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712A - Optical film peeling device - Google Patents

Optical film peel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712A
KR20160081712A KR1020140196005A KR20140196005A KR20160081712A KR 20160081712 A KR20160081712 A KR 20160081712A KR 1020140196005 A KR1020140196005 A KR 1020140196005A KR 20140196005 A KR20140196005 A KR 20140196005A KR 20160081712 A KR20160081712 A KR 20160081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guide bar
peeling
polarizing film
pee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6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3679B1 (en
Inventor
문천수
왕종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6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679B1/en
Publication of KR2016008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7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6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Landscapes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An optical film separating device is disclose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lm separating device, removing an optical film such as a polarized sheet attached to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film separating device improves the structure of components such as a clamp, a spray unit, and a support bar provided in the optical film separating device to minimize breakage of the polarized film in a polarized film separating process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Description

광학필름 박리장치{OPTICAL FILM PEELING DEVICE}OPTICAL FILM PEELING DEVICE

본 발명은 광학필름 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에 부착되는 편광필름 등의 광학필름을 제거하기 위한 광학필름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for removing an optical film such as a polarizing film attached to a flat panel display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및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와 같은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FPD)는 경박단소의 장점으로 인해, 기존의 브라운관 표시장치를 대체하여 전자정보 기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Flat panel display devices (FPD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OLEDs) It has been widely used as an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 in place of the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화소들에 화상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화소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이다. 이를 위해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열된 하부기판과, 컬러필터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기판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표면에는 각각 편광필름이 형성되어, 투과 방향의 따라 차단 또는 투과를 조절한다.In genera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a display device that can display a desired image by individually supplying image signals to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adjust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pixels. To this e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substrate on which thin film transistors are arranged and an upper substrate on which color filters are formed are bonded together with the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a polarizing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respectively, to control blocking or transmission along the transmission direction.

상기 편광필름은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제작되고 흡착기 및 박리장치를 통해 보호필름이 제거된 뒤 액정패널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부착된다.The polarizing film is manufactured in a state that the protective film is attached, and is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fter the protective film is removed through the adsorber and the peeling apparatus.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서, 편광필름은 부착 후 얼라인 미스 또는 이물유입 등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 비용절감을 위해 박리공정을 통해 액정패널에서 떼어낸 후, 새 필름으로 교체하여 부착함으로써 재생산된다.In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if a polarizer is defective due to an alignment error or foreign matter inflow after attachment, the polarizer film is removed from the liquid crystal panel through a peeling process and then replaced with a new film to be reproduced.

도 1a은 종래의 광학필름 박리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b의 박리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and FIG. 1B is a sectional view of the peeling apparatus of FIG. 1B.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광학필름 박리장치는 흡착 스테이지(stage, 11)상에 두 편광필름(11, 15)이 부착된 액정패널(10)을 안착시키되, 박리대상인 편광필름(15)이 부착된 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고, 해당 편광필름(15)의 일 모서리의 일부를 연결테이프(4)를 이용하여 클램프(21)와 연결하고, 클램프(Clamp, 21)와 해당 모서리가 대응하도록 배치한다. 1A and 1B, a conventional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10 on which two polarizing films 11 and 15 are adhered on an adsorption stage 11, and a polarizing film A part of one corner of the polarizing film 15 is connected to the clamp 21 using the connecting tape 4 and the clamp 21 and the corresponding corner .

이후, 상기 편광필름(15) 일면에서 45°정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클램프(21)를 진행시켜 액정패널(10)로부터 잡아당겨 박리공정을 진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clamp 21 is advanced in a direction inclined by about 45 DEG from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15, and pulled out from the liquid crystal panel 10 to perform the peeling process.

그런데,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슬림화 추세에 따라 편광 및 3D 화상구현을 위한 편광필름(Film Patterned Retarder, FPR) 등의 광학필름의 박형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종래 편광필름은 상하 보호를 위한 보호필름인 PVA필름이 전면 및 배면에 두 장이 구비되어 있으나, 박형화에 의해 하나의 PVA필름만이 구비됨에 따라 박리공정 중 편광필름이 파단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였다.However, according to recent slimming tren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thinning of optical films such as polarized films and FPR for realizing polarization and 3D image. Conventional polarizing films are protective films for vertical protection The PVA film is provided with two sheets on the front and back sides. However, since only one PVA film is provided by thinning, the polarizing film often breaks during the peeling process.

전술한 박리공정 중 편광필름이 파단되는 유형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ypes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is broken during the peeling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도 2 및 도 3은 종래 광학필름 박리장치에서 발생하는 편광필름의 파단원인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FIGS. 2 and 3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cause of breakage of the polarizing film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도 2를 참조하면, 편광필름의 제1 파단유형으로서 클램프(21)가 수평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 편광필름(15)이 액정패널(10)과 분리되게 되는데 이러한 박리과정은 진행정도에 따라 크게 초기단계(a), 중기단계(b) 및 종기단계(c)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단계(a)에서는 클램프(21)의 이동축(center)과 박리면의 중앙이 일치하게 되어 편광필름(15)에 작용하는 장력(Tension)이 전 영역에서 고르게 인가되게 되나, 중기단계(b) 이후부터는 이동축과 박리면의 중앙이 불일치하게 되어, 장력이 한쪽영역(A1)으로 집중되어 파단이 발생하게 된다. 종기단계(c)에서도 떼어진 편광필름(15)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영역(A2) 장력이 집중된 상태가 되어 파단의 위험성이 지속되게 된다. 2, the polarizing film 15 is separated from the liquid crystal panel 10 as the clamp 21 advanc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first type of breakage of the polarizing film. It can be classified into an initial stage (a), a middle stage (b), and an early stage (c). In this initial stage (a), the moving center of the clamp 21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peeled surface, so that the tension acting on the polarizing film 15 is uniformly applied throughout the entire region, b) Since then, the center of the moving axis and the peeled surface become inconsistent, so that the tension is concentrated in one area A1 and breakage occurs. The tension of the region A2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polarized film 15 which is detached is concentrated and the risk of breakage is maintained.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편광필름의 제2 파단유형으로서 박리과정에서 편광필름(15)은 그의 표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41)를 덮으며 클램프(21)에 의해 액정패널(1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데, 액정패널(10)과 편광필름(15)사이 인장력을 낮추기 위한 액상의 초순수(DI-Water, W)를 공급해야만 편광필름(15)의 파단현상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다. 종래에는 초순수 공급 작업은 스포이드(31)를 이용한 수작업을 통해 수행하였으나, 그 공급량이 일정하지 않으며, 기판(10)의 양측에서 초순수 양이 부족한 영역(A3)에서 파단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3, the polarizing film 15 covers the guide bar 41 guiding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15 in the peeling process as the second type of breaking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0 is clamped by the clamp 21, It is advantageous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polarizing film 15 by supplying liquid-phase ultrapure water (DI-Water, W) for lowering the tensile force between the liquid crystal panel 10 and the polarizing film 15. Conventionally, the ultrapure water supply operation was performed manually by using the eyedropper 31, but the supply amount thereof was not constant and the rupture occurred frequently in the region A3 where the amount of ultrapure water was insufficient at both sides of the substrate 10. [

또한, 편광필름의 제3 파단유형으로서 클램프(21)는 편광필름(15)을 수평선대비 160°이상으로 꺽여지도록 당김으로써 박리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액정패널의 들뜸을 방지하고, 떨어진 편광필름(15)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41)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이드 바(41)와 편광필름(15)간에 큰 마찰력이 작용하게 됨에 따라, 파단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 as the third type of breakage of the polarizing film, the clamp 21 performs the peeling process by pulling the polarizing film 15 to 160 degre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At this time, a guide bar 41 for preventing lifting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guiding the separated polarizing film 15 is used. Since a large frictional force acts between the guide bar 41 and the polarizing film 15,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henomenon occurr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필름 박리공정 중, 편광필름이 파단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광학필름 박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which solves the problem that a polarizing film is broken during a polarizing film peeling proces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박리장치는, 기판의 일면에 부착된 광학필름을 일 모서리부터 시작하여 잡아당겨 박리공정을 진행하되, 박리공정 진행단계에 대응하여 장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광학필름의 진행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박리유닛과, 접촉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초순수를 공급하는 스프레이 유닛과, 장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도가 조절되며, 마찰력을 저감하는 회전롤러를 갖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가이드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n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ptical film attached to one surface of a substrate is pulled out from one corner to pull the peeling process, A peeling unit for finely adjusti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optical film so as not to concentrate the tension, a spray unit for automatically supplying ultrapure water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urface, an angle adjus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angle so as to prevent the tension from being concentrated, And a guide unit including a guide bar having roll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박리장치는, 구비되는 클램프, 스프레이부 및 지지바 등의 구성요소의 구조를 개선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필름 박리공정에서 편광필름이 파단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components such as the clamp, the spray unit, and the support bar, thereby minimizing the phenomenon that the polarizing film is broken in the polarizing film peeling proces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There is an effect.

도 1a은 종래의 광학필름 박리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b의 박리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광학필름 박리장치에서 발생하는 편광필름의 파단원인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박리장치의 구조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광학필름 박리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학필름 박리장치의 박리유닛의 구동방법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박리유닛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유닛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스프레이 유닛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유닛의 박막 공정별 스프레이 유닛의 분사부의 구동 맵(map)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구동 맵에 따라 분사구의 턴-온 및 턴 오프를 제어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가이드 유닛의 구동형태를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바의 일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가이드 바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바의 일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가이드 바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Fig. 1B is a sectional view of the peeling apparatus of Fig. 1B.
FIGS. 2 and 3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cause of breakage of the polarizing film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4A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side view of the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of FIG. 4A.
5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riving method of a peeling unit of an engineering film pe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and 5C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peel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plan view of the spray unit of FIG. 6A.
FIG.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ap of a spray unit of a spr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B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for controlling the turn-on and turn-off of the injection port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map of FIG. 7A.
8A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riving mode of the guide unit of FIG. 8A.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bar of 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guide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bar of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구비한다',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In the case where the word 'includes', 'includes', 'have', 'to be performed', etc. are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ther parts may be added as long as '~ only' is not used.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cluding the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wholly,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nd that the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is possib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박리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박리장치의 구조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광학필름 박리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A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side view of the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of FIG. 4A.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박리장치(100)는 기판(10)이 안착되는 스테이지(110)와, 편광필름(15)의 일 모서리를 잡아당겨 박리를 진행하는 박리 유닛(peeling unit, 200)과, 기판(10)과 편광필름(15)의 접촉면에 초순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유닛(spray unit, 300)과, 편광필름(15)의 박리영역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guide uint400)을 포함한다.4A and 4B, an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ge 110 on which a substrate 10 is placed, a peeling apparatus 100 for pulling off one edge of the polarizing film 15 A spray unit 300 for spraying ultrapure water onto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ubstrate 10 and the polarizing film 15 and a spray unit 300 for guiding the peeling area of the polarizing film 15 And a guide unit (guide uint400).

스테이지(110)는 박리공정 전후 기판이 안착되고, 광학필름 박리장치(100)의 내외부로 기판(10)을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박리공정 중에는 편광필름(15)이 박리 유닛(200)에 의해 높은 장력이 작용하게 되며, 스테이지(110)는 작용하는 힘에 인해 기판(10)이 편광필름(15)을 따라 끌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판(10)의 배면과 접촉하여 고정함으로써, 현재 정렬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The stage 110 is positioned before and after the peeling process and serves to transfer the substrate 10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100. During the peeling process, a high tension is applied by the peeling unit 200 to the polarizing film 15, and the stage 110 prevents the substrate 10 from being pulled along the polarizing film 15 So as to stably maintain the current alignment state.

박리 유닛(200)은 끝단에 클램프(210)가 구비되어 있으며, 클램프(210)를 통해 기판(10)의 일 모서리에 해당하는 편광필름(15)의 일부분을 잡아당겨 편광필름(15)을 기판(10) 상에서 떼어내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클램프(210)는 상기 편광필름(15)의 모서리에 부착된 소정의 연결테이프(미도시)를 통해 편광필름(15)을 잡아 당기게 되며, 이러한 클램프(210)는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편광필름(15)을 박리하게 된다.The peeling unit 200 is provided with a clamp 210 at its end and pulls a part of the polarizing film 15 corresponding to one edge of the substrate 10 through the clamp 210, (10). Here, the clamp 210 pulls the polarizing film 15 through a predetermined connecting tape (not shown) attached to the edge of the polarizing film 15, and the clamp 210 moves in one direction, The film 15 is peeled off.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과정의 진행시 편광필름(15)에 인가되는 장력은 각각 상이하며, 이는 초기단계, 중기단계 및 종기단계(도 2의 (a), (b), (c)) 마다 그 크기 및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박리 유닛(200)은 각 단계마다 클램프(210)의 진행방향을 달리하여 로드(load)가 많이 걸리는 부분을 완화시켜 편광필름(15)이 파단되는 현상을 억제하게 된다.2, the tension applied to the polarizing film 15 in the peeling process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initial stage, middle stage, and final stage (FIGS. 2A, 2B, (c)). Corresponding to this, the peeling unit 200 alleviates a portion where a load is much applied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lamp 210 in each step, thereby suppressing the phenomenon that the polarizing film 15 is broken.

다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스프레이 유닛(300)은 복수의 분사기(3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프레이 유닛(300)은 기판(10)과 편광필름(15)의 접촉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그 접촉면에 액상의 초순수를 미세 방울 형태로 도포함으로써, 기판(10) 및 편광필름(15)사이에 개재된 접착제의 접착력을 낮추어 편광필름(15)이 파단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Referring again to Figures 4A and 4B, the spray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injectors 310. The spray unit 3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ubstrate 10 and the polarizing film 15 and the ultrapure water in liquid form is applied to the contact surface in the form of a fine droplet to form a gap between the substrate 10 and the polarizing film 15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interposed in the polarizing film 15 is lowered to prevent the polarizing film 15 from being broken.

특히, 분사기(310)는 복수개가 지지대(340)에 의해 상기 접촉면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박리과정에 따라 각 분사기(310)의 턴-온/오프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접촉면의 전 영역에 초순수가 골고루 도포되도록 하는 동시에 불필요한 영역으로의 도포를 방지하여 초순수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Particularly, a plurality of the injectors 310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contact surface by the supports 34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turn-on / off of the respective injectors 310 in accordance with the peeling process, Ultrapure water can be uniformly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and application to the unnecessary area can be prevented, thereby minimizing waste of ultrapure water.

가이드 유닛(400)은 기판(10)과 편광필름(15)의 접촉면의 반대편, 즉 편광필름(15)을 중심으로 박리 진행방향에 위치하여 접촉면에서의 편광필름(15)의 상부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 유닛(400)은 상기 편광필름(15)의 접촉면의 길이?항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가이드 바(guide bar, 410)를 구비하며, 박리시 편광필름(15)은 가이드 바(410)를 중심으로 하여 바닥면에서 약 160°방향으로 클램프(210)에 의해 잡아 당겨진다. 이에 따라 박리유닛 및 가이드 유닛(400)은 박리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동일하게 설정되게 된다. The guide unit 400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ubstrate 10 and the polarizing film 15, that is, in the peeling progress direction about the polarizing film 15 and serves to guide the upper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15 at the contact surface . The guide unit 400 includes a guide bar 410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ength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15 and the polarizing film 15 separates the guide bar 410 from the center And is pulled by the clamp 210 in the direction of about 160 DEG from the bottom surface. As a result, the peeling unit and the guide unit 400 are set to have the same moving speed in the peeling progress direction.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400)은 구비된 가이드 바(410)가 회전축에 의해 지지대와 연결되어 박리공정 진행에 따라 그 각도가 미세하게 조절되는 구조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가이드 바(410)의 각도 조절은 박리공정진행시 특정영역(도 2의 A1, A2)으로의 장력이 집중됨에 따라 그 힘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가이드 바(410)와 편광필름(15)이 접촉되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낮추기 위해 회전롤러(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in the guide unit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bar 4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y the rotation shaft, and the angle is finely adjusted as the peeling process progresses. The adjustment of the angle of the guide bar 410 serves to lower the force as the tension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area (A1, A2 in FIG. 2) during the peeling proces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rotating roller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to lower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in a region where the guide bar 410 and the polarizing film 15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전술한 박리 광학필름 박리장치(100)의 각 유닛들이 현재 박리공정 진행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별도의 센서부재(sensor member)가 더 구비되어야 하며, 이러한 센서부재는 하나이상이 광학필름 박리장치(100)의 일 측에 배치되어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게 된다.Further, each of the units of the peeling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should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sensor member for judging the progress of the peeling process, (100), and photographs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박리장치(100)는 박리유닛(200)의 잡아당기는 각도와 가이드 바(400)의 가이드 각도를 조절하여 박리과정에서 특정영역에 집중되는 장력을 완화하고, 스프레이 유닛(300)의 선택적 자동분사 기능에 의해 초순수의 도포량 부족을 방지하며, 가이드 유닛(400)의 마찰력 저감구조를 통해 편광필름(15)의 파단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pulling angle of the peeling unit 200 and the guide angle of the guide bar 400, The feature of being capable of minimizing the amount of ultrapure water to be applied by the selective automatic injection function of the spray unit 300 and minimizing the breakage of the polarizing film 15 through the frictional force reducing structure of the guide unit 400 hav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박리장치를 이루는 각 유닛들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each unit constituting the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학필름 박리장치의 박리유닛의 구동방법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박리유닛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A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of a peeling unit of an engineering film pe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B and 5C are a top view and a side view of the peel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유닛(200)는 크게 편광필름(15)를 일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클램프(210)와, 클램프(210)의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축(220)과, 회전축(22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어링 레일(bearing rail, 230)을 포함한다.5A to 5C, the peel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clamp 210 for pulling the polarizing film 15 in one direction, a rotary shaft 210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clamp 210, (220), and a bearing rail (230) for moving the rotary shaft (220)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세하게는, 기판(10)상에 부착되어 있는 편광필름(15)에 대하여 박리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스테이지상에 안착된 기판(10)에 대하여 일 모서리부분에서 편광필름(15)을 일부 떼어내고, 이에 연결테이프(4)를 부착하여 클램프(210)에 고정시킨 후, 기판(10)과 편광필름(15)의 접촉면의 반대측에 인접하여 가이드 바(410)를 배치시킴으로써 공정시작 준비를 완료한다. 이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프레이 유닛(미도시)도 접촉면에 대향하여 배치시킨다.Particularly, in order to carry out the peeling process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film 15 attached on the substrate 10, the polarizing film 15 is partly peeled off at one corner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10 placed on the stage And the connection tape 4 is attached to the clamp 210 and the guide bar 4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ubstrate 10 and the polarizing film 15 to complete the process start preparation .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a spray unit (not shown) is also disposed so as to face the contact surface.

이후, 클램프(210) 및 가이드 바(410)를 동일 방향으로 진행시켜 진행방향에 따라 편광필름(15)을 기판상에서 떼어내게 되는데, 초기단계(도 2의 (a))에서는 편광필름(15)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장력이 전 영역에서 동일하나, 중기단계(도 2의 (b)) 이후부터는 접촉면의 일측으로 장력이 집중되게 된다(도 2 (b), A1).2 (a)), the polarizing film 15 i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lamp 210 and the guide bar 410, The tension acting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surface is the same in all the regions, but after the middle stage (Fig. 2 (b)), the tension is concentrated on one side of the contact surface (Fig. 2 (b), A1).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박리유닛(200)은 상기 A1 영역에 집중되는 장력을 완화하기 위해, 클램프(210)와 연결된 회전축(220)이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동시에, 회전축(220)이 베어링 레일(230)상에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편광필름(15)을 당기는 방향을 진행방향에서 소정각도로 틀어주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A1영역에 장력이 집중됨에 따라, 베어링 레일(230)이 회전축(220)을 진행방향의 우측방향, 즉 도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클램프(210)는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진행방향에서 미세하게 상부로 틀어진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전 상태의 편광필름(15a)는 A1 영역의 장력집중이 덜한 상태의 편광필름(15)으로 박리공정이 진행되게 된다.The separat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220 connected to the clamp 21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rotating shaft 220 is connected to the bearing rail 230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o turn the polarizing film 15 in a pulling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moving direction. When the bearing rail 230 moves the rotary shaft 220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traveling direction, that is, in the upward direction as viewed in the drawing, as the tension is concentrated on the area A1, the clamp 210 rotates the rotary shaft 220 ) In the direction from the advancing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As a result, the polarizing film 15a in the previous state is subjected to the peeling process with the polarizing film 15 in a state where tension concentration of the A1 region is less.

이러한 구동을 위해,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유닛(200)의 클램프(210)는 이격공간 사이에 배치된 연결 테이프(4)를 잡아당기는 제1 및 제2 집게(211, 213)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 집게(213)는 하부에 연결된 승강부재(212)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이동을 하며, 승강 이동을 통해 제1 집게(211)와 밀착하여 연결 테이프(4)를 고정한다. 이러한 클램프(210)는 결합부재(215)를 통해 회전축(220)과 연결되어 있다.5 (b) and 5 (c), the clamp 210 of the peeling unit 200 includes first and second clamping members 211, 211 for pulling the connecting tape 4 disposed between the spacing spaces, 213). Here, the second tongue 213 moves upward and downward by the rotation of the elevation member 212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and fixes the connecting tape 4 by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tongue 211 through the elevation movement. The clamp 21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220 through a coupling member 215.

회전축(220)은 베어링 레일(230)상에서 박리 진행방향과 수직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 이동에 따라 클램프(210)의 각도를 미세하게 틀어주어 박리 진행방향이 급격하게 바뀌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축(220)은 클램프(21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하로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rotating shaft 220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eeling progress direction on the bearing rail 230 and finely turns the angle of the clamp 210 according to the movement so that the peeling progress direction is not abruptly changed. In order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clamp 210 in a stable state, the rotary shaft 220 may be vertically provided.

또한, 베어링 레일(230)은 박리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며, 회전축(220)과 결합되는 부분에 다수의 볼 베어링(미도시)가 구비되어 회전축(220)을 용이하게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bearing rail 230 is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eeling progressio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all bearings (not shown) are provided at a portion coupled with the rotation shaft 220 to easily move the rotation shaft 220 in the left- .

이러한 박리유닛(200)에 의해 박리공정에서 일부영역으로 장력이 집중되는 것을 완화시켜 편광필름(15)의 파단현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Such a peeling unit 200 relaxes the concentration of tension in a partial area in the peeling process, and minimizes the breakage of the polarizing film 15.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박리장치의 스프레이 유닛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spray unit of an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유닛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스프레이 유닛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plan view of the spray unit of FIG. 6A.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유닛(300)은 기판(10)과 편광필름(15)의 접촉면에 초순수를 도포하는 다수의 분사기(310)와, 분사기(310)가 일렬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결합대(340)와, 결합대(340)를 박리 진행방향에 대응하여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15)를 포함한다.6A and 6B, a spray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jectors 310 for applying ultrapure water to a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ubstrate 10 and the polarizing film 15, a plurality of injectors 310 And a moving member 315 for moving the coupling base 340 in accordance with the peeling progression direction.

분사기(310)는 복수개가 결합대(340)상에 일렬로 나란히 고정되어 있으며, 결합대(340)가 가이드 바(410)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즉, 기판(10)과 편광필름(15)의 접촉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일정량의 초순수를 접촉면에 고르게 분사하게 된다. 여기서 이용되는 초순수는 상기 접촉면에 수동 스포이드 형태로 공급되어 인장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A plurality of the injectors 310 are fixed in a row on the coupling base 340 and the coupling base 340 is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guide bar 410. In other words, the ultrapure water is uniformly sprayed on the contact surface by being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ubstrate 10 and the polarizing film 15. The ultrapure water used herein is supplied to the contact surface in the form of a passive mouthpiece to reduce the tensile force.

이러한 분사기(310)는 제어신호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하게 되며, 박리진행에 따라, 턴-온 및 턴-오프를 반복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박리 공정 중, 초기단계(도 2의 (a))에서는 박리된 부분이 작음에 따라, 중앙에 배치된 분사기들(310)만이 턴-온되고, 측부에 배치된 분사기들(310)은 턴-오프 될 수 있다. 또한 중기단계(도 2의 (b))에서는 모든 분사기들(310)이 턴-온 될 수 있으며, 종기단계(도 2의 (c))에서는 측부의 분사기들(310)부터 서서히 턴-오프 될 수 있다. These injectors 310 are individually operated by the control signal, and the turn-on and turn-off are repeated according to the peeling progress. Specifically, in the initial stage (Fig. 2 (a)) during the peeling process, as the peeled portion is small, only the central injectors 310 are turned on and the injectors 310 May be turned off. 2B), all of the injectors 310 may be turned on, and in the final stage (FIG. 2C), the injectors 310 of the side are gradually turned off .

또한, 스프레이 유닛(300)과 가이드 유닛(400)은 동일방향 및 속도로 진행되게 되며, 유닛 연결부(32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ray unit 300 and the guide unit 400 are advanced in the same direction and speed, and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unit connection portion 320.

도 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유닛의 박막 공정별 스프레이 유닛의 분사부의 구동 맵(map)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구동 맵에 따라 분사구의 턴-온 및 턴 오프를 제어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ap of a spray unit of a spr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ap of the spray unit according to the thinning process of the spray unit, As shown in Fig.

도면에서는 8개의 분사부(310)를 갖는 스프레이 유닛의 박리공정을 16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구동 맵을 생성하고, 그 구동 맵에 따른 분사구의 제어방법을 나타내고 있다.In the drawing, a separation process of a spray unit having eight sprayers 310 is divided into sixteen sections to generate a driving map, and a control method of the injection port according to the driving map is shown.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프레이 유닛의 분사부(310)는 기판(10)이 박리 진행축으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져 일 모서리에서부터 박리공정이 진행되게 되며, 박리공정이 16 구간별로 기판(10)과 분사부(310)가 중첩되는 영역에서 해당 분사부(310)를 턴-온하고, 나머지 분사부(310)를 턴-오프하게 된다.7A and 7B, the spraying unit 310 of the spr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bstrate 10 is tilted at a certain angle from the peeling progress axis to proceed the peeling process from one edge, The injection unit 310 is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njection unit 310 is turned off in a region where the substrate 10 and the injection unit 310 overlap each other.

도 7a에서는 스프레이 유닛이 제4 구간에 해당되는 상태이므로, 제1 내지 제5 분사부(310)가 턴-온되고, 제6 내지 제8 분사부(310)가 턴-오프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In FIG. 7A, since the spray unit corresponds to the fourth section, the first to fifth sprayers 310 are turned on and the sixth to eighth sprayers 310 are turned off. have.

이러한 구동 맵에 따라, 전체 스프레이 유닛의 분사구에 대한 제어방법을 설정하면 도 7b와 같다. 제1 구간에서는 제3 및 제4 분사구만이 턴-온되고, 제7 구간에서는 모든 분사구가 턴-온되며, 제16 구간에서는 제6 분사구만이 턴-온되도록 제어됨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drive map, the control method for the injection port of the entire spray unit is set as shown in FIG. 7B. Only the third and fourth injection ports are turned on in the first section, all the injection ports are turned on in the seventh section, and only the sixth injection port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in the sixteenth section.

이에 따라, 편광필름의 접촉면에 안정적으로 적절한 양의 초순수를 공급하고, 파단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by,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ultrapure water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and to prevent breakag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박리장치의 가이드 유닛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guide unit of an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8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가이드 유닛의 구동형태를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8A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driving mode of the guide unit of FIG. 8A.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이드 유닛(400)은, 기판 및 편광필름에 인접하여 편광필름의 상부면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바(410)와, 가이드 바(410)를 지지하는 지지대(420)와, 가이드 바(410)의 각도 조절을 위한 회전축(430)과, 가이드 바(410)의 각도를 실질적으로 제어하는 실린더(cylinder, 440)를 포함한다.8A and 8B, the guide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bar 410 for guiding an upper surface of a polarizing film adjacent to a substrate and a polarizing film, a support bar 410 for supporting the guide bar 410, A rotation shaft 430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guide bar 410 and a cylinder 440 for substantially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guide bar 410. [

가이드 바(410)는 편광필름을 잡아 당기는 클램프(210)의 진행방향 즉, 도면에서는 후방방향으로 진행하여 편광필름이 기판과 함께 클램프(210)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박리되는 편광필름을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 바(410)의 표면에는 편광필름과의 마찰력을 최소로 하도록 저마찰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편광필름은 이러한 가이드 바(410)를 중심으로 수평선에서 약 160°각도로 기울어져 박리되게 된다.The guide bar 410 moves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clamp 210 pulling the polarizing film, that is, in the backward direction in the figure, thereby preventing the polarizing film from being lifted up by the clamp 210 together with the substrate, The film serves as a guide. The surface of the guide bar 410 may be coated with a low friction material so as to minimize frictional force with the polarizing film. The polarizing film is tilted at an angle of about 160 degrees from the horizontal line around the guide bar 410 to be peeled off.

지지대(420)는 양 측면에서 가이드 바(410) 및 구동수단(미도시)와 연결되어 가이드 바(410)를 박리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가이드 바(410) 및 지지대(420) 사이 중앙영역에는 가이드 바(410)의 각도 변경의 축이 되는 회전축(430)이 구비되어 있다. 지지대(420)는 공정 중, 그 각도가 유지되며, 가이드 바(410)는 편광필름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라, 그 각도가 변경되게 되며, 회전축(430)은 가이드 바(410)의 각도변경의 기준이 된다. 가이드 바(410)의 양 끝단에는 실린더(440)가 연결되어 있다.The support base 420 is connected to the guide bar 410 and the driving means (not shown) on both sides to move the guide bar 410 in the peeling progress direction. A rotation shaft 430 serving as an axis for changing the angle of the guide bar 410 is provided in a central area between the guide bar 410 and the support base 420. The angle of the support bar 42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ension acting on the polarizing film while the rotation bar 43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ngle change of the guide bar 410 Standard. At both ends of the guide bar 410, a cylinder 440 is connected.

실린더(440)는 가이드 바(410)의 양 끝단과 직접 연결되는 연결 바(441)와 연결 바(441)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몸체(445)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체(445)의 내부 압력에 의해 연결 바(441)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가이드 바(410)의 각도를 변경하게 된다.The cylinder 440 is composed of a connecting bar 441 direct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guide bar 410 and a body 445 for advancing or retracting the connecting bar 441.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ody 445 The angle of the guide bar 410 is changed by moving the connecting bar 441 forward or backward.

이러한 가이드 유닛(400)의 구동방법을 설명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10)에 의해 잡아 당겨지는 편광필름(P1)의 양측에 작용하는 장력이 동일한 경우, 가이드 바(410)는 중앙 정렬상태가 된다. 이때, 가이드 바(410)의 양측에 배치되는 실린더(440L, 440R)는 각각 균형을 이루게 된다(a). When the tension acting on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P1 pulled by the clamp 210 is the same as shown in Fig. 8B, the guide bar 410 It becomes center aligned. At this time, the cylinders 440L and 440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bar 410 are balanced (a).

또한, 편광필름(P2)의 우측으로 장력이 집중하는 경우, 왼쪽 실린더(440L)는 연결 바를 전진시키고, 오른쪽 실린더(440R)는 연결 바를 후진 시켜 우측 로드 구동함으로써, 가이드 바(410)가 시계방향으로 미세하게 기울어지도록 하여 편광필름(P2)의 우측에 집중되는 장력을 분산시키게 된다(b). When the tension is concentr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olarizing film P2, the left cylinder 440L advances the connecting bar and the right cylinder 440R retracts the connecting bar to drive the right rod, So that the tension concentr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olarizing film P2 is dispersed (b).

뿐만 아니라, 편광필름(P3)의 좌측으로 장력이 집중하는 경우, 왼쪽 실린더(440L)는 연결 바를 후퇴시키고, 오른쪽 실린더(440R)는 연결 바를 전진 시켜 좌측 로드 구동함으로써, 가이드 바(410)가 시계방향으로 미세하게 기울어지도록 하여 편광필름(P3)의 우측에 집중되는 장력을 분산시키게 된다(c).In addition, when tension is concentrated on the left side of the polarizing film P3, the left cylinder 440L retracts the connecting bar, and the right cylinder 440R advances the connecting bar to drive the left rod, So that the tension concentr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olarizing film P3 is dispersed (c).

상기의 구동에 따라, 장력 집중에 의한 편광필름의 파단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driving, the polarizing film is prevented from being broken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ension.

이하, 가이드 바와 편광필름간 마찰력에 의해 파단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개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의 가이드 바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guide bar of th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oblem of the occurrence of the breaking phenomenon due to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uide bar and the polarizing film is described.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바의 일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가이드 바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A and 10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bar of FIG.

도 9,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의 가이드 바(410)는 편광필름이 접촉된 상태로 진행되는 경사면을 갖는 전단 프레임(411)과, 전단 프레임(411)의 끝단에 배치되어 편광필름이 접혀지는 부분과 접촉하며 회전가능한 구조의 회전롤러(412)와, 전단 프레임(411)의 배면과 결합하는 후단 프레임(417)을 포함한다.9, 10A and 10B, the guide bar 410 of th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end frame 411 having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frame 411, A rotating roller 412 rotatable in contact with a portion where the polarizing film is folded, and a rear end frame 417 engag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end frame 411. [

여기서, 전단 프레임(411)은 마찰계수가 작은 물질로 코딩되어 있으며, 박리 공정의 진행에 따라 편광필름이 접촉하면서 박리되게 된다. 또한, 후단 프레임(411)은 전단 프레임(411)의 배면과 결합하여 하나의 가이드 바(410)를 이루게 되며, 내부로 연결부재(418)가 배치되어 전단 및 후단 프레임(411, 417)이 유격없이 고정되게 된다.Here, the front end frame 411 is coded with a material having a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As the peeling process proceeds, the polarizing film is peeled off while contacting. The rear frame 411 is coupl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411 to form one guide bar 410. The connecting member 418 is disposed inside the rear frame 411 so that the front and rear frames 411, .

또한, 전단 프레임(411)의 전면 끝단에는 회전가능한 원통형의 회전롤러(412)가 배치되며, 회전롤러(412)의 양 끝단으로는 그를 지지하는 서포트(413)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롤러(412)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인 경우 서포트(support, 413)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회전롤러(412) 내부는 샤프트(shaft)를 포함하며, 그 양 끝단은 베어링 구조로 되어 있어 회전롤러 서포트(413)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롤러(412) 및 서포트(413)는 녹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SU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 rotatable cylindrical rotating roller 412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end frame 411 and a support 413 supporting both ends of the rotating roller 41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roller 412. One or a plurality of the rotation rollers 412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the rotation rollers 412 may be divided by a support 413. The inside of the rotating roller 412 includes a shaft, and both ends of the rotating roller 412 have a bearing structure and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rotating roller support 413. The rotation roller 412 and the support 413 may be made of SUS material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rust.

또한, 회전롤러(412)의 중앙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전단 프레임(411) 내부로 자석부재(415)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자석부재(415)는 박리 공정 진행에 따라 회전력에 의해 회전롤러(412)가 전단 프레임(4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과 중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Further, a magnet member 415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front end frame 41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area of the rotating roller 412. The magnet member 415 serves to prevent the rotating roller 41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end frame 411 due to the rotational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peeling process and to prevent the downward sagging due to gravity.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은 마찰력이 집중되는 가이드 바에 편광필름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롤러를 더 구비함으로써, 마찰력에 의한 파단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otation roller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polarizing film on the guide bar where the frictional force is concentrated, thereby minimizing the breakage due to the frictional force.

이하, 상기 가이드 바에 의한 편광필름의 파단현상을 보다 개선한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guid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is further broken by the guide bar will be described.

도 11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바의 일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가이드 바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guide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A and 1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bar of FIG.

도 11,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의 가이드 바(510)는 편광필름이 접촉된 상태로 진행되는 경사면을 갖는 전단 프레임(511)과, 전단 프레임(511)의 끝단에 배치되어 편광필름이 접혀지는 부분과 접촉하며 회전가능한 구조의 회전롤러(rotating roller, 512)와, 회전롤러(512)와 접촉하여 그의 회전을 보조하는 제1 및 제2 보조롤러(521, 522)와, 전단 프레임(511)의 배면과 결합하는 후단 프레임(517)을 포함한다.11, 12A and 12B, the guide bar 510 of th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end frame 511 having a slope progressing in a state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frame 511, A rotating roller 512 having a structure rotatable in contact with a portion where the polarizing film is folded and a first and a second sub-rollers 512, 521, 522, and a rear end frame 517 that engages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end frame 511. [

상기 전단 프레임(511) 및 후단 프레임(517)의 구조 및 재질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전단 프레임(511)은 제1 및 제2 보조롤러(521, 522)에 의해 분할되어 있으며, 회전롤러(512)와 접촉되어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제1 및 제2 보조롤러(521, 522)가 더 구비되는 차이점이 있다.The structure and material of the front frame 511 and the rear frame 517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the front frame 511 is di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rollers 521 and 522,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rollers 521 and 522 are further provided to contact the roller 512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회전롤러(512)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양 끝단에는 그를 지지하는 서포트(513)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롤러(512)의 후방에는 자석부재(515) 및 두 보조롤러(521, 522)가 교번으로 구비된다. 자석부재(515)는 박리 공정 진행에 따라 회전력에 의해 회전롤러(512)가 전단 프레임(5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자력을 이용하여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1 및 제2 보조롤러(521, 522)는 회전롤러(512)의 회전시 함께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실시예와 대비하여 볼 때 회전롤러(도 10b의 412)가 접촉하는 전단 프레임(412)에 비해 마찰이 최소화됨에 따라, 회전롤러(512)의 회전이 더욱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A plurality of rotary rollers 512 are provided, and supports 513 are formed at both ends to support the rollers 512. A magnet member 515 and two auxiliary rollers 521 and 522 are alternate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otating roller 512. The magnet member 515 serves to prevent the rotating roller 51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end frame 511 by the rotational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peeling process by using the magnetic force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rollers 521 and 522 As compared with the above embodiment, friction is minimized as compared with the front frame 412 where the rotating roller (412 of FIG. 10B) contacts with the rotating roller 512 as the rotating roller 512 rotates together, 512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상기에서는 보조롤러(521, 522)가 두 개가 구비되는 구조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어느 하나를 생략하여 하나의 보조롤러만이 구비되는 형태로의 변형도 가능하다.Although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two auxiliary rollers 521 and 522 are provided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omit one of the auxiliary rollers 521 and 522 and to provide only one auxiliary roller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은 가이드 바에 구비되는 회전롤러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보조롤러를 더 구비함으로써, 마찰력에 의한 파단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guid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roller for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of the rotating roller provided on the guide bar, thereby minimizing the rupture due to the frictional for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 : 기판 15 : 편광필름
100 : 광학필름 박리장치 110 : 스테이지
200 : 박리 유닛 210 : 클램프
300 : 스프레이 유닛 400 : 가이드 유닛
410 : 가이드 바
10: substrate 15: polarizing film
100: Optical film peeling apparatus 110: Stage
200: peeling unit 210: clamp
300: Spray unit 400: Guide unit
410: Guide bar

Claims (10)

적어도 하나의 면에 광학필름이 부착된 기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
일 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광학필름의 일 모서리부터 박리를 진행하는 박리 유닛;
상기 기판 및 광학필름의 접촉면에 초순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유닛; 및
상기 광학필름의 박리영역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
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박리장치.
A stage on which a substrate having an optical film attached is plac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 peeling unit which advances in one direction to proceed peeling from one edge of the optical film;
A spray unit for spraying ultrapure water onto a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optical film; And
A guide unit for guiding a peeling area of the optical film
And an optical film peel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유닛은,
연결테이프를 통해 상기 광학필름의 일 모서리와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어링 레일
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박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eling unit comprises:
A clamp connected to one edge of the optical film through the connecting tape and pulled in one direction;
A rotating shaft coupl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clamp; And
A bearing rail for moving the rotary shaf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optical film peel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유닛은,
상기 접촉면에 초순수를 도포하는 복수의 분사기;
상기 분사기가 일렬로 배치되는 결합대; 및
상기 결합대를 박리 진행방향에 대응하여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박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r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injectors for applying ultrapure water to the contact surfaces;
A coupling table on which the injectors are arranged in a line; And
A moving member for moving the coupling band in accordance with the peeling progress direction,
And an optical film peel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기는,
박리 진행방향에 대응하여 하나이상이 턴-온 또는 턴-오프 되는 광학필름 박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injectors compris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optical film peeling device and the optical film peeling device is turned-on or turned-off in accordance with the peeling progress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기판 및 광학필름에 인접하여 상기 광학필름의 상부면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가이드 바의 각도를 조절하는 실린더
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박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unit includes:
A guide bar for guiding an upper surface of the optical film adjacent to the substrate and the optical film;
A rotation shaft coupl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guide bar; And
A cylind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guide bar
And an optical film peeling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가이드 바의 일측단과 연결되는 연결 바; 및
상기 연결 바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몸체
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박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ylinder
A connection ba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guide bar; And
The body for advancing or retracting the connecting bar
And an optical film peelin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가이드 바의 양측단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제1 및 제2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의 연결 바가 전진하면, 상기 제2 실린더의 연결 바는 후퇴하는 광학필름 박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ylinder
And first and second cylinders disposed on both side ends of the guide bar,
Wherein when the connecting bar of the first cylinder advances, the connecting bar of the second cylinder retract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광학필름이 접촉된 상태로 진행하는 경사면을 갖는 전단 프레임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필름이 접혀지는 부분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회전롤러; 및
상기 전단 프레임의 배면과 결합하는 후단 프레임
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박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bar
A rotating roller disposed at an end of a front end frame having an inclined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optical film is in contact with and rotating in contact with a portion where the optical film is folded; And
A rear end frame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end frame,
And an optical film peeling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회전롤러와 접촉하여 함께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롤러
를 더 포함하는 광학필름 박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uide bar
At least one auxiliary roller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ng roller,
And an optical film peeling device.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전단 프레임 사이 또는 전단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를 자력에 의해 지지하는 자석부재
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박리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and 9,
The guide bar
A magnet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frames or inside the front frame to support the rotating roller by a magnetic force;
And an optical film peeling device.

KR1020140196005A 2014-12-31 2014-12-31 Optical film peeling device KR1022536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6005A KR102253679B1 (en) 2014-12-31 2014-12-31 Optical film pee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6005A KR102253679B1 (en) 2014-12-31 2014-12-31 Optical film pee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712A true KR20160081712A (en) 2016-07-08
KR102253679B1 KR102253679B1 (en) 2021-05-20

Family

ID=5650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6005A KR102253679B1 (en) 2014-12-31 2014-12-31 Optical film peel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67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9132B2 (en) * 2007-07-19 2011-09-28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Film peeling device
JP3181776U (en) * 2012-12-07 2013-0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Solar cell module manufacturing equipment
KR101337979B1 (en) * 2012-06-22 2013-12-09 (주)우리엔지니어링 Emi shield film removal method and removal device
KR101414402B1 (en) * 2012-06-05 2014-07-01 노바테크 (주) Film peeling off method and film peeling off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9132B2 (en) * 2007-07-19 2011-09-28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Film peeling device
KR101414402B1 (en) * 2012-06-05 2014-07-01 노바테크 (주) Film peeling off method and film peeling off system
KR101337979B1 (en) * 2012-06-22 2013-12-09 (주)우리엔지니어링 Emi shield film removal method and removal device
JP3181776U (en) * 2012-12-07 2013-0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Solar cell module manufactur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679B1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99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JP2008262192A (en) Apparatus for removing polarizing plate and method thereof
KR101037437B1 (en) Polarizing Film Cutting Machine Using Laser
KR102344731B1 (en) Separator of Liquid Crystal Display
KR101040353B1 (en) Polarizing Film Adsorption Device for Polarizing Film Cutting System Using Laser
CN101634769A (en) Device for bonding optica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panel
KR100796371B1 (en) Polarizer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KR20010104505A (en) Polarizers attaching and reworking apparatus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and reworking the polarizers using the same
KR102028913B1 (en) Desor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at panal display device using threrof
KR100762989B1 (en) Polarizer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KR102087812B1 (en) Detaching device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optical display device
KR101220202B1 (en) A loading unit for auto shillings apparatus of the substrate
KR101835511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optical plate
KR101270120B1 (en) A transfer unit for auto shillings apparatus of the substrate
KR20160081712A (en) Optical film peeling device
KR20170021622A (en) System for attaching polorizing film to panel
KR20170052168A (en) Device for manufacturing display
KR2008004866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JP2008233207A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0417802Y1 (en) Detach device of polarizer film
JP2006003887A (en) Rubb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manufacturing
KR101262027B1 (en) A shillings unit for auto shillings apparatus of the substrate
US20160187677A1 (en) Rubbing device and rubbing align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141927A (en) Clamping system and apparatus for cutting plate employing the same
WO201403675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1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