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469A - 광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469A
KR20160081469A KR1020140195349A KR20140195349A KR20160081469A KR 20160081469 A KR20160081469 A KR 20160081469A KR 1020140195349 A KR1020140195349 A KR 1020140195349A KR 20140195349 A KR20140195349 A KR 20140195349A KR 20160081469 A KR20160081469 A KR 20160081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protrusion
receptacle
optical
optic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9740B1 (ko
Inventor
이익균
박건철
김동희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5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740B1/ko
Priority to PCT/KR2015/014581 priority patent/WO2016108670A2/ko
Priority to US15/539,438 priority patent/US10114184B2/en
Priority to CN201580071900.8A priority patent/CN107111070B/zh
Publication of KR20160081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04Rotary joints allowing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opposing fibre or fibre bundl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08Fibre wiring boards, i.e. where fibres are embedded or attached in a pattern on or to a substrate, e.g. flexible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 전송로 및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삽입 돌기를 구비하는 광 블록; 광 블록이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 삽입 돌기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 광 전송로와 광정렬되는 광전 소자, 및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끼움 돌기를 구비하는 리셉터클; 및 리셉터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쉘을 포함하며; 쉘은, 쉘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삽입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 개폐부에 의하여 삽입홀이 개방될 때 끼움 돌기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끼움홈; 및 제1 끼움홈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개폐부에 의하여 삽입홀이 폐쇄될 때 끼움 돌기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끼움홈을 구비하는 쉘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레버 조작과 슬라이딩 조작만으로 광 블록을 리셉터클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할 수 있으므로, 광 블록의 고정 구조가 단순화되어 광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커넥터{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기기(예; 스마트폰, 스마트TV, 컴퓨터, 태블릿 PC, 디스플레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게임기, 네비게이션 등)은 IT 기술 발전에 힘입어 고성능, 고속화, 집적화 및 소형화(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의 전자 기기 트렌드는 기기 내 보드 간에 고화질, 3D 영상 콘텐츠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기술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신호 감쇄, 노이즈,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연결배선 소형화 등이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기 내 데이터 전송에 있어 구리 기반의 배선, 즉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리 배선은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최근의 전자기기 트렌드에 부합한 각종 기술적 이슈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최근에 광 배선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즉, 광 배선은 수십 채널의 병렬 전기 신호 라인을 직렬 광신호 라인으로 대체하여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이 가능하며, 노이즈,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연결배선 소형화 등의 기술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신호 라인과 기기 내 보드를 연결하기 위하여, 광전 변환 기능을 갖춘 광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광 커넥터는, 기기 내 보드에 실장되는 리셉터클(receptacle)과 리셉터클에 체결되는 광 블록을 포함한다. 리셉터클의 광전 변환 기능을 갖는 광전 소자, 광전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광전 제어 소자, 및 광전 소자와 기기 내 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 등을 포함한다. 또한, 광 블록은,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 전송로, 및 광 전송로와 광전 소자를 광 정렬하는 렌즈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광 커넥터는, 리셉터클의 광 블록의 고정 구조가 복잡하여 소형화 및 저배화를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형화 및 저배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광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는,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 전송로 및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삽입 돌기를 구비하는 광 블록; 광 블록이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 삽입 돌기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 광 전송로와 광정렬되는 광전 소자, 및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끼움 돌기를 구비하는 리셉터클; 및 리셉터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쉘을 포함하며; 쉘은, 쉘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삽입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 개폐부에 의하여 삽입홀이 개방될 때 끼움 돌기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끼움홈; 및 제1 끼움홈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개폐부에 의하여 삽입홀이 폐쇄될 때 끼움 돌기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끼움홈을 구비하는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쉘은, 개폐부가 마련되는 제1 쉘; 및 제1 쉘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1 끼움홈과 제2 끼움홈이 마련되는 제2 쉘을 구비하며; 끼움 돌기는. 제2 쉘이 탄성 변형될 때, 제1 끼움홈 또는 제2 끼움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 쉘은, 제2 쉘이 탄성 변형되도록 제2 쉘을 가압 가능한 가압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쉘은, 제1 끼움홈과 제2 끼움홈 사이에 돌출 형성되며, 제2 쉘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경우에는 끼움 돌기가 걸림되며, 제2 쉘이 탄성 변형된 경우에는 끼움 돌기가 걸림 해제되는 차단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광 블록은, 삽입 돌기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삽입 돌기와 함께 삽입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 돌기를 더 구비하고, 광 블록은, 안착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며, 리셉터클은, 삽입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광 블록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걸림 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걸림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광 블록은, 일측면에 형성되는 요동 방지홈을 더 구비하며, 안착부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광 블록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요동 방지홈에 선택적으로 끼움 또는 끼움 해제되는 요동 방지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리셉터클은,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며, 쉘은, 가이드 돌기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가이드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쉘은, 광 블록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광 블록은, 광 전송로와 광전 소자에 사이에 위치하여, 광 전송로와 광전 소자를 광정렬하는 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리셉터클은, 광전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간단한 레버 조작과 슬라이딩 조작만으로 광 블록을 리셉터클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할 수 있다.
둘째, 광 블록의 고정 구조가 단순화됨에 따라 광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를 구현할 수 있다.
셋째, 광 블록을 리셉터클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 부재와 광 블록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다수의 진동 방지 부재를 구비하여, 광 블록을 리셉터클에 이탈의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
도 3a 도 3b는 도 2의 광 블록과 쉘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광 블록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광 블록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리셉터클과 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리셉터클과 쉘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리셉터클과 쉘의 배면도.
도 9는 도 6의 리셉터클과 쉘의 측면도.
도 10은 도 6의 리셉터클과 쉘의 후면도.
도 11a 내지 도 11f는 도 2의 광 블록을 리셉터클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광 커넥터의 사시도 및 평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도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광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a 도 3b는 도 2의 광 블록과 쉘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는, 광 전송로(11)를 구비하는 광 블록(10), 광 블록(1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기판에 실장되는 리셉터클(20), 및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쉘(30)을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블록(10)은 후술할 리셉터클(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며, 쉘(30)은 리셉터클(2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리셉터클(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광 블록(10)과 쉘(30)이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광 블록(10)의 고정 또는 고정 해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의 광 블록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광 블록의 결합 사시도이다.
광 블록(10)은, 광 전송로(11)를 후술할 리셉터클(20)의 광전 소자(23)와 광정렬하기 위한 부재이다. 광 블록(1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의 안착부(21)에 리셉터클(2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또한, 광 블록(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 전송로(11), 광 전송로(11)가 끼워지는 끼움홀(12), 광 전송로(11)와 리셉터클(20)의 광전 소자(23) 사이에 위치하여, 광 전송로(11)와 리셉터클(20)의 광전 소자(23)를 광정렬하는 렌즈(13), 끼움홀(12)과 렌즈(13) 사이에 개방 형성되는 개방홈(14), 개방홈(14)에 장착되는 고정구(15), 광 블록(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삽입 돌기(16), 및 삽입 돌기(16)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 돌기(17), 및 광 블록(1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요동 방지홈(18)을 포함한다.
광 전송로(11)는, 광전 소자(23)에 전달하기 위한 광 신호나 광전 소자(23)로부터 전달받은 광 신호를 전송하며, 단부가 개방홈(14)을 통과하여 렌즈(13)와 맞닿도록 끼움홀(12)에 끼워져 설치된다. 광 전송로(11)는, 광파이버(Plastic Optical Fiber)로 이루어지며, 광 전송 매개체로서 코어(미도시)와 클래드(미도시)를 구비한다. 광 전송로(11)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광 전송로(11)가 마련될 수 있다.
끼움홀(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블록(10)의 전면에 광 전송로(11)와 동일한 개수가 마련되며, 광 전송로(11)가 끼워져 설치된다.
렌즈(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블록(10)의 후면에 설치되며, 광 전송로(11)와 동일 개수가 마련된다. 렌즈(13)는, 끼움홀(12)에 끼워진 광 전송로(11)와 리셉터클(20)의 광전 소자(23)를 광정렬한다.
개방홈(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홀(12)과 렌즈(13) 사이에 위치하며, 광 블록(10)의 상측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다. 또한, 개방홈(14)의 저면에는, 끼움홀(12)에 끼워진 광 전송로(11)의 하부를 둘러쌀 수 있는 하부 지지홈(14a)이 형성된다.
고정구(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홈(14)에 장착되며, 끼움홀(12)에 끼워진 광 전송로(11)의 상부를 둘러쌀 수 있는 상부 지지홈(15a)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구(15)를 개방홈(14)에 장착하면, 광 전송로(11)는 개방홈(14)의 하부 지지홈(14a)과 고정구(15)의 상부 지지홈(15a)에 의하여 상하로 가압되며, 이를 통해 광 전송로(11)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다.
고정구(15)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구(15)는, 광 전송로(11)와 비슷한 굴절률을 가지며, 광 투과성이 좋은 폴리머 계열의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구(15)는, 1.2 ~ 1.8의 굴절률의 가지고, 광 전송로(11)의 파장 대역에서 80 ~ 95%의 광 투과율을 갖는 광 투과성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 돌기(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블록(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후술할 리셉터클(20)의 삽입홀(25)에 삽입된다. 삽입 돌기(16)의 형성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삽입 돌기(16)는, 광 블록(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2개 씩,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1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삽입 돌기(16)의 하단부로부터 광 블록(10)의 후측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걸림 돌기(17)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블록(10)이 안착부(21)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후술할 리셉터클(20)의 걸림홈(26)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된다. 따라서, 걸림 돌기(17)가 걸림홈(26)에 걸림된 상태로 광 블록(10)이 안착부(21)에 안착될 수 있으므로, 광 블록(10)이 안착부(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동 방지홈(18)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3)를 사이에 두고 광 블록(10)의 후면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요동 방지홈(18)은, 광 블록(10)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후술할 리셉터클(20)의 요동 방지 돌기(22)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된다. 따라서, 광 블록(10)은 요동 방지홈(18)이 리셉터클(20)의 요동 방지 돌기(22)와 결합된 상태로 안착부(21)에 안착될 수 있으므로, 광 블록(10)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리셉터클과 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리셉터클과 쉘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리셉터클과 쉘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리셉터클과 쉘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6의 리셉터클과 쉘의 후면도이다.
리셉터클(20)은, 회로 기판으로부터 전달받은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광 전송로(11)에 전달하거나 광 전송로(11)로부터 전달 받은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회로 기판으로 전달하기 위한 부재이다. 리셉터클(20)은, 회로 기판(미도시)에 안착되며,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리셉터클(20)은, 광 블록(10)이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부(21), 광 블록(10)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광 블록(10)의 요동 방지홈(18)에 선택적으로 끼움 또는 끼움 해제되는 요동 방지 돌기(22), 광 전송로(11)와 광정렬되는 광전 소자(23), 광전 소자(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24), 삽입 돌기(16)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25), 광 블록(10)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걸림 돌기(17)가 선택적으로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걸림홈(26), 쉘(30)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쉘(30)을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끼움 돌기(27), 및 쉘(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28)를 포함한다.
안착부(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30)의 상면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광 블록(10)이 안착된다. 안착부(21)는, 광 블록(10)과 대응되는 형성을 가지되, 광 블록(10)이 안착부(21)에 안착된 상태로 리셉터클(2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리셉터클(20)의 길이 방향으로는 광 블록(10)보다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긴 길이를 갖는다.
요동 방지 돌기(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1)의 내측면으로부터 리셉터클(20)의 전측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요동 방지 돌기(2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요동 방지 돌기(22)가 후술할 광 유로(29)를 사이에 두고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의 후측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각각의 요동 방지 돌기(22)가 이와 대응되는 광 블록(10)의 요동 방지홈(18)에 끼워진다. 또한,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의 전측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각각의 요동 방지 돌기(22)가 이와 대응되는 광 블록(10)의 요동 방지홈(18)으로부터 끼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요동 방지 돌기(22)가 마련됨에 따라, 요동 방지홈(18)에 요동 방지 돌기(22)가 끼워진 상태로 광 블록(10)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광 블록(10)이 진동하여 광 전송로(11)와 광전 소자(23)의 광정렬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전 소자(23)는, 회로 기판으로부터 전달받은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광 전송로(11)에 전달하거나 광 전송로(11)부터 전달받은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광 전송로(11)에 전달하는 광전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광전 소자(23)는, 일반적인 광전 소자(2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전 소자(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블록(10)의 렌즈(13)를 매개로 광 전송로(11)와 광정렬될 수 있도록 안착부(21)로부터 리셉터클(20)의 후측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리드(24)를 매개로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광전 소자(23)는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광 전송로(11)와 동일한 개수의 광전 소자(23)가 설치된다
한편, 리셉터클(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1)와 광전 소자(23) 사이에 개방 형성되며, 광 신호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광 유로(29), 및 광전 소자(23)의 구동을 제어하는 광전 제어 소자(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리드(2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 소자(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회로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24)는 광전 소자(23)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삽입홀(2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1)의 양쪽 측단부에 각각 2개 씩, 총 4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삽입홀(25)마다 이와 대응되는 광 블록(10)의 삽입 돌기(16)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다. 삽입홀(25)은 쉘(30)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쉘(30)의 개폐부(45)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이에 따라 삽입홀(25)에 삽입된 삽입 돌기(16)는 개폐부(45)에 의하여 삽입홀(25)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돌기(16)가 삽입홀(25)에 고정된 상태로 광 블록(10)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삽입 돌기(16)가 삽입홀(25)로부터 이탈되어 광 블록(10)이 리셉터클(2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홈(2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각각의 삽입홀(25)로부터 리셉터클(20)의 후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리셉터클(20)의 안착부(21)에 안착된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의 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광 블록(10)의 각각의 걸림 돌기(17)는 이와 대응되는 걸림홈(26)에 걸림된다.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의 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광 블록(10)의 각각의 걸림 돌기(17)는 걸림홈(26)으로부터 걸림 해제된다. 이와 같이 걸림홈(26)이 마련됨에 따라, 걸림 돌기(17)가 걸림홈(26)에 걸림된 상태로 광 블록(10)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삽입 돌기(16)가 삽입홀(25)로부터 이탈되어 광 블록(10)이 리셉터클(20)과 분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끼움 돌기(2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의 양쪽 측면의 후단부에 각각 하나 씩, 총 2개가 돌출 형성되며, 후술할 쉘(30)의 제1 끼움홈(51) 또는 제2 끼움홈(52)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진다.
가이드 돌기(28)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돌기(27)보다 리셉터클(20)의 선단부 쪽에 위치하도록 리셉터클(20)의 양쪽 측면에 각각 하나씩, 총 2개가 돌출 형성되며, 후술할 쉘(30)의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다음으로, 쉘(30)은, 리셉터클(20)의 안착부(21)에 안착된 광 블록(10)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기 위한 부재이다. 쉘(30)은, 리셉터클(20)의 상부와 측부를 둘러싸도록 리셉터클(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금속 판재를 펀칭 및 절곡 가공하여 제조한다.
또한, 쉘(30)은,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의 안착부(21)에 삽입하거나 리셉터클(20)의 안착부(21)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제1 쉘(40), 및 제1 쉘(40)의 후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쉘(30)을 리셉터클(20)에 고정하거나 리셉터클(20)로부터 고정 해제하기 위한 제2 쉘(50)로 이루어진다. 즉, 쉘(30)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1 끼움홈(51) 또는 제2 끼움홈(52)으로부터 리셉터클(20)의 끼움 돌기(27)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쉘(30)은, 광 블록(10)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1 관통홀(41), 삽입 돌기(16)와 걸림 돌기(17)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2 관통홀(42), 쉘(30)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 레버(43), 광 블록(1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돌기(44), 쉘(30)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삽입홀(2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45), 및 쉘(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46)을 포함한다.
또한, 쉘(30)은, 개폐부(45)에 의하여 삽입홀(25)이 개방될 때 리셉터클(20)의 끼움 돌기(27)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끼움홈(51), 개폐부(45)에 의하여 삽입홀(25)이 폐쇄될 때 끼움 돌기(27)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끼움홈(52), 리셉터클(20)의 끼움 돌기(27)가 제1 끼움홈(51)과 제2 끼움홈(52)의 사이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돌기(53), 및 리셉터클(20)의 끼움 돌기(27)를 제1 끼움홈(51) 또는 제2 끼움홈(52)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가압 레버(54)를 더 포함한다.
제1 관통홀(4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블록(1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제1 쉘(40)의 상면에 형성되며, 광 블록(10)을 안착부(21)에 삽입하거나 안착부(21)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광 블록(10)의 이동 통로를 제공한다.
제2 관통홀(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홀(41)의 양쪽 측단부에 각각 2개 씩, 총 4개가 광 블록(10)의 삽입 돌기(16) 및 걸림 돌기(17)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삽입 돌기(16)와 걸림 돌기(17)를 리셉터클(20)의 삽입홀(25)에 삽입하거나 삽입홀(25)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삽입 돌기(16)와 걸림 돌기(17)의 이동 통로를 제공한다.
파지 레버(4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쉘(40)의 상면의 일부분이 절개 및 절곡되어 형성되며, 쉘(30)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면을 제공한다.
탄성 돌기(4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홀(41)의 내측면으로부터 쉘(30)의 후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탄성 돌기(44)는 리셉터클(20)의 안착부(21)에 안착된 광 블록(10)의 전면을 리셉터클(20)의 후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며, 이로 인해 걸림홈(26)에 대한 걸림 돌기(17)의 걸림 상태와 요동 방지홈(18)에 대한 요동 방지 돌기(22)의 끼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개폐부(45)는, 쉘(30)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리셉터클(20)의 삽입홀(2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제1 쉘(40)의 상면에 마련된다. 개폐부(45)는 각각의 제2 관통홀(42)마다 하나씩, 총 4개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폐부(45)는, 각각의 제2 관통홀(42)을 둘러싼 둘레면 중 리셉터클(20)의 전측 방향에 위치한 전측 둘레면에 마련되며, 제1 개폐부(45a)와 제2 개폐부(45b)를 구비한다.
개폐부(45)는,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30)이 리셉터클(20)의 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에 삽입홀(25)의 일부분을 덮어서 폐쇄하고,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30)이 리셉터클(20)의 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에 삽입홀(25)을 개방한다. 이와 같이 개폐부(45)가 마련됨에 따라, 삽입홀(25)에 삽입된 삽입 돌기(16)를 개폐부(45)를 통해 삽입홀(25)에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할 수 있다.
가이드홈(4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쉘(40)의 측면에 형성되며, 리셉터클(20)의 가이드 돌기(28)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가이드홈(46)은, 가이드 돌기(28)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이를 통해 리셉터클(20)에 대한 쉘(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끼움홈(5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쉘(50)의 측면에 끼움 돌기(27)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끼움 돌기(27)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1 끼움홈(5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쉘(50)의 측면에 끼움 돌기(27)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제1 끼움홈(51)으로부터 쉘(30)의 전측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끼움 돌기(27)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차단 돌기(53)는, 제1 끼움홈(51)과 제2 끼움홈(52) 사이에 돌출 형성되며, 제2 쉘(50)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경우에는 끼움 돌기(27)가 걸림되며, 제2 쉘(50)이 탄성 변형된 경우에는 끼움 돌기(27)가 걸림 해제된다.
제1 끼움홈(51), 제2 끼움홈(52) 및 차단 돌기(53)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쉘(50)의 양쪽 측면의 후단부에 각각 제3 관통홀(55)을 마련하고, 이러한 제3 관통홀(55)의 바닥면에 제1 끼움홈(51), 제2 끼움홈(52) 및 차단 돌기(53)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제1 끼움홈(51)과 제2 끼움홈(52)은 구현하고자 하는 쉘(30)의 슬라이딩 이동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차단 돌기(53)는, 이러한 제1 끼움홈(51)과 제2 끼움홈(52) 사이에 돌출 형성되되 제2 쉘(50)의 탄성 변형여부에 따라 끼움 돌기(27)가 차단 돌기(53)에 선택적으로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끼움홈(51), 제2 끼움홈(52) 및 차단 돌기(53)가 마련됨에 따라, 도 11c 및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2 쉘(50)을 탄성 변형시켜 끼움 돌기(27)를 제1 끼움홈(51)과 제2 끼움홈(52)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리시키고, 다음으로, 끼움 돌기(27)가 차단 돌기(53)를 타고 넘어 가도록 쉘(30)을 슬라이딩 시키고, 이후에, 제2 쉘(50)에 대한 탄성 변형을 해제하여 끼움 돌기(27)를 제1 끼움홈(51)과 제2 끼움홈(52) 중 다른 하나에 장착시키는 방식을 통하여, 쉘(30)을 리셉터클(20)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할 수 있다.
가압 레버(5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쉘(50)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제2 쉘(50)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쉘(50)이 제1 쉘(40)의 후단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어 끼움 돌기(27)가 제1 끼움홈(51) 또는 제2 끼움홈(5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가압 레버(54)를 통해 제2 쉘(50)을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f는 도 2의 광 블록을 리셉터클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광 커넥터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의 안착부(21)에 안착시킨다. 여기서,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에 안착부(21)에 안착시킬 때에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30)이 리셉터클(20)의 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리셉터클(20)의 삽입홀(25)이 완전 개방됨과 동시에 리셉터클(20)의 끼움 돌기(27)가 쉘(30)의 제1 끼움홈(51)에 끼워진 상태에서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의 안착부(21)에 안착시켜야 한다. 그러면, 완전 개방된 리셉터클(20)의 삽입홀(25)에 광 블록(10)의 삽입 돌기(16)와 걸림 돌기(17)를 삽입하여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의 안착부(21)에 안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의 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리셉터클(20)의 요동 방지 돌기(22)를 광 블록(10)의 요동 방지홈(18)에 끼움과 동시에 광 블록(10)의 걸림 돌기(17)를 리셉터클(20)의 걸림홈(26)에 건다.
이후에, 셀을 리셉터클(20)의 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리셉터클(20)의 삽입홀(25)을 쉘(30)의 개폐부(45)로 폐쇄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c 및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가압 레버(54)를 이용하여 제2 쉘(50)을 탄성 변형시켜 끼움 돌기(27)를 제1 끼움홈(51)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다음으로, 끼움 돌기(27)가 차단 돌기(53)를 타고 넘어서 제2 끼움홈(52) 쪽으로 이동하도록 쉘(30)을 리셉터클(20)의 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이후에, 제2 쉘(50)의 탄성 변형이 해제되도록 제2 쉘(5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한다.
그러면, 도 11e 및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20)의 끼움 돌기(27)가 쉘(30)의 제2 끼움홈(52)에 끼워져 쉘(30)이 고정됨과 동시에 쉘(30)의 개폐부(45)에 의하여 리셉터클(20)의 삽입홀(25)이 폐쇄된다. 그러므로, 외부의 충격 기타 원인으로 인해 걸림 돌기(17)가 걸림홀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더라도, 광 블록(10)의 삽입 돌기(16)와 걸림 돌기(17)가 삽입홀(25)로부터 인출되는 것이 개폐부(45)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광 블록(10)이 이탈의 우려 없이 리셉터클(20)의 안착부(21)에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한편,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의 안착부(21)로부터 인출할 때에는, 상술한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여, 광 블록(10)을 리셉터클(20)의 안착부(21)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는, 광 블록(10)과 쉘(30)에 대한 간단한 가압 및 슬라이딩 조작만으로, 광 블록(10)과 쉘(30)을 리셉터클(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 커넥터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광 커넥터의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어 광 커넥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광 블록 11 : 광전송로
12 : 끼움홀 13 : 렌즈
14 : 개방홈 14a : 하부 지지홈
15 : 고정구 15a : 상부 지지홈
16 : 삽입 돌기 17 : 걸림 돌기
18 : 요동 방지홈
20 : 리셉터클 21 : 안착부
22 : 요동 방지 돌기 23 : 광전 소자
24 : 리드 25 : 삽입홀
26 : 걸림홈 27 : 끼움 돌기
28 : 가이드 돌기 29 : 광 유로
30 : 쉘
40 : 제1 쉘 41 : 제1 관통홀
42 : 제2 관통홀 43 : 파지 레버
44 : 탄성 돌기 45 : 개폐부
45a : 제1 개폐부 45b : 제2 개폐부
46 : 가이드홈
50 : 제2 쉘 51 : 제1 끼움홈
52 : 제2 끼움홈 53 : 차단 돌기
54 : 가압 레버 55 : 제3 관통홀

Claims (10)

  1.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 전송로 및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삽입 돌기를 구비하는 광 블록;
    상기 광 블록이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삽입 돌기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 상기 광 전송로와 광정렬되는 광전 소자, 및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끼움 돌기를 구비하는 리셉터클; 및
    상기 리셉터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쉘을 포함하며;
    상기 쉘은,
    상기 쉘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삽입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에 의하여 상기 삽입홀이 개방될 때 상기 끼움 돌기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끼움홈; 및
    상기 제1 끼움홈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에 의하여 상기 삽입홀이 폐쇄될 때 상기 끼움 돌기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끼움홈을 구비하는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개폐부가 마련되는 제1 쉘; 및
    상기 제1 쉘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끼움홈과 상기 제2 끼움홈이 마련되는 제2 쉘을 구비하며;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제2 쉘이 탄성 변형될 때, 상기 제1 끼움홈 또는 상기 제2 끼움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쉘은,
    상기 제2 쉘이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제2 쉘을 가압 가능한 가압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제1 끼움홈과 상기 제2 끼움홈 사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쉘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걸림되며, 상기 제2 쉘이 탄성 변형된 경우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걸림 해제되는 차단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블록은,
    상기 삽입 돌기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삽입 돌기와 함께 상기 삽입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광 블록은,
    상기 안착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삽입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광 블록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걸림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블록은,
    일측면에 형성되는 요동 방지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광 블록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요동 방지홈에 선택적으로 끼움 또는 끼움 해제되는 요동 방지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쉘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광 블록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블록은,
    상기 광 전송로와 상기 광전 소자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 전송로와 상기 광전 소자를 광정렬하는 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광전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KR1020140195349A 2014-12-31 2014-12-31 광 커넥터 KR102019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349A KR102019740B1 (ko) 2014-12-31 2014-12-31 광 커넥터
PCT/KR2015/014581 WO2016108670A2 (ko) 2014-12-31 2015-12-31 광커넥터
US15/539,438 US10114184B2 (en) 2014-12-31 2015-12-31 Optical connector
CN201580071900.8A CN107111070B (zh) 2014-12-31 2015-12-31 光学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349A KR102019740B1 (ko) 2014-12-31 2014-12-31 광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469A true KR20160081469A (ko) 2016-07-08
KR102019740B1 KR102019740B1 (ko) 2019-09-09

Family

ID=5650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349A KR102019740B1 (ko) 2014-12-31 2014-12-31 광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9740B1 (ko)
CN (1) CN10711107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982A (ko) * 2016-10-26 2018-05-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커넥터
KR20180092060A (ko) * 2017-02-08 2018-08-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커넥터
KR20190115580A (ko) * 2018-04-03 2019-10-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9461A (ja) * 2006-01-27 2007-08-09 Seiko Epson Corp 光モジュール
KR101266710B1 (ko) * 2011-11-29 2013-05-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전 배선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770B1 (ko) * 1997-12-31 2000-11-15 강병호 광접속용 초다심 광커넥터조립체
KR100677065B1 (ko) * 1999-04-29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커넥터 모듈
JP4728976B2 (ja) * 2007-02-05 2011-07-20 山一電機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解除可能なロック機構
JP4750178B2 (ja) * 2008-12-24 2011-08-17 ホシデン株式会社 光コネクタ
US8297856B2 (en) * 2010-12-13 2012-10-30 Sae Magnetics (H.K.) Ltd. Electro-optical module and multi-functional latch member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9461A (ja) * 2006-01-27 2007-08-09 Seiko Epson Corp 光モジュール
KR101266710B1 (ko) * 2011-11-29 2013-05-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전 배선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982A (ko) * 2016-10-26 2018-05-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커넥터
KR20180092060A (ko) * 2017-02-08 2018-08-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커넥터
KR20190115580A (ko) * 2018-04-03 2019-10-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740B1 (ko) 2019-09-09
CN107111070B (zh) 2019-01-01
CN107111070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03797A (ja) 光学モジュールのラッチおよびemi遮蔽機構
US20160266323A1 (en) Datacenter optics (dco) edge mount transceiver assembly and plug connector
CN212647080U (zh) 一种光模块
US9176287B2 (en) Connector and plug that incorporates same
US10534144B1 (en) Optical transceiver
US9239436B2 (en) Fiber optic plug having an articulated force structure to inhibit angular ferrule biasing during insertion into an optical receptacle,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TWI384268B (zh) 可插拔小型化光收發模組
CN212623216U (zh) 一种光模块
TW201404056A (zh) 電子裝置的隨插即用光收發器模組
CN113805285A (zh) 一种光模块
KR20160081469A (ko) 광 커넥터
US9581773B2 (en) Cag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odule and connecting method
US7396166B1 (en) Optical transceiver module
CN215181035U (zh) 一种光模块
CN113419315A (zh) 一种光模块
CN204065473U (zh) Qsfp+aoc光模块
KR20060024108A (ko) 플러그형 광송수신 모듈 어셈블리
KR101266710B1 (ko) 광전 배선 모듈
CN214375428U (zh) 一种光模块
KR102137704B1 (ko)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US10114184B2 (en) Optical connector
CN111965768A (zh) 一种光模块
KR101266561B1 (ko) 광전 배선 모듈
US20140334827A1 (en) Miniature Pluggable Video Module
KR101477381B1 (ko) 광전 배선 모듈 및 리셉터클과 이를 이용한 광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