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780A - 조인트슬리브 및 중간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조인트슬리브 및 중간접속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8780A KR20160088780A KR1020150088806A KR20150088806A KR20160088780A KR 20160088780 A KR20160088780 A KR 20160088780A KR 1020150088806 A KR1020150088806 A KR 1020150088806A KR 20150088806 A KR20150088806 A KR 20150088806A KR 20160088780 A KR20160088780 A KR 201600887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distance
- pair
- power cable
- insulating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인트슬리브 및 중간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간접속구조는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압착하여 연결시키는 압착슬리브,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연결되어 상기 압착슬리브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접속슬리브 및 상기 접속슬리브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 절연층 및 외부반도전층에 연결된 탄성재질의 조인트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슬리브는 상기 접속슬리브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단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1 전극과, 상기 조인트슬리브의 내측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접하면서 감싸는 조인트슬리브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1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 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는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2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 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인트슬리브 및 중간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내부의 도체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전기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상기 전력케이블의 용량, 즉 상기 전력케이블을 통해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의 증대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런데, 상기 전력케이블의 용량, 즉 전력은 (전압 * 전류)에 비례하게 되는데, 상기 전압값을 올리려면 상기 전력케이블에 부가되는 각종 설비 등의 증설이 필요하게 되며, 안전설비 등의 증가에 따라 현저히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용량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력케이블을 따라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전력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의 단면적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상기 도체의 직경을 키우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기존에 상기 도체의 직경이 작은 전력케이블이 이미 깔려있는 경우에 인접한 지역에서는 용량이 더 큰 전력케이블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에 깔려있던 전력케이블을 포함하여 전부 용량이 큰 케이블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막대한 비용 투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역에서만 용량이 큰 케이블을 설치하고 이미 설치된 용량이 작은 케이블과 용량이 큰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는 조인트 구간(변환 구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인트 구간에서는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서로 직경이 상이한 전력케이블을 연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직경이 유사한 한 쌍의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는 소위 'PMJ (PreMolded Joint)' 타입의 경우 미리 준비된 슬리브(sleeve)의 양단부를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의 각각의 직경에 맞춰 확관한 다음, 상온에서 수축시켜 연결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PMJ 타입은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의 도체의 지름 차이가 2배 이상 차이가 나거나 또는 상기 슬리브를 확관하는 경우에 양 측의 확관율에 있어서 15 ~ 25%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 도체접속부에서 전계 분포가 매우 불안해지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상기와 같이 이종의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123906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은 절연유닛이 양측의 이종의 전력케이블을 연결시키도록 대략 두께가 일정한 형태로 경사져서 구비되는 구성을 개시한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에서 상기 절연 유닛은 상기 양측의 이종 전력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직경이 큰 전력케이블에서 직경이 작은 전력케이블을 향해 경사져서 구비되며, 그 외부표면도 마찬가지로 경사져서 구비된다. 따라서, 양 측의 확관율에 있어서 15 ~ 25%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 전계 분포가 불안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이 다른 케이블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PJ (Prefabricated joint) 방식이 존재한다. 하지만, 상기 PJ 방법은 그 비용이 현저히 높으며, 나아가 시공 시에 작업자에게 고난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그 품질이 좌우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보다 용이하고 간편한 방법에 의해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중간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서로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품질이 우수한 접속상태를 제공하는 중간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도체,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및 외부반도전층을 구비하며 서로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중간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압착하여 연결시키는 압착슬리브,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연결되어 상기 압착슬리브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접속슬리브 및 상기 접속슬리브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 절연층 및 외부반도전층에 연결된 탄성재질의 조인트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슬리브는 상기 접속슬리브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단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1 전극과, 상기 조인트슬리브의 내측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접하면서 감싸는 조인트슬리브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1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 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는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2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 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제1 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1)와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제1 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1 전력케이블의 단부의 반경에 대응하며,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는 상기 제2 전력케이블의 단부의 반경에 대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의 내경은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의 내벽은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를 향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극의 내벽의 각도(θ)는 0.1° 내지 7.5°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접속구조에서 상기 제1 전극의 표면과 상기 조인트슬리브 절연층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의 양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의 양단부의 라운드 형상의 반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중간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접속하는 도체접속부 및 상기 도체접속부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 외측을 감싸며 상온에서 수축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조인트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슬리브는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체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 1단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단부를 구비하는 제1전극과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접하면서 감싸는 조인트슬리브 절연층과,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1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는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2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1)와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2)는 서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의 내경은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극의 내벽의 각도(θ)는 0.1° 내지 7.5°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의 표면과 상기 조인트슬리브 절연층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전극의 양단부의 라운드 형상의 반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력케이블 도체와 상기 제2 전력케이블의 도체 지름 차이가 2배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전력케이블과 상기 제2 전력케이블에 상기 조인트슬리브의 확관율 차이가 15~25%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전력케이블 도체접속부 외측을 감쌀 수 있는 중공형의 상온 수축형 조인트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슬리브는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 1단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체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접하면서 감싸는 슬리브 절연층 및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1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는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2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슬리브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1)와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2)는 서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의 내경은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극의 내벽의 각도(θ)는 0.1° 내지 7.5°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의 표면과 상기 조인트슬리브 절연층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전극의 양단부의 라운드 형상의 반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중간접속구조에 따르면, 서로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보다 용이하고 간편한 방법에 의해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중간접속구조에 따르면, 서로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고품질의 중간접속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XLPE로 구성된 절연층을 구비한 전력케이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접속함의 중간접속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중간접속함에서 압착슬리브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접속슬리브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제1 전극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상기 제1 전극의 내벽의 경사각도를 계산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접속함의 중간접속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중간접속함에서 압착슬리브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접속슬리브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제1 전극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상기 제1 전극의 내벽의 경사각도를 계산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먼저 전력케이블의 구조를 살펴보고, 이어서 상기 전력케이블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중간접속함(PMJ:PreMolded Joint)의 중간접속구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XLPE로 구성된 절연층을 구비한 전력케이블(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케이블(100)은 중심부를 따라 도체(10)를 구비한다. 도체(10)는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며,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체(10)는 복수개의 소선(11)을 연선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도체(10)는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10) 표면과 후술하는 절연층(14)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체(10) 외부를 반도전성 카본지와 같은 반도전성 물질 등으로 감싸게 되며, 반도전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층을 내부반도전층(12)으로 정의하게 된다.
내부반도전층(12)은 도체면의 전하분포를 고르게 하여 전계를 균일하게 하여 후술하는 절연층(14)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나아가, 도체(10)와 절연층(14) 간의 간격형성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및 이온화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내부반도전층(12)은 전력케이블(100) 제작 시에 절연층(14)의 도체(10) 내부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내부반도전층(12)의 바깥쪽에는 절연층(14)이 구비된다. 절연층(14)은 도체(10)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준다. 일반적으로 절연층(14)은 파괴전압이 높고, 절연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유전손실이 적으며 내열성 등의 열에 대한 저항 성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절연층(14)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사용되며,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가교 수지일 수 있으며 가교제로서 실란 또는 유기 과산화물, 예를 들어, 다이큐밀퍼옥사이드(DCP)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절연층(14)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를 차폐하지 않으면, 전계의 일부는 절연층(14)으로 흡수되지만, 대부분의 전계는 외부로 방전된다. 이 경우, 전계가 소정치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전계에 의해 절연층(14)과 전력케이블(100)의 외피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층(14)의 바깥쪽에는 다시 반도전층이 구비되며, 전술한 내부반도전층(12)과 구별하기 위하여 외부반도전층(16)으로 정의된다. 결국, 외부반도전층(16)은 접지되어 전술한 내부반도전층(12) 과의 사이에 전기력선의 분포를 등전위로 만들어 절연층(14)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외부반도전층(16)은 케이블에 있어서 절연층(14)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반도전층(16)의 바깥쪽에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금속시스 또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진 차폐층(18)이 구비된다. 차폐층(18)은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를 위하여 구비된다.
전력케이블(100)의 외곽에는 외피(20)가 구비된다. 외피(20)는 케이블(100)의 외곽에 구비되어 케이블(10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외피(20)는 빛, 풍우, 습기, 공기 중의 기체 등 각종 기후를 비롯한 자연환경에 견딜 수 있는 내후성, 화학물질 등과 같은 약품 등에 견디는 내약품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성질을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PVC(Poly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 또는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를 재질로 하여 외피를 제작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중간접속함의 중간접속구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접속함(300)의 중간접속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중간접속함(300)의 중간접속구조는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10A, 10B)의 지름 차이가 2배 이상 차이가 나거나 또는 후술하는 조인트슬리브(360)의 양단부를 확관하여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의 양단부에 끼우는 경우에 양 측의 확관율에 있어서 15 ~ 25%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기존 PMJ 타입으로는 전계 분포가 매우 불안해지기 때문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접속함(300)의 중간접속구조는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의 도체(10A, 10B)를 연결시키는 도체접속부(312)와, 상기 도체접속부(312)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 외측을 감싸며 상온에서 수축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조인트슬리브(360)를 구비한다.
상기 도체접속부(312)는 상기 도체(10A, 10B)를 압착하여 연결시키는 압착슬리브(310)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의 절연층(14A, 14B)과 연결되어 상기 압착슬리브(310)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접속슬리브(320)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조인트슬리브(360)는 상기 접속슬리브(32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케이블(100A, 100B)의 도체(10A, 1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전력케이블(100A)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단부(330A)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전력케이블(100B)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단부(330B)를 구비하는 제1 전극(330), 상기 중간접속함(300)의 내측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전극(340)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의 절연층(14A, 14B)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극(330), 제2 전극(340)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의 절연층(14A, 14B)을 감싸는 조인트슬리브 절연층(350)을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중간접속함(300)은 상기 조인트슬리브(360)를 감싸는 소위 '코핀박스(coffin box)' 또는 '금속 케이싱(metal casing)'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00)을 구비한다. 이 때,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조인트슬리브(360) 사이의 공간에는 방수재(미도시) 등이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극(330)은 상기 제1 단부(330A)의 중심에서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1)와 상기 제2 단부(330B)의 중심에서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2)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단부(330A) 및 제2 단부(330B)에서 각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각 거리(L1, L2)와 상기 각 전력케이블(100A, 100B)의 절연층(14A, 14B)의 표면에서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 P2)는 서로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슬리브(360) 및 제1 전극(33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본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전력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의 단면적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상기 도체의 직경을 키우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기존에 상기 도체의 직경이 작은 전력케이블이 이미 깔려있는 경우에 인접한 지역에서는 용량이 더 큰 전력케이블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에 깔려있던 전력케이블을 포함하여 전부 용량이 큰 케이블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막대한 비용 투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역에서만 용량이 큰 케이블을 설치하고 이미 설치된 용량이 작은 케이블과 용량이 큰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는 조인트 구간(변환 구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인트 구간에서는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서로 직경이 상이한 전력케이블을 연결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중간접속함(300)에 의해 서로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을 서로 연결하는 순서 및 상기 중간접속함(300)의 중간접속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중간접속함(300)에서 압착슬리브(31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착슬리브(310)는 양단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자 하는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의 도체(10A, 10B)의 단부가 삽입된다.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도체(10A, 10B)의 단부는 상기 압착슬리브(310)의 내부에서 용접 등의 방식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압착슬리브(310)의 양단부의 결합공(314A, 314B)는 서로 직경이 상이한 양측의 도체(10A, 10B)의 단부가 삽입되므로, 상기 결합공(314A, 314B)의 직경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슬리브(310)의 양측의 결합공(314A, 314B)에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의 도체(10A, 10B)의 단부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압착슬리브(310)를 압착기 등에 의해 압착하여 상기 도체(10A, 10B)를 서로 견고히 연결하게 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의 도체(10A, 10B)가 상기 압착슬리브(31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체(10A, 10B)의 접속부의 표면이 매우 불규칙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압착슬리브(310)는 압착기에 의해 압착이 되므로 그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착슬리브(310)의 불규칙한 표면에 의해 전계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중간접속함(300)에 있어서 전계 취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착슬리브(310)의 바깥쪽에 도 4와 같이 접속슬리브(320)를 구비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서 접속슬리브(32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접속슬리브(320)는 상기 압착슬리브(310)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의 절연층(14A, 14B)과 연결된다.
즉, 상기 접속슬리브(320)는 제1 전력케이블(100A)의 절연층(14A)에서 제2 전력케이블(100B)의 절연층(14B)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접속슬리브(320)의 표면은 평평한 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슬리브(320)는 상기 압착슬리브(310)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양측의 마주보는 한 쌍의 절연층(14A, 14B)의 표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며 평평한 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전계 이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직경이 다른 한 쌍의 케이블(100A, 100B)을 연결하게 되므로 접속 슬리브(320)도 양쪽의 직경이 다른 구조로 구성되며, 외측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2 전력케이블(100B)에서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전력케이블(100A)을 향해 경사진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접속슬리브(320)는 그 내부에서 편조선(312) 등을 통해 상기 도체(10A, 1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접속슬리브(320)의 외측에는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14A, 14B) 및 외부반도전층에 연결된 탄성재질의 조인트슬리브(360)를 구비한다. 상기 조인트슬리브(360)는 중공형 형태를 가지며 상온 수축형 성질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인트슬리브(360)는 상기 접속슬리브(32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의 도체(10A, 1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전력케이블(100A)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단부(330A)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전력케이블(100B)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단부(330B)를 구비하는 제1 전극(330)과, 상기 조인트슬리브(360)의 내측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전극(340)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14A, 14B)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극(330), 제2 전극(340)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14A, 14B)과 접하면서 감싸는 조인트슬리브 절연층(3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330) 및 제2 전극(340)은 그 사이에서 전계가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330)은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전력케이블의 도체(10A, 1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위 고압전극(electrode)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전극(340)도 마찬가지로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며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16A, 16B)과 연결되어 소위 차폐전극(Deflector)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접속함(300) 내부에서 전계분포는 상기 제1 전극(330)과 상기 제2 전극(340) 사이를 따라 분포된다.
상기 조인트슬리브 절연층(350)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14A, 14B)과 접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접속함(300)에서 제1 전극(33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330)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전력케이블(100A)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단부(330A)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전력케이블(100B)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단부(330B)를 구비한다.
상기 중간접속함(300)의 중간접속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직경이 상이한 제1 전력케이블(100A) 및 제2 전력케이블(100B)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330)은 상기 제1 단부(330A)의 중심에서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1)와 상기 제2 단부(330B)의 중심에서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2)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단부(330A) 및 제2 단부(330B)에서 각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각 거리(L1, L2)와 상기 각 전력케이블(100A, 100B)의 절연층(14A, 14B)의 표면에서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 P2)는 서로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330)의 두께는 상기 제1 전극(330)의 표면과 후술하는 조인트슬리브 절연층(350) 사이의 거리가 전계를 완화시키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330)의 두께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용량, 직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어느 하나의 수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상기 제1 전극(330)의 표면과 후술하는 조인트슬리브 절연층(350)의 표면 사이의 거리(A1, A2)(도 2 참조)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거리가 짧은 쪽으로 전계가 집중되어 전계 취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전극(330)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부(330A)의 중심에서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1)와 상기 제2 단부(330B)의 중심에서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2)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외부 표면이 경사지지 않고 평평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전극(330)의 표면과 후술하는 조인트슬리브 절연층(350)의 표면 사이의 거리(A1, A2)(도 2 참조)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1 전극(330)과 조인트슬리브 절연층(350) 사이의 전계를 완화시키며 나아가 전계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330)의 관통홀(332)의 양단부의 내경을 살펴보면 상기 제1 단부(330A)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전력케이블(100A)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단부(330B)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전력케이블(100B)의 단부가 삽입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330)의 외경이 일정하게 되므로 상기 제1 단부(330A) 및 제2 단부(330B)에서 각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각 거리(L1, L2)와 상기 각 전력케이블(100A, 100B)의 절연층(14A, 14B)의 표면에서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 P2)는 서로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부(330A)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2 단부(330B)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되며, 상기 제1 단부(330A)에서 상기 제1 전력케이블(100A)의 절연층(14A)의 표면에서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는 상기 제2 단부(330B)에서 상기 제2 전력케이블(100B)의 절연층(14B)의 표면에서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단부(330A)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1 전력케이블(100A)의 단부의 반경에 대응할 것이며, 상기 제2 단부(330B)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는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전력케이블(100B)의 단부의 반경에 대응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단부(330A)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2 단부(330B)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1 전극(330)의 외경이 일정하므로 상기 제1 단부(330A)에서 상기 제1 전력케이블(100A)의 절연층(14A)의 표면에서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는 상기 제2 단부(330B)에서 상기 제2 전력케이블(100B)의 절연층(14B)의 표면에서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전극(330)의 내벽은 상기 제1 단부(330A)에서 상기 제2 단부(330B)를 향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32)의 내벽을 살펴보면 그 직경이 작은 제1 전력케이블(100A)의 단부에서 그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2 전력케이블(100B)의 단부를 향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330)의 관통홀(332)의 내경은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330)의 내벽에서 상기 제1 단부(330A)에서 상기 제2 단부(330B)를 향한 상기 내벽의 각도(θ)(도 7 참조)는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벽의 각도(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330)의 길이(B)와 상기 제1 단부(330A)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와 상기 제2 단부(330B)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의 차이(A)로 결정된다. 상기 내벽의 각도(θ)는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0.1° 내지 7.5°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케이블(100)이 132KV급인 경우 상기 제1 전극(330)의 길이(B)는 대략 200mm 내지 280mm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제1 전극(330)의 길이(B)와 상기 제1 단부(330A)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와 상기 제2 단부(330B)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의 차이(A)는 대략 1.0mm 내지 26.3mm의 범위를 가진다. 이 경우, 상기 내벽의 각도(θ)에서 최저각도(θmin)는 상기 제1 전극(330)의 길이(B)가 최대값인 280mm를 가지며 상기 차이(A)가 최소값인 1.0mm를 가지는 경우에 결정된다. 또한, 상기 내벽의 각도(θ)에서 최대각도(θmax)는 상기 제1 전극(330)의 길이(B)가 최소값인 200mm를 가지며 상기 차이(A)가 최대값인 26.3mm를 가지는 경우에 결정된다. 전술한 경우에 따라 계산된 상기 내벽의 각도(θ)는 대략 0.2° 내지 7.5°의 범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전력케이블(100)이 220KV급인 경우에 상기 제1 전극(330)의 길이(B)는 대략 240mm 내지 280mm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제1 전극(330)의 길이(B)와 상기 제1 단부(330A)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와 상기 제2 단부(330B)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의 차이(A)는 대략 0.50mm 내지 23.1mm의 범위를 가진다. 이 경우, 상기 내벽의 각도(θ)는 대략 0.1° 내지 5.5°의 범위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전력케이블(100)이 400KV급인 경우에 상기 제1 전극(330)의 길이(B)는 대략 240mm 내지 280mm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제1 전극(330)의 길이(B)와 상기 제1 단부(330A)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와 상기 제2 단부(330B)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의 차이(A)는 대략 1.95mm 내지 16.78mm의 범위를 가진다. 이 경우, 상기 내벽의 각도(θ)는 대략 0.4° 내지 4.0°의 범위를 갖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330) 및 제2 전극(340)은 그 사이에서 전계가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330) 및 제2 전극(340)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330)의 양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1 단부(330A)의 라운드의 반경(R1)과 제2 단부(330B)의 라운드의 반경(R2)이 서로 상이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전극(330)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의 용량, 도체(10A, 10B)의 직경 및/또는 절연층(14A, 14B)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므로, 양측의 전계를 모두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상기 중간접속함(300)의 외곽에 구비된 조인트슬리브 절연층(350)은 상기 중간접속함(300)의 외곽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접속함(300)의 절연성능을 담보하게 된다. 상기 조인트슬리브 절연층(350)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또는 액상 실리콘 고무(LSR : Liquid Silicon Rubber)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인트슬리브 절연층(350)의 바깥쪽에는 금속시스(미도시)를 복원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210...도체
12, 212...내부 반도전층
14, 214...절연층
16, 216...외부반도전층
300...중간 접속함
310...압착슬리브
320...접속슬리브
330...제1 전극
340...제2 전극
350...조인트슬리브 절연층
12, 212...내부 반도전층
14, 214...절연층
16, 216...외부반도전층
300...중간 접속함
310...압착슬리브
320...접속슬리브
330...제1 전극
340...제2 전극
350...조인트슬리브 절연층
Claims (23)
- 도체,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및 외부반도전층을 구비하며 서로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중간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압착하여 연결시키는 압착슬리브;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연결되어 상기 압착슬리브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접속슬리브; 및
상기 접속슬리브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 절연층 및 외부반도전층에 연결된 탄성재질의 조인트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슬리브는 상기 접속슬리브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단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1 전극;과, 상기 조인트슬리브의 내측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접하면서 감싸는 조인트슬리브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1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 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는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2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 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제1 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1)와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제1 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2)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1 전력케이블의 단부의 반경에 대응하며,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는 상기 제2 전력케이블의 단부의 반경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내경은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내벽은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를 향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내벽의 각도(θ)는 0.1° 내지 7.5°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표면과 상기 조인트슬리브 절연층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양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양단부의 라운드 형상의 반경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서로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중간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접속하는 도체접속부; 및
상기 도체접속부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 외측을 감싸며 상온에서 수축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조인트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슬리브는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체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 1단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단부를 구비하는 제1전극;과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접하면서 감싸는 조인트슬리브 절연층;과,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1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는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2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1)와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2)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내경은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내벽의 각도(θ)는 0.1° 내지 7.5°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표면과 상기 조인트슬리브 절연층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양단부의 라운드 형상의 반경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케이블 도체와 상기 제2 전력케이블의 도체 지름 차이가 2배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케이블과 상기 제2 전력케이블에 상기 조인트슬리브의 확관율 차이가 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한 쌍의 전력케이블 도체접속부 외측을 감쌀 수 있는 중공형의 상온 수축형 조인트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슬리브는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 1단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전력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체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접하면서 감싸는 슬리브 절연층; 및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L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1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1)는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2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표면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P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슬리브.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중심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1)와 상기 제2 단부의 중심에서 제1전극의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D2)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슬리브.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내경은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슬리브.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내벽의 각도(θ)는 0.1° 내지 7.5°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접속구조.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표면과 상기 조인트슬리브 절연층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슬리브.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양단부의 라운드 형상의 반경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슬리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5/006387 WO2016114460A1 (ko) | 2015-01-15 | 2015-06-23 | 조인트슬리브 및 중간접속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07403 | 2015-01-15 | ||
KR1020150007403 | 2015-01-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8780A true KR20160088780A (ko) | 2016-07-26 |
KR102457873B1 KR102457873B1 (ko) | 2022-10-25 |
Family
ID=5668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8806A KR102457873B1 (ko) | 2015-01-15 | 2015-06-23 | 조인트슬리브 및 중간접속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7873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90497A1 (ko) * | 2017-04-11 | 2018-10-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증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
WO2018221804A1 (ko) * | 2017-05-31 | 2018-12-06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시스템 |
US10749277B2 (en) | 2017-05-31 | 2020-08-18 | Ls Cable & System Ltd. | Intermediate connection system for ultra-high-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
EP3611737A4 (en) * | 2017-04-11 | 2020-12-02 | LS Cable & System Ltd. | JUNCTION BOX FOR ULTRA-HIGH VOLTAGE DC POWER SUPPLY CABLE, AND ULTRA-HIGH VOLTAGE DC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IT |
WO2023177069A1 (ko) * | 2022-03-15 | 2023-09-21 | 대한전선 주식회사 | 초고압 이경 케이블 접속을 위한 이경 pmj 및 이경 고무 유니트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78180A (ja) * | 2000-08-28 | 2002-03-15 |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 直流cvケーブル線路のプレハブ接続箱 |
JP3389531B2 (ja) * | 1999-06-03 | 2003-03-24 |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 電力ケーブルの接続方法 |
KR20040080131A (ko) * | 2003-03-11 | 2004-09-18 | 엘지전선 주식회사 | 이경 케이블 접속용 고무 슬리브 |
JP2010004590A (ja) * | 2008-06-18 | 2010-01-07 | Viscas Corp | 電力ケーブル接続部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473444B2 (ja) * | 2000-12-19 | 2010-06-02 |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 ケーブル接続部 |
KR20110123906A (ko) | 2010-05-10 | 2011-11-16 | 대한전선 주식회사 |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
JP5137524B2 (ja) * | 2007-10-18 | 2013-02-06 | 株式会社ビスキャス | 電力ケーブル接続部 |
-
2015
- 2015-06-23 KR KR1020150088806A patent/KR1024578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89531B2 (ja) * | 1999-06-03 | 2003-03-24 |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 電力ケーブルの接続方法 |
JP2002078180A (ja) * | 2000-08-28 | 2002-03-15 |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 直流cvケーブル線路のプレハブ接続箱 |
JP4473444B2 (ja) * | 2000-12-19 | 2010-06-02 |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 ケーブル接続部 |
KR20040080131A (ko) * | 2003-03-11 | 2004-09-18 | 엘지전선 주식회사 | 이경 케이블 접속용 고무 슬리브 |
JP5137524B2 (ja) * | 2007-10-18 | 2013-02-06 | 株式会社ビスキャス | 電力ケーブル接続部 |
JP2010004590A (ja) * | 2008-06-18 | 2010-01-07 | Viscas Corp | 電力ケーブル接続部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10123906A (ko) | 2010-05-10 | 2011-11-16 | 대한전선 주식회사 |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90497A1 (ko) * | 2017-04-11 | 2018-10-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증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
EP3611737A4 (en) * | 2017-04-11 | 2020-12-02 | LS Cable & System Ltd. | JUNCTION BOX FOR ULTRA-HIGH VOLTAGE DC POWER SUPPLY CABLE, AND ULTRA-HIGH VOLTAGE DC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IT |
WO2018221804A1 (ko) * | 2017-05-31 | 2018-12-06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시스템 |
US10749277B2 (en) | 2017-05-31 | 2020-08-18 | Ls Cable & System Ltd. | Intermediate connection system for ultra-high-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
WO2023177069A1 (ko) * | 2022-03-15 | 2023-09-21 | 대한전선 주식회사 | 초고압 이경 케이블 접속을 위한 이경 pmj 및 이경 고무 유니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7873B1 (ko) | 2022-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04195B2 (en) | Cover assemblies, kits and methods for covering electrical cables and connections | |
KR20160088780A (ko) | 조인트슬리브 및 중간접속구조 | |
JP2000516020A (ja) | 電気的接続装置 | |
TWI731316B (zh) | 用於連接不同導體的連接導體和電力電纜的連接結構 | |
US6787703B2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power cables | |
KR102238971B1 (ko) | Dc용 케이블의 종단접속함 | |
RU2337447C1 (ru) |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для силового кабеля | |
KR20210120368A (ko) |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중간접속함 | |
KR20180007689A (ko) |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접속시스템 | |
KR20140041983A (ko) |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접속함 | |
KR102378680B1 (ko) |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접속시스템 | |
EP3446385B1 (en) | Multiple stress control device for cable accessories and methods and systems including same | |
KR102625958B1 (ko) | 이경 도체 접합 케이블의 중간 접속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
US11881692B2 (en) |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of power cable | |
EP3930129A1 (en) |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of power cable | |
KR20170105246A (ko) | 케이블 접속함용 조인트 슬리브 및 조인트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 | |
KR102505579B1 (ko) |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 |
KR102096111B1 (ko) | Dc 케이블용 중간접속함 | |
KR102304368B1 (ko) | 접속함용 슬리브 삽입 장치 및 방법 | |
JP6453899B2 (ja) | ガス絶縁開閉装置のための電力ケーブル終端デバイス | |
KR102625957B1 (ko) | 이종 도체 접합을 위한 연결도체, 연결도체 제조방법 및 전력 케이블 중간접속장치 | |
KR200177486Y1 (ko) | 절연케이블 | |
KR20220077592A (ko) |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함 | |
JP3036643B2 (ja) | ケーブル接続部 | |
RU70415U1 (ru) |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для силового кабел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