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791A -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7791A KR20160087791A KR1020160088593A KR20160088593A KR20160087791A KR 20160087791 A KR20160087791 A KR 20160087791A KR 1020160088593 A KR1020160088593 A KR 1020160088593A KR 20160088593 A KR20160088593 A KR 20160088593A KR 20160087791 A KR20160087791 A KR 201600877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entrated water
- seawater
- naoh
- electrolysis
- diaphrag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담수화 후 발생하는 폐기물인 해수 농축수로부터 고농도 NaOH 용액을 수득할 뿐 아니라 전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농도의 칼슘 및 마그네슘 슬러지를 얻을 수 있고, 전기분해를 통해 고농도의 염소 및 수소가스를 얻을 수 있다. 이로부터 수득한 NaOH 용액은 알칼리 활성화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슬러지는 알칼리 활성 경화체 제조에 첨가제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경제적 이익을 가져옴과 동시에 해수 농축수 무배출 기술로서 종래 농축수의 처리 문제를 해결하여 환경문제의 해소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 공정에 따른 물질 수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탄산나트륨(Na2CO3)의 첨가 농도에 따른 칼슘 제거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분해조 유입수의 체류시간에 따른 NaOH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분해조의 유입유량에 따른 NaOH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격막식 전기분해시 전류밀도에 따른 NaOH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격막식 전기분해시 전류밀도에 따른 NaOH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격막의 공극 및 전기분해조의 유입유량에 따른 양극부와 음극부의 수두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30: 반송관 111: 교반기
112: 혼합장치 113: 여과장치
121: 양극부 122: 음극부
123: 격막
Claims (13)
- 벽체에 둘러싸여 내부에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 해수 농축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으로 유입된 상기 해수 농축수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시키는 혼합장치, 상기 혼합장치 내부에 배치되고 유동하는 상기 해수 농축수를 교반시켜 상기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으로부터 마그네슘 침전물 또는 칼슘 침전물을 형성하는 교반기, 및 상기 혼합장치와 상기 벽체의 내면 사이 공간인 유동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통로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해수 농축수를 여과하는 여과장치를 포함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로부터 상기 해수 농축수가 유입되고, 상기 해수 농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를 수득하는 전기 분해조; 및
상기 수득된 알칼리수를 상기 침전조로 반송하는 반송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상기 침전물이 가라앉도록, 상기 혼합장치의 타단이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혼합장치의 타단으로 유출된 상기 해수 농축수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서부터 상기 유동통로를 따라 상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가라앉지 않고 상기 해수 농축수와 함께 유동하는 상기 침전물이 상기 여과장치에 의해 여과된 후에, 상기 전기 분해조로 유입되며,
상기 혼합장치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해수 농축수의 유속이 유입되는 상기 해수 농축수의 유속보다 느려지도록, 상기 혼합장치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며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혼합장치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된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는 회전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침전물이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중심부를 향하여 축적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는 하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면서 중심부로 수렴하는 콘(cone)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중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침전조에 축적된 상기 침전물을 상기 침전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분해조는 양극부, 음극부 및 양 전극부의 영역을 분리하는 격막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의 공극은 1 내지 10 ㎛이고,
상기 전기분해조의 유입유량은 5 내지 30 ㎖/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aOH 회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 PTFE(polytetra fluoroethylene), PES(polyether sulphone) 및 poly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다공성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aOH 회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전극부의 전극은 Ti/IrO2 또는 Ti/Ru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aOH 회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관을 통해 반송되는 알칼리수는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수득한 알칼리수의 3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aOH 회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수는 50 내지 200 ㎃/㎠의 전류밀도 범위에서 전기분해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aOH 회수 장치. - 제1항에 따른 NaOH 회수 장치를 이용한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 방법에 있어서,
(a) 침전조 내로 유입된 해수 농축수의 경도유발 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b) 상기 전처리된 해수 농축수를 전기 분해조에서 격막식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득한 알칼리수를 상기 침전조로 반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내지 (c)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격막의 공극은 1 내지 10 ㎛이고,
상기 전기분해조의 유입유량은 5 내지 30 ㎖/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유발 물질은 2가의 금속 양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탄산나트륨(Na2CO3)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나트륨(Na2CO3)의 함량은 해수 농축수 기준 1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전기분해에 사용되는 격막은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 PTFE(polytetra fluoroethylene), PES(polyether sulphone) 및 poly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다공성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전기분해에 사용되는 전극은 Ti/IrO2 또는 Ti/Ru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반송되는 알칼리수는 상기 (b) 단계에서 수득한 알칼리수의 3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로 수득되는 알칼리수는 전류밀도를 조절하여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류밀도는 50 내지 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35990 | 2014-03-27 | ||
KR1020140035990 | 2014-03-27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9073A Division KR20150112786A (ko) | 2014-03-27 | 2015-03-02 |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7791A true KR20160087791A (ko) | 2016-07-22 |
Family
ID=543439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9073A Ceased KR20150112786A (ko) | 2014-03-27 | 2015-03-02 |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
KR1020160088593A Ceased KR20160087791A (ko) | 2014-03-27 | 2016-07-13 |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9073A Ceased KR20150112786A (ko) | 2014-03-27 | 2015-03-02 |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5011278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94284A1 (ko) * | 2019-03-25 | 2020-10-01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소 생산가능한 담수시스템 |
GB2635100A (en) * | 2023-01-25 | 2025-05-07 | John Brown Allan | Methods and related systems for processing an exhaust stream of a ships engine and CO2, hydrogen and NaOH from seawater for on-board utilisation of saf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85608A (ko) * | 2022-12-08 | 2024-06-17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유가 미네랄 회수 및 고순도 담수 생산을 위한 초고도 농축 해수담수화 공정 |
CN116003031A (zh) * | 2022-12-29 | 2023-04-25 | 内蒙古鄂尔多斯电力冶金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全固废负碳胶凝材料、制备方法及应用 |
EP4538238A1 (en) * | 2023-10-11 | 2025-04-16 | Brineworks B.V. | Mineral extraction proces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5445B1 (ko) | 2012-05-30 | 2013-08-09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해수 전기분해 알칼리 수로부터 마그네슘염과 칼슘염을 포함한 미네랄 염의 분리 및 이를 이용한 미네랄 정제의 제조방법 |
-
2015
- 2015-03-02 KR KR1020150029073A patent/KR20150112786A/ko not_active Ceased
-
2016
- 2016-07-13 KR KR1020160088593A patent/KR20160087791A/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5445B1 (ko) | 2012-05-30 | 2013-08-09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해수 전기분해 알칼리 수로부터 마그네슘염과 칼슘염을 포함한 미네랄 염의 분리 및 이를 이용한 미네랄 정제의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이윤지, 박연진, 최정학, 신원식, 최상준, 전웅,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49 권, 6 호, Startpage 810, Endpage 815, Totalpage 6.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94284A1 (ko) * | 2019-03-25 | 2020-10-01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소 생산가능한 담수시스템 |
KR20200115747A (ko) * | 2019-03-25 | 2020-10-08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소 생산가능한 담수시스템 |
GB2635100A (en) * | 2023-01-25 | 2025-05-07 | John Brown Allan | Methods and related systems for processing an exhaust stream of a ships engine and CO2, hydrogen and NaOH from seawater for on-board utilisation of saf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2786A (ko) | 2015-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87791A (ko) | 해수 농축수 전기분해를 통한 NaOH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 |
KR100874269B1 (ko) | 전처리 공정을 포함한 고효율 해수 전해장치 및 전해방법 | |
US20130306565A1 (en) | Electrochemical Ion Exchange Water Treatment | |
JP2009095821A (ja) | 塩水の処理方法 | |
EP3848331B1 (en) | Desalination method capable of producing hydrogen | |
US20140299529A1 (en) |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Separating Salts from Water | |
JP2008223115A (ja) | 塩水の処理方法 | |
WO2010064946A1 (ru) |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ая модульная ячей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растворов электролитов | |
WO2010132104A1 (en) | Brine treatment scal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 |
AU2021365682B2 (en) | Water treatment method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 |
Liu et al. | Robust electrolysis system divided by bipolar electrode and non-conductive membrane for energy-efficient calcium hardness removal | |
Bessarabov et al. | Industrial application of nanofiltration–new perspectives | |
JP3137831B2 (ja) | 膜処理装置 | |
JP5731262B2 (ja) | 脱塩処理方法及び脱塩処理システム | |
EP2663531B1 (en) | Electrochemical water processing method and unit with electrochemical conditioning cell | |
KR20180111229A (ko) | 저 에너지 비용의 염분차발전-담수화 하이브리드 시스템 | |
CN117401860B (zh) | 一种压裂返排液处理设备及处理方法 | |
AU2020341933B2 (en) | Apparatus for producing acidic aqueous solu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cidic aqueous solution | |
JP2013533110A (ja) | プロセス水を生成するために未処理の塩水を処理する方法、それによって生成されるプロセス水、および前記方法を行うための装置 | |
US10968119B2 (en) | Water treatment process | |
CN114590940B (zh) | 一种膜法净化硫酸钠型饱和卤水的制盐方法 | |
RU2841940C1 (ru) | Способ безреагентного умягчения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грунтовой или морской воды в полевых условиях | |
US20250162920A1 (en) | Methods of lipid recovery and leachate treatment | |
WO2021045107A1 (ja) | 排水の処理方法及び排水の処理装置 | |
Mustafa et al. | Footprint, Addressing Environmental Challenges, and Promoting Resour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71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30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02907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6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222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6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