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757A -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757A
KR20160087757A KR1020160003220A KR20160003220A KR20160087757A KR 20160087757 A KR20160087757 A KR 20160087757A KR 1020160003220 A KR1020160003220 A KR 1020160003220A KR 20160003220 A KR20160003220 A KR 20160003220A KR 20160087757 A KR20160087757 A KR 20160087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rm
card
switch
tray
car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오코시
준야 츠지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60087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카드나 카드를 실은 트레이의 삽입을 검출하는 신뢰성이 높은 검출 스위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검출 스위치는 제1 및 제2 스위치 아암을 갖는다. 제1 스위치 아암은 제1 단부를 고정단으로 하여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스위치 아암은 삽입된 카드 등에 제2 단부가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제2 스위치 아암은 제1 스위치 아암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스위치 아암도 제1 단부가 고정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스위치 아암에는 내측 방향으로 변형한 제1 스위치 아암이 접촉한다. 여기서 제1 스위치 아암에는 반환되도록 만곡하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는 삽입된 카드 등과 제2 스위치 아암의 쌍방에 볼록 곡면에서 슬라이딩한다.

Description

카드 커넥터{Card Connector}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커넥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카드 커넥터 안에는 카드가 삽입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검출 스위치에는 바로 앞측의 제1 스위치 아암과 내측의 제2 스위치 아암이 설치되어 있다.
카드가 삽입되면 제1 스위치 아암이 카드에 밀려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고, 제2 스위치 아암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카드의 삽입이 검출된다.
제1 스위치 아암에는 카드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과, 제2 스위치 아암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은 각각 카드와 제2 스위치 아암을 향해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스위치 아암이 제2 스위치 아암에 접촉하면 제2 스위치 아암에 버클링(buckling)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제1 스위치 아암과 제2 스위치 아암이 매끄럽게 슬라이딩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버클링이 발생하면 접촉 불량이 일어나 카드가 올바르게 검출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1] 2008-8462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카드나 카드를 실은 트레이의 삽입을 검출하는 신뢰성이 높은 검출 스위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는 삽입 및 인발 방향의 내측에 삽입된 카드 혹은 카드를 실은 트레이로 구성되는 삽입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어 삽입체가 삽입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 스위치는 제1 단부가 하우징에 고정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수용 공간 내에 연장되고, 삽입된 삽입체에 제2 단부가 밀려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제1 스위치 아암과, 수용 공간의 제1 스위치 아암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제1 단부가 하우징에 고정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수용 공간 내에 연장되고, 삽입체에 밀려 내측 방향으로 변형된 제1 스위치 아암에 제2 단부가 접촉하는 제2 스위치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스위치 아암이 제1 스위치 아암의 제2 단부에, 제1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환되도록 만곡하고, 삽입된 삽입체에 밀린 때에 삽입체와 제2 스위치 아암의 쌍방에 슬라이딩하는 만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는 제1 스위치 아암의 제2 단부에 제1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환되도록 만곡한 만곡부가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이 때문에 삽입체가 삽입되어 제1 스위치 아암의 제2 단부를 밀은 때에 상기 제2 단부는 카드나 제2 스위치 아암과도 원활하게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제2 스위치 아암은 고정되어 있는 제1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원활하게 탄성 변형할 수 있어 버클링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저감한다.
이에 따라 신뢰성이 높은 검출 스위치가 실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가 삽입 및 인발 방향 바로 앞측으로 반환되도록 만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스위치 아암은 모두 외팔보 형상을 갖고, 자유단의 형상이나 움직임을 엄밀하게 관리할 수는 없다.
그래서 제1 스위치 아암의 제2 단부에 삽입 및 인발 방향의 바로 앞측에 반환되어 제1 단부를 향하도록 만곡한 만곡부를 형성한다.
그러면 제1 스위치 아암의 제2 단부의 테두리가 제2 스위치 아암에 접촉하는 것에 따른 슬라이딩 성능의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한층 신뢰성이 높은 검출 스위치가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는 상기 삽입체가 카드를 실은 트레이여도 좋다.
다만 본 발명은 카드를 단독으로 삽입하는 타입의 카드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클링 등과 같은 고장 발생의 경우가 저감된 신뢰성이 높은 검출 스위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가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의 카드 커넥터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카드 커넥터로부터 쉘을 떼어내 하우징 조립체의 내측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카드 커넥터로부터 쉘을 떼어내 하우징 조립체의 내측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검출 스위치를 빼내어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의 카드 커넥터의 외관사시도이다.
상기 카드 커넥터(10)는 회로 기판(미도시)에 표면 실장되는 타입의 커넥터이다.
또한 상기 카드 커넥터(1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카드의 일례인 나노 SIM 카드(50)가 트레이(40)에 실려 삽입되는 타입의 커넥터이다.
상기 카드 커넥터(10)는 하우징 조립체(20)와 금속제 쉘(30)을 갖는다.
그들 하우징 조립체(20)와 쉘(30)과의 사이에는 삽입구(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11)로부터는 나노 SIM 카드(50)를 실은 트레이(40)가 화살표(F) 방향으로 삽입된다.
또한 하우징 조립체(20)에는 삽입구(11)의 내측에 삽입된 트레이(40)를 수용 하는 수용 공간(20A)이 형성되어 있다.
나노 SIM 카드(50)를 싣는 트레이(40)에는 그 정면에 관통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41)은 수용 공간(20A)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의 트레이(40)를 카드 커넥터(10)로부터 빼낼 때에 핀(미도시)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트레이(40)의 양쪽 겨드랑이에는 록용 홈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는 일방의 홈부(42)만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카드 커넥터로부터 쉘을 떼어내 하우징 조립체의 내측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2에는 트레이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3에는 트레이가 삽입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조립체(20)는 수지제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인서트 성형된 콘택트(22)를 구비하고 있다.
나노 SIM 카드(50)의 도시하지 않은 이면에는 콘택트(22)와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을 담당하는 패드가 설치되어 있다.
나노 SIM 카드(50)를 실은 트레이(40)가 수용 공간(20A)에 삽입된다.
그러면 나노 SIM 카드(50)의 패드와 콘택트(22)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상기 카드 커넥터(10)가 탑재되어 있는 회로 기판(미도시)과 나노 SIM 카드(50)가 콘택트(22)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조립체(20)에는 수용 공간의 좌우 양측에 록 스프링(23)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록 스프링(23)은 수용 공간(20A)의 중앙을 향해 돌출한 돌출부(23a)를 갖는다.
수용 공간(20A)에 트레이(40)가 수용되면 트레이(4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홈부(42;도 1 참조)에 록 스프링(23)이 비집고 들어간다.
이에 의해 트레이(40)는 카드 커넥터(10)로부터 예기치 못하게 빠져 나오지 않도록 록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조립체(20)의 수용 공간(20A)의 내측에는 회동 레버(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동 레버(24)는 그 중앙에 하우징(21)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회동축(241)을 갖는다.
또한 상기 회동 레버(24)는 제1단(242)과 제2단(243)을 갖는다.
제1단은 삽입된 트레이(40)에 밀려 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I)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3에 나타내는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조립체(20)에는 도 2, 도 3의 우측 코너의 위치에, 트레이(40)의 삽입 및 인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바(2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바(25)는 하우징(21)에 트레이(40)의 삽입 및 인발 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바(25)는 삽입구(11;도 1 참조) 측단부에 핀(미도시)이 밀려 닿는 푸시부(251)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바(25)는 내측에 회동 레버(24)의 제2단(243)에 맞닿는 접촉부(252)를 갖는다.
회동 레버(24)가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에서 트레이(40)가 삽입되면, 회동 레버(24)는 트레이(40)에 밀려 화살표(I)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회동 레버(24)의 제2단(243)이 슬라이딩 바(25)의 접촉부(252)를 민다. 그러면 슬라이딩 바(25)는 도 2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도 3에 나타내는 화살표(R)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부(251)를 약간 돌출시킨 상태가 된다.
수용 공간(20A)에 수용된 트레이(40)을 빼낼 때는 트레이(40)에 설치된 관통공(41)에서 도시하지 않은 핀을 삽입한다. 그러면 해당 핀의 선단이 슬라이딩 바(25)의 푸시부(251)에 닿아 슬라이딩 바(25)가 밀어 넣어진다.
이 때 슬라이딩 바(25)의 접촉부(252)가 회동 레버(24)의 제2단(243)을 민다. 그러면 회동 레버(24)가 도 3에 나타내는 화살표(J)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1단(242)으로 트레이(40)를 민다. 그러면 트레이(40)는 록 스프링(23)과의 록이 풀려 바로 앞측으로 약간 압출된다.
그 후 트레이(40)에 손가락의 손톱을 걸거나 혹은 핀셋 등의 치구를 사용하여 트레이(40)가 카드 커넥터(10)에서 빠진다.
더욱이 상기 카드 커넥터(10)의 하우징 조립체(20)에는 수용 공간(20A)의 내측의 위치에, 트레이(40)의 삽입 및 인발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검출 스위치(60)는 제1 스위치 아암(61)과 제2 스위치 아암(62)을 갖는다.
트레이(4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제1 스위치 아암(61)과 제2 스위치 아암(62)은 서로 떨어진 상태에 있다.
트레이(40)가 삽입되면 제1 스위치 아암(61)이 트레이(40)에 밀려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스위치 아암(62)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트레이(40)가 삽입된 것이 검출된다.
트레이(40)가 빼내어지면 제1 스위치 아암(61)이 제2 스위치 아암(62)에서 멀어져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하 상기 검출 스위치(6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검출 스위치를 빼내어 나타낸 확대도이다.
상기 검출 스위치(60)는 트레이(40)가 삽입된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검출 스위치(60)는 제1 스위치 아암(61)과 제2 스위치 아암(62)을 구비한다.
제1 스위치 아암(61)은 해당 제1 단부(611)가 하우징(21;도 2, 도 3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치 아암(61)은 외팔보 형상으로 수용 공간(20A) 내에 연장되고, 그 연장된 선단에 제2 단부(612)를 갖는다.
상기 제2 단부(612)는 수용 공간(20A)에 삽입된 트레이(40)에 밀린다.
상기 제1 스위치 아암(61)은 제2 단부(612)가 밀리면 제1 단부(611)를 중심으로 하여 내측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제2 스위치 아암(62)은 수용 공간(20A)의 제1 스위치 아암(61)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스위치 아암(62)도 제1 스위치 아암(61)과 마찬가지로, 해당 제1 단부(621)가 하우징(21)에 고정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수용 공간(20A) 내에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트레이(40)에 밀려 내측 방향으로 변형한 제1 스위치 아암(61)에 상기 제2 스위치 아암(62)의 제2 단부(622)가 접촉한다.
상기 제2 단부(622)는 제1 스위치 아암(61) 측이 볼록해지는 방향으로 약간 만곡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제1 스위치 아암(61)의 제2 단부(612)에는 제1 단부(611)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환되도록 만곡한 만곡부(6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만곡부(613)는 트레이(40)와 제2 스위치 아암(62)의 제2 단부(622)의 쌍방에 볼록 곡면에서 접하여 원활하게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제2 스위치 아암(62)을 무리하게 눌러 줄이는 방향의 힘이나 제1 스위치 아암(61)이 무리하게 늘어지는 방향의 힘은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주저앉거나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접촉 불량 등과 같은 고장의 발생이 방지된다.
만곡부(61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및 인발 방향 바로 앞측(트레이40측)으로 반환되도록 만곡하고 있다.
이 방향으로 반환된 만곡부(613)를 설치함으로써 제2 단부(612) 측의 테두리 (614)가 트레이(4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움직임을 실현하고 있다.
다만 상기 만곡부(613)는 삽입 및 인발 방향의 내측(제2 스위치 아암62 측)으로 반환되도록 만곡시켜도 좋다.
본 실시 형태는 도 4에 나타내는 타입의 검출 스위치를, 카드를 트레이에 실어 삽입하는 타입의 카드 커넥터에 적용한 예이다.
다만 본 발명은 카드 자체를 트레이가 없이 직접 삽입하는 타입의 카드 커넥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10 카드 커넥터
20 하우징 조립체
21 하우징
22 콘택트
30 쉘
40 트레이
50 나노 SIM 카드
60 검출 스위치
61 제1 스위치 아암
613 만곡부
62 제2 스위치 아암

Claims (3)

  1. 삽입 및 인발 방향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된 카드 혹은 카드를 실은 트레이로 구성되는 삽입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어 삽입체가 삽입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 스위치가,
    제1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수용 공간 내에 연장되어 삽입된 상기 삽입체에 제2 단부가 밀려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제1 스위치 아암; 및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제1 스위치 아암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제1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수용 공간 내에 연장되어 상기 삽입체에 밀려 내측 방향으로 변형된 상기 제1 스위치 아암에, 제2 단부가 접촉하는 제2 스위치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스위치 아암이 상기 제1 스위치 아암의 상기 제2 단부에, 상기 제1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환되도록 만곡하여, 삽입된 상기 삽입체에 밀린 때에 상기 삽입체와 상기 제2 스위치 아암의 쌍방에 슬라이딩하는 만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가 삽입 및 인발 방향 바로 앞측으로 반환되도록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가 카드를 실은 트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KR1020160003220A 2015-01-14 2016-01-11 카드 커넥터 KR20160087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05154A JP2016131111A (ja) 2015-01-14 2015-01-14 カードコネクタ
JPJP-P-2015-005154 2015-0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757A true KR20160087757A (ko) 2016-07-22

Family

ID=5640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220A KR20160087757A (ko) 2015-01-14 2016-01-11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131111A (ko)
KR (1) KR20160087757A (ko)
CN (1) CN1057900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9272B (zh) * 2017-03-13 2021-07-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Sim卡卡座、终端、sim卡检测方法和检测装置
CN109969099B (zh) * 2019-04-13 2021-12-28 扬州赛德房车有限公司 车载外接电子设备用排档杆联动开关控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623A (ja) 2006-09-27 2008-04-10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3764B1 (en) * 1999-02-22 2001-05-22 Zephtex Industries Incorporated Bed assemblies
CN2791917Y (zh) * 2005-05-13 2006-06-28 莫列斯公司 电子卡连接器
JP4933293B2 (ja) * 2007-02-09 2012-05-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CN201156597Y (zh) * 2008-01-22 2008-11-26 东莞市厚街专业技术学校 一种存储卡卡座
US8156588B2 (en) * 2009-11-02 2012-04-17 Svoboda Michael A Mattress encas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623A (ja) 2006-09-27 2008-04-10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31111A (ja) 2016-07-21
CN105790003A (zh)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5146B2 (en) Locking device for connector elements and a connector provided with said device
US9491883B2 (en) Connector with ejector mechanism reinforcement
KR101611025B1 (ko)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
US8465309B2 (en) Detection switch structure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101478584B1 (ko) 커넥터
TW201304308A (zh) 卡連接器
WO2010102168A1 (en) Card connector
JP2014063630A (ja) コネクタ
US10483692B2 (en) Levery-type connector
KR20160087757A (ko) 카드 커넥터
KR101600775B1 (ko) 커넥터
US8770995B2 (en) Card connector
JP5360444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17103160A (ja) コネクタ
WO2018025615A1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20140148033A1 (en) Card connector
JP448964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7922505B2 (en) Card connector
JP509048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8523592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6136462A (ja) 電気コネクタ
JP6101103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4570644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180006723A (ko) 카드 커넥터
JP6035203B2 (ja) カード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