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412A -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412A
KR20160081412A KR1020140195204A KR20140195204A KR20160081412A KR 20160081412 A KR20160081412 A KR 20160081412A KR 1020140195204 A KR1020140195204 A KR 1020140195204A KR 20140195204 A KR20140195204 A KR 20140195204A KR 20160081412 A KR20160081412 A KR 20160081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chamber
circumferential surface
cylind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6830B1 (ko
Inventor
정철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4019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8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8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where gas is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8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where gas is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81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where gas is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being of the fluid displacement type, i.e. the piston not comprising damp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는, 유체가 충전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상단을 통해 차체에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내에서 인장챔버와 압축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 밸브를 갖는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압축챔버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압축챔버를 상부 오일실과 하부 가스실로 구분하는 하부 프리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인장챔버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장챔버를 하부 오일실과 상부 가스실로 구분하는 상부 프리 피스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쇽업소버{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프리 피스톤과 상부 프리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인장챔버의 상부 가스실과 압축챔버의 하부 가스실을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충분한 감쇠력과 부드러운 스토핑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장치의 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을 억제하거나 감쇠하는 역할을 하며, 차체 또는 프레임과 휠 사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체의 상하방향 진동 에너지를 흡수한다.
이와 같은 상기 쇽업소버의 형태 중, 복통형 쇽업소버는 내튜브와 외튜브로 구비되는 실린더와, 상기 내튜브 내부에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 밸브와, 일단이 피스톤 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되는 피스톤 로드 및, 실린더의 말단에 설치되어 피스톤 밸브와 마주보는 바디 밸브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복통형 쇽업소버의 내튜브와 외튜브 사이에는 저장실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실은 가스가 충전된 가스실과 오일이 충전된 오일실로 각각 구분되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복통형 쇽업소버는 가스실의 가스와 오일실의 오일이 서로 접하는 상태로 충전되므로, 피스톤 밸브의 압축과 인장 행정시 가스와 오일이 일부 섞이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는 압축과 인장 행정시 댐핑 응답성을 떨어트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4702호(2009년 08월 0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유체압 완충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프리 피스톤과 상부 프리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인장챔버의 상부 가스실과 압축챔버의 하부 가스실을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충분한 감쇠력과 부드러운 스토핑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장치의 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 및 인장 행정시 내부 립들과 피스톤 로드 및 외부 립들과 실린더의 밀착면 사이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 및 통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실린더의 내주면에 상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일이 누유(oil leak)를 방지할 수 있는 쇽업소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는, 유체가 충전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상단을 통해 차체에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내에서 인장챔버와 압축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 밸브를 갖는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압축챔버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압축챔버를 상부 오일실과 하부 가스실로 구분하는 하부 프리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인장챔버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장챔버를 하부 오일실과 상부 가스실로 구분하는 상부 프리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리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 밸브가 관통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외주면에 외부홈과 내주에 내부홈이 각각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외부홈에 대응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접하는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 링 및, 상기 내부홈에 대응 삽입되며, 내주면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접하는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 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이격 위치되고, 내주면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이격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링은 종 방향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지며, 반구 형상의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링은 종 방향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지며, 반구 형상의 내주면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접할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리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 밸브가 관통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주 방향측 상하면을 따라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내부 립 및, 상기 몸체의 외주 방향측 상하면을 따라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한 쌍의 외주 립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이격 위치되고, 내주면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이격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립들의 일단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진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립들은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진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부 프리 피스톤과 상부 프리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인장챔버의 상부 가스실과 압축챔버의 하부 가스실을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충분한 감쇠력과 부드러운 스토핑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장치의 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압축 및 인장 행정시 내부 립들과 피스톤 로드 및 외부 립들과 실린더의 밀착면 사이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 및 통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실린더의 내주면에 상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일이 누유(oil leak)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상부 프리 피스톤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에서 상부 프리 피스톤을 내부 립과 외부 립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상부 프리 피스톤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상부 프리 피스톤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에서 상부 프리 피스톤을 내부 립과 외부 립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상부 프리 피스톤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는 실린더(10)와, 피스톤 로드(20)와, 피스톤 밸브(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는 하부 프리 피스톤(40) 및, 상부 프리 피스톤(100)이 더 포함된다.
물론, 본 발명의 쇽업소버는 단통식 쇽업소버 구조에 적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복통식 속업소버에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들 중, 실린더(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는 오일과 가스가 분할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00)의 내부는 도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후술 될 피스톤 밸브(30)에 의해 상측의 인장챔버(11)와 하측의 압축챔버(12)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인장챔버(11)와 압축챔버(12)는, 피스톤 밸브(30)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오일이 선택적으로 상호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장챔버(11)는, 후술 될 상부 프리 피스톤(100)에 의해 하부 오일실(11a)과 상부 가스실(11b)로 각각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챔버(12)는 후술 될 하부 프리 피스톤(40)에 의해 하부 상부 오일실(12a)과 하부 가스실(12b)로 각각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10)의 하부에는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부가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0)는, 일단이 후술 될 피스톤 밸브(30)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튜브(20)의 외부로 연장되어 차량의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연결된다.
즉, 상기 피스톤 로드(20)는 차량의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연결되어, 전술한 외부튜브(20)와 함께 압축 또는 인장 동작을 하게 된다.
피스톤 밸브(30)는, 실린더(10)의 내부를 상하로 분할하며, 상기 피스톤 밸브(30)는 내부튜브(10)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유체(1)의 저항력에 의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 밸브(30)의 측면은 상기 내부튜브(10)의 내주 면과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압축 또는 인장 행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 밸브(30)의 유로를 통해 유체(1)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는데, 유체(1)가 인장 및 압축 행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저항력에 의한 감쇠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밸브(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유로를 선택된 방향으로 개폐하기 위한 밸브 수단(미도시)이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피스톤 밸브(30)의 압축 행정(도시한 방향에서 하강)시에는 상부 인장챔버(11)에 비해 하부 압축챔버(12)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때, 상기 압축챔버(12)의 압력 상승에 의해 상기 압축챔버(12) 내에 충전된 오일이 유로를 통해 밸브 수단을 밀어 열면서 인장챔버(11)로 이동한다.
반대로, 피스톤 밸브(30)의 인장 행정(도시한 방향에서 상승)시에는 상기한 동작과 역방향으로 동작한다.
하부 프리 피스톤(40)은,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압축챔버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축챔버를 상부 오일실(12a)과 하부 가스실(12b)로 구분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리 피스톤(40)은 피스톤 밸브(20)의 압축과 인장 행정시 압축챔버(11) 내에서 상부 오일실과 하부 가스실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 프리 피스톤은, 피스톤 밸브의 압축 행정시 응답성과 충분한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부드러운 스토핑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프리 피스톤(100)은, 피스톤 로드(20)가 관통된 상태로 인장챔버(11)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리 피스톤(100)은 인장챔버(100)를 하부 오일실과 상부 가스실로 구분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리 피스톤(100)은 피스톤 밸브(20)의 압축과 인장 행정시 인장챔버 내에서 하부 오일실과 상부 가스실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한, 상기 상부 프리 피스톤(100)은 도 1과 도 2에서처럼 몸체(110)와, 외부 링(120) 및, 내부 링(13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피스톤 로드(20)가 관통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이 실린더(100)의 내주면과 이격 위치되고, 상기 몸체(110)의 내주면이 피스톤 로드(20)의 외주면과 이격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외부홈(111)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내주면에는 내부홈(112)이 오목하게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홈(111)과 내부홈(112)은 몸체(110)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링(120)은, 내주면이 외부홈(111)에 대응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링(120)의 외주면이 실린더(10)의 내주면과 접하는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링(120)은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링(120)은 중심에 몸체(110)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링(120)은 종 방향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링(120)은 반구 형상의 외주면이 실린더(10)의 내주면에 접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내부 링(130)은,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링(130)은 중심에 피스톤 로드(20)가 관통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링(130)은 외주면이 내부홈(112)에 대응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링(130)은 내주면이 피스톤 로드(20)의 외주면과 접하는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링(130)은 종 방향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링(130)은 반구 형상의 내주면이 피스톤 로드(20)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내부 링(130)과 전술한 외부 링(120)은 테프론(Teflon)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프리 피스톤(100-1)은 도 3과 4에서처럼 몸체(110-1)와, 한 쌍의 내부 립(120-1) 및, 한 쌍의 외부 립(130-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1)는, 피스톤 로드(20)가 관통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1)의 외주면이 실린더(100)의 내주면과 이격 위치되고, 상기 몸체(110-1)의 내주면이 피스톤 로드(20)의 외주면과 이격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내부 립(120-1)은, 몸체(110-1)의 내주 방향측 상하면을 따라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립(120-1)들은 몸체(110-1)의 형상과 동일하게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원 형태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립(120-1)들은 몸체(110-1)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일단이 피스톤 로드(2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립(120-1)들의 일단은 피스톤 로드(20)의 외주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립(120-1)들은 경사진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립(120-1)들의 폭이 좁아지는 일단이 피스톤 로드(20)의 외주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립(120-1)들의 사이는 일정 넓이를 갖는 내부 간격(12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립(120-1)들은 서로 간의 사이에 내부 간격(121-1)이 형성되는 2중의 밀착구조를 갖고, 상기 내부 립(120-1)들은 선로 반대되는 상하 방향으로 벌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쇽업소버는 압축 및 인장 행정시 내부 립(120-1)들과 피스톤 로드(20)의 밀착면 사이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 및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의 유입에 의해 피스톤 로드(20)의 표면에 상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일이 누유(oil leak)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외부 립(130-1)은, 몸체(110-1)의 외주 방향측 상하면을 따라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립(130-1)들은 몸체(110-1)의 형상과 동일하게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원 형태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립(130-1)들은 몸체(110-1)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일단이 실린더(1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립(130-1)들의 일단은 실린더(10)의 내주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립(130-1)들은 경사진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립(130-1)들의 폭이 좁아지는 일단이 실린더(10)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립(130-1)들의 사이는 일정 넓이를 갖는 외부 간격(13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립(130-1)들은 서로 간의 사이에 외부 간격(131-1)이 형성되는 2중의 밀착구조를 갖고, 상기 외부 립(130-1)들은 선로 반대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벌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부 프리 피스톤과 상부 프리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인장챔버의 상부 가스실과 압축챔버의 하부 가스실을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충분한 감쇠력과 부드러운 스토핑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장치의 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 및 인장 행정시 내부 립들과 피스톤 로드 및 외부 립들과 실린더의 밀착면 사이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 및 통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실린더의 내주면에 상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일이 누유(oil leak)를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쇽업소버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실린더 11: 인장챔버
11: 인장챔버 11a: 하부 오일실
11b: 상부 가스실 12: 압축챔버
12a: 상부 오일실 12b: 하부 가스실
20: 피스톤 로드 30: 피스톤 밸브
40: 하부 프리 피스톤 100, 100-1: 상부 프리 피스톤
110: 몸체 111: 외부홈
112: 내부홈 120: 외부 링
130: 내부 링 110-1: 몸체
120-1: 내부 립 121-1: 내부 간격
130-1: 외부 립 131-1: 외부 간격
O: 오일 G: 가스

Claims (7)

  1. 유체가 충전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상단을 통해 차체에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내에서 인장챔버와 압축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 밸브를 갖는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압축챔버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압축챔버를 상부 오일실과 하부 가스실로 구분하는 하부 프리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인장챔버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장챔버를 하부 오일실과 상부 가스실로 구분하는 상부 프리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리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 밸브가 관통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외주면에 외부홈과 내주에 내부홈이 각각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외부홈에 대응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접하는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 링 및,
    상기 내부홈에 대응 삽입되며, 내주면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접하는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 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이격 위치되고, 내주면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이격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 링은,
    종 방향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지며, 반구 형상의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접하며,
    상기 내부 링은,
    종 방향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지며, 반구 형상의 내주면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리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 밸브가 관통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주 방향측 상하면을 따라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내부 립 및,
    상기 몸체의 외주 방향측 상하면을 따라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한 쌍의 외주 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이격 위치되고, 내주면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이격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내부 립들의 일단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진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상기 외부 립들은,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진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KR1020140195204A 2014-12-31 2014-12-31 쇽업소버 KR101716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204A KR101716830B1 (ko) 2014-12-31 2014-12-31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204A KR101716830B1 (ko) 2014-12-31 2014-12-31 쇽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412A true KR20160081412A (ko) 2016-07-08
KR101716830B1 KR101716830B1 (ko) 2017-03-15

Family

ID=5650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204A KR101716830B1 (ko) 2014-12-31 2014-12-31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2107A (zh) * 2023-11-23 2023-12-22 集美大学 一种基于互联隔振器的被动式浮筏隔振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369A (ko) * 2002-12-16 2004-06-23 주식회사 만도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
KR20080042324A (ko) * 2006-11-09 2008-05-15 주식회사 만도 모노 튜브식 쇽업소버
KR20080078387A (ko) * 2007-02-23 2008-08-27 주식회사 만도 직선 이동성이 좋은 프리피스톤을 갖는 쇽업소버
JP2014077452A (ja) * 2012-10-09 2014-05-01 Kayaba Ind Co Ltd 懸架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369A (ko) * 2002-12-16 2004-06-23 주식회사 만도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
KR20080042324A (ko) * 2006-11-09 2008-05-15 주식회사 만도 모노 튜브식 쇽업소버
KR20080078387A (ko) * 2007-02-23 2008-08-27 주식회사 만도 직선 이동성이 좋은 프리피스톤을 갖는 쇽업소버
JP2014077452A (ja) * 2012-10-09 2014-05-01 Kayaba Ind Co Ltd 懸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2107A (zh) * 2023-11-23 2023-12-22 集美大学 一种基于互联隔振器的被动式浮筏隔振平台
CN117262107B (zh) * 2023-11-23 2024-01-23 集美大学 一种基于互联隔振器的被动式浮筏隔振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830B1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423B1 (ko) 듀얼 솔레노이드 밸브 구조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WO2017012112A1 (zh) 列车油压减振器
KR20120136522A (ko) 가변유로를 갖는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CN108343698A (zh) 减震器
CN109058351A (zh) 一种双缓冲气囊减震器
CN103470674A (zh) 一种内通道式汽车悬架系统磁流变减振器
JP2015105736A (ja) シール装置
US9874263B2 (en) Shock absorber
JP6239420B2 (ja) 油圧緩衝器
US9731574B2 (en) Shock absorber gas spring seal
KR101716830B1 (ko) 쇽업소버
KR20170073665A (ko) 완충기
FI3519717T3 (fi) Jousitusyksikkö
RU165842U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KR102138819B1 (ko) 내압축성 쇽 업소버 피스톤 씰
CN103562592A (zh) 液封式防振装置
KR101744302B1 (ko) 쇽업소버
KR102150472B1 (ko) 쇽업소버
JP2004251413A (ja) 往復動軸用密封装置
KR102152027B1 (ko) 쇽업소버
KR102183046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RU172226U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KR101815594B1 (ko) 철도 차량용 완충기
KR101815593B1 (ko) 철도 차량용 완충기
KR20150018107A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