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573A -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573A
KR20160090573A KR1020150010532A KR20150010532A KR20160090573A KR 20160090573 A KR20160090573 A KR 20160090573A KR 1020150010532 A KR1020150010532 A KR 1020150010532A KR 20150010532 A KR20150010532 A KR 20150010532A KR 20160090573 A KR20160090573 A KR 20160090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pared
mud
shampoo composition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2697B1 (ko
Inventor
정은경
Original Assignee
정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경 filed Critical 정은경
Priority to KR102015001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6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41Pteridophyta [ferns]
    • A61K8/9749Filicopsida or Pteridopsi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3Free of surfact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은 (1) 린덴, 네틀, 카모마일, 바질, 쇠뜨기 및 소루쟁이를 정제수에 투입하고 상온에 방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2) 감초, 로즈마리, 히비스커스, 바닐라, 라벤더 및 하수오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3) 상기 (1)단계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 알로에 워터 및 상기 (2)단계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와, (4) 상기 (3)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과 벤토나이트 클레이를 혼합하는 단계와, (5) 상기 (4)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SYNTHETIC SURFACTANTS FREE MUD SHAMPOO COMPOSITION}
본 발명은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소재인 허브(herb)를 사용하고 압력과 열을 가하지 않는 조건에서 제조되는 추출물과 벤토나이트 클레이(bentonite clay)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두피 및 모발을 세정하기 위한 샴푸에는 합성 계면활성제뿐만 아니라 방전, 코팅, 보습, 방부제 등 합성 기능성 첨가물들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인 피부자극을 유발하고 수질오염 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샴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친환경과 웰빙을 강조하여 인체에 유해한 합성 계면활성제를 전혀 첨가하지 않고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천연샴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천연샴푸는 합성향료와 인공색소를 포함하지 않고 각종 천연 첨가물들을 부가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천연 소재만을 활용하고 방부제가 첨가되지 않아 유통기한이 짧은 문제점이 있으며, 친환경 계면활성제로 알려져 있는 코코넛이나 팜, 사과에서 추출한 식물유래 계면활성제 역시 계면활성제로 만드는 합성의 단계에서 이미 본래의 식물성을 상실하기 때문에 종래 합성 계면활성제의 독성을 다소 감소시킨다는 점 외에 특별한 차별성을 갖지 못한다. 또한 이러한 식물유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샴푸들은 기존의 샴푸와 비교하여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결국 다양한 합성 계면활성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한편, 천연 소재와 머드를 활용한 샴푸 조성물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99163호(블랙 머드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8143(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등이 있다.
본 발명은 합성 계면 활성제뿐만 아니라 방부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고 천연소재인 허브(herb)를 이용하여 별도의 열 및 압력을 가하지 않고 추출한 추출물과 벤토나이트 클레이(bentonite clay)를 이용한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은 (1) 린덴, 네틀, 카모마일, 바질, 쇠뜨기 및 소루쟁이를 정제수에 투입하고 상온에 방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2) 감초,로즈마리, 히비스커스, 바닐라, 라벤더 및 하수오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3) 상기 (1)단계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 알로에 워터 및 상기 (2)단계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와, (4) 상기 (3)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과 벤토나이트 클레이를 혼합하는 단계와, (5) 상기 (4)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1)단계 및 (2)단계에서 사용되는 허브는 소루쟁이(yellow duck), 린덴(linden), 컴프리(comfrey), 히비스커스(hibiscus), 마시멜로우(marshmellow), 하수오, 라벤더(lavender), 바닐라(vanilla), 네틀(nettle), 카모마일(chamomile), 쇠뜨기(horsetail), 로즈마리(rosemary), 우엉(burdock), 생강(ginger), 바질(basil), 박하(peppermint), 석창포(calamus), 월계수(bay laurel), 귀리짚(oat straw), 감초(ricorice), 세이지(sage)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허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1)단계에서 린덴, 네틀, 카모마일, 바질, 쇠뜨기 및 소루쟁이를 혼합한 허브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린덴 : 네틀 : 카모마일 : 바질 : 쇠뜨기 : 소루쟁이 = 1 내지 2 : 2 내지 4 : 1 내지 2 : 1 내지 2 : 2 내지 3 : 1 내지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2)단계에서 감초, 로즈마리, 히비스커스, 바닐라, 라벤더 및 하수오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단계에서 감초 추출물 : 로즈마리 추출물 : 히비스커스 추출물 : 바닐라 추출물 : 라벤더 추출물 : 하수오 추출물 = 1 내지 2 : 2 내지 3 : 2 내지 3 : 1 내지 2 : 1 내지 2 : 2 내지 3 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한편, 린덴, 네틀, 카모마일, 바질, 쇠뜨기 및 소루쟁이를 혼합하여 정제수와 1: 25 내지 32의 중량비로 먼저 혼합하고 우린 후에 감초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바닐라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마지막에 혼합할 수 있으며, 린덴, 네틀, 카모마일, 바질, 쇠뜨기 및 소루쟁이를 정제수와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과 알로에 워터는 1 : 1 내지 2 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린덴, 네틀, 카모마일, 바질, 쇠뜨기 및 소루쟁이를 정제수와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과 알로에 워터를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마지막으로 첨가될 수 있는 감초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바닐라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 전체는 10 내지 13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허브 추출물과 혼합되는 벤토나이트 클레이(bentonite clay)는 물을 흡수하면 팽윤하고 전자를 띠는 특성이 있어 모발에 붙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과 중금속 등을 포함한 독소들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허브 추출물 들은 세정과 진정, 보습 효과가 탁월하여 손상된 모발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 계면활성제 없이도 모발 및 두피를 세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벤토나이트 클레이는 칼슘 클레이와 소듐 클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칼슘 클레이와 소듐 클레이는 1 : 4 내지 6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4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완성된 머드 샴푸 조성물은 차광된 장소에서 상온으로 약 4 ~7 일간 숙성의 과정을 거친 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제작 후에도 벤토나이트 클레이는 지속적인 팽창을 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점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제작에 사용된 허브들이 머드와 섞여서 안정적인 효과를 갖게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종래 합성 계면활성제 및 각종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는 샴푸는 지속적인 피부자극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었고, 천연샴푸는 합성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천연소재를 활용하고 있으나 완전히 천연이라 볼 수 없으며 방부제 등이 첨가되지 않아 보존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고, 두피 및 모발에 대한 세정력에 있어서 문제가 있었다. 이와 달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양질의 생리활성물질이 온전히 보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두피 및 모발에 대한 세정력/보습력 등이 탁월한 허브 추출물과 벤토나이트 클레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계면활성제 및 방부제외 같은 별도의 첨가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우수한 세정력 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천연소재가 가지는 본래의 항균력 등에 의해 상당한 기간 동안 제품의 보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머드 샴푸 조성물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머드 샴푸 조성물의 세균 테스트 결과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이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허브 추출물의 제조
머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허브 추출은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 즉, 정제수 또는 식물성 알콜 등을 용매로 사용하고 별도의 열 또는 압력을 전혀 가지 않고 추출하였으며, 두 가지 종류의 허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따라 제조된 허브추출물 1은 린덴, 네틀, 카모마일, 바질, 쇠뜨기 및 소루쟁이를 혼합하여 제조한 추출물이고, 표 2의 허브 추출물 2는 6가지 허브를 각각 추출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두 가지 허브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허브, 용매, 배합비, 추출기간 및 숙성기간 등은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실시예 2. 머드 샴푸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허브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머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본 발명에 의한 머드 샴푸 조성물의 제조고정은 도 1에 나타내었다.
① 수상(알로에 베라 주스)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허브 추출물 1을 혼합한 후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허브 추출물 2를 혼합하였다.
② 그 다음 소듐 벤토나이트와 칼슘 벤토나이트를 계량한 후 두 가지 클레이를 잘 섞어 주었다.
③ 상기 ①에서 제조한 혼합물과 ②에서 제조한 클레이를 혼합하고, 충분히 섞이도록 일정한 속도로 교반한 다음에 스윗 오렌지, 라벤더, 로즈제라늄, 클로브 버드 및 일랑일랑으로 이루어진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여 섞어줌으로써 머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머드 샴푸 조성물에 사용된 원료 및 배합비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실시예 3. 세균 테스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머드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시험조건으로 세균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1) 시험용 배지
세균실험에는 독일 Schuelke사가 제작한 'mikrocount combi'kit를 사용하였다. 스틱형으로 박테리아용 배지_TTC-agar와 이스트와 곰팡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배지_Rose-bengal-agar로 구성되어 있다.
(2) 시험조건
빛을 차단하고 섭씨 36도에서 48시간이 경과한 후 상태를 확인하였다.
(3) 시험횟수
7회(시험기간 2013.9 ~ 2014.11) 수행하였다.
(4) 관계 법령(식약처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3항)에 따를 때 화장품에 허용되는 호기성 세균과 진균의 수는 1000마리/㎖ 이하이다.
(5) 시험결과
상기와 같은 시험조건에서 총 7회 실시한 세균 테스트 결과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험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화학적 성분의 방부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종래 허브 추출방법과 다른 방법에 해당하는 열 또는 압력을 전혀 가하지 않는 조건으로 추출한 허브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머드 샴푸 조성물이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세정력 테스트
총 10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머드 샴푸조성물의 세정력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참여자 성비는 여성 8명, 남성 2명이며 머드 샴푸 조성물을 3회 사용 후 만족도 평가를 하였다. 각 평가 항목별 만족도는 세정력_70%, 헹굼_90%, 컨디셔닝_60%, 두피 개운함_80% 으로 나타났다.
Figure pat00004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1. (1) 린덴, 네틀, 카모마일, 바질, 쇠뜨기 및 소루쟁이를 정제수에 투입하고 상온에 방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2) 감초, 로즈마리, 히비스커스, 바닐라, 라벤더 및 하수오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3) 상기 (1)단계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 알로에 워터 및 상기 (2)단계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와,
    (4) 상기 (3)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과 벤토나이트 클레이(bentonite clay)를 혼합하는 단계와,
    (5) 상기 (4)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린덴, 네틀, 카모마일, 바질, 쇠뜨기 및 소루쟁이는 1내지 2 : 2 내지 4 : 1 내지 2 : 1 내지 2 : 2 내지 3 : 1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1)단계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과 알로에 워터는 1 : 1내지 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감초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바닐라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은 1 내지 2 : 2 내지 3 : 2 내지 3 : 1 내지 2 : 1 내지 2 : 2 내지 3 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2)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추출물은 10 내지 13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에서 벤토나이트 클레이는 칼슘 클레이 및 소듐 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 클레이 및 소듐 클레이는 1 : 4 내지 6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8.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KR1020150010532A 2015-01-22 2015-01-22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KR101832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532A KR101832697B1 (ko) 2015-01-22 2015-01-22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532A KR101832697B1 (ko) 2015-01-22 2015-01-22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573A true KR20160090573A (ko) 2016-08-01
KR101832697B1 KR101832697B1 (ko) 2018-04-13

Family

ID=5670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532A KR101832697B1 (ko) 2015-01-22 2015-01-22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6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616A1 (en) * 2020-11-04 2022-05-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rfactant fre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9570A (ko) 2022-07-13 2024-01-23 재단법인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유지재단 머드를 이용한 고체타입 샴푸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5933A (ja) * 2001-01-05 2002-07-23 Ichimaru Pharcos Co Ltd ラン科植物抽出物含有化粧料組成物
JP2004155701A (ja) * 2002-11-06 2004-06-03 Hidekazu Itaka 濃縮深層水を用いた化粧品
KR101478945B1 (ko) * 2014-01-08 2015-01-02 유한회사 비엔트리니티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616A1 (en) * 2020-11-04 2022-05-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rfactant fre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697B1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37906A (zh) 一种植物精粹修护面膜精华液
CN105062731A (zh) 一种发酵乳木果油氨基酸透明皂
CN104814895A (zh) 一种天然洗发水的配方及其制备工艺
KR20220144197A (ko)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20142570A1 (en) Herbal cleans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832697B1 (ko)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머드 샴푸 조성물
KR101797727B1 (ko) 마일드한 여성청결제 조성물
CN106366207A (zh) 一种葫芦巴水溶性多糖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09512764A (zh) 天然植物发酵精纯露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023153398A (ja) 皮膚外用剤
KR101479499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Ervina et al. Formu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ody scrub using marine alga Halimeda macroloba, chitosan and konjac flour
KR101033307B1 (ko) 생약추출액이 함유된 샴푸조성물
CN103710177B (zh) 一种去粉刺、去痘广藿香精油手工皂及其制作方法
KR101621611B1 (ko) 메이크업 리무브 거꾸로 클렌징 조성물
CN109498520A (zh) 去屑组合物、洗发水及其制备方法
Vogt et al. The effect of selected supercritical CO plant extract addition on user properties of shower gels
KR20100135576A (ko)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
KR102064599B1 (ko) 우방자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멘틸피씨에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0470A (ko) 고체 타입의 클렌저
CN105456067A (zh) 一种蚯蚓提取sod制备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07320408A (zh) 一种利用香蕉皮制备的漱口水及其制备方法
JP2020100570A (ja) 皮膚外用剤
KR20150089782A (ko) 연잎 추출물을 함유한 손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08153A (ko) 피부진정 허브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클렌징용 천연비누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