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698A - 고체풀 홀더 - Google Patents

고체풀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698A
KR20160089698A KR1020150009249A KR20150009249A KR20160089698A KR 20160089698 A KR20160089698 A KR 20160089698A KR 1020150009249 A KR1020150009249 A KR 1020150009249A KR 20150009249 A KR20150009249 A KR 20150009249A KR 20160089698 A KR20160089698 A KR 20160089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lower body
paper material
upper body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3709B1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1020150009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7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1/00Hand or desk devices of the office or personal type for applying liquid, other than ink, by contact to surfaces, e.g. for applying adhesive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풀을 결합하여 고체풀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고체풀 홀더로써 종이재의 단부면에 고체풀의 풀칠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종이재의 단부면만을 풀칠할 수 있도록 하는 고체풀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하단이 개방된 절두 원추형의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고체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가 구비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삽입부와 대응되는 고정부가 구비된 하부몸체와, 상기 삽입부와 고정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재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고체풀을 편리하게 거치시켜 보관할 수 있는 고체풀 홀더로써 종이재의 단부 부위에 풀칠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체풀 홀더에 고체풀이 결합 된 상태에서도 종이재의 단부 부위를 효율적으로 풀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복잡한 기계적 구성 없이도 고체풀을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는 고체풀 홀더 본연의 기능은 물론이고, 고체풀을 이용하여 풀칠을 이루고자 하는 종이재의 부위에 따라 고체풀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고체풀의 풀칠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셋째, 복잡한 기계적 구성 없이도 상부몸체의 삽입부에 고체풀을 결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체풀의 불필요한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른 사용상의 편리함을 확보하여 유지비용, 제조비용의 절감은 물론이고, 제조비용의 절감 등에 따른 대량생산을 이룰 수 있어 전체적인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종이재의 단부 부위에 풀칠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부몸체의 하단으로 종이재가 밀착되도록 하는 간단한 결합을 통하여 종이재의 단부 부위에만 고체풀의 접착성분을 칠할 수 있어 고체풀을 이용한 종이재의 접착을 이루기 위하여 받쳐지는 책상, 바닥, 벽면 등이 손상되거나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체풀 홀더{GLUE STICK HOLDER}
본 발명은 고체풀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체풀 홀더로 사용하면서도 종이재의 단부를 접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이재의 단부 부위 이외에는 고체풀이 묻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체풀 홀더에 관한 것이다.
고체풀이란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접착성분을 유화시켜 생성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체풀은 성분 및 제조법에 따른 유화정도에 따라 액체상태 또는 고체상태의 고체풀로 제조되어 제공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액체 상태의 고체풀이 제공되어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접착하고자 하는 부위만을 접착하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체상태를 이루는 고체풀이 제공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액체풀과 고체풀 등은 장기간 보관하며 사용을 이루기 위해 접착성분이 노출되는 부위에 뚜껑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서,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고체풀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을 제안하면서도 뚜껑의 기능을 향상시켜 액체풀 또는 고체풀의 사용을 편리하게 이루도록 개선된 고체풀통 뚜껑이 제안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뚜껑 등은 액체풀 또는 고체풀의 접착성분이 굳거나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에 한정되는 것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고자 하는 종이재를 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이재 이외의 바닥면 등에 접착성분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문헌(2), 문헌(3)에서와 같이, 액체풀 또는 고체풀을 종이재의 단부 부위에 풀칠하고자 하는 경우, 접착성분이 종이재의 단부 부위에만 칠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접착 장치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2), 문헌(3)과 같은 종래의 접착장치 등은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접착장치 본연의 기능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른 불필요한 제조비용과 유지비용 등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위와 같은 문헌(1), 문헌(2), 문헌(3)과 같은 종래의 고체풀 뚜껑과 접착 장치 등은 고체풀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에 국한된 것으로 고체풀을 편리하게 거치시켜 보관을 이룰 수 있는 고체풀 홀더로는 사용하기 어렵고, 고체풀 홀러도 사용하는 중에 고체풀을 이용하여 종이재의 단부 부위를 편리하게 칠하기는 더욱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299475(2002.12.16) (2)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087424(2004.10.14) (3)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690505(2007.02.2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체풀을 거치시켜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고체풀 홀더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고체풀의 접착성분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원활하게 방지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고체풀 홀더에 고체풀이 결합 된 상태에서도 종이재의 단부 부위를 효율적으로 풀칠할 수 있는 고체풀 홀더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기계적 구성 없이도 고체풀을 편리하게 삽입하여 보관함은 물론이고, 종이재의 단부 부위를 효율적으로 칠할 수 있는 고체풀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유지비용과 제조비용 등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고체풀 홀더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고체풀을 이용하여 종이재의 단부에 풀칠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고체풀 홀더의 하단에 종이재를 밀착시키는 간단한 방법만으로도 손쉽게 종이재의 단부에 풀칠을 이룰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확보할 수 있는 고체풀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단이 개방된 절두 원추형의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고체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가 구비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삽입부와 대응되는 고정부가 구비된 하부몸체와, 상기 삽입부와 고정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재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체풀이 삽입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고체풀의 일측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안착부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의 외측에는 스프링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에는 종이재가 밀착되어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밀착된 종이재가 일 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되게 일측에 단턱을 형성하는 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부에는 결합홈이 구비된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바퀴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에는 다수개의 밀착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고체풀을 편리하게 거치시켜 보관할 수 있는 고체풀 홀더로써 종이재의 단부 부위에 풀칠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체풀 홀더에 고체풀이 결합 된 상태에서도 종이재의 단부 부위를 효율적으로 풀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복잡한 기계적 구성 없이도 고체풀을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는 고체풀 홀더 본연의 기능은 물론이고, 고체풀을 이용하여 풀칠을 이루고자 하는 종이재의 부위에 따라 고체풀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고체풀의 풀칠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셋째, 복잡한 기계적 구성 없이도 상부몸체의 삽입부에 고체풀을 결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체풀의 불필요한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른 사용상의 편리함을 확보하여 유지비용, 제조비용의 절감은 물론이고, 제조비용의 절감 등에 따른 대량생산을 이룰 수 있어 전체적인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종이재의 단부 부위에 풀칠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부몸체의 하단으로 종이재가 밀착되도록 하는 간단한 결합을 통하여 종이재의 단부 부위에만 고체풀의 접착성분을 칠할 수 있어 고체풀을 이용한 종이재의 접착을 이루기 위하여 받쳐지는 책상, 바닥, 벽면 등이 손상되거나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고체풀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고체풀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고체풀 홀더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고체풀 홀더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풀 뚜겅의 본체 내측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고체풀 홀더의 저면을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풀 홀더의 상부몸체, 하부몸체, 연결부의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풀 홀더에 고체고체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고체풀 홀더에 고체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고체풀 홀더에 종이재가 삽입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단이 개방된 절두 원추형의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고체풀(1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110)가 구비된 상부몸체(100)와, 상기 상부몸체(110)의 하단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삽입부(110)와 대응되는 고정부(210)가 구비된 하부몸체(200)와, 상기 삽입부(110)와 고정부(2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재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20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단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몸체(110)의 하단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밀착부위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단에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의 결합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00) 및 하부몸체(200)는 상부몸체(100)의 상측으로 고체풀(10)을 삽입하여 보관하거나 상부몸체(100)를 사용자가 도 9에서와 같이, 파지하여 고체풀의 풀칠을 이루기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충격이나 환경에 손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 플라스틱재,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110)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몸체(11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절개면이 상부에 형성된 절두원추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개면에는 삽입부(11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10)는 도 1, 도 6,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고체풀(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공(111)과, 상기 삽입공(11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삽입부(110)를 이루는 삽입공(111)에 고체풀(10)의 일측이 삽입된 후 상기 안착부(112)를 따라 안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100)와 결합 된 하부몸체(200)의 방향으로 상기 삽입부(110)에 결합되는 고체풀(10)이 유동 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하부몸체(200)의 하단으로 종이재(20)가 밀착되는 경우에도 고체풀(10)을 통하여 편리하게 풀칠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는 도시한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300)를 통하여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상기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에 결합 되는 연결부(30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상부몸체(100), 하부몸체(200), 연결부(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부(210)에는 상기 삽입공(111)에 삽입되는 고체풀(10)의 일측이 관통될 수 있도록 결합공(21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111)의 일측으로는 결합부(212)를 연장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도시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00)의 삽입공(111)을 따라 결합되는 고체풀(10)이 상기 안착부(112)를 따라 가이드 되며 유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안착부(112)를 관통한 고체풀(10)이 연결부(3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300)가 하부몸체(200)의 결합부(212)에 가이드되며 하부몸체(200)의 하단에 구비된 결합공(211)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상부몸체(100)의 삽입공(111)에 삽입된 고체풀(10)에 압력을 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30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체풀(10)이 상기 상부몸체(100)의 안착부(112)와 하부몸체(200)의 결합부(212)에 가이드되며 상,하 유동을 이룸으로써, 상기 하부몸체(200)의 하단에 밀착된 종이재(20)의 밀착부위에 고체풀(10)이 밀착되며 원활한 고체풀(10)의 풀칠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안착부(112)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310)와, 상기 제1연결부(31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211)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연결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320)의 외측에는 스프링(330)을 더 결합하여 구성한다.
이는, 도시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00)의 삽입공(111)에 고체풀(10)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고체풀(10)에 압력을 가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부(300)의 제2연결부(320)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스프링(33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의 연결 부위를 상,하 관통하며 유동되는 연결부(300)가 원활한 유동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연결부(300)가 유동을 이룬 후에는 원래의 자리로 돌아옴으로써, 상기 상부몸체(100)의 삽입부(110)에 결합 된 고체풀(10)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링(330)을 상기 연결부(300)의 제2연결부(320) 외측에 구비하여 상기 하부몸체(200)의 결합부(212) 일측에 밀착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를 상호 견고하게 결합하면서도 결합 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연결부(300)가 상,하 유동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스프링(300)의 재질과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에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결합하지 않아도 상기 연결부(300)를 통하여 상기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를 편리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결합,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기 상부몸체(100), 하부몸체(200), 연결부(300)의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지속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하부몸체(200)의 하단에는 종이재(20)가 밀착되어 안착 될 수 있게 형성되는 안착부(220)와, 상기 안착부(220)에 밀착된 종이재(20)가 일 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 될 수 있게 상기 안착부(220)의 일측에 단턱(231)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밀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도시한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200)의 하단에 종이재(20)를 밀착시켜 종이재(20)의 단부에 고체풀(10)의 풀칠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하부몸체(200)의 하단에 밀착되는 종이재(20)가 안착부(220)와 밀착된 상태에서 종이재(20)의 단부가 밀착부(230)의 단턱(231)과 밀착된 상태로 가이드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종이재(20)의 단부 부위만을 고체풀(10)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20)에는 결합홈(221a)이 구비된 관통공(221)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관통공(221)에는 상기 결합돌기(221a)에 회전 가능하게 바퀴(350)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위와 같은 구성은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00)의 삽입부(110)에 고체풀(10)을 결합하여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200)의 하단에 밀착된 종이재(20)의 단부 부위를 풀칠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하부몸체(200)의 하단에 밀착되는 종이재(20)의 단부 부위를 따라 하부몸체(20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하부몸체(200)의 하단에 구비된 바퀴(350)의 회전을 통하여 하부몸체(200)의 하단에 종이재(20)가 밀착된 상태를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하부몸체(200)의 이동 즉, 상기 고체풀(10)의 원활한 이동과 이에 따른 고체풀의 풀칠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200)의 하단에 밀착된 종이재(20)의 단부를 고체풀(10)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칠하기 위하여 상기 바퀴(350)의 구성에 따른 하부몸체(200)의 원활한 유동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밀착부(23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밀착돌기(232)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부몸체(200)의 하단에 종이재(20)가 밀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종이재(20)가 하부몸체(200)의 유동에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더욱 안정적인 고체풀(10)의 풀칠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고체고체풀 20: 종이재
100: 상부몸체 110: 삽입부
111: 삽입공 112: 안착부
200: 하부몸체 210: 고정부
211: 결합공 212: 결합부
220: 안착부 221: 관통공
221a: 결합홈 230: 밀착부
231: 단턱 300: 연결부
310: 제1연결부 320: 제2연결부
330: 스프링 350: 바퀴

Claims (6)

  1. 하단이 개방된 절두 원추형의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고체풀(1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110)가 구비된 상부몸체(100)와,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단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삽입부(110)와 대응되는 고정부(210)가 구비된 하부몸체(200)와,
    상기 삽입부(110)와 고정부(2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재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풀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0)는
    상기 고체풀(10)이 삽입되는 삽입공(111)과, 상기 삽입공(11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삽입공(111)에 삽입된 고체풀(10)의 일측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공(211)과, 상기 결합공(21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풀 홀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안착부(112)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310)와,
    상기 제1연결부(31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211)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연결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320)의 외측에는 스프링(330)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풀 홀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00)의 하단에는
    종이재(20)가 밀착되어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안착부(220)와,
    상기 안착부(220)에 밀착된 종이재(20)가 일 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되게 일측에 단턱(231)을 형성하는 밀착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풀 홀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20)에는 결합홈(221a)이 구비된 관통공(221)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221)에는 상기 결합홈(221a)에 회전 가능하게 바퀴(350)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풀 홀더.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230)에는 다수개의 밀착돌기(232)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풀 홀더.
KR1020150009249A 2015-01-20 2015-01-20 고체풀 홀더 KR101733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249A KR101733709B1 (ko) 2015-01-20 2015-01-20 고체풀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249A KR101733709B1 (ko) 2015-01-20 2015-01-20 고체풀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98A true KR20160089698A (ko) 2016-07-28
KR101733709B1 KR101733709B1 (ko) 2017-05-08

Family

ID=5668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249A KR101733709B1 (ko) 2015-01-20 2015-01-20 고체풀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7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475Y1 (ko) 2002-03-18 2003-01-06 심대용 풀통 뚜껑
KR20040087424A (ko) 2003-04-07 2004-10-14 정선영 풀칠하는 장치
KR100690505B1 (ko) 2005-04-07 2007-03-09 안영명 테두리 지지판을 구비하는 접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432Y1 (ko) 2003-08-11 2003-11-15 변상복 딱풀 뚜껑
KR200333445Y1 (ko) 2003-08-13 2003-11-15 이준직 문구용 접착풀통
KR200465731Y1 (ko) 2009-12-04 2013-03-25 남채은 노크식 딱풀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475Y1 (ko) 2002-03-18 2003-01-06 심대용 풀통 뚜껑
KR20040087424A (ko) 2003-04-07 2004-10-14 정선영 풀칠하는 장치
KR100690505B1 (ko) 2005-04-07 2007-03-09 안영명 테두리 지지판을 구비하는 접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709B1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8171B2 (en) Liquid holding vessel with separately attached handle
US8845223B2 (en) Sleeved leveling device with an anti-skid design
JP2007050242A (ja) パウダー吐出用化粧品ケース
WO2010128237A1 (fr) Dispositif de fixation pour fixer une pompe sur un col de reservoir
AU2006326852B2 (en) A liquid dispensing applicator with flexible valve member
KR20120005569U (ko) 물티슈용기 개폐커버
US20030031501A1 (en) Applicator
KR101733709B1 (ko) 고체풀 홀더
US20180361410A1 (en) Container with pump dispenser
JP5848799B2 (ja) 傾斜形パフを持つ化粧用のパウダー容器
US20230053468A1 (en) Cosmetic brush
KR101681686B1 (ko) 고체풀 뚜껑
WO2014157693A1 (ja) 注出ポンプ及びそれを備えたポンプ付き容器並びに注出ポンプで用いる容器本体及び容器本体の口部材
KR101945398B1 (ko) 고체 풀
US7806379B1 (en) Holder for liquid container
JP4982166B2 (ja) 飲料作製具
DE4325925C2 (de) Trinkbehälterdeckel
KR101899547B1 (ko) 접착용 딱풀
JP5221034B2 (ja) 液体容器
JP2009067415A (ja) 容器装置およびキャップ保持体
JP4948873B2 (ja) 化粧料塗布具
KR200304359Y1 (ko) 접착제 용기
EP3814019B1 (fr)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KR101366765B1 (ko) 접착제 용기
KR200153739Y1 (ko) 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