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704B1 -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704B1
KR102137704B1 KR1020150085883A KR20150085883A KR102137704B1 KR 102137704 B1 KR102137704 B1 KR 102137704B1 KR 1020150085883 A KR1020150085883 A KR 1020150085883A KR 20150085883 A KR20150085883 A KR 20150085883A KR 102137704 B1 KR102137704 B1 KR 102137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ceptacle
shell
fasten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993A (ko
Inventor
이익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5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70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ontaining optical and electrical 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는, 광 파이버 및 전기 케이블과 결합하는 플러그부; 상기 플러그부를 수직 방향으로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와 광학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부; 및 상기 리셉터클부의 외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소정 범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를 상기 체결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몸체를 이루는 쉘 바디부와 상기 쉘 바디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를 지지하는 플러그 지지부를 가지는 플러그 고정용 쉘을 포함하여,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저배화를 가능하게 하고 커넥팅 작업의 용이성 및 정확성을 개선한다.

Description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Optical and electrical hybrid connector}
본 발명은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저배화를 가능하게 하고 커넥팅 작업의 용이성 및 정확성을 개선하는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optical and electrical hybrid connector)는, 광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가 복합된 형태의 커넥터를 말한다.
최근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 전자 기기의 고 집적화, 고 사양화와 함께 고성능 소형 모바일 기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대용량 고속 전송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는 기존의 전기 커넥터를 보완할 수 있는 광 커넥터 기술, 특히 광 신호와 전기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기술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기술 분야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과제는, 광로 정렬의 정확성을 보장하여 신호 감쇠나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커넥터의 소형화, 저배화를 실현하고, 커넥터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공정과 커넥팅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9-21410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들은 광전 변환 커넥터의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상호 수평 방향으로 커넥팅되도록 하기 때문에 커넥팅 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전자 기기의 회로 기판에는 리셉터클과 함께 다양한 전자 소자들이 실장되는 바, 이와 같이 회로 기판에 실장된 전자 소자들은 플러그와 리셉터클 간의 수평 방향 커넥팅 작업을 방해한다. 또한, 수평 방향 커넥팅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셉터클 전방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경우, 전자 기기의 소형화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9-32963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들은 각각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이 실장된 두 개의 회로 기판을 상하로 중첩하여 커넥팅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전자 기기의 소형화 내지 저배화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저배화를 가능하게 함은 물론, 커넥팅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광로 정렬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는, 광 파이버 및 전기 케이블과 결합하는 플러그부; 상기 플러그부를 수직 방향으로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와 광학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부; 및 상기 리셉터클부의 외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소정 범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를 상기 체결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몸체를 이루는 쉘 바디부와 상기 쉘 바디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를 지지하는 플러그 지지부를 가지는 플러그 고정용 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그 외부면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부는, 상기 플러그부를 수직 방향으로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부; 및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체결 돌기부가 삽입되는 체결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그 외부면에 형성되는 광 정렬용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부는,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광 정렬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부를 상기 체결 위치로 유도하는 광 정렬용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리셉터클부에 수용되어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과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을 이동시키는 쉘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의 상기 플러그 지지부는, 상기 리셉터클부에 수용된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부의 상기 체결 홈부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체결 돌기부를 탈거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부는, 그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은, 상기 리셉터클부의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부는, 그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2 가이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은, 상기 리셉터클부의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은, 상기 리셉터클부에 수용된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을 수직 상방의 소정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 변위부; 및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의 상기 제1 가이드 홈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이 상기 잠금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부의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의 상기 잠금 위치를 유지시키는 잠금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광 파이버 및 상기 전기 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플러그 바디부; 상기 플러그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 파이버와 상기 리셉터클부를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렌즈부; 및 상기 플러그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케이블과 상기 리셉터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컨택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부는, 상기 플러그부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바디부; 상기 리셉터클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렌즈부를 통해 전송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 상기 리셉터클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전 변환부와 외부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리드부; 및 상기 리셉터클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컨택트부와 외부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전 변환부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소자가 소정 개수 배열되어 있는 광전 소자 어레이; 및 상기 광전 소자 어레이를 상기 리셉터클 바디부에 배치시키는 광전 소자 어레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수직 방향으로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하고, 광 신호와 전기 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 자체는 물론 전체 전자 기기를 높은 수준으로 소형화하고 저배화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플러그가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고, 리셉터클의 내부 경로를 따라 플러그가 체결되면 별도의 조작 없이 광로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넥팅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광로 정렬의 정확성을 보장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리셉터클부의 플러그부 수용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바라본 플러그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플러그부에서 분리된 컨택트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리셉터클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리셉터클 바디부의 일례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각각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 간의 체결 해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도 9a의 A-A', B-B', 및 C-C'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플러그부가 리셉터클부에 수용되어 체결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각각 도 11a의 A-A', B-B', 및 C-C'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 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각각 도 13a의 A-A', B-B', 및 C-C'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플러그 고정용 쉘의 수평 이동 및 수직 상방 이동 전후 상태를 비교한 도면.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 간의 체결 해제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의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가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는 플러그부(100), 리셉터클부(200), 및 플러그 고정용 쉘(300)을 포함한다.
플러그부(100)는,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 파이버(10)와 결합함은 물론, 전기 신호를 전송하거나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케이블(20)과도 결합한다. 이 경우, 광 파이버(10)와 전기 케이블(20)은, 플러그부(100)의 몸체를 이루는 플러그 바디부(110)에 형성된 케이블 삽입 홀(112)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된다. 광 파이버(10)와 전기 케이블(20)의 종류, 개수, 배치 방식 등에 대하여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플러그부(100)는 리셉터클부(200)에 수직 방향으로 수용되어 체결된다.
리셉터클부(200)는, 플러그부(100)를 수직 방향으로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100)와 광학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리셉터클부(200)는 리셉터클 바디부(210), 광전 변환부(220), 제1 리드부(230), 및 제2 리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부(200)의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플러그 고정용 쉘(300)은, 리셉터클부(200)의 외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소정 범위 이동 가능하도록 리셉터클부(200)에 설치되는 일종의 쉘(shell)로서, 몸체를 이루는 쉘 바디부(310)와 상기 쉘 바디부(310)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플러그 지지부(340)를 포함한다. 플러그 고정용 쉘(300)은, 리셉터클부(200)에 수용된 플러그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플러그부(100)와 함께 이동되고, 플러그부(100)가 리셉터클부(200)와 광학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플러그부(100)를 플러그 지지부(340)로 지지하여 플러그부(100)가 체결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은, 가이드 홈부들(320, 350), 탄성부들(330, 332) 및 잠금 돌기부(322)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구체적 구성과 동작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리셉터클부의 플러그부 수용 방식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부(100)는 리셉터클부(200)에 수직 방향으로 수용된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리셉터클부(200)에 수용된 플러그부(100)는, 일정 간격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 체결 위치에 놓임으로써 리셉터클부(200)와 광학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플러그부(100)는 그 외부면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돌기부(114)는, 리셉터클부(200)에 수직 방향으로 수용된 플러그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후술되는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홈부(214)에 삽입된다. 이 경우, 플러그 고정용 쉘(300)은,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홈부(214)에 삽입된 체결 돌기부(114)를 탈거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체결 돌기부(114)는 플러그부(100)의 양 측면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될 수 있으나, 체결 돌기부(114)의 형상, 개수, 배치 방식 등에 대하여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플러그부(100)는, 그 외부면에 형성되는 광 정렬용 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정렬용 홈부(140)는, 리셉터클부(200)에 수용된 플러그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후술되는 리셉터클부(200)의 광 정렬용 돌기부(228)가 삽입되면서 플러그부(100)를 소정 체결 위치로 유도하여 플러그부(100)와 리셉터클부(200) 간의 광로를 정렬시킨다.
한편, 플러그부(100)는, 리셉터클부(200)에 수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플러그 고정용 쉘(300)과 접촉하여 플러그 고정용 쉘(300)을 함께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플러그부(100)는, 리셉터클부(200)에 수용된 상태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과 접촉하는 쉘 접촉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플러그부(100)를 가압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플러그부(100)의 쉘 접촉부(116)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쉘 바디부(310)에 접촉하여 플러그 고정용 쉘(300)을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4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바라본 플러그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100)는 플러그 바디부(110)에 배치되는 렌즈부(120) 및 컨택트부(130)를 포함한다. 렌즈부(120)는, 광 전송에 사용되는 소정 광학 렌즈로 구성된다. 렌즈부(120)는, 플러그부(100)와 리셉터클부(200)가 체결되는 경우 리셉터클부(200)의 광전 변환부(220)와 인접하게 되는 플러그 바디부(110)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플러그 바디부(110)의 후단부를 통해 결합된 광 파이버(10)와 리셉터클부(200)를 광학적으로 연결한다. 즉, 플러그부(100)가 리셉터클부(200)에 수직 방향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되어 리셉터클부(200)와 완전히 체결되면, 렌즈부(120)는 광 파이버(10)를 통해 수신되는 광 신호를 리셉터클부(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렌즈부(120)는, 플러그부(100)에 결합되는 광 파이버(1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배치된다.
컨택트부(130)는, 플러그 바디부(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컨택트 삽입 홀(118)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플러그 바디부(110)의 후단부를 통해 결합된 전기 케이블(20)과 리셉터클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플러그부(100)가 리셉터클부(200)에 수직 방향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되어 리셉터클부(200)와 완전히 체결되면, 컨택트부(130)는 전기 케이블(20)을 통해 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리셉터클부(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컨택트부(130)는 플러그부(100)에 결합되는 전기 케이블(2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배치된다.
도 5에는 플러그부에서 분리된 컨택트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부(130)는 제1 접촉부(132), 고정 돌기부(134), 제2 접촉부(136), 및 탄성부(13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132)는 플러그 바디부(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컨택트 삽입 홀(118)에 삽입되어 플러그부(100)에 결합된 전기 케이블(20)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고정 돌기부(134)는 플러그 바디부(110) 내에 형성된 소정 고정 홈과 결합하여 컨택트부(130)를 컨택트 삽입 홀(118)에 고정시킨다. 제2 접촉부(136)는 후술되는 리셉터클부(200)의 제2 리드부(240)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탄성부(138)는 탄성력에 의해 제2 리드부(240)에 대한 제2 접촉부(136)의 접촉 상태를 유지시킨다.
도 6에는 도 4의 A-A' 부분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부(130)가 플러그 바디부(110)의 컨택트 삽입 홀(118)에 삽입되면, 컨택트부(130)의 고정 돌기부(134)는 플러그 바디부(110) 내부에 형성된 고정 홈(119)과 결합하여 컨택트부(130)의 탈거나 위치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컨택트부(130)의 제1 접촉부(132)는 플러그 바디부(110)의 케이블 삽입 홀(112)을 통해 삽입되어 있는 전기 케이블(20)의 절연 피복 내부의 도전체와 접촉한다.
한편, 리셉터클부(200)는, 플러그부(100)를 수직 방향으로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100)와 광학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7에는 리셉터클부의 일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부(200)는 리셉터클 바디부(210), 광전 변환부(220), 제1 리드부(230), 및 제2 리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바디부(210)는, 플러그부(100)를 수용하는 리셉터클부(2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셉터클 바디부(210)에는, 광전 변환부(220), 제1 리드부(230), 및 제2 리드부(240)가 배치된다.
광전 변환부(220)는, 리셉터클 바디부(210)에 배치되어 플러그부(100)의 렌즈부(120)를 통해 전송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광전 변환부(220)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소자(photo-electric element)가 소정 개수 배치되어 있는 광전 소자 어레이(222)와 이러한 광전 소자 어레이(222)를 리셉터클 바디부(210)에 배치시키는 광전 소자 어레이 프레임(2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전 소자 어레이(222)의 광전 소자는 광 파이버(1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광전 변환부(220)는, 광전 변환부(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전 소자 어레이 프레임(224)의 전면에는 광 정렬용 돌기부(228)가 형성될 수 있다.
광 정렬용 돌기부(228)는, 리셉터클부(200)에 수용된 플러그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플러그부(100)의 전면에 형성된 광 정렬용 홈부(140)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부(100)를 소정 체결 위치로 유도한다. 즉, 플러그부(100)의 광 정렬용 홈부(140)와 리셉터클부(200)의 광 정렬용 돌기부(228)는, 플러그부(100)와 리셉터클부(200) 간의 체결 과정에서, 플러그부(100)의 렌즈부(120)와 리셉터클부(200)의 광전 변환부(220) 간의 광로 정렬이 간단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 실시예에 따라, 광 정렬용 돌기부(228)는 리셉터클 바디부(2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리드부(230)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며, 리셉터클 바디부(210)에 배치되어 광전 변환부(220)와 외부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제1 리드부(230)는 일 단이 광전 변환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이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외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리드부(240)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며, 리셉터클 바디부(210)에 배치되어 플러그부(100)의 컨택트부(130)와 외부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2 리드부(240)는 일 단이 플러그부(100)의 컨택트부(130)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이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외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에는 리셉터클 바디부의 일례가 후방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바디부(210)는 광전 변환부(220)를 수용하는 광전 변환부 수용부(211), 플러그부(100)를 수직 방향으로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부(212), 제1 리드부(2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홈부(213), 및 제2 리드부(24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홈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리셉터클 바디부(210)는 플러그 수용부(212)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 홈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수용부(212)에 수직 방향으로 수용된 플러그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 체결 위치로 변위되는 경우, 상기 수용된 플러그부(1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체결 돌기부(114)가 리셉터클 바디부(210)의 체결 홈부(214)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 경우, 리셉터클 바디부(210)의 체결 홈부(214)는, 플러그부(100)의 체결 돌기부(114)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플러그부(100)의 체결 돌기부(114)가 'ㄴ'자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리셉터클 바디부(210)의 체결 홈부(214)는 이에 대응하는 'ㄴ'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부(100)의 체결 돌기부(114)와 리셉터클 바디부(210)의 체결 홈부(214)의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리셉터클 바디부(210)는, 그 외부면에 형성되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돌기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이드 돌기부(216)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리셉터클 바디부(21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ㅡ'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바디부(210)의 양 측면에 두 개씩, 총 네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바디부(210)는, 그 외부면에 형성되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2 가이드 돌기부(2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가이드 돌기부(217)는, 리셉터클 바디부(210)의 양 측면에 각각 한 개씩, 총 두 개가 리셉터클 바디부(21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바디부(210)는, 후술되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탄성 변위부(330, 332)가 각각 위치하는 체결 해제용 홈(218, 2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은, 리셉터클부(200)의 제1 가이드 돌기부(216)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홈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제1 가이드 홈부(320)는, 리셉터클부(200)의 제1 가이드 돌기부(216)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부(100)의 수평 방향 이동에 따른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수평 방향 이동과 플러그부(100)의 체결 위치에서 발생하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수직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후술되는 잠금 돌기부(322)와 함께 '┏'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은, 리셉터클부(200)의 제2 가이드 돌기부(217)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홈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가이드 홈부(350)는, 리셉터클부(200)의 제2 가이드 돌기부(217)와 함께, 리셉터클부(200) 상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즉,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제2 가이드 홈부(350)는, 리셉터클부(200)의 제2 가이드 돌기부(217)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부(100)의 수평 방향 이동에 따른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수평 방향 이동과 플러그부(100)의 체결 위치에서 발생하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수직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되, 그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ㅁ'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리셉터클부(200)의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부(216, 217)와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제1 및 제2 가이드 홈부(320, 350)의 형태, 위치, 개수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리셉터클부(200)에 수용된 플러그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리셉터클부(200)와 광학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플러그 고정용 쉘(300)은, 소정 잠금 위치로 이동하여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홈부(214)에 삽입된 플러그부(100)의 체결 돌기부(114)를 탈거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플러그부(100)를 고정한다. 이를 위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은 탄성 변위부(330, 332), 플러그 지지부(340), 및 잠금 돌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 변위부(330, 332)는, 리셉터클부(200)에 수용된 플러그부(100)가 상기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을 수직 상방의 소정 잠금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탄성 변위부(330, 332)는, 상기 체결 위치에 놓인 플러그부(100)의 체결 방향 전방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을 이동시키는 탄성 변위부(330)와, 후방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을 이동시키는 탄성 변위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지지부(340)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이 탄성 변위부(330, 332)에 의해 상기 잠금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체결 위치에 놓인 플러그부(100)의 체결 돌기부(114)를 지지한다.
잠금 돌기부(322)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제1 가이드 홈부(3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 고정용 쉘(300)이 잠금 위치에 놓인 경우, 리셉터클부(200)의 제1 가이드 돌기부(216)에 의해 지지되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잠금 위치를 유지시킨다.
이하, 도 9a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의 체결 및 체결 해제 방식과, 그에 따른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에는 각각,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 간의 체결 해제 상태가 평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는, 플러그부(100)가 리셉터클부(200)에 단순히 수용되는 것만으로 완전한 체결 상태에 이르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부(100)가 리셉터클부(200)에 단순히 수용된 상태는 체결 해제 상태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플러그부(100)를 리셉터클부(200)에 수직 방향으로 수용한 후, 플러그부(10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시킴으로써, 플러그부(100)와 리셉터클부(200)를 완전히 체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체결 해제 상태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 우측 전단부의 위치는 수평 방향으로 X1 지점, 수직 방향으로 Y1 지점에 해당한다고 가정한다. 즉,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잠금 해제 위치는 (X1, Y1)으로 가정한다.
한편, 체결 해제 상태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탄성 변위부(330, 332)는 각각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8, 219)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잠금 돌기부(322)는 리셉터클부(200)의 제1 가이드 돌기부(216)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에는 각각, 도 9a의 A-A', B-B', 및 C-C' 부분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해제 상태에서, 플러그부(100)의 체결 돌기부(114)는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홈부(214)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지 않으며,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플러그 지지부(340)는 지지하고자 하는 체결 돌기부(114)의 후단(도 10a에서 우측 체결 돌기부의 후단) 측에 위치한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해제 상태에서, 플러그부(100)의 컨택트부(130)는 리셉터클부(200)의 제2 리드부(240) 접촉면과 접촉되지 않으며, 리셉터클부(200)의 광 정렬용 돌기부(228)는 플러그부(100)의 광 정렬용 홈부(140)에 삽입되지 않는다.
또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해제 상태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탄성 변위부(330, 332)는 각각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8, 219)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플러그부(100)의 렌즈부(120)는, 리셉터클부(200)의 광전 변환부(220)와 이격되어 광로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11a 및 도 11b에는 각각, 플러그부가 리셉터클부에 수용되어 체결 위치로 이동된 상태가 평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부(100)가 리셉터클부(200)와 완전히 체결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리셉터클부(200)에 수직 방향으로 수용된 플러그부(10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플러그부(100)를 수평 방향을 따라 체결 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그러면, 플러그부(100)의 쉘 접촉부(116)에 접촉하고 있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도 함께 이동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플러그부(100)가 체결 위치에 놓이면, 플러그 고정용 쉘(300) 우측 전단부의 수평 방향 위치는 X1 지점에서 X2 지점으로 변경된다. 즉, 플러그 고정용 쉘(300) 우측 전단부의 중간 위치는 (X2, Y1)이 된다. 또한, 플러그부(100)가 체결 위치에 놓이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탄성 변위부(330, 332)는 각각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8, 219)에서 이탈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탄성 변위부(330, 332)의 일 단부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쉘 바디부(310)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 단부는 체결 해제 상태에서 체결 해제용 홈(218, 219)에 위치하되 그 저면이 상방으로 경사지거나 상방으로 만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8, 219)은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이동에 따라 탄성 변위부(330, 332)의 상기 타 단이 상승하여 체결 해제용 홈(218, 219)을 빠져나갈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플러그부(100)가 체결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잠금 돌기부(322)는 리셉터클부(200)의 제1 가이드 돌기부(216) 하부에서 진행 방향 측으로 벗어나 위치하게 된다. 또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제2 가이드 홈부(350)는, 그 측면이 리셉터클부(200)의 제2 가이드 돌기부(217)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수평 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에는 각각, 도 11a의 A-A', B-B', 및 C-C' 부분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100)가 체결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플러그부(100)의 체결 돌기부(114)는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홈부(214)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된다. 또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플러그 지지부(340)는 지지하고자 하는 체결 돌기부(114)의 후단(도 12a에서 우측 체결 돌기부의 후단) 측에 위치하여 이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100)가 체결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플러그부(100)의 컨택트부(130)는 리셉터클부(200)의 제2 리드부(240)의 접촉면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리셉터클부(200)의 광 정렬용 돌기부(228)는 플러그부(100)의 광 정렬용 홈부(140)에 삽입된다.
또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100)가 체결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탄성 변위부(330, 332)는 각각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8, 219)에서 이탈된다. 또한, 플러그부(100)의 렌즈부(120)와 리셉터클부(200)의 광전 변환부(220)는, 리셉터클부(200)의 광 정렬용 돌기부(228)가 플러그부(100)의 광 정렬용 홈부(140)에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되어 광로 정렬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3a 및 도 13b에는 각각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 간의 체결 상태가 평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부(100)와 리셉터클부(200)가 완전한 체결 상태에 이르기 위해서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이 소정 잠금 위치에 도달하여야 한다. 이러한 동작은, 작업자의 추가적인 조작을 요하는 것은 아니며,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8, 219)을 이탈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탄성 변위부(330, 332)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즉, 도 11b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8, 219)을 이탈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탄성 변위부(330, 332)는 리셉터클부(200)에 의해 지지되어 그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을 수직 상방의 잠금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체결 상태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수평 방향 위치는 X2 지점을 유지하며, 수직 방향 위치는 Y1 지점에서 Y2 지점으로 변경된다. 즉, 플러그 고정용 쉘(300) 우측 전단부의 잠금 위치는 (X2, Y2)가 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이 잠금 위치 (X2, Y2)로 수직 상승함에 따라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쉘 바디부(310)와 플러그부(100)의 쉘 접촉부(116) 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체결 상태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잠금 돌기부(322)는 리셉터클부(200)의 제1 가이드 돌기부(216) 측면까지 상승하여 제1 가이드 돌기부(216)에 의해 지지받음으로써 플러그 고정용 쉘(300)이 외력 등에 의해 체결 해제 방향인 후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은 탄성 변위부(330, 332)에 의한 탄성력과 잠금 돌기부(322)에 의한 지지력에 의해 잠금 위치 (X2, Y2)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제2 가이드 홈부(350)는, 그 측면 및 저면이 리셉터클부(200)의 제2 가이드 돌기부(217)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에는 각각, 도 13a의 A-A', B-B', 및 C-C' 부분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상태에서, 플러그부(100)의 체결 돌기부(114)는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홈부(214)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으며,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플러그 지지부(340)는 플러그부(100)의 체결 돌기부(114) 후단(도 14a에서 우측 체결 돌기부 후단)에서 체결 돌기부(114)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상태에서, 플러그부(100)의 컨택트부(130)는 리셉터클부(200)의 제2 리드부(240) 접촉면과 접촉을 유지한다. 또한, 리셉터클부(200)의 광 정렬용 돌기부(228)는 플러그부(100)의 광 정렬용 홈부(140)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상태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탄성 변위부(330, 332)는, 각각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8, 219)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탄성력 내지 복원력에 의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플러그부(100)의 렌즈부(120)와 리셉터클부(200)의 광전 변환부(220)는, 리셉터클부(200)의 광 정렬용 돌기부(228)와 플러그부(100)의 광 정렬용 홈부(140)가 삽입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그 광로 정렬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게 된다.
도 15a, 도 15b, 및 도 15c에는 플러그 고정용 쉘의 수평 이동 및 수직 상방 이동 전후 상태를 비교한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a에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전방 탄성 변위부(330)의 수평 이동 및 수직 상방 이동 전후 상태를 비교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8)에 위치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전방 탄성 변위부(330)는, 플러그부(100)가 체결 방향인 전방으로 수평 이동되면, 그에 따라 전방으로 수평 이동되어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8)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그리고,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전방 탄성 변위부(330)는,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8)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다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던 본래 모양을 복원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 고정용 쉘(300) 전체를 수직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15b에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후방 탄성 변위부(332)의 수평 이동 및 수직 상방 이동 전후 상태를 비교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9)에 위치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후방 탄성 변위부(332)는, 플러그부(100)가 체결 방향인 전방으로 수평 이동되면, 그에 따라 전방으로 수평 이동되어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9)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그리고,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후방 탄성 변위부(332)는,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9)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던 본래 모양을 복원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 고정용 쉘(300) 전체를 수직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15c에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제1 가이드 홈부(320) 및 잠금 돌기부(322)의 수평 이동 및 수직 상방 이동 전후 상태를 비교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부(200)의 제1 가이드 돌기부(216)가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제1 가이드 홈부(320)와 잠금 돌기부(322)는, 플러그부(100)가 체결 방향인 전방으로 수평 이동되면, 그에 따라 전방으로 수평 이동된다. 그 결과,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잠금 돌기부(322)는, 리셉터클부(200)의 제1 가이드 돌기부(216) 하부에서 전방 측으로 벗어나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이 전·후방 탄성 변위부(330, 332)에 의해 수직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쉘 바디부(310)와 플러그부(100)의 쉘 접촉부(116) 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며,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제1 가이드 홈부(320)와 잠금 돌기부(322)도 함께 수직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잠금 돌기부(322)는, 리셉터클부(200)의 제1 가이드 돌기부(216) 측면까지 상승하여 제1 가이드 돌기부(216)에 의해 지지받게 됨으로써, 플러그 고정용 쉘(300)이 외력 등에 의해 체결 해제 방향인 후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6a, 도 16b, 및 도 16c에는 플러그부와 리셉터클부 간의 체결 해제 동작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은 탄성 변위부(330, 332)에 의한 탄성력과 잠금 돌기부(322)에 의한 지지력에 의해 잠금 위치 (X2, Y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려면 우선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쉘 바디부(310)를 가압하여 플러그 고정용 쉘(300)을 수직 하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이 수직 하방으로 이동되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잠금 돌기부(322)는 리셉터클부(200)의 제1 가이드 돌기부(216)에 의해 지지받지 않게 되어 일단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쉘 바디부(310)와 플러그부(100)의 쉘 접촉부(116)가 다시 접촉 상태가 된다. 이 경우,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위치는 (X2, Y1)이 된다. 그러나, 이는 플러그부(100)의 체결 해제 상태가 아니다. 사용자의 가압력이 사라지면 탄성 변위부(330, 332)의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이 다시 잠금 위치 (X2, Y2)로 복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러그부(100)의 체결 해제 상태에 이르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쉘 바디부(310)를 가압한 상태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을 잠금 해제 위치 (X1, Y1)로 이동시켜야 한다.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쉘 바디부(310)를 가압한 상태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을 체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플러그 고정용 쉘(300)이 잠금 해제 위치 (X1, Y1)에 이르게 된다. 또한, 쉘 바디부(310)와 접촉한 플러그부(100)가 플러그 고정용 쉘(300)과 함께 이동됨으로써 체결 해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체결 해제 상태에서,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탄성 변위부(330, 332)는 다시 리셉터클부(200)의 체결 해제용 홈(218, 219)에 위치하게 되고, 플러그 고정용 쉘(300)의 잠금 돌기부(322)는 리셉터클부(200)의 제1 가이드 돌기부(216)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 해제 과정 중에 플러그부(100)와 리셉터클부(200)의 구성들은 각각 체결 과정의 역순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수직 방향으로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하고, 광 신호와 전기 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 자체는 물론 전체 전자 기기를 높은 수준으로 소형화하고 저배화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플러그가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고, 리셉터클의 내부 경로를 따라 플러그가 체결되면 별도의 조작 없이 광로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넥팅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광로 정렬의 정확성을 보장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플러그부 110 : 플러그 바디부
114 : 체결 돌기부 116 : 쉘 접촉부
120 : 렌즈부 130 : 컨택트부
140 : 광 정렬용 홈부 200 : 리셉터클부
210 : 리셉터클 바디부 212 : 플러그 수용부
214 : 체결 홈부 216 : 제1 가이드 돌기부
217 : 제2 가이드 돌기부 220 : 광전 변환부
228 : 광 정렬용 돌기부 230 : 제1 리드부
240 : 제2 리드부 300 : 플러그 고정용 쉘
310 : 쉘 바디부 320 : 제1 가이드 홈부
322 : 잠금 돌기부 330, 332 : 탄성 변위부
340 : 플러그 지지부 350 : 제2 가이드 홈부

Claims (11)

  1. 광 파이버 및 전기 케이블과 결합하는 플러그부;
    상기 플러그부를 수직 방향으로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수직 방향으로 수용된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플러그부와 광학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부; 및
    상기 리셉터클부의 외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리셉터클부 상에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일정 범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수직 방향으로 수용된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부에 접촉되어 상기 플러그부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수직 상방으로 일정 범위 이동하는 플러그 고정용 쉘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부는, 그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은,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홈부;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플러그부를 상기 체결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플러그 지지부;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을 수직 상방의 소정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 변위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홈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이 상기 탄성 변위부에 의해 상기 수직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잠금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홈부에 삽입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을 상기 잠금 위치에 유지시키는 잠금 돌기부를 포함하는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그 외부면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부는, 상기 플러그 수용부의 내부 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체결 돌기부가 삽입되는 체결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그 외부면에 형성되는 광 정렬용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부는,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광 정렬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부를 상기 체결 위치로 유도하는 광 정렬용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과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쉘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의 상기 플러그 지지부는,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체결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부의 상기 체결 홈부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체결 돌기부를 탈거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부는, 그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2 가이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고정용 쉘은, 상기 리셉터클부의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광 파이버 및 상기 전기 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플러그 바디부;
    상기 플러그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 파이버와 상기 리셉터클부를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렌즈부; 및
    상기 플러그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케이블과 상기 리셉터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컨택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부는,
    상기 플러그부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바디부;
    상기 리셉터클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렌즈부를 통해 전송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
    상기 리셉터클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전 변환부와 외부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리드부; 및
    상기 리셉터클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컨택트부와 외부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변환부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소자가 소정 개수 배열되어 있는 광전 소자 어레이; 및
    상기 광전 소자 어레이를 상기 리셉터클 바디부에 배치시키는 광전 소자 어레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KR1020150085883A 2015-06-17 2015-06-17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KR102137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883A KR102137704B1 (ko) 2015-06-17 2015-06-17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883A KR102137704B1 (ko) 2015-06-17 2015-06-17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993A KR20160148993A (ko) 2016-12-27
KR102137704B1 true KR102137704B1 (ko) 2020-07-24

Family

ID=5773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883A KR102137704B1 (ko) 2015-06-17 2015-06-17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623B1 (ko) * 2017-03-27 2021-10-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전 커넥터
KR102322877B1 (ko) * 2017-04-13 2021-11-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전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5104A (ja) * 2003-07-02 2005-01-27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モジュール
KR101266710B1 (ko) * 2011-11-29 2013-05-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전 배선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065B1 (ko) * 1999-04-29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커넥터 모듈
JP5014266B2 (ja) * 2008-06-11 2012-08-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5104A (ja) * 2003-07-02 2005-01-27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モジュール
KR101266710B1 (ko) * 2011-11-29 2013-05-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전 배선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993A (ko)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3963B (zh) 连接器
US806205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th a latch mechanism
US8696220B2 (en) Optical connector with improved dustproof mechanism
US8439576B2 (en) Photoelectric connector assembly
US7736186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housing with arms
US883418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mpact configuration
US9647401B2 (en) Connector device including cable connector
US11450988B2 (en) Strap connector with strap unlocking device
US20140153195A1 (en) Communication module
US20160359242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20110085766A1 (en) Optical connector with improved position mechanism for holding an optical module thereof
KR102137704B1 (ko)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US8944700B2 (en) Connector
KR102019740B1 (ko) 광 커넥터
CN102365569A (zh) 光连接器
US10114184B2 (en) Optical connector
US9804338B2 (en) Plug connector to couple a hybrid cable to a receptacle
KR102638551B1 (ko) 광커넥터
JP4299855B2 (ja) 光伝送装置アッ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933142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mating port for different transporting interfaces
KR102689444B1 (ko) 광커넥터
KR102602185B1 (ko) 광커넥터
KR102453817B1 (ko) 광커넥터
KR102172653B1 (ko) 광커넥터
KR102602186B1 (ko) 광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