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178A - 내부 터미널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내부 터미널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178A
KR20160089178A KR1020150008805A KR20150008805A KR20160089178A KR 20160089178 A KR20160089178 A KR 20160089178A KR 1020150008805 A KR1020150008805 A KR 1020150008805A KR 20150008805 A KR20150008805 A KR 20150008805A KR 20160089178 A KR20160089178 A KR 20160089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torage device
side internal
metal case
energ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576B1 (ko
Inventor
이하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576B1/ko
Priority to PCT/KR2016/000182 priority patent/WO2016117863A1/ko
Priority to ES16740336T priority patent/ES2895135T3/es
Priority to EP16740336.9A priority patent/EP3249668B1/en
Priority to CN201680006147.9A priority patent/CN107112148B/zh
Priority to PL16740336T priority patent/PL3249668T3/pl
Priority to US15/544,313 priority patent/US10622165B2/en
Priority to JP2017537410A priority patent/JP6522765B2/ja
Publication of KR20160089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2Fixing or assembling a capacitive element in a housing, e.g. mounting electrodes, current collectors or terminal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2Woun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08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15Solid electrolytic capacitors
    • H01G9/151Solid electrolytic capacitors with wound foil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해질 함침용 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터미널 몸체와 플랜지부로 구성되는 양극측 내부 터미널을 구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몸체의 상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어느 일면이 셀 조립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양극측 내부 터미널과 상기 셀 조립체가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 몸체 하면이 케이스의 하단부 안쪽면과 접촉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양극측 내부 터미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내부 터미널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IMPROVED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FOR INNER TERMINAL INSTA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케이스 내부에서 셀 조립체의 전극과 연결되는 내부 터미널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로 각광받고 있는 고 정전용량 저장 장치는 커패시터의 일종인 울트라 커패시터(Ultra Capacitor; UC),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 SC),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등을 말하며, 이는 전해콘덴서와 이차전지의 중간자적 특성을 지니는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높은 효율과 반영구적인 수명 특성으로 인해 이차전지와의 병용 및 대용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이다.
고 정전용량 저장 장치는, 유지보수(Maintenance)가 용이하지 않고 장기간의 사용 수명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대해서는 축전지 대체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고 정전용량 저장 장치는 빠른 충방전 특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정보기기인 핸드폰, 노트북, PDA 등의 보조 전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고용량이 요구되는 전기자동차, 야간 도로 표시등, UPS(Uninterrupted Power Supply) 등의 주전원 혹은 보조 전원으로 매우 적합하며, 이와 같은 용도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고 정전용량 저장 장치는 소형화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고 정전용량 저장 장치는 양극, 음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로 구성되어 내부 하우징에 담긴 셀 조립체(1)와, 상기 셀 조립체(1)를 수용하는 금속 케이스(4)와, 금속 케이스(4)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어 각각 셀 조립체(1)의 음극과 양극에 연결되는 실질적인 판상형의 음극측 내부 터미널(2) 및 양극측 내부 터미널(3)을 포함한다.
음극측 내부 터미널(2)은 절연부재(6)에 의해 금속 케이스(4)에 대하여 절연되는 동시에 상판(5)과 접촉되고, 양극측 내부 터미널(3)은 금속 케이스(4)와 접촉된다. 상판(5)의 중심과 금속 케이스(4)의 하단 중심에는 단자부(8,9)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음극측 내부 터미널(2)과 상판(5) 간의 결합과, 양극측 내부 터미널(3)과 금속 케이스(4) 간의 결합은 통상 체결볼트(7)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특히 음극측 내부 터미널(2)과 상판(5)은 각각의 구조물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큰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구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대안으로, 음극측 내부 터미널(2) 및 양극측 내부 터미널(3)은 금속 케이스(4)에 대한 비딩(Beading) 가공에 의해 금속 케이스(4)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음극측 내부 터미널(2) 및 양극측 내부 터미널(3)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그루브(Groove)(미도시)를 형성하고, 금속 케이스(4)에 대한 비딩 가공에 따라 금속 케이스(4)의 내부로 돌출되는 돌기 부분이 상기 그루브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내부 터미널을 금속 케이스(4)에 고정하는 공법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비딩 가공을 적용하는 방식은 비딩 가공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하도록 내부 터미널(2,3)의 외주면에 그루브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내부 터미널(2,3)의 두께를 줄이는 데 제약이 있어 금속 케이스(4)의 내부공간 확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금속 케이스(4)의 내부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면 내압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고 정전용량 저장 장치는 상온에서 과충전이나 과방전, 과전압과 같은 이상 동작시 전해질과 전극의 계면에서 부반응이 진행되어 그에 따른 부산물로서 기체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체가 발생하여 내부에 축적되면 금속 케이스(4)의 내부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결국에는 금속 케이스(4)가 볼록하게 부풀어 오르거나 금속 케이스(4)의 취약한 부분에서 급격하게 기체가 배출되면서 폭발이 발생하게 된다.
금속 케이스(4)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과 관련하여, 금속 케이스(4)의 상단에는 상판(5)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커링 가공부(10)가 마련되어 커링(Curling) 양 조절에 의해 내압성능의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내압성능의 강화를 위해서는 금속 케이스(4)의 내부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커링 가공부(10)를 구비하는 것만으로는 내압성능의 개선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얇은 형태로 간소화된 구조의 내부 터미널을 금속 케이스 내부에 구비할 수 있도록 내부 터미널을 금속 케이스에 설치하는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내압을 낮출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터미널의 외주단이 금속 케이스의 내벽에 밀착되어 저저항 특성을 갖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해질 함침용 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터미널 몸체와 플랜지부로 구성되는 양극측 내부 터미널을 구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몸체의 상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어느 일면이 셀 조립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양극측 내부 터미널과 상기 셀 조립체가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 몸체 하면이 케이스의 하단부 안쪽면과 접촉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양극측 내부 터미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터미널 몸체의 외주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이 상기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다른 일면은 셀 조립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단보다 상기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의 상부 가장자리단이 높게 위치하여 상기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가 상기 플랜지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해질 함침용 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터미널 몸체를 가진 양극측 내부 터미널을 구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극측 내부 터미널의 상기 터미널 몸체 하면이 케이스의 하단부 안쪽면과 접촉되고, 상기 터미널 몸체의 상면 모서리가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양극측 내부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의 하부 가장자리단과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 안쪽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몸체의 상면 모서리 또는 하면 모서리는 모따기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내부 터미널의 외주면에 비딩용 그루브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내부 터미널을 기존에 비해 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둘째, 내부 터미널의 외주단을 금속 케이스의 내벽에 용이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저저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플랜지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양극측 내부 터미널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금속 케이스의 내부공간이 더욱 넓게 확보되어 전기에너지 저장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내부 터미널의 구조를 얇은 판상체로 단순화 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프레스 가공으로 내부 터미널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고 정전용량 저장 장치를 소형, 경량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해질의 함침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고 정전용량 저장 장치의 내부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내압을 낮춤으로써 안정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양극측 내부 터미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양극측 내부 터미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양극측 내부 터미널의 상면 모서리가 모따기 가공된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a는 도 7에서 양극측 내부 터미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변형예로 양극측 내부 터미널의 하면 모서리가 모따기 가공된 양극측 내부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셀 조립체(90)와, 상기 셀 조립체(90)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금속 케이스(100)와, 금속 케이스(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음극측 외부 터미널(110)과, 상기 음극측 외부 터미널(110)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셀 조립체(90)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극측 내부 터미널(111)과, 금속 케이스(100)의 한단부에 마련된 양극측 외부 터미널(150)과, 상기 양극측 외부 터미널(150)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셀 조립체(90)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과, 상기 금속 케이스(100)에 형성되어 터미널 고정 기능을 제공하는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1,102)를 포함한다.
상기 셀 조립체(90)는 양극, 음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로 구성되어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셀 조립체(90)로는 통상의 젤리롤(Jelly roll) 형태의 셀이 채용 가능하다.
금속 케이스(100)는 권취소자 형태로 가공된 후 내부 하우징에 담긴 상기 셀 조립체(9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금속 케이스(100)는 알루미늄 원통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면에는 원통형 몸체를 폐쇄하는 하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형 몸체와 하단부로 구성되는 금속 케이스(100)의 구조로 인하여 셀 조립체(90)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단부의 일부에는 외부로 돌출된 양극측 외부 터미널(150)이 마련된다.
음극측 외부 터미널(110)은 금속 케이스(100)의 상단부를 캡핑하는 동시에 전류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금속 케이스(100)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원형의 외주면을 가지며 그 상면과 하면은 다양한 3차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극측 외부 터미널(110)의 가장자리단은 절연부재(130)를 사이에 두고 커링 가공부와 인접한다.
음극측 외부 터미널(110)의 중심에는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공(113)이 형성된다. 관통공(113)은 예컨대, 자동복귀형의 안전변(12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전해질을 주입하기 위한 패스와 진공 작업을 위한 에어 벤트(Air Vent)로도 사용된다.
음극측 외부 터미널(110)는 금속 케이스(100)에 대한 비딩(Beading) 가공을 통해 금속 케이스(10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음극측 외부 터미널(110)에 대응하는 금속 케이스(100)의 측면에는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1)가 형성된다.
음극측 내부 터미널(111)은 음극측 외부 터미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셀 조립체(90)의 음극에 연결된다.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터미널 몸체(141) 상면과 플랜지부(145)의 어느 일부분이 셀 조립체(90)와 접촉되도록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을 셀 조립체(90)에 고정시키게 된다.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은 하면이 금속 케이스(100)의 하단부 안쪽면에 접촉하도록 금속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양극측 외부 터미널(150)과 접촉되고, 상면은 셀 조립체(90)의 양극에 연결된다. 상기 금속 케이스(100)의 하단부 안쪽면은 금속 케이스(100)의 내부 바닥면을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은 두께가 얇고 평탄한 판상의 터미널 몸체(141)와, 터미널 몸체(141)의 외주단이 상기 터미널 몸체(141)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145)와, 상기 터미널 몸체(141)에 형성된 복수개의 전해질 함침용 통공(142)을 구비한다. 이러한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은, 금속 케이스(100)의 내부로 돌출된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에 의해 플랜지부(145)가 가압됨으로써 금속 케이스(100)에 고정된다.
터미널 몸체(141)는 원형의 외주를 갖되, 비딩 가공에 의해 금속 케이스에 고정되는 기존의 내부 터미널과는 달리 외주면에 그루브가 없는 얇은 판상체로 이루어진다. 터미널 몸체(141)는 금속 케이스(100)의 하단부 안쪽면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전해질 함침용 통공(142)은 터미널 몸체(14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전해질 주입 공정 시 액상 전해질의 이동 통로를 제공한다. 전해질의 균일한 이동을 위해, 복수개의 전해질 함침용 통공(142) 중 대부분은 터미널 몸체(14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어느 하나는 터미널 몸체(141)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은 비딩 가공에 의해 금속 케이스(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와 셀 조립체(90)에 의해 금속 케이스(100) 내에 고정된다. 비딩 가공이 완료되었을 때,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은 금속 케이스(100)의 내부로 돌출된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에 의해 플랜지부(145)가 가압되어 금속 케이스(100) 내에 견고히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은 플랜지부(145)의 일면이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의 돌출 부분에 의해 가압되고, 플랜지부(145)의 다른 일면이 셀 조립체(9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금속 케이스(100)의 내부에 밀착 고정된다. 효과적인 가압 고정을 위해,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의 상부 가장자리단(102b) 높이는 플랜지부(145)의 상단 높이에 비해 높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의 상부 가장자리단(102b)과 하부 가장자리단(102c)은 금속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있어서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의 돌출이 시작되는 지점으로서,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의 홈 부분 상단과 하단에 각각 대응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5에서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은 원형의 외주를 가진 얇은 판상체로 구성되고,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의 돌출 끝부분(102a)과 내부 터미널 지지면인 금속 케이스(100)의 하단부 안쪽면 사이의 구간(A)에 배치되어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터미널 몸체(141) 하면은 금속 케이스(100)의 하단부 안쪽면과 접촉되고, 터미널 몸체(141)의 상면 모서리(141a)가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에 의해 가압되어 금속 케이스(100) 내부에 고정된다. 터미널 몸체(141)의 상면 모서리(141a)의 반대편에는 하면 모서리(141b)가 있다. 여기서,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은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의 제2 가장자리단(102c)과 금속 케이스(100)의 하단부 안쪽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이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의 제2 가장자리단(102c)과 금속 케이스(100)의 하단부 안쪽면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은 그 두께(t)가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의 제2 가장자리단(102c)과 금속 케이스(100)의 하단부 안쪽면 사이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계됨으로써 박형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 5의 양극측 내부 터미널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케이스(100)의 하부 내측에 대한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안착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접촉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상면 모서리는 C1.8 이상의 모따기 가공이나 R1.5 이상의 라운드 처리가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a에는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상면 모서리(141a)가 모따기 가공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상면 모서리(141a)를 모따기 가공하여 제1 곡면부(143)을 형성하게 되면, 금속 케이스(100) 내부에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을 고정하기 위한 비딩 가공 시 금속 케이스(100)의 내부면이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상면 모서리(141a)에 의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과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확실하게 금속 케이스(100) 내부에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b에는 도 8a와 반대로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하면 모서리(141b)가 모따기 가공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하면 모서리(141b)를 모따기 가공하여 제2 곡면부(144)를 형성하게 되면,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이 금속 케이스(100)의 측면과 하단부 안쪽면이 만나는 내부 모서리에 의해 밀려 올라가서 금속 케이스(100)의 바닥면과의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8a와 같이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상면 모서리(141a)가 모따기 가동되어 에너지 저장장치에 적용되거나, 도 8b와 같이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하면 모서리(141b)가 모따기 가공되어 에너지 저장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면 모서리(141a)와 하면 모서리(141b)가 모따기 가공된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이 에너지 저장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금속 케이스(100)의 하단부 안쪽면 위에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을 배치한 상태에서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플랜지부(145)의 높이 또는 터미널 몸체(141)의 높이에 맞춰 금속 케이스(100)의 외부에서 비딩 가공을 함으로써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을 편리하게 금속 케이스(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은 플랜지부(145) 또는 상면 모서리(141a)가, 비딩 가공에 의해 금속 케이스(100)의 내부로 돌출된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에 의해 가압되므로, 별도의 비딩용 그루브가 그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금속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치 구조에 의해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은 기존에 비해 간단한 구조를 가진 박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금속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속 케이스(100)의 내압을 낮출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정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을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 주변에 넓은 접촉면적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저저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90: 셀 조립체 100: 금속 케이스
101,102: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 110: 음극측 외부 터미널
111: 음극측 내부 터미널 120: 안전변
130: 절연부재 140: 양극측 내부 터미널
141: 터미널 몸체 142: 전해질 함침용 통공
143: 제1 곡면부 144: 제2 곡면부
150: 양극측 외부 터미널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해질 함침용 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터미널 몸체와 플랜지부로 구성되는 양극측 내부 터미널을 구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몸체(141)의 상면과 상기 플랜지부(145)의 어느 일면이 셀 조립체(90)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과 상기 셀 조립체가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 몸체(141) 하면이 케이스(100)의 하단부 안쪽면과 접촉되고,
    상기 플랜지부(145)가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45)는 상기 터미널 몸체(141)의 외주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45)의 일면이 상기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플랜지부(145)의 다른 일면은 셀 조립체(9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45)는 상기 플랜지부(145)의 상단보다 상기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의 상부 가장자리단(102b)이 높게 위치하여 상기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가 상기 플랜지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해질 함침용 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터미널 몸체를 가진 양극측 내부 터미널을 구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의 상기 터미널 몸체(141) 하면이 케이스(100)의 하단부 안쪽면과 접촉되고, 상기 터미널 몸체(141)의 상면 모서리(141a)가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측 내부 터미널(140)은 상기 터미널 고정용 비딩부(102)의 하부 가장자리단(102c)과 상기 케이스(100)의 하단부 안쪽면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몸체(141)는 비딩부 가공 시 상기 터미널 몸체(141)의 상면 모서리(141a)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 몸체(141)의 상면 모서리(141a)가 모따기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몸체(141)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모서리에 의해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상기 터미널 몸체(141)의 하면 모서리(141b)가 모따기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KR1020150008805A 2015-01-19 2015-01-19 내부 터미널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KR102143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805A KR102143576B1 (ko) 2015-01-19 2015-01-19 내부 터미널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PCT/KR2016/000182 WO2016117863A1 (ko) 2015-01-19 2016-01-08 내부 터미널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ES16740336T ES2895135T3 (es) 2015-01-19 2016-01-08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de energía eléctrica que tiene una estructura de instalación del terminal interno mejorada
EP16740336.9A EP3249668B1 (en) 2015-01-19 2016-01-08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having improved installation structure of internal terminal
CN201680006147.9A CN107112148B (zh) 2015-01-19 2016-01-08 改进内部接线端的安装结构的电能储存装置
PL16740336T PL3249668T3 (pl) 2015-01-19 2016-01-08 Urządzenie do magazynowania energii elektrycznej o ulepszonej konstrukcji instalacji wewnętrznego przyłącza
US15/544,313 US10622165B2 (en) 2015-01-19 2016-01-08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having improved installation structure of internal terminal
JP2017537410A JP6522765B2 (ja) 2015-01-19 2016-01-08 内部ターミナルの設置構造が改善された電気エネルギー貯蔵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805A KR102143576B1 (ko) 2015-01-19 2015-01-19 내부 터미널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178A true KR20160089178A (ko) 2016-07-27
KR102143576B1 KR102143576B1 (ko) 2020-09-09

Family

ID=5641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805A KR102143576B1 (ko) 2015-01-19 2015-01-19 내부 터미널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22165B2 (ko)
EP (1) EP3249668B1 (ko)
JP (1) JP6522765B2 (ko)
KR (1) KR102143576B1 (ko)
CN (1) CN107112148B (ko)
ES (1) ES2895135T3 (ko)
PL (1) PL3249668T3 (ko)
WO (1) WO2016117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76327A (ja) * 2020-11-09 2022-05-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
DE102022128691A1 (de) 2022-10-28 2024-05-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ochemische Rundzelle, Fortbewegungsmittel und Verfahren zur Fertigung einer elektrochemischen Rundzel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990A (ko) * 2011-03-11 2012-09-2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내압특성의 향상 구조를 갖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위한 금속 케이스
KR101296224B1 (ko) * 2012-10-10 2013-09-16 주식회사 쿨스 울트라 커패시터
KR20140143641A (ko) * 2013-06-07 2014-12-17 주식회사 네스캡 전기 이중층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0593B2 (ja) 1997-02-17 2001-09-17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US6222720B1 (en) * 1997-12-22 2001-04-24 Asahi Glass Company Lt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KR100560512B1 (ko) * 2003-11-29 2006-03-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N2887989Y (zh) * 2006-01-17 2007-04-11 王继海 一种伸缩式小型节能空调间
JP2007258414A (ja) 2006-03-23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WO2007122894A1 (ja) * 2006-03-23 2007-11-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US8717740B2 (en) * 2007-03-30 2014-05-06 Nippon Chemi-Con Corporation Electrolytic capacitor
US8390986B2 (en) * 2010-03-24 2013-03-05 Samhwa Capacitor Co., Ltd. Super capacitor for high power
KR101142403B1 (ko) 2010-09-13 2012-05-07 코칩 주식회사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US8773842B2 (en) * 2011-03-11 2014-07-08 Ls Mtron, Ltd.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2887989U (zh) * 2012-09-27 2013-04-17 深圳市今朝时代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焊接结构超级电容器
KR101345224B1 (ko) * 2013-08-05 2013-12-26 주식회사 쿨스 울트라 커패시터
CN103680999B (zh) * 2014-01-10 2016-06-08 柯贝尔电能质量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超级电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990A (ko) * 2011-03-11 2012-09-2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내압특성의 향상 구조를 갖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위한 금속 케이스
KR101296224B1 (ko) * 2012-10-10 2013-09-16 주식회사 쿨스 울트라 커패시터
KR20140143641A (ko) * 2013-06-07 2014-12-17 주식회사 네스캡 전기 이중층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9668A4 (en) 2018-04-04
ES2895135T3 (es) 2022-02-17
WO2016117863A1 (ko) 2016-07-28
JP2018507544A (ja) 2018-03-15
JP6522765B2 (ja) 2019-05-29
EP3249668B1 (en) 2021-08-11
US10622165B2 (en) 2020-04-14
US20180247773A1 (en) 2018-08-30
EP3249668A1 (en) 2017-11-29
KR102143576B1 (ko) 2020-09-09
PL3249668T3 (pl) 2022-06-13
CN107112148B (zh) 2019-04-16
CN107112148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531B1 (ko) 울트라 캐패시터 어셈블리
JP6478256B2 (ja) 内部ターミナルの結合構造が改善された電気エネルギー貯蔵装置
CN107112137B (zh) 具有电解质的防漏液结构的电能储存装置的外部接线端
JP5203729B2 (ja) 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US8790822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593532B1 (ko) 내부 터미널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위한 내부 터미널 구조
KR102116524B1 (ko)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내부 터미널
KR101415889B1 (ko) 개선된 저항 특성을 갖는 울트라 캐패시터
US10622165B2 (e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having improved installation structure of internal terminal
KR101593530B1 (ko) 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위한 하우징
KR101207372B1 (ko) 내압특성의 향상 구조를 갖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위한 금속 케이스
EP3923308A2 (en) Cover for a wound electrodes energy storage device
KR101258545B1 (ko) 저항특성이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내부 터미널
KR101568309B1 (ko) 터미널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위한 터미널 구조
KR20170082429A (ko) 절연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저장 장치
KR20170005342A (ko) 울트라 커패시터 및 울트라 커패시터 모듈
KR20170105780A (ko) 초음파 용착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