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194A -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을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을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194A
KR20160094194A KR1020150015500A KR20150015500A KR20160094194A KR 20160094194 A KR20160094194 A KR 20160094194A KR 1020150015500 A KR1020150015500 A KR 1020150015500A KR 20150015500 A KR20150015500 A KR 20150015500A KR 20160094194 A KR20160094194 A KR 2016009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late
washing
rinsing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1193B1 (ko
Inventor
김병철
차춘근
Original Assignee
(주)자숨
차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숨, 차춘근 filed Critical (주)자숨
Priority to KR102015001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1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와,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하여 이동되는 식판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공정과 상기 세척공정이 완료된 식판의 표면을 1차 및 2차로 헹금하는 헹굼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함에 있어, 식판의 세정, 또는 헹굼부위에 세정수를 직접 분사시켜 세정수에 의한 세정 및 헹굼에 따른 효율성을 배가하고, 세정, 또는 헹굼을 도모하는 브러쉬모에 잔류된 이물질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와,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식판 세척장치{Brush module and cleans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식판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하여 이동되는 식판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공정과 상기 세척공정이 완료된 식판의 표면을 1차 및 2차로 헹금하는 헹굼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함에 있어, 식판의 세정, 또는 헹굼부위에 세정수를 직접 분사시켜 세정수에 의한 세정 및 헹굼에 따른 효율성을 배가하고, 세정, 또는 헹굼을 도모하는 브러쉬모에 잔류된 이물질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식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학교, 군부대, 공공기관 등 대단위 인원이 생활하는 곳에서는 단체 급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 상기 단체 급식에서는 식판의 각 식판에 밥이나 국, 그리고 각종 반찬들을 수용하여 운반, 및 섭취하게 되므로, 이러한 식판의 위생적인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식판을 매번 수작업을 통해 세척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또 대량의 식판을 반복적으로 세척하는 단체급식 식당 종사자들의 경우에는 근골격계의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식판을 세척하는 세척공정과, 헹굼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식판 세척장치가 개발되어, 식판의 세척에 따른 편리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식판 세척장치는 횡방향으로 회전하는 세척롤러 사이로 식판을 통과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깊은 찬구에 세척롤러의 브러쉬가 도달하지 못하는 한계성이 발생되었고, 이에 따라 식판에 있어 찬구의 안정적인 세척을 도모하기 어렵고, 이러한 현상은 찬구의 깊이가 깊은 군용 식판에서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세척과정에 찬구의 안정적인 세척이 도모되지 아니하면, 찬구의 내벽에는 스케일 등의 찢은 때가 불가피하게 유착되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당 분야에서는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스케일 등의 찢은 때를 주기적으로 제거하고 있으나, 이는 인체나, 환경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따라서, 식판 세척장치를 통해 세척되었더라도 식판의 찬구 모서리 부위에 기름이나 이물질 등이 장기간 잔류하여, 안정된 위생상태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한편,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2011-124493호를 통해 단부에 브러쉬가 형성된 세척축들을 갖는 브러쉬모듈을 통해 세척축의 단부에 설치된 각 세척 브러쉬가 식판의 찬구에 종방향으로 진입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식판에 형성된 각 찬구의 개별적인 세척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방향으로 진입하여 세척을 도모하면, 식판의 표면에 형성되어진 각 찬구에 유착된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찬구의 보다 안정적인 세척이 도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가 실제 시제품을 제작하여 실험한 결과, 상기 세척 브러쉬는 종래 횡방향으로 진입되는 세척 브러쉬를 채택한 식판 세척장치와 대비할 때 우수한 세척 효율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상기 브러쉬모듈은 식판의 찬구에 진출입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브러쉬모듈의 진출입에 따른 세척시간이 지연되므로 세척에 따른 효율성이 저하되고, 또 세척 브러쉬의 마찰을 통한 식판의 세척과정에 세척수가 세척부위에 안정되게 공급되지 못하여, 세척된 식판에 이물질이 잔류할 수 있는 소지를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하여 이동되는 식판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공정과 상기 세척공정이 완료된 식판의 표면을 1차 및 2차로 헹금하는 헹굼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함에 있어, 식판의 세정, 또는 헹굼부위에 세정수를 직접 분사시켜 세정수에 의한 세정 및 헹굼에 따른 효율성을 배가하고, 세정, 또는 헹굼을 도모하는 브러쉬모에 잔류된 이물질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식판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장치는,
식판을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를 통해 세척된 식판을 1차 및 2차 헴굼하는 1차 헹굼부와 2차 헹굼부와; 상기 세척부 및 1차 헹굼부와 2차 헹굼부에 식판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세척부와 1차 헹굼부와 2차 헹굼부 및 이송부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판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와 1차 헹굼부는, 프레임 구조체의 일측 내벽에 배치된 다축식 브러쉬 모듈과; 프레임 구조체의 타측 내벽에 배치되어 다축식 브러쉬 모듈과 마주하는 드럼형 브러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축식 브러쉬 모듈은 찬구가 요입되게 형성된 식판의 표면과 일면이 마주하여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식판과 마주하는 본체의 일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종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종방향 회동축; 및 상기 종방향 회동축의 단부에 고정되며 브러쉬모들이 형성된 종방향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축식 브러쉬 모듈의 종방향 회동축은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방향 브러쉬에는 회전축의 중공부와 연통하는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종방향 회전축에는 세척수를 강제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모듈의 세정수 공급관이 연결되어서,
상기 식판의 표면에 직교하는 종방향으로 진입된 종방향 브러쉬에 의한 식판의 세척, 또는 헹굼부위에, 세정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형 브러쉬 모듈은 횡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축의 외경에 브러쉬모들이 배치된 하나 이상의 드럼형 브러쉬와; 상기 드럼형 브러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축식 브러쉬 모듈과 드럼형 브러쉬 모듈은, 종방향 브러쉬의 브러쉬모와 드럼형 브러쉬의 브러쉬모를 상호 교차시킨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의 내벽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서,
상기 다축식 브러쉬 모듈과 드럼형 브러쉬 모듈은, 진퇴을 통한 간격 조절없이 상호 교차된 브러쉬모 사이로 식판은 탄력적으로 진입시켜 식판의 표면과 배면을 탄력적으로 지지 및 마찰시켜서, 식판의 표면과 배면의 세척, 또는 헹굼을 도모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은,
식판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 구조체의 일측 내벽에 배치되어, 찬구가 요입되게 형성된 식판 표면의 세척, 또는 헹굼하는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모듈은, 식판의 표면과 일면이 마주하여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마주하는 본체의 일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식판의 표면과 직교하는 복수의 종방향 회전축과; 상기 종방향 회동축의 단부에 고정되는 종방향 브러쉬; 및 상기 종방향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식판의 표면에 직교하는 종방향으로 종방향 브러쉬를 각각 밀착 및 회전시켜, 식판 표면을 세척, 또는 헹굼하도록 구성된 다축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방향 회동축은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방향 브러쉬에는 회전축의 중공부와 연통하는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종방향 회전축에는 세척수를 강제 공급하는 순환펌프의 세정수 공급관이 연결되어서,
종방향 브러쉬와의 마찰에 의해 세척, 또는 헹굼되는 식판의 세척, 또는 헹굼부위에, 세정수 공급관을 통해 강제 유입된 세정수가 직접 분사되어서, 세정수에 의한 식판의 안정된 세정 또는 헹굼, 및 종방향 브러쉬에 잔류된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축식 브러쉬 모듈과 드럼형 브러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식판 세척장치는, 식판의 표면 또는 배면에 마찰을 통해 세척, 또는 헹굼하는 브러쉬에 직접 세정수가 분사되므로, 세정수에 의한 식판의 안정된 세정 또는 헹굼, 및 브러쉬모에 잔류된 이물질의 세척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축식 브러쉬 모듈과 드럼형 브러쉬 모듈의 진퇴없이 브러쉬에 형성된 브러쉬모가 상호 교차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상기 교차된 브러쉬모 사이로 식판이 탄력적으로 통과하면서 세척 또는 헹굼이 구현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축식 브러쉬 모듈 또는 드럼형 브러쉬 모듈의 반복적으로 진퇴가 불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브러쉬 모듈의 진퇴를 위한 별도의 진퇴구조가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되고, 또 진퇴동작에 따른 세척 및 헹굼시간의 지연이 방지되므로, 식판의 세척 및 헹굼에 따른 사이클 타이밍이 짧아져 식판의 세척에 따른 신속성 내지 향상된 생산성을 갖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장치용 다축식 브러쉬 모듈을 포함하는 식판 세척장치의 정면구성과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장치용 다축식 브러쉬 모듈을 포함하는 식판 세척장치에 있어, 세척부 및 1차 헹굼부를 구성하는 다축식 브러쉬 모듈과 외형 구성과, 다축식 브러쉬 모듈을 통한 식판의 세척 및 헹굼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장치용 드럼형 브러쉬 모듈을 포함하는 식판 세척장치에 있어, 세척부 및 1차 헹굼부를 구성하는 드럼형 브러쉬 모듈과 외형 구성과, 드럼형 브러쉬 모듈을 통한 식판의 세척 및 헹굼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판 세척장치와,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장치용 다축식 브러쉬 모듈을 포함하는 식판 세척장치의 정면구성과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장치용 다축식 브러쉬 모듈을 포함하는 식판 세척장치에 있어, 세척부 및 1차 헹굼부를 구성하는 다축식 브러쉬 모듈과 외형 구성과, 다축식 브러쉬 모듈을 통한 식판의 세척 및 헹굼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장치용 드럼형 브러쉬 모듈을 포함하는 식판 세척장치에 있어, 세척부 및 1차 헹굼부를 구성하는 드럼형 브러쉬 모듈과 외형 구성과, 드럼형 브러쉬 모듈을 통한 식판의 세척 및 헹굼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체(150) 내에 식판(T)을 세척하는 세척부(110)와; 상기 세척부(110)를 통해 세척된 식판(T)을 1차 및 2차 헴굼하는 1차 헹굼부(120)와 2차 헹굼부(130)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세척부(110) 및 1차 헹굼부(120)와 2차 헹굼부(130)의 하부에 식판(T)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140)가 배치된 형태이다.
상기 식판(T)을 일방향으로 순차 이송시키는 이송부(140)는, 구동롤러(141)와 종동롤러(142) 사이에 이송밸트(143)가 견착된 컨베이어형으로 이루어져, 구동롤러(141)의 구동에 의해 이송밸트(143)는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세로로 세워진 상태로 안착된 식판(T)을 세척부(110)와 1차 헹굼부(120) 및 2차 헹굼부(130)에 단계적으로 투입 및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식판(T)이 세로로 세워진 상태로 세척부(110)와 1차 헹굼부(120) 및 2차 헹굼부(130)를 통과하도록 구성하면, 식판(T)의 세척 및 헹굼과정에 공급된 세정수가 식판(T)에서 보다 신속히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척부(110)와 1차 헹굼부(120)를 프레임 구조체(150)의 일측 내벽에 고정되는 다축식 브러쉬 모듈(10)과, 이와 마주하는 프레임 구조체(150)의 타측 내벽에 배치되는 드럼형 브러쉬 모듈(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들 다축식 브러쉬 모듈(10)과 드럼형 브러쉬 모듈(2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브러쉬모(13b, 21b)는 상호 교차시켜, 식판(T)은 이송부(140)에 의해 세척부(110)와 1차 헹굼부(120)를 구성하는 다축식 브러쉬 모듈(10)과 드럼형 브러쉬 모듈(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호 교차된 브러쉬모(13b, 21b)에 의해 표면과 배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마찰하여 세척, 또는 헹굼이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부(110)와 1차 헹굼부(120)를 구성하는 다축식 브러쉬 모듈(1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찬구가 요입되게 형성된 식판(T)의 표면과 일면이 마주하여 배치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일면에 종방향 회동구조로 배치되며 전동모터(14)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종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종방향 회동축(12); 및 상기 종방향 회동축(12)의 단부에 고정되는 종방향 브러쉬(13)를 포함하여, 종방향 브러쉬(13)는 세로로 세워진 식판(T)의 표면에 직교하는 종방향으로 진입하여 밀착된다.
상기 다축식 브러쉬 모듈(10)의 전동모터(14)와 각 종방향 회전축(12)들은 통상 벨트 풀리구조로 연결되어, 종방향 회전축(12)들은 단일 전동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방향 회전축(12)들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1)의 일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여 단부에 설치된 종방향 브러쉬(13)의 반경이 상호 중첩하도록 구성되어서, 이송부(140)에 의해 세척부(110)와 1차 헹굼부(120)를 통과하는 식판(T)의 표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종방향 브러쉬(13)들이 고르게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축식 브러쉬 모듈(10)과 마주하는 프레임 구조체(150)의 타측 내벽에 배치된 드럼형 브러쉬모듈(20)은, 도 4와 같이 횡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축(21a)의 외경에 브러쉬모(21b)들이 방사구조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드럼형 브러쉬(21)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축(21)은 전동모터(22)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종방향 브러쉬(13)의 브러쉬모(13b)와 드럼축(21a)의 외경에 설치된 브러쉬모(21b)는, 유연성과 내 모마모성이 우수한 나일론 재질 등의 제질로 재작된다.
그리고, 상기 종방향 브러쉬(13)의 브러쉬모(13b)와 드럼축(21a)의 외경에 설치된 브러쉬모(21b)에는 자성물질(M)이 도포, 또는 함유되어서, 자성물질(M)에 의한 인력에 의해서 상호 당겨지도록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상호 교차하는 종방향 브러쉬(13)의 브러쉬모(13b)에 자성물질(M)을 포함하고, 드럼 브러쉬(21)의 브러쉬모(21b)에 자성물질(M)에 달라붙는 자성체(F)를 포함하거나 자성체로 구성하여, 상호 교차된 종방향 브러쉬(13)의 브러쉬모(13b)와 드럼 브러쉬(21)의 브러쉬모(21b) 사이, 또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식판과 브러쉬모 사이에 자력에 의한 인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5와 같이 식판(T)의 표면과 배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브러쉬모(13b, 21b)들은 자성물질(M)에 의한 상호간의 인력에 의해서, 식판(T)의 표면과 배면에 보다 안정되게 밀착된 상태로 마찰하여 식판(T)의 안정적인 세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150)의 일측 내벽에 배치된 다축식 브러쉬 모듈(10)의 종방향 브러쉬(13)의 브러쉬모(13b)와, 프레임 구조체(150)의 타측 내벽에 배치된 드럼형 브러쉬 모듈(20)의 드럼형 브러쉬(21)의 브러쉬모(21b)는 도 2와 같이 상호 교차하고, 도 1과 같이 상기 교차된 브러쉬모(13b, 21b)들 사이로 세로로 세워진 식판(T)이 통과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140)에 의해 세척부(110)와 1차 헹굼부(120)의 다축식 브러쉬 모듈(10)과 드럼형 브러쉬 모듈(20) 사이를 통과하는 식판(T)은, 표면에 종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종방향 브러쉬(13)와의 마찰에 의해 표면의 세척 또는 헹굼이 이루어지고, 식판(T)의 배면은 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회전하는 드럼형 브러쉬(21)와의 마찰에 의해 안정된 배면 세척 또는 헹굼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종방향 브러쉬(13)를 포함하는 다축식 브러쉬 모듈(10)과 드럼형 브러쉬를 포함하는 드럼형 브러쉬 모듈(20)은, 별도의 진퇴과정을 통해 간격을 변경하지 아니하고 상호 교차하는 브러쉬모(13b, 21b)들의 탄력적인 형상 변형을 통해 식판(T)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밀착하여 식판(T)의 표면과 배면의 세척 또는 헹굼을 도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다축식 브러쉬 모듈(10)과 드럼형 브러쉬 모듈(20)의 진퇴에 따른 진퇴구조와 진퇴에 의한 지연 시간이 방지되므로, 세척 및 헹굼에 따른 신속성이 확보된다.
그리하여, 상기 이송부(140)에 의해 세척부(110)와 1차 헹굼부(120)를 통과하면서 안정된 세척과 1차 헹굼이 이루어지고, 2차 헹굼부(130)에서 헹굼노즐(131)들을 통해서 고압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 2차 헹굼이 실시되어 식판(T)의 표면과 배면에 묻은 이물질들의 안정된 세척 및 헹굼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척부(110)와 1차 헹굼부(120)를 구성하는 브러쉬 모듈(10, 20)을 개량하여, 종방향 브러쉬(10)와 드럼형 브러쉬(20)에 의한 세척 또는 헹굼부위에 직접적으로 세정수가 강제 분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브러쉬모(13b, 21b)에 의한 마찰과 함께 공급되는 세정수에 의해 보다 안정된 세척 및 헹굼이 이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이 상기 다축식 브러쉬 모듈(10)을 구성하는 종방향 회동축(12)을 중공관(12a)으로 구성하고, 상기 종방향 브러쉬(12)에 종방향 회전축(12)의 중공부(12a)와 연통하는 분사노즐(13c)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형 브러쉬 모듈(20)을 도 4와 같이 구성하는 드럼축(21a)을 중공관으로 구성하고, 상기 드럼축(21a)에 중공부(21a-a)와 연통하는 분사노즐(12c)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종방향 회전축(12)과 횡방향 회동축(21a)에는 도 1과 도 3 및 도 4와 같이 세정수를 강제 공급하는 순환펌프(P2, P3)의 세정수 공급관(P)을 연결시켜, 회전하는 종방향 브러쉬(13)와 드럼형 브러쉬(21)에 의한 식판의 세척, 또는 헹굼부위에 세정수 공급관(P)을 통해 강제 공급된 세정수가 강제 분사되어서, 세정수에 의한 식판(T)의 안정적인 세정 또는 헹굼이 구현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3a와 도 4를 보면 상기 종방향 회전축(12)의 후미, 그리고 드럼축(21a)의 단부는 회동 커플링(C)을 통해 세정수 공급관(P)과 연결되어, 종방향 회전축(12)과 드럼축(21a)은 세정수 공급관(P)과 회동 구조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3b와 도 4b와 같이 상기 종방향 브러쉬(23)와 드럼형 브러쉬(21)에 의해 식판의 세척 또는 헹굼부위에 직접적으로 세정수가 강제 분사되고, 결과적으로 종방향 브러쉬(13)와 드럼형 브러쉬(21)에 의한 마찰과 함께 공급되는 세정수에 의해 식판 표면의 보다 안정되고 신속한 세척, 및 헹굼이 가능하다.
특히, 식판의 세척과정에 종방향 브러쉬(13)와 드럼형 브러쉬(21)의 브러쉬모(13b, 21b)에 잔류된 이물질은 세정수에 의해 신속히 배출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브러쉬모의 오염이 억제되어 안정된 위생 상태의 확보가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정수가 토출되는 종방향 브러쉬(13)들은 설정치를 초과한 속도로 고속 회전하면 브러쉬모(13b)들이 고속 회전에 의해 외측으로 전개되어 식판과의 밀착상태가 불량해져 세척이 저하되고, 또 브러쉬모(13b)들이 설정치 미만으로 저속 회전하면 브러쉬모(13b)와의 마찰을 통한 식판의 세척에 따른 생산성이 떨어진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자는 종방향 브러쉬(13)들의 최적의 회전속도를 도출하였고, 하기에서 이를 상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도출한 종방향 브러쉬들의 최적 분당 회전수(RPM)는 50 내지 250으로, 상기 최적 분당 회전수로 종방향 브러쉬(13)를 회전시켜 식판을 세척한 경우에 각 브러쉬모(13b) 사이에 분사된 세정수가 안정되게 잔류하면서 브러쉬모(13b)와 식판 사이의 안정된 마찰이 이루어져 식판 세척에 따른 효율성과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50RPM 미만로 종방향 브러쉬(13)를 저속 회전시키면 식판과 브러쉬모(13b) 사이의 안정된 밀착은 도모되지만 마찰빈도가 낮아서 식판의 신속한 세척이 어렵고, 또 250RPM을 초과하면 종방향 브러쉬(13)에 마련된 각 브러쉬모(13b)들이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활개되어서 식판과 브러쉬모(13b) 사이의 접촉이 불량해져서 결과적으로 식판의 세척상태가 불량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 종방향 브러쉬(13)의 최적의 분당 회전수(RPM)가 50 내지 250을 갖도록 한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150)에 세척부(110)와 1차 헹굼부(120)와 2차 헹굼부(130)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식판의 세척에 따른 일련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에 있어, 2차 헹굼에 사용된 세정수를 1차 헹굼에 활용하고 또 1차 헹굼에 사용된 세정수를 세척에 재사용하여 세정수의 낭비를 예방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2차 헹굼부(130)의 하부에 헹굼노즐(131)을 통해 2차 헹굼과정에 분사된 세정수를 회수하는 회수조(T1)를 배치하여, 상기 회수조(T1)에 회수된 세정수가 순환펌프(P2)에 의해 1차 헹굼부(120)에 마련된 다축식 브러쉬 모듈(10)과 드럼형 브러쉬 모듈(20)의 종방향 회전축(12)과 드럼축(21a)에 각각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1차 헹굼부(120)의 하부에 1차 헹굼과정에 분사된 세정수를 회수하는 회수조(T2)를 배치하여, 상기 회수조(T2)에 회수된 세정수가 순환펌프(P3)에 의해 세정부(110)에 마련된 다축식 브러쉬 모듈(10)과 드럼형 브러쉬 모듈(20)의 종방향 회전축(12)과 드럼축(21a)에 각각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세정부(110)에 분사된 세정수는 세정부(110)의 하부에 배치된 회수조(T3)에 의해 회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차 헹굼에 사용된 세정수를 1차 헹굼에 활용하고 또 1차 헹굼에 사용된 세정수를 세척에 재사용하므로, 세정수의 과다한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10. 다축식 브러쉬 모듈 11. 본체
12. 종방향 회전축 13. 종방향 브러쉬
13a. 고정 브라켓 13b. 세척모
13c. 분사노즐
20. 드럼형 브러쉬 모듈 21. 드럼형 브러쉬
21a. 드럼축 21b. 브러쉬모
21c. 분사노즐 31, 32, 33. 회수조
P1, P2, P3. 순환펌프
100. 식판 세척장치 110. 세척부
120. 1차 헹굼부 130. 2차 헹굼부
140. 이송부 150. 프레임 구조체

Claims (3)

  1. 식판을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를 통해 세척된 식판을 1차 및 2차 헴굼하는 1차 헹굼부와 2차 헹굼부와; 상기 세척부 및 1차 헹굼부와 2차 헹굼부에 식판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세척부와 1차 헹굼부와 2차 헹굼부 및 이송부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판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와 1차 헹굼부는, 프레임 구조체의 일측 내벽에 배치된 다축식 브러쉬 모듈과; 프레임 구조체의 타측 내벽에 배치되어 다축식 브러쉬 모듈과 마주하는 드럼형 브러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다축식 브러쉬 모듈은 찬구가 요입되게 형성된 식판의 표면과 일면이 마주하여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식판과 마주하는 본체의 일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종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종방향 회동축; 및 상기 종방향 회동축의 단부에 고정되며 브러쉬모들이 형성된 종방향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축식 브러쉬 모듈의 종방향 회동축은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방향 브러쉬에는 회전축의 중공부와 연통하는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종방향 회전축에는 세척수를 강제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모듈의 세정수 공급관이 연결되어서,
    상기 식판의 표면에 직교하는 종방향으로 진입된 종방향 브러쉬에 의한 식판의 세척, 또는 헹굼부위에, 세정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식판 세척장치.
  3. 식판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 구조체의 일측 내벽에 배치되어, 찬구가 요입되게 형성된 식판 표면의 세척, 또는 헹굼하는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모듈은, 식판의 표면과 일면이 마주하여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마주하는 본체의 일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식판의 표면과 직교하는 복수의 종방향 회전축과; 상기 종방향 회동축의 단부에 고정되는 종방향 브러쉬; 및 상기 종방향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식판의 표면에 직교하는 종방향으로 종방향 브러쉬를 각각 밀착 및 회전시켜, 식판 표면을 세척, 또는 헹굼하도록 구성된 다축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종방향 회동축은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방향 브러쉬에는 회전축의 중공부와 연통하는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종방향 회전축에는 세척수를 강제 공급하는 순환펌프의 세정수 공급관이 연결되어서,
    상기 종방향 브러쉬와의 마찰에 의해 세척, 또는 헹굼되는 식판의 세척, 또는 헹굼부위에, 세정수 공급관을 통해 강제 유입된 세정수가 직접 분사되어서, 세정수에 의한 식판의 안정된 세정 또는 헹굼, 및 종방향 브러쉬에 잔류된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
KR1020150015500A 2015-01-30 2015-01-30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을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KR101651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500A KR101651193B1 (ko) 2015-01-30 2015-01-30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을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500A KR101651193B1 (ko) 2015-01-30 2015-01-30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을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194A true KR20160094194A (ko) 2016-08-09
KR101651193B1 KR101651193B1 (ko) 2016-08-25

Family

ID=5671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500A KR101651193B1 (ko) 2015-01-30 2015-01-30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을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1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4108A (zh) * 2019-12-13 2020-04-10 南京科莱尔节能设备有限公司 一种两腔式水循环洗碗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91777A1 (en) * 2019-09-02 2021-03-02 Norman Schmidt Pan cleaning system and improved cleaning st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3741A (ja) * 2006-11-01 2008-05-22 Ishino Seisakusho Co Ltd 食器皿洗浄装置
KR20090100663A (ko) * 2008-03-20 2009-09-24 유정열 수차 세척 브러시를 가지는 세척 장치
KR101145424B1 (ko) * 2011-11-25 2012-05-15 성유경 식판 세척장치용 세척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3741A (ja) * 2006-11-01 2008-05-22 Ishino Seisakusho Co Ltd 食器皿洗浄装置
KR20090100663A (ko) * 2008-03-20 2009-09-24 유정열 수차 세척 브러시를 가지는 세척 장치
KR101145424B1 (ko) * 2011-11-25 2012-05-15 성유경 식판 세척장치용 세척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4108A (zh) * 2019-12-13 2020-04-10 南京科莱尔节能设备有限公司 一种两腔式水循环洗碗装置及方法
CN110974108B (zh) * 2019-12-13 2021-02-12 南京科莱尔节能设备有限公司 一种两腔式水循环洗碗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193B1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135B1 (ko)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
KR101253000B1 (ko) 식기세척장치
KR100908211B1 (ko)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기
KR101145424B1 (ko) 식판 세척장치용 세척모듈
CN102058366B (zh) 电动式餐具连续清洗机
KR101651193B1 (ko)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을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KR101033753B1 (ko) 기립형 식판공급장치를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KR101244379B1 (ko) 식판 자동세척기
KR20200016462A (ko) 자동세척용 롤러브러시 장치
KR101281449B1 (ko)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1265415B1 (ko) 자동식판세척장치
WO2016122029A1 (ko)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식판 세척장치
KR20010068072A (ko) 식판 및 불판 세척기
CN101273868A (zh) 餐具洗涤方法及设备
KR101368465B1 (ko) 세척효율이 향상된 다축식 식판 세척기
KR20160139976A (ko) 식판 세정장치
KR101137674B1 (ko) 헹굼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KR101453436B1 (ko)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 다축식 식판 세척기
KR20110090535A (ko) 애벌 식판 세척장치
KR101027995B1 (ko) 애벌 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
KR20160002228A (ko) 식판 세척장치용 식판 세척모듈
CN102948916A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清洗去皮机
KR101620493B1 (ko) 개량된 세척구조를 갖는 식판 세척장치
KR101363604B1 (ko) 식기 세척기
WO2001005293A1 (en) Dishwasher using high pressure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