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665A -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665A
KR20160085665A KR1020150002968A KR20150002968A KR20160085665A KR 20160085665 A KR20160085665 A KR 20160085665A KR 1020150002968 A KR1020150002968 A KR 1020150002968A KR 20150002968 A KR20150002968 A KR 20150002968A KR 20160085665 A KR20160085665 A KR 20160085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tate
case
display unit
cov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1033B1 (ko
Inventor
백범현
이상윤
이용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2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033B1/ko
Priority to US14/793,602 priority patent/US9973620B2/en
Publication of KR2016008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2Interfacing with an external cove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56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한다. 단말기는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고, 판단된 단말기 상태 및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에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의 케이스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그리고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음에 따라, 단말기에는 이전보다 큰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두께가 얇고 고해상도이면서, 터치 패널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고가의 부품에 해당한다.
한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커짐에 따라, 단말기의 추락, 단말기에 대한 충격 등에 의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파손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러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파손 위험으로부터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 케이스를 단말기에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특히,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해 단말기의 전면을 단말기 케이스의 케이스 전면이 덮는 형태의 단말기 케이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케이스 전면이 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형태의 단말기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단말기 케이스의 케이스 전면을 젖혀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단말기 케이스 사용으로 인한 단말기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단말기는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된 단말기가 단말기 케이스의 케이스 전면이 젖혀지는 것을 인식하는 경우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켜지는 동작을 지원하기도 한다. 또한, 단말기 케이스의 케이스 전면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 창을 구비해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일부 화면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들은 단말기의 일부 동작만을 지원할 뿐이어서, 단말기가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동작을 제공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된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하기 위해, 사용자는 여전히 단말기 케이스의 케이스 전면을 젖힌 후, 몇 번의 입력 단계를 거쳐야 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된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동작을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단말기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커버 상태에 대응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동작 상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단말기 상태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는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케이스 전면부의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케이스 전면부의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를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고, 상기 판단된 단말기 상태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는 단말기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의 케이스 상태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서, 단말기 케이스를 단말기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단말기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성체가 장착된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성체가 장착된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자기 센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면 센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면센서의 센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된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후면센서의 센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의 제1 커버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의 제2 커버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의 제3 커버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커버 상태에서의 단말기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 수신 화면에 대응하는 제1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 종료 화면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 종료 화면에 대응하는 제2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 수신 화면에 대응하는 제2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3 동작에 따른 제2 윈도우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윈도우에 대한 편집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윈도우에 따른 이벤트 실행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윈도우에 대한 이벤트 추가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윈도우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윈도우에 따른 이벤트 실행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3 윈도우에 따른 이벤트 실행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거리, 제1 기준 거리 및 제2 기준 거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1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 수신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3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계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5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날씨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8 내지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글자 크기 변경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100) 사이, 단말기(100)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상술한 사용자 입력부(123)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기 내 정보,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단말기(100)에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부(140)에 포함된 자기 센서(145)를 통해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센싱부(140)에 포함된 전면 센서(146) 또는 후면 센서(147)를 통해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센싱부(140)의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 센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모듈(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100)가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144)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144)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144)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44)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 및 정전용량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44)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80)는 터치 시의 면적, 압력 및 정전용량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손톱 터치, 손가락 마디 터치, 복수의 손가락을 이용한 멀티 터치를 구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144)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한편 근접 센서(141)는 단말기(100)의 전면 방향을 센싱하는 전면 센서(146)와 단말기(100)의 후면 방향을 센싱하는 후면 센서(1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햅틱 모듈(154)은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햅틱 모듈(154)에는 하나 이상의 진동 모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진동 모터는 바 타임, 코인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햅틱 모듈(154)은 단말기(1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치 타입의 단말기(300)인 경우, 와치 타입의 단말기(300)의 본체(301), 밴드(302) 중 하나 이상에 햅틱 모듈(154)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60)는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홈 디바이스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로부터 단말기 케이스(200)에 대한 센싱값을 전달받아,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단말기(100)는 휴대형 단말기일 수도 있고, 거치형 단말기일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직접 휴대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일정 영역에 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상술한 단말기(100)에 결합 가능한 단말기 케이스(200)에 대해 이하 상세히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케이스(200)는 케이스 전면부(210), 케이스 후면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케이스(200)는 케이스 전면부(210)와 케이스 후면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 케이스(200)와 단말기(100)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체결부(미도시)는 단말기(100)의 측면과 후면을 커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단말기(10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전방은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체결부(미도시)의 내부에는 단말기(100)가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단말기 케이스(200)에는 단말기(100)의 일면에 구비되는 카메라 또는 기타 조작 버튼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 케이스(200)에는 단말기의 전면, 측면, 후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카메라 또는 기타 조작 버튼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전면부(210)는 단말기(100)의 전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케이스 전면부(210)는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 전면부(210)의 개구부는 케이스 전면부(2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절개되어 형성된 개구부는 빈 공간으로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개구부에는 투명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투명 필름은 터치가 가능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투명 필름은 개구부를 통해 보이는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이 턴 오프 되어있는 경우 거울 역할을 하는 특수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면 개구부(270)를 통해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상 또는 영상을 볼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 전면부(210)에는 단말기(100)의 센서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케이스 후면부(220)는 단말기(100)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케이스 후면부(220)는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 후면부(220)의 개구부는 케이스 후면부(2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절개되어 형성된 개구부는 빈 공간으로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개구부에는 투명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투명 필름은 터치가 가능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후면부(220)는 단말기(100)의 카메라(121)에 대응하는 제1 후면 개구부(22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후면부(220)는 단말기(100)의 후면에 구비된 조작 버튼에 대응하는 제2 후면 개구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미도시)는 케이스 전면부(210)와 케이스 후면부(220)를 연결할 수 있고, 유연한(flexibl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케이스 전면부(210)에 자성체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성체가 장착된 단말기 케이스(200)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 전면부(210)는 자성체인 전면 자성체(231)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전면부(210)에 전면 자성체(231)가 포함된 경우, 케이스 전면부(210)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단말기 케이스(200)와 결합된 단말기(100)는 이러한 자기장의 변화를 센싱부(14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케이스 후면부(220)에도 자성체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성체가 장착된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 전면부(210) 및 케이스 후면부(220) 각각은 자성체인 전면 자성체(231), 후면 자성체(233)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전면부(210)에 전면 자성체(231)가 포함된 경우, 케이스 전면부(210)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케이스 후면부(220)에 후면 자성체(233)가 포함된 경우, 케이스 전면부(210)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단말기 케이스(200)와 결합된 단말기(100)는 이러한 자기장의 변화를 센싱부(14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40)는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부(140)는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경우의 전면 자성체(231), 후면 자성체(233) 각각에 대한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100)의 후면에 위치하는 경우의 전면 자성체(231), 후면 자성체(233) 각각에 대한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의 전면 자성체(231), 후면 자성체(233) 각각에 대한 자기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전면 자성체(231)는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100)의 후면에 위치하는 경우, 후면 자성체(233)와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단말기 케이스(200)에 포함된 자성체를 감지하는 센싱부(1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자기 센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센서(145)는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다. 자기 센서(145)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에 대응하는 자기장 크기, 자기장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센서(145)는 케이스 전면부(210)의 움직임에 따른, 전면 자성체(231)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센서(145)는 케이스 전면부(210)에 포함된 전면 자성체(231) 및 케이스 후면부(220)에 포함된 후면 자성체(233) 각각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자기 센서(145)는 전면 자성체(231), 후면 자성체(233)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자기 센서(145)는 복수의 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복수의 자기 센서인 전면 자기 센서(146) 및 후면 자기 센서(147)을 포함하는 자기 센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자기 센서(146)는 단말기(100)의 전면 방향에 대한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후면 자기 센서(147)은 단말기(100)의 후면 방향에 대한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 센서(145)는 단말기(100)의 전면, 후면 중 하나 이상의 방향에 대한 자기장을 각각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근접 센서(141)를 통해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일면에 구비된 근접 센서를 통해 단말기 케이스(200)를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면 센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단말기의 전면에 전면센서(148)를 구비할 수 있다. 전면센서(148)은 단말기(100)의 전면 방향에 대해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센서(148)은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센서(148)는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100)의 전면을 덮고 있는 상태,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100)의 전면을 덮고 있지 않은 상태 각각을 센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전면센서(148)의 케이스 전면부(210) 센싱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면센서의 센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전면센서(148)는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100)를 덮고 있는 상태일 때, 전면센서(148)에 대응하는 케이스 전면부(210)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면센서(148)는 전면센서(148)에 대응하는 케이스 전면부(21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후면에 후면센서(149)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된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기 케이스(200)와 결합된 단말기(100)의 후면에 구비된 후면센서(149), 카메라(121), 조작 버튼(124) 각각이 케이스 후면부(22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 후면부(220)는 카메라(121)에 대응하는 제1 후면 개구부(220a), 조작 버튼(124)에 대응하는 제2 후면 개구부(220b), 후면센서(149)에 대응하는 제3 후면 개구부(220c)를 구비될 수 있다.
후면센서(149)는 단말기(100)의 후면 방향에 대해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센서(149)는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100)의 후면에 대해 젖혀진 경우, 케이스 전면부(210)를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후면센서의 센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후면센서(149)는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의 후면으로 젖혀진 경우, 케이스 전면부(210)를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센서(149)는 후면센서(149)에 대응하는 케이스 전면부(21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단말기(100) 및 단말기 케이스(200)에 대한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의 단말기(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단말기의 상태를 판단한다(S110).
여기서 단말기의 상태는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 중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 각각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켜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켜짐 여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 중인 화면에 대응하는 동작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에 대해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의 제1 커버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는 단말기(10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100)의 전면을 덮고 있는 상태를 이하 "제1 커버 상태"라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의 제2 커버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는 단말기(100)의 너비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가 펼쳐진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100)의 너비 방향에 위치하는 상태를 이하 "제2 커버 상태"라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의 제3 커버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는 단말기(1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100)의 후면 방향으로 젖혀진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의 후면을 덮는 상태를 이하 "제3 커버 상태"라 한다.
다시 도 11을 참조한다.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커버 상태 변화를 인식한다(S130).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단말기 케이스(200)의 커버 상태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에 포함된 자기 센서(145), 근접 센서(141)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단말기 케이스(200)에 대한 센싱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센싱값을 기초로 단말기 케이스(200)의 커버 상태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자기 센서(145)에 포함된 전면 자기 센서(148), 후면 자기 센서(149) 중 하나 이상은 단말기 케이스(200)에 포함된 전면 자성체(231), 후면 자성체(233) 중 하나 이상을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자기 센서(145)에 포함된 전면 자기 센서(148), 후면 자기 센서(149) 중 하나 이상이 센싱한 센싱값인 자기장의 크기, 자기장 방향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단말기 케이스(200)의 커버 상태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근접 센서(141)에 포함된 전면센서(148), 후면센서(149) 중 하나 이상은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에 대응하는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근접 센서(141)에 포함된 전면센서(148), 후면센서(149) 중 하나 이상이 센싱한 센싱값인 케이스 전면부(210)에 대응하는 거리를 기초로 단말기 케이스(200)의 커버 상태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판단된 단말기의 상태 및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50).
제어부(180)는 단계 S110에서 판단된 단말기의 상태 및 단계 S130에서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기초로 판단된 단말기의 상태 및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제2 커버 상태 또는 제3 커버 상태로 단말기 커버 상태 변화를 인식한 경우,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 중인 화면에 대응하는 동작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제3 커버 상태에서 제2 커버 상태 또는 제3 커버 상태에서 제1 커버 상태로 단말기 커버 상태 변화를 인식한 경우, 제3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 중인 화면에 대응하는 동작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제2 커버 상태에서 제3 커버 상태로 단말기 커버 상태 변화를 인식한 경우, 제2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 중인 화면에 대응하는 동작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5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가 단말기(100)의 전면을 덮고 있는 제1 커버 상태를 인식한다(S211).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자기 센서(145), 근접센서(141)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케이스 전면부(21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가 제1 커버 상태인지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한 바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의 단말기의 상태 판단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 상태를 판단하고(S213), 디스플레이부(151)가 온(On) 상태이면 커버 상태 변화를 감지한다(S231).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온(On) 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51)에 단말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을 케이스 전면부(210)에 구비된 전면 개구부(270)를 통해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커버 상태에서의 단말기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단말기에 수신된 전화와 관련된 전화 수신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화면에서 케이스 전면부(210)에 구비된 전면 개구부(270)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전화 수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온 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커버 상태에서 전화 수신에 대한 화면 표시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제1 커버 상태에서의 단말기 화면 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단말기 동작과 관련된 화면이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메시지 수신, 현재 시간 표시, 날씨 표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동작과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온 상태이면,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가 제1 커버 상태에서 다른 커버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의 센싱부(140)의 센싱값이 변화하면,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가 제1 커버 상태에서 다른 커버 상태로 변화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가 제1 커버 상태에서 다른 커버 상태로 커버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된 커버 상태가 제2 커버 상태이면(S233),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에 대응하는 제1 동작을 수행한다(S251).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센싱값을 기초로 변화된 커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센싱값을 기초로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가 제1 커버 상태에서 제2 커버 상태로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기 설정된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제1 동작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 중 간단한 조작이 필요한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간단한 조작은 기준 횟수 이하의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조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 수신 화면에 대응하는 제1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전화 수신 화면에 대응하는 제1 동작으로 전화 수신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전화 수신 또는 전화 거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이 시계 표시 화면이면, 이에 대응하는 제1 동작으로 사용자의 일정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이 날씨 표시 화면이면, 이에 대응하는 제1 동작으로 일정 시간 간격 별 날씨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이 메시지 표시 화면이면, 이에 대응하는 제1 동작으로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주소에 접속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이 음악 재생 화면이면, 이에 대응하는 제1 동작으로 재생 중인 곡과 관련된 컨텐트를 검색하는 접속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이 사진 촬영 화면이면, 이에 대응하는 제1 동작으로 촬영 중인 사진 또는 촬영된 사진을 편집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 중 기준 횟수 이하의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메뉴를 표시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를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 종료 화면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전화 종료 화면에 대응하는 제1 화면으로, 종료된 전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1 화면에 제1 윈도우(31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윈도우(310)는 기준 횟수 이하의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메뉴인 연락처(311), 전화(312), 검색(313)에 대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1 윈도우(310)에 표시된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실행된 메뉴에 따라 종료된 전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동작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동작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한다.
제어부(180)는 감지된 커버 상태가 제3 커버 상태이면(S233),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에 대응하는 제2 동작을 수행한다(S252).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센싱값을 기초로 변화된 커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센싱값을 기초로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가 제1 커버 상태에서 제3 커버 상태로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기 설정된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제2 동작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 중 복잡한 조작이 필요한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잡한 조작은 기준 횟수 초과의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조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를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 종료 화면에 대응하는 제2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전화 종료 화면에 대응하는 제2 화면으로, 종료된 전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2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메뉴인 연락처(311), 전화(312), 메시지(314), 검색(313), 이메일(315)에 대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실행된 메뉴에 따라 종료된 전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2 동작으로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 수신 화면에 대응하는 제2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전화 수신 화면에 대응하는 제2 동작으로 수신된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 획득 없이,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는 상대방과의 통화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이 시계 표시 화면이면, 이에 대응하는 제2 동작으로 시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이 날씨 표시 화면이면, 이에 대응하는 제2 동작으로 날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이 메시지 표시 화면이면, 이에 대응하는 제2 동작으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동작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동작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 상태를 판단하고(S213),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Off) 상태이면 커버 상태 변화를 감지한다(S232).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프 상태이면, 센싱부(140)의 센싱값을 기초로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가 제1 커버 상태에서 다른 커버 상태로 변화되는지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의 센싱부(140)의 센싱값이 변화하면,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가 제1 커버 상태에서 다른 커버 상태로 변화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가 제1 커버 상태에서 다른 커버 상태로 커버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된 커버 상태가 제2 커버 상태이면(S234), 기 설정된 제3 동작을 수행한다(S253).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센싱값을 기초로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가 제1 커버 상태에서 제2 커버 상태로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기 설정된 제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제3 동작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3 동작은 현재 시각과 관련된 이벤트를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제3 동작으로 현재 시각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를 표시하는 이벤트 윈도우인 제2 윈도우(35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시각과 관련된 이벤트는 사용자의 일정, 알람, 해야 할 일, 부재중 수신된 전화, 부재중 수신된 메시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이벤트일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기 설정된 이벤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특정 상대방,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벤트를 이벤트 윈도우인 제2 윈도우(35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3 동작에 따른 제2 윈도우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2 커버 상태에서 현재 시각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를 표시하는 제2 윈도우(35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2 윈도우(350)에 현재 시각인 오후 2시 32분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로 오후 3시에 있을 컨퍼런스에 대한 일정과 관련된 제1 이벤트(351), 수신하지 못한 제이슨 킴으로부터의 부재중 전화와 관련된 제2 이벤트(352), 해야 할 일인 폴에게 파티 초대 메일 보내기와 관련된 제3 이벤트(353)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제2 윈도우(35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윈도우에 대한 편집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제2 윈도우(350)에 포함된 복수의 이벤트인 제1 이벤트 내지 제3 이벤트(351, 352, 353) 중 제1 이벤트(351)에 대응하는 영역을 왼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표시된 제2 윈도우(350)에서 제1 이벤트(351)를 삭제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80)는 표시된 제2 윈도우(350)에 제2 이벤트(352), 제3 이벤트(353)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윈도우에 따른 이벤트 실행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제2 윈도우(350)에 포함된 복수의 이벤트인 제1 이벤트 내지 제3 이벤트(351, 352, 353) 중 제2 이벤트(352)에 대응하는 영역을 오른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2 이벤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80)는 제2 이벤트인 부재중 전화에 대응하는 상대방에게 전화를 발신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윈도우에 대한 이벤트 추가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제2 윈도우(350) 및 이벤트 추가 아이콘(359)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벤트 추가 아이콘(359)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제2 윈도우(350)에 표시될 이벤트를 추가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추가된 이벤트를 제2 윈도우(350)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 이외에도 제어부(180)는 제2 윈도우(35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2 윈도우(350)에 포함된 복수의 이벤트의 표시 순서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2 윈도우(350)에 표시되는 복수의 이벤트에 대한 글자 크기, 폰트, 색상 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3 동작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한다.
제어부(180)는 감지된 커버 상태가 제3 커버 상태이면(S234), 기 설정된 제4 동작을 수행한다(S253).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센싱값을 기초로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가 제1 커버 상태에서 제3 커버 상태로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기 설정된 제4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제4 동작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4 동작은 단말기(100)의 기본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제4 동작으로, 단말기의 기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의 기본 화면은 홈(Home) 화면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4 동작은 단말기(100)가 이전에 수행하던 동작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가 이전에 수행하던 동작은 단말기의 상태가 제1 커버 상태 이전의 제2 커버 상태 또는 제3 커버 상태에서 수행하던 동작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제4 동작으로, 단말기(100)가 이전에 수행하던 동작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가 단계 S211의 제1 커버 상태 이전의 제3 커버 상태에서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고 있었던 경우, 기 설정된 제4 동작으로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4 동작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가 제2 커버 상태 또는 제3 커버 상태에서 다른 커버 상태로 변화되면, 기 설정된 제5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단말기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를 제2 커버 상태 또는 제3 커버 상태로 인식한다(S311).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센싱값을 기초로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자기 센서(145), 근접센서(141) 중 하나 이상의 센싱값을 기초로 케이스 전면부(21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가 제2 커버 상태 또는 제3 커버 상태인지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한 바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80)는 제2 커버 상태 또는 제3 커버 상태에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한다(S331).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센싱값을 기초로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가 제2 커버 상태 또는 제3 커버 상태에서 다른 커버 상태로 변화되는지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센싱값을 기초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가 제3 커버 상태에서 제2 커버 상태, 제3 커버 상태에서 제1 커버 상태, 제2 커버 상태에서 제1 커버 상태 및 제2 커버 상태에서 제3 커버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변화되는지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가 제2 커버 상태 또는 제3 커버 상태에서 다른 커버 상태로 커버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커버 상태 변화를 감지하면, 기 설정된 제5 동작을 수행한다(S351).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센싱값을 기초로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가 제2 커버 상태 또는 제3 커버 상태에서 다른 커버 상태로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기 설정된 제5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제5 동작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5 동작은 단말기(100)의 사용 내역, 미확인 이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요약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 윈도우인 제3 윈도우(370)를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의 사용 내역은 단말기(100)의 커버 상태가 제1 커버 상태에서 제2 커버 상태 또는 제3 커버 상태로 변화된 후, 단말기(100)의 동작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윈도우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사용 내역(371), 미확인 이벤트(372)를 포함하는 요약 정보에 대한 제3 윈도우(37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3 윈도우(370)의 일부 영역에 단말기(100)의 커버 상태가 제1 커버 상태에서 제2 커버 상태 또는 제1 커버 상태에서 제3 커버 상태로 변화된 후의 단말기(100)의 사용 내역(371)으로 <메일 확인>, <캘린더 열기>, <메리에게 메시지 보내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3 윈도우(370)의 다른 일부 영역에 미확인 이벤트(372)인 <한나로부터 부재중 전화>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제3 윈도우(37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윈도우에 따른 이벤트 실행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제3 윈도우(370)에 포함된 사용 내역(371), 미확인 이벤트(372) 중 하나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3 윈도우(370)에 포함된 사용 내역(371), 미확인 이벤트(372) 중 사용 내역(371)에 포함된 하나의 이벤트인 <한나로부터 부재중 전화>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이벤트로, 한나에게 전화를 발신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3 윈도우에 따른 이벤트 실행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제3 윈도우(370)에 포함된 사용 내역(371), 미확인 이벤트(372) 중 하나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3 윈도우(370)에 포함된 사용 내역(371), 미확인 이벤트(372) 중 미확인 이벤트(372)인 <캘린더 열기>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이벤트로, 캘린더 창(375)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제5 동작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전면과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측정된 거리인 측정 거리(d)가 제1 기준 거리(d1)와 제2 기준 거리(d2) 사이에서 머무른 시간인 유지시간(td)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9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케이스 전면부(210)와 단말기(100)의 전면 간의 거리(d)를 측정한다(S410).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센싱값을 기초로 케이스 전면부(210)와 단말기(100)의 전면 간의 거리(d)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에 포함된 자기 센서(145), 근접센서(141) 중 하나 이상의 센싱값을 기초로 측정 거리(d)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자기 센서(145)는 케이스 전면부(210)에 포함된 전면 자성체(231)에 대응하는 자기장의 크기, 자기장 방향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된 전면 자성체(231)에 대응하는 자기장의 크기, 자기장 방향 중 하나 이상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초로 케이스 전면부(210)와 단말기(100)의 전면 간의 거리(d)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근접센서(141)에 포함된 전면센서(148)는 단말기(100)의 전면 방향에 대해 센싱할 수 있다. 전면센서(148)는 케이스 전면부(210)까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면센서(148)의 센싱값을 기초로 케이스 전면부(210)와 단말기(100)의 전면 간의 거리(d)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측정된 케이스 전면부(210)와 단말기(100)의 전면 간의 측정 거리(d)가 제1 기준 거리(d1) 이상이고, 제2 기준 거리(d2) 이하인지 판단한다(S430).
이에 대해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거리, 제1 기준 거리 및 제2 기준 거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측정 거리(d)가 기 설정된 제1 기준 거리(d1) 이상이고, 제2 기준 거리(d2)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거리(d1)은 제2 기준 거리(d2)보다 짧은 거리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측정된 측정 거리(d)에 대한 거리 값이 제1 기준 거리(d1)에 대한 거리 값보다 큰 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측정된 측정 거리(d)에 대한 거리 값이 제2 기준 거리(d2)에 대한 거리 값보다 작은 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판단 결과를 기초로 측정 거리(d)가 기 설정된 제1 기준 거리(d1) 이상이고, 제2 기준 거리(d2)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기준 거리(d1), 제2 기준 거리(d2)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29를 참조한다.
제어부(180)는 측정 거리(d)가 제1 기준 거리(d1) 이상이고, 제2 기준 거리(d2) 이하인 시간인 유지시간(td)를 측정한다(S450).
여기서 유지시간(td)는 측정 거리(d)가 제1 기준 거리(d1)과 제2 기준 거리(d2) 사이에서 유지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측정 거리(d)가 제1 기준 거리(d1) 이상인 시점(t1)부터 제2 기준 거리(d2) 미만인 시점(t2)까지의 유지시간(td)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측정 거리(d)가 제1 기준 거리(d1) 이상인 시점(t1)부터 제2 기준 거리(d2) 초과인 시점(t3)까지의 유지시간(td)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100)의 동작을 판단한다(S470).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와 결합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상태가 제1 커버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100)의 동작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온(On) 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메시지 수신, 현재 시간 표시, 날씨 표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동작과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동작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면, 단말기(100)의 동작이 메시지와 관련된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날씨 표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면, 단말기(100)의 동작이 날씨와 관련된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아,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동작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 및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490).
제어부(180)는 단계 S470에서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 및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 및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는 동작은 기 설정된 동작일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1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 수신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제어부(180)는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이 전화 수신 동작이면, 전화 수신과 관련된 동작을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 및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이 전화 수신 동작이고, 측정된 유지시간(td)이 제1 시간이면, 1분 간 무음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무음벨 표시 및 무음 동작 시간인 1분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이 전화 수신 동작이고, 측정된 유지시간(td)이 제5 시간이면, 5분 간 무음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무음벨 표시 및 무음 동작 시간인 5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계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시계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100)의 동작으로 시간과 관련된 동작을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 및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이 시계 표시 동작이고, 측정된 유지시간(td)이 제3 시간이면, 30분 후 알람하도록 알람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30분 후 알람 표시를 표시할 수 있고, 설정된 30분 후 알람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이 시계 표시 동작이고, 측정된 유지시간(td)이 제7 시간이면, 2시간 후 알람하도록 알람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2시간 후 알람 표시를 표시할 수 있고, 설정된 2시간 후 알람 동작할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날씨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현재 날씨를 나타내는 날씨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날씨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100)의 동작으로 날씨와 관련된 동작을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 및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이 날씨 표시 동작이고, 측정된 유지시간(td)이 제2 시간이면, 내일 날씨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이 날씨 표시 동작이고, 측정된 유지시간(td)이 제6 시간이면, 3일 후의 날씨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 및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단말기(100)의 단말기(100)의 동작 및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는 동작 수행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단말기(100)의 동작 및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는 동작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80)는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 및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의 화면 크기, 글자 크기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38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8 내지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글자 크기 변경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1 커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현재 시간, 날짜 및 요일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현재 시간, 날짜 및 요일을 케이스 전면부(210)에 구비된 전면 개구부(270)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만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 및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글자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현재 시간, 날짜 및 요일에 대한 글자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판단된 단말기(100)의 동작 및 측정된 유지시간(td)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의 화면 크기, 글자 크기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된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동작 상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단말기 상태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는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케이스 전면부의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는
    상기 케이스 전면부가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위치인 제1 커버 상태,
    상기 케이스 전면부가 상기 단말기의 너비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인 제2 커버 상태 및
    상기 케이스 전면부가 상기 단말기의 후면을 덮는 위치인 제3 커버 상태 중 하나의 상태인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온(On) 상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커버 상태에서 상기 제2 커버 상태로 변화하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된 단말기 상태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 중 기준 횟수 이하의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온(On) 상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커버 상태에서 상기 제3 커버 상태로 변화하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된 단말기 상태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 중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오프(Off) 상태이면, 현재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커버 상태에서 상기 제2 커버 상태로 변화하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된 단말기 상태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현재 시각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를 표시하는 이벤트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오프(Off) 상태이면, 상기 제1 커버 상태 이전의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커버 상태에서 상기 제3 커버 상태로 변화하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된 단말기 상태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상기 제1 커버 상태 이전의 상기 단말기의 동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 내역, 상기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커버 상태 또는 상기 제3 커버 상태에서 다른 커버 상태로 변화하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된 단말기 상태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상기 단말기의 사용 내역, 상기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요약 정보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온(On) 상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케이스 전면부와 상기 단말기의 전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이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제2 거리 이하에서 유지되는 시간인 유지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된 단말기 상태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 및 상기 유지시간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케이스 전면부 간의 거리를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된 거리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케이스 전면부에 포함된 자성체에 대응하는 자기장의 크기, 자기장의 방향 중 하나 이상을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된 자기장의 크기, 자기장의 방향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된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케이스 전면부의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를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고, 상기 판단된 단말기 상태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는
    상기 케이스 전면부가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위치인 제1 커버 상태,
    상기 케이스 전면부가 상기 단말기의 너비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인 제2 커버 상태 및
    상기 케이스 전면부가 상기 단말기의 후면을 덮는 위치인 제3 커버 상태 중 하나의 상태인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On) 상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판단하고,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커버 상태에서 상기 제2 커버 상태로 변화하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고,
    상기 판단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 중 기준 횟수 이하의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On) 상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판단하고,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커버 상태에서 상기 제3 커버 상태로 변화하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고,
    상기 판단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 중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Off) 상태이면, 현재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커버 상태에서 상기 제2 커버 상태로 변화하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고,
    상기 획득된 현재 시각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를 표시하는 이벤트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말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Off) 상태이면, 상기 제1 커버 상태 이전의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판단하고,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커버 상태에서 상기 제3 커버 상태로 변화하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고,
    상기 판단된 상기 제1 커버 상태 이전의 상기 단말기의 동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 내역, 상기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하고,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커버 상태 또는 상기 제3 커버 상태에서 다른 커버 상태로 변화하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고,
    상기 획득된 상기 단말기의 사용 내역, 상기 단말기의 미확인 이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요약 정보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말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On) 상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판단하고,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케이스 전면부와 상기 단말기의 전면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이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제2 거리 이하에서 유지되는 시간인 유지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판단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 및 상기 유지시간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거리를 센싱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센서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케이스 전면부 간의 거리를 센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거리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말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자성체에 대응하는 자기장의 크기, 자기장의 방향을 센싱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센서는
    상기 케이스 전면부에 포함된 자성체에 대응하는 자기장의 크기, 자기장의 방향 중 하나 이상을 센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자기장의 크기, 자기장의 방향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말기.
KR1020150002968A 2015-01-08 2015-01-08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51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968A KR101651033B1 (ko) 2015-01-08 2015-01-08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4/793,602 US9973620B2 (en) 2015-01-08 2015-07-07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968A KR101651033B1 (ko) 2015-01-08 2015-01-08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665A true KR20160085665A (ko) 2016-07-18
KR101651033B1 KR101651033B1 (ko) 2016-08-24

Family

ID=5636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968A KR101651033B1 (ko) 2015-01-08 2015-01-08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73620B2 (ko)
KR (1) KR101651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3768B2 (en) * 2015-10-15 2018-10-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casing
KR20190054397A (ko) * 2017-11-13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201636B2 (en) * 2019-04-09 2021-12-14 World Richman Manufacturing Corporation Cradle apparatus for use with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11360538B2 (en) * 2020-04-09 2022-06-14 World Richman Manufacturing Corporation Mechanism for automatically powering off/on a visual display
CN114077468A (zh) * 2020-08-18 2022-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窗口重绘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240365B1 (en) 2020-09-25 2022-02-01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schemes for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detected accessory devices
EP4226603A2 (en) * 2020-10-12 2023-08-16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schemes for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detected accessory devices
KR20230012824A (ko) 2021-07-16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477Y1 (ko) * 2013-07-12 2013-12-31 최병일 휴대 단말기용 플립커버
KR20140057462A (ko) * 2012-11-02 2014-05-13 주식회사 뉴빛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
KR20140142935A (ko) * 2013-06-05 2014-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6498B2 (ja) * 1996-04-26 2005-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JP3949048B2 (ja) * 2002-11-18 2007-07-25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端末装置
EP1855451A4 (en) * 2005-08-22 2009-06-17 Panasonic Corp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8289115B2 (en) * 2010-09-17 2012-10-16 Apple Inc. Sensor fusion
US8344836B2 (en) * 2010-09-17 2013-01-01 Apple Inc. Protective cover for a tablet computer
US8143982B1 (en) * 2010-09-17 2012-03-27 Apple Inc. Foldable accessory device
US8390411B2 (en) * 2010-09-17 2013-03-05 Apple Inc. Tablet device
US9729685B2 (en) * 2011-09-28 2017-08-08 Apple Inc. Cover for a tablet device
CN204284838U (zh) * 2011-12-22 2015-04-22 拓乐组织解决方案公司 用于电子装置的保护壳
US9223339B2 (en) * 2012-05-11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with detachable protection cover
US20130328917A1 (en) * 2012-06-08 2013-12-12 Apple Inc. Smart cover peek
US9489015B2 (en) * 2012-07-31 2016-11-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ver for a tablet computing device having retaining mechanisms
US8878637B2 (en) * 2012-08-08 2014-11-04 Jared A. Sartee Accessory device
KR102059825B1 (ko) * 2013-04-24 2019-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커버를 구비한 휴대형 전자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307129B2 (en) * 2013-05-07 2016-04-05 Lg Electronics Inc. Terminal cas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ssembly including the terminal case and the mobile terminal
KR102185486B1 (ko) * 2013-07-24 2020-1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버를 이용한 실행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KR102176662B1 (ko) * 2013-08-29 202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485338B2 (en) * 2013-09-04 2016-11-01 Apple Inc. Fea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133183A1 (en) * 2013-11-13 2015-05-1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y for Carrying Out Functions Based on Reflected Electromagnetic Radiation
KR101659032B1 (ko) * 2014-07-2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46099A (ko) * 2014-10-20 201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231043B2 (en) * 2015-12-18 2019-03-12 Zagg Amplified, Inc.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wireless speaker and protective cover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462A (ko) * 2012-11-02 2014-05-13 주식회사 뉴빛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
KR20140142935A (ko) * 2013-06-05 2014-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0470477Y1 (ko) * 2013-07-12 2013-12-31 최병일 휴대 단말기용 플립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033B1 (ko) 2016-08-24
US20160205237A1 (en) 2016-07-14
US9973620B2 (en)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033B1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9521244B2 (en) Mobile terminal displaying application execution icon groups for corresponding predetermined events
KR20180001358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42933A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13641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20003323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US2015027775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1677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70027606A (ko) 와치 타입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94754A (ko) 문자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5009160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20066602A1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notification user interface (ui)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394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302982B (zh) 移动终端以及用于控制该移动终端的方法
KR20120037638A (ko)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31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413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183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7184A (ko)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US1053657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1358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1449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700243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114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146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