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166A -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166A
KR20160091166A KR1020150011477A KR20150011477A KR20160091166A KR 20160091166 A KR20160091166 A KR 20160091166A KR 1020150011477 A KR1020150011477 A KR 1020150011477A KR 20150011477 A KR20150011477 A KR 20150011477A KR 20160091166 A KR20160091166 A KR 20160091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xtract
weight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일연
김민아
김철민
유명희
김광옥
김혜경
Original Assignee
헤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헤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1166A/ko
Publication of KR2016009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1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성물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셀룰로오스 5 내지 15 중량%; 뽕잎 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1: 1로 혼합한 복합 분말 1 내지 10 중량%; 복합 오일 1 내지 5 중량%; 히아루론산 1 내지 30 중량%; 비타민류 1.5 내지 3.5 중량%; 복합 천연 추출물 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는 에탄올과 정제수의 혼합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천연 추출물로는 파파야 추출물, 천년초 추출물, 화이트윌로우껍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뽕잎 추출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natural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callus and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본 발명은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스에 뽕잎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혼합한 복합 분말, 복합 오일,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보습성분, 비타민류 및 복합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각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서 각질층은 피부의 최외각에 존재하는 10~20겹의 죽은 세포 및 세포 간지질,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sing factor:NMF)로 구성되어져 있는데, 이는 외부의 오염인자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수분손실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기저층에서 분화된 세포가 성숙되어 과립층까지 도달하는데 14일, 상기 과립층에 도달한 세포가 세포핵이 소실 및 탈락되어 각질 세포가 되어 각질층에 도달 및 탈락할 때까지 14일이 걸려, 피부 각질층의 턴오버(turn-over)주기는 4주 정도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묵은 각질층이 자연적으로 박리되고, 새로운 각질층이 형성된다. 하지만 노화 등의 내부적인 요인이나 자외선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이 턴오버 주기가 길어지고 불균형해져, 각질층이 오래되고 중층화되어 피부가 칙칙해지고 피부톤이 불균일해지며 피부가 각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두꺼워진 각질을 제거하고 칙칙함을 없애기 위해,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이 사용된다.
화학적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로는 글리콜산, 유산 등의 α-하이드록시산(alpha hydroxy acid, AHA) 또는 ß-하이드록시산(beta-hydroxy acid, BHA)을 포함하거나 살리실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있고, 상기 조성물은 각질 세포의 접착을 약하게 하거나 화학적으로 용해시킴으로써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 화학적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통상 pH 가 1.0~3.0으로 낮음에 따라 피부에 자극을 주어 피부가 붉어지는 등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리적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로는 유기분말이나 무기분말을 사용하거나, 수성 겔 형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각질 세포를 물리적으로 벗겨내도록 하는 것으로서, 유기분말이나 무기분말을 사용하는 경우 입자의 크기에 의존하지만, 마시지에 의해 물리적 자극이 강하고 모공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성 겔 형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물리적 필링은 피부 위에서 마시지를 함으로써, 겔 응집물이 형성되고, 물리적 자극도 비교적 적고, 여분의 각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피부의 상태에 따라, 겔 응집물이 형성될 때까지 사람에 따라 걸리는 시간이나 겔 응집물의 양이 다르기도 하기 때문에 충분한 각질 제거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셀룰로오스에 뽕잎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혼합한 복합 분말, 복합 오일,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보습성분, 비타민류 및 복합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각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도록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성물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셀룰로오스 5 내지 15 중량%; 뽕잎 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1: 1로 혼합한 복합 분말 1 내지 10 중량%; 복합 오일 1 내지 5 중량%; 히아루론산 1 내지 30 중량%; 비타민류 1.5 내지 3.5 중량%; 복합 천연 추출물 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는 에탄올과 정제수의 혼합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오일은, 제1 오일 성분으로 올리브오일, 아르간오일, 동백오일 및 달맞이꽃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 성분, 제2 오일 성분으로 모링가 오일, 제3 오일 성분으로 포도씨 오일, 제4 오일 성분으로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오일 및 코코넛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 및 제5 오일 성분으로 라벤더에센셜오일, 쟈스민에센셜오일, 로즈마리에센셜오일, 카모마일에센셜오일, 위치헤이즐에센셜오일 및 일랑일랑에센셜오일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허브에센셜 오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 천연 추출물은, 파파야 추출물, 천년초 추출물, 화이트윌로우껍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뽕잎 추출물을 1: 0.1~2: 0.1~2: 0.1~2: 0.1~2: 0.1~2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셀룰로오스에 뽕잎 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1:1로 혼합한 복합분말, 복합 오일 및 복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함에 따라, 용이하게 각질을 제거할 수 있어 피부의 턴 오버를 촉진함은 물론, 세포 재생 능력을 강화하고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복합 오일과, 파파야 추출물, 천년초 추출물, 화이트윌로우껍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뽕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추출물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셀룰로오스와 뽕잎 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혼합한 복합분말과 함께 포함함에 따라, 각질 제거의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자극을 최소화하고 항균 및 진정 효과를 나타내어 민감한 피부에도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보습성분 및 비타민류를 포함함에 따라 각질 제거 후에도 피부에 충분한 보습을 공급하여 보습막을 형성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함은 물론, 미백, 항산화 작용으로 인해 피부 개선의 효과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에 뽕잎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혼합한 복합 분말, 복합 오일,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보습성분, 비타민류 및 복합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각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성물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셀룰로오스 5 내지 15 중량%; 뽕잎 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1: 1로 혼합한 복합 분말 1 내지 10 중량%; 복합 오일 1 내지 5 중량%; 히아루론산 1 내지 30 중량%; 비타민류 1.5 내지 3.5 중량%; 복합 천연 추출물 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는 에탄올과 정제수의 혼합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오일은, 제1 오일 성분으로 올리브오일, 아르간오일, 동백오일 및 달맞이꽃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 성분, 제2 오일 성분으로 모링가 오일, 제3 오일 성분으로 포도씨 오일, 제4 오일 성분으로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오일 및 코코넛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 및 제5 오일 성분으로 라벤더에센셜오일, 쟈스민에센셜오일, 로즈마리에센셜오일, 카모마일에센셜오일, 위치헤이즐에센셜오일 및 일랑일랑에센셜오일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허브에센셜 오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 천연 추출물은, 파파야 추출물, 천년초 추출물, 화이트윌로우껍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뽕잎 추출물을 1: 0.1~2: 0.1~2: 0.1~2: 0.1~2: 0.1~2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셀룰로오스는 3000개 이상의 포도당 단위체로 이루어진 복잡한 탄수화물 또는 다당류, 식물 세포벽의 기본구조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노폐물 각질을 흡착하고 겔화를 촉진하여,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각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셀룰로오스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뽕잎 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1: 1로 혼합한 복합 분말을 포함하여, 피부에 보습을 공급하면서 각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뽕잎은 50여종의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칼슘, 칼륨, 철의 함량이 매우 높으며, 메티오닌(methionine) 등의 21종의 아미노산과 구와논(kuwanon) 등의 유기성분이 59종 이상 함유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뽕잎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의 함량을 녹차와 비교해 볼 때 칼슘은 6배, 철분은 2배, 칼륨은 1.4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기능성 성분인 루틴, 케르세틴, 케르시트린 및 이소-케르시트린과 같은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알칼로이드 성분인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1-데옥시노지리마이신(1-DNJ: 1-deoxynojirimycin)과 N-함유 당(N-containing sugar) 외 스테로이드, 아미노산, 비타민 외 다량의 무기질과 섬유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뽕잎은 중금속의 흡착과 해독효과, 노화억제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모링가는 과일이나 채소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비타민을 자체적으로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식물들에 비해 월등히 많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고, 특히, 모링가는 올레인산을 포함한 46가지 이상의 항산화성분들과 캐롯오일의 4배에 이르는 콜라겐을 함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뽕잎 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1: 1로 혼합한 복합 분말을 포함하여 각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피부 보습, 항산화 작용 및 비타민을 공급하여 피부재생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뽕잎 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1: 1로 혼합한 복합 분말은, 조성물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 오일을 포함하여 최소자극으로 각질이 제거되게 함은 물론,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고 영양 및 보습을 공급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합 오일은, 제1 오일 성분으로 올리브오일, 아르간오일, 동백오일 및 달맞이꽃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 성분, 제2 오일 성분으로 모링가 오일, 제3 오일 성분으로 포도씨 오일, 제4 오일 성분으로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오일 및 코코넛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 및 제5 오일 성분으로 라벤더에센셜오일, 쟈스민에센셜오일, 로즈마리에센셜오일, 카모마일에센셜오일, 위치헤이즐에센셜오일 및 일랑일랑에센셜오일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허브에센셜 오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 오일에 포함된 A, B1, C, D, E, K와 같은 비타민 성분과 철분을 포함하여 보습 및 영양을 피부에 공급하여 피부 노화 방지, 항산화 작용, 독소 배출 및 주름 방지 및 촉촉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2 오일 성분으로 모링가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다량의 영양소 및 올레인산을 포함한 46가지 이상의 항산화 성분들과 캐롯 오일의 4배에 이르는 콜라겐을 피부에 공급함으로써, 피부탄력 향상, 항노화 작용 및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히아루론산을 포함하여 각질제거 후 피부에 충분한 보습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상기 히아루론산은 본 발명의 조성물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알지닌, 베타인 및 트레할로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보습성분을, 상기 셀룰로오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30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습성분 외에도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라이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타민류를 본 발명 조성물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1.5 내지 3.5 중량%포함하여 피부의 항산화 작용, 미백 및 피부의 세포손상 방어 효과를 나타낸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타민류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유비퀴논을 1: 1: 0.1~1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는 비타민 C 활성을 나타내고 티이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합성을 저해함에 따라 미백 효과를 나타냄은 물론, 지질과 산화방어, 세포손상 방어 효과 및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켜 안티에이징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유비퀴논은 다른 항산화 물질 기능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복합 천연 추출물 0.1 내지 5 중량%을 포함하여, 최소한의 자극으로 각질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하고, 항균 및 진정 효과를 나타냄은 물론, 항산화 작용, 비타민 C를 비롯한 영양성분들을 공급하여 민감한 피부에도 사용가능함은 물론, 피부 개선의 효과를 나타낸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합 천연 추출물은, 파파야 추출물, 천년초 추출물, 화이트윌로우껍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뽕잎 추출물을 1: 0.1~2: 0.1~2: 0.1~2: 0.1~2: 0.1~2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파파야 추출물은,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카리카 파파야(Carica papaya) 식물의 잎, 꽃, 줄기, 가지, 뿌리, 열매 및 씨앗에서 추출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파야 추출물은 카리카 파파야 열매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카리카 파파야의 과실의 유액에서 결정으로 얻어지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파파인이 케라틴을 용해시킴에 따라, 하얗게 일어나는 각질인 인설을 자극 없이 부드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천년초 추출물은, 우리나라의 토종선인장으로 손바닥 선인장이라고도 불리우며, 항산화성 물질인 페놀 성분인 플라보노이드가 다른 식물군에 비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식이섬유, 비타민 C, 칼슘, 무기질 및 아미노산, 복합 다당류 등과 인체에 필요한 중요한 영양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노화방지, 항암, 면역력 강화, 유해물질 흡수 억제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또한, 화이트윌로우껍질 추출물은, 유럽, 중앙아시아 및 아프리카에 분포하는 잎의 뒷면이 흰색 톤을 띠는 서양흰버드나무로부터 추출한 것으로서, 살리실산(salicylic acid) 성분과 탄닌 성분이 함유되어 피부 각질을 연화하여 박리시키는 효과가 있어 부드럽게 자극없이 각질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피부 진정에 도움을 준다.
또한, 상기 병풀 추출물은 피부 재생, 세포손상 방어 효과, 미백 및 안티에이징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병풀추출물은, 한반도 남부 섬의 산이나 들에 흔히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원줄기는 옆으로 뻗고, 뿌리가 내리는 마디 근처에 2개의 퇴화된 비늘 모양의 잎을 가진다. 상기 병풀 추출물은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아시아트산(Asiatic-acid) 및 마데카스산(Madecassic-acid) 성분을 함유함에 따라, 각종 피부질환, 상처치료, 면역 능력강화, 활력 증대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피부 상처치유 과정에서 정상 피부와 유사한 콜라겐 합성을 도와 피부 재생, 흉터 치유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상기 병풀추출물은 유용성 비타민 C유도체 성분을 피부로 용이하게 전달하여 피부에세 비타민C로 변환됨에 따라, 티로시나이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여 미백 효과, 지질과 산화방어 효과, 세포손상 방어 효과 및 콜라겐 생합성 증가시켜 피부를 개선하고 안티에이징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상기 라벤더 추출물은, 상기 라벤더 추출물은 다년생 풀인 라벤더의 전초에서 추출한 것으로서, 피부진정 및 보습효과를 가짐 물론, 항염증, 항박테리아 및 향료로서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라벤더 추출물을 대신하여 캐모마일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캐모마일은 소염 및 진정 효과를 가짐에 따라 민감성 피부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뽕잎 추출물은, 50여종의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칼슘, 칼륨, 철의 함량이 매우 높으며, 메티오닌(methionine) 등의 21종의 아미노산과 구와논(kuwanon) 등의 유기성분이 59종 이상 함유함하고 있고, 특히, 항산화 작용을 하는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노화억제, 중금속의 흡착과 해독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상백피 추출물, 연꽃잎 추출물 및 쌀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추출물을, 상기 셀룰로오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5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백피 추출물은 뽕나무 또는 그 과에 속하는 동속식물의 근피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미백, 항균, 항염, 피부진정의 효과를 가진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백피 추출물은 자외선 UV-A, B영역인 280~400nm의 파장을 흡수하여 멜라닌생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가짐은 물론, 피부화농균인 황색포도상구균과 여드름을 발생시키는 피부상 제균에 효과를 나타내므로, 항균과 항염의 효과가 있다. 또한, 아미노산류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부보호와 피부 진정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셀룰로오스, 뽕잎 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1: 1로 혼합한 복합 분말, 복합 오일, 히아루론산, 비타민류 및 복합 천연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함량을 에탄올과 정제수의 혼합용액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천연성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pH가 5~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1-1: 정제수를 이용한 식물 추출물의 제조
파파야 열매를 세척하고 세절하여 준비한 다음, 정제수에 첨가하여 80℃에서 120분간 가열하고 거즈로 여과하여 파파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이트윌로우껍질 추출물, 병풀 추출물, 천년초 추출물, 뽕잎 추출물 및 라벤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2: 추출액 용매를 이용한 식물 추출물의 제조
증류수 2L에 어성초, 상백피, 감초, 인진쑥, 소엽을 혼합한 60g을 첨가하여 끓인 다음, 약한 불에서 1시간 달인 후, 체에 걸러내어 추출액 용매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추출액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1의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파야 추출물, 화이트윌로우껍질 추출물, 병풀 추출물, 천년초 추출물, 뽕잎 추출물 및 라벤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실시예 1-2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 제조
셀룰로오스 10 중량%, 뽕잎 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1: 1로 혼합한 복합 분말 5 중량%와, 올리브 오일, 모링가 오일, 포도씨 오일, 호호바오일, 라벤더에센셜오일, 로즈마리에센셜오일을 포함한 복합 오일 2 중량%, 히아루론산 및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보습성분 3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및 유비퀴논을 1: 1: 0.1로 포함하는 비타민류 1.5 중량%, 실시예 1-1에 의해 추출한 파파야 추출물, 천년초 추출물, 화이트윌로우껍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뽕잎 추출물을 동률로 혼합한 복합 천연 추출물 1중량% 및 나머지로는 용매로서 정제수와 에탄올을 24: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액을 첨가하여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시험예 1로 라벨링하였다.
<시험예 2> 실시예 1-2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 제조
셀룰로오스 10 중량%, 올리브 오일, 모링가 오일, 포도씨 오일, 호호바오일, 라벤더에센셜오일, 로즈마리에센셜오일을 포함한 복합 오일 2 중량%, 히아루론산 및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보습성분 3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및 유비퀴논을 1: 1: 0.1로 포함하는 비타민류 1.5 중량%, 실시예 1-1에 의해 추출한 천년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뽕잎 추출물을 동률로 혼합한 복합 천연 추출물 1중량% 및 나머지로는 용매로서 정제수와 에탄올을 24: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액을 첨가하여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시험예 2로 라벨링하였다.
<시험예 3> 실시예 1-2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 제조
화장료 조성물로서 포함하는 복합 천연 추출물이 상기 실시예 1-2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함량으로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시험예 3으로 라벨링하였다.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관능 평가
상기 각 시험예에 따라 제조된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시험예 1 내지 시험예 3)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20대에서 40대까지 각 연령대별로 5명씩 총 15명을 대상으로, 오른손 및 왼손 손등에 상기 시험예 1 내지 시험예 3을 각각 잘 바른 후, 각각 마사지하여 겔 응집력, 피부 자극성, 각질제거 정도, 피부 보습,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해 시험하였다. 각 평가항목당 최고 우수 상태 10점, 보통상태 5점 좋지 않은 상태 0점으로 평가하였으며, 하기 평가 점수는 상기 15명의 응답을 평균한 값이다.
상기 시험예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겔 응집력 각질제거 정도 피부 자극성 피부 보습력 전체적인 기호도
시험예 1 9 9 9 10 10
시험예 2 7 6 9 10 7
시험예 3 9 9 10 10 10
상기 표 1를 참고하면, 셀룰로오스, 뽕잎 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1: 1로 혼합한 복합 분말, 복합 오일, 히아루론산을 포함한 보습성분, 비타민류, 복합 천연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시험예 1 및 시험예3의 경우는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어성초, 상백피, 감초, 인진쑥, 소엽을 혼합한 추출액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물을 추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인 시험예 3의 경우, 보다 더 우수한 피부 보습력과 저자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뽕잎 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1: 1로 혼합한 복합 분말, 파파야 추출물 및 화이트윌로우껍질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시험예 2의 경우는 보습력 및 자극성면에서는 우수하였으나, 겔 응집력 및 각질 제거 정도가 저하되어 각질제거가 용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에 뽕잎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혼합한 복합 분말, 복합 오일,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보습성분, 비타민류 및 복합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각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5)

  1. 조성물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셀룰로오스 5 내지 15 중량%; 뽕잎 분말 및 모링가 분말을 1: 1로 혼합한 복합 분말 1 내지 10 중량%; 복합 오일 1 내지 5 중량%; 히아루론산 1 내지 30 중량%; 비타민류 1.5 내지 3.5 중량%; 복합 천연 추출물 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는 에탄올과 정제수의 혼합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오일은, 제1 오일 성분으로 올리브오일, 아르간오일, 동백오일 및 달맞이꽃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 성분, 제2 오일 성분으로 모링가 오일, 제3 오일 성분으로 포도씨 오일, 제4 오일 성분으로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오일 및 코코넛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 및 제5 오일 성분으로 라벤더에센셜오일, 쟈스민에센셜오일, 로즈마리에센셜오일, 카모마일에센셜오일, 위치헤이즐에센셜오일 및 일랑일랑에센셜오일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허브에센셜 오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 천연 추출물은, 파파야 추출물, 천년초 추출물, 화이트윌로우껍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뽕잎 추출물을 1: 0.1~2: 0.1~2: 0.1~2: 0.1~2: 0.1~2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백피 추출물, 연꽃잎 추출물 및 쌀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상기 셀룰로오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5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류은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및 유비퀴논을 1: 1: 0.1~1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지닌, 베타인 및 트레할로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보습성분을, 상기 셀룰로오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30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H가 5~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11477A 2015-01-23 2015-01-23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1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477A KR20160091166A (ko) 2015-01-23 2015-01-23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477A KR20160091166A (ko) 2015-01-23 2015-01-23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166A true KR20160091166A (ko) 2016-08-02

Family

ID=5670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477A KR20160091166A (ko) 2015-01-23 2015-01-23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116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9281A (zh) * 2017-11-18 2018-03-13 蚌埠市徽吉星农业科技农民专业合作社 一种桑叶美白精华液
CN108852937A (zh) * 2018-08-14 2018-11-23 中山大学新华学院 一种辣木祛斑美白面霜及其制备方法
KR101947062B1 (ko) * 2017-10-31 2019-02-12 (주)아미드팩토리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6253B1 (ko) * 2021-01-19 2021-04-05 김현숙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1872A (ko) * 2019-10-08 2021-04-1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255993B1 (ko) 2021-01-29 2021-05-25 청담씨디씨제이앤팜 유한책임회사 포도과피 추출물, 까마귀쪽나무열매 추출물 및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7088B1 (ko) * 2020-03-18 2021-07-14 주식회사 티에스트릴리온 동백 오일, 아르간 오일, 및 모링가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1551B1 (ko) * 2021-10-27 2022-05-25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안정성 및 용해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403229B1 (ko) * 2021-04-15 2022-05-30 철원내츄럴영농조합법인 모링가 추출물 및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062B1 (ko) * 2017-10-31 2019-02-12 (주)아미드팩토리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789281A (zh) * 2017-11-18 2018-03-13 蚌埠市徽吉星农业科技农民专业合作社 一种桑叶美白精华液
CN108852937A (zh) * 2018-08-14 2018-11-23 中山大学新华学院 一种辣木祛斑美白面霜及其制备方法
CN108852937B (zh) * 2018-08-14 2021-03-23 中山大学新华学院 一种辣木祛斑美白面霜及其制备方法
KR20210041872A (ko) * 2019-10-08 2021-04-1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277088B1 (ko) * 2020-03-18 2021-07-14 주식회사 티에스트릴리온 동백 오일, 아르간 오일, 및 모링가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36253B1 (ko) * 2021-01-19 2021-04-05 김현숙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5993B1 (ko) 2021-01-29 2021-05-25 청담씨디씨제이앤팜 유한책임회사 포도과피 추출물, 까마귀쪽나무열매 추출물 및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3229B1 (ko) * 2021-04-15 2022-05-30 철원내츄럴영농조합법인 모링가 추출물 및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01551B1 (ko) * 2021-10-27 2022-05-25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안정성 및 용해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1166A (ko)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KR101597636B1 (ko)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팩
US20080199489A1 (en) Skin treatment formulations and method
CN104814908A (zh) 一种具有抗皱嫩肤功效的面膜
KR20180078564A (ko)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CN108653013A (zh) 一种植物保湿水润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KR101798026B1 (ko) 혈액순환 및 아토피 진정 효능을 갖는 기능성 조성물
KR101728686B1 (ko) 베리과 열매를 섭취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44896B1 (ko) 천년초 분말과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87451A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9276475A (zh) 一种含白及多糖中药牙膏及其制备方法
KR102137951B1 (ko) 버섯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27601B1 (ko)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갖는 모링가잎 및 상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68796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1869542A (zh) 一种含有木瓜和荷叶提取物的爽肤水及其制备方法
KR102062230B1 (ko)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101558184B1 (ko) 적포도잎 추출물, 베리 혼합물 및 셀레늄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583595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894747B1 (ko) 공진단 성분 추출물과 연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3710A (ko) 모링가추출물, 감태추출물, 몰약, 유향, 황금추출물, nos(유황), 식용 은 분말이 함유된 무파라벤, 무화학계면활성제의 구강건강치약의 제조방법
KR20130052288A (ko) 연의 온천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197228B2 (ja) 多目的美容液
KR102410486B1 (ko) 피쉬 콜라겐 및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