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421B1 - 종단접속함 - Google Patents

종단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421B1
KR102291421B1 KR1020150011999A KR20150011999A KR102291421B1 KR 102291421 B1 KR102291421 B1 KR 102291421B1 KR 1020150011999 A KR1020150011999 A KR 1020150011999A KR 20150011999 A KR20150011999 A KR 20150011999A KR 102291421 B1 KR102291421 B1 KR 102291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power cable
cable
sleeve support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645A (ko
Inventor
오동윤
민병관
손시호
전종석
성경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42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력케이블이 삽입되는 애관, 상기 전력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반도전층의 단부에 구비되어 전계집중을 완화시키는 슬리브, 상기 전력케이블이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는 슬리브 지지부 및 상기 슬리브 지지부와 상기 전력케이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단접속함 {Termination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도체를 이용하여 지중, 지상 또는 해저를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전력케이블은 상기 도체를 절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도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은 XLPE(Cross-linked Polyethylene; 가교 폴리에틸렌) 등을 원료로 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은 수백m 또는 수십km 간격으로 중간접속함(Joint box)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말단은 종단접속함(Termination connection box)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종단접속함은 케이블의 도출된 도체 단부가 연결되는 상태에 따라 공기중 종단접속함, 가스중(Gas) 종단접속함 및 유중(Oil) 종단접속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종단접속함은 애관의 내부로 상기 전력케이블이 삽입되어 가공선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애관의 내부에서 전계집중을 완화하기 위하여 통상 전계집중을 완화하는 슬리브와 전계완화콘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종단접속함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애관의 내부에서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외부반도전층(16) 및 절연층(14)이 순차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의 외주에 보강테이프(2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슬리브(310)와 전계완화콘(300)은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그 내경이 확관되어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외부반도전층(16)의 단부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슬리브(310)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슬리브(310)가 지지되며, 나아가 상기 슬리브(310)를 지지하는 슬리브 지지부(400)를 구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단접속함에 연결되는 전력케이블(100)은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단접속함을 준비하는 경우에 상기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전력케이블(100)에 대응하여 다양한 내경을 가지는 슬리브 지지부를 모두 구비하는 것은 제조사에게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 지지부는 그 내경이 규격화되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측으로 상기 케이블을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전력케이블과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경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거리(d)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측으로 상기 전력케이블을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삽입과정이 용이하도록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경을 상기 전력케이블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케이블과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측벽 사이에는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측벽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외경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전력케이블이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측에서 어느 일측 방향으로 쏠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술한 상기 슬리브(310)가 상기 전력케이블(100)과 맞닿는 계면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리브(310)의 계면이 일정하지 않게 되면, 상기 종단접속함의 절연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함에 있어서, 슬리브를 지지하는 슬리브 지지부의 내측에 상기 전력케이블을 삽입한 경우에 상기 전력케이블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종단접속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리브 지지부에 의해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는 경우에 상기 슬리브 지지부에 의한 상기 슬리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종단접속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케이블이 삽입되는 애관, 상기 전력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반도전층의 단부에 구비되어 전계집중을 완화시키는 슬리브, 상기 전력케이블이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는 슬리브 지지부 및 상기 슬리브 지지부와 상기 전력케이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슬리브 지지부와 상기 전력케이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 지지부 내에서 상기 전력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단부와 상기 슬리브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경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외경 사이의 차이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전력케이블이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단부를 감싸는 덮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전력케이블에 확관되어 억지끼움 형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슬리브 지지부는 상기 애관의 하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슬리브의 하단부에서 상기 슬리브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는 슬리브 지지부의 내측에 케이블 고정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전력케이블을 삽입한 경우에 상기 전력케이블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슬리브와 상기 전력케이블 사이의 계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 지지부에 의해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는 경우에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의해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슬리브 지지부에 의한 상기 슬리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전력케이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접속함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4는 케이블 고정부의 사시도,
도 5는 종래 종단접속함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전력케이블(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케이블(100)은 중심부를 따라 도체(10)를 구비한다. 도체(10)는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며,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체(10)는 복수개의 소선(11)을 연선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도체(10)는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10) 표면과 후술하는 절연층(14)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체(10) 외부를 반도전성 카본지와 같은 반도전성 물질 등으로 감싸게 되며, 반도전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층을 내부반도전층(12)으로 정의하게 된다.
내부반도전층(12)은 도체면의 전하분포를 고르게 하여 전계를 균일하게 하여 후술하는 절연층(14)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나아가, 도체(10)와 절연층(14) 간의 간격형성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및 이온화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내부반도전층(12)은 전력케이블(100) 제작 시에 절연층(14)의 도체(10) 내부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내부반도전층(12)의 바깥쪽에는 절연층(14)이 구비된다. 절연층(14)은 도체(10)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준다. 일반적으로 절연층(14)은 파괴전압이 높고, 절연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유전손실이 적으며 내열성 등의 열에 대한 저항 성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절연층(14)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사용되며,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가교 수지일 수 있으며 가교제로서 실란 또는 유기 과산화물, 예를 들어, 다이큐밀퍼옥사이드(DCP)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절연층(14)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를 차폐하지 않으면, 전계의 일부는 절연층(14)으로 흡수되지만, 대부분의 전계는 외부로 방전된다. 이 경우, 전계가 소정치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전계에 의해 절연층(14)과 전력케이블(100)의 외피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층(14)의 바깥쪽에는 다시 반도전층이 구비되며, 전술한 내부반도전층(12)과 구별하기 위하여 외부반도전층(16)으로 정의된다. 결국, 외부반도전층(16)은 전술한 내부반도전층(12) 과의 사이에 전기력선의 분포를 등전위로 만들어 절연층(14)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외부반도전층(16)은 케이블에 있어서 절연층(14)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반도전층(16)의 바깥쪽에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금속시스 또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진 차폐층(18)이 구비된다. 차폐층(18)은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를 위하여 구비된다.
전력케이블(100)의 외곽에는 외피(20)가 구비된다. 외피(20)는 케이블(100)의 외곽에 구비되어 케이블(10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외피(20)는 빛, 풍우, 습기, 공기 중의 기체 등 각종 기후를 비롯한 자연환경에 견딜 수 있는 내후성, 화학물질 등과 같은 약품 등에 견디는 내약품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성질을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PVC(Poly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 또는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를 재질로 하여 외피를 제작하게 된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력케이블을 가공선과 연결하는 종단접속함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단접속함(1000)은 애관(110)을 구비한다.
상기 애관(11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100)이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관통된다. 애관(110)은 케이블을 절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애관(110)은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絶緣耐力)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을 따라 다수개의 주름 또는 돌기부(105)를 구비한다. 상기 주름 또는 돌기부에 의해 절연거리를 증가시켜 절연내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애관(110)은 절연내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적당한 수준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경질자기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한편, 케이블(100)의 내부반도전층(12)과 외부반도전층(16)은 그 사이에 등전위를 가지는 전기력선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여 절연체의 파괴를 방지하며, 나아가 전계가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내부반도전층(12)과 외부반도전층(16) 사이에서 전기력선의 등전위선은 가급적 고르게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100)은 애관(110)을 관통하며, 애관(110)의 단부를 통하여 케이블(100)의 도체(10)가 소정길이 돌출된다. 케이블(100)은 애관(110)의 내부에서 도체(10)를 감싸는 구성요소들이 벗겨지고 애관(110)의 단부에서 도체(10)만이 노출 및 돌출되어 가공선(미도시)과 연결된다. 즉, 케이블(100)이 종단접속함(1000)의 애관(110)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에 케이블(100)은 외부반도전층(16)이 제거되어 절연층(14)이 노출된 상태로 애관(110)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제거되지 않은 외부반도전층(16)이 소정길이만큼 애관(110) 내부로 삽입된다. 즉, 케이블(100)은 절연층(14)이 노출되어 애관(110)으로 삽입되며, 외부반도전층(16)이 소정길이 애관(110)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애관(110)의 내부에는 절연유(120)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절연유(120)는 애관(110) 내부에서 케이블(100)과 애관(110) 내벽 사이에서 유동하여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절연층(14)이 노출되도록 외부반도전층(16)의 일부가 제거된 케이블(100)이 삽입된 상태라면, 내부반도전층(12)과의 사이에서 전기력선이 방전되는 경우에 외부반도전층(16)의 단부에 전계가 집중될 수 있다. 이는 외부반도전층(16) 및 절연층(14)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애관(110)의 내부에는 케이블(100)의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슬리브(310)와 전계완화콘(3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310)와 전계완화콘(300)은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외부반도전층(16)의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외주를 따라 구비된다. 상기 슬리브(310)와 전계완화콘(300)은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의 단부에서 등전위선이 급격히 꺽이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의 단부에 집중될 수 있는 전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리브(310)는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310)를 상기 전력케이블(100)에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슬리브(310)의 내경을 소정 크기로 확관시키고 상기 슬리브(310)의 내측으로 상기 전력케이블(100)을 삽입하여 상기 슬리브(310)를 억지끼움하는 형식으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리브(310)를 억지끼움 형식으로 고정한다고 하여도, 상기 종단접속함(10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상기 슬리브(31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슬리브(310)가 지면을 향해 하방으로 밀려 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310)가 아래쪽으로 밀려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310)를 지지하는 슬리브 지지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는 상기 종단접속함(1000)의 하부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애관(110)의 하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의 단부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310)의 하단부와 소정 길이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310)의 하단부가 벌려지면서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의 상단부에 끼워져서 상기 슬리브(310)가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슬리브(310)의 외주를 따라 밴드(610)를 구비하고, 상기 밴드(610)를 감싸도록 테이프 등으로 테이핑(600)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단접속함(100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종단접속함(1000)에 연결되는 전력케이블(100)은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단접속함을 준비하는 경우에 상기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전력케이블(100)에 대응하여 다양한 내경을 가지는 슬리브 지지부를 모두 구비하는 것은 제조사에게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 지지부는 그 내경이 규격화되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측으로 상기 케이블을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전력케이블과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경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거리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측으로 상기 전력케이블을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삽입과정이 용이하도록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경을 상기 전력케이블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케이블과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측벽 사이에는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측벽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외경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전력케이블이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측에서 어느 일측 방향으로 쏠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술한 상기 슬리브(310)가 상기 전력케이블(100)과 맞닿는 계면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리브(310)의 계면이 일정하지 않게 되면, 상기 종단접속함의 절연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와 상기 전력케이블(1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케이블(100)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500)를 구비할 수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블 고정부(500)는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의 상단부에서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와 상기 전력케이블(1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 내에서 상기 전력케이블(100)이 일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도 4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5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고정부(500)는 상기 전력케이블(100)이 관통하는 개구부(530)를 구비한 몸체부(510)와 상기 몸체부(5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의 단부를 감싸는 덮개부(52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500)는 테프론,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하부가 개방된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는 통상 금속 등으로 제작되고 상기 슬리브(310)는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에 의해 상기 슬리브(310)를 지지하는 경우에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의 상단부가 상기 슬리브(310)에 접촉하여 상기 슬리브(310)에 파손 등의 손상을 입힐 수 있게 된다. 이경우, 상기 슬리브(310)에 의한 전계완화 효과를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500)의 일단부에 상기 슬리브 지지주(400)의 상단부를 감싸는 덮개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520)는 바깥쪽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522)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522)에 의해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하여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에 의한 상기 슬리브(3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고정부(500)는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의 상단부와 상기 슬리브(310)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고정부(500)의 상단부의 덮개부(520)가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의 상단부를 덮게 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500)의 하단부는 상기 슬리브(310)의 하단부보다 더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 고정부(500)는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와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외경 사이에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케이블 고정부(500)의 두께가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의 내경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외경의 차이에 정확히 대응하면 상기 케이블 고정부(500)를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와 상기 전력케이블(100) 사이로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삽입공정이 힘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외부반도전층(16)의 바깥쪽에 보강테이프(232)를 감싸게 되면, 상기 케이블 고정부(500)의 두께는 상기 보강테이프(232)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500)의 두께는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의 내경과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외경의 차이 이하의 두께를 가지도록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외부반도전층(16)의 외주에 구비된 보강테이프(232)의 외경과 상기 슬리브 지지부(400)의 내경의 차이 이하의 두께를 가지도록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도체
12..내부반도전층
14..절연층
16..외부반도전층
20..금속시스
100... 전력케이블
110..애관
300..전계완화콘
310...슬리브
1000..종단접속함

Claims (6)

  1. 전력케이블이 삽입되는 애관;
    상기 전력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반도전층의 단부에 구비되어 전계집중을 완화시키는 슬리브;
    상기 전력케이블이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는 슬리브 지지부; 및
    상기 슬리브 지지부와 상기 전력케이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슬리브 지지부와 상기 전력케이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 지지부 내에서 상기 전력케이블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단부와 상기 슬리브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내경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외경 사이의 차이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전력케이블이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상기 슬리브 지지부의 단부를 감싸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전력케이블에 확관되어 억지끼움 형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슬리브 지지부는 상기 애관의 하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슬리브의 하단부에서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접속함.
KR1020150011999A 2015-01-26 2015-01-26 종단접속함 KR102291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999A KR102291421B1 (ko) 2015-01-26 2015-01-26 종단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999A KR102291421B1 (ko) 2015-01-26 2015-01-26 종단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645A KR20160091645A (ko) 2016-08-03
KR102291421B1 true KR102291421B1 (ko) 2021-08-18

Family

ID=5670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999A KR102291421B1 (ko) 2015-01-26 2015-01-26 종단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4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1545A (ko) 2022-07-19 2024-01-26 한국전력공사 케이블용 접속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542A (ja) * 2003-12-12 2005-06-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ケーブル乾式終端部
JP2011083133A (ja) * 2009-10-08 2011-04-21 Viscas Corp 電力ケーブル終端接続部
JP2011166976A (ja) * 2010-02-12 2011-08-25 Viscas Corp 電気ケーブル終端接続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542A (ja) * 2003-12-12 2005-06-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ケーブル乾式終端部
JP2011083133A (ja) * 2009-10-08 2011-04-21 Viscas Corp 電力ケーブル終端接続部
JP2011166976A (ja) * 2010-02-12 2011-08-25 Viscas Corp 電気ケーブル終端接続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1545A (ko) 2022-07-19 2024-01-26 한국전력공사 케이블용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645A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5025B2 (en)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 termination apparatus
KR102230585B1 (ko) 종단접속함
US8754329B2 (en)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 termination apparatus
US10554034B2 (en) Cold shrinkable cable terminal, cold shrinkable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of terminating cable
KR102238971B1 (ko) Dc용 케이블의 종단접속함
US10439383B2 (en) Seal systems for oil-filled cable terminations and assemblie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KR102386760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US20170222422A1 (en) Power cable having end connecting portion
KR102457873B1 (ko) 조인트슬리브 및 중간접속구조
KR102386729B1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상기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US20160172837A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KR102291421B1 (ko) 종단접속함
KR20140041983A (ko) 초고압 케이블용 종단접속함
US20130081844A1 (en)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 Termination Apparatus
US9871363B1 (en) Seal systems for oil-filled cable terminations and assemblie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EP3032673B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KR102304368B1 (ko) 접속함용 슬리브 삽입 장치 및 방법
KR102309365B1 (ko) 내전압 시험 장치
JP6593052B2 (ja) 電力ケーブル用ポリマー接続部の取り付け構造
KR102291419B1 (ko) 종단접속함
US11909156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power cable and conductor lead-out rod, and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power cable and conductor lead-out rod
KR20150117355A (ko)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부
CN109802351B (zh) 全干式电缆终端和电缆组件及其制造、组装或改进方法
KR102589064B1 (ko)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함
KR102419396B1 (ko) 광전복합케이블의 중간접속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