT)의 노출홈(ES)을 통해 하판(JB)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기(P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가압기(PA)는 하판(JB)에 접촉되는 부분에 손상 방지를 위한 탄성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The
수직이동기(2720)는 파지모듈(2710)을 승강시킴으로써 파지모듈(2710)이 상판(JT)을 언더필지그(UJ)로부터 탈거하거나 상판(JT)을 하판(JB)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한다.The
수평이동기(2730)는 파지모듈(2710)을 상판탈거위치(TTP)에서 상판결합위치(TJP)로 이동시키거나, 상판결합위치(TJP)에서 상판탈거위치(TTP)로 이동시킨다.
The
12. 하판이송장치12. Lower plate feeder
하판이송장치(2800)는 제1 이동종료위치(MEP1)에 있는 하판(JB)을 후방의 적재위치(LP)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하판이송장치(2800)는 하판(JB)을 파지하여 이송시킨다는 점만 다를 뿐 상판탈착장치(2700)와 실질적인 구성이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lower
13. 지그상승장치13. Jig lifting device
지그상승장치(2900)는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지그공급위치(JSP)로 공급된 언더필지그(UJ)들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현재 가장 상측에 위치한 언더필지그(UJ)가 지그운반장치(3100)에 의해 이송시작위치(MSP)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The
참고로, 언더필지그(UJ)는 언더필지그(UJ)를 적재하기 위한 별도의 적재프레임에 적재된 상태로 지그공급위치(JSP)에 공급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underfill jig UJ can be supplied to the jig feed position JSP while being loaded in a separate stacking frame for loading the underfill jig UJ.
이러한 경우 지그상승장치(2900)는 적재프레임을 일정 높이만큼 단계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언더필지그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키도록 구현되거나, 언더필지그만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위와 같은 지그상승장치(2900)는 앞서 언급한 제2 트레이이동기(1120)의 승강프레임(1121) 및 승강원(112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수정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The
14. 지그운반장치14. Jig carrier
지그운반장치(3100)는 지그공급위치(JSP)에 있는 빈 언더필지그(UJ)를 이송시작위치(MSP)로 운반한다. 또한, 지그운반장치(3100)는 제2 이송종료위치(MEP2)에 있는 전자부품(ED)이 채워진 언더필지그(UJ)를 반전위치(JDP)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지그운반장치(3100)는 이송 거리만 다를 뿐 기 언급한 상판탈착장치(2700)와 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The
15. 지그반전장치 15. Jig reversing device
지그반전장치(3200)는 지그운반장치(3100)에 의해 제2 이동종료위치(MEP2)에서 반전위치(JDP)로 운반되어 온 언더필지그(UJ)를 좌우 방향으로의 수평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지그반전장치(3200)는 도27 및 일부 분해도인 도2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지그지지기(3210), 지그반전기(3220) 및 설치프레임(3230)을 포함한다.The
지그지지기(3210)는 받침판(3211) 및 승강구동원(3212)을 포함한다.The
받침판(3211)은 언더필지그(UJ)를 받치기 위해 구비된다.The
승강구동원(3212)은 받침판(3211)을 승강시킨다. 따라서 승강구동원(3212)에 의해 받침판(3211)이 상승하게 되면 받침판(3211)에 의해 반전위치(JDP)에 있는 언더필지그(UJ)를 받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받침판(3211)이 하강하게 되면 받침판(3211)에 의한 언더필지그(UJ)의 받침 상태가 해제된다.The lift
지그반전기(3220)는 파지모듈(3221) 및 반전모터(3222)를 포함한다.The
파지모듈(3221)은 언더필지그(UJ)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파지모듈(3221)은 설치블록(3221a), 승강블록(3221b), 승강구동원(3221c), 캠블록(3221d), 연동축(3221e)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치블록(3221a), 승강블록(3221b), 승강구동원(3221c) 및 캠블록(3221d)은 좌우 대칭되게 쌍으로 구비된다.The
설치블록(3221a)은 설치프레임(32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언더필지그(UJ)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분(SP)을 가진다.The mounting
승강블록(3221b)은 설치블록(3221a)의 하측에서 다소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단과 후단에는 캠돌기(CP)가 구비되고, 언더필지그(UJ) 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파지돌기(GP)가 구비된다.The elevating
승강구동원(3221c)은 승강블록(3221b)을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The lift
캠블록(3221d)은 설치블록(3221a)의 전후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승강블록(3221b)의 캠돌기(CP)가 삽입되는 캠홈(CS)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캠홈(CS)은 제1 수직구간(PS1), 제2 수직구간(PS2) 및 경사구간(TS)을 가진다.The
제1 수직구간(PS1)은 승강하는 캠돌기(CP)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제1 수직구간(PS1)은 생략될 수도 있다.The first vertical section PS1 guides the lifting cam protrusion C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vertical section PS1 may be omitted.
제2 수직구간(PS2)은 제1 수직구간(PS1)의 상측에 위치하며, 승강하는 캠돌기(CP)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한다.The second vertical section PS2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section PS1 and guides the cam protrusions CP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경사구간(TS)은 제1 수직구간(PS1)의 상단과 제2 수직구간(PS2)의 하단을 연결하며, 승강하는 캠돌기(CP)가 언더필지그(UJ) 측 방향으로 이동 변위를 가지거나 하강하는 캠돌기(CP)가 언더필지그(UJ)의 반대 측 방향으로 이동 변위를 가지도록 수평선과 대략 45도 각도를 가진다. 따라서 캠돌기(CP)는 경사구간(TS)에서 수직 방향 변위와 수평 방향 변위를 함께 가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캠돌기(CP)를 가지는 승강블록(3221b)도 수직 방향 변위와 수평 방향 변위를 함께 가지면서 이동하게 된다.The ramp section TS connects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ection PS1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ection PS2 and the cam protrusions CP ascending or descending have a moving displac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underfill jig UJ The descending cam projection CP has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with the horizontal line so as to have a displacem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underfill jig UJ. Therefore, the cam protrusion CP moves in the inclined section TS while having both the vertical displacement a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ccordingly, the elevating
연동축(3221e)은 전후 한 쌍으로 구비되며, 좌우 양측의 설치블록(3221a)들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좌우 양측의 설치블록(3221a) 간을 연결한다.The interlocking
반전모터(3222)는 좌우 방향으로의 수평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설치블록(3221a)을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파지모듈(3221)을 180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파지모듈(3221)에 파지된 언더필지그(UJ)를 180도 반전시킨다.The inverting
설치프레임(3230)은 지그반전기(3220)를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며, 지그반전기(3220)를 지지한다. 여기서 지그반전기(3220)는 지그지지기(3210)보다 상측에 설치된다.The
계속하여 위와 같은 지그반전장치(32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operation of the
도29에서와 같이 받침판(3211)이 상승된 상태에서 지그운반장치(3100)에 의해 반전위치(JDP)로 운반되어 온 언더필지그(UJ)가 받침판(3211)에 놓이면, 승강구동원(3221c)이 작동하여 승강블록(3221b)을 상승시킨다. 승강블록(3221b)은 캠돌기(CP)를 통해 캠블록(3221d)의 캠홈(CS)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승강과 함께 언더필지그(UJ) 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캠돌기(CP)가 경사구간(TS)을 이동하면서 승강블록(3221b)의 파지돌기(GP)가 언더필지그(UJ) 측으로 나아가고, 이에 따라 파지돌기(GP)가 언더필지그(UJ)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어서 승강블록(3221b)이 더 상승하면 캠돌기(CP)가 제2 수직구간(PS2)을 지나게 되면서, 도30에서와 같이 파지돌기(GP)가 언더필지그(UJ)를 지지부분(SP)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언더필지그(UJ)는 파지돌기(GP)와 지지부분(SP)에 끼인 상태로 파지모듈(3221)에 의해 파지된다. 도30의 상태에서 도31에서와 같이 받침판(3211)이 하강하고, 반전모터(3222)가 동작하여 도32에서와 같이 파지모듈(3221)을 180도 회전시킨다. 따라서 파지모듈(3221)에 의해 파지된 언더필지그(UJ)도 180도 회전된다. 그리고 파지모듈(3221)의 회전이 완료되면, 받침판(3211)이 상승하여 언더필지그(UJ)를 지지하고, 승강블록(3221b)이 상승(파지모듈이 180도 회전한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승강블록이 상승하는 것으로 표현됨)함으로써 파지모듈(3221)이 언더필지그(UJ)의 파지를 해제한다.
29, when the underfill jig UJ carried by the
16. 지그이송장치16. Jig conveying device
지그이송장치(3300)는 반전위치(JDP)에 있는 언더필지그(UJ)를 우측의 지그반출위치(JCP)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지그이송장치(3300)는 도33에서와 같이 한 쌍의 안내레일(3311, 3312), 밀대(3320) 및 이송구동원(3330)을 포함한다.The
한 쌍의 안내레일(3311, 3312)은 지그지지기(3210)의 받침판(3211)이 하강하게 되면, 언더필지그(UJ)를 지지하게 되고, 언더필지그(UJ)의 우측방향 이동을 안내한다.The pair of
밀대(3320)는 한 쌍의 안내레일(3311, 3312)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언더필지그(UJ)를 우측의 지그반출위치(JCP)로 밀어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The
이송구동원(3330)은 밀대(332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따라서 받침판(3211)이 하강함으로써 언더필지그(UJ)가 안내레일(3311, 3312)에 의해 지지되면, 이송구동원(3330)이 동작하여 밀대(3320)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밀대(3320)에 의해 언더필지그(UJ)가 밀리면서 이동함으로써, 언더필지그(UJ)가 반전위치(JDP)에서 지그반출위치(JCP)로 이송된다. 물론, 언더필지그(UJ)의 이송이 완료되면, 이송구동원(3330)이 역으로 동작하여 밀대(3320)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놓는다.
Therefore, when the under plate jig UJ is supported by the
17. 지그반출장치17. Jig Exports
지그반출장치(3400)는 지그반출위치(JCP)에 있는 언더필지그(UJ)를 반출시킨다. 이 때, 반출되는 언더필지그(UJ)는 후단에 결합된 별개의 장비로 이동되거나 별도로 구비된 적재장치에 적재될 수 있다. 이러한 지그반출장치(3400)는 기 언급한 트레이반출장치(2300)와 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The jig take-
<생략 가능한 구성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Optional Configurations>
위의 실시예에서는 처리 용량의 확대를 위하여 다양한 구성들을 추가하였지만, 처리 용량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많은 구성들이 생략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various configurations are added for enlarging the processing capacity, but many configurations can be omitted without considering the processing capacity.
1. 제2 트레이이동장치(1200), 제2 트레이이송장치(1400), 제3 트레이이송장치(1500), 제2 트레이받침장치(1700)만을 가지고도, 전자부품(ED)을 제1 픽킹장치(2100)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트레이이동장치(1100), 제1 트레이이송장치(1300) 및 제1 트레이받침장치(1600)는 생략될 수 있다.1. Even if only the second
더 나아가 작업자가 제1 대기위치(WP1)나 제2 대기위치(WP2)로 테스트트레이(TT1)나 테스트보드(TT2)가 적재된 적재프레임(TLF)을 직접 공급하도록 설계되면, 제1 트레이이동장치(1100)나 제2 트레이이동장치(1200)에서 제1 트레이이동기(1110)이 생략될 수 있고, 또한 제1 이동벨트부분(1123)과 제2 이동벨트부분(1124)도 생략될 수 있다.
Furthermore, if the operator is designed to directly supply the load frame (TLF) loaded with the test tray TT 1 or the test board TT 2 to the first standby position WP 1 or the second standby position WP 2 , The first
2. 처리 용량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1800)나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1900) 중 어느 하나도 생략될 수 있다.
2. Either the first electronic component
3. 테스트트레이(TT1)도 테스트보드(TT2)와 같이 제1 수급위치(SDP1)나 제2 수급위치(SDP2)로 반출시키도록 제어되면, 트레이반출장치(2300)는 생략될 수 있다.
3. If the test tray TT 1 is also controlled to be carried out to the first supply position SDP 1 or the second supply position SDP 2 like the test board TT 2 , the
4. 처리 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제1 지그이동장치(2500)가 언더필지그(UJ) 좌우 방향으로 모두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면, 제2 지그이동장치(2600)와 하판이송장치(2800)의 생략도 가능하다.
4. If the first
5. 언더필지그(UJ)의 180도 반전이 요구되지 않는다면, 지그반전장치(3200)의 생략도 가능하다.
5. If the 180 degree inversion of the underfill jig UJ is not required, the
6. 언더필지그(UJ)가 지그공급위치(JSP)를 통해 반출되도록 구현된다면 지그이송장치(3300) 및 지그반출장치(3400)의 생략도 가능하다.
6. It is also possible to omit the
7. 언더필지그(UJ)가 상판이 없는 형태로 구비되면, 상판탈착장치(2700)의 생략도 가능하다.
7. If the underfill jig UJ is provided without a top plate, the top
8.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테스트트레이(TT1)만 적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테스트보드(TT2)를 위한 구성을 생략하거나, 테스트보드(TT2)만 적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테스트트레이(TT1)를 위한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8.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st tray (TT 1) to be implemented by being applied only to omit a configuration for a test board (TT 2), or the test board by being implemented such that only the application (TT 2) for a test tray (TT 1) The configuration can be omitted.
9.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트레이이송장치(1300), 제2 트레이이송장치(1400) 및 제3 트레이이송장치(1500)의 적절한 이송동작을 위해 테스트트레이(TT1)나 적재프레임(TLF)이 승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제1 트레이이송장치(1300), 제2 트레이이송장치(1400) 및 제3 트레이이송장치(1500)가 승강하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9. In this embodiment, a test tray TT 1 or a stacking frame (TLF) for proper transport operation of the first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일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EDUE : 전자부품 언로딩장비
1100 : 제1 트레이이동장치
1200 : 제2 트레이이동장치
1300 : 제1 트레이이송장치
1400 : 제2 트레이이송장치
1500 : 제3 트레이이송장치
1600 : 제1 트레이받침장치
1700 : 제2 트레이받침장치
1800 : 제1 전자부품 회전장치
1900 : 제2 전자부품 회전장치
2100 : 제1 픽킹장치
2200 : 트레이운반장치
2400 : 제2 픽킹장치
2500 : 제1 지그이동장치
2600 : 제2 지그이동장치
2700 : 상판탈착장치
2800 : 하판이송장치
3100 : 지그운반장치
3200 : 지그반전장치EDUE: Electronic Part Unloading Equipment
1100: first tray moving device
1200: second tray moving device
1300: first tray feeding device
1400: second tray feeding device
1500: Third tray transfer device
1600: first tray support device
1700: second tray support device
1800: first electronic component rotating device
1900: Second electronic component rotating device
2100: first picking device
2200: Tray conveying device
2400: second picking device
2500: first jig moving device
2600: second jig moving device
2700: Top plate removing device
2800: Lower plate feeder
3100: Jig carrier device
3200: jig reversing device
Claims (15)
언로딩위치에 있는 테스트트레이에 수직 상태로 적재된 전자부품을 테스트트레이로부터 언로딩한 후, 수직 상태의 전자부품을 상기 전자부품 회전장치로 공급하는 제1 픽킹장치; 및
상기 전자부품 회전장치에 의해 수평 상태로 회전된 전자부품을 적재위치에 있는 언더필지그로 이동 적재시키는 제2 픽킹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An electronic component rotating device for rotating the vertical electronic component in a horizontal state;
A first picking device for unloading the vertically stacked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test tray in the test tray at the unloading position and then supplying the vertical electronic component to the electronic component rotating device; And
A second picking device for moving the electronic component horizontally rotated by the electronic component rotating device to an underfill jig in the loading position; ≪ RTI ID = 0.0 >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테스트트레이를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언로딩위치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언로딩위치로부터 상기 대기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트레이이송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ray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unloading position or from the unloading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 RTI ID = 0.0 >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수급위치에 있는 테스트트레이를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키는 트레이이동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3. The method of claim 2,
A tray moving device for moving the test tray in the receiving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 RTI ID = 0.0 >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상기 대기위치에 있는 테스트트레이를 트레이반출위치로 운반하는 트레이운반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3. The method of claim 2,
A tray carrying device for carrying the test tray at the standby position to a tray take-out position; ≪ RTI ID = 0.0 >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제1 형태의 테스트트레이를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언로딩위치로 이송시키기거나 상기 언로딩위치로부터 상기 대기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형태의 트레이이송장치; 및
상기 제1 형태의 테스트트레이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는 제2 형태의 테스트트레이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언로딩위치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언로딩위치로부터 상기 대기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형태의 트레이이송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type of tray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a first type of test tray from a standby position to the unloading position or from the unloading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nd
A second type of test tray for transferring a second type of test tray hav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type of test tray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unloading position or from the unloading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Device; ≪ RTI ID = 0.0 >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언로딩위치에 있는 테스트트레이를 트레이받침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st tray in the unloading position is referred to as a tray supporting device; ≪ RTI ID = 0.0 >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상기 트레이받침장치는,
제1 형태의 제1 테스트트레이를 받치는 지지기; 및
상기 제1 테스트트레이와 다른 구조를 가지는 제2 형태의 테스트트레이를 받치는 한 쌍의 지지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ray support apparatus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rst test tray of the first type; And
A pair of support rails supporting a second type of test tray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first test tray; ≪ RTI ID = 0.0 >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제1 대기위치에 있는 테스트트레이를 제2 대기위치로 운반하기 위한 상기 트레이운반장치; 및
상기 제2 대기위치에 있는 테스트트레이를 상기 언로딩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트레이이송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y transport device for transporting the test tray in the first standby position to the second standby position; And
A tray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test tray in the second standby position to the unloading position; ≪ RTI ID = 0.0 >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언더필지그의 상판을 하판으로부터 탈착시키기 위한 상판탈착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upper plate detachment device for detaching the upper plate of the underfill jig from the lower plate; ≪ RTI ID = 0.0 >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상기 하판에는 개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탈착장치는 상기 개구홈을 통해 상기 상판을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10. The method of claim 9,
An op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Wherein the upper plate desorption apparatus grasps the upper plate through the opening groove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상기 상판탈착장치에 의해 상기 상판이 탈거된 상기 하판을 제1 이동종료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지그이동장치;
상기 제1 이동종료위치에 있는 하판을 상기 적재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하판이송장치; 및
상기 적재위치에서 전자부품의 적재가 완료된 후, 상기 상판탈착장치에 의해 상기 상판이 결합된 언더필지그를 제2 이동종료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지그이동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10. The method of claim 9,
A first jig moving device for moving the lower plate, from which the upper plate has been removed by the upper plate removing device, to a first movement end position;
A lower plate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lower plate at the first movement end position to the loading position; And
A second jig moving device for positioning the underfill jig to which the upper plate is coupled by the upper plate removing device at a second movement end position after the load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t the loading position is completed; ≪ RTI ID = 0.0 >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공급위치에 있는 빈 언더필지그를 이동시작위치로 운반하는 지그운반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그이동장치는 상기 이동시작위치에 있는 언더필지그를 상기 상판탈착장치에 의해 상기 상판이 탈거되는 상판탈거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상판이 탈거된 상기 하판을 상기 제1 이동종료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12. The method of claim 11,
A jig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empty underfill jig in the supply position to the movement start position;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jig moving device moves the underfill jig at the movement start position to the upper plate removing position where the upper plate is detached by the upper plate removing device and then moves the lower plate from which the upper plate is detached to the first movement end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반전위치에 있는 언더필지그를 수평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키는 지그반전장치; 및
상기 제2 이동종료위치에 있는 언더필지그를 상기 반전위치로 운반하는 지그운반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12. The method of claim 11,
A jig inverting device for rotating the underfill jig at the inverted position by 180 degrees around a horizontal line as a rotation axis; And
A jig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underfill jig at the second movement end position to the inverted position; ≪ RTI ID = 0.0 >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상기 제1 픽킹장치는 상기 테스트트레이에 구비되어서 적재된 전자부품을 홀딩시키는 홀딩기의 홀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icking device has a release pin for releasing the holding state of the holding device provided in the test tray and holding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상기 제1 픽킹장치는 상기 해제핀의 작용에 의해 홀딩 상태가 해제된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언로딩장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ick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release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releas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whose holding state is released by the action of the release pin
Electronic parts unloading equipment.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5600A KR102249574B1 (en) | 2015-01-30 | 2015-01-30 | Electric device unloading equipment |
KR1020200117494A KR102252639B1 (en) | 2015-01-30 | 2020-09-14 | Electric device unloading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5600A KR102249574B1 (en) | 2015-01-30 | 2015-01-30 | Electric device unloading equipment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7494A Division KR102252639B1 (en) | 2015-01-30 | 2020-09-14 | Electric device unloading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4231A true KR20160094231A (en) | 2016-08-09 |
KR102249574B1 KR102249574B1 (en) | 2021-05-10 |
Family
ID=5671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5600A KR102249574B1 (en) | 2015-01-30 | 2015-01-30 | Electric device unloading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957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138544B2 (en) | 2018-08-24 | 2021-10-05 | Cleveron As | Method and a device for fast entry and storage of parcels |
TWI745776B (en) * | 2018-11-07 | 2021-11-11 | 南韓商泰克元有限公司 | Handler |
KR20220118373A (en) * | 2017-11-03 | 2022-08-25 | (주)테크윙 | Picking apparatus for handler supporting test of electronic component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6580A (en) * | 2007-11-30 | 2009-06-03 | (주)테크윙 | Operating method of side docking type test handler, rotator for side docking type test handler and preciser for test handler |
KR20090072452A (en) * | 2007-12-28 | 2009-07-02 | 미래산업 주식회사 | Handler, method of transferring test-t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
KR20100083885A (en) * | 2009-01-15 | 2010-07-23 | (주)제이티 | Apparatus for sorting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for the same |
KR20140133976A (en) * | 2013-05-10 | 2014-11-21 | (주)테크윙 | Tray stacker of 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
-
2015
- 2015-01-30 KR KR1020150015600A patent/KR10224957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6580A (en) * | 2007-11-30 | 2009-06-03 | (주)테크윙 | Operating method of side docking type test handler, rotator for side docking type test handler and preciser for test handler |
KR20090072452A (en) * | 2007-12-28 | 2009-07-02 | 미래산업 주식회사 | Handler, method of transferring test-t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
KR20100083885A (en) * | 2009-01-15 | 2010-07-23 | (주)제이티 | Apparatus for sorting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for the same |
KR20140133976A (en) * | 2013-05-10 | 2014-11-21 | (주)테크윙 | Tray stacker of 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8373A (en) * | 2017-11-03 | 2022-08-25 | (주)테크윙 | Picking apparatus for handler supporting test of electronic components |
US11138544B2 (en) | 2018-08-24 | 2021-10-05 | Cleveron As | Method and a device for fast entry and storage of parcels |
US11797905B2 (en) | 2018-08-24 | 2023-10-24 | Cleveron As | Method and a device for fast entry and storage of parcels |
TWI745776B (en) * | 2018-11-07 | 2021-11-11 | 南韓商泰克元有限公司 | Handl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9574B1 (en) | 2021-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103496A (en) | Cart of supplying tray for su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handler of processing electronic components | |
KR102561144B1 (en) | Picking apparatus for handler supporting test of electronic components | |
KR20160094231A (en) | Electric device unloading equipment | |
KR20150116216A (en) | Electric device casing equipment and labeling equipment | |
US6209194B1 (en) |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emiconductor device packages using servo motors | |
KR20190061291A (en) |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testpicking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CN108362914B (en) | Multi-turret test apparatus | |
KR102252639B1 (en) | Electric device unloading equipment | |
KR101333435B1 (en) | Test handler | |
CN216123054U (en) | Full-automatic assembly machine based on vision intelligence is counterpointed | |
KR101216359B1 (en) | Device inspection apparatus | |
KR102214037B1 (en) | Electric device loading equipment | |
KR100699459B1 (en) | Module test handler | |
KR20160093043A (en) | Electronic Device Handler | |
KR101849351B1 (en) | Dual substrate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1291583B1 (en) | Device inspection apparatus and apparatus for pressing device therefor | |
KR101771544B1 (en) | Pin auto insertion apparatus for electronic component | |
KR101508507B1 (en) | Picker unit for vision inspection machine | |
KR102122042B1 (en) | Chip bonder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substrate having the same | |
US6190111B1 (en) | Tray inverting apparatus and methods | |
CN116871182A (en) | Screen automatic detection equipment | |
KR102507065B1 (en) | Semiconductor Bonding Apparatus | |
US7975827B2 (en) | Linear machine for processing portable objects and method for processing portable objects | |
WO2023286130A1 (en) |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backup pin holding method | |
KR20130071075A (en) | The handler for high-speed test of the semiconductor device of high tempera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