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406A -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 Google Patents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406A
KR20160087406A KR1020150004523A KR20150004523A KR20160087406A KR 20160087406 A KR20160087406 A KR 20160087406A KR 1020150004523 A KR1020150004523 A KR 1020150004523A KR 20150004523 A KR20150004523 A KR 20150004523A KR 20160087406 A KR20160087406 A KR 20160087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amper
opening
diffuser con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두양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양텍(주) filed Critical 두양텍(주)
Priority to KR1020150004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7406A/ko
Publication of KR20160087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의 유로관부와, 상기 유로관부의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확관부와, 상기 유로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들과, 상기 지지부들에 연결되어 상기 확관부와 함께 유출입통로를 형성하는 디퓨져콘부를 포함하는 댐퍼케이스; 상기 디퓨져콘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회전캡; 및 상기 댐퍼케이스의 유로관부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원통개폐부와, 상기 원통개폐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캡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원통개폐부가 유출입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게 된다.

Description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MANUAL DAMPER FOR VENTILATING SYSTEM}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가 외부와 통풍이 잘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에서 사람이 장시간 활동하게 되면 실내 공기의 오염 및 CO2 증가로 인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실내를 환기시켜주어야 한다.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게 되면 오염물질이 유입될 뿐만 아니라 내부 열 손실이 발생됨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건물에 환기시스템이 구비된다.
환기시스템은 건물 외부와 건물의 각 실내를 연결하는 배관시스템과, 배관시스템에 연결되는 급,배기유닛과, 건물 실내에 위치하는 배관시스템의 환기덕트에 연결되어 유동을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473600호(2014. 07. 07.. 등록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수동 댐퍼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원통형 바디; 바디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환형 링 형상의 격판; 바디 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스크류; 작동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작동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장축을 따라 움직이면서 격판에 접촉 분리되어 원통형 바디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판 형상의 댐퍼; 작동스크류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댐퍼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디캡;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작동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소켓; 바디의 내부면에 구비되어 체결소켓을 바디 내부에 고정시켜 주는 다수의 지지대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원통형 바디의 내주면에 환형 링 형상의 격판이 돌출되고 원판 형상의 댐퍼가 바디의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바디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게 되므로 원통형 바디의 내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이 크게 되어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는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통 형상의 유로관부와, 상기 유로관부의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확관부와, 상기 유로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들과, 상기 지지부들에 연결되어 상기 확관부와 함께 유출입통로를 형성하는 디퓨져콘부를 포함하는 댐퍼케이스; 상기 댐퍼케이스의 디퓨져콘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회전캡; 및 상기 댐퍼케이스의 유로관부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원통개폐부와, 상기 원통개폐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캡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원통개폐부가 유출입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가 제공된다.
상기 댐퍼케이스의 복수 개의 지지부들은 유로관부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캡은 상기 댐퍼케이스의 디퓨져콘부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어 디퓨져콘부를 관통하며 상기 개폐부재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축부와, 상기 디퓨져콘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축부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의 축방향 움직임을 막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부의 일측 외주면에 수나사산들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연결부에 암나사산들이 구비되어 서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캡의 커버부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축부가 구비되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부는 외주면에 나사산들이 구비되어 디퓨져콘부의 한쪽에 위치하는 제1 축과, 상기 디퓨져콘부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축과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의 연결부는 원통개폐부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 개의 연결바들과, 상기 연결바들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축부와 연결되는 체결바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회전캡의 회전에 따라 원통 형상의 원통개폐부가 유로관부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직선 왕복하면서 유출입통로를 개폐하게 되므로 공기의 유동 저항이 적게 된다. 즉, 원통개폐부가 원통 형상이고 댐퍼케이스의 유로관부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움직이게 되므로 유로관부 내부의 공기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유출입통로가 유로관부의 반경 방향으로 구비되고 원통개폐부가 유로관부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유출입통로를 개폐하게 되므로 공기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고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 A'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 B'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유출입통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캡의 커버부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캡의 축부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에서 유출입통로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에서 유출입통로를 열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 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 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유출입통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2,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의 일실시예는 댐퍼케이스(100), 회전캡(200), 개폐부재(300)를 포함한다.
댐퍼케이스(100)는 수동 댐퍼의 외형을 형성한다. 댐퍼케이스(100)는 원통 형상의 유로관부(110)와, 유로관부(110)의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확관부(120)와, 유로관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130)들과, 지지부(130)들에 연결되어 확관부(120)와 함께 유출입통로(140)를 형성하는 디퓨져콘부(150)를 포함한다.
확관부(120)는 유로관부(110)의 한쪽 단부에서 유로관부(110)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환형링 형상 부분(121)과, 환형링 형상 부분(121)에서 곡면 형상으로 절곡 연장된 디퓨져 부분(122)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지지부(130)들은 유로관부(11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복수 개의 지지부(130)들은 네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30)의 단면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30)의 내측면은 유로관부(110)의 내주면의 곡률 반경과 같은 곡률을 갖는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부(130)의 내측면은 유로관부(110)의 내측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한다.
디퓨져콘부(150)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콘 형상이되, 뾰족한 부분이 절단되고 직경이 큰 부분의 끝에 절곡 연장된 부분이 구비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퓨져콘부(150)의 연장 부분이 지지부(130)들의 단부와 연결되며, 디퓨져콘부(150)의 중심선이 유로관부(110)의 중심선과 평행하거나 일치하도록 위치한다.
댐퍼케이스(100)의 유로관부(110)의 내부와 유출입통로(140)가 공기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외부 공기는 유로관부(110)의 내부를 거쳐 유동하여 유출입통로(14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한편, 실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 실내 공기가 유출입통로(140)를 통해 유입되어 유로관부(110)의 내부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회전캡(200)은 디퓨져콘부(150)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회전캡(200)은 댐퍼케이스(100)의 디퓨져콘부(150)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부(210)와, 커버부(210)에 구비되어 디퓨져콘부(150)를 관통하며 개폐부재(300)에 연결되는 축부(220)와, 디퓨져콘부(150)에 지지되도록 축부(220)에 구비되어 축부(220)의 축방향 움직임을 막는 스토퍼부(230)를 포함한다.
커버부(210)는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며, 디퓨져콘부(150)의 직경이 큰 부분의 직경보다 약간 크거나 같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커버부(2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판(211)과, 전면판(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면판(212)을 포함한다. 후면판(212)에 축부(220)가 구비되되, 축부(220)가 후면판(212)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후면판(212)에 두 개의 개구홈(213)이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두 개의 개구홈(213)은 후면판(212)의 테두리에 일정 폭과 깊이로 형성된다. 두 개의 개구홈(213)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판(212)의 가운데 부분에 접시 형상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축부(2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들이 구비되어 디퓨져콘부(150)의 한쪽에 위치하는 제1 축(221)과, 디퓨져콘부(150)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여 제1 축(221)과 연결되며 커버부(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축(22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축(221)은 균일한 외경을 가지며 한쪽 단부에 환형의 걸림돌기(11)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 환형의 지지돌기(23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2 축(222)은 한쪽에 환형의 지지돌기(232)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 커버부(2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수단(22)이 구비된다. 제1 축(221)의 지지돌기(231)와 제2 축(222)의 지지돌기(232)는 스토퍼부(230)를 구성한다. 착탈수단(22)의 일예로, 착탈수단은 제2 축(222)의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착탈돌기들을 포함하며, 이때 커버부(210)에는 착탈돌기들이 착탈되는 결합구멍이 구비된다. 착탈돌기들을 횡방향으로 단면한 모양은 대략 사각 형태로 배열되고 결합구멍 또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축(221)과 제2 축(222)은 나사(S)에 의해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축(221)의 한쪽 끝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홀이 형성되고 그 홀에 나사가 삽입되어 제1 축(221)과 제2 축(222)을 체결한다.
개폐부재(300)는 회전캡(200)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댐퍼케이스(100)의 유출입통로(140)를 개폐한다. 개폐부재(300)는 댐퍼케이스(100)의 유로관부(110)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원통개폐부(310)와, 상기 원통개폐부(310)에 연결되어 회전캡(200)과 연결되는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원통개폐부(310)의 두께는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원통개폐부(310)의 외경은 댐퍼케이스(100)의 유로관부(110) 내경과 상응한다.
연결부(320)는 원통개폐부(310)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 개의 연결바(321)들과, 연결바(321)들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어 축부(220)와 연결되는 체결바디(322)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연결바(321)들은 세 개 또는 네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연결바(321)들은 반경 방향으로 위치한다. 체결바디(322)는 내부에 관통구멍이 구비된 환형 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축부(220)의 일측 외주면에 수나사산들이 구비되고 연결부(320)의 체결바디(322)의 관통구멍 내주면에 암나사산들이 구비되어 축부(220)의 수나사산들과 체결바디(322)의 암나사산들이 서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부(220)의 수나사산들과 체결바디(322)의 암나사산들이 체결됨에 의해 축부(220)를 회전시킴에 따라 체결바디(322)가 직선으로 움직이게 되며, 체결바디(322)가 움직임에 따라 그와 연결된 연결바(321)들과 원통개폐부(310)가 직선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는 건물의 실내 천장 일부분에 설치된다. 천장의 내부에 환기시스템의 환기덕트(D)가 위치하며, 수동 댐퍼의 댐퍼케이스(100)의 유로관부(110)가 환기덕트(D)의 단부에 연결된다.
실외 공기가 환기덕트(D)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댐퍼케이스(100)의 공기 유로를 닫게 될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캡(20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캡(20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캡(200)의 축부(220)가 회전하면서 축부(220)에 맞물린 개폐부재(300)를 디퓨져콘부(150)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개폐부재(300)가 디퓨져콘부(150)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개폐부재(300)의 원통개폐부(310)가 유로관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확관부(120)와 디퓨져콘부(150) 사이의 유출입통로(140)를 막게 된다.
한편, 실외 공기가 환기덕트(D)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댐퍼케이스(100)의 공기 유로를 열게 될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캡(20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캡(20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캡(200)의 축부(220)가 회전하면서 축부(220)에 맞물린 개폐부재(300)를 디퓨져콘부(150)의 반대편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개폐부재(300)가 디퓨져콘부(150)의 반대편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개폐부재(300)의 원통개폐부(310)가 유로관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확관부(120)와 디퓨져콘부(150) 사이의 유출입통로(140)를 열게 된다. 유출입통로(140)가 열리게 되면 외부 공기가 환기덕트(D)를 통해 댐퍼케이스(100)의 유로관부(110)로 유입되고 유로관부(110)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디퓨져콘부와 확관부에 의해 형성되는 유출입통로(140)를 통해 퍼지면서 실내로 유입된다.
또한, 확관부(120)와 디퓨져콘부(150) 사이인 유출입통로(14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 양을 조절하게 될 경우 회전캡(20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개폐부재(300)의 원통개폐부(310)가 유출입통로(14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공기의 흐름 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캡의 회전에 따라 원통 형상의 원통개폐부(310)가 유로관부(1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직선 왕복하면서 유출입통로(140)를 개폐하게 되므로 공기의 유동 저항이 적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통개폐부(310)가 원통 형상이고 댐퍼케이스(100)의 유로관부(1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움직이게 되므로 유로관부(110) 내부의 공기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유출입통로(140)가 유로관부(110)의 반경 방향으로 구비되고 원통개폐부(310)가 유로관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유출입통로(140)를 개폐하게 되므로 공기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고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게 된다.
100; 댐퍼케이스 200; 회전캡
300; 개폐부재

Claims (6)

  1. 원통 형상의 유로관부와, 상기 유로관부의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확관부와, 상기 유로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들과, 상기 지지부들에 연결되어 상기 확관부와 함께 유출입통로를 형성하는 디퓨져콘부를 포함하는 댐퍼케이스;
    상기 댐퍼케이스의 디퓨져콘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회전캡; 및
    상기 댐퍼케이스의 유로관부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원통개폐부와, 상기 원통개폐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캡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하면서 상기 원통개폐부가 유출입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케이스의 복수 개의 지지부들은 유로관부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은 상기 댐퍼케이스의 디퓨져콘부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어 디퓨져콘부를 관통하며 상기 개폐부재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축부와, 상기 디퓨져콘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축부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의 축방향 움직임을 막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들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연결부에 암나사산들이 구비되어 서로 체결되는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의 커버부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축부가 구비되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콘부의 한쪽에 위치하는 제1 축과, 상기 디퓨져콘부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축과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축부는 한쪽에 구비되는 걸림돌기와, 제1 축부의 다른 한쪽에 구비되어 상기 디퓨져콘부에 지지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와 지지돌기 사이에 구비되는 수나사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축부는 한쪽에 구비되어 상기 디퓨져콘부에 지지되는 지지돌기와, 다른 한쪽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연결부는 원통개폐부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 개의 연결바들과, 상기 연결바들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축부와 연결되는 체결바디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KR1020150004523A 2015-01-13 2015-01-13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KR20160087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523A KR20160087406A (ko) 2015-01-13 2015-01-13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523A KR20160087406A (ko) 2015-01-13 2015-01-13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191A Division KR20160102376A (ko) 2016-08-22 2016-08-22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406A true KR20160087406A (ko) 2016-07-22

Family

ID=5668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523A KR20160087406A (ko) 2015-01-13 2015-01-13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74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8573A1 (en) * 2017-01-30 2018-08-02 Zehnder Group International Ag Air diffuser device for ventilating roo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8573A1 (en) * 2017-01-30 2018-08-02 Zehnder Group International Ag Air diffuser device for ventilating rooms
CN110291343A (zh) * 2017-01-30 2019-09-27 亿康先达国际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通风室的空气扩散器装置
CN110291343B (zh) * 2017-01-30 2021-12-21 亿康先达国际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通风室的空气扩散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US20080182505A1 (en) Air diffuser for high velocity hvac systems
KR20160087406A (ko)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US7108600B1 (en) Air duct register
WO2012137466A1 (ja) 差圧作動式の換気口
KR101642261B1 (ko) 환기시스템의 전동댐퍼
KR100963035B1 (ko) 탈착식 디퓨져
KR20170054358A (ko)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KR20160102376A (ko)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KR200471258Y1 (ko)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JP2009250552A (ja) 換気グリル
KR100836822B1 (ko) 환기시스템용 후드
KR20130022576A (ko) 양방향 팬 조립체
KR102031002B1 (ko) 댐퍼 어셈블리
KR20210096372A (ko) 전동형 댐퍼
AU2014286910A1 (en) Plenum chamber improvements
KR101882629B1 (ko)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KR200450750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덕트프레임 고정구조
KR20170003702U (ko) 전열교환기의 흡배기관과 슬리브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
KR101560252B1 (ko) 공기 분배기
KR101036678B1 (ko) 경사각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이음관
KR102669481B1 (ko) 필터교체가 용이한 디퓨저
KR102061972B1 (ko) 밸브 일체형 이중관 급배기 댐퍼
KR200477803Y1 (ko) 배기덕트 내입형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0953903B1 (ko) 디퓨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