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998A - 비인가자에 의한 셀 교환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비인가자에 의한 셀 교환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998A
KR20160082998A KR1020167011989A KR20167011989A KR20160082998A KR 20160082998 A KR20160082998 A KR 20160082998A KR 1020167011989 A KR1020167011989 A KR 1020167011989A KR 20167011989 A KR20167011989 A KR 20167011989A KR 20160082998 A KR20160082998 A KR 20160082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ircuit node
battery module
volta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880B1 (ko
Inventor
마티아스 무쉬
홀거 슈텍뮐러
스벤 게블러
안드레 아흐스테터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82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G01R31/3658
    • B60L11/185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75Indicating the instants of passage of current or voltage through a given value, e.g. passage through zer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30Measuring the maximum or the minimum value of current or voltage reached in a time inter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01R31/3655
    • G01R31/369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4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갈바닉 개별 셀(20)로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10)과, 배터리 모듈(10)의 최고 전위와 배터리 모듈(10)의 기준 전위 사이의 모듈 전압(UMOD)용 탭을 포함하는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은, 장치(1)가, 모듈 전압(UMOD)용 탭과 연결되며, 모듈 전압(UMOD)이 영(0)으로 강하될 때 신호(35)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회로 장치(30)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비인가자에 의한 셀 교환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APPARATUS WITH A BATTERY MODULE AND CIRCUIT ARRANGEMENT FOR DETECTING CELL EXCHANGE BY UNAUTHORIZED PERSONS}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갈바닉 개별 셀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모듈의 최고 전위와 배터리 모듈의 기준 전위 사이의 모듈 전압용 탭(tap)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자동차의 경우, 저장 배터리들, 예컨대 리튬이온 축전지들은 기술적으로 유용한 전압 또는 기술적으로 유용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개별 셀로 구성된다. 전압 또는 전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저장 배터리들은, 컨슈머들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및 제어 유닛들도 연결될 수 있는 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배터리 모듈의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 셀이 비인가자에 의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비인가자에 의한 개별 셀들의 이런 교환은 결과적으로 배터리 팩의 제어를 위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 공급되는 데이터가 더 이상 서로 매칭되지 않게 하고 그에 따라 고장 없는 작동이 더 이상 보장될 수 없게 한다. 또한, 그로 인해, 작동 동안, 예컨대 원래 셀들과는 다른 셀들이 조립되거나, 또는 셀들이 잘못 연결되는 경우,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커진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갈바닉 개별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모듈의 최고 전위와 배터리 모듈의 기준 전위 사이의 모듈 전압용 탭을 포함하는 장치를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상기 장치가, 모듈 전압용 탭과 연결되며, 모듈 전압이 영(0)으로 강하될 때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회로 장치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출력된 신호에 의해, 셀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비인가자가 셀 교환을 실행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장치는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처리 유닛은, 예컨대 배터리 모듈의 셀이 교환되었음이 외부를 향해 가시되게 하기 위해 회로 장치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처리 유닛은 신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회로 장치가 다시 초기 상태로 리셋되는 경우에도, 예컨대 개별 스위칭 부재들의 교환 또는 신호의 조절에 의해 추후에 셀이 교환되었던 사실이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회로 장치는 커패시터, 직렬 저항기, 정상 도통 MOSFET, 퓨즈뿐만 아니라, 제 1 회로 노드, 제 2 회로 노드, 제 3 회로 노드 및 제 4 회로 노드를 포함하고, 제 1 회로 노드에는 배터리 모듈의 최고 전위가 인가되고, 제 2 회로 노드에는 배터리 모듈의 기준 전위가 인가되고, 커패시터는 제 2 회로 노드와 제 3 회로 노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저항기는 제 1 회로 노드와 제 3 회로 노드 사이에 배치되고, 퓨즈는 제 3 회로 노드와 제 4 회로 노드 사이에 배치되고, 제 4 회로 노드는 MOSFET의 드레인 단자와 연결되고, MOSFET의 소스 단자는 제 2 회로 노드와 연결되며, MOSFET의 게이트 단자는 제 1 회로 노드와 연결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회로 장치가 소수의 부품으로만 구성되지만, 그럼에도 모듈 전압이 영(0)으로 강하되면 확실하게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회로 장치는 전압 조정기와, 플립플롭, 특히 비동기 제어 입력단들을 구비한 플립플롭을 포함하고, 전압 조정기의 입력단에는 모듈 전압이 인가되고, 전압 조정기의 출력단은 플립플롭과 연결되며, 전압 조정기뿐만 아니라 플립플롭도 접지로서 배터리 모듈의 기준 전위를 이용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플립플롭은 출력단에서 2개의 가능한 안정 상태 중 하나의 안정 상태만을 취할 수 있으며, 어떠한 상태가 출력되는지에 따라서 모듈 전압이 영(0)으로 강하되었는지 또는 아닌지의 여부가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회로 장치의 라인들은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는 조작 시도를 저지한다. 그 결과, 예컨대, 라인들이 간단하게 브리지되고 그런 다음 개별 셀들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로 비인가자에 의해 교환될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모듈 전압용 탭은 코팅 재료, 특히 래커 또는 수지로 코팅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회로 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없도록 하면서 셀들을 교환하도록 배터리 모듈을 브리지하기 위해 누군가 탭에 접촉한 경우, 시각적 검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이 실시형태도 조작 시도를 저지한다.
도 1은, 회로 장치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회로 장치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배터리 모듈(10)과, 회로 장치(30)와, 처리 유닛(40)으로 구성되는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10)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갈바닉 개별 셀(20)로 구성된다. 또한, 장치(1)는 배터리 모듈(10)의 최고 전위와 배터리 모듈(10)의 기준 전위 사이의 탭도 포함하며, 이 탭에서 모듈 전압(UMOD)이 탭될 수 있다. 상기 탭은 회로 장치(30)와 연결되므로 회로 장치(30)에 순간 모듈 전압(UMOD)이 제공된다. 회로 장치(30)는 또한 처리 유닛(40)과 연결되며, 그럼으로써 회로 장치(30)는 처리 유닛(40)으로 신호(35)를 전송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40)은 마이크로컨트롤러로서 구현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는 회로 장치(30)로부터 신호(35)를 수신하며, 상기 신호(35)로부터, 모듈 전압(UMOD)이 영(0)으로 강하되었고 그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 셀(20)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를 추론할 수 있다. 이것이 검출된다면, 마이크로컨트롤러는 검출된 이벤트를 대안으로서 차후 시점에 판독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 메모리 유닛 내에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셀(20)이 비인가자에 의해 교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알리기 위해,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예컨대 LED를 이용하여,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통해, 신호를 외부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의 대안적 구현예에서, 배터리 모듈(10)은 임의로 병렬 및/또는 직렬 연결된 개별 셀들(20)로도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유의해야 할 사항은, 적어도 하나의 개별 셀(20)을 제거할 때 배터리 모듈(10)이 무전압 상태가 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추가의 대안적 구현예로서, 배터리 모듈(10) 대신, 단일의 개별 셀 또는 배터리 팩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회로 장치(30)는 커패시터(50)와, 직렬 저항기(60)와, 정상 도통 MOSFET(70)와, 퓨즈(80)와, 제 1 회로 노드(K1)와, 제 2 회로 노드(K2)와, 제 3 회로 노드(K3)와, 제 4 회로 노드(K4)로 구성된다. 배터리 모듈(10)로부터 탭에 의해 공급되는 모듈 전압(UMOD)은, 제 1 회로 노드(K1)가 배터리 모듈(10)의 최고 전위와 연결되고 제 2 회로 노드(K2)는 배터리 모듈(10)의 기준 전위와 연결되는, 회로 장치(30)에 공급된다. 또한, 제 2 회로 노드(K2)와 제 3 회로 노드(K3) 사이에 커패시터(50)가 배치된다. 추가로, 제 1 회로 노드(K1)와 제 3 회로 노드(K3) 사이에 직렬 저항기(60)가 배치되며, 이 직렬 저항기를 통해 커패시터(50)가 충전된다. MOSFET(70)는 드레인 측에서 제 4 회로 노드(K4)와 연결되고, 소스 측에서 제 2 회로 노드(K2)와 연결되며, 게이트 측에서는 제 1 회로 노드(K1)와 연결된다. 또한, 퓨즈(80)는 제 3 회로 노드(K3)와 제 4 회로 노드(K4)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 4 회로 노드(K4)에는 신호(35)용 탭이 배치된다.
도 2에 따르는 회로 장치(30)는, 작동 중에, 커패시터(50)가 직렬 저항기(60)를 통해 모듈 전압(UMOD)에 의해 충전되도록 기능한다. 존재하는 모듈 전압(UMOD)은 정상 도통 MOSFET(70)의 게이트에 인가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MOSFET는 차단된다. 이제, 예컨대 직렬 연결된 셀들(20) 중 하나가 교환되기 때문에, 모듈 전압(UMOD)이 영(0)으로 강하하면, 게이트 전압도 영(0)이 되고 MOSFET(70)는 도통된다. 그리고 나서, 커패시터(50)는 이제 도통된 MOSFET(70)를 통해, 그리고 퓨즈(80)를 통해 방전된다. 이 경우, 커패시터(50)의 용량이 충분히 큰 경우, 퓨즈(80)는 끊어지고, 이는 다시금 이제 고-옴인 퓨즈를 통한 전압 강하를 야기하며, 이 전압 강하는 신호(35)로서 탭된다. 그에 따라, 신호(35)에 의해, 모듈 전압(UMOD)이 영(0)으로 강하되었는지의 여부가 추론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가능한 셀 교환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 실시예에서, 퓨즈(80)는 안전 퓨즈로서 구현된다. 그 결과, 육안 점검에 의해서도 이미, 모듈 전압(UMOD)이 영(0)으로 강하되고 그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 셀(20)이 교환되었다는 것에 대한 분명한 표시로서 퓨즈(80)가 끊겼는지의 여부가 검사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자기 재설정형 퓨즈(self-resetting fuse) 또는 회로 차단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럼으로써 수회의 셀 교환이 검출될 수도 있다. 또한, 비인가자에 의한 개별 셀들(20)의 교환 후에, 회로 장치(30)를 다시 이 회로 장치(30)의 작동 개시 시에 제공되었된 것과 같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퓨즈(80)가 교환되지 않아도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회로 장치(30)는 전압 조정기(90)와, 비동기 제어 입력단들을 구비한 플립플롭(100)으로 구성된다. 전압 조정기(90)의 입력단은 배터리 모듈(10)의 최고 전위와 연결된다. 또한, 전압 조정기(90)는 접지로서 배터리 모듈(10)의 기준 전위를 이용한다. 전압 조정기(90)의 출력단은, 공급 입력단, 신호 입력단, 그리고 플립플롭(100)의 부정 리셋 사전 설정값 입력단(negated reset preset value input) 및 부정 시작 사전 설정값 입력단(negated start preset value input)과 연결된다. 플립플롭(100)의 출력단은 회로 장치(30)로부터 나와 신호(35)를 형성한다. 또한, 플립플롭(100)도 접지로서 배터리 모듈(10)의 기준 전위를 이용한다.
도 3에 따르는 회로 장치(30)는, 작동 중에, 작동 개시 시에 플립플롭(100)이 클록 신호에 의해 설정되고 그에 따라 신호(35)를 나타내는 플립플롭(100)의 출력단이 규정된 상태를 갖도록 기능한다. 이 경우, 전압 조정기(90)는, 배터리 모듈(10)의 충전 및 방전 과정들에 의해 야기되는 모듈 전압(UMOD)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플립플롭(100)을 위한 일정한 공급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결과, 플립플롭(100)의 입력단들에서의 전압 변동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는, 플립플롭(100)의 출력단에서의 가능한 상태 변화는 방지된다. 그러나 전압 조정기의 입력단에서의 전압이 셀 교환으로 인해 영(0)으로 강하되면, 전압 조정기로부터 전압 공급되는 플립플롭의 입력단들도 영(0)으로 된다. 그런 다음, 공급 전압의 재인가는 플립플롭(100)의 출력단 상태를 변경하며, 그럼으로써 신호(35)의 값이 변동된다. 회로 장치의 작동 개시 시에 설정되는 기대치와 신호(35)의 편차에 의해, 일반적으로, 가능한 셀 교환을 시그널링하는 사항으로서 모듈 전압(UMOD)이 영(0)으로 강하된 것을 추론할 수 있다.
1: 장치
10: 배터리 모듈
20: 셀
30: 회로 장치
35: 신호
40: 처리 유닛
50: 커패시터
60: 직렬 저항기
70: 정상 도통 MOSFET
80: 퓨즈
90: 전압 조정기
100: 플립플롭
110: 코팅 재료
K1: 제 1 회로 노드
K2: 제 2 회로 노드
K3: 제 3 회로 노드
K4: 제 4 회로 노드
UMOD: 모듈 전압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갈바닉 개별 셀(20)로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10)과, 배터리 모듈(10)의 최고 전위와 배터리 모듈(10)의 기준 전위 사이의 모듈 전압(UMOD)용 탭을 포함하는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회로 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장치(30)는 상기 모듈 전압(UMOD)용 탭과 연결되며 상기 모듈 전압(UMOD)이 영(0)으로 강하될 때 신호(35)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상기 신호(35)를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40)은 상기 신호(35)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장치(30)는 커패시터(50), 직렬 저항기(60), 정상 도통 MOSFET(70), 퓨즈(80)뿐만 아니라, 제 1 회로 노드(K1), 제 2 회로 노드(K2), 제 3 회로 노드(K3) 및 제 4 회로 노드(K4)를 포함하고,
    - 상기 제 1 회로 노드(K1)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최고 전위가 인가되고,
    - 상기 제 2 회로 노드(K2)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기준 전위가 인가되고,
    - 상기 커패시터(50)는 상기 제 2 회로 노드(K2)와 상기 제 3 회로 노드(K3) 사이에 배치되고,
    - 상기 직렬 저항기(60)는 상기 제 1 회로 노드(K1)와 상기 제 3 회로 노드(K3) 사이에 배치되고,
    - 상기 퓨즈(80)는 상기 제 3 회로 노드(K3)와 상기 제 4 회로 노드(K4) 사이에 배치되고,
    - 상기 제 4 회로 노드(K4)는 상기 MOSFET(70)의 드레인 단자와 연결되고,
    - 상기 MOSFET(70)의 소스 단자는 상기 제 2 회로 노드(K2)와 연결되며,
    - 상기 MOSFET의 게이트 단자는 상기 제 1 회로 노드(K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장치(30)는 전압 조정기(90)와, 플립플롭(100), 특히 비동기 제어 입력단들을 구비한 플립플롭을 포함하고,
    - 상기 전압 조정기(90)의 입력단에는 상기 모듈 전압(UMOD)이 인가되고,
    - 상기 전압 조정기(90)의 출력단은 상기 플립플롭(100)과 연결되며,
    - 상기 전압 조정기(90)뿐만 아니라 상기 플립플롭(100)도 접지로서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기준 전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장치(30)의 라인들은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전압(UMOD)의 탭은 코팅 재료(110), 특히 래커 또는 수지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KR1020167011989A 2013-11-07 2014-11-03 비인가자에 의한 셀 교환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KR102230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310222614 DE102013222614A1 (de) 2013-11-07 2013-11-07 Vorrichtung mit Batteriemodul und Schaltungsanordnung zur Erkennung eines Zelltausches durch Unbefugte
DE102013222614.4 2013-11-07
PCT/EP2014/073572 WO2015067560A1 (de) 2013-11-07 2014-11-03 Vorrichtung mit batteriemodul und schaltungsanordnung zur erkennung eines zelltausches durch unbefug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998A true KR20160082998A (ko) 2016-07-11
KR102230880B1 KR102230880B1 (ko) 2021-03-24

Family

ID=5184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989A KR102230880B1 (ko) 2013-11-07 2014-11-03 비인가자에 의한 셀 교환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66486B1 (ko)
KR (1) KR102230880B1 (ko)
CN (1) CN105683771B (ko)
DE (1) DE102013222614A1 (ko)
WO (1) WO2015067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9787A1 (de) 2016-06-03 2017-12-0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ystems
CN113406509B (zh) * 2021-06-11 2022-05-10 浙江今日阳光新能源车业有限公司 电动车电量显示方法、电动车仪表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426A (ko)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스택형 발전소자의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07240523A (ja) * 2006-02-13 2007-09-20 Mitsumi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US20090187781A1 (en) * 2008-01-23 2009-07-23 Hella Kg Hueck & Co. Electronic Control Unit with Power Loss Compensation
JP2010140731A (ja) * 2008-12-11 2010-06-24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バッテリコント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0175B2 (ja) * 2006-01-19 2011-11-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機能を恒久的に停止させる方法
JP5071516B2 (ja) * 2010-04-22 2012-11-1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装置
CN102880777A (zh) * 2011-07-15 2013-01-16 杭州市电力局 一种电动汽车换电池数据交互方法、装置和系统
DE102011120238B4 (de) * 2011-12-05 2023-07-20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atterie und Batterie
CN102541238A (zh) * 2011-12-31 2012-07-04 数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嵌入式计算机的断电保护器及其实现方法
CN202523810U (zh) * 2012-03-21 2012-11-07 洪国修 防拆电池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426A (ko)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스택형 발전소자의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07240523A (ja) * 2006-02-13 2007-09-20 Mitsumi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US20090187781A1 (en) * 2008-01-23 2009-07-23 Hella Kg Hueck & Co. Electronic Control Unit with Power Loss Compensation
JP2010140731A (ja) * 2008-12-11 2010-06-24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バッテリコント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6486B1 (de) 2018-05-30
CN105683771A (zh) 2016-06-15
EP3066486A1 (de) 2016-09-14
KR102230880B1 (ko) 2021-03-24
WO2015067560A1 (de) 2015-05-14
CN105683771B (zh) 2019-05-28
DE102013222614A1 (de)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76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module equalization
US9923247B2 (en) Battery pack with integrated battery management system
US10122186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s (BMS) having isolated, distributed, daisy-chained battery module controllers
WO2018006775A1 (zh) 串联电池的均衡充电电路及其装置
US11038356B2 (en) Open cell detection method and open cell recovery detection method in a battery management system
CN102110976B (zh) 用于电池组的保护电路
JP5974849B2 (ja) 電池監視装置
KR20110096202A (ko) 셀 밸런싱부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CN102110862A (zh) 电池组及其线路断开检测方法
KR20180023140A (ko) 파워릴레이 어셈블리의 고장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573239B2 (en) Circuit for monitoring batteries in a parallel configuration while under load
US8913361B2 (en)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JPWO2014141747A1 (ja) 電池システム
EP27131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faults in a battery pack, and power relay assembly using same
US8441234B2 (en) Detecting module for a battery equalizer and method for detecting a battery equalizer
KR20160082998A (ko) 비인가자에 의한 셀 교환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AU2008201759A1 (en) Fail safe battery management system
KR20140124470A (ko)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1302015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fault of a battery pack and a power relay assembly
US11531044B2 (en) Battery pack,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7912060B (zh) 用于识别蓄能器设备故障的测量设备
US20110140675A1 (en) Charging device for different batteries
JP2010019791A (ja) 電池装置
JP2013074715A (ja) 充電装置
CN114243850B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