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195A -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195A
KR20160094195A KR1020150015501A KR20150015501A KR20160094195A KR 20160094195 A KR20160094195 A KR 20160094195A KR 1020150015501 A KR1020150015501 A KR 1020150015501A KR 20150015501 A KR20150015501 A KR 20150015501A KR 20160094195 A KR20160094195 A KR 20160094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functional
strap
retainer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기
고재훈
정하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4195A/ko
Priority to US15/012,406 priority patent/US20160224060A1/en
Publication of KR20160094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웨어러블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웨어러블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제1기능 파트; 상기 제1기능 파트와 일몸체로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한 제2기능 파트; 및 상기 제1,2기능파트에 각각 연결되어 목에 착용하게 하는 끈을 포함하고, 상기 끈에는 이어폰 파트와 리테이너가 구비되되, 상기 리테이너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끈을 당겨 귀에 착용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한 후에 상기 이어폰 파트를 귀에 착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를 휴대하는 방법은 장치를 사용자의 주머니나 가방 등에 휴대하거나, 손에 쥐어서 휴대하거나, 인체 소정 위치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인체 다양한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전자 장치를 말한다.
웨어러블 장치는 인체에 착용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있으며, 간단하게 착용 방법이나 착용 위치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시계 또는 밴드 타입으로 손목 등의 인체에 착용하는 방법이나,
2. 목걸이 타입으로 끈을 인체에 거는 방법이나,
3, 안경 타입으로 얼굴에 안경을 착용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착용하는 방법이나,
4. 클립 타입으로 인체나 의류, 소지품의 일부에 끼우는 방법으로 착용하는 방법이나,
5. 각종 인체, 소지품, 액세서리에 직,간접적으로 부착하는 착용 방법 등이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인체의 다양한 위치에 편하게 착용해야 하고, 착용 후에도 편해야 하며,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휴대나 보관이 편리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휴대가 간편하고, 착용이 편리하며,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리가 용이한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각 파트를 분리 및 결합가능한 타입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기능 확장이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메인 파트와 배터리 파트를 분리하여 착용한 후에 이어 파트를 당겨서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메인 파트와 어셈블리 파트 간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각 파트에 보조 배터리를 각각 장착하여, 각 파트 분리 시에 전원 차단을 예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실시예는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제1기능 파트; 상기 제1기능 파트와 일몸체로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한 제2기능 파트; 및 상기 제1,2기능파트에 각각 연결되어 목에 착용하게 하는 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제1기능 파트; 상기 제1기능 파트와 일몸체로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한 제2기능 파트; 및 상기 제1,2기능파트에 각각 연결되어 목에 착용하게 하는 끈을 포함하고, 상기 끈에는 이어폰 파트와 리테이너가 구비되되, 상기 리테이너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끈을 당겨 귀에 착용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한 후에 상기 이어폰 파트를 귀에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끈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 파트를 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 상기 끈에 이어폰 파트와 리테이너가 구비되되,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끈을 당겨 상기 이어폰 파트를 귀에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인체의 목에 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 후에도 편하며,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휴대나 보관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기능 변경이나 다양한 기능 확장이 유리한 구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기능 파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메인 파트와 배터리 파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메인 파트와 배터리 파트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파트의 외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기능 파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메인 파트와 , 부가 기능파트 및 배터리 파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메인 파트와, 부가 기능 파트 및 배터리 파트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된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된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실질적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목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이어폰 파트를 당긴 후에 이어폰 파트를 귀에 착용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이어폰 파트를 당긴 후에 이어폰 파트를 귀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사용자 기기와 제2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 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인체의 착용 위치에서, 목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으며, 특히 목에 끈(w1~w4)을 이용하여 거는 타입으로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제1기능 파트(10)와 제2 기능 파트(11)를 분리하여 목에 착용한 후에, 제3기능 파트(13R,13L)를 당겨 착용하는 새로운 착용 방법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기능 파트(10)를 메인 파트로 지칭하고, 상기 제2기능 파트(11)를 배터리 파트라 지칭하기로 하며, 상기 제3기능 파트(13R,13L)를 이어폰 파트라 지칭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를 구성하는 기능파트들을 각각 지칭할 뿐이며, 다양한 유형의 웨어러블 장치에 따라서 상기 제1,2,3기능 파트들을 의미하는 기술적 의미의 어구의 정의는 변경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메인 파트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면, 디스플레이 파트라 지칭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파트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면, 카메라 파트라 지칭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한 메인 파트(10)와, 배터리 파트(11)와, 상기 파트부들(10,11)에 각각 연결되어 목에 착용하게 하는 끈들(w1~w4)과, 상기 끈들(w1~w4)에 연결된 이어폰 파트(13R,13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10) 및 배터리 파트(11)는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결합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조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 파트(10) 및 배터리 파트(11)는 기능적으로 분류한 바디로서, 달리 기재한다면, 제1기능 파트부 및 제2기능 파트부로 각각 지칭하거나, 제1모듈(메인 모듈) 및 제2모듈(배터리 모듈) 등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10)는 제1끈(w1,w2)에 의해 하나의 이어폰(13R)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파트(11)는 제2끈(w3,w4)에 의해 다른 하나의 이어폰(13L)과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끈(w1,w2)의 일단은 상기 메인 파트(10)에 고정될 수 있고, 타단은 하나의 이어폰(13R)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끈(w3,w4)의 일단은 상기 배터리 파트(11)에 고정될 수 있고, 타단은 다른 하나의 이어폰(13L)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2끈(w1~w4)은 리테이너(14)에 의해 당겨진 상태가 각각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2끈(w1~w4)의 당겨진 상태를 잡아주는 리테이너(14)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끈(w1,w2)은 메인 파트(10)와 하나의 이어폰(13R)을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제2끈(w3,w4)은 배터리 파트(11)와 다른 이어폰(13L)을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각의 제1,2끈(w1~w4)의 전체 길이는 변하지 않으며,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14)의 주 기능은 당겨진 제1,2끈(w1~w4)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하지만, 부가적 기능으로 당겨짐에 비례하게, 상기 제1,2끈(w1~w4)의 이동 상태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2끈(w1~w4)은 리테이너(14)에 의해 각각 제1,2끈 부분(w1,w2)과, 제3,4끈 부분(w3,w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14)에 의해 제1,2끈 분분(w1,w2)과, 제3,4끈 부분(w3,w4)이 유동적일 수 있다.
상기 제1끈 부분(w1)은 메인 파트(10)와 리테이너(14) 사이에 있는 끈 부분일 수 있고, 상기 제2끈 부분(w2)은 리테이너(14)와 하나의 이어폰(13R) 사이에 있는 끈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끈 부분(w3)은 배터리 파트(11)와 리테이너(14) 사이에 있는 끈 부분일 수 있고, 상기 제4끈 부분(w4)은 리테이너(14)와 다른 하나의 이어폰(13L) 사이에 있는 끈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2끈 부분(w1,w2)은 리테이너(14)를 고정한 채 당겨짐 유무에 따라서 각각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제3,4끈 부분(w3,w4)도 리테이너(14)를 고정한 채 당겨짐 유무에 따라서 각각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①~④는 끝들의 당겨질 수 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1끈 부분(w1)은 음향 장치, 예컨데 스피커(1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5a)가 제1끈 부분(w1)에 구비되지 않는다면, 상기 스피커(15a)는 메인 파트(10)나 배터리 파트(11)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3끈 부분(w2)은 음향 장치, 예컨데 마이크(15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5b)가 제3끈 부분(w3)에 구비되지 않는다면, 상기 마이크(15b)는 메인 파트(10)나 배터리 파트(11)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볼륨 조절키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내지 제4끈 부분(w1~w4)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부분들에 구비되지 않는다면, 상기 볼륨 조절키는 메인 파트(10)나 배터리 파트(11)에 실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착용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메인 파트와 배터리 파트를 분리한 후에 목에 건다. 이어서, 메인 파트와 배터리 파트를 결합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리테이너를 잡고, 끈(w3,w4)를 잡아당겨서 길게 한 다음에, 이어폰(13R,13L)을 각각의 귀에 착용하는 방법으로 착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구성하는 각 파트들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기능 파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메인 파트(10)와, 상기 메인 파트(10)에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한 배터리 파트(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10)와 배터리 파트(11)는 서로 대면한 상태로 후술하는 자성체에 의해 결합되거나, 강제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10)와 배터리 파트(11)가 분리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두 파트(10,11)를 분리한 후에 목에 걸기 편리하고, 목에 건 후에 두 파트(10,11)를 결합한 후, 이어폰을 귀에 착용하는 동작이 편리하다.
상기 메인 파트(10)는 코인형으로, 외면(100)과 내면(101) 및 외주면(1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파트(11)는 코인형으로, 외면(111)과 내면(110) 및 외주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10)는 외면(100)에 디스플레이(106)나, TSP가 장착될 수 있고, 외주면(102)에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 홀(10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 내면(101)은 연결 단자(도 5에 도시)가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파트(11)는 내면(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114)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메인 파트와 배터리 파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메인 파트(10)와 배터리 파트(11) 간에 결합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메인 파트(10)와 배터리 파트(11)가 대면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되, 결합 위치를 잡아주고, 결합된 상태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메인 파트(10) 내면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 영역(101a)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 파트(11) 내면 적어도 일부는 리세스 영역(111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영역(101a)과 홈 영역(111a)은 각 파트 내면 반정도의 영역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메인 파트와 배터리 파트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메인 파트(10)와 배터리 파트(11) 간에 접속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10)와 배터리 파트(11) 간의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성가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10)는 기판(p1)이 구비되고, 상기 기판(p1)에는 디스플레이(106)(또는 TSP)와, 제1접속 콘넥터(c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파트(11)는 기판(p2)이 구비되고, 상기 기판(p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B)과, 제2접속 콘넥터(c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10)와 배터리 파트(11) 간의 접속 구조물은 접속 콘넥터(c1,c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10)는 제1접속 콘넥터(c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파트(11)는 제1접속 콘넥터(c1)와 접속 및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제2접속 콘넥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 콘넥터(c1)는 예컨데, 포고핀이 채용될 수 있다. 포토 핀은 당해 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접속 콘넥터(c1)는 다수 개의 연결(접속)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연결 단자는 미도시된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어서, 상기 제1접속 콘넥터 몸체에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 콘넥터(c2)는 배태리 파트 내면(110)에 접속면이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자성체(m1,m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파트(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자성체(m3,m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자성체(m1,m2;m3,m4)는 서로 극성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자성체(m1,m2;m3,m4) 간에 발생하는 당기는 힘(인력)에 의해, 상기 메인 파트(10)와 배터리 파트(11) 간에 결합력이 제공될 수 있고,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강제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파트의 외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파트(10)는 외면(100)에 디스플레이(10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06)는 터치 스크린(TS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면(100)에 TSP가 실장된다면, 다양한 UI/UX 기능을 가진 웨어러블 장치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06)가 TSP로 구성된다면, 상기 메인 파트(10)의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 메인메뉴 전환키,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메뉴 전환키는 상기 터치스크린(106)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TSP(106)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파트(10)는 홈 버튼, 메뉴 버튼, 및 뒤로 가기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버튼은 터치스크린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키가 터치되면, 터치스크린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상에는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은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메뉴 버튼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기능 파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본체부는 메인 파트(20)와, 배터리 파트(2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기능 파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기능 파트(22)는 메인 파트(20)와 배터리 파트(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부가 기능 파트(22)는 메인 파트(20) 외면에 배치될 수 있거나, 상기 배터리 파트(21) 외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 위치 및 배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3개의 파트들 간은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결합 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파트(20)와 배터리 파트(21)는 이미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메인 파트(10)와 배터리 파트(11)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부가 기능파트(22)는 상기 메인 파트(20) 및 배터리 파트(2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가 기능 파트(22)는 외면(220)과, 내면(221) 및 외주면(2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가 기능 파트는 외면에 접속 단자들(224)이 배치될 수 있고, 외주면에 USB 콘넥터(2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가 기능 파트(22)는 충전을 위한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가 기능 파트(22)는 메인 파트에 결합되어 보조 배터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메인 파트(20)와 , 부가 기능파트(22) 및 배터리 파트(2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메인 파트(20)와, 부가 기능 파트(22) 및 배터리 파트(21)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부가 기능 파트(22)의 외면(220)은 상기 메인 파트(20) 내면과 대면하여 결합되는 면으로서, 리세스 영역(220a)(홈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 영역(220a)은 상기 메인 파트 내면에 있는 돌출 영역과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리세스 영역(220a)은 제3접속 콘넥터(c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기능 파트의 내면(221)은 돌출 영역(22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 영역(221a)은 상기 배터리 파트(21)의 리세스 영역과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부가 기능파트(22)는 기판(p3)을 중심으로 자성체(m5,m6;m7,m8)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p3) 일면에 제1자성체(m5,m6)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p3) 타면에 제1자성체(m5,m6)와 극성이 상이한 제2자성체(m7,m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성체(m5,m6)는 메인 파트(20)와의 결합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자성체(m7,m8)는 배터리 파트(21)와의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기능 파트(22)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배터리 셀(B1,B2)이 실장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된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된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함께 도 11a, 도 11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끈의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너(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14)는 실리콘이나 러버와 같은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탄성 재질로서, 제1,2끈(w1,w2;w3,w4)에 구비되어서, 당겨진 제1,2끈 상태를 유지시키다. 상기 리테이너(14)는 제1,2끈이 관통하는 제1,2개구(14a,1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14)의 끈 유지힘은 끈의 외피와 리테이너의 제1,2개구의 내면과의 마찰에 기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2끈은 당겨질 때 각각 당겨진 길이가 동일해야 사용하기 편리한데, 상기 리테이너(14)에 별도의 구조를 추가하여, 제1,2끈의 당겨짐에 따른 길이 이동을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실제적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목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이어폰 파트를 당긴 후에 이어폰 파트를 귀에 착용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이어폰 파트를 당긴 후에 이어폰 파트를 귀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제1,2기능 파트를 분리한 후, 끈을 목에 걸고 난 후에, 상기 제1,2기능 파트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목에 착용할 수 있다. 이런 상태가 도 13a이다.
이어서, 이어폰 파트를 귀에 걸려면, 이어폰 파트를 리테이너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당긴 후에, 이어폰 파트를 귀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상태가 도 13c이다. 이어폰 파트를 귀에 착용하지 않는다면, 이어폰 파트도 제1,2기능 파트와 함께 목에 착용한 상태로 휴대될 수 있다. 이런 상태가 도 13b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배터리가 배터리 파트나, 부가 기능 파트에 각각 실장될 수 있고, 메인 파트에도 실장될 수 있어서, 각 파트 분리 상태에서도 전원 차단으로 인한 제품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 (unit), 로직 (logic), 논리 블록 (logical block), 부품 (component), 또는 회로 (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 (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 2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22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implement)(예: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제1기능 파트;
    상기 제1기능 파트와 일몸체로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한 제2기능 파트; 및
    상기 제1,2기능파트에 각각 연결되어 목에 착용하게 하는 끈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목에 착용하려는 경우, 상기 제1,2기능 파트를 분리시키고, 상기 끈을 목에 건 다음에 상기 제1,2기능 파트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목에 착용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은 단에 플러그 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제1기능 파트에 접속되거나 분리가능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기능 파트 사이는 결합 구조물과 접속 구조물이 각각 실장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기능 파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기능 파트가 더 결합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 파트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기능 파트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장치.
  7.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제1기능 파트;
    상기 제1기능 파트와 일몸체로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한 제2기능 파트; 및
    상기 제1,2기능파트에 각각 연결되어 목에 착용하게 하는 끈을 포함하고,
    상기 끈에는 이어폰 파트와 리테이너가 구비되되,
    상기 리테이너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끈을 당겨 귀에 착용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한 후에 상기 이어폰 파트를 귀에 착용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목에 착용하려는 경우, 상기 제1,2기능 파트를 분리시키고, 상기 끈을 목에 건 다음에 상기 제1,2기능 파트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목에 착용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2기능 파트와 이어폰 파트 사이의 끈에 구비되며, 상기 끈과의 마찰로 당겨진 끈 상태를 잡아주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기능 파트 간은 제1결합 구조물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제1,2기능 파트 간은 요철부 형상에 의해 물리적으로 결합 위치를 잡아주고,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제1,2기능 파트에 각각 구비된 자성체에 의해 결합력이 제공되는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기능 파트 간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기능 파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기능 파트가 더 결합되되, 상기 제1,2기능 파트와 대면한 상태로 결합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능 파트는 충전을 위한 모듈 타입으로서, 제1기능 파트 또는 제2기능 파트에 각각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2,3파트는 각각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가 구비되어 끝이이 관통하며, 상기 끈의 당겨짐에 따라서 리테이너와 끈의 외피 간의 마찰에 의해, 상기 끈의 당겨진 상태가 유지되는 장치.
  18.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끈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 파트를 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
    상기 끈에 이어폰 파트와 리테이너가 구비되되,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끈을 당겨 상기 이어폰 파트를 귀에 착용하는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끝의 끝단에는 이어폰이 형성되어 있는 장치.
KR1020150015501A 2015-01-30 2015-01-30 웨어러블 장치 KR20160094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501A KR20160094195A (ko) 2015-01-30 2015-01-30 웨어러블 장치
US15/012,406 US20160224060A1 (en) 2015-01-30 2016-02-01 Wear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501A KR20160094195A (ko) 2015-01-30 2015-01-30 웨어러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195A true KR20160094195A (ko) 2016-08-09

Family

ID=5655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501A KR20160094195A (ko) 2015-01-30 2015-01-30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224060A1 (ko)
KR (1) KR201600941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355B1 (ko) * 2017-07-11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5508B2 (ja) * 2012-08-16 2017-06-14 ジャガー ランド ローバー リミテッドJaguar Land Rover Limited 乗員快適性を改善するように車両速度を制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60360146A1 (en) * 2015-06-02 2016-12-08 Taser International, Inc. User-Worn Recor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1073A1 (en) * 2003-08-25 2007-01-25 Gratton Pat S Modular personal audio device
US7810750B2 (en) * 2006-12-13 2010-10-12 Marcio Marc Abreu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US8627402B2 (en) * 2006-09-19 2014-01-0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Evalu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software agents
US7920902B2 (en) * 2007-04-04 2011-04-05 Carroll David W Mobile personal audio device
CN102742297A (zh) * 2009-05-11 2012-10-17 史蒂芬·Y·彭 减少纠缠的耳机和方法
US8264310B2 (en) * 2010-09-17 2012-09-11 Apple Inc. Accessory device for peek mode
US20120148052A1 (en) * 2010-12-10 2012-06-14 David Adam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a Signal to One or More Devices
US9812116B2 (en) * 2012-12-28 2017-11-07 Alexey Leonidovich Ushakov Neck-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icrophone array
US9883275B2 (en) * 2012-12-28 2018-01-30 Alexey Ushakov Wearable telecommunication device in a form of a necklace
WO2015143053A1 (en) * 2014-03-19 2015-09-24 Copa Animal Health, Llc Sensory stimulation or monitoring apparatus for the back of neck
RU2551799C1 (ru) * 2014-04-09 2015-05-27 Алексей Леонидович УШАКОВ Составное носимое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связи
US9282179B2 (en) * 2014-06-04 2016-03-08 Alexey Leonidovich Ushakov Accessory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9706283B2 (en) * 2015-06-19 2017-07-11 Adrian Stoch Necklace and earphone combin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355B1 (ko) * 2017-07-11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24060A1 (en)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7744B1 (en) Wearable device
KR200486509Y1 (ko) 전자 장치용 부착 시스템
KR102242979B1 (ko) 곡형 본체 및 이를 구비한 웨어러블 장치
JP7011751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パネルを有するスマートウォッチ
US9392851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incorporating wireless headsets, terminals, and communication devices into fashion accessories and jewelry
KR102170512B1 (ko) 웨어러블 장치의 스트랩 체결장치
US20140295918A1 (en) Wearable mobile device
JP2017517108A (ja) データ及び電力コネクタ
KR20160059270A (ko) 전기 커넥터 장치
WO2018006830A1 (zh) 一种腕带式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3438785A1 (en) Wearabl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WI621939B (zh) 配戴式電源及具備此種電源的手戴式行動裝置
KR20160045284A (ko) 트레이, 트레이 분리용 지그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003145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earpiece
KR20160094195A (ko) 웨어러블 장치
US10182278B2 (en) Portable compact bluetooth speaker
KR2016011388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연결 장치
KR20160000825U (ko) 웨어러블 장치
KR20160011466A (ko) 음질이 개선된 모바일 장치
US10756561B2 (en) Intelligent electronic product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JP3177647U (ja) スマートフォン用落下防止バンド
TWM446366U (zh) 觸控筆之收納結構
KR101516895B1 (ko)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
KR20130002666U (ko) 휴대폰 케이스
JP2016182200A (ja) 通信ケーブル収納用ス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