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817B1 -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817B1
KR102453817B1 KR1020160053755A KR20160053755A KR102453817B1 KR 102453817 B1 KR102453817 B1 KR 102453817B1 KR 1020160053755 A KR1020160053755 A KR 1020160053755A KR 20160053755 A KR20160053755 A KR 20160053755A KR 102453817 B1 KR102453817 B1 KR 102453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receptacle
plug
assembly
plu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184A (ko
Inventor
박유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3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81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4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08Fibre wiring boards, i.e. where fibres are embedded or attached in a pattern on or to a substrate, e.g. flexible sheets
    • G02B6/3612Wiring methods or mach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 G02B6/3624Fibre head, e.g. fibre probe term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리셉터클 어셈블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광전소자 어레이,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수납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를 가압하여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에 연결된 플러그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커넥터{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파이버 등과 같은 광전송케이블을 이용하여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기기는 IT 기술 발전에 힘입어 고성능, 고속화, 집적화,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전자기기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TV텔, 컴퓨터, 태블릿 PC, 디스플레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게임기,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최근의 전자기기 트렌드는 기기 내 보드 간에 고화질, 3D 영상 콘텐츠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기술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신호 감쇄, 노이즈,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연결배선 소형화 등이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기 내 데이터 전송에 있어 구리 기반의 배선, 즉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리 배선은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최근의 전자기기 트렌드에 부합한 각종 기술적 이슈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최근에 광 배선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즉, 광 배선은 수십 채널의 병렬 전기 신호 라인을 직렬 광신호 라인으로 대체하여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이 가능하며, 노이즈,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연결배선 소형화 등의 기술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신호 라인과 기기 내 보드를 연결하기 위하여, 광전 변환 기능을 갖춘 광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는, 기기 내 보드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리셉터클에 체결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는,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대한 플러그 어셈블리의 고정 구조가 복잡하여 소형화 및 저배화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소형화 및 저배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광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는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리셉터클 어셈블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광전소자 어레이;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수납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에 연결된 제2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상기 플러그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를 가압하여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에 연결된 플러그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수납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의 역삽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역삽입방지부재, 상기 수납홈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걸림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러그 어셈블리가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므로,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내측 모서리 중 하나에 역삽입방지부재가 구현됨으로써, 플러그 어셈블리의 역방향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러그 어셈블리가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광전소자 어레이에 연결되도록 구현됨으로써, 플러그 어셈블리 및 광전소자 어레이 간의 커넥팅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부재가 광전소자 어레이에 연결된 플러그 어셈블리를 가압하여 지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플러그 어셈블리 및 광전소자 어레이 간에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를 도 3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플러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가 리셉터클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 3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광전소자 어레이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커버부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도 11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지지부재가 플러그 어셈블리를 가압하여 지지한 상태를 도 3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개폐부재가 삽입홈을 폐쇄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분기부재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분기부재 및 고정부재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전자기기 내 또는 전자기기 간에 광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 유에스비 케이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기판(미도시)에 결합되기 위한 리셉터클 어셈블리(2),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는 광전소자 어레이(3),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4),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는 커버부(5)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홈(21)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제1위치(P1, 도 4에 도시됨) 및 제2위치(P2, 도 5에 도시됨) 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하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된다.
상기 커버부(5)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5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를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도 3에 도시됨)으로 가압한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1위치(P1)에서 상기 제2위치(P2)를 향하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된 플러그 어셈블리(4)를 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수납홈(21)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므로,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커넥팅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지지부재(51)가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된 플러그 어셈블리(4)를 가압하여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된 플러그 어셈블리(4)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간에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 및 상기 커버부(5)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 및 상기 커버부(5)를 지지한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기판에 결합된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1)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홈(21)은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도 3에 도시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1)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20)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를 지지한다. 상기 수납홈(21)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 도 2에 도시됨)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수납홈(21)에 의해 상면(201)이 개방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수납홈(21)을 향하도록 배치된 내측벽(202, 도 2에 도시됨), 및 외부를 향하게 배치된 외측벽(203,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수납홈(21)을 통해 상기 내측벽(20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밑면(204,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된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복수개의 리드프레임(20a)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프레임(20a)들은 각각 일측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리셉터클본체(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된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 및 상기 리드프레임(20a)들은 인서트몰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는 제어소자(20b, 도 2에 도시됨)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소자(20b)는 상기 수납홈(21)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된다. 상기 제어소자(20b)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를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의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제어소자(20b)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어소자(20b)는 드라이버 아이씨(Driver-IC)로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가 갖는 광소자(미도시)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제어소자(20b)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된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가 송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는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a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등과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가 수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는 포토다이오드(PD, Photo Diode) 등과 같은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광소자가 결합되는 광전소자본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본체(30)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광소자가 결합될 수 있으면서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광전소자본체(30)는 억지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연결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1)는 상기 광전소자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한다. 즉, 상기 연결부재(3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간에 광정렬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연결부재(31)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1)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서로 수직한 방향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플러그본체(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40)는 상기 제1위치(P1, 도 4에 도시됨) 및 상기 제2위치(P2, 도 5에 도시됨) 간에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40)는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하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플러그본체(40)는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된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플러그본체(40)는 상기 제1위치(P1)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40)는 상기 제2위치(P2)에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납홈(21)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및 상기 플러그본체(40)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40)에는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1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40)에 삽입된다. 상기 플러그본체(40)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10)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걸림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41)는 상기 플러그본체(4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4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4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41)는 상기 플러그본체(40)의 측벽(401, 도 6에 도시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41)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걸림부재(4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재(22), 및 상기 돌출부재(22)에 형성된 걸림홈(23,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2)는 상기 수납홈(21) 쪽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측벽(202, 도 6에 도시됨)으로부터 상기 수납홈(21)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2)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23)은 상기 돌출부재(22)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2)의 일면은,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이다. 상기 걸림홈(23)은 상기 걸림부재(41)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41)는 상기 플러그본체(4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홈(23)에 삽입되거나 상기 걸림홈(23)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본체(40)가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하면, 상기 걸림부재(41)는 상기 걸림홈(23)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40)는 상기 돌출부재(22)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40)는 상기 돌출부재(22)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수납홈(21)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본체(40)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상기 걸림부재(41)는 상기 걸림홈(23)에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재(41)는 상기 돌출부재(22)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홈(2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22)는 상기 걸림홈(23)에 삽입된 걸림부재(41)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걸림부재(41) 및 상기 돌출부재(22)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를 상기 제2위치(P2)에서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제1위치(P1) 및 상기 제2위치(P2) 간에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재(41)가 상기 돌출부재(22)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도 2에 도시됨) 간에 광정렬에 대한 정확성 및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걸림부재(4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부재(4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4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41)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걸림부재(41)들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걸림부재(41)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걸림부재(41)들에 대응되는 개수의 돌출부재(22)들 및 걸림홈(23)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삽입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42)는 상기 플러그본체(4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재(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4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42)는 상기 플러그본체(40)의 측벽(401, 도 6에 도시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42)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삽입부재(4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삽입홈(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4)은 상기 수납홈(21)에 연결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4)은 상기 돌출부재(22)에 대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4)에는 상기 삽입부재(42) 및 상기 걸림부재(4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40)는 상기 삽입부재(42) 및 상기 걸림부재(41)가 상기 삽입홈(24)에 삽입되도록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42) 및 상기 걸림부재(41)는 상기 삽입홈(2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4)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부재(42) 및 상기 걸림부재(41)의 길이를 합한 길이(L1, 도 7에 도시됨)보다 더 긴 길이(L2, 도 7에 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40)는 상기 삽입부재(42) 및 상기 걸림부재(41)가 상기 삽입홈(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위치(P2, 도 5에 도시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4)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삽입부재(42) 및 상기 걸림부재(41)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홈(24)의 길이(L2)가 상기 삽입부재(42) 및 상기 걸림부재(41)의 길이를 합한 길이(L1)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삽입홈(24)을 통해 상기 플러그본체(40)가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된 후에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본체(40)를 상기 수납홈(21)에 삽입시키는 작업 및 상기 플러그본체(40)를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삽입부재(42) 및 상기 걸림부재(41)가 상기 삽입홈(24)에 삽입된 후에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41)가 상기 걸림홈(2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40)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삽입홈(24)을 통해 상기 플러그본체(40)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 간의 결속력 제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본체(40)가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홈(24)은 상기 걸림홈(23)에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23)은 상기 삽입홈(24)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재(4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삽입부재(4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한 플러그본체(40)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상기 걸림부재(41)는 상기 삽입홈(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홈(23)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재(22)는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한 플러그본체(40)의 삽입부재(4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22)는 상기 플러그본체(40)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한 플러그본체(40)를 상기 삽입부재(42)가 상기 돌출부재(22)에 지지될 때까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40)를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본체(40)를 상기 제2위치(P2)에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간의 광정렬에 대한 정확성 및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삽입부재(4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재(4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40)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42)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본체(40)의 일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삽입부재(42)들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삽입부재(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의 역삽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역삽입방지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역삽입은 도 6과 같은 방향(정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도 2에 도시됨)을 기준으로 180° 뒤집힌 상태에서의 삽입을 의미한다.
즉,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역방향으로 삽입될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 및 상기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간의 광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역삽입방지부재(25)를 통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의 역삽입을 방지하여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역삽입방지부재(2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측 모서리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내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역삽입방지부재(2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역방향으로 상기 수납홈(21)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역삽입방지부재(25)에 의한 방해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의 역삽입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정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역삽입방지부재(25)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상기 수납홈(21)에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역삽입방지부재(2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역삽입방지부재(25)가 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삽입방지부재(25)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모서리에서 상기 수납홈(21) 쪽으로 함몰된 형상(42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연결홈(43, 도 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43)은 상기 플러그본체(40)에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를 향하는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40)에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본체(40)가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홈(43)에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의 연결부재(31)가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31)는 상기 연결홈(43)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러그본체(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1)는 상기 연결홈(43)에 삽입되어서 상기 플러그본체(4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40)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1)는 상기 연결홈(43)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연결홈(43)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4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렌즈(44, 도 8에 도시됨), 개방홈(45, 도 8에 도시됨), 및 고정부(46,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44)는 상기 플러그본체(40)에 결합된다. 상기 렌즈(44)는 상기 플러그본체(40)에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를 향하는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되면, 상기 렌즈(44)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 도 1에 도시됨)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를 광정렬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렌즈(4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과 동일한 개수의 렌즈(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홈(45)은 상기 플러그본체(40)의 상면(402)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40)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40)에서 상기 개방홈(45)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의 하부를 둘러쌀 수 있는 하부지지홈(45a, 도 8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6)는 상기 개방홈(4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40)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46)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의 상부를 둘러쌀 수 있는 상부지지홈(46a, 도 8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홈(45a) 및 상기 상부지지홈(46a)에는 각각 상기 광전송케이블(10)의 하부 및 상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46)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다. 상기 고정부(46)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46)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과 비슷한 굴절률을 갖고, 광 투과성이 좋은 폴리머 계열의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46)는 1.2 이상 1.8 이하의 굴절률 및 상기 광전송케이블(10)의 파장 대역에서 80% 이상 95% 이하의 광 투과율을 갖는 광 투과성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홈(4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1연결홈(43a) 및 제2연결홈(4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홈(43a) 및 상기 제2연결홈(43b) 중 어느 하나는 단면이 원형을 갖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단면이 장공(long hole)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홈(43a) 및 상기 제2연결홈(43b)은 모두 단면이 장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연결홈(43a)의 단면이 장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홈(43b)의 단면이 원형을 갖도록 형성된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광커넥터(1)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포함된 복수개의 연결부재(31)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의 상기 제1연결홈(43a) 및 상기 제2연결홈(43b)에 각각 삽입되어야 하는데, 제작 공차로 인해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포함된 복수개의 연결부재(3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31) 간의 간격이, 상기 제1연결홈(43a) 및 상기 제2연결홈(43b)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연결홈(43a) 및 상기 제2연결홈(43b) 간의 간격과 상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은 반드시 연결부재(31) 및 연결홈(4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할 필요는 없으므로 이격된 거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격된 거리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31)에서 서로 마주보는 양면 사이의 최단 거리, 및 상기 제1연결홈(43a)과 상기 제2연결홈(43b)에서 서로 마주보는 양면 사이의 최단 거리를 각각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의 상기 제1연결홈(43a) 및 상기 제2연결홈(43b)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은 상기 연결부재(31)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단면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연결부재(31) 또는 연결홈(43)의 제작 시에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목표와는 다른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부재(31)가 상기 제1연결홈(43a) 및 상기 제2연결홈(43b)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홈(43)이 상기 제1연결홈(43a) 및 상기 제2연결홈(43b)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1연결부재(31a) 및 제2연결부재(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포함된 상기 제1연결부재(31a) 및 상기 제2연결부재(31b)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은,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상기 제2연결홈(43b)의 단면 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재(31b)의 단면이 상기 제2연결홈(43b)의 단면 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홈(43b)의 단면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2연결부재(31b)의 단면은 원형의 형상에서 일부 영역이 잘려나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포함된 상기 제1연결부재(31a) 및 상기 제2연결부재(31b)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의 상기 제1연결홈(43a) 및 상기 제2연결홈(43b)에 각각 삽입되어야 하는데, 상기 제1연결부재(31a) 및 상기 제2연결부재(31b)의 단면 형상이 상기 제1연결홈(43a) 및 상기 제2연결홈(43b)의 단면 형상과 완벽하게 일치하도록 형성될 경우, 상기 제1연결홈(43a) 및 상기 제2연결홈(43b)에 수용된 공기에 의한 저항으로 인해서 상기 제1연결부재(31a) 및 상기 제2연결부재(31b)의 삽입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2연결부재(31b)의 단면이 상기 제2연결홈(43b)의 단면 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2연결부재(31b)가 상기 제2연결홈(43b)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어 상기 제2연결부재(31b)의 삽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홈(43a)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연결홈(43a)에 삽입되는 상기 제1연결부재(31a)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더라도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어 상기 제1연결부재(31a)의 삽입에 대한 용이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는 쐐기부재(32) 및 광소자(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쐐기부재(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광전소자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쐐기부재(32)는 억지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되어 상기 광전소자본체(30)를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33)는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광커넥터(1)가 송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33)는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a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등과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커넥터(1)가 수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33)는 포토다이오드(PD, Photo Diode) 등과 같은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5)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어소자(20b)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되는 커버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50)는 내부에 상기 리셉터클본체(20)가 수용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50)에는 통과공(5a, 도 2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5a)은 상기 커버본체(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본체(50)는 상기 통과공(5a)이 상기 수납홈(21)에 연통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커버본체(50)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통과공(5a)을 통해 상기 커버본체(50)를 통과하여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5a)은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커버본체(50)의 상면(501, 도 11에 도시됨)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지지부재(51,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된 플러그 어셈블리(4)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한 플러그 어셈블리(4)를 가압하여 지지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 간의 광정렬이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한 플러그 어셈블리(4)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를 상기 제1위치(P1)에서 상기 제2위치(P2)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커버본체(50)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통과공(5a, 도 2에 도시됨)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본체(5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커버본체(50)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본체(50)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지지부재(5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5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1)들의 사이에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커버부(5)가 2개의 지지부재(51)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 상기 커버부(5)는 3개 이상의 지지부재(5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커버본체(50)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는 가압홈(52, 도 1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홈(52)은 상기 커버본체(5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가압홈(52)을 통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한 플러그본체(40)에 가압됨에 따라 상기 가압홈(52)을 통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1)는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한 플러그본체(50)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지지부재(51)가 상기 가압홈(52)을 통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본체(40)를 상기 제1위치(P1)에서 상기 제2위치(P2)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홈(52)은 상기 지지부재(51)에 대해 상기 제2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본체(5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가 상기 지지부재(51)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지지부재(5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가압홈(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본체(50)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본체(40)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한 플러그본체(40)에 가압됨에 따라 상기 가압홈(52)을 통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지지부재(51)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한 플러그본체(40)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5)는 가이드홈(53, 도 1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3)은 상기 커버본체(5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53)은 상기 커버본체(50)의 측벽(502, 도 9에 도시됨)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3)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5)는 상기 가이드홈(53)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홈(5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본체(5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거나, 상기 커버본체(50)의 일측에 모두 형성되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3)들은 상기 커버본체(50)의 양측 각각에서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5)가 상기 가이드홈(53)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가이드부재(26,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6)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본체(50)는 상기 가이드부재(26)가 상기 가이드홈(53)에 삽입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본체(50)는 상기 가이드홈(53)에 삽입된 가이드부재(26)에 안내되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커버본체(50)를 이동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6)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외측벽(203)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6)는 상기 가이드홈(53)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6)는 상기 가이드홈(53)에 삽입된 상태에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홈(53)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가 상기 가이드홈(53)을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가이드부재(26)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6)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거나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일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6)들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양측 각각에서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5)는 개폐부재(54,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4)는 상기 통과공(5a, 도 2에 도시됨)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본체(50)에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5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본체(5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4)는 상기 커버본체(50)가 이동함에 따라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 간에 이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54)가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개폐부재(54)는 상기 삽입홈(24)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홈(24)은 상기 개폐부재(54)에 가려지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는 상기 개폐부재(54)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수납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4)는 상기 커버본체(50)가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54)가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개폐부재(54)는 상기 삽입홈(24)을 가릴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4)는 상기 삽입홈(24)에 중첩되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삽입홈(24)을 가릴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4)는 상기 삽입홈(24)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홈(24)은 상기 개폐부재(54)에 가려져서 폐쇄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개폐부재(54)의 위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개폐본체(5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삽입홈(24)이 개방된 면적을 줄임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4)는 상기 커버본체(50)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4에는 상기 개폐부재(54)가 상기 삽입홈(24)의 일부를 가리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개폐부재(54)는 상기 삽입홈(24)의 전부를 가리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재(54)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삽입홈(24)을 개폐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재(5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수납홈(21)을 가리지 않는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는 상기 개폐부재(5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부재(5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5)는 분기부재(55) 및 상기 분기부재(55)의 일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기부재(5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본체(5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커버본체(5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부재(55)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부재(5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안쪽면이 바깥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가 상기 분기부재(5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가이드돌기(27,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27)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5)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7)가 끼워지는 끼움홈(58, 도 15에 도시됨)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27)는 상기 끼움홈(5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27)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기부재(55)가 상기 커버본체(50)로부터 이격된 영역의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5)는 상기 끼움홈(58)에 상기 가이드돌기(27)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27)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5)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7)는 상기 커버본체(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57)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 커버본체(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57)는 상기 지지부재(51, 도 11에 도시됨)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플러그본체(40)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하면, 상기 커버본체(50)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한 플러그본체(40)에 가압됨에 따라 상기 가압홈(52)을 통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1)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대된다.
다음, 상기 고정부재(57)는 상기 커버본체(50)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57)는 상기 지지부재(51)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커버본체(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4)가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3)에 연결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7)는 관통공(5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571)은 상기 커버본체(5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71)은 상기 고정부재(57)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571)은 상기 가이드홈(53, 도 11에 도시됨)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끼움돌기(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28)는 상기 관통공(57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50)는 상기 관통공(571)에 상기 끼움돌기(28)가 삽입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28)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외측벽(203, 도 2에 도시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28)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관통공(571)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끼움돌기(28)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대한 상기 커버부(5)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571)이 형성된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7)가 상기 커버본체(50)를 고정시키는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돌기(28)는 상기 관통공(57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5)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도 7에 도시됨)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다음, 상기 커버부(5)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58)에 끼워진 상기 가이드돌기(27)에 의해 상기 커버부(5)의 이동 방향이 가이드되고, 상기 고정부재(57)는 상기 끼움돌기(28)를 지나면서 상기 끼움돌기(28)에 의해 가압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5)에서 상기 고정부재(57)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끼움돌기(28)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외측벽(203, 도 2에 도시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부(5)는 상기 분기부재(55)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외측벽(203)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다음, 상기 커버부(5)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7)는 상기 끼움돌기(28)를 지나게 되고 상기 관통공(571)에 상기 끼움돌기(28)가 삽입되므로 상기 끼움돌기(28)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5)에서 상기 고정부재(57)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끼움돌기(28)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외측벽(203, 도 2에 도시됨)에 밀착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끼움돌기(28)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5)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고정부재(57)가 상기 끼움돌기(28)의 경사면을 통해 상기 끼움돌기(28)를 원활하게 지나고 상기 끼움돌기(28)가 상기 관통공(57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커버부(5)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57)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을 완료하여 상기 끼움돌기(28)가 상기 관통공(571)에 삽입되면, 상기 커버본체(50)는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끼움돌기(28)에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본체(50)는 제1커버본체(50a, 도 14에 도시됨), 제2커버본체(50b,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본체(50a)에는 상기 통과공(5a, 도 2에 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본체(50a)는 상기 통과공(5a)이 상기 수납홈(21, 도 6에 도시됨)에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본체(50b)는 상기 제1커버본체(50a)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소자(20b)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분기부재(5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커버본체(50b)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부재(55)는 상기 커버부(5)의 이동에 따른 상기 끼움돌기(28)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커버본체(50b)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분기부재(55)는 상기 고정부재(57)가 상기 끼움돌기(28)에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2커버본체(50b)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분기부재(55)는 상기 끼움돌기(28)가 상기 관통공(57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커버본체(50a)에 대해 밀착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커버본체(50)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끼움돌기(28)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외측벽(203, 도 2에 도시됨)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 커버본체(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5)는 상기 끼움돌기(28)가 상기 관통공(571)에 삽입된 후, 상기 끼움돌기(28)를 상기 관통공(571)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57)를 상기 제2커버본체(50b)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해제홈(59, 도 1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홈(59)은 상기 제2커버본체(50b)와 상기 분기부재(55) 사이의 이격된 영역에서 상기 끼움홈(58)에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제홈(59)은 상기 끼움홈(58)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끼움홈(58)에 상기 가이드돌기(27)가 삽입되면 상기 해제홈(59)은 상기 가이드돌기(27) 보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해제홈(59)은 가압수단(미도시)이 상기 제2커버본체(50b)와 상기 분기부재(55)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8과 같이 상기 끼움돌기(28)가 상기 관통공(57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해제홈(59)에 삽입된 가압수단을 상기 제2커버본체(50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커버부(5)를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끼움돌기(28)를 상기 관통공(571)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5)는 상기 끼움돌기(28)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 커버본체(5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해제홈(59)을 통해 상기 커버본체(50)에 대한 고정력을 해제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광커넥터 2 : 리셉터클 어셈블리
3 : 광전소자 어레이 4 : 플러그 어셈블리
5 : 커버부 20 : 리셉터클본체
21 : 결합홈 22 : 돌출부재
23 : 걸림홈 24 : 삽입홈
25 : 역삽입방지부재 26 : 가이드부재
27 : 가이드돌기 28 : 끼움돌기
30 : 광전소자본체 31 : 연결부재
32 : 쐐기부재 33 : 광소자
40 : 플러그본체 41 : 걸림부재
42 : 삽입부재 43 : 연결홈
44 : 렌즈 45 : 개방홈
46 : 고정부 50 : 커버본체
51 : 지지부재 52 : 가압홈
53 : 가이드홈 54 : 개폐부재
55 : 분기부재 57 : 고정부재
58 : 끼움홈 59 : 해제홈

Claims (10)

  1.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리셉터클 어셈블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광전소자 어레이;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수납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 및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에 연결된 제2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상기 플러그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를 향하는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본체,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를 가압하여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에 연결된 플러그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분기부재, 및 상기 커버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수납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의 역삽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역삽입방지부재, 상기 수납홈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걸림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본체와 상기 분기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해제홈에 삽입되는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커버본체에 대한 고정력이 해제되도록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삽입방지부재는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내측 모서리 중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플러그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본체는 상기 삽입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본체는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플러그본체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플러그본체의 삽입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삽입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삽입홈에 대해 상기 제1방향 쪽에 위치하되, 상기 삽입홈에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리셉터클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본체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가이드부재에 안내되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본체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하도록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한 커버본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리셉터클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분기부재가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이격된 영역의 끼움홈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돌기에 안내되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끼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제1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리셉터클본체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는 상기 플러그본체에 삽입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플러그본체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연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KR1020160053755A 2016-05-02 2016-05-02 광커넥터 KR102453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755A KR102453817B1 (ko) 2016-05-02 2016-05-02 광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755A KR102453817B1 (ko) 2016-05-02 2016-05-02 광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184A KR20170124184A (ko) 2017-11-10
KR102453817B1 true KR102453817B1 (ko) 2022-10-11

Family

ID=6038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755A KR102453817B1 (ko) 2016-05-02 2016-05-02 광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8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9602A (ja) * 2005-11-30 2007-06-14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及びコネクタ用プラ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590B1 (ko) * 1998-11-14 2002-03-08 윤종용 광 커넥터
KR101850200B1 (ko) * 2016-03-08 2018-04-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커넥터플러그 및 광커넥터리셉터클의 체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체결 및 해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9602A (ja) * 2005-11-30 2007-06-14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及びコネクタ用プラ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184A (ko)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03797A (ja) 光学モジュールのラッチおよびemi遮蔽機構
CN113009650B (zh) 一种光模块
US6632030B2 (en) Light bending optical block for fiber optic modules
US20110228483A1 (en) Communications module with a shell assembly having thermal mechanical features
US20140086540A1 (e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CN107111070B (zh) 光学连接器
KR102453817B1 (ko) 광커넥터
KR102638551B1 (ko) 광커넥터
KR102137704B1 (ko)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KR102335733B1 (ko) 광정렬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KR102602185B1 (ko) 광커넥터
US10114184B2 (en) Optical connector
KR102602186B1 (ko) 광커넥터
KR102390389B1 (ko) 광커넥터 패키지
KR20180117897A (ko) 광커넥터
KR102172653B1 (ko) 광커넥터
KR102524576B1 (ko) 광커넥터
KR20180096292A (ko) 광커넥터
KR20170079934A (ko) 광커넥터
JP3135572U (ja) 内蔵式防塵装置付きコネクタ
KR20180081256A (ko) 광커넥터
KR102524575B1 (ko) 광커넥터
KR20170047133A (ko) 광커넥터
CN114114559B (zh) 一种光模块
KR101477381B1 (ko) 광전 배선 모듈 및 리셉터클과 이를 이용한 광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