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714A -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714A
KR20160091714A KR1020150012179A KR20150012179A KR20160091714A KR 20160091714 A KR20160091714 A KR 20160091714A KR 1020150012179 A KR1020150012179 A KR 1020150012179A KR 20150012179 A KR20150012179 A KR 20150012179A KR 20160091714 A KR20160091714 A KR 20160091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injection port
beverage
container body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353B1 (ko
Inventor
송인환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5001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353B1/ko
Priority to PCT/KR2016/000616 priority patent/WO2016122157A1/ko
Publication of KR20160091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주입구가 형성된 용기본체의 바닥면에서 상기 주입구 둘레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하여, 음료가 바닥으로 주입될 경우에도 상기 리브로 인해 음료 주입시 음료가 회전력을 지닐수 있게 되어 음료가 회오리 형상을 모사한 상태로 용기에 차오르게 되어 소비자에게 청량감과 시원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리브는 용기의 강성을 보완하는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상기 리브는 용기를 여러개 겹쳐서 보관하는 경우 용기끼리 서로 끼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도 할 수 있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 용기{BOTTLE FOR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주입구가 형성된 용기본체의 바닥면에서 상기 주입구 둘레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거품이 형성되는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로써, 일례로 가장 보편화되어 사용되는 맥주잔은 투명한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 제품으로 이루어지며, 한 번에 비교적 많은 양을 따라 마시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500cc, 1000cc의 맥주를 담아 마실 수 있는 맥주잔이 널리 사용된다.
상기 종래의 맥주잔은 하부 바닥이 차단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음료가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음료 공급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생맥주 등의 음료는 다른음료에 비하여 맥주를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따르게 됨에 따라 주입 압력에 의하여 맥주 거품이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 되는바, 맥주잔 등의 용기에 음료를 주입한 후 거품을 일일이 제거해주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생맥주 공급장치로 음료 용기에 생맥주를 공급할 때, 주로 상측에서 공급하므로 온도가 맞지 않는 경우 거품이 다량 발생하여 흘러 내려 의복을 젖게 하거나 위생상 좋지 않았으며, 너무 많은 거품으로 인해 생맥주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맥주잔은 맥주를 따를 때 맥주가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산화되면서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생맥주를 마시는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음료 용기의 저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생맥주를 공급하는 경우 생맥주 거품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는 있으나, 이 방법을 적용하려고 하여도 생맥주를 음료 용기 바닥 구멍으로 주입한 후, 구멍을 밀봉하는 방법이 적절하지 않아 채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음료 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382호(2013.03.07.)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이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1은 음료컵의 바닥 내외부로 관통 형성되고,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컵 내부에 음료를 공급하는 주입구와, 음료컵의 바닥 외면과 바닥내면에 각각 마련되고,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가 강제 주입된 후 주입구를 밀봉하도록 자력 부착되는 자력차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 기술1은 주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료 주입이 완료되면 자력을 통해 자력차단부가 주입구를 폐쇄시켜 음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1은 자력을 갖는 금속 재질의 자력차단부가 사용됨에 따라 음료가 자력차단부에 접촉하기 쉽고, 이러한 접촉은 음료컵을 장기간 사용할경우 녹이 스는 등 음료를 변질시킬 위험성을 매우 크게 내포하고 있는바 사람이 직접 음용하는 음료 용기로써 위생 관리 및 인체에 무해한 용기로써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종래 기술1을 따를 경우 상기 자력차단부가 음료에 직접 접촉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기술이 요구되는 바, 이러한 제작 방식은 음료 컵의 제작용이성 관점에서 불합리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상승함에 따라 저가의 소비재로써 음료 컵을 대중화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4-180438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는 주입구가 용기 측면에 형성되어 주입되는 액체의 흐름이 소용돌이 모양이 되도록 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은 주입구가 용기 측면에 형성되어 구조가 복잡하여 성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주입구가 용기 측면에 형성되어 음료 공급장치와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4338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4-180438호 한국특허출원 제2014-008588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맥주 등의 음료를 잔 등의 음료 용기에 주입할 때 거품 발생을 적당한 양으로 조절하여 주입할 수 있으며, 음료가 바닥으로 주입될 경우에도 음료 주입시 음료가 회전력을 지닐수 있게 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용기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는 용기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주입구 둘레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는 여러개 형성되며, 상기 리브는 나선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리브의 외측 끝단은 상기 측벽에 연결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용기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과 상기 측벽에서 상기 리브 둘레에는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용기본체에서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면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에서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면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 부분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더와 상기 락킹부재는 후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1,2부재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부재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부재 중 하나는 상기 홀더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기 탄성암이 접힐 때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부에 주입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에서 상기 주입구 둘레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하여, 음료가 바닥으로 주입될 경우에도 상기 리브로 인해 음료 주입시 음료가 회전력을 지닐수 있게 되어 음료가 회오리 형상을 모사한 상태로 용기에 차오르게 되어 소비자에게 청량감과 시원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리브는 용기의 강성을 보완하는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상기 리브는 용기를 여러개 겹쳐서 보관하는 경우 용기끼리 서로 끼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구는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리브는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성형하기에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주입구가 바닥면에 형성되어, 음료 공급장치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여러개 형성되며, 상기 리브는 나선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주입되는 음료가 더욱 효과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리브의 외측 끝단은 상기 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리브의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주입되는 음료가 상기 측벽을 타고 효과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용기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 구조가 더욱 단순화된다.
상기 리브는 상면이 외측으로 향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면이 외측으로 향할수록 높아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리브굴곡부를 포함하여 음료를 효과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리브의 끝단이 상기 측벽에 연결되더라도 연결부위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서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브가 형성된 면 또는 상기 리브의 둘레 면에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회전되는 음료가 운동방향을 상실하지 않도록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용기본체에서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면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에서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면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 부분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를 통해 상기 주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더와 상기 락킹부재는 후크를 통해 결합되어, 원터치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1,2부재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부재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부재 중 하나는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부재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탄성암의 탄성변형 및 복귀가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탄성암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경사지게 절곡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부분과, 상기 제3부분에 절곡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제4부분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4부분은 상기 제1부재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탄성암의 탄성변형 및 복귀가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기 탄성암이 접힐 때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암의 탄성변형 및 복귀가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주요부 분리 단면도.
도 5b는 도 5a 결합 단면도.
도 6은 도 5b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홀더와 패킹부재와 락킹부재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도.
도 9는 도 5b의 단면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에 끼워넣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를 주입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보관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는, 하부에 주입구(111)가 형성되는 용기본체(10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면에서 상기 주입구(111) 둘레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브(1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는 바닥면(110)과, 바닥면(110)을 둘러싸는 측벽(1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용기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20)은 바닥면(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측벽(121)과 바닥면(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측벽(122)을 포함한다.
제1측벽(121)은 상부로 향할수록 내경 및 외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제1측벽(121) 상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플랜지 하부에는 제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차부 하부에는 제2단차부가 형성된다. 제1측벽(121) 하부에는 제1잘록부(121a)가 형성된다. 제1잘록부(121a)는 굴곡지게 형성된다.
용기본체(100)에는 바닥면(110)과 제1측벽(121)에 의해 둘러싸이는 수용부(101)가 형성된다.
제2측벽(121)은 상부에 제2잘록부(122a)가 형성되고, 제2잘록부(122a) 하부에 제2잘록부(122a)보다 외경이 큰 확경부(122b)가 형성된다.
리브(130)는 바닥면(110)의 상면에 형성된다.
리브(130)는 주입구(111)로 주입되는 음료가 회전력을 지닐수 있도록 한다.
리브(130)는 주입구(111) 둘레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리브(130)는 용기본체(100) 내부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리브(130)는 측벽(120)과 주입구(111) 사이에 배치된다.
리브(130)는 여러개 형성되며, 나선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리브(130)의 외측 끝단은 제1측벽(121) 하부 내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리브(130)는 용기본체(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리브(1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110)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도 5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30)는 상면이 외측으로 향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부(131)와, 상기 경사부(131)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132)와, 상기 수평부(132)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면이 외측으로 향할수록 높아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리브굴곡부(133)를 포함한다.
리브굴곡부(133)는 제1측벽(121)에 연결된다.
용기본체(100)에서 리브(130)가 형성된 면 또는 상기 리브(130)의 둘레 면에는 굴곡부(115, 123)가 형성된다.
즉, 바닥면(110)과 제1측벽(121)에서 리브(130) 둘레에는 굴곡부(115, 123)가 형성된다.
바닥면(110)과 상기 제1측벽(121)에서 리브(130) 둘레에는 굴곡부(115, 123)는 동일 또는 유사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제1측벽(121)에서 리브(130) 둘레에 형성된 굴곡부(123) 상부에는 제1잘록부(121a)가 형성된다.
한편, 제2측벽(122)의 내측 상부에는 보강리브(12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강리브(124)는 바닥면(110)의 저면에 상부가 연결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는 용기본체(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111)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111)를 개폐하는 홀더(200)와, 상기 홀더(200)와 상기 용기본체(100)에서 상기 주입구(111)가 형성된 면인 바닥면(110)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200)는 주입구(111)를 덮는 원판형상의 덮개부(210)와, 덮개부(210) 하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측벽부(220)를 포함한다.
덮개부(210)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주입구(111)보다 단면적이 큰 원형으로 형성된다.
홀더측벽부(220)는 주입구(111)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주입구멍(221)이 형성된다. 주입구멍(221)은 주입구(111)가 열릴 때 수용부(101)에 연통된다.
패킹부재(300)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300)는 홀더(200)에 설치된다.
홀더측벽부(220)의 외주면에는 상부로 향할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결합돌기(22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결합돌기(222)는 덮개부(2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덮개부(210)와 결합돌기(222) 사이에는 패킹끼움홈이 형성된다. 상기 패킹끼움홈에 패킹부재(300)가 끼워져서 패킹부재(300)는 홀더(200)에 설치된다.
패킹부재(300)와 용기본체(100)에서 상기 주입구(111)가 형성된 면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301)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 부분에는 상기 돌출부(301)가 삽입되는 홈(11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301)가 패킹부재(300)의 하부에 형성되고, 홈(114)은 바닥면(110)에 형성된 융기부(113)에 형성된다. 돌출부(301)는 패킹부재(300)의 온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융기부(113)는 바닥면(110)에서 주입구(111) 둘레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홈(114)은 융기부(113)의 중간 부분이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융기부(113)의 내측단에는 주입구(111)를 둘러싸는 둘레부가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는 홀더(200)와 용기본체(100) 사이에 배치되어 주입구(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홀더(200)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락킹부재(400)는 제1부재(410)와, 제1부재(4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430)와, 제1부재(410)와 제2부재(430)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420)을 포함한다.
제1,2부재(410, 43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2부재(410, 430)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410)는 제2부재(43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2부재(410, 430) 중 하나는 홀더(2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410)보다 하부에 배치된 제2부재(430)가 홀더(200)에 결합된다.
홀더(200)와 락킹부재(400)는 후크를 통해 결합된다.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 하부에는 제1후크돌기(230)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후크돌기(230)는 4개가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부재(430)에는 내측에 제2후크돌기(43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후크돌기(431)는 제2부재(430)의 내주면을 따라 온둘레에 형성된다.
제2후크돌기(431)는 제1후크돌기(230)에 걸려서 홀더(200)와 락킹부재(400)는 서로 결합된다.
제1부재(410)는 바닥면(110)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세하게는, 제1부재(410)는 홈(112) 하부에 배치된다.
탄성암(420)은 여러개 형성되며, 여러개의 탄성암(420)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암(420)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부분(421)과, 제1부분(421)에 경사지게 절곡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부분(422)과, 제2부분(422)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부분(423)과, 제3부분(423)에 절곡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부분(424)을 포함한다.
제1부분(421)은 제2부재(430) 외측에 형성된다.
제2부분(422)과 제4부분(424)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4부분(424)은 제1부재(4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용기본체(100)에는 탄성암(420)이 접힐 때 수용되는 수용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수용홈(114)은 상기 둘레부와 홈(112) 사이에 배치되도록 바닥면(110)의 저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조립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용기본체(100)의 주입구(111)에 패킹부재(300)가 끼워진 홀더(200)를 상부에서 끼워넣고, 하부에서 락킹부재(400)를 밀어넣으면 제1후크돌기(230)와 제2후크돌기(431)가 서로 걸려서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아주 단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락킹부재(400)를 밀어넣을 때 제1부재(410)의 직경이 제2부재(430)의 직경보다 커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 위에 음료 용기를 올려 놓으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이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되어, 상기 노즐의 가압에 의하여 락킹부재(400)의 탄성암(420)은 탄성변형되어 접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홀더(200) 및 패킹부재(300)는 상승한다. 이로 인해, 주입구멍(221)은 수용부(101)에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을 통해 주입되는 음료가 바닥면(110)을 통해 수용부(101)로 주입된다.
이와 같이 음료가 주입될 때 주입구멍(221)을 빠져나온 음료는 리브(130)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오리 형상으로 회전되면서 차오르게 된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에게 청량감과 시원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료가 회전될 때 바닥면(110) 및 측벽(120)에 형성된 굴곡부(115, 123)를 통해 더욱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리브(130)는 음료 용기의 강도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하며 음료 용기를 여러개 겹쳐서 적층시켜서 보관할 경우 용기끼리 서로 끼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음료 주입이 끝나서 상기 노즐을 상기 홀더(200)로부터 이탈시키면 탄성암(420)은 원상태로 복귀되어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의 사이 거리는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부재(420)에 연결된 홀더(200)는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주입구(111)는 덮개부(210)로 막히게 된다. 또한, 홀더(200)가 하강됨에 따라 패킹부재(300)도 동시에 하강되어, 패킹부재(300)의 돌출부(301)는 홈(112)에 삽입되어,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된다. 따라서, 수용부(101)에 수용된 음료는 주입구(111)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용기본체 101 : 수용부
110 : 바닥면 111 : 주입구
120 : 측벽 130 : 리브
200 : 홀더 300 : 패킹부재
400 : 락킹부재

Claims (9)

  1. 주입구가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는 용기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주입구 둘레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여러개 형성되며, 상기 리브는 나선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음료 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외측 끝단은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음료 용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용기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음료 용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상기 측벽에서 상기 리브 둘레에는 굴곡부가 형성되는 음료 용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용기본체에서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면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에서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면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 부분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음료 용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더와 상기 락킹부재는 후크를 통해 결합되는 음료 용기.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1,2부재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부재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부재 중 하나는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음료 용기.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기 탄성암이 접힐 때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음료 용기.
KR1020150012179A 2015-01-26 2015-01-26 음료 용기 KR101667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179A KR101667353B1 (ko) 2015-01-26 2015-01-26 음료 용기
PCT/KR2016/000616 WO2016122157A1 (ko) 2015-01-26 2016-01-21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179A KR101667353B1 (ko) 2015-01-26 2015-01-26 음료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714A true KR20160091714A (ko) 2016-08-03
KR101667353B1 KR101667353B1 (ko) 2016-10-18

Family

ID=5654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179A KR101667353B1 (ko) 2015-01-26 2015-01-26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7353B1 (ko)
WO (1) WO20161221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591A1 (ko) * 2016-08-11 2018-02-15 엔피씨㈜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23900B (zh) * 2023-09-13 2023-11-17 山西明普科技有限公司 一种样品储存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47Y1 (ko) * 2001-11-13 2002-02-19 양순석 믹싱컵 및 믹싱디바이스
KR101243382B1 (ko) 2011-09-27 2013-03-21 문하규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4040277A (ja) * 2008-05-20 2014-03-06 Grinon Industries 流体移送アセンブリおよび流体移送方法
KR20140001983U (ko) * 2012-09-27 2014-04-04 김진원 맥주잔
KR20140085888A (ko) 2012-12-2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밸브용 캠
JP2014180438A (ja) 2013-03-19 2014-09-29 Yutaka Sangyo:Kk 飲料コップ本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261Y1 (ko) * 2001-09-13 2002-04-22 권오성 탄산음료용 기포발생 유리컵
JP2004149163A (ja) * 2002-10-31 2004-05-27 Yoshino Kogyosho Co Ltd 発泡性液体用合成樹脂製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47Y1 (ko) * 2001-11-13 2002-02-19 양순석 믹싱컵 및 믹싱디바이스
JP2014040277A (ja) * 2008-05-20 2014-03-06 Grinon Industries 流体移送アセンブリおよび流体移送方法
KR101243382B1 (ko) 2011-09-27 2013-03-21 문하규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01983U (ko) * 2012-09-27 2014-04-04 김진원 맥주잔
KR20140085888A (ko) 2012-12-2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밸브용 캠
JP2014180438A (ja) 2013-03-19 2014-09-29 Yutaka Sangyo:Kk 飲料コップ本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591A1 (ko) * 2016-08-11 2018-02-15 엔피씨㈜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353B1 (ko) 2016-10-18
WO2016122157A1 (ko)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252B1 (ko)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JP6360999B2 (ja) 底を通じて飲料の注入がなされる飲料容器
JP3890382B2 (ja) 液体容器
US6257463B1 (en) Aseptic closure for containers of liquids
US8439223B2 (en) Base cup for a supportable pressurizable container
US8973776B1 (en) Cup with nestable food container and cover
US3240405A (en) Dispensing closure
US8141732B2 (en) Bottle and cup/lid combination
US20090050599A1 (en) Supportable pressurizable container having a bottom for receiving a dip tube and base cup therefor
US20090050634A1 (en) Supportable pressurizable container and base cup therefor either with alignment tabs
KR102315384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AU2003252090A1 (en) Beverage closure with open/close spout
WO2009024940A1 (en) Supportable pressurizable container and base cup therefor
KR101667353B1 (ko) 음료 용기
US8919615B2 (en) Liquid dosing dispenser
KR101802358B1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JP2007535444A (ja) 注液キャップ
US20040169045A1 (en) Application and assembly suited for use as a disposable leak proof child drinking cup
KR20160133129A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KR20130060836A (ko) 음료수 용기에 꽂아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빨대기구
KR20160133127A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락킹부재
KR101656422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KR101014931B1 (ko) 음료수 용기
AU2013101237A4 (en) A spill proof beverage container
KR20230119831A (ko) 가스 발생 확인 및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