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061A -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061A
KR20160088061A KR1020150007260A KR20150007260A KR20160088061A KR 20160088061 A KR20160088061 A KR 20160088061A KR 1020150007260 A KR1020150007260 A KR 1020150007260A KR 20150007260 A KR20150007260 A KR 20150007260A KR 20160088061 A KR20160088061 A KR 20160088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connection
braille block
contact connecto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문
Original Assignee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7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8061A/ko
Publication of KR2016008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21W2111/02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for pedestrian walk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 바닥면에 위치하되 시각장애인을 위한 돌기패턴을 제공하면서 상황에 맞게 광원으로 점멸신호하여 시각장애인은 물론 일반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 및 시인성을 확보하고, 점자보도블럭 간의 이음연결에 따른 전기적인 접속으로 발광가능한 구조의 점자보도블럭을 효율적으로 시공함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빛을 생성시킬 수 있게 복수 개의 광원을 갖는 발광수단이 실장되고, 상면에 요철형태로 돌출형성된 돌기패턴부를 구비하는 점자블럭본체와; 상기 점자블럭본체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를 상호 연결가능한 이음영역을 형성하는 연결단차부와; 상기 연결단차부 상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 중 상기 발광수단마다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접속연결하는 접촉커넥터와; 상기 연결단차부 상에 형성되되 상기 접촉커넥터의 외측 둘레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유체의 침투를 방지하는 실링라인부;를 포함하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A Connecting Structure for Applying Light Type Raised Letters Block}
본 발명은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외 바닥면에 위치하되 시각장애인을 위한 돌기패턴을 제공하면서 상황에 맞게 광원으로 점멸신호하여 시각장애인은 물론 일반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 및 시인성을 확보하고, 점자보도블럭 간의 이음연결에 따른 전기적인 접속으로 발광가능한 구조의 점자보도블럭을 효율적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럭은 인도를 따라 설치되어 보행자를 위한 바닥면을 제공하는 건축자재로서, 이러한 보도블럭 중에는 외부로 노출된 상부 표면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일정한 패턴의 돌기가 부여되어 보행자의 보행을 위한 위치 및 방향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다양한 형태의 점자보도블럭을 시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점자보도블럭은 횡단 보도의 진입선이나 지하철 대기선 등을 따라 설치해서 보행분기점, 대기점, 시발점, 종료지점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각장애인이 보행할 때 특정한 정보를 시각이 아닌 발바닥이나 지팡이의 촉감으로 위치나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블럭의 표면에 소정의 돌기패턴이 부여된 특수목적의 보도블럭을 뜻한다. 나아가 점자보도블럭의 돌기패턴으로는 위치표시를 위한 점자돌기와 방향표시를 위한 선형돌기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또한 최근에는 지하철은 물론 대형건물이나 공공건물 등의 밀폐된 실내에도 점자보도블럭을 설치하여 시각장애인의 위치 및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가능하게 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점자보도블럭은 단순히 돌기패턴으로 해당 정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촉감에만 의존하여 보행하는 시각장애인의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시각장애인이 아닌 저시력인, 노약자, 아이를 포함한 일반인과 같은 사용자에게는 점자보도블럭에 대한 식별력이 상당히 낮아 자칫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점자보도블럭을 노란색과 같이 시인성이 높은 컬러로 도색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보행중의 사용자가 특별한 주위를 기울이지 않는 한 점자보도블럭에 대한 인식이 어렵고, 특히 야간에는 현저하게 식별력이 저하되어 정보전달력을 상실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최근에는 시각장애인의 보행에 따른 정보제공과 함께 일반 보행자에게 식별력이 높은 점자보도블럭을 제공하면서 실내의 경우 화재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발광형으로 개선하여 식별력을 향상시킨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이 실내는 물론 실외에 모두 적절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발광형 점자보도블럭과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928740호(2009.11.19.)에는 소정의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외부시스템의 케이블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신호에 커플링된 동조신호를 발생시키는 커플링부; 빛을 발하는 광원이 내장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투과되는 투과성 재질의 돌기패턴이 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일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점자보도블럭; 및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커플링부 및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커플링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력을 상기 광원에 선택적으로 온/오프 인가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케이블의 외면을 따라 밀착되고 코일이 내장된 금속재의 클립으로 구성됨에 따라 점자보도블럭의 식별력을 높이고 정보를 명확하게 표기할 수 있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점자보도블럭은 모재 위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분된 다수의 점자보도블럭을 실장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점자보도블럭을 균일하게 배열배치토록 맞춰가며 일렬로 깔아 시공하는 작업 자체가 매우 어렵고, 그에 따른 시공공기가 많이 소요되며, 다수의 점자보도블럭을 정확하게 설치 및 시공하기 어려워 시공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발광형 점자보도블럭은 그 기능을 발휘하도록 일렬로 시공하기에는 구조적인 제약이 있어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이루지 못한 채 쉽게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다수의 점자보도블럭에 발광기능을 위해 서로 하부가 전선연결된 구조를 이루는 반면 점자보도블럭의 경우 모재 위에 실장되기 때문에 우천시 점자보도블럭의 사이 틈새로 빗물이 침투하여 전선 및 연결부에 접함으로 전기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에 노출되고 전기적인 결함으로 발광기능을 쉽게 상실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점자보도블럭 간에 서로 접합가능한 연결구조와 함께 전기적인 접속연결이 가능하게 구성하므로, 시공을 위한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높임은 물론 작업의 신속성을 도모하고, 점자보도블럭의 일률적인 시공작업으로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점자보도블럭의 이음영역이 단차지고 커넥터의 주변을 실링처리하여 구성하므로, 빗물로 방수하여 전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고 기능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는 내부에 빛을 생성시킬 수 있게 복수 개의 광원을 갖는 발광수단이 실장되고, 상면에 요철형태로 돌출형성된 돌기패턴부를 구비하는 점자블럭본체와; 상기 점자블럭본체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를 상호 연결가능한 이음영역을 형성하는 연결단차부와; 상기 연결단차부 상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 중 상기 발광수단마다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접속연결하는 접촉커넥터와; 상기 연결단차부 상에 형성되되 상기 접촉커넥터의 외측 둘레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유체의 침투를 방지하는 실링라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복수 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 중 어느 하나의 점자블럭본체에는 한쪽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수단을 향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수 있게 구비되는 전원입력부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연결단차부 상에 구비되고 2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를 서로 결속하여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억지 끼움 결합하는 한 쌍의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촉커넥터는 복수 개의 점자블럭본체에 대해 상호 접촉에 따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금속단자를 구비하여 접촉단자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접촉커넥터는 복수 개의 점자블럭본체에 대해 상호 끼움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연결잭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접촉커넥터는 복수 개의 점자블럭본체에 대해 상호 끼움 결합하여 접합가능한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접합체결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촉커넥터는 상기 점자블럭본체 내 복열로 배치된 발광수단에 일괄적인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단일통합형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접촉커넥터는 상기 점자블럭본체 내 복열로 배치된 발광수단에 각각 라인별로 구분하여 개별적인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복수 개의 접촉커넥터를 구비한 다수분계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링라인부는 상기 접촉커넥터를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실링라인을 구비토록 다중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에 의하면 점자블럭마다 단차진 구조로 이음 연결과 동시에 발광을 위한 전기적인 접속연결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작업이 빠르게 진행되어 시공공기를 대폭 줄이고, 점자보도블럭의 배열에 대한 일률적인 시공으로 우수한 심미감을 조성하는 동시에 시공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는 점자블럭의 연결을 위한 연결단차부에 접촉커넥터와 함께 실링라인을 구성하므로, 빗물의 침투를 차단한 채 방수하여 점자보도블럭의 수명은 물론 발광기능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하고 점자보도블럭의 발광기능을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는 점자보도블럭마다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결속수단을 구성하므로,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유기적으로 안정적인 결합관계를 유지하여 뒤틀림현상이나 변형을 방지하며 제품시공에 따른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는 접촉커넥터를 중심으로 다중의 실링라인을 구비토록 구성하여 제품의 방수기능을 보다 향상시키면서 전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연결단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의(a)~(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접촉커넥터의 제1~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단일통합형의 접촉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다수분계형의 접촉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은 내부에 빛을 생성시킬 수 있게 복수 개의 광원을 갖는 발광수단이 실장되고, 상면에 요철형태로 돌출형성된 돌기패턴부를 구비하는 점자블럭본체와; 상기 점자블럭본체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를 상호 연결가능한 이음영역을 형성하는 연결단차부와; 상기 연결단차부 상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 중 상기 발광수단마다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접속연결하는 접촉커넥터와; 상기 연결단차부 상에 형성되되 상기 접촉커넥터의 외측 둘레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유체의 침투를 방지하는 실링라인부;를 포함하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자블럭본체(10)와, 연결단차부(20)와, 접촉커넥터(30)와, 실링라인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는 실외 인도에서 횡단 보도의 진입로 상에 적용하여 시공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점자보도블럭이 요구되는 실내외 다양한 장소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점자블럭본체(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격화된 면적을 갖는 육면체로서 두께가 얇은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요철형태로 돌출형성된 돌기패턴부(11)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점자블럭본체(10)에 사용가능한 재질로는 합성수지나, 고강도 플라스틱 등을 적용하고, 금형을 통한 사출성형방식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돌기패턴부(11)는 개개가 원형 단면을 이루는 점자 돌기를 구비토록 구성하거나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선형 돌기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점자블럭본체(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빛을 생성시킬 수 있게 복수 개의 광원(16)을 갖는 발광수단(15)이 실장된 구조로 구성한다.
상기 발광수단(15)의 광원(16)은 상기 돌기패턴부(11) 개개의 돌기마다 대응하여 광원(16)이 각각 배치된 배열구조로 구성한다. 즉 상기 발광수단(15)의 광원(16)은 상기 돌기패턴부(11)에 대응하여 각 돌기마다 1~2개의 광원(16)이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발광수단(15)의 광원(16)은 저전력의 균일휘도를 구현할 수 있는 LED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발광수단(15)에는 광원(16)을 통해 빛을 생성시키기 위한 반도체기판(17)을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기판(17)의 하부에는 방열판(18)을 구비하여 상기 반도체기판(17)의 열을 방출시킬 수 있는 안정적인 발광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자블럭본체(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점자블럭본체(10)를 순서대로 배열배치하여 시공하되 복수 개의 점자블럭본체(10) 중 어느 하나의 점자블럭본체(10)에는 외부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전원입력부(50)를 구성한다.
상기 전원입력부(50)는 상기 점자블럭본체(10)의 한쪽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수단(15)을 향해 외부로부터 인원이 입력가능한 연결경로를 이룬다.
상기 연결단차부(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10)를 상호 연결가능한 이음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단차부(20)는 상기 점자블럭본체(10)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단차부(20)는 도 4에 나타낸 바처럼, 상기 점자블럭본체(10)가 배치되는 시공배열방향에 대응하여 기본적으로 상기 점자블럭본체(10)의 양쪽 측면에 상기 연결단차부(20)를 형성하여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점자블럭본체(10)가 배열된 좌/우측의 가장자리에 배치하는 상기 점자블럭본체(10)의 경우 한쪽 측면에만 상기 연결단차부(20)가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에서 연결단차부(20)가 양쪽 측면에 형성된 상기 점자블럭본체(10)의 경우 한쪽은 상측에 돌출된 상기 연결단차부(20)를 구비하고, 반대쪽은 하측에 돌출된 상기 연결단차부(20)를 구비토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결단차부(20)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10)를 서로 결속하여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결속수단(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속수단(60)은 상기 점자블럭본체(10)에서 서로 접하는 상기 연결단차부(20) 상에 구비되어 억지 끼움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결속수단(60)은 암수가 서로 결합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스냅파스너(snap fastener)와 동일한 구조로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점자블럭본체(10)마다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결속수단(60)을 구성하게 되면, 시공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점자블럭본체(10) 간에 유기적으로 안정적인 결합관계를 유지하여 뒤틀림현상이나 변형을 방지하며 제품시공에 따른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촉커넥터(30)는 외부로부터 상기 발광수단(15)에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될 수 있게 연결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접촉커넥터(30)는 복수 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10)마다 통전하여 상기 발광수단(15)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도록 접속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단차부(20) 상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접촉커넥터(30)는 복수 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1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접하는 상기 연결단차부(20) 상에 서로 대응하도록 위치하여 접속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접촉커넥터(30)의 제1실시예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점자블럭본체(10)에 대해 상호 접촉에 따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금속단자를 구비하여 접촉단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접촉커넥터(30)는 상기 연결단차부(20) 상에 금속단자 형태로 매립설치되어 상기 점자블럭본체(10) 간에 원활한 연결을 도모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단자형태의 구조로 적용한다.
상기와 같이 접촉커넥터(30)를 제1실시예로 구성하게 되면, 점자블럭본체(10) 간에 연결하여 배열시키는 작업과 함께 발광기능을 위해 전기적으로 접속연결시키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 시공을 매우 쉽고 간편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촉커넥터(30)의 제2실시예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점자블럭본체(10)에 대해 상호 끼움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연결잭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접촉커넥터(30)를 상호 끼움 결합과 전기적인 접속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게 연결잭과 커플러를 구비토록 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접촉커넥터(30)의 제3실시예는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점자블럭본체(10)에 대해 상호 끼움 결합하여 접합가능한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접합체결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접촉커넥터(30)를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한 스냅 파스너와 동일한 구조로 적용하여, 상기 점자블럭본체(10) 간에 결합과 함께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접촉커넥터(30)를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처럼 구성하게 되면, 점자블럭본체(10) 간에 전기적인 접속을 도모하는 동시에 체결력을 동반하여 일체의 점자보도블럭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촉커넥터(3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점자블럭본체(10) 내 복열로 배치된 발광수단(15)에 일괄적인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단일통합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점자블럭본체(10)마다 하나의 접촉커넥터(30)만을 구비토록 구성하고, 상기 접촉커넥터(30)로부터 상기 점자블럭본체(10) 내 모든 발광수단(15)을 일괄적으로 신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접촉커넥터(3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점자블럭본체(10) 내 복열로 배치된 발광수단(15)에 각각 라인별로 구분하여 개별적인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복수 개의 접촉커넥터(30)를 구비한 다수분계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점자블럭본체(10)의 연결단차부(20) 상에 복수 개의 상기 접촉커넥터(30)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수단(15)을 해당 라인별로 신호전달하여 보다 효율적인 신호관리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발광패턴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링라인부(40)는 외부로부터 스며드는 유체(예를 들면, 빗물 등)에 대해 상기 접촉커넥터(30)로의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실링라인부(4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단차부(20) 상에 형성되되 상기 접촉커넥터(30)의 외측 둘레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에서 실링라인부(40)는 2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10)를 연결함에 따라 상호 대응하여 접하게 될 상기 연결단차부(20) 모두에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호 대응하여 접하는 상기 연결단차부(20) 중 어느 하나의 연결단차부(20)에만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링라인부(40)로는 탄성실링재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실링라인부(40)는 경화 후에 고무 모양의 탄성이 확보되는 부정형 실링재(폴리설파이드계, 실리콘계, 폴리우레탄계, 아크릴계 등)를 사용한다.
상기 실링라인부(40)는 복수 개의 실링라인을 구비토록 다중구조로 구성한다. 즉 상기 실링라인부(40)는 상기 접촉커넥터를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도 2에서는 2개)가 배열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다중의 실링라인으로 실링라인부(40)를 구성하게 되면, 제품의 방수기능을 보다 향상시키면서 전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에 의하면, 점자블럭마다 단차진 구조로 이음 연결과 동시에 발광을 위한 전기적인 접속연결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작업이 빠르게 진행되어 시공공기를 대폭 줄이고, 점자보도블럭의 배열에 대한 일률적인 시공으로 우수한 심미감을 조성하는 동시에 시공품질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점자블럭의 연결을 위한 연결단차부에 접촉커넥터와 함께 실링라인을 구성하므로, 빗물의 침투를 차단한 채 방수하여 점자보도블럭의 수명은 물론 발광기능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하고 점자보도블럭의 발광기능을 안전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점자블럭본체 11 : 돌기패턴부
15 : 발광수단 16 : 광원
17 : 반도체기판 18 : 방열판
20 : 연결단차부 30 : 접촉커넥터
40 : 실링라인부 50 : 전원입력부
60 : 결속수단

Claims (9)

  1. 내부에 빛을 생성시킬 수 있게 복수 개의 광원을 갖는 발광수단이 실장되고, 상면에 요철형태로 돌출형성된 돌기패턴부를 구비하는 점자블럭본체와;
    상기 점자블럭본체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를 상호 연결가능한 이음영역을 형성하는 연결단차부와;
    상기 연결단차부 상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 중 상기 발광수단마다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접속연결하는 접촉커넥터와;
    상기 연결단차부 상에 형성되되 상기 접촉커넥터의 외측 둘레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유체의 침투를 방지하는 실링라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 중 어느 하나의 점자블럭본체에는 한쪽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수단을 향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수 있게 구비되는 전원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차부 상에 구비되고 2개의 상기 점자블럭본체를 서로 결속하여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억지 끼움 결합하는 한 쌍의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커넥터는, 복수 개의 점자블럭본체에 대해 상호 접촉에 따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금속단자를 구비하여 접촉단자형으로 이루어지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커넥터는, 복수 개의 점자블럭본체에 대해 상호 끼움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연결잭형으로 이루어지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커넥터는, 복수 개의 점자블럭본체에 대해 상호 끼움 결합하여 접합가능한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접합체결형으로 이루어지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커넥터는, 상기 점자블럭본체 내 복열로 배치된 발광수단에 일괄적인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단일통합형으로 이루어지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커넥터는, 상기 점자블럭본체 내 복열로 배치된 발광수단에 각각 라인별로 구분하여 개별적인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복수 개의 접촉커넥터를 구비한 다수분계형으로 이루어지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라인부는, 상기 접촉커넥터를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실링라인을 구비토록 다중구조로 이루어지는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KR1020150007260A 2015-01-15 2015-01-15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KR20160088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260A KR20160088061A (ko) 2015-01-15 2015-01-15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260A KR20160088061A (ko) 2015-01-15 2015-01-15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061A true KR20160088061A (ko) 2016-07-25

Family

ID=5661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260A KR20160088061A (ko) 2015-01-15 2015-01-15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80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909B2 (en) Illuminated tiling system
KR100928740B1 (ko)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시스템
KR101702343B1 (ko) 시인성 및 변별력을 향상시킨 보행신호 및 방향표시용 안전유도블럭
KR102335546B1 (ko)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KR100960992B1 (ko) 점자보도블럭 발광장치
CN109166349B (zh) 一种基于物联网的车位状态指示器
KR20160088061A (ko) 발광형 점자보도블럭 연결구조
JP2004137814A (ja) 点字ブロック型補助信号灯及び交通信号装置
US20210229596A1 (en) Vehicle Body Component,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hicle Body Compon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Lighting Means Arrangement
KR102025549B1 (ko) 점등블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8437909B (zh) 一种通用型隐藏式环绕发光徽标装置
KR102335547B1 (ko) 바닥형 보행 신호기 제어 시스템
KR200464406Y1 (ko) 발광사인물용 엘이디모듈
KR101272709B1 (ko) 발광형 노면표시 겸용 케이블관로
KR101096665B1 (ko) 전도판을 이용한 led 모듈을 부착한 교통안전표지판
JP3025243U (ja) 埋込み式発光装置
US9915420B2 (en) Illuminating device with sealed optics
KR102106524B1 (ko) 신호등 주변에 설치되는 보도블록
CN201731341U (zh) 面板型led照明灯
KR20170050817A (ko) 발광형 점자 보도블럭
JP3122626U (ja) 点字ブロックの表示装置
KR20110000509U (ko) 휀스용 조명장치
KR101225676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H0216391Y2 (ko)
CN206174290U (zh) 发光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