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623B1 - 광전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623B1
KR102316623B1 KR1020170038556A KR20170038556A KR102316623B1 KR 102316623 B1 KR102316623 B1 KR 102316623B1 KR 1020170038556 A KR1020170038556 A KR 1020170038556A KR 20170038556 A KR20170038556 A KR 20170038556A KR 102316623 B1 KR102316623 B1 KR 10231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locking bar
rotation shaft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247A (ko
Inventor
박유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8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62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 G02B6/3839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for a plurality of light gu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6Photo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전 커넥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커넥터는, 전기 회로가 배치된 하부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전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광 섬유가 연결된 플러그와 체결되어 상기 플러그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되어 상기 리셉터클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리셉터클에 체결되는 플러그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체결된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일차적으로 고정시키는 쉘; 및 상기 리셉터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잠금 해제 위치와 잠금 완료 위치를 포함하는 회동 범위에서 회동되고,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는 경우 그 단부가 상기 체결된 플러그의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된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이차적으로 고정하는 락킹 바를 포함하여,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광로의 오정렬이나 플러그의 탈거를 방지하면서도, 광전 커넥터의 소형화 및 경박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광전 커넥터{Electro-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 섬유와 전기 회로를 연결하는 광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전 커넥터(electro-optical connector)는 광 섬유와 전기 회로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로서, 전기 회로의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 섬유에 전달하거나, 광 섬유를 통해 전송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기 회로에 전달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광전 커넥터에 연결되는 광 섬유 코어의 지름이 50μm인 경우, 광전 커넥터는 0.5μm 이하의 미세한 정밀도로 광 신호 전송 경로를 정렬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7009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들은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플러그에 형성된 홈과 리셉터클에 형성된 돌기 간의 결합만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체결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 구조가 취약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며,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광로의 오정렬이나 플러그의 탈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3638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들은 하부 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위에 다시 플러그가 위치하여 체결되기 때문에, 광전 커넥터의 전체 구조를 소형화 또는 경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광로의 오정렬이나 플러그의 탈거를 방지하면서도 소형화 및 경박화가 가능한 광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커넥터는, 전기 회로가 배치된 하부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전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광 섬유가 연결된 플러그와 체결되어 상기 플러그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되어 상기 리셉터클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리셉터클에 체결되는 플러그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체결된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일차적으로 고정시키는 쉘; 및 상기 리셉터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잠금 해제 위치와 잠금 완료 위치를 포함하는 회동 범위에서 회동되고,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는 경우 그 단부가 상기 체결된 플러그의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된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이차적으로 고정하는 락킹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체결된 플러그의 걸림 홈에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되는 걸림 돌기를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탑 커버부; 및 상기 락킹 바가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락킹 바를 지지하여 상기 락킹 바를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고정하는 락킹 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부는, 상기 락킹 바가 잠금 완료 위치에서 잠금 해제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체결된 플러그의 삽입 홈에 삽입되었던 상기 락킹 바의 단부가 상기 쉘을 통과하여 상기 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락킹 바 출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락킹 바 고정부는, 상기 탑 커버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말단부가 상기 하부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 및 상기 실장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인 상기 락킹 바와 접촉하여 상기 락킹 바가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탄성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드라이버 IC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 기판에 실장되는 IC 수용부; 및 상기 IC 수용부에서 상호 간에 소정 간극을 두고 각각 상기 하부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간극에 상기 하부 기판의 상부면을 기저면으로 하며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탑 커버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리셉터클의 한 쌍의 지지 프레임 간의 간극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사이드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부는, 상기 리셉터클의 측면에 마련된 결합 구조와 결합하여 상기 쉘을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시키는 대응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락킹 바는, 상기 리셉터클에 마련된 회전축 삽입 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서 상기 리셉터클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회동 범위에서 회동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리셉터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고, 상기 회동부가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체결된 플러그의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된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부가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체결된 플러그의 삽입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삽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서 연장되는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동부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회전축이 삽입된 상기 회전축 삽입 홈의 개구를 커버하여 상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축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회전축 이탈 방지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말단부가 상기 하부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회전축 이탈 방지부가 상기 회전축 삽입 홈의 개구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 이탈 방지부를 지지하는 실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셉터클에 체결된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된 쉘에 의해 일차적으로 고정된 다음, 상기 리셉터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락킹 바에 의해 이차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한 광로의 오정렬과 플러그의 탈거를 방지하고, 광전 커넥터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광전 커넥터의 플러그가 리셉터클이 아닌 하부 기판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리셉터클의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광전 커넥터의 전체 구조를 소형화 및 경박화 하면서도 플러그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의 지지 프레임들 간의 간극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리셉터클을 커버하는 쉘이 상기 리셉터클의 지지 프레임들을 지지함으로써, 반복적인 체결과 분리 작업에도 플러그와 지지 프레임들 간에 불필요한 이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광전 커넥터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전소자들이 블록 형태로 모듈화된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이 리셉터클에 끼움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리셉터클에 체결되는 플러그와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 간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광전 커넥터 내의 광 신호 전송 경로가 자동으로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광전 커넥터의 조립 작업과 체결 작업을 간소화 및 효율화하고 광로 정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커넥터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이 결합된 리셉터클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커넥터의 쉘을 나타낸 사시도 및 수직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락킹 바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커넥터의 체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도 8b에 표시된 B-B´부분의 플러그 삽입 과정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10c는 각각 도 8b에 표시된 C-C´부분의 플러그 삽입 과정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각각 도 8c에 표시된 D-D´부분의 락킹 바 잠금 과정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각각 도 8c에 표시된 E-E´부분의 락킹 바 잠금 과정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커넥터의 체결 해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13a에 표시된 F-F´부분의 락킹 바 잠금 해제 과정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15c는 각각 도 13a에 표시된 G-G´부분의 플러그 분리 과정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커넥터(10)가 각각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 커넥터(10)는 플러그(100), 리셉터클(200), 쉘(300), 및 락킹 바(400)와, 리셉터클(200) 내에 설치되는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도 3의 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100)는, 각각 광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광 섬유(12)의 단부들과 결합하여 광 섬유(12)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며, 리셉터클(200)과 쉘(300)이 결합된 리셉터클 구조체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리셉터클(200)은, 전기 회로가 배치된 하부 기판(미도시)에 설치되어 플러그(100)와 체결되며, 상기 플러그(100)를 통해 전달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기 회로에 제공하거나 전기 회로의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플러그(10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쉘(300)은, 리셉터클(200)에 결합되어 상기 리셉터클(200)의 외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리셉터클(200)의 내부 회로들을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쉘(300)은 리셉터클(200)에 체결된 플러그(100)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하여 해당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일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락킹 바(400)는, 리셉터클(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단부가 리셉터클(200)에 체결된 플러그(100)에 삽입되어 해당 플러그(100)를 체결 방향으로 가압 및 지지함으로써, 해당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이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커넥터(10)가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전 커넥터(10)의 플러그(100)는, 광 섬유(12)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며, 렌즈부(102), 광로 정렬용 돌기(104), 스냅핏(snap-fit) 결합용 결합 구조(106), 락킹 바 삽입 홈(1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02)는, 플러그(100)의 체결 방향 측 정면에 배치되며, 리셉터클(200)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으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하여 광 섬유(12)로 전달하거나, 광 섬유(12)를 통해 전송되는 광 신호를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광로 정렬용 돌기(104)는, 플러그(100)의 외부면에서 플러그(100)의 체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 삽입되어 체결 완료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리셉터클(200)에 설치된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의 광로 정렬용 홈에 삽입되어 플러그(100)와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 간의 광로를 자동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스냅핏 결합 구조(106)는,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 삽입되어 체결 완료 위치에 이르게 되면, 리셉터클(200)을 커버하는 쉘(300)에 마련된 대응 스냅핏 결합 구조(312)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하여, 플러그(100)의 탈거를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100)의 스냅핏 결합 구조(106)는 쉘(300)에 마련된 걸림 돌기와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하는 걸림 홈을 포함하고, 상기 쉘(300)의 대응 스냅핏 결합 구조(312)는 상기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 삽입되어 체결 완료 위치에 이르게 되면 상기 플러그(100)의 걸림 홈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바 삽입 홈(108)은, 후술되는 락킹 바(400)가 수직 방향으로 기립한 잠금 해제 위치에서 회동하여 수평 방향으로 누운 잠금 완료 위치에 이르게 되면, 락킹 바(400)의 단부가 삽입되어 체결 방향으로 가압 및 지지됨으로써, 플러그(100)의 탈거를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전 커넥터(10)의 리셉터클(200)은, 전기 회로들이 배치된 하부 기판(미도시)에 설치되어 전기 회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광 섬유가 연결된 플러그(100)와 체결되어 상기 플러그(100)와 광학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리셉터클(200)은 상기 플러그(100)를 통해 전달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하부 기판에 배치된 전기 회로에 제공하거나, 전기 회로의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플러그(10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셉터클(200)은 IC 수용부(210), 및 한 쌍의 지지 프레임(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C 수용부(210)는,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드라이버 IC(202)를 수용하며 하부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수용된 드라이버 IC(202)를 하부 기판에 배치된 전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IC 수용부(210)는, 상부에 개구를 두고 하방으로 형성되는 수용 홈(212)과, 일 단부가 상기 수용 홈(212)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홈(212)용 홈에 수용된 드라이버 IC(2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수용 홈(212)의 외부로 돌출되어 하부 기판에 실장되는 리드 단자(21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IC 수용부(210)의 수용 홈(212)은, 상부 개구 주변에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IC 수용부(210)는, 도전성 소재의 리드 단자 모재에 절연성 합성수지를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200)의 기본 골격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IC 수용부(210)의 좌, 우측 면에는 쉘(30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구조(218)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IC 수용부(210)의 결합 구조(218)는, 쉘(300)에 마련된 대응 결합 구조(322)와 결합하여 상기 쉘(300)을 리셉터클(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IC 수용부(210)의 결합 구조(218)는 결합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쉘(300)의 대응 결합 구조(322)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220)은, IC 수용부(210)에서 상호 간에 소정 간극을 두고 각각 상기 IC 수용부(210)가 실장된 하부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호 간의 간극에, 하부 기판의 상부면을 기저면으로 하며 플러그(100)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 홈(222)과,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이 결합되는 블록 결합 홈(224)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220)은, 상기 지지 프레임들의 말단부 측 간극에 상기 플러그 삽입 홈(222)을 형성하고, 상기 IC 수용부(210) 측 간극에 상기 플러그 삽입 홈(222)과 연결되는 블록 결합 홈(22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220)은 각각, 플러그 삽입 홈(222) 측으로 돌출되어 플러그(100)의 정위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2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100)는 리셉터클(200)의 좌, 우측 지지 프레임(220)에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226)와 형합하는 단차 또는 홈 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 홈(222)에 삽입되는 동안, 좌, 우측 지지 프레임(220)의 가이드 돌기(226)에 의해 정위치로 가이드될 수 있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상기 IC 수용부(210)는, 상기 블록 결합 홈(224)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록 결합 홈(224)에 결합된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2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220)은 각각, 락킹 바(400)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 삽입 홈(2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바(400)는,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220)이 형성하는 플러그 삽입 홈(222)에 삽입되어 체결된 플러그(100)가 쉘(300)과의 결합에 의해 1차적으로 고정되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체결된 플러그(100)를 IC 수용부(21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2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삽입 홈(228)은, 이러한 락킹 바(400)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홈으로서, 잠금 해제 위치와 잠금 완료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회동 범위 내에서 락킹 바(4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락킹 바(400)의 회전축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220)은 각각, 상기 플러그(100)를 가압하는 락킹 바(400)의 단부가 지지 프레임들 사이의 공간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해당 락킹 바(400)의 단부를 수용하는 락킹 바 수용 홈(2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전 커넥터(10)의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은, 블록 형태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전소자를 포함하는 광전소자 모듈로서, 상기 리셉터클(200)의 블록 결합 홈(224)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은, 상기 플러그(100)를 통해 전달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리셉터클(200)에 수용된 드라이버 IC(202)로 제공하거나, 상기 드라이버 IC(220)의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플러그(10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는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의 일례가 각각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은 몸체(510), 복수의 콘택트 핀(520), 광전소자 어레이 칩(530), 및 와이어(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510)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리셉터클(200)의 블록 결합 홈(224)과 형합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블록 결합 홈(224)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510)는 칩 수용 홈(512), 광로 정렬용 홈(514), 및 돌기 결합 홈(도 4b의 5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칩 수용 홈(512)은,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 칩(530)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 칩(530)은, VCSEL(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포토 다이오드(photodiode) 등과 같은 광전소자들이 배열된 칩으로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거나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광로 정렬용 홈(514)은, 상기 리셉터클(200)의 플러그 삽입 홈(222)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플러그(100)의 광로 정렬용 돌기(104)와 결합하여, 상기 플러그(100)의 렌즈부(102)와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 칩(530)의 광전소자(532) 간의 광로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로 정렬용 홈(514)은, 플러그(100)의 광로 정렬용 돌기(104)가 삽입되는 개구 둘레에, 상기 광로 정렬용 돌기(104)의 정위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5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 결합 홈(518)은, 상기 리셉터클(200)의 IC 수용부(210)에서 돌출되는 블록 지지 돌기(216)와 결합하여,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을 상기 리셉터클(200)의 블록 결합 홈(224)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콘택트 핀(520)은,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어 일정한 피치(pitch)를 가지고 합성수지 몸체(510)에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 칩(530)의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콘택트 핀(520)은,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이 리셉터클(200)에 결합된 후, 리셉터클(200)에 수용된 드라이버 IC(2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전소자 어레이 칩(530)과 드라이버 IC(202)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540)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 칩(530)의 단자와 콘택트 핀(52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이 결합된 리셉터클(200)의 일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전소자들이 블록 형태로 모듈화된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은, 리셉터클(200)에 끼움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리셉터클(200)에 체결되는 플러그(100)와 구조적으로 결합하여 광 신호 전송 경로를 자동으로 정렬시킴으로써, 광전 커넥터의 조립 작업과 체결 작업을 간소화 및 효율화하고, 광로 정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쉘(300)은, 리셉터클(200)에 고정되어 상기 리셉터클(200)의 외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리셉터클(200)의 플러그 삽입 홈(222)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플러그(100)와 스냅핏 방식(snap-fit)으로 결합하여, 상기 체결된 플러그(100)를 상기 리셉터클(200)에 일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쉘(300)은, 상기 리셉터클(200)의 회전축 삽입 홈(228)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락킹 바(400)를 수평 방향으로 누운 잠금 완료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쉘(300)은 탑 커버부(310), 사이드 커버부(320, 330), 락킹 바 고정부(340), 및 실장부(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부(310)는, 상기 체결된 플러그(100)의 스냅핏 결합 구조(106)에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되는 대응 스냅핏 결합 구조(312)를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200)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쉘(300)은 리셉터클(200)의 상부를 커버하여 드라이버 IC(220) 등을 내부 회로를 보호함은 물론, 리셉터클(200)에 체결된 플러그(100)와 결합하여 플러그(100)의 탈거를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100)의 스냅핏 결합부(106)는 걸림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탑 커버부(310)의 대응 스냅핏 결합부(312)는 탄성력을 가지고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러그(100)의 걸림 홈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 커버부(310)는, 회전축 이탈 방지부(314)와 락킹 바 출입구(316)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이탈 방지부(314)는, 락킹 바(400)의 회전축이 삽입된 회전축 삽입 홈(228)의 상부 개구를 커버하여, 락킹 바(400)의 회전 동작 중에 해당 락킹 바(400)의 회전축이 회전축 삽입 홈(22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락킹 바 출입구(316)는, 탑 커버부(310)에 형성되는 관통 홀로서, 상기 락킹 바(400)가 잠금 완료 위치에서 잠금 해제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체결된 플러그(100)의 락킹 바 삽입 홈(108)에 삽입되었던 락킹 바(400)의 단부가 쉘(300)을 통과하여 상기 쉘(3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쉘(300)의 락킹 바 출입구(316)는, 상기 락킹 바(400)의 단부가 락킹 바(40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쉘(300)의 상부로 나오거나 쉘(300)의 하부로 내려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락킹 바(400)의 단부는, 락킹 바(400)가 수직 방향으로 기립한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락킹 바 출입구(316)를 통해 쉘(3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락킹 바(400)가 수평 방향의 잠금 완료 위치로 회동할 때, 상기 락킹 바 출입구(316)를 통해 쉘(300)의 하부로 내려가 상기 체결된 플러그(100)의 락킹 바 삽입 홈(108)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락킹 바(400)의 회동에 따른 락킹 바(400) 단부의 회전 동작이 쉘(300)의 하부에서 모두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경우, 리셉터클(200) 또는 쉘(300)의 높이를 증가시켜 리셉터클(200)과 쉘(300)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광전 커넥터의 소형화 및 경박화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락킹 바(400)의 회동에 따른 락킹 바 단부의 회전 동작이 쉘(300)의 락킹 바 출입구(316)를 통해 쉘(300)의 외부 공간에서 일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광전 커넥터의 소형화 및 경박화가 가능해진다.
상기 사이드 커버부(320, 330)는, 상기 탑 커버부(310)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쉘(300)의 테두리 부분으로서, 좌, 우측 사이드 커버부(320)와 전, 후방 사이드 커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 커버부(320, 330)는, 정위치에서 리셉터클(200)과 결합하도록 쉘(300)을 가이드하며, 상기 리셉터클(200)과 결합하여 리셉터클(20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특히, 좌, 우측 사이드 커버부(320)는, 상기 리셉터클(200)의 한 쌍의 지지 프레임(220) 간의 간극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22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좌, 우측 사이드 커버부(320)는, 리셉터클(200)의 측면에 마련된 결합 구조(218)와 결합하여 상기 쉘(300)을 리셉터클(200)에 고정하는 대응 결합 구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셉터클(200)의 결합 구조(218)는 결합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커버부(320)의 대응 결합 구조(322)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바 고정부(340)는, 락킹 바(400)가 회동하여 수평 방향으로 누운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면, 락킹 바(400)를 지지하여 상기 락킹 바(400)를 해당 잠금 완료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락킹 바 고정부(340)는 실장부(342)와 탄성 돌기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바 고정부(340)의 실장부(342)는, 상기 탑 커버부(3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말단부가 하부 기판에 실장된다. 상기 탄성 돌기부(344)는, 상기 실장부(342)에서 연장되고,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인 락킹 바(400)와 탄성력에 의해 접촉하여 상기 락킹 바(400)가 다시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200)에 체결된 플러그(100)와 쉘(300)이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플러그(100)의 탈거를 1차적으로 방지하고, 락킹 바(400)가 리셉터클(200)에 체결된 플러그(100)를 체결 방향으로 가압 및 지지함으로써 플러그(100)의 탈거를 2차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쉘(300)의 락킹 바 고정부(350)가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인 락킹 바(400)를 해당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플러그(100)의 탈거를 3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장부(350)는, 상기 탑 커버부(310)의 회전축 이탈 방지부(314)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말단부가 상기 하부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쉘(300)을 하부 기판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 이탈 방지부(314)가 상기 리셉터클(200)의 회전축 삽입 홈(216)의 개구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 이탈 방지부(314)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200)에 배치된 리드 단자(230)와 함께, 리셉터클(200)에 고정된 쉘(300)의 실장부들(342, 350)이 하부 기판에 실장되어 고정됨으로써, 광전 커넥터(10)와 하부 기판 간 결합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6a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커넥터의 쉘(300')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b에는 도 6a에 표시된 A-A´부분이 수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쉘(300')은 탑 커버부(310)의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셉터클(200)의 수용 홈(212)에 삽입되는 돌출부(3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200)의 수용 홈(212)은, 개구 둘레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18)의 정위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쉘(300')의 돌출부(318)는, 상기 리셉터클(200)의 수용 홈(212)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쉘(300')이 돌출부(318)를 포함하는 경우, 리셉터클(200)과 쉘(300') 간의 결합이 리셉터클(200)의 가이드면(213)과 쉘(300')의 돌출부(318)에 의해 가이드되기 때문에, 쉘 제조시 적어도 쉘(300')의 전, 후방 사이드 커버부(330)를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광전 커넥터(10)의 락킹 바(400)는, 상기 리셉터클(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잠금 해제 위치와 잠금 완료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회동 범위에서 회동되고,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는 경우 그 단부가 상기 리셉터클(200)에 체결된 플러그(100)의 삽입 홈(108)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된 플러그(100)를 상기 리셉터클(200)에 이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는 락킹 바(400)의 일례가 각각 사시도 및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바(400)는 회전축(410), 회동부(420), 및 가압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10)은, 리셉터클(200)에 마련된 회전축 삽입 홈(228)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동부(420)는, 상기 회전축(410)의 일단에서 상기 리셉터클(200)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소정 회동 범위에서 회동되어 상기 회전축(4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부(430)는, 리셉터클(200)에 체결된 플러그(100)의 락킹 바 삽입 홈(108)에 삽입되는 락킹 바(400)의 단부로서, 상기 회전축(410)의 타단에서 상기 리셉터클(2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축(410)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고, 상기 회동부(420)가 수평 방향으로 누운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는 경우, 리셉터클(200)에 체결된 플러그(100)의 락킹 바 삽입 홈(108)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된 플러그(100)가 상기 리셉터클(200)에 고정되도록 가압 및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락킹 바(400)의 가압부(430)는, 삽입부(432)와 지지부(4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부(432)는, 상기 회전축(410)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부(420)가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체결된 플러그(100)의 락킹 바 삽입 홈(108)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부(434)는, 상기 회전축(410)의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410)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410)과 상기 삽입부(432)를 연결하고, 상기 삽입부(432)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락킹 바(400)의 회동부(420)는, 작업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410) 및 상기 회전축(410)에서 연장되는 가압부(430)는, 상기 회동부(420)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커넥터의 체결 과정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는 리셉터클(200)의 플러그 삽입 홈(222)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 경우, 플러그(100)는 플러그 삽입 홈(222)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226)에 의해 정위치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 완전히 삽입되어 체결되면, 쉘(300)이 플러그(100)와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하여 플러그(100)를 해당 체결 위치에 1차적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플러그(100)의 1차 고정 상태에서, 수직 방향의 잠금 해제 위치에 있던 락킹 바(400)가 수평 방향의 잠금 완료 위치로 회동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바(400)가 회동되어 수평 방향의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게 되면, 락킹 바(400)의 단부가 플러그(100)의 락킹 바 삽입 홈(108)에 삽입되어 플러그(100)를 체결 방향으로 가압 및 지지함으로써 플러그(100)를 해당 체결 위치에 2차적으로 고정한다. 이 경우, 락킹 바(400)는 쉘(300)의 락킹 바 고정부(340)의 탄성 돌기부(344)에 의해 지지되어 다시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 9a 내지 도 9c에는 도 8b에 표시된 B-B´부분의 플러그 삽입 과정에 따른 변화가 각각 수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는 리셉터클(200)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 완전히 삽입되면, 플러그(100)의 체결 방향으로 돌출된 광로 정렬용 돌기(104)가 리셉터클(200)에 설치된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의 광로 정렬용 홈(514)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플러그(100)와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500) 간의 광 신호 전송 경로가 자동으로 정렬된다.
도 10a 내지 10c는 도 8b에 표시된 C-C´부분의 플러그 삽입 과정에 따른 변화가 각각 수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는 리셉터클(200)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 삽입되기 시작하면, 리셉터클(200) 상부에 고정된 쉘(300)의 걸림 돌기(312)가, 플러그(100)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상방으로 변위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 완전히 삽입되어 체결되면, 쉘(300)의 걸림 돌기(132)가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100)의 걸림 홈(14)에 삽입되어, 플러그(100)를 해당 체결 위치에 1차적으로 고정한다.
도 11a 내지 도 11c에는 도 8c에 표시된 D-D´부분의 락킹 바 잠금 과정에 따른 변화가 각각 수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의 1차 고정 상태에서, 수직 방향의 잠금 해제 위치에 있던 락킹 바(400)가 수평 방향의 잠금 완료 위치로 회동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바(400)가 잠금 완료 위치로 회동되기 시작하면, 락킹 바(400)의 단부(432)가 플러그(100)의 락킹 바 삽입 홈(108)에 삽입되기 시작한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바(400)가 회동되어 수평 방향의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게 되면, 락킹 바(400)의 단부(432)가 플러그(100)의 락킹 바 삽입 홈(108)에 삽입되어 플러그(100)를 체결 방향으로 가압 및 지지함으로써, 플러그(100)를 해당 체결 위치에 2차적으로 고정한다.
도 12a 내지 도 12c에는 도 8c에 표시된 E-E´부분의 락킹 바 잠금 과정에 따른 변화가 각각 수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의 1차 고정 상태에서, 수직 방향의 잠금 해제 위치에 있던 락킹 바(400)가 수평 방향의 잠금 완료 위치로 회동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바(400)가 잠금 완료 위치에 근접하기 시작하면, 쉘(300)의 탄성 돌기부(344)가 락킹 바(400)와 접촉하여 리셉터클(200) 측으로 변위된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바(400)가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게 되면, 쉘(300)의 탄성 돌기부(344)가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어, 락킹 바(400)가 다시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도 13a 및 도 13b에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커넥터의 체결 해제 과정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 커넥터의 체결 해제 시, 수평 방향의 잠금 완료 위치에 있던 락킹 바(400)가 수직 방향의 잠금 해제 위치로 회동되어 플러그(100)의 2차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쉘(300)의 탄성 돌기부(344)에 외력을 주어 탄성 돌기부(344)를 리셉터클(200) 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락킹 바(400)를 잠금 해제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바(400)가 회동되어 수직 방향의 잠금 해제 위치에 놓이면,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과 분리되어 체결 해제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쉘(300)의 걸림 돌기(312)에 외력을 주어 상방으로 변위시킴으로써, 플러그(100)의 1차 고정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는 도 13a에 표시된 F-F´부분의 락킹 바 잠금 해제 과정에 따른 변화가 각각 수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바(400)의 잠금 해제시, 수평 방향의 잠금 완료 위치에 있던 락킹 바(400)가 수직 방향의 잠금 해제 위치로 회동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바(400)가 수직 방향의 잠금 해제 위치에 놓이게 되면, 락킹 바(400)의 단부(432)가 플러그(100)의 플러그 삽입 홈(108)에서 인출되어 플러그(100)의 2차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도 15a 내지 15c에는 도 13a에 표시된 G-G´부분의 플러그 분리 과정에 따른 변화가 각각 수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바(400)가 수직 방향의 잠금 해제 위치에 놓인 경우에도, 쉘(300)의 걸림 돌기(312)가 플러그(100)의 걸림 홈(14)에 삽입되어 있어 플러그(100)의 1차 고정 상태가 유지된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쉘(300)의 걸림 돌기(312)가 상방으로 변위되면, 플러그(100)의 1차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플러그(100)를 인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서 수평 방향으로 인출되면, 플러그(100)와 리셉터클(200)의 분리가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셉터클에 체결된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된 쉘에 의해 일차적으로 고정된 다음, 상기 리셉터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락킹 바에 의해 이차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한 광로의 오정렬과 플러그의 탈거를 방지하고, 광전 커넥터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광전 커넥터의 플러그가 리셉터클이 아닌 하부 기판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리셉터클의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광전 커넥터의 전체 구조를 소형화 및 경박화 하면서도 플러그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의 지지 프레임들 간의 간극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리셉터클을 커버하는 쉘이 상기 리셉터클의 지지 프레임들을 지지함으로써, 반복적인 체결과 분리 작업에도 플러그와 지지 프레임들 간에 불필요한 이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광전 커넥터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전소자들이 블록 형태로 모듈화된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이 리셉터클에 끼움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리셉터클에 체결되는 플러그와 상기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 간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광전 커넥터 내의 광 신호 전송 경로가 자동으로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광전 커넥터의 조립 작업과 체결 작업을 간소화 및 효율화하고 광로 정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광전 커넥터 12 : 광 섬유
100 : 플러그 102 : 렌즈부
104 : 광로 정렬용 돌기 106 : 스냅핏 결합 구조
108 : 락킹 바 삽입 홈 200 : 리셉터클
210 : IC 수용부 212 : 수용 홈
214 : 리드 단자 216 : 지지 돌기
218 : 결합 구조 220 : 지지 프레임
222 : 플러그 삽입 홈 224 : 블록 결합 홈
226 : 가이드 돌기 228 : 회전축 삽입 홈
229 : 락킹 바 수용 홈 300 : 쉘
310 : 탑 커버부 312 : 대응 스냅핏 결합 구조
314 : 락킹 바 이탈 방지부 316 : 락킹 바 출입구
320 : 사이드 커버부 322 : 대응 결합 구조
330 : 사이드 커버부 340 : 락킹 바 고정부
342 : 실장부 344 : 탄성 돌기부
400 : 락킹 바 500 :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

Claims (12)

  1. 전기 회로가 배치된 하부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전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광 섬유가 연결된 플러그와 체결되어 상기 플러그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되어 상기 리셉터클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리셉터클에 체결되는 플러그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체결된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일차적으로 고정시키는 쉘; 및
    상기 리셉터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잠금 해제 위치와 잠금 완료 위치를 포함하는 회동 범위에서 회동되고,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는 경우 그 단부가 상기 체결된 플러그의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된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이차적으로 고정하는 락킹 바를 포함하고,
    상기 쉘은,
    상기 체결된 플러그의 걸림 홈에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되는 걸림 돌기를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탑 커버부; 및
    상기 락킹 바가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락킹 바를 지지하여 상기 락킹 바를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고정하는 락킹 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 커버부는, 상기 락킹 바가 잠금 완료 위치에서 잠금 해제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체결된 플러그의 삽입 홈에 삽입되었던 상기 락킹 바의 단부가 상기 쉘을 통과하여 상기 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락킹 바 출입구를 포함하는 광전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바 고정부는,
    상기 탑 커버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말단부가 상기 하부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 및
    상기 실장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인 상기 락킹 바와 접촉하여 상기 락킹 바가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탄성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드라이버 IC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 기판에 실장되는 IC 수용부; 및
    상기 IC 수용부에서 상호 간에 소정 간극을 두고 각각 상기 하부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간극에 상기 하부 기판의 상부면을 기저면으로 하며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탑 커버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리셉터클의 한 쌍의 지지 프레임 간의 간극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사이드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부는, 상기 리셉터클의 측면에 마련된 결합 구조와 결합하여 상기 쉘을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시키는 대응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바는,
    상기 리셉터클에 마련된 회전축 삽입 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서 상기 리셉터클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회동 범위에서 회동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리셉터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고, 상기 회동부가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체결된 플러그의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된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부가 상기 잠금 완료 위치에 놓이는 경우 상기 체결된 플러그의 삽입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삽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서 연장되는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동부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회전축이 삽입된 상기 회전축 삽입 홈의 개구를 커버하여 상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축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회전축 이탈 방지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말단부가 상기 하부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회전축 이탈 방지부가 상기 회전축 삽입 홈의 개구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 이탈 방지부를 지지하는 실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커넥터.
KR1020170038556A 2017-03-27 2017-03-27 광전 커넥터 KR10231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556A KR102316623B1 (ko) 2017-03-27 2017-03-27 광전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556A KR102316623B1 (ko) 2017-03-27 2017-03-27 광전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247A KR20180109247A (ko) 2018-10-08
KR102316623B1 true KR102316623B1 (ko) 2021-10-21

Family

ID=6386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556A KR102316623B1 (ko) 2017-03-27 2017-03-27 광전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6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785A (en) 1990-07-17 1992-12-29 Yazaki Corporation Low insertion-withdrawal force electric connector
US20070177844A1 (en) 2006-01-27 2007-08-02 Seiko Epson Corporation Optical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4266B2 (ja) * 2008-06-11 2012-08-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光コネクタ
KR102137704B1 (ko) * 2015-06-17 2020-07-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KR101850200B1 (ko) * 2016-03-08 2018-04-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커넥터플러그 및 광커넥터리셉터클의 체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체결 및 해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785A (en) 1990-07-17 1992-12-29 Yazaki Corporation Low insertion-withdrawal force electric connector
US20070177844A1 (en) 2006-01-27 2007-08-02 Seiko Epson Corporation Optical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247A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0337B2 (en) Wafer based optical interconnect
JP4093862B2 (ja) 光ファイバ・モジュールのラッチ外し機構
US8100588B2 (en) Small form factor pluggable (SFP) optical transceiver module and method
US8328434B2 (en) Universal serial bus (USB) connector having an optical-to-electical/electrical-to-optical conversion module (OE module) and high-speed electrical connections integrated therein
US9379817B2 (en) Plug and play optical transceiver module for electronic devices
US5963693A (en) Optical data lin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08429B1 (ko) 광학 도파체용 이중 플러그-인 커넥터
EP0938002B1 (en) Optical connector
US20140086540A1 (e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9880364B2 (en) Substrate mounted optical receptacle
US6817781B2 (en) Optical connector
KR102316623B1 (ko) 광전 커넥터
KR102322877B1 (ko) 광전 커넥터
US20170248764A1 (en) Transceivers using a pluggable optical body
US9804338B2 (en) Plug connector to couple a hybrid cable to a receptacle
US10007071B2 (en) Optical bodies having a total internal reflection surface and a short optical path length
KR102137704B1 (ko) 광전 하이브리드 커넥터
US6659657B2 (en) Easily assembled transceiver module with high yield rate
US6457876B1 (en) Surface-mountable optical device
KR102295070B1 (ko) 콘택트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 제조 방법
JP4344328B2 (ja)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CN114236700A (zh) 一种光模块
US20190045650A1 (en) Semiconductor assembly
JP2001518636A (ja) オプトエレクトロニックなプラグ受容エレメントを製作する方法及びオプトエレクトロニックなプラグ
KR102370752B1 (ko) 커넥터 플러그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