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121A -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 Google Patents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121A
KR20160094121A KR1020150015302A KR20150015302A KR20160094121A KR 20160094121 A KR20160094121 A KR 20160094121A KR 1020150015302 A KR1020150015302 A KR 1020150015302A KR 20150015302 A KR20150015302 A KR 20150015302A KR 20160094121 A KR20160094121 A KR 20160094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duction
induction heating
heating
work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성
Original Assignee
이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성 filed Critical 이진성
Priority to KR1020150015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4121A/ko
Publication of KR20160094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H3/041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portable or mob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8In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열 플라스틱 또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사각 또는 원통체 형상을 갖게 성형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측 공기 유입구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버터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하며 가열에 필요로 하는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유도가열 유니트들을 통해 원거리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송풍팬과; 각각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발열량을 발생하는 구성을 갖고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서 송풍팬과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간부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회절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내부를 강제로 통과하고 있는 공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가열시켜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인덕션 온풍기의 구동에 필요한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가열 유니트들에 각각 구비된 워킹코일들의 구동에 필요한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을 갖는 고주파 전류를 포함하여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및 전류를 발생시키는 인버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유도가열 원리를 적용하여 시설재배 단자나 대합실 또는 휴게실 및 가정 등지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온풍기나 헤어드라이기 등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가열된 공기를 회절을 통해 먼 곳 및 높은 곳까지 원활히 공급 및 순환시킬 수 있어 균일한 온도분포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난방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쾌적한 공기 흐름을 통해 피부 컨디션도 좋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Variable heat induction heater}
본 발명은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이 구비된 사각 또는 원형 링 형상을 갖는 복수의 발열체 외부에 단열재를 설치하고, 상기 단열재의 외부에 워킹코일을 원하는 회전수만큼 권취한 형태를 갖는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를 원하는 개수만큼 일방향으로 배열한 후 일체로 고정하되, 각 발열체의 통풍구에 구비된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들의 각도가 서로 다르게 결합하고, 일측에는 송풍팬을 설치하여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인덕션 레인지와 동일한 원리)을 통해 공기를 가열하여 회절되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되, 유도가열 유니트의 설치 개수와 설정온도에 따른 송풍량 조절 및 워킹코일에 흐르는 전류조절을 열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온풍 난방기나 헤어드라이기 등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한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겨울철에 보다 쾌적하고 깨끗한 실내 환경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석유나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산소를 소비하고 연소가스가 발생하는 기존의 온풍기보다 훨씬 쾌적한 전기 온풍기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전기 온풍기는 주로 니크롬선을 사용한 발열체와, 세라믹 표면에 얇은 금속 막의 저항을 이용한 세라믹 발열체 또는 카본의 저항을 이용하는 카본 발열체 등에 전류를 저항에 직접 흘려서 발생되는 주울열(joule heating)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실내 온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기존 일반 전기 온풍기는 구조적으로 발열체와 공기의 접촉 면적과 열전도율이 작아 온풍기의 열 공급능력과 에너지 효율이 매우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큰 소비전력을 요구하여 가정용 이외의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세라믹 발열체나 히트파이프(HEAT-PIPE)를 사용한 절전형 전기 온풍기가 개발되어 가정용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인데, 이 경우 역시 아직도 가스 온풍기나 선풍기형 히터보다 많은 전력요금을 부담해야 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전기 온풍기만이 가지는 장점들은 관리가 쉬운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고 위험이 적으며 급속가열이 가능하고, 특히 발열할 때 산소를 소비하지 않아 쾌적하고 신선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대부분의 전기 온풍기는 발열부와, 송풍부가 별개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장치를 구성할 때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동일 용량의 난방이 이루어지는 경우라면 그 부피가 축소되는 것을 선호하는 성향이 있으므로 종래의 전기 온풍기는 이러한 소비성향에 역행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전기 온풍기는 저항체로 인해 발열이 이루어지므로 주변의 플라스틱 하우징이나 회로 기판에 열이 전달되어 발화 위험이 매우 높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즉, 종래의 전기 온풍기는, 전기 히팅 코일에 전류를 흘려 발열시키고 송풍팬으로 바람을 일으켜 온풍을 난방지역에 공급하는 원리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 소모량이 큰 단점과, 송풍팬에서 형성된 바람이 전기 히팅 코일의 발열 온도를 떨어뜨리는 등 열손실이 많아 전기 소모량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요리기구 등에서 주로 사용되던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일명 인덕션 가열방식)을 이용한 전기 온풍기가 발명되고 있다.
상기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의 전기 온풍기는 유도코일인 워킹코일 측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면, 이 워킹코일 측에는 고주파 자기장이 발생하고, 상기 고주파 자기장에 의해 자성체 재질의 발열체에 생기는 와전류(맴돌이 전류)에 의해 발열체가 발열하고, 상기 발열체의 발열에 의해 그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가열되어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의 전기 온풍기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가열 효율이 떨어지며, 또한 일정온도까지 가열시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전력소모도 큰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78795호(2000년 02월 03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43278호(2008년 05월 1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64408호(2011년 09월 05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소정형상을 갖는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이 통풍구상에 일체로 구비된 사각 또는 원형 링 형상을 갖는 복수의 발열체 외부에 내측 단열재와 소정의 권취 회전수를 갖는 워킹코일, 외측 단열재 및 영구자석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소정용량의 발열량을 갖는 유도가열 유니트들을 형성하고, 이들을 원하는 개수만큼 직선방향으로 배열하여 일체로 고정하되, 각 발열체의 통풍구에 구비된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들의 각도가 서로 다르게 결합함은 물론 일측에는 송풍팬을 설치하여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인덕션 레인지와 동일한 원리)을 통해 공기를 가열하여 회절되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도가열 원리를 적용하여 시설재배 단자나 대합실 또는 휴게실 및 가정 등지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온풍기나 헤어드라이기 등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가열된 공기를 회절을 통해 먼 곳 및 높은 곳까지 원활히 공급 및 순환시킬 수 있어 균일한 온도분포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난방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쾌적한 공기 흐름을 통해 피부 컨디션도 좋게 할 수 있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도가열 유니트들의 설치 개수와 설정온도에 따른 송풍량 조절 및 워킹코일에 흐르는 전류조절을 열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온풍기 사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송풍팬과의 거리에 따라 각각의 유도가열 유니트에 권취되는 워킹코일의 지름과 권취 수를 달리하여 최소한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가운데 최대한의 공기 가열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공기 가열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는, 방열 플라스틱 또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사각 또는 원통체 형상을 갖게 성형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측 공기 유입구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버터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하며 가열에 필요로 하는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유도가열 유니트들을 통해 원거리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송풍팬과; 각각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발열량을 발생하는 구성을 갖고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서 송풍팬과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간부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회절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내부를 강제로 통과하고 있는 공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가열시켜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인덕션 온풍기의 구동에 필요한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가열 유니트들에 각각 구비된 워킹코일들의 구동에 필요한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 예를 들어 10~500㎑)을 갖는 고주파 전류를 포함하여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및 전류를 발생시키는 인버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는, 소정형상을 갖는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이 중앙의 통풍구상에 일체로 구비되고 외면에는 단열재 및 워킹코일 안착홈이 형성되도록 사각 또는 원형 링 형상을 갖게 성형한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의 단열재 및 워킹코일 안착홈 내에 설치되어 워킹코일과 발열체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워킹코일 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내측 단열재와; 서로 다른 지름을 갖거나 서로 다른 권취 수를 갖고 상기 발열체의 단열재 및 워킹코일 안착홈 내에서 상기 내측 단열재의 외측에 권취된 상태를 갖고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전류에 대응하는 자계를 발생시켜 피가열체인 발열체를 각각 유도 가열하여 통풍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는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의 외측에 설치되어 워킹코일과 영구자석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발열체 및 워킹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 케이스 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외측 단열재와; 상기 외측 단열재 외측에 설치되어 워킹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워킹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들이 발열체 측으로만 전달되고 외부 케이스 측으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영구자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워킹코일로는 직경이 0.1mm로 가는 에너멜선(폴리우레탄선 등)을 10줄부터 수십 줄 꼬아 그 위에 1중 또는 2`중의 명주실을 가로로 감은 특수한 절연 전선으로 성형한 리츠 코일 또는 동파이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워킹코일로 리츠 코일을 설치한 경우, 상기 인버터에서는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 10~500㎑) 중 10~100㎑ 대역의 유도 가열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로 동파이프를 설치한 경우, 상기 인버터에서는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 10~500㎑) 중 50~500㎑ 대역의 유도 가열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를 휴대하고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 또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를 바닥에 고정시켜 놓고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와 운반용 손잡이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저부 네 모서리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캐스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열체의 통풍구상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은 "/" 또는 "Y" 또는 "+"자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의 통풍구 내면에는 발열체를 통해 발생되는 열의 방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열면적 증대돌기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나선형으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열체의 상기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 상,하면에는 발열체에서 발생된 후 상기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을 통해 전도된 열의 방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열면적 증대돌기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에 각각 구비된 발열체 외측에 워킹코일을 권취할 때, 상기 송풍팬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의 저항이 높아 발열량은 적고 외부 케이스의 공기 배출구측으로 근접해갈수록 저항은 점차 작아지며 발열량이 점차 커지도록 하기 위해,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송풍팬에 근접되게 설치한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귄취되는 워킹코일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제일 작고, 송풍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정해진 배율씩 차츰 더 굵어지어 최종 공기 배출구측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귄취되는 워킹코일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제일 굵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에 각각 구비된 발열체 외측에 워킹코일을 권취할 때, 상기 송풍팬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의 저항이 높아 발열량은 적고 외부 케이스의 공기 배출구측으로 근접해갈수록 저항은 점차 작아지며 발열량이 점차 커지도록 하기 위해,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송풍팬에 근접되게 설치한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권취된 워킹코일의 권취 수가 상대적으로 제일 많고, 송풍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정해진 배율씩 차츰 권취 수가 작아져 최종 공기 배출구측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귄취되는 워킹코일의 권취 수가 상대적으로 제일 적도록 권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열 확산 계수가 1.4[㎠/sec]이고, 열 전도도는 60~90[W/mK]이며, 밀도는 1.8±0.3[g/㎤]이고, 용융온도가 595[℃]이며, 비열이 1.02~1.05[J/gK]인 마그네슘 합금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내측 및 외측 단열재는 세라믹 단열재, 미네랄 울 단열재, 그라스 울 단열재, 화이바 단열재, 비석면 단열재 및 발포성 고무 단열재 중 어느 한 단열재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에 의하면, 소정형상을 갖는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이 통풍구상에 일체로 구비된 사각 또는 원형 링 형상을 갖는 복수의 발열체 외부에 내측 단열재와 소정의 권취 회전수를 갖는 워킹코일, 외측 단열재 및 영구자석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소정용량의 발열량을 갖는 유도가열 유니트들을 형성하고, 이들을 원하는 개수만큼 직선방향으로 배열하여 일체로 고정하되, 각 발열체의 통풍구에 구비된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들의 각도가 서로 다르게 결합함은 물론 일측에는 송풍팬을 설치하여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인덕션 레인지와 동일한 원리)을 통해 공기를 가열하여 회절되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도가열 원리를 적용하여 시설재배 단자나 대합실 또는 휴게실 및 가정 등지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온풍기나 헤어드라이기 등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가열된 공기를 회절을 통해 먼 곳 및 높은 곳까지 원활히 공급 및 순환시킬 수 있어 균일한 온도분포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난방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쾌적한 공기 흐름을 통해 피부 컨디션도 좋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도가열 유니트들의 설치 개수와 설정온도에 따른 송풍량 조절 및 워킹코일에 흐르는 전류조절을 열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온풍기 사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송풍팬과의 거리에 따라 각각의 유도가열 유니트에 권취되는 워킹코일의 지름과 권취 수를 달리하여 최소한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가운데 최대한의 공기 가열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공기 가열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인덕션 온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인덕션 온풍기의 측 단면도.
도 3의 (a)(b)는 본 발명 중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의 (a)(b)는 본 발명 중 유도가열 유니트의 정 단면 및 측 단면도.
도 5의 (a)-(c)는 본 발명 중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형성한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의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덕션 온풍기를 헤어드라이기에 적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의 (a)(b)는 본 발명 중 통풍구 내면에 방열면적 증대돌기가 형성된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의 (a)-(c)는 본 발명 중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의 상,하면에 방열면적 증대돌기가 돌출 형성된 상태를 보인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인덕션 온풍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인덕션 온풍기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a)(b)는 본 발명 중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4의 (a)(b)는 본 발명 중 유도가열 유니트의 정 단면 및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a)-(c)는 본 발명 중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형성한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의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인덕션 온풍기를 헤어드라이기에 적용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의 (a)(b)는 본 발명 중 통풍구 내면에 방열면적 증대돌기가 형성된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a)-(c)는 본 발명 중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의 상,하면에 방열면적 증대돌기가 돌출 형성된 상태를 보인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는,
방열 플라스틱 또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사각 또는 원통체 형상을 갖게 성형한 외부 케이스(1)와;
상기 외부 케이스(1)의 일측 공기 유입구(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버터(5)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하며 가열에 필요로 하는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유도가열 유니트(3)들을 통해 원거리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송풍팬(2)과;
각각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발열량을 발생하는 구성을 갖고 상기 외부 케이스(1) 내에서 송풍팬(2)과 공기 배출구(12) 사이의 공간부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회절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송풍팬(2)에 의해 내부를 강제로 통과하고 있는 공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가열시켜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3)와;
상기 외부 케이스(1)의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인덕션 온풍기의 구동에 필요한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4)와;
상기 외부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가열 유니트(3)들에 각각 구비된 워킹코일(33)들의 구동에 필요한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 예를 들어 10~500㎑)을 갖는 고주파 전류를 포함하여 상기 송풍팬(2)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및 전류를 발생시키는 인버터(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3)는,
소정형상을 갖는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312)이 중앙의 통풍구(311)상에 일체로 구비되고 외면에는 단열재 및 워킹코일 안착홈(313)이 형성되도록 사각 또는 원형 링 형상을 갖게 성형한 발열체(31)와;
상기 발열체(31)의 단열재 및 워킹코일 안착홈(313) 내에 설치되어 워킹코일(33)과 발열체(31)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발열체(31)에서 발생하는 열이 워킹코일(33) 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내측 단열재(32)와;
서로 다른 지름을 갖거나 서로 다른 권취 수를 갖고 상기 발열체(31)의 단열재 및 워킹코일 안착홈(313) 내에서 상기 내측 단열재(32)의 외측에 권취된 상태를 갖고 인버터(5)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전류에 대응하는 자계를 발생시켜 피가열체인 발열체(31)를 각각 유도 가열하여 통풍구(311)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는 워킹코일(33)과;
상기 워킹코일(33)의 외측에 설치되어 워킹코일(33)과 영구자석(35)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발열체(31) 및 워킹코일(33)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 케이스(1) 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외측 단열재(34)와;
상기 외측 단열재(34) 외측에 설치되어 워킹코일(33)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워킹코일(33)에서 발생되는 자기장들이 발열체(31) 측으로만 전달되고 외부 케이스(1) 측으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영구자석(3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워킹코일(33)로는 직경이 0.1mm로 가는 에너멜선(폴리우레탄선 등)을 10줄부터 수십 줄 꼬아 그 위에 1중 또는 2`중의 명주실을 가로로 감은 특수한 절연 전선으로 성형한 리츠 코일 또는 동파이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워킹코일(33)로 리츠 코일을 설치한 경우,
상기 인버터(5)에서는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 10~500㎑) 중 10~100㎑ 대역의 유도 가열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33)로 동파이프를 설치한 경우,
상기 인버터(5)에서는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 10~500㎑) 중 50~500㎑ 대역의 유도 가열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외부 케이스(1)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를 휴대하고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13) 또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를 바닥에 고정시켜 놓고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14)와 운반용 손잡이(15)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14)의 저부 네 모서리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캐스터(16)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열체(31)의 통풍구(311)상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312)은,
"/" 형상 또는 "Y"자 형상 또는 "+"자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31)의 통풍구(311) 내면에는 발열체(31)를 통해 발생되는 열의 방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열면적 증대돌기(314)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나선형으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열체(31)의 상기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312) 상,하면에는 발열체(31)에서 발생된 후 상기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312)을 통해 전도된 열의 방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열면적 증대돌기(314)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쇄기 형상으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3)에 각각 구비된 발열체(31) 외측에 워킹코일(33)을 권취할 때,
상기 송풍팬(2)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3)의 저항이 높아 발열량은 적고 외부 케이스(1)의 공기 배출구(12) 측으로 근접해갈수록 저항은 점차 작아지며 발열량이 점차 커지도록 하기 위해,
외부 케이스(1)의 내부에서 송풍팬(2)에 근접되게 설치한 유도가열 유니트(3)의 발열체(31)에 귄취되는 워킹코일(33)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제일 작고, 송풍팬(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정해진 배율씩 차츰 더 굵어지어 최종 공기 배출구(12) 측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3)의 발열체(31)에 귄취되는 워킹코일(33)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제일 굵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3)에 각각 구비된 발열체(31) 외측에 워킹코일(33)을 권취할 때,
상기 송풍팬(2)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3)의 저항이 높아 발열량은 적고 외부 케이스(1)의 공기 배출구(12) 측으로 근접해갈수록 저항은 점차 작아지며 발열량이 점차 커지도록 하기 위해,
외부 케이스(1)의 내부에서 송풍팬(2)에 근접되게 설치한 유도가열 유니트(3)의 발열체(31)에 권취된 워킹코일(33)의 권취 수가 상대적으로 제일 많고, 송풍팬(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정해진 배율씩 차츰 권취 수가 작아져 최종 공기 배출구(12) 측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3)의 발열체(31)에 귄취되는 워킹코일(33)의 권취 수가 상대적으로 제일 적도록 권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31)는 열 확산 계수가 1.4[㎠/sec]이고, 열 전도도는 60~90[W/mK]이며, 밀도는 1.8±0.3[g/㎤]이고, 용융온도가 595[℃]이며, 비열이 1.02~1.05[J/gK]인 마그네슘 합금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내측 및 외측 단열재(32)(34)는 세라믹 단열재나, 미네랄 울 단열재, 그라스 울 단열재, 화이바 단열재, 비석면 단열재 및 발포성 고무 단열재 중 어느 한 단열재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7은 외부 케이스(1)의 공기 배출구(12)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 및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는 그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부 케이스(1)와 송풍팬(2),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3), 조작부(4) 및 인버터(5)를 구비하고,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을 통해 공기를 가열하여 주는 온풍기로써 시설재배 단자나 대합실 또는 휴게실 및 가정 등지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온풍기나 헤어드라이기 등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외부 케이스(1)는 열에 배한 방열효과가 좋고 외관상 미려하도록 방열 플라스틱 또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온풍기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구성품을 모두 내설 또는 외설할 수 있는 소정 체적을 갖는 사각 통체 또는 원통체 형상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외부 케이스(1)의 외측에는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를 헤어드라이기로 제작하였을 때 사용자가 손쉽게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13)를 설치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적용된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를 시설재배 단자나 대합실 또는 휴게실 및 가정 등지에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각종 대형 온풍기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1)의 저부 및 상부에 도 1 및 도 2와 같이 각각 지지대(14) 및 운반용 손잡이(15)를 설치하여, 본 발명의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를 바닥에 고정시켜 놓고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14)의 저부 네 모서리에는 바퀴와 고정장치가 구비된 캐스터(16)를 더 설치하여 시설재배 단자나 대합실 또는 휴게실 및 가정 등지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온풍기로 제작한 본 발명이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실질적으로 비교적 중량이 많이 나감)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정 장소에 고정시켜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팬(2)은 상기 외부 케이스(1)의 일측 공기 유입구(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버터(5)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하며 외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유도가열 유니트(3)들의 통풍구(311)를 통해 원거리까지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발열량을 발생하는 구성을 갖고 상기 외부 케이스(1) 내에서 일측의 공기 유입구(11) 측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팬(2)과 타측의 공기 배출구(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필요한 수만큼 연속해서 다단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인버터(5)의 출력단자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상기 송풍팬(2)에 의해 내부로 강제 유입된 공기를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회오리 바람처럼 회절하는 형태로 통과시키며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가열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4)는 온풍온도 설정키와 온/오프 스위치 등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본 발명이 적용된 인덕션 온풍기의 구동에 필요한 조작신호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1)의 외측에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인덕션 온풍기의 외측에서 무선으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리모컨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인버터(5)는 상기 외부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가열 유니트(3)들에 각각 구비된 워킹코일(33)들의 구동에 필요한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 예를 들어 10~500㎑)을 갖는 고주파 전류를 포함하여 상기 송풍팬(2)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및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워킹코일(33)의 구동에 필요한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킬 때에는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을 갖는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준다.
한편, 상기 유도가열 유니트(3)들은 소정형상을 갖는 발열체(31)의 외부에 내측 단열재(32)와 소정 지름 또는 권취 수를 갖는 워킹코일(33), 외측 단열재(34) 및 복수의 영구자석(35)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서로 다른 소정 발열용량을 갖게 제작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발열체(31)는 소정형상을 갖는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312)이 중앙의 통풍구(311)상에 일체로 구비되고 외면에는 단열재 및 워킹코일 안착홈(313)이 형성되도록 마그네슘 합금을 이용하여 사각 또는 원형 링 형상을 갖게 성형한 것이다.
상기에서 발열체(31)의 제작에 사용한 비자성체의 마그네슘 합금은 열 확산 계수가 1.4[㎠/sec]이고, 열 전도도는 60~90[W/mK]이며, 밀도는 1.8±0.3[g/㎤]이고, 용융온도가 595[℃]이며, 비열이 1.02~1.05[J/gK]로써 무쇠나 강철 등과 같은 강자성체에 비해 열 방출이 2.5~3배 더 좋고, 밀도 역시 낮아 가벼워 본 발명이 적용된 인덕션 온풍기 자체의 무게가 가벼워 휴대 및 이동성 등이 매우 좋을 뿐만 아니라 열 방출이 좋아 난방효율 역시 매우 좋게 된다.
또, 상기 발열체(31)의 통풍구(311)상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312)은, 도 5의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 형상 또는 "Y"자 형상 또는 "+"자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으로, 이와 같은 형상의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312)이 구비된 발열체(31) 등을 이용하여 제작한 유도가열 유니트(3)들을 외부 케이스(1) 내에 설치할 때에는 서로 인접한 유도가열 유니트(3)들의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312)의 각도가 도 3의 (a)(b)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각도(예를 들어 15도, 30도, 45도 등)를 갖도록 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유도가열 유니트(3)들을 통과하며 계속 가열되는 공기가 회오리 바람처럼 회절하는 형태를 갖고 통과하게 되므로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3)를 통과하며 차츰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가 회절되는 형태를 갖고 먼 곳 및 높은 곳까지 원활히 공급 및 순환되어 균일한 온도분포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난방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쾌적한 공기 흐름을 통해 피부 컨디션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열체(31)의 통풍구(311) 내면에 도 7의 (a)(b)와 같이 복수의 방열면적 증대돌기(314)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나선형으로 더 돌출 성형하거나 또는 도 8의 (a)~(c)와 같이 상기 발열체(31)의 상기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312) 상,하면에 복수의 방열면적 증대돌기(314)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쇄기 형상으로 더 돌출 성형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발열체(31) 자체 통해 또는 상기 발열체(31)에서 발생된 후 상기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312)을 통해 발열되는 열의 방출면적을 통풍구(311) 내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성형한 복수의 방열면적 증대돌기(314) 면적만큼 또는 상기 발열체(31)의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312) 상,하면에 쐐기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방열면적 증대돌기(314) 면적만큼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회절을 가속시킬 수 있어 공기의 가열효과를 더울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내측 단열재(32)는 세라믹 단열재나, 미네랄 울 단열재, 그라스 울 단열재, 화이바 단열재, 비석면 단열재 및 발포성 고무 단열재 중 어느 한 단열재로 성형한 것으로, 상기 발열체(31)의 단열재 및 워킹코일 안착홈(313) 내에 설치하여 워킹코일(33)과 발열체(31)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주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발열체(31)에서 발생하는 열이 워킹코일(33) 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3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지름을 갖거나 또는 서로 다른 권취 수를 갖고 상기 발열체(31)의 단열재 및 워킹코일 안착홈(313) 내에서 상기 내측 단열재(32)의 외측에 권취된 상태를 갖고 인버터(5)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전류에 대응하는 자계를 발생시켜 피가열체인 발열체(31)를 각각 유도 가열하여 통풍구(311)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워킹코일(33)로는 리츠 코일 또는 소정지름을 갖는 동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하였는데, 여기서 리츠 코일은 직경이 0.1mm로 가는 에너멜선(폴리우레탄선 등)을 10줄부터 수십 줄 꼬아 그 위에 1중 또는 2중의 명주실을 가로로 감은 특수한 절연 전선으로 성형한 것으로 표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표피 효과를 저감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워킹코일(33)로 리츠 코일을 설치한 경우, 상기 인버터(5)에서는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 10~500㎑) 중 10~100㎑ 대역의 유도 가열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전류를 리츠 코일(31a)에 발생시켜 주도록 하였다.
또, 상기 워킹코일(33)로 동파이프를 설치한 경우, 상기 인버터(5)에서는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 10~500㎑) 중 50~500㎑ 대역의 유도 가열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전류를 동파이프(31b)에 발생시켜 동파이프(31b)의 표면에서 많은 표피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3)에 각각 구비된 발열체(31) 외측에 워킹코일(33)을 권취할 때 일 예, 상기 외부 케이스(1)의 내부에서 송풍팬(2)에 근접되게 설치한 유도가열 유니트(3)의 발열체(31)에 귄취되는 워킹코일(33)의 지름이 유도가열 유니트(3)의 발열체(31)에 귄취되는 워킹코일(33)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제일 작은 것을 선택하여 권취하고, 송풍팬(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정해진 배율씩 차츰 더 굵어지어 최종 공기 배출구(12) 측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3)의 발열체(31)에 귄취되는 워킹코일(33)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제일 굵은 것을 선택하여 권취하였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3)에 각각 구비된 발열체(31) 외측에 워킹코일(33)을 권취할 때 다른 예로, 상기 외부 케이스(1)의 내부에서 송풍팬(2)에 근접되게 설치한 유도가열 유니트(3)의 발열체(31)에 권취된 워킹코일(33)의 권취 수가 유도가열 유니트(3)의 발열체(31)에 귄취되는 워킹코일(33)의 권취 수보다 상대적으로 제일 많도록 권취하고, 송풍팬(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정해진 배율씩 차츰 권취 수가 작아져 최종 공기 배출구(12) 측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3)의 발열체(31)에 귄취되는 워킹코일(33)의 권취 수가 상대적으로 제일 적도록 권취하였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2)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3)의 저항이 제일 높아 발열량은 적고 외부 케이스(1)의 공기 배출구(12) 측으로 근접해갈수록 저항은 점차 작아지며 발열량이 점차 커지게 되므로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서서히 가열하기 시작하여 차츰 그 온도를 높여가며 가열하던 중 최종적으로 배출할 때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가열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케이스(1) 내에 5개의 유도가열 유니트(3)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설정온도를 60℃로 설정한 경우, 상기 송풍팬(2)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3)에서 최초로 공기를 가열시킬 때 40℃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하고, 두 번째 유도가열 유니트(3)에서는 45℃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세 번째 유도가열 유니트(3)에서는 50℃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하고, 네 번째 유도가열 유니트(3)에서는 55℃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하며, 마지막 다섯 번째 유도가열 유니트(3)에서는 최종 60℃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최소한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가운데 최대한의 공기 가열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공기 가열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35)은 상기 외측 단열재(34) 외측에 실리콘 등과 같은 절연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 설치된 형태를 갖고 자체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을 통해 워킹코일(33)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밀도를 더욱 높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됨은 물론 상기 워킹코일(33)에서 발생되는 자기장들이 발열체(31) 측으로만 전달되고 외부 케이스(1) 측으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외측 단열재(34)는 내측 단열재(32)와 마찬가지로 세라믹 단열재나, 미네랄 울 단열재, 그라스 울 단열재, 화이바 단열재, 비석면 단열재 및 발포성 고무 단열재 중 어느 한 단열재로 성형한 것으로, 상기 워킹코일(33)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워킹코일(33)과 영구자석(35)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발열체(31) 및 워킹코일(33)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 케이스(1) 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외부 케이스
11 : 공기 유입구 12 : 공기 배출구
13 : 손잡이 14 : 지지대
15 : 운반용 손잡이 16 : 캐스터
17 : 그릴
2 : 송풍팬
3 : 유도가열 유니트
31 : 발열체 311 : 통풍구
312 :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 313 : 단열재 및 워킹코일 안착홈
314 : 방열면적 증대돌기
32 : 내측 단열재 33 : 워킹코일
34 : 외측 단열재 35 : 영구자석
4 : 조작부
5 : 인버터

Claims (14)

  1. 방열 플라스틱 또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사각 또는 원통체 형상을 갖게 성형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측 공기 유입구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버터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하며 가열에 필요로 하는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유도가열 유니트들을 통해 원거리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송풍팬과;
    각각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발열량을 발생하는 구성을 갖고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서 송풍팬과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간부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회절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내부를 강제로 통과하고 있는 공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가열시켜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인덕션 온풍기의 구동에 필요한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가열 유니트들에 각각 구비된 워킹코일들의 구동에 필요한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을 갖는 고주파 전류를 포함하여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및 전류를 발생시키는 인버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도가열 유니트는,
    소정형상을 갖는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이 중앙의 통풍구상에 일체로 구비되고 외면에는 단열재 및 워킹코일 안착홈이 형성되도록 사각 또는 원형 링 형상을 갖게 성형한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의 단열재 및 워킹코일 안착홈 내에 설치되어 워킹코일과 발열체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워킹코일 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내측 단열재와;
    서로 다른 지름을 갖거나 서로 다른 권취 수를 갖고 상기 발열체의 단열재 및 워킹코일 안착홈 내에서 상기 내측 단열재의 외측에 권취된 상태를 갖고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전류에 대응하는 자계를 발생시켜 피가열체인 발열체를 각각 유도 가열하여 통풍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는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의 외측에 설치되어 워킹코일과 영구자석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발열체 및 워킹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 케이스 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외측 단열재와;
    상기 외측 단열재 외측에 설치되어 워킹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워킹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들이 발열체 측으로만 전달되고 외부 케이스 측으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영구자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로는,
    리츠 코일 또는 동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로 리츠 코일을 설치한 경우,
    상기 인버터에서는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 10~500㎑) 중 10~100㎑ 대역의 유도 가열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로 동파이프를 설치한 경우,
    상기 인버터에서는 정해진 유도 가열 주파수 대역(X ㎑; 10~500㎑) 중 50~500㎑ 대역의 유도 가열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 유니트들에 각각 구비된 발열체 외측에 워킹코일을 권취할 때,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송풍팬에 근접되게 설치한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귄취되는 워킹코일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제일 작고, 송풍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정해진 배율씩 차츰 더 굵어지어 최종 공기 배출구측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귄취되는 워킹코일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제일 굵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 유니트들에 각각 구비된 발열체 외측에 워킹코일을 권취할 때,
    상기 송풍팬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의 저항이 높아 발열량은 적고 외부 케이스의 공기 배출구측으로 근접해갈수록 저항은 점차 작아지며 발열량이 점차 커지도록 하기 위해,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송풍팬에 근접되게 설치한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권취된 워킹코일의 권취 수가 상대적으로 제일 많고, 송풍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정해진 배율씩 차츰 권취 수가 작아져 최종 공기 배출구측에 근접된 유도가열 유니트의 발열체에 귄취되는 워킹코일의 권취 수가 상대적으로 제일 적도록 권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열 확산 계수가 1.4[㎠/sec]이고, 열 전도도는 60~90[W/mK]이며, 밀도는 1.8±0.3[g/㎤]이고, 용융온도가 595[℃]이며, 비열이 1.02~1.05[J/gK]인 마그네슘 합금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단열재는,
    세라믹 단열재, 미네랄 울 단열재, 그라스 울 단열재, 화이바 단열재, 비석면 단열재 및 발포성 고무 단열재 중 어느 한 단열재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의 통풍구상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은 "/" 형상 또는 "Y"자 형상 또는 "+"자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의 통풍구 내면에는 발열체를 통해 발생되는 열의 방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열면적 증대돌기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나선형으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의 상기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 상,하면에는 발열체에서 발생된 후 상기 공기흐름 방향 전환판을 통해 전도된 열의 방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열면적 증대돌기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를 휴대하고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 또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를 바닥에 고정시켜 놓고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와 운반용 손잡이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저부 네 모서리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캐스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KR1020150015302A 2015-01-30 2015-01-30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KR20160094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302A KR20160094121A (ko) 2015-01-30 2015-01-30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302A KR20160094121A (ko) 2015-01-30 2015-01-30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121A true KR20160094121A (ko) 2016-08-09

Family

ID=5671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302A KR20160094121A (ko) 2015-01-30 2015-01-30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41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0742A (zh) * 2017-09-30 2017-12-12 浙江唐艺织物整理有限公司 一种涂层布热合机加热装置
CN109282330A (zh) * 2018-11-09 2019-01-29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红外测温电磁灶
KR20190116639A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신양에코스타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유동 전기 온풍기
CN110345634A (zh) * 2019-08-08 2019-10-18 王泽霖 一种储能式电磁感应热风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795Y1 (ko) 1999-11-01 2000-04-15 주식회사진전 유도 가열 장치
KR20080043278A (ko) 2008-04-23 2008-05-16 (주)세일스타 유도 가열방식의 온풍장치
KR101064408B1 (ko) 2009-01-16 2011-09-14 정가영 인덕션 가열 방식의 전기 온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795Y1 (ko) 1999-11-01 2000-04-15 주식회사진전 유도 가열 장치
KR20080043278A (ko) 2008-04-23 2008-05-16 (주)세일스타 유도 가열방식의 온풍장치
KR101064408B1 (ko) 2009-01-16 2011-09-14 정가영 인덕션 가열 방식의 전기 온풍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0742A (zh) * 2017-09-30 2017-12-12 浙江唐艺织物整理有限公司 一种涂层布热合机加热装置
KR20190116639A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신양에코스타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유동 전기 온풍기
CN109282330A (zh) * 2018-11-09 2019-01-29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红外测温电磁灶
CN110345634A (zh) * 2019-08-08 2019-10-18 王泽霖 一种储能式电磁感应热风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734B1 (ko)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EP1796434B1 (en) Electric cooker having a composite heat source
CA2184451C (en) Combined ceiling mounted fan and co-operating electric heating assembly
KR101277264B1 (ko) 세라믹히터를 갖는 헤어드라이기
KR20160094121A (ko) 열량 가변형 인덕션 온풍기
WO2016086795A1 (zh) 一种电磁发热装置
CN105371485A (zh) 可调角度多段发热体便携暖风机
KR101311746B1 (ko) 봉상 발열형 인덕션 난방기
CN105546815B (zh) 暖风机
CN203404967U (zh) 暖风机
KR101064408B1 (ko) 인덕션 가열 방식의 전기 온풍기
KR102376008B1 (ko) 유도가열에 의한 온풍기
KR200497387Y1 (ko) 블레이드가 발열하는 관류 블로어
CN105352176A (zh) 可调角度多孔发热体便携暖风机
CN209863312U (zh) 一种烹饪器具
JP2005180889A (ja) I.h.(電磁発熱)を用いた電気暖房器。
KR101311744B1 (ko) 면상 발열형 인덕션 난방기
CN105371344A (zh) 复合发热体可调角度便携采暖机
KR20130077365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도자기
KR200452868Y1 (ko) 열풍 블로워
RU143280U1 (ru)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прибор для отопления юрт
CN204693576U (zh) 取暖装置
KR20170025688A (ko) 전기 온풍기
KR102064802B1 (ko) 효율적인 냉각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조리기
CN205245543U (zh) 多角度多段涡状发热体高效便携暖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