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323A - 선반의 척에 대한 다각형 공작물 고정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선반의 척에 대한 다각형 공작물 고정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323A
KR20160081323A KR1020140194971A KR20140194971A KR20160081323A KR 20160081323 A KR20160081323 A KR 20160081323A KR 1020140194971 A KR1020140194971 A KR 1020140194971A KR 20140194971 A KR20140194971 A KR 20140194971A KR 20160081323 A KR20160081323 A KR 20160081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rotating body
chuck
fixing
lath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김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훈 filed Critical 김영훈
Priority to KR1020140194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1323A/ko
Publication of KR2016008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06Features relating to the removal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04Ada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10Devices for clamping workpieces of a particular form or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에 공작물을 고정하는 척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작물이 원형이지 않고 다각형일 경우 공작물을 간편하게 고정하여 공작물을 선반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한 선반의 척에 대한 공작물 고정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병은 선반에 설치되어 주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체에 다각형의 공작물을 고정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선반에 간편하게 부가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다각형의 공작물을 센터를 정확하게 고정함으로써 정확하게 공작물을 가공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정나사에 의한 결합방식이므로 선반의 회전체에 간편하고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간편하게 분리하여 보관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각형의 공작물에 형성된 기둥을 선반에서 간편하게 가공할 수가 있어 작업이 편리하고, 선반에서 간단하게 지그만 설치하면 되므로 불필요한 외주 가공비를 절감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선반의 척에 대한 다각형 공작물 고정방법 및 그 장치{The fixing method of polygon works about the chuck of a lathe and thereof device}
본 발명은 선반에 공작물을 고정하는 척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작물이 원형이지 않고 다각형일 경우 공작물을 간편하게 고정하여 공작물을 선반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한 선반의 척에 대한 공작물 고정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 파이프 등의 내경이나 외경을 가공하는 선반은 공작물을 주축에 의해 회전되는 척에 고정 설치한 후, 이를 회전시키며, 회전되는 공작물에 바이트와 같은 가공공구를 공작물에 접촉시켜 목적하는 형상으로 깎아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선반용 척은 공작물을 주축의 중앙부에 정확하게 고정하여 회전을 시켜야 공작물이 편심이 일어나지 않고 회전을 하여야 정확한 가공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보통 공작물이 원형의 기둥 형상의 축이나 파이프 등을 가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된 종래의 선반용 척은 공작물이 다각형일 경우 공작물을 주축과 일치되게 정확한 센터를 잡을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각형의 공작물에 원형의 기둥이 돌출되어 있고 이 기둥을 가공하고자 할 경우 기둥 부가 척의 정 중앙부에 위치하게 다각형부를 척에 물려 고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척은 주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에 보통 120°나, 180°간격으로 2~3개가 설치되어 내측 중앙부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원형의 공작물을 고정하기에는 용이하나, 공작물이 다각형일 경우에는 주축과 공작물의 가공부에 대한 센터가 일직선 상이 되도록 고정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다각형의 공작물에 돌출되어 있는 원형의 기둥이 있을 경우 이 기둥의 외경이나 내경을 가공하기 위하여는 다각형부를 척에 고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바이트에 의하여 가공할 수가 있는 간단한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선반에서 척에 다각형의 공작물을 고정이 불가능하여 작업을 할 수가 없어 다른 고가의 공작기계가 있는 곳으로 작업을 의뢰하였다.
따라서 작업이 불편하고 공작물을 외주 작업장으로 운반하여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지출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선반용 척은 다각형의 공작물에 일체로 구성된 원형의 기둥을 가공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210597호(공고일자 2012년 12월 1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반에 설치되어 공작물을 고정하는 척에 다각형의 공작물을 센터에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목적으로는 기존의 척에 간단하게 부가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반의 주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체에 설치된 척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벌리는 척 이동단계;
상기 척 이동단계에 의하여 회전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에 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면이 수평으로 형성된 지그를 회전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체결공에 삽입하여 고정나사로 고정하는 지그 고정단계;
상기 지그의 중앙부 상부에 다각형의 공작물을 놓고 양측의 척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고정나사로 고정하여 다각형의 공작물을 고정하는 공작물 고정단계;
상기 공작물 고정단계에 의하여 다각형의 공작물이 고정되면 선반을 작동시켜 주축에 의하여 회전체가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지그의 상부에서 척에 의하여 고정된 다각형의 공작물이 회전되는 공작물 회전단계;
상기 회전단계에 의하여 다각형의 공작물이 회전되면 바이트를 이동시켜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작물 가공단계;
상기 가공단계에 의하여 다각형 공작물의 가공이 끝나면 선반을 정지시키고 회전체에서 척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공작물을 인출하는 공작물 인출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반의 주축에 의하여 회전하고 양측에 척(4)(4')이 체결되는 가이드 홈(3)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공작물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삽입 체결공(2)이 형성되고 삽입 체결공(2)의 주변에 다수 개의 나사 체결공이 형성된 회전체(1)와
상기 회전체(1)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3)에 각각 삽입되며, 가이드 홈(3)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저면에 가이드 돌기(5)가 돌출되고 상부 양측에 고정공(7)이 형성되어 고정나사로 회전체(1)에 고정되는 척(4)(4');과
상기 회전체(1)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 체결공(2)에 삽입되어 회전체(1)의 센터가 일치되도록 저면 중앙부에 돌출부(9)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수평부를 형성하되 수평부의 중앙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회전체(1)의 삽입 체결공(2) 주변에 형성된 나사 체결공에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수평부의 양측에는 수직지지대(8)를 형성하여서 된 지그(1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상기 지그(20)의 수평부 양측에 형성된 수직 지지부(11)를 만곡지게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병은 선반에 설치되어 주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체에 다각형의 공작물을 고정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선반에 간편하게 부가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다각형의 공작물을 센터를 정확하게 고정함으로써 정확하게 공작물을 가공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정나사에 의한 결합방식이므로 선반의 회전체에 간편하고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간편하게 분리하여 보관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각형의 공작물에 형성된 기둥을 선반에서 간편하게 가공할 수가 있어 작업이 편리하고, 선반에서 간단하게 지그만 설치하면 되므로 불필요한 외주 가공비를 절감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그에 대한 실시 예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체에서 지그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체에 지그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그에 공작물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대한 것으로, 지그가 회전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고정부가 다각형으로 된 다각형 공작물을 가공하고자 할 경우 선반의 주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체(1)에 설치된 척(4)(4')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나사(6)를 풀어 각각 외측으로 이동시켜 간격을 벌린다.
이때 각각의 척(4)(4')은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있는 가이드 돌기(5)가 회전체(1)의 가이드 홈(3)에 삽입 체결되어 있어 외측으로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1)에서 척을 외측으로 이동한 다음 회전체(1)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 체결공(2)에 지그(1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9)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때 회전체(1)에 형성된 삽입 체결공(2)의 직경과 지그(10)의 돌출부(9)의 직경은 미세한 공차를 두어 돌출부(9)가 쉽게 삽입되는 한편 주축에 의하여 회전체(1)가 회전될 때 지그(10)의 센터가 회전체(1)의 센터에서 벗어나지 않고 같은 선상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1)의 중앙부에 지그(10)의 돌출부(9)를 삽입하여 조립한 다음 지그(10)의 수평부에서 고정나사를 회전체(1)에 형성된 나사체결공에 체결하여 지그(10)를 회전체(1)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와 같이 회전체(1)에 지그(10)가 조립되면 회전체(1)에 형성된 삽입 체결공(2)이 지그(10)의 수평부에 의하여 밀폐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10)의 상부에 다각형의 공작물을 올려놓는다. 이때 다각형의 공작물은 각 면이 수평으로 가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그(10)의 수평부에 올려지게 되므로 공작물의 가공부와 회전체의 센터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체(1)의 가이드 홈(3)에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척(4)(4')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공작물을 압착한 상태에서 고정나사(6)를 고정공에 체결하여 회전체(1)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에서 척이 이동되어 공작물을 고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므로 자세한 언급은 하지않는다.
상기와 같이 다각형의 공작물이 척(4)(4')에 의하여 지그(10)의 상부에 고정되면 선반을 작동시키면 주축에 의하여 회전체(1)가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지그(10)의 상부에서 척(4)(4')에 의하여 고정된 다각형의 공작물이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작물이 회전하면 바이트를 이동시며 가공부와 접촉시켜 공작물을 가공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공작물의 가공이 끝나면 선반을 정지시키고 척(4)(4')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나사(6)를 풀어 척(4)(4')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공작물을 분리하여 인출하면 된다.
한편, 도 3 및 도 9는 본 발명 지그(20)에 대한 실시 예로서 공작물의 직경이 클 경우 지그(20)의 수평부 외측에 돌출되어 있는 수직지지부를 만곡지게 형성함으로써 공작물이 만곡지게 형성된 수직 지지부(11)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 상태에서 수직지지부와 90°위치에 있는 척(4)(4')들이 공작물의 양측을 지지하게 되므로 간편하게 가공을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회전체 2. 삽입체결공
3. 가이드 홈 4. 4'. 척
5. 가이드 돌기 6. 고정나사
7. 고정공 8. 수직 지지대
9. 돌출부 10. 20. 지그
10. 홀 가공장치 11. 수직지지부

Claims (3)

  1. 선반의 주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체에 설치된 척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벌리는 척 이동단계;
    상기 척 이동단계에 의하여 회전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에 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면이 수평으로 형성된 지그를 회전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체결공에 삽입하여 고정나사로 고정하는 지그 고정단계;
    상기 지그의 중앙부 상부에 다각형의 공작물을 놓고 양측의 척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고정나사로 고정하여 다각형의 공작물을 고정하는 공작물 고정단계;
    상기 공작물 고정단계에 의하여 다각형의 공작물이 고정되면 선반을 작동시켜 주축에 의하여 회전체가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지그의 상부에서 척에 의하여 고정된 다각형의 공작물이 회전되는 공작물 회전단계;
    상기 회전단계에 의하여 다각형의 공작물이 회전되면 바이트를 이동시켜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작물 가공단계;
    상기 가공단계에 의하여 다각형 공작물의 가공이 끝나면 선반을 정지시키고 회전체에서 척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공작물을 인출하는 공작물 인출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척에 대한 다각형 공작물 고정방법.
  2. 선반의 주축에 의하여 회전하고 양측에 척(4)(4')이 체결되는 가이드 홈(3)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공작물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삽입 체결공(2)이 형성되고 삽입 체결공(2)의 주변에 다수 개의 나사 체결공이 형성된 회전체(1)와
    상기 회전체(1)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3)에 각각 삽입되며, 가이드 홈(3)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저면에 가이드 돌기(5)가 돌출되고 상부 양측에 고정공(7)이 형성되어 고정나사로 회전체(1)에 고정되는 척(4)(4');과
    상기 회전체(1)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 체결공(2)에 삽입되어 회전체(1)의 센터가 일치되도록 저면 중앙부에 돌출부(9)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수평부를 형성하되 수평부의 중앙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회전체(1)의 삽입 체결공(2) 주변에 형성된 나사 체결공에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수평부의 양측에는 수직지지대(8)를 형성하여서 된 지그(1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척에 대한 다각형 공작물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의 수평부 양측에 형성된 수직 지지부(11)를 만곡지게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척에 대한 다각형 공작물 고정장치.
KR1020140194971A 2014-12-31 2014-12-31 선반의 척에 대한 다각형 공작물 고정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81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971A KR20160081323A (ko) 2014-12-31 2014-12-31 선반의 척에 대한 다각형 공작물 고정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971A KR20160081323A (ko) 2014-12-31 2014-12-31 선반의 척에 대한 다각형 공작물 고정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323A true KR20160081323A (ko) 2016-07-08

Family

ID=5650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971A KR20160081323A (ko) 2014-12-31 2014-12-31 선반의 척에 대한 다각형 공작물 고정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13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597B1 (ko) 2008-12-11 2012-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체의 맵 매칭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597B1 (ko) 2008-12-11 2012-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체의 맵 매칭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38464U (zh) 一种车床加工偏心件的专用夹具
CN103753323B (zh) 自动自定心夹具
CN204366457U (zh) 大中型电机机座内孔车加工夹具
CN201889672U (zh) 分度装置
JP3204498U (ja) Cnc旋削、フライス複合工作機械
CN102581304A (zh) 一种薄壁件加工方法
CN104493221A (zh) 一种固定式自动夹头
CN104043850A (zh) 一种浮动夹具
CN203887623U (zh) 泵盖零件倾斜孔加工夹具的分度装置
KR101909923B1 (ko) 공작기계
JP2012250342A (ja) 工作機械用のタレット及び工具ホルダ
CN203343815U (zh) 一种二次装夹定位调整装置
KR20160081323A (ko) 선반의 척에 대한 다각형 공작물 고정방법 및 그 장치
CN104385045A (zh) 一种钻孔夹具专用排屑盘
CN106031978A (zh) 一种翻转攻丝夹具
CN105772775A (zh) V形弹簧盘定心夹具
KR20100110683A (ko) 공작물의 중심을 정확하게 잡아주는 장치
CN205380467U (zh) 一种铣床用夹持装置
CN104875036A (zh) 一种十字轴加工工装
JP3198719U (ja) 縦型切削装置の加工用治具
KR20160098583A (ko) 비구면 형상 어레이 렌즈 사출성형금형용 지그
JP2008119790A (ja) 工具ホルダ、およびその工具ホルダを取り付け可能なnc旋盤装置
CN205021214U (zh) 一种镜头支架内径加工夹具
KR102443424B1 (ko) 헤리컬 기어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헤리컬 기어의 제조방법
CN204413850U (zh) 一种轴类零件磨削外圆用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