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029A - 종단접속함 - Google Patents

종단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029A
KR20160091029A KR1020150011107A KR20150011107A KR20160091029A KR 20160091029 A KR20160091029 A KR 20160091029A KR 1020150011107 A KR1020150011107 A KR 1020150011107A KR 20150011107 A KR20150011107 A KR 20150011107A KR 20160091029 A KR20160091029 A KR 2016009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electric field
termination
power cable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1419B1 (ko
Inventor
오동윤
강채홍
김광수
고창모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4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애관, 상기 애관 내부로 삽입되는 전력케이블의 전계집중을 완화시키는 전계완화콘, 상기 애관 내부에 충진되는 제1 충진재 및 상기 애관 내부에서 상기 제1 충진재 상부에 충진되며 상기 제1 충진재와 상이한 제2 충진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단접속함 {Termination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도체를 이용하여 지중, 지상 또는 해저를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전력케이블은 상기 도체를 절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도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은 XLPE(Cross-linked Polyethylene; 가교 폴리에틸렌) 등을 원료로 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절연지 등을 감아 절연층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은 수백m 또는 수십km 간격으로 중간접속함(Joint box)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말단은 종단접속함(Termination connection box)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종단접속함은 케이블의 도출된 도체 단부가 연결되는 상태에 따라 공기중 종단접속함, 가스중(Gas) 종단접속함 및 유중(Oil) 종단접속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래 공기중 종단접속함은 전력케이블이 삽입되는 애관 내부를 유동성 있는 절연유로 충진하여 활용되었다. 그런데, 상기 절연유를 충진하는 종단접속함은 절연유의 충진을 위하여 유지보수가 필수적이며, 사고 발생 시에 상기 절연유에 의한 2차 사고가 우려되며, 나아가 상기 절연유의 유출에 따른 환경 오염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중 종단접속함은 내부의 유동성 있는 절연유 적용을 고려하여 경사진 지역 등을 피해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상기 애관 내부의 절연유를 생략한 소위 '드라이 타입(dry type)'의 종단접속함이 개발되었다.
상기 드라이 타입 종단접속함은 실리콘을 일체로 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내부의 에폭시 애관 표면에 실리콘을 직접 사출하여 형성되었다. 그런데, 상기 실리콘 일체형 종단접속함은 제품 설치 시 자립을 위해 별도의 지지구조를 필요로 하였으며, 나아가 대형화되는 경우에 상기 일체형 실리콘을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 실리콘 사출형은 대형화되는 경우에 상기 에폭시 애관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함에 있어서, 고장 등의 발생 시에 2차적인 피해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종단접속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종단접속함에서 오일이 누유되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종단접속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진 지역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는 종단접속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라이 타입의 종단접속함을 제공하는 경우에 그 시공이 용이하며, 유지보수가 편리한 종단접속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애관, 상기 애관 내부로 삽입되는 전력케이블의 전계집중을 완화시키는 전계완화콘, 상기 애관 내부에 충진되는 제1 충진재 및 상기 애관 내부에서 상기 제1 충진재 상부에 충진되며 상기 제1 충진재와 상이한 제2 충진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충진재는 상기 애관 내부로 충진되고 미리 결정된 시간 이후에 겔(gel)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충진재는 미네랄 오일과 액체 실리콘 고무(Liquid Silicon Rubb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충진재는 고분자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관 내부에 충진되는 상기 제1 충진재의 높이는 상기 애관 높이의 절반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종단접속함의 내부에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는 노출되어 상기 종단접속함의 상단부를 통해 노출되는 연장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애관 내부에 충진되는 상기 제1 충진재의 높이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의 단부의 높이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단접속함은 플러그인(plug-in)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애관은 코니컬(conicla)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단접속함의 내부에 유동성 있는 절연유를 충진하는 것이 아니라 고형의 충진재를 충진함으로써 고장 등의 발생 시에 2차적인 추차적인 피해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종단접속함에 따르면, 내부에 고형화된 충진재를 충진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내부에 충진된 절연유의 누유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단접속함은 내부의 충진재가 고형화됨으로써, 경사진 지역에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종단접속함은 종단접속함을 제조하는 공장 또는 현장에서도 상기 종단접속함의 내부로 충진재를 충진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공이 매우 용이하며, 내부가 고형화된 충진재로 이루어져 그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종단접속함은 그 전계가 상대적으로 강한 종단접속함의 하부는 절연성능이 우수하며 겔(gel) 상태로 고형화되는 충진재를 사용하며, 그 전계가 상대적으로 약한 종단접속함의 상부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고형화가 가능한 충진재를 사용함으로써, 애관 내부를 드라이 타입으로 유지하면서도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전력케이블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접속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먼저 전력케이블의 구조를 살펴보고, 이어서 상기 전력케이블에 연결되는 종단접속함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전력케이블(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케이블(100)은 중심부를 따라 도체(10)를 구비한다. 도체(10)는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며,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체(10)는 복수개의 소선(11)을 연선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도체(10)는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10) 표면과 후술하는 절연층(14)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체(10) 외부를 반도전성 카본지와 같은 반도전성 물질 등으로 감싸게 되며, 반도전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층을 내부반도전층(12)으로 정의하게 된다.
내부반도전층(12)은 도체면의 전하분포를 고르게 하여 전계를 균일하게 하여 후술하는 절연층(14)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나아가, 도체(10)와 절연층(14) 간의 간격형성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및 이온화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내부반도전층(12)은 전력케이블(100) 제작 시에 절연층(14)의 도체(10) 내부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내부반도전층(12)의 바깥쪽에는 절연층(14)이 구비된다. 절연층(14)은 도체(10)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준다. 일반적으로 절연층(14)은 파괴전압이 높고, 절연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유전손실이 적으며 내열성 등의 열에 대한 저항 성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절연층(14)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사용되며,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가교 수지일 수 있으며 가교제로서 실란 또는 유기 과산화물, 예를 들어, 다이큐밀퍼옥사이드(DCP)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절연층(14)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를 차폐하지 않으면, 전계의 일부는 절연층(14)으로 흡수되지만, 대부분의 전계는 외부로 방전된다. 이 경우, 전계가 소정치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전계에 의해 절연층(14)과 전력케이블(100)의 외피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층(14)의 바깥쪽에는 다시 반도전층이 구비되며, 전술한 내부반도전층(12)과 구별하기 위하여 외부반도전층(16)으로 정의된다. 결국, 외부반도전층(16)은 접지되어 전술한 내부반도전층(12) 과의 사이에 전기력선의 분포를 등전위로 만들어 절연층(14)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외부반도전층(16)은 케이블에 있어서 절연층(14)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반도전층(16)의 바깥쪽에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금속시스 또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진 차폐층(18)이 구비된다. 차폐층(18)은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를 위하여 구비된다.
전력케이블(100)의 외곽에는 외피(20)가 구비된다. 외피(20)는 케이블(100)의 외곽에 구비되어 케이블(10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외피(20)는 빛, 풍우, 습기, 공기 중의 기체 등 각종 기후를 비롯한 자연환경에 견딜 수 있는 내후성, 화학물질 등과 같은 약품 등에 견디는 내약품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성질을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PVC(Poly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 또는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를 재질로 하여 외피를 제작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접속함(3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에서는 종단접속함(3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하여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단접속함(300)은 애관(310)을 구비한다. 애관(31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100)이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관통된다.
애관(310)은 케이블을 절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애관(310)은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絶緣耐力)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을 따라 다수개의 주름 또는 돌기부(312)를 구비한다. 상기 주름 또는 돌기부에 의해 절연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표면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경우에 절연내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애관(310)은 절연내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적당한 수준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폴리머애관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100)의 내부반도전층(12)과 외부반도전층(16)은 그 사이에 등전위를 가지는 전기력선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여 절연체의 파괴를 방지하며, 나아가 전계가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내부반도전층(12)과 외부반도전층(16) 사이에서 전기력선의 등전위선은 가급적 고르게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100)은 애관(310)을 관통하며, 애관(310)의 단부를 통하여 케이블(100)의 도체(10)가 소정길이 돌출된다.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소위 '플러그-인(plug-in) 타입'으로 상기 종단접속함(30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에폭시 수지 등으로 형성된 걸림부(340)가 종단접속함(300)의 하부지지부(370)에 연결되고, 상기 전력케이블(100)에 형성된 걸림턱(350)이 상기 걸림부(340)에 걸리어 플러그 인 타입으로 상기 전력케이블(100)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애관(310)의 내부에서 도체(10)를 감싸는 구성요소들이 벗겨지고 애관(310)의 내부에서 도체(10)가 노출되며, 상기 종단접속함(300)의 상단부를 통해 노출되는 연장접속부(3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연장접속부(314)는 그 일단부가 상기 종단접속함(300)의 단부를 통해 소정 길이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그 타단부는 상기 종단접속함(300)의 내부에서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10)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도 2에서 상기 연장접속부(314)와 상기 도체(10)의 연결부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시각적으로 구분되지 않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A"로 도시된다.
한편, 상기 전력케이블(100)이 종단접속함(300)의 애관(310)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에 케이블(100)은 외부반도전층(16)이 제거되어 절연층(14)이 노출된 상태로 애관(310)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제거되지 않은 외부반도전층(16)이 소정길이만큼 애관(310) 내부로 삽입된다. 즉, 케이블(100)은 절연층(14)이 노출되어 애관(310)으로 삽입되며, 외부반도전층(16)이 소정길이 애관(310)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애관(310)의 내부에는 충진재(320, 330)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320, 330)는 상기 애관(310)의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100)과 애관(310) 내벽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충진재(320, 33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본다.
절연층(14)이 노출되도록 외부반도전층(16)의 일부가 제거된 케이블(100)이 삽입된 상태라면, 내부반도전층(12)과의 사이에서 전기력선이 방전되는 경우에 외부반도전층(16)의 단부에 전계가 집중될 수 있다. 이는 외부반도전층(16) 및 절연층(14)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애관(310)의 내부에는 케이블(100)의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전계완화콘(36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계완화콘(360)은 애관(310) 내부로 삽입된 케이블(100)의 외부반도전층(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케이블(100)의 절연층(14)이 노출된 상태로 케이블(100)이 애관(310)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에도 외부반도전층(16)은 소정길이만큼 애관(310) 내부로 삽입된다. 이 경우, 전계완화콘(360)은 애관(310) 내부로 삽입된 외부반도전층(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계완화콘(360)은 외부반도전층(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전계가 외부반도전층(16)의 단부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계완화콘(360)은 애관(310) 내부에서 미리 정해진 형상대로 완만하게 벌려지면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반도전층(12)과 전계완화콘(360) 사이에서 등전위선이 급격히 꺽이는 것을 방지하며, 등전위선은 내부반도전층(12)과 전계완화콘(360)의 사이를 따라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종단접속함(300)의 내부에는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충진재는 상기 애관(310) 내부에 충진되는 제1 충진재(320) 및 상기 애관(310) 내부에서 상기 제1 충진재(320) 상부에 충진되며 상기 제1 충진재(320)와 상이한 제2 충진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중 종단접속함은 그 내부에 유동하는 절연유를 충진하여 절연효과를 확보하였다. 하지만, 상기 절연유를 사용하는 종단접속함은 고장 시에 2차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상기 절연유의 누유 시에 환경 오염의 문제를 수반하였다. 또한, 상기 공기중 종단접속함은 경사진 지역 등에 설치하기 곤란한 설치 지역의 제한을 수반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단접속함의 내부에 고형화(固形化)가 가능한 충진재를 충진하여 소위 '드라이 타입'의 종단접속함을 구현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단접속함의 내부에 유동성이 있는 절연유를 충진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종단접속함의 내부에 붓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겔(gel) 상태로 변화하거나 또는 고형화가 가능한 충진재를 사용함으로써 2차 사고의 위험 및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종단접속함(300)의 애관(310)의 하부쪽에는 제1 충진재(320)를 충진하고, 상기 제1 충진재(320)의 상부, 또는 상기 애관(310)의 상부에는 제2 충진재(330)를 충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충진재(320)와 상기 제2 충진재(33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1 충진재(320)가 상기 제2 충진재(3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절연내력을 가지는 제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종단접속함(300)의 전계 분포를 살펴보면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외부반도전층(14)이 노출되는 상기 애관(310)의 하부쪽의 전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상기 애관(310)의 상부쪽이 상대적으로 전계분포가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애관(310)의 내부를 모두 고가의 제1 충진재(320)로 충진하기 보다는 애관(310)의 하부의 전계 분포가 높은 영역을 제1 충진재(320)로 충진하여 절연 효과를 담보하고, 상대적으로 전계 분포가 낮은 상기 애관(310)의 상부 영역은 보다 저렴한 제2 충진재(330)로 충진하여 상기 종단접속함(300)의 제작 시에 경제적인 이득을 확보하고자 한다.
한편, 상기 애관(310)의 하부에 충진되는 제1 충진재(320)는 전계 분포가 높은 영역에 충진되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절연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충진재(320)는 미네랄 오일과 액체 실리콘 고무(LSR : Liquid Silicon Rubber)를 적절할 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네랄 오일과 액체 실리콘 고무를 대략 50% : 50%의 비율로 혼합하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충진재(320)는 상기 애관(310) 내부로 충진되고 미리 결정된 시간 이후에 겔(gel)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충진재(320)는 상기 애관(310) 내부로 충진 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겔(gel) 상태로 변화하여 고형화가 된다. 따라서, 상기 애관(310) 내부를 드라이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충진재(330)는 고분자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펠릿(PE pellet : polyethylene pellet)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충진재(330)는 전술한 상기 제1 충진재(320)의 상부에 충진되어 고형화가 됨으로써 상기 애관(310) 내부를 드라이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충진재(330)는 상기 제1 충진재(320)의 상부에서 겔 상태의 상기 제1 충진재(320)의 유동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1 충진재(320)의 상부에서 경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애관(310)의 내부를 상이한 충진재로 충진하는 경우에는 상기 애관(310) 내부에 충진되는 상기 제1 충진재(320)의 높이는 상기 애관(310) 높이의 절반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애관(310)의 상부쪽에 비해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외부반도전층(14)이 노출되는 상기 애관(310)의 하부쪽의 전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즉, 전계 분포가 높은 상기 애관(310)의 하부, 상기 애관(310)의 높이의 절반 이하의 영역에는 상기 제1 충진재(320)를 충진하고, 상기 애관(310)의 높이의 절반 이상의 영역에서는 상기 제2 충진재(330)를 충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관(310) 내부에 충진되는 상기 제1 충진재(320)의 높이는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10)의 단부의 높이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10)는 상기 종단접속함(300)의 내부에서 연장접속부(314)와 연결부(A)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충진재(320)를 충진하는 경우에 상기 애관(310)의 높이의 절반 이상을 가늠하기 곤란한 경우에 상기 연결부(A)를 덮도록 상기 제1 충진재(320)를 충진할 수 있다. 상기 도체(10)의 연결부(A)는 전계분포가 상대적으로 높은 하부에서 비교적 멀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A)의 높이까지 상기 제1 충진재(320)를 충진하게 되면 충분히 절연효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애관(310)은 소위 '코니컬(conicla)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애관(310)은 하부에 비해 상부의 단면적이 좁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전계분포가 높은 상기 애관(310)의 하부는 비교적 넓은 단면적으로 제1 충진재의 양을 늘리어 절연효과를 담보하게 되며, 상대적으로 전계분포가 낮은 상기 애관(310)의 상부는 좁은 단면적과 함께 제2 충진재를 충진함으로써 경제적 효과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도체
12..내부반도전층
14..절연층
16..외부반도전층
20..금속시스
100... 전력케이블
300..종단접속함
310..애관
320, 330..충진재
360..전계완화콘

Claims (9)

  1. 애관;
    상기 애관 내부로 삽입되는 전력케이블의 전계집중을 완화시키는 전계완화콘;
    상기 애관 내부에 충진되는 제1 충진재; 및
    상기 애관 내부에서 상기 제1 충진재 상부에 충진되며 상기 제1 충진재와 상이한 제2 충진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진재는 상기 애관 내부로 충진되고 미리 결정된 시간 이후에 겔(gel)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진재는 미네랄 오일과 액체 실리콘 고무(Liquid Silicon Rub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진재는 상기 제2 충진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절연내력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진재는 고분자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관 내부에 충진되는 상기 제1 충진재의 높이는 상기 애관 높이의 절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접속함의 내부에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는 노출되어 상기 종단접속함의 상단부를 통해 노출되는 연장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애관 내부에 충진되는 상기 제1 충진재의 높이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의 단부의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접속함은 플러그인(plug-in)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관은 코니컬(conicla)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KR1020150011107A 2015-01-23 2015-01-23 종단접속함 KR102291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07A KR102291419B1 (ko) 2015-01-23 2015-01-23 종단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07A KR102291419B1 (ko) 2015-01-23 2015-01-23 종단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029A true KR20160091029A (ko) 2016-08-02
KR102291419B1 KR102291419B1 (ko) 2021-08-18

Family

ID=5670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107A KR102291419B1 (ko) 2015-01-23 2015-01-23 종단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676A (ko) 2018-10-31 2020-05-08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건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171A (ja) * 2001-04-09 2002-10-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力ケーブル終端部
JP2008092783A (ja) * 2006-09-04 2008-04-17 Exsym Corp 気中終端接続部用套管ユニット及び気中終端接続部
KR20100027138A (ko) * 2007-06-22 2010-03-10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폴리머 투관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종단 접속부
JP2012090461A (ja) * 2010-10-21 2012-05-10 Viscas Corp 電力ケーブル終端接続部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171A (ja) * 2001-04-09 2002-10-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力ケーブル終端部
JP2008092783A (ja) * 2006-09-04 2008-04-17 Exsym Corp 気中終端接続部用套管ユニット及び気中終端接続部
KR20100027138A (ko) * 2007-06-22 2010-03-10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폴리머 투관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종단 접속부
JP2012090461A (ja) * 2010-10-21 2012-05-10 Viscas Corp 電力ケーブル終端接続部の組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676A (ko) 2018-10-31 2020-05-08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건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419B1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06955B (zh) 高压直流电缆终端装置
EP2572421B1 (en)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 termination apparatus
KR102230585B1 (ko) 종단접속함
CN103038965B (zh) 高压直流电缆终端装置
JP2014520500A (ja) ケーブル端末装置、ケーブル端末装置を予め製造する方法、及び、ケーブル端末を得る方法
BRPI1105755A2 (pt) bucha de plugar e instalaÇço de alta tensço dotada de uma bucha tal como esta.
KR102238971B1 (ko) Dc용 케이블의 종단접속함
KR102386760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KR20160088780A (ko) 조인트슬리브 및 중간접속구조
RU2337447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для силового кабеля
KR20160091029A (ko) 종단접속함
KR102309365B1 (ko) 내전압 시험 장치
KR20140041983A (ko)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접속함
KR102143128B1 (ko) 피뢰기 삽입형 종단접속재
US3348180A (en) Electrical inductive apparatus having a multi-conductor bushing
US3860741A (en) Stress cone
BR112013030368B1 (pt) disposição de alta tensão para um sistema de energia de alta tensão
KR20180007689A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접속시스템
KR102589064B1 (ko)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함
KR20170105246A (ko) 케이블 접속함용 조인트 슬리브 및 조인트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
KR102505579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KR20150117355A (ko)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부
KR102291421B1 (ko) 종단접속함
KR20230168228A (ko)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함
KR102096111B1 (ko) Dc 케이블용 중간접속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