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649A - 음이온 중합반응을 통한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음이온 중합반응을 통한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649A
KR20160083649A KR1020140196068A KR20140196068A KR20160083649A KR 20160083649 A KR20160083649 A KR 20160083649A KR 1020140196068 A KR1020140196068 A KR 1020140196068A KR 20140196068 A KR20140196068 A KR 20140196068A KR 20160083649 A KR20160083649 A KR 2016008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am
polymerization
potassium
component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원
박은하
김주홍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3649A/ko
Publication of KR2016008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64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08G69/18Anionic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08G69/18Anionic polymerisation
    • C08G69/20Anionic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 및 활성제로서 적어도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성분;과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 및 음이온 촉매를 포함하는 제 2 성분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이온 중합반응을 통한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amide with an anionic polymerization}
본 발명은 락탐의 음이온 중합을 통해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아미드(-NHCO-) 결합에 의해 결합된 직선형 고분자로서 강인하고 내마찰, 내마모, 내유. 내용제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용융 성형이 용이하여, 의복 소재용, 산업자재용 섬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폴리아미드는 분자 구조에 따라 지방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지방족 고리 폴리아미드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중 지방족 폴리아미드의 경우 나일론(Nylon),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경우 아라미드(Aramid)라 통칭하여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폴리아미드는 다양한 중합방법으로 제조되며, 나일론 6와 같이 락탐의 개환중합에 의한 것, 나일론 6,6, 나일론 6,10 및 나일론 4,6과 같이 디아민과 이염기산의 중축합에 의한 것, 나일론 11 및 나일론 12와 같이 아미노카르본산의 중축합에 의한 것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외에 카프로락탐과 6, 10-나일론염(헥사메틸렌디아민과 세바스산염)과의 혼성 축합물 등의 소위 혼성 중합 나일론이 공업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또 분자 중에 곁사슬, 수산기 등의 작용기, 방향 고리와 헤테로 고리를 포함한 각종의 폴리아미드가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의 중합방법 중 락탐의 개환중합으로서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 특허문헌으로는, 락탐 100 부에 대해 3 내지 10 부의 비율로 N-알킬-2-피롤리돈, 카프로락탐, 소듐 락타메이트 및 락탐에 의해 블로킹된 디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액체 촉매계를 사용하여 폴리아미드를 중합하는 방법이 개시된 EP 0786482 호와 이와 유사한 방법이나 N-알킬-2-피롤리돈이 N,N'-디메틸프로필렌요소로 대체된 것인 EP 0786485 호가 존재한다.
또한, EP 0134616 호 및 EP 0135233 호에는 락탐의 음이온성 중합반응에 적합한 프로모터 또는 활성화제로서 N-치환된 카바모일-락탐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락탐의 활성화된 음이온성 중합반응은 폴리아미드 성형품의 제조를 위한 수 많은 공법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에서 사용되는 활성화제는 폴리아미드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음이온성 중합반응용 활성화제로는 아실 락탐(EP 1449865 호), 옥사졸린(EP 0786482 호), 에틸렌비스아미드(US 2010-0113661호), 이소시아네이트 및 차폐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이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 가운데 핸들링에 용이하여 중요한 연속 공법에 상당한 장점이 있는 고유동성 액체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활성화제로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높은 증기압조건에서 독성물질을 발생시킨다는 큰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을 통해 카프로락탐으로 차폐된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빠른 중합 속도로 락탐을 음이온 중합하여 고분자량의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 및 활성제로서 적어도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성분;과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 및 음이온 촉매를 포함하는 제 2 성분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제조방법이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S1) 제 1 반응기 및 제 2 반응기를 준비한 후, 상기 2개의 반응기에 각각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을 1:1로 나누어 첨가하고 반응기를 110 내지 1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락탐을 용융하는 단계; (S2) 상기 (S1)단계의 제 1 반응기에는 활성제로서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제 1 성분을 제조하고, 상기 제 2 반응기에는 음이온 촉매를 첨가하여 제 2 성분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S2)단계에서 제조된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을 혼합한 후 교반하며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은 카프로락탐, 라우릴락탐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폴리(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음이온 촉매는 수소화나트륨, 나트륨 금속(sodium metal), 수산화나트륨, 나트륨메톡시드, 칼륨 에톡시드, 나트륨 프로폭시드, 나트륨 부톡시드, 수소화칼륨, 칼륨 금속(potassium metal), 수산화칼륨, 칼륨 메톡시드, 칼륨 에톡시드, 칼륨 프로폭시드 및 칼륨 부톡시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활성제와 음이온 촉매는 락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0.0026 내지 0.0077 중량부 및 0.004 내지 0.0012 중량부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S3)단계의 중합은 120 내지 18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200mbar 이하의 감압상태 또는 진공하에서 5 분 이내 반응 완료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빠른 반응시간내에 고분자량의 폴리아미드를 중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은 단시간 내에 높은 중합도로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섬유강화제를 포함하는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수지 트랜스퍼 성형(RTM, Resin Transfer Molding)공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반응이 카프로락탐의 비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화된 카프로락탐에 의한 냄새 문제가 감소될 수 있어, 건강 또는 환경적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고 폴리아미드를 중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 및 활성제로서 적어도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성분;과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 및 음이온 촉매를 포함하는 제 2 성분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반응 가능한 합성물을 최대한 먼저 만든 다음 혼합하면 보다 빠른 중합 반음이 가능하므로 상기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은 각각 합성한 후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준비된 두 구성물이 만나 중합이 시작하면 활성제와 촉매가 계속적인 반응을 진행할 수 있는 반면, 모든 성분을 동시에 넣고 중합할 경우, 상대적으로 촉매와 활성제의 활성이 저하되어 반응이 느려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은 카프로락탐, 라우릴락탐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으며, 반응 속도와 반응의 민감성 등을 유용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하기 화학식 1 구조를 갖는 카프로락탐을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폴리(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폴리(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1 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양 말단에 카프로락탐이 반응하여 중합을 위한 활성제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들 구조상 디사이클로헥실메탄(MDI)이나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와 같은 지환식 구조의 이소시아네이트에 비해 입체적 장애가 크지 않아 카프로락탐이 반응하는 속도가 빠르며 중합시 락탐이 개환 중합하기 쉬운 구조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중합의 반응 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이온 촉매는 중합 반응에 있어서, 람탐과 반응하여 카프로락탐산나트륨, 카프로락탐산칼륨, 카프로락탐산브롬화마그네슘, 카프로락탐산염화마그네슘 및 비스카프로락탐산마그네슘과 같은 카프로락탐산염의 음이온 중합용 촉매(제 1 성분)가 되어 쉽게 개환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므로 음이온 개환중합에 속도를 결정짓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1 성분은 제 2 성분(음이온 활성화제)과 특정 온도와 압력의 조건에서 매우 빠른 음이온 개환 중합 반응을 일으켜 최종적으로 폴리아미드로 중합된다.
이때, 사용되는 음이온 촉매로서 수소화나트륨, 나트륨 금속(sodium metal), 수산화나트륨, 나트륨메톡시드, 칼륨 에톡시드, 나트륨 프로폭시드, 나트륨 부톡시드, 수소화칼륨, 칼륨 금속(potassium metal), 수산화칼륨, 칼륨 메톡시드, 칼륨 에톡시드, 칼륨 프로폭시드 및 칼륨 부톡시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나트륨 또는 나트륨 금속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Ⅰ) S1 단계: 제 1 반응기 및 제 2 반응기를 준비한 후, 상기 2개의 반응기에 각각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을 1:1로 나누어 첨가하고 반응기를 110 내지 1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락탐을 용융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S1)단계는 음이온 중합 반응을 진행하기 위한 촉매제와 활성제를 합성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이때, 락탐의 용융온도가 110 ℃미만일 경우 카프로락탐의 용융이 느려지게 되고, 150 ℃를 초과하면 카프로락탐이 매우 많은 열을 받아 황변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락탐은 촉매제와 활성제의 반응비가 1:1이기 때문에 1:1의 비율로 나누어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Ⅱ) S2 단계: 상기 (S1)단계의 제 1 반응기에는 활성제로서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제 1 성분을 제조하고, 상기 제 2 반응기에는 음이온 촉매를 첨가하여 제 2 성분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S2)단계는 음이온 중합에 적용되는 촉매제와 활성제를 합성하기 위한 단계로서, 이때, 금속 촉매인 나트륨 금속과 활성제인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가 각각 카프로락탐과 반응하여 음이온 중합용 촉매와 음이온 활성화제로 합성된다. 상기 활성제와 음이온 촉매는 최종 중합도를 고려하여 락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0.0026 내지 0.0077 중량부 및 0.004 내지 0.0012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합성되는 중간 생성물인 음이온 중합용 촉매와 음이온 활성화제는 락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2 내지 1.0 중량부로 합성될 수 있다.
활성제나 음이온 촉매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적게 첨가될 경우, 중합에 대한 활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중합의 속도가 현저히 떨어질 수 있고 많이 첨가될 경우,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중합속도가 지나치게 상승되기 때문에 중합을 제어하기 곤란하고 결과적으로 높은 중합도의 폴리아미드를 수득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Ⅲ) S3 단계: 상기 (S2)단계에서 제조된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을 혼합한 후 교반하며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S3)단계는 폴리아마이드 고분자를 제조하기 위해 진행되는 단계로서, (S3) 단계에서는 음이온 촉매제에 의해서 초기 개환반응과 성장반응이 본격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S3)단계의 중합 조건으로서 온도는 120 내지 180℃이 음이온 중합 속도와 반응의 민감성 등을 조절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특히, 압력은 200 mbar 이하의 감압상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mbar 내지 50 mbar의 감압상태 또는 진공인 것이 중합시 산소에 의한 촉매의 분해를 차단할 수 있고, 생성되는 폴리아미드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산소가 차단되어 촉매 분해를 방지하게 되면, 촉매 활성에 따른 효과가 더욱 상승될 수 있으므로 중합속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고 그 결과 본 발명의 상기 반응은 5 분 이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폴리아미드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 내지 40000로서 고분자량을 갖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중합 시스템은 기존 폴리아미드 중합 시스템과 비교할 때 독성 물질을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즉, 기존의 수첨 중합의 경우 비점이 235 ℃인 카프로락탐을 고온으로 승온하여 중합을 하기 때문에 기화된 카프로락탐으로 인한 독성 피해가 발생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음이온 중합의 시스템의 경우 중합온도가 카프로락탐의 비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화된 카프로락탐에 의한 냄새 문제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성분은 다음과 같다.
- 락탐: 카프로락탐 (엘 부르그만 社, 수분 < 0.02%)
- 촉매제: 나트륨 메탈 (CAS 7440-23-5, 시그마 알드리치), 브루그만 C10(부르그만 약 20% 카프로락탐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카프로락탐 혼합물, 엘 브루그만 社)
- 활성제: HDI(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그마알드리치), MDI(디사이클로헥시메탄, 시그마알드리치), TDI(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시그마 알드리치), 브루그만 C20P(부르그만 약 17% 헥사메틸렌 다이카바모일 카프로락타메이트를 포함하는 카프로락탐 혼합물, ε-카프로락탐 중 카프로락탐으로 차폐된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엘 브루그만 社)
실시예 1
2개의 유리 환저 플라스크 A와 B를 준비한 후, 각각의 플라스크에 30 g의 ε-카프로락탐을 각각 넣고 120℃ 오일욕에서 용융시킨다. 이어서, 유리 마개로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두 플라스크 내부에 진공을 형성한다.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며, 플라스크 A에는 0.073 g의 나트륨 메탈 촉매를 가하고, 플라스크 B에는 0.44 ml의 HDI를 가하였다.
두 플라스크를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발생되는 기체 및 수분을 펌프를 통해 제거해 주어 플라스크 내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상기 오일욕으로부터 플라스크 B를 꺼내고 플라스크 B의 내용물을 플라스크 A에 가한다. 플라스크 A를 마개로 다시 밀폐시키고, 상기 용융물을 140℃에서 가열하며 교반시켜 혼합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되, 하기 표 1에 반영된 것과 같이 0.024 g의 나트륨 메탈 촉매와 0.44 ml의 HDI 활성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되, 하기 표 1에 반영된 것과 같이 0.073 g의 나트륨 메탈 촉매와 0.15 ml의 HDI 활성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및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되, 하기 표 1에 반영된 것과 같이 나트륨 메탈 촉매를 각각 0.012g 및 0.24g 사용하여 비교예 1 및 2의 중합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3 및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되, 하기 표 1에 반영된 것과 같이 HDI 활성제를 각각 0.073ml 및 1.47ml 사용하여 비교예 3 및 4의 중합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5 및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되, 하기 표 1에 반영된 것과 같이 활성제로서 각각 MDI를 0.48 g, TDI를 0.45ml 사용하여 비교예 5 및 6의 중합을 수행하였다.
구분
(중량부)
카프로락탐 촉매제 활성제
Na HDI MDI TDI
실시예 1 100 0.0012 0.0077 - -
실시예 2 100 0.0004 0.0077 - -
실시예 3 100 0.0012 0.0026 - -
비교예 1 100 0.0002 0.0077 - -
비교예 2 100 0.004 0.0077 - -
비교예 3 100 0.0012 0.0013 - -
비교예 4 100 0.0012 0.026 - -
비교예 5 100 0.0012 - 0.008 -
비교예 6 100 0.0012 - - 0.0078
< 측정예 >
- 상 변화는 육안을 통해 관찰하였고, 용융물이 플라스크 내에서 자력에 의한 회전이 불가해지는 시점을 상 1(T1, 점성), 투명한 용융물이 탁해지기 시작하는 시점을 상 2(T2, 혼탁) 그리고, 용융물이 플라스크의 상부 영역의 벽으로부터 자체적으로 느슨해지기 시작하는 시점을 상 3(T3)으로 판단하여 각 상이 나타나는 시점의 시간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전환율(Conversion, %, 중합도 예측): 중합완료 후 미반응 단분자를 용출하여, 용출 전 후의 무게를 측정하여 판단하였다.
- 활성화된 음이온 촉매의 활성을 죽이는 가장 큰 요인이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수분이므로 반응전 조성물의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조성물 중 미량의 물은 칼 피셔(Karl Fischer) 적정법으로 측정하였다.
- Melting Point: DIN EN 31357-1 표준법을 사용하여 DSC-분석(시차주사열량법)을 수행하였다.
상변화 시간(sec) Conversion (%) Melting Point
(℃)
T1 T2 T3
실시예 1 28 45 64 98 220
실시예 2 37 59 86 97 218
실시예 3 43 87 113 98 219
비교예 1 58 84 156 94 213
비교예 2 15 38 56 87 208
비교예 3 62 95 175 95 214
비교예 4 18 34 52 86 208
비교예 5 340 459 566 98 210
비교예 6 330 395 494 98 210
상변화 시간 측정에서 T1 내지 T3은 각각 중합 반응의 시작점(T1), 불용성 중합체의 결정화(T2) 및 중합반응 중 결정화에 기인한 수축(T3) 시점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상기 표 2의 결과를 통해,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은 중합완료 시간이 비교적 빠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최종 중합도는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결정의 녹는점은 220℃ 근처로 측정되어 결정형성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 촉매 또는 활성제의 함량이 다소 높거나 낮은 비교예 1 내지 4는 반응속도는 빨랐지만, 중합도와 결정의 녹는점이 다소 낮은 경향성을 보였다. 또한, 비교예 5 및 6의 경우 활성제를 지환족 활성제인 TDI와 MDI를 적용한 결과 중합속도가 현저히 느리게 나타났으며, 중합도는 꽤 증가하였지만 결정의 녹는점이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다.

Claims (8)

  1.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 및 활성제로서 적어도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성분;과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 및 음이온 촉매를 포함하는 제 2 성분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S1) 제 1 반응기 및 제 2 반응기를 준비한 후, 상기 2개의 반응기에 각각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을 1:1로 나누어 첨가하고 반응기를 110 내지 1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락탐을 용융하는 단계;
    (S2) 상기 (S1)단계의 제 1 반응기에는 활성제로서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제 1 성분을 제조하고, 상기 제 2 반응기에는 음이온 촉매를 첨가하여 제 2 성분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S2)단계에서 제조된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을 혼합한 후 교반하며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4 내지 12의 락탐은 카프로락탐, 라우릴락탐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폴리(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촉매는 수소화나트륨, 나트륨 금속(sodium metal), 수산화나트륨, 나트륨메톡시드, 칼륨 에톡시드, 나트륨 프로폭시드, 나트륨 부톡시드, 수소화칼륨, 칼륨 금속(potassium metal), 수산화칼륨, 칼륨 메톡시드, 칼륨 에톡시드, 칼륨 프로폭시드 및 칼륨 부톡시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제와 음이온 촉매는 락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0.0026 내지 0.0077 중량부 및 0.004 내지 0.0012 중량부 첨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3)단계의 중합은 120 내지 18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3)단계의 중합은 200 mbar 이하의 감압상태 또는 진공하에서 5 분 이내 반응 완료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폴리아미드 제조방법.

KR1020140196068A 2014-12-31 2014-12-31 음이온 중합반응을 통한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 KR20160083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6068A KR20160083649A (ko) 2014-12-31 2014-12-31 음이온 중합반응을 통한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6068A KR20160083649A (ko) 2014-12-31 2014-12-31 음이온 중합반응을 통한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649A true KR20160083649A (ko) 2016-07-12

Family

ID=56505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6068A KR20160083649A (ko) 2014-12-31 2014-12-31 음이온 중합반응을 통한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364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621A (ko) * 2017-11-08 2019-05-16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음이온 개환 중합에 의한 폴리아마이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KR20190054662A (ko) * 2017-11-14 2019-05-22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활성화제 투입 방식 조절을 통한 폴리아마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WO2019093729A3 (ko) * 2017-11-08 2019-06-27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음이온 개환 중합에 의한 폴리아마이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CN113527670A (zh) * 2021-08-06 2021-10-22 东莞市凯泰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耐1200h氙灯老化尿素管及其制备方法
CN114196193A (zh) * 2021-11-19 2022-03-18 美瑞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阴离子聚合制备尼龙弹性体的连续生产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621A (ko) * 2017-11-08 2019-05-16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음이온 개환 중합에 의한 폴리아마이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WO2019093729A3 (ko) * 2017-11-08 2019-06-27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음이온 개환 중합에 의한 폴리아마이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KR20190054662A (ko) * 2017-11-14 2019-05-22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활성화제 투입 방식 조절을 통한 폴리아마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WO2019098569A1 (ko) * 2017-11-14 2019-05-23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활성화제 투입 방식 조절을 통한 폴리아마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CN111433255A (zh) * 2017-11-14 2020-07-17 韩华化学株式会社 对活化剂投入方式进行调节的聚酰胺的制备方法及由此制备的聚酰胺
US11814480B2 (en) 2017-11-14 2023-11-14 Hanwha Chemica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polyamide with controlled activator addition, and polyamide produced thereby
CN113527670A (zh) * 2021-08-06 2021-10-22 东莞市凯泰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耐1200h氙灯老化尿素管及其制备方法
CN113527670B (zh) * 2021-08-06 2023-10-13 东莞市凯泰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耐1200h氙灯老化尿素管及其制备方法
CN114196193A (zh) * 2021-11-19 2022-03-18 美瑞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阴离子聚合制备尼龙弹性体的连续生产方法
CN114196193B (zh) * 2021-11-19 2024-02-23 美瑞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阴离子聚合制备尼龙弹性体的连续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3649A (ko) 음이온 중합반응을 통한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
US10538624B2 (en) Process for producing monomer compositions and use of these for producing a polyamide molding
US9290621B2 (en) Composition for anionic lactam polymerization
US9062153B2 (en)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for production of cast polyamides
KR101944144B1 (ko) 음이온 중합을 통한 폴리아미드의 제조 방법
US3250750A (en) Anionic polymerization of lactams with pyridazines as activators
KR100513025B1 (ko) 음이온성락탐을중합하기위한액체다분성시스템
KR102142733B1 (ko) 캐스트 폴리아미드의 제조를 위한 촉매, 상기 촉매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KR102262508B1 (ko) 음이온 개환 공중합에 의한 폴리아마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KR102262531B1 (ko) 아마이드계-분자량조절제를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KR102262512B1 (ko) 배위-음이온 개환 중합에 의한 폴리아마이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EP3719053B1 (en) Method for preparing polyamide by using molecular weight control agent having double active group, and polyamide prepared thereby
CA1252091A (en) N- substituted acyl-lactam compound
EP0194362B1 (en) Process for preparing an acyl-lactam compound
KR102287645B1 (ko) 실리카계 촉매를 이용한 배위-음이온 개환 중합에 의한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US3228916A (en) Anionic polymerization of e-caprolactam with cyanogen halide as activator
US3410833A (en) Anionic polymerization of lactams with oxalyl chloride-amide reaction product as cocatalyst
EP4071198A1 (en) Method for producing polyamide through anionic polymerization, and polyamide prepared thereby
US9181394B2 (en) Composition for producing cast polyamides
US3715340A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amides
RU211053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даропрочного блоксополиэфирамида
KR20120125173A (ko) 음이온성 락탐 중합반응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