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714A - 접이식 간이 테이블 - Google Patents
접이식 간이 테이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0714A KR20160080714A KR1020140193505A KR20140193505A KR20160080714A KR 20160080714 A KR20160080714 A KR 20160080714A KR 1020140193505 A KR1020140193505 A KR 1020140193505A KR 20140193505 A KR20140193505 A KR 20140193505A KR 20160080714 A KR20160080714 A KR 201600807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olding
- folded
- leg
- folding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개형태의 판을 접으면 간단하고 편리하게 테이블로 완성되는 접이식 간이 테이블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 테이블은, 펼치면 중간의 판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측으로 판이 연장되고, 중간의 판과 연장된 판 사이 및 연장된 판의 중간에 접이선이 형성되며, 연장된 판을 중간의 판으로 접이선을 따라 접으면 표면에 상판을 갖는 테이블로 완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 테이블은, 펼치면 중간의 판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측으로 판이 연장되고, 중간의 판과 연장된 판 사이 및 연장된 판의 중간에 접이선이 형성되며, 연장된 판을 중간의 판으로 접이선을 따라 접으면 표면에 상판을 갖는 테이블로 완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로 야외활동시 사용되는 접이식 간이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개형태의 판을 접으면 간단하고 편리하게 테이블로 완성되는 접이식 간이 테이블에 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토요휴무제의 실시로 야외에서 즐기는 여과시간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야외에서 여과를 즐길 때에는 돗자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돗자리에서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음식물을 돗자리의 바닥에 깔아 놓은 채 섭취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음식물을 돗자리에 깔아 놓은 채 섭취를 하게 되면, 상체를 숙여야 하므로 허리 통증을 유발할 뿐 아니라, 펼쳐진 음식물이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앉을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져 장시간 유희를 즐길 수가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야외에서 편리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레저 및 캠핑용 간이 테이블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에 출시되고 있는 간이 테이블들은 주로 알루미늄과 합성수지를 혼용하여 다수의 상판과 기둥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현장에서 쉽게 펼치거나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간이 테이블들은 최소 10만 원을 넘기 때문에 구매가격에 대한 부담이 있고, 차량에 적재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캠핑장비를 모두 적재하기 힘들어 질뿐 아니라, 무게가 최소 5kg을 넘어 공원과 같은 곳에 돗자리와 병행하여 들고다니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특히 구매비용이 저렴하고, 적재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무게가 가벼워 휴대하기 용이한 접이식 간이 테이블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 테이블은, 펼치면 중간의 판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측으로 판이 연장되고, 중간의 판과 연장된 판 사이 및 연장된 판의 중간에 접이선이 형성되며, 연장된 판을 중간의 판으로 접이선을 따라 접으면 표면에 상판을 갖는 테이블로 완성된다.
또한, 상기에서 연장된 판을 접이선을 따라 접지않고, 펼친 상태로 접으면 연장되는 판들이 상판 내에 차례대로 포개져 휴대할 수 있는 접힘 형태가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전개형태의 판으로 되므로 원가가 절감되고, 평상시 접힌 상태로 휴대하고, 필요 시 전개형태의 판을 간단하게 접어서 테이블로 완성할 수 있으므로 야외에서 사용하기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 테이블의 전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지판이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은 도 2에서 다리판이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4는 도1 내지 도3에 의해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5는 도 4를 저부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6은 도 4를 전후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를 좌우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지지판이 펼친 상태로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9은 도 8에서 다리판이 펼친 상태로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지판이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은 도 2에서 다리판이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4는 도1 내지 도3에 의해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5는 도 4를 저부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6은 도 4를 전후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를 좌우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지지판이 펼친 상태로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9은 도 8에서 다리판이 펼친 상태로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도면은 예시도로서 요부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지 않고 그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위치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 테이블의 전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을 펼쳐진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 테이블은 펼치면 전개형태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판을 접어서 테이블로 구현된다.
이때 판의 재질은 골판지 또는 빳빳한 종이로 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로 될 수도 있다. 원가를 감안하여 판은 골판지형태의 종이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이 종이로 적용될 경우 일회성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 취급이 용이하고, 천연재질의 적용으로 친환경적이며, 수거의 인기도가 높아 폐기도 쉽고, 재활용이 가능하다.
상기의 판은 도시된 전개형태로 프레스로 펀칭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제작은 금형의 형틀에 대한 제작이 쉽고, 대량생산에 유리하며, 생산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전개된 판의 형태를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상판(10)과, 그 상판(10)으로부터 전후좌우 측으로 판이 연장형성된다. 상기 전후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판은 접이선을 따라 접으면 지지대(20A)로 형성되는 지지판(20)과, 좌우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판은 접이선을 따라 접으면 다리(30A)로 형성되는 다리판(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개된 판에 형성되는 접이선들을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과 지지판(20)이 이어지는 분분에 제1접이선(1A)이 형성되고, 지지판(20)의 중간에 제2접이선(2A) 형성되며, 상판(10)과 다리판(30)이 이어지는 분분에 제3접이선(3A)이 형성되고, 다리판(30)의 중간으로부터 상판(10)의 내측 방향에 제4접이선(4A)과 외측 방향에 제5접이선(5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에서 접이선은 프레스로 펀칭 시 커터로 절단하지 않고, 커터의 끝을 무디게 하여 표면을 눌러서 각인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상기 접이선의 형성방향은 제2접이선(2A)을 제외한 나머지 접이선들은 표면에 형성하고, 제2접이선(2A)만 이면에 형성한다. 즉, 표면에 형성되는 접이선들은 접이선을 따라 상판(10)의 내측 방향으로 접혀지고, 제2접이선(2A)은 접이선을 따라 상판(10)의 외측 방향으로 접혀진다.
다음으로 전개된 판에 부가적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0)과 다리판(30)의 끝단 양측에는 끝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절개된 절개홈(21,31)이 형성된다. 이 절개홈(21,31)은 지지판(20)의 끝단과 다리판(30)의 끝단 간에 끼움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다.
또한 상판(10)의 각 모서리와 상판(10)으로 접혀지는 부분의 측판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은 컵홀더(50)로 이용하기 위해 구성된다.
한편 다리판(30)의 일측 끝단의 중간에 결속편(40)이 연장형성되어 있고, 다리판(30)의 타측 중간에는 장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편(40)과 장공(41)은 전개된 판을 휴대용으로 접었을 때 결속편(40)을 장공(41)에 끼워넣어 접힌 상태로 결속하기 위해 구성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시된 상태로 보면, 상판(10)의 이면 부분만 또는 이면의 전부에 방수용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부가적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의 별도단락에서 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서 지지판이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이 전개형태에서 테이블로 전환되는 중간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형태의 판에서 테이블로 완성되기 위해 먼저 지지판(20)을 접어야 한다.
상기 지지판(20)을 접는 과정을 설명하면, 전후에 위치되는 지지판(20)을 제1접이선(1A)으로 기준으로 상판(10)의 내측 방향으로 접은 후, 제2접이선(2A)을 기준으로 상판(10)의 외측 방향으로 접는다.
즉, 지지판(20)은 상판(10)의 전후에 "ㄴ"형태가 되도록 접는다.
이로써 테이블로 구현하기 위한 지지판(20)의 접힘은 마감된다.
상기 지지판(20)의 접힘 형태는 단면상 상판(10)의 중간 양측으로부터 끝단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태가 되는 데, 이렇게 수직으로 세워지는 부분이 하술 될 다리(30A)의 완성과 그 완성된 다리(30A)에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에서 다리판이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이 전개형태에서 테이블로 전환되는 마지막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형태의 판에서 테이블로 완성되기 위해서는 지지판(20)을 접은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다리판(30)을 접어야 한다.
상기 다리판(30)을 접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좌우에 위치되는 다리판(30)을 도1에 도시된 제3접이선(3A)을 기준으로 상판(10)의 내측 방향으로 접는다. 이렇게 되면 다리판(30)은 지지판(20)의 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된다. 그 다음 제4접이선(4A)을 기준으로 상판(10)의 내측 방향으로 수평이 되도록 접는다. 이렇게 되면 다리판(30)이 지지판(20)의 상단에 씌워지는 형태가 된다. 그 다음 제5접이선(5A)을 기준으로 다리판(30)의 끝단을 상판(10) 방향으로 수직이 되도록 하방으로 접는다. 이렇게 되면 다리판(30)이 지지판(20)에 측면이 씌워지고, 수직으로 세워지는 부분이 두 개로 형성되는 함체형태가 된다.
즉, 다리판(30)은 상판(10)의 좌우에 "ㄷ"형태가 되도록 접는다.
상기에서 다리판(30)을 수직 하방으로 접을 때 다리판(30)의 끝단에 형성된 절개홈(21,31)을 지지판(20)의 끝단에 형성되는 절개홈(21,31)에 끼움 삽입하여 결합고정한다.
이로써 테이블로 구현하기 위한 다리판(30)의 접힘이 마감되고, 이를 뒤집으면 테이블로 된다.
상기 다리판(30)의 접힘 형태는 지지대(20A)의 측면을 감싸면서 함체형태로 꺾여지는 형태가 되는데, 이러한 형태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부분이 두 군데로 형성되어 상판(10)을 견고하게 버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20)의 끝단과 다리판(30)의 끝단에 형성되는 절개홈(21,31)을 이용한 끼움 결합은 절개홈(21,31) 간의 걸림 작용에 의해 결합부의 이탈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판의 고정력이 견고해짐으로써 테이블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도1 내지 도3을 통해 전개된 판의 형태에서 테이블로 접혀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은 전개형태의 판으로부터 지지판(20)과 다리판(30)을 순차적으로 접으면 간단하게 테이블로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되는 테이블은 판의 제조가 용이하고, 판에서 테이블로 접는 과정이 쉽고 간편하며 신속하기 때문에 야외활동시 돗자리와 함께 휴대하였다가 필요 시 현장에서 접어서 사용하면 테이블로 완성됨으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4는 도1 내지 도3에 의해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5는 도 4를 저부에서 본 사시도 이며, 도 6은 도 4를 전후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를 좌우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형태에서 완성된 테이블은, 표면에 구성되는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전후 하방으로 지지판(20)이 접혀져 형성되는 지지대(20A)와, 상기 상판(10)의 좌우 하방으로 다리판(30)이 접혀져 형성되는 다리(30A)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20)은 도1 내지 도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판(10)의 전후로부터 저면으로 밀착되게 접혀진 다음 끝단이 하방으로 접혀져 지지대(20A)가 되고,
상기 다리판(30)은 상판(10)의 좌우로부터 하방으로 접혀진 다음 지지대(20A)의 측면을 감싸면서 내측으로 꺾여진 후 끝단이 상부로 접혀져 지지대(20A)의 끝단에 교차 되도록 삽입되어 다리(30A)가 된다.
이때 지지판(20)의 끝단과 다리판(30)의 끝단에는 절개홈(21,31)에 형성되어 상호 간에 끼움 결합된다.
쉽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판(20)은 "ㄱ"형태로 접혀져 지지대(20A)로 형성되고, 상기 다리판(30)은 "ㄷ"형태로 접혀져 다리(30A)로 형성되며, 지지판(20)의 끝단 절개홈(21,31)에 다리판(30)의 끝단 절개홈(21,31)에 끼움 삽입하여 결합고정된다.
상기 지지대(20A)는 지지판(20)이 상판(10)의 전후에서 저면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끝단이 하방으로 꺾여져 상판(10)의 저면으로부터 중간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부분으로 인해 다리(30A)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리(30A)는 다리판(30)이 상판(10)의 좌우에서 저부로 수직 하강한 다음 지지대(20A)의 측면을 감싸면서 이단 절곡되어 끝단이 상부로 꺾여져, 상판(10)의 좌우 측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부분이 두 줄로 형성되어 상판(10)을 견고하게 버틸 수 있게 되며, 바닥에 닿는 부분은 면적이 확보되어 미끄럼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 테이블은 고정력과, 지지력과, 버팀력, 마찰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8은 도 1에서 지지판이 펼친 상태로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 테이블을 전개형태에서 테이블로 전환하는 것 대신 휴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접힘 형태로 전환되는 중간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으로 접힘 형태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먼저 지지판(20)을 접어야 한다.
상기 지지판(20)을 접는 과정을 살펴보면, 전후의 지지판(20)을 제1접이선(1A)을 기준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판(10)의 내측 방향으로 접는다.
이로써 휴대용으로 완성되기 위한 지지판(20)의 접힘이 마감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의 지지판(20)을 펼친 상태로 접으면 서로 겹쳐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어야지만, 휴대하기가 용이하고, 상판(10)의 면적을 최대한으로 넓게 활용할 수 효과가 있다.
물론, 바닥으로부터 상판(10)의 높이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전후 지지판(20)이 겹쳐지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후의 지지판(20)이 겹쳐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상판(10)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고, 휴대용으로 겹쳤을 때 하기에 설명될 결속의 어려움이 따르게 되므로 권장하지는 않는다.
도 9는 도 8에서 다리판이 펼친 상태로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 테이블을 전개형태에서 테이블로 전환하는 것 대신 휴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접힘 형태로 전환되는 마지막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형태의 판에서 휴대용 접힘 형태로 완성되기 위해서는 지지판(20)을 접은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다리판(30)을 접어야 한다.
상기 다리판(30)을 접는 과정을 설명하면, 지지판(20)이 펼친 상태로 접혀진 상태에서 먼저 좌측의 다리판(30)을 펼친 상태에서 접은 후, 우측의 다리판(30)을 펼친 상태로 접는다. 그 다음 좌측의 다리판(30)에 형성된 장공(41)홈에 우측의 다리판(30) 끝단에 형성된 결속편(40)을 삽입하여 결속한다.
이로써 휴대용으로 완성되기 위한 다리판(30)의 접힘 및 결속이 마감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41)홈은 최종적으로 접힘 상태가 되었을 때 결속편(40)이 도달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다리판(30)의 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의 다리판(30)에 결속편(40)이 형성되면 타측의 다리판(30) 장공(41)을 형성하면 되고, 접는 순서를 반대로 하면 된다.
이상, 도1, 도8 내지 도9을 통해 전개된 판의 형태에서 휴대용으로 접혀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은 전개형태의 판으로부터 지지판(20)과 다리판(30)을 펼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접으면 간단하게 접힘 형태로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되는 접힘 형태는 접는 과정이 쉽고 간편하며, 휴대용으로 접혀진 상태는 부피가 절감되고, 두께가 가벼워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다.
한편 휴대용으로 접힌 상태의 규격을 돗자리의 규격과 동일하도록 제작하면 돗자리의 포대에 본 발명을 접힌 형태로 넣어서 함께 휴대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시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 테이블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에 컵홀더(5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컵홀더(50)는 4인용을 기준으로 할 경우 도5와 같이, 전개형태의 판에 상판(10)의 각 모서리부분과 그 모서리부분으로 접혀지는 지지판(20)에 원통형 구멍으로 되는 컵홀더(50)를 펀칭하면 된다.
상기 컵홀더(50)는 통상적이 컵이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컵을 컵홀더(50)에 끼워 넣게 되면 컵의 테이퍼에 의해 자연스럽게 고정된다.
통상 야외는 바닥이 평평하지 않기 때문에 컵이 미끄러지면서 바닥에 쏟는 경우가 많다. 컵홀더(50)의 구비는 이러한 컵 쏟음을 방지할 수 있다는 데 유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 테이블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0)과 상판(10)은 제1접이선(1A)으로부터 제2접이선(2A)까지 이어지는 지지판(20)의 접촉면(12A)과, 그 접촉면(12A)에 접촉되는 상판(10)에 접착제로 미리 접착하여 생산할 수도 있다.
상기 접촉면(12A)은 유일하게 상판(10)과 접촉되는 면으로써, 그 접촉면(12A)을 미리 접촉해 놓음으로 테이블의 구현을 쉽게 할 수 있고, 접촉면(12A)의 접착에 의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부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간이 테이블은, 도4의 상판(10) 또는 도1의 상판(10)에 해당하는 판의 전면에 방수용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코팅층은 테이블을 종이로 제조할 경우에 부가적으로 구성한다.
상기 코팅층은 방수용 코팅제를 페인팅하여 형성하거나, 비닐 등을 접착하여 달성할 수 있다.
통상 야외에서는 갑작스럽게 소나기를 맞을 수 있고, 컵홀더(50)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판(10)에 물을 쏟을 수 있으며, 계곡 주변에 여과를 즐기면서 자연적인 습기로 인해 테이블이 눅눅해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부가는 상술한 염려를 말끔히 해소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간이 테이블의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간이 테이블은 야외활동 시 돗자리를 구비하지 않았을 때 전개형태로 펼쳐서 돗자리로 활용할 수 있고, 등산 등에는 접힌 상태로 방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가능하고, 규격 또한 용도에 맞춰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간이 테이블은 야외활동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지만, 그렇다고 야외활동에서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제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전개형태의 판을 두껍게 하여 목재 또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하고, 접이선을 기준으로 판을 분기하여 분기 된 부분에 접이선의 방향으로 경첩을 장착할 경우 생활용 테이블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마치며, 본 발명에 해당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 상판
20 : 지지판
20A: 지지대 30: 다리판
30A: 다리 21, 31: 절개홈
40: 결속편 41: 장공
50: 컵홀더 1A: 제1접이선
2A: 제2접이선 3A: 제3접이선
4A: 제4접이선 5A: 제5접이선
12A: 접촉면
20A: 지지대 30: 다리판
30A: 다리 21, 31: 절개홈
40: 결속편 41: 장공
50: 컵홀더 1A: 제1접이선
2A: 제2접이선 3A: 제3접이선
4A: 제4접이선 5A: 제5접이선
12A: 접촉면
Claims (12)
- 야외에서 사용되는 접이식 간이 테이블로서,
상기 접이식 간이 테이블은,
펼치면 중간의 판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측으로 판이 연장되고, 중간의 판과 연장된 판 사이 및 연장된 판의 중간에 접이선이 형성되며, 연장된 판을 중간의 판으로 접이선을 따라 접으면 표면에 상판(10)을 갖는 테이블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 테이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판을 접이선을 따라 접지않고, 펼친 상태로 접으면 연장되는 판들이 상판(10) 내에 차례대로 포개져 휴대할 수 있는 접힘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 테이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개형태의 판은, 중간에 위치되는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전후로 연장형성되어 접이선을 따라 접으면 지지대(20A)로 형성되는 지지판(20)과, 상기 상판(10)의 좌우로 연장형성되어 접이선을 따라 접으면 다리(30A)로 형성되는 다리판(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 테이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개형태의 판에 형성되는 접이선은, 상판(10)과 전후 지지판(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1A)과, 지지판(20)의 중간에 형성되는 제2접이선(2A)과, 상판(10)과 좌우 다리판(30) 사이에 형성되는 제3접이선(3A)과, 다리판(30)의 중간으로부터 상판(1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4접이선(4A)과, 다리판(30)의 중간으로부터 상판(1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5접이선(5A)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 테이블. - 청구항 1, 3,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A)는, 지지판(20)을 제1접이선(1A)을 따라 상판(10)에 접촉되도록 접은 후, 제2접이선(2A)을 따라 상판(10)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접어서 지지대(20A)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30A)는, 다리판(30)을 제3접이선(3A)을 따라 지지대(20A)의 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접은 후, 제4접이선(4A)을 따라 지지대(20A)의 측면으로부터 상판(10)의 내측 방향으로 수평이 되게 접은 다음, 제5접이선(5A)을 따라 지지대(20A)의 끝단으로부터 상판(10)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접어서 지지판(20)의 끝단에 다리판(30)의 끝단을 끼움 삽입으로 결합고정시켜 다리(30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테이블.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의 끝단과 다리판(30)의 끝단은 절개홈(21,31)을 형성하여 끼움 삽입으로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테이블.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은 제1접이선(1A)으로부터 제2접이선(2A)까지 이어지는 접촉면(12A)과, 그 접촉면(12A)에 접촉되는 상판(10)에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테이블. - 청구항 1, 2, 3,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형태는, 제1접이선(1A)을 따라 상판(10)의 내측으로 전후의 지지판(20)을 펼친 상태로 접은 다음, 제3접이선(3A)을 따라 좌우의 다리판(30) 중 일측의 다리판(30)을 펼친 상태로 접은 후, 타측의 다리판(30)을 펼친 상태로 접어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테이블.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속은, 타측의 다리판(30) 끝단에 결속편(40)을 형성하고, 일측의 다리판(30)에는 접힘 형태가 되었을 때 타측의 다리판(30)이 도달하는 위치에 장공(41)을 형성하여서, 결속편(40)을 장공(41)에 끼움 삽입하여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테이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에 컵홀더(5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테이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개형태의 판은, 골판지형태의 종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테이블.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형태의 종이로 되는 전개형태의 판은 상판(10) 또는 상판(10) 측에 해당하는 판의 전면에 방수용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테이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3505A KR20160080714A (ko) | 2014-12-30 | 2014-12-30 | 접이식 간이 테이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3505A KR20160080714A (ko) | 2014-12-30 | 2014-12-30 | 접이식 간이 테이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0714A true KR20160080714A (ko) | 2016-07-08 |
Family
ID=5650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3505A KR20160080714A (ko) | 2014-12-30 | 2014-12-30 | 접이식 간이 테이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8071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1946A (ko) * | 2020-12-24 | 2022-07-01 | 박대희 |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
KR20240037562A (ko) * | 2022-09-15 | 2024-03-22 | 박종웅 | 조립식 평상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3634Y1 (ko) | 2001-11-17 | 2002-02-09 | 최재환 | 야외용 간이테이블 |
-
2014
- 2014-12-30 KR KR1020140193505A patent/KR20160080714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3634Y1 (ko) | 2001-11-17 | 2002-02-09 | 최재환 | 야외용 간이테이블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1946A (ko) * | 2020-12-24 | 2022-07-01 | 박대희 |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
KR20240037562A (ko) * | 2022-09-15 | 2024-03-22 | 박종웅 | 조립식 평상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554909S1 (en) | Folding table with two support legs | |
CN105407766B (zh) | 运输盒 | |
KR20150108070A (ko) | 접이식 수납박스 | |
KR20160080714A (ko) | 접이식 간이 테이블 | |
US20090211496A1 (en) | Portable entertainment system | |
US9345317B2 (en) | Foldable table with stacking arrangement | |
JP3178275U (ja) | 折畳み収納ボックス | |
KR200454884Y1 (ko) | 조립식 꽂이통 | |
KR200453030Y1 (ko) | 흥미를 유발하는 학습용 책 | |
CN205801788U (zh) | 便于保管和运输的包装盒 | |
CN102349756A (zh) | 由旧包装箱折叠成的凳子以及其折叠方法 | |
KR20150134856A (ko) | 캠핑용 평상 구조 | |
JPS6014298Y2 (ja) | デイスプレイ台 | |
JP7076832B2 (ja) | 焚き火台 | |
KR101843437B1 (ko) | 접이식 받침제기 | |
CN204654157U (zh) | 一种方便收纳瓦楞纸板书桌 | |
CN107242734B (zh) | 一种纸质茶饼展示架的制作工艺 | |
JP5918838B1 (ja) | 折り畳み式収納箱 | |
KR20090011888U (ko) | 무늬목 요구를 구성한 절첩식 식탁 | |
JP3130559U (ja) | 表示用スタンド | |
KR20130001655U (ko) | 변형 블럭매트 | |
JP3186664U (ja) | 包装用箱 | |
KR101791141B1 (ko) | 접이식 받침대 | |
JP3197552U (ja) | 支持脚付包装箱の蓋体及び当該包装箱 | |
JP3166847U (ja) | 多機能収納ケー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