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137A -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137A
KR20160087137A KR1020150005902A KR20150005902A KR20160087137A KR 20160087137 A KR20160087137 A KR 20160087137A KR 1020150005902 A KR1020150005902 A KR 1020150005902A KR 20150005902 A KR20150005902 A KR 20150005902A KR 20160087137 A KR20160087137 A KR 20160087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terminal
teacher
schedul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교육
Priority to KR102015000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7137A/ko
Publication of KR2016008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 저장된 또는 학습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교사 리스트 및 학습 스케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되,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접속된 교사 단말기와 동기화되어 통화내용을 녹취하고, 녹취한 통화기록정보를 학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회원 단말기; 회원 단말기와 교사 단말기간의 학습 스케줄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회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화기록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학습관리 서버; 및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접속된 회원 단말기와 동기화되되, 회원 단말기와의 동기화 중에 무선통신 호접속이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자동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호접속이 감지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교사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관리 서버를 통해 회원 단말기 및 교사 단말기의 학습 스케줄을 예약 및 관리하되,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회원 단말기와 교사 단말기의 동기화시 녹취된 학습기록을 학습관리 서버에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회원의 학습 스케줄 설정/변경이 가능하고, 학습 완료 후에도 회원이 학습관리 서버에 저장된 녹취기록을 재생하여 복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MANAGING STUDY USING SMART DEVIC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관리 서버를 통해 회원 단말기 및 교사 단말기의 학습 스케줄을 예약 및 관리하되,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회원 단말기와 교사 단말기의 동기화시 녹취된 학습기록을 학습관리 서버에 저장 및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화학습방법은 학생과 선생님 간에 서로 전화를 통해 학습을 전개시켜나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화학습 서비스사는 다수의 선생님을 보유하고 있으며, 학생이 수강료를 지불하게 되면 학생이 선택하는 선생님과 학생 간에 정해진 시간만큼 전화통화에 의한 학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근래에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화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발전되어 가고 있는데,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화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학습자(이하, '회원'이라 한다.)들에게 웹페이지를 통해 강사들을 소개하고, 회원이 특정 강사를 지정하게 되면, 회원과 강사 간에 약속된 시간에 강사가 회원에게 전화통화를 시도함으로써 전화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중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23516호는 회원이 강의 종료 후 다음 강의를 예약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의 경우, 전화학습 강의 예약은 가능하나 전화학습 예약시간은 서비스 제공 측으로부터 강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회원은 모든 자신의 일정을 전화학습에만 맞출 수밖에 없고 회원의 스케줄은 전혀 고려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회원의 학습의지를 떨어뜨리는 결과로 이어질 수밖에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90420에는, 전화 학습 시간 및 학습방법을 회원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회원이 학습 시간을 계획하고 학습할 수 있어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고 효율적인 시간관리가 가능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상황에 맞게 강의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들의 경우, 예약된 시간에 강사와 회원간의 전화통화를 통해 학습의 편의를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학습이 전화상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이 전화중에만 일회성으로 이루어지고, 질의응답 역시 전화통화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계적인 학습관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학습결과물인 통화내용을 별도로 기록하여 관리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회원 스스로가 학습 내용을 단말기로 녹취하여 통화내용을 다시 학습하는 등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가피한 상황으로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회원이 강사에게 전화통화를 요청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으나, 회원이 강사의 스케줄을 알 수 없어 전화 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2351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904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학습관리 서버를 통해 회원 단말기 및 교사 단말기의 학습 스케줄을 예약 및 관리하되,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회원 단말기와 교사 단말기의 동기화시 녹취된 학습기록을 학습관리 서버에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회원의 학습 스케줄 설정/변경이 가능하고, 학습 완료 후에도 회원 학습관리 서버에 저장된 녹취기록을 재생하여 복습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은, 기 저장된 또는 학습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교사 리스트 및 학습 스케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되,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접속된 교사 단말기와 동기화되어 통화내용을 녹취하고, 녹취한 통화기록정보를 학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회원 단말기; 회원 단말기와 교사 단말기간의 학습 스케줄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회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화기록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학습관리 서버; 및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접속된 회원 단말기와 동기화되되, 회원 단말기와의 동기화 중에 무선통신 호접속이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자동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호접속이 감지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교사 단말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은, 회원 단말기가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a) 단계; (a) 단계의 판단결과,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회원 단말기가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접속된 교사 단말기와 동기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b) 단계; (b) 단계의 판단결과, 교사 단말기와 동기화되는 경우, 회원 단말기가 교사 단말기와의 통화내용을 녹취하는 (c) 단계; 회원 단말기가 교사 단말기와의 동기화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d) 단계; 및 (d) 단계의 판단결과, 교사 단말기와의 동기화가 종료되는 경우, 회원 단말기가 교사 단말기와의 통화내용을 녹취하여 생성한 통화기록정보를 학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e)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관리 서버를 통해 회원 단말기 및 교사 단말기의 학습 스케줄을 예약 및 관리하되,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회원 단말기와 교사 단말기의 동기화시 녹취된 학습기록을 학습관리 서버에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회원의 학습 스케줄 설정/변경이 가능하고, 학습 완료 후에도 회원이 학습관리 서버에 저장된 녹취기록을 재생하여 복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의 회원 단말기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의 학습관리 서버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의 제S30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의 제S50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S)은, 회원 단말기(10), 학습관리 서버(20) 및 교사 단말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수강자 단말기(10), 학습관리 서버(20) 및 교사 단말기(30)간의 정보 송수신은 3G, LTE 또는 Wi-Fi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망에 의해 전송되며, 교사 단말기(10) 및 수강자 단말기(30)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중에 어느 하나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먼저, 회원 단말기(10)는 기 설치된 학습관리 앱(App)의 제어에 따라 기 저장된 또는 학습관리 서버(20)로부터 수신한 교사 리스트 및 학습 스케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되,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접속된 교사 단말기(30)와 동기화되어 통화내용을 녹취하고, 녹취한 통화기록정보를 학습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또한, 학습관리 서버(20)는 회원 단말기(10)와 교사 단말기(30)간의 학습 스케줄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회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통화기록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그리고, 교사 단말기(30)는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접속된 회원 단말기(10)와 동기화되되, 회원 단말기(10)와의 동기화 중에 무선통신 호접속이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자동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호접속이 감지된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하,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S)의 회원 단말기(10)에 대한 세부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회원 단말기(10)의 스케줄 관리부(11)는 입력받은 제어신호와 부합하도록 기 설정된 시간에 교사 단말기(30)와의 전화통화를 위한 학습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여 학습관리 서버(20)로 전송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교사 단말기(30)와 동기화시킨다.
또한, 예약 관리부(12)는 상기 학습 스케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되, 스케줄 검색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스케줄 검색신호와 대응하는 학습 스케줄 정보를 색인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스케줄 변경신호와 대응하도록 상기 학습 스케줄 정보에 포함된 학습시간 및 동기화할 교사 단말기 식별번호를 갱신한다.
그리고, 학습 녹취부(13)는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교사 단말기(30)와 동기화되는 경우, 전화통화 내용을 녹취하여 생성한 통화기록정보를 학습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10)의 스케줄 관리부(11), 예약 관리부(12) 및 학습 녹취부(13)는 학습관리 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된 학습관리 앱(App)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이하,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S)의 학습관리 서버(20)에 대한 세부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학습관리 서버(20)의 스케줄 관리DB(21)는 회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학습 스케줄 정보를 교사 단말기 식별번호와 대응하도록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통화기록 관리DB(22)는 회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통화기록정보를 수강자 단말기 식별정보와 대응하도록 저장 및 관리한다.
그리고, SMS 발송부(23)는 기 설정된 시간에 또는 SMS 발송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스케줄 관리DB(21)에 저장된 학습 스케줄 정보 알림 메시지를 교사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이하,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회원 단말기(10)가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제S10단계의 판단결과,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회원 단말기(10)가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접속된 교사 단말기(30)와 동기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제S20단계의 판단결과, 교사 단말기(30)와 동기화되는 경우, 회원 단말기(10)가 교사 단말기(30)와의 통화내용을 녹취한다(S30).
이어서, 회원 단말기(10)가 교사 단말기(30)와의 동기화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제S40단계의 판단결과, 교사 단말기(30)와의 동기화가 종료되는 경우, 회원 단말기(10)가 교사 단말기(30)와의 통화내용을 녹취하여 생성한 통화기록정보를 학습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50).
이하,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의 제S30단계 이후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30단계 이후, 교사 단말기(30)가 회원 단말기(10)와의 동기화 중에 또 다른 무선통신 호접속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
제S60단계의 판단결과, 동기화 중에 또 다른 무선통신 호접속이 감지되는 경우, 교사 단말기(30)가 기 설정된 자동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호접속이 감지된 단말기로 전송한다(S70).
이하,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의 제S50단계 이후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단계 이후, 교사 단말기(30)가 스케줄 요청정보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0).
제S80단계의 판단결과, 스케줄 요청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교사 단말기(30)가 스케줄 요청정보를 학습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90).
그리고, 학습관리 서버(20)가 스케줄 요청정보와 대응하도록 저장된 학습 스케줄 정보를 교사 단말기(30)로 전송한다(S1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10: 회원 단말기 11: 스케줄 관리부
12: 예약 관리부 13: 학습 녹취부
20: 학습관리 서버 21: 스케줄 관리DB
22: 통화기록 관리DB 23: SMS 발송부
30: 교사 단말기

Claims (8)

  1.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기 저장된 또는 학습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교사 리스트 및 학습 스케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되,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접속된 교사 단말기와 동기화되어 통화내용을 녹취하고, 녹취한 통화기록정보를 학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회원 단말기;
    상기 회원 단말기와 교사 단말기간의 학습 스케줄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회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화기록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학습관리 서버; 및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접속된 회원 단말기와 동기화되되, 회원 단말기와의 동기화 중에 무선통신 호접속이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자동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호접속이 감지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교사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단말기는,
    입력받은 제어신호와 부합하도록 기 설정된 시간에 교사 단말기와의 전화통화를 위한 학습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여 학습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교사 단말기와 동기화시키는 스케줄 관리부;
    상기 학습 스케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되, 스케줄 검색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스케줄 검색신호와 대응하는 학습 스케줄 정보를 색인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스케줄 변경신호와 대응하도록 상기 학습 스케줄 정보에 포함된 학습시간 및 동기화할 교사 단말기 식별번호를 갱신하는 예약 관리부; 및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교사 단말기와 동기화되는 경우, 전화통화 내용을 녹취하여 생성한 통화기록정보를 학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학습 녹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관리부, 예약 관리부 및 학습 녹취부는,
    상기 학습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된 학습관리 앱(App)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관리 서버는,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학습 스케줄 정보를 교사 단말기 식별번호와 대응하도록 저장 및 관리하는 스케줄 관리DB; 및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화기록정보를 교사 단말기 식별정보와 대응하도록 저장 및 관리하는 통화기록 관리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관리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에 또는 SMS 발송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스케줄 관리DB에 저장된 학습 스케줄 정보 알림 메시지를 교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SMS 발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6.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회원 단말기가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판단결과,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회원 단말기가 무선통신 호접속을 통해 접속된 교사 단말기와 동기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교사 단말기와 동기화되는 경우, 회원 단말기가 교사 단말기와의 통화내용을 녹취하는 단계;
    (d) 회원 단말기가 교사 단말기와의 동기화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의 판단결과, 교사 단말기와의 동기화가 종료되는 경우, 회원 단말기가 교사 단말기와의 통화내용을 녹취하여 생성한 통화기록정보를 학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f) 교사 단말기가 회원 단말기와의 동기화 중에 또 다른 무선통신 호접속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의 판단결과, 동기화 중에 또 다른 무선통신 호접속이 감지되는 경우, 교사 단말기가 기 설정된 자동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호접속이 감지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h) 교사 단말기가 스케줄 요청정보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i) 상기 (h) 단계의 판단결과, 스케줄 요청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교사 단말기가 스케줄 요청정보를 학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j) 학습관리 서버가 스케줄 요청정보와 대응하도록 저장된 학습 스케줄 정보를 교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
KR1020150005902A 2015-01-13 2015-01-13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7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5902A KR20160087137A (ko) 2015-01-13 2015-01-13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5902A KR20160087137A (ko) 2015-01-13 2015-01-13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137A true KR20160087137A (ko) 2016-07-21

Family

ID=5668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5902A KR20160087137A (ko) 2015-01-13 2015-01-13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713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516A (ko) 2000-09-22 2002-03-29 조영호 실시간 대화를 통한 인터넷상의 외국어 학습 방법
KR20110090420A (ko) 2010-02-03 2011-08-10 주두철 전화학습 예약 서비스 서버와 전화학습 예약방법, 전화학습 강사채용 서버 와 전화학습 강사 채용 방법 및 전화학습 서비스서버와 강사의 전화학습 비용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516A (ko) 2000-09-22 2002-03-29 조영호 실시간 대화를 통한 인터넷상의 외국어 학습 방법
KR20110090420A (ko) 2010-02-03 2011-08-10 주두철 전화학습 예약 서비스 서버와 전화학습 예약방법, 전화학습 강사채용 서버 와 전화학습 강사 채용 방법 및 전화학습 서비스서버와 강사의 전화학습 비용 결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14402A1 (en) Managing grouped student devices with timed locks
CN102819969A (zh) 多媒体教育平台的实现方法及多媒体教育平台系统
US10133682B2 (en) Managing grouped student devices with timed locks
US20130302776A1 (en) Management of off-task time in a participatory environment
WO20150626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a multiuser web session and replaying a multiuser web session
KR20150088196A (ko) 스마트 출석체크 시스템 및 스마트 출석체크 방법
CN105225556A (zh) 一种课件分发的方法及装置
WO2020155806A1 (zh) 一种提示信息输出方法、相关装置及存储介质
KR101677273B1 (ko) 교사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645762B2 (ja) 遠隔教育支援装置、遠隔教育支援方法、及び遠隔教育支援プログラム
KR102183177B1 (ko)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러닝에 최적화된 개별 맞춤 교육 서비스의 관리 자동화 기능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10611717B (zh) 一种预制数据传播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160087137A (ko)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071956A (zh) 基于移动端的学生信息沟通方法及系统
KR20160087138A (ko)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운용 방법
WO2016070591A1 (zh) 一种教学资源处理方法及系统
KR100931984B1 (ko)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상호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60087139A (ko)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운용 방법
CN105654795A (zh) 为外国人提供韩国语学习服务的方法
CN104038609A (zh) 一种联系人头像的设置方法和装置
CN111083426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KR20160087140A (ko)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통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9866A (ko) 블루투스 감도를 활용한 스마트 출석체크 시스템 및 스마트 출석체크 방법
KR20130011875A (ko) 푸시 알림을 이용한 암기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CN103916819A (zh) 位置信息的显示方法、移动终端以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