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620A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620A
KR20160080620A KR1020140193171A KR20140193171A KR20160080620A KR 20160080620 A KR20160080620 A KR 20160080620A KR 1020140193171 A KR1020140193171 A KR 1020140193171A KR 20140193171 A KR20140193171 A KR 20140193171A KR 20160080620 A KR20160080620 A KR 20160080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sette
teller machine
automatic tell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석
이상현
장철원
김석
임건혁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3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0620A/ko
Publication of KR2016008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는,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상부에 제공되고 지폐가 입금되는 입금부 및 지폐가 출금되는 출금부를 포함하는 핸들링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하부에 제공되고 지폐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내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금고, 상기 금고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핸들링부와 상기 저장부 간의 지폐의 이송을 수행하는 제 1 이송부, 상기 도어의 외측에 제공되는 카세트 장착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된 카세트와 상기 핸들링부, 또는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된 카세트와 상기 제 1 이송부 간의 지폐의 이송을 수행하며 상기 핸들링부보다 하방 돌출되어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된 카세트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 2 이송부 및 상기 핸들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1 커버와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2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 및 상기 제 2 커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3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TELLER CASH RECYCLER}
본 발명은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또 은행 직원의 도움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이다.
근래에 와서는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고객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뿐 아니라, 금융기관 내부적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업무 종료 후 정산 작업 등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계원(teller)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도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는 계원의 책상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내부에 지폐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계원의 조작에 의해 입금 또는 출금이 이루어질 수 있고, 실시간으로 지폐의 계수가 가능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는 계원의 조작에 의해 지폐의 입출금이 이루어지는 핸들링부와, 지폐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되는 금고, 지폐의 이송을 위한 이송부, 금고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경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폐를 외부로 반출하거나, 외부에서 저장부로 지폐를 보충할 경우 등에 있어서 매번 도어를 조작하여 금고를 개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특히, 금고의 개방을 위해서는 은행관계자의 별도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폐의 회수 또는 보충 작업 시 매번 은행관계자의 승인을 얻는 절차가 요구되는 바, 운용 편의성 및 접근성이 저하되는 측면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3698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와 연결될 수 있는 카세트가 장착되는 카세트 장착부가 도어의 외측에 제공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는,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상부에 제공되고 지폐가 입금되는 입금부 및 지폐가 출금되는 출금부를 포함하는 핸들링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하부에 제공되고 지폐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내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금고, 상기 금고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핸들링부와 상기 저장부 간의 지폐의 이송을 수행하는 제 1 이송부, 상기 도어의 외측에 제공되는 카세트 장착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된 카세트와 상기 핸들링부, 또는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된 카세트와 상기 제 1 이송부 간의 지폐의 이송을 수행하며 상기 핸들링부보다 하방 돌출되어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된 카세트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 2 이송부 및 상기 핸들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1 커버와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2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 및 상기 제 2 커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3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커버는, 상기 제 3 커버의 상부를 중심으로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전후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 3 커버는 카세트에 의해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후방으로 밀려서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후방으로 회동하고,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서 탈착되는 경우 상기 제 3 커버는 상기 카세트에 의해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전방으로 밀려서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커버와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측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3 커버는 서로 연결되어 함께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커버의 폭은 상기 제 3 커버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 1 커버는 상기 제 3 커버의 좌우 측을 감싸며,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3 커버를 일거에 관통하며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커버의 상단은 상기 인터페이스의 하단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커버의 하단은 상기 도어의 상단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커버의 폭은 카세트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와 연결될 수 있는 카세트가 장착되는 카세트 장착부가 도어의 외측에 제공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전방 측 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전방 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X 방향은 전방 또는 도어의 외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X 방향은 후방을 의미할 수 있고, Y 방향은 상방을 의미할 수 있고, -Y 방향은 하방을 의미할 수 있으며, Z 방향 및 ? 방향은 폭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이하, 금융자동화기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핸들링부(2), 금고(6), 제 1 이송부(9), 제 2 이송부(12), 도어(8), 카세트 장착부(10)(이하, 장착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링부(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폐의 입금, 지폐의 출금, 지폐의 계수 등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폐는 입금부(3)를 통해 금융자동화기기(1) 내부로 입금될 수 있고, 출금부(4)를 통해 금융자동화기기(1)의 외부로 출금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핸들링부(2)가 지지부재(16)에 의해 금고(6) 위에서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만 도시하였으나, 핸들링부(2)는 금고(6)와 상대적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예를 들어, 가이드레일 및 롤러 구비)되어 금고(6)에 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돌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핸들링부(2)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금융자동화기기(1)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핸들링부(2)에는 입출금 이송부(5)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입출금 이송부(5)는 예를 들어 입금부(3) 및 출금부(4)와 후술할 제 1 이송부(9)를 연결할 수 있고, 입금부(3) 및 출금부(4)와 후술할 제 2 이송부(12)를 연결할 수 있다.
금고(6)는 지폐의 저장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저장된 지폐를 외부 접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금고(6)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7)가 구비될 수 있고, 지폐는 각 저장부(7)로 나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각 저장부(7)는 서로 다른 종류의 지폐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7)는 금고(6)의 내부의 공간 중 판형 부재에 의해 구획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또는 저장부(7)는 지폐의 출입이 가능한 별도의 카세트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7)는 핸들링부(2)와 마찬가지로 일거에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돌출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저장부(7)를 지지하는 카트가 금고(6)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카트가 금고(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저장부(7)와 함께 금고(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이송부(9)는 핸들링부(2)와 저장부(7) 간의 지폐의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이송부(9)는 다수의 롤러와 이송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 1 이송부(9)는 핸들링부(2)와 저장부(7)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위치에 대한 제한은 없다.
금고(6)의 전방에는 금고(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8)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8)의 외측에는 카세트(14)가 필요에 따라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10)가 제공될 수 있다.
제 2 이송부(12)는 장착부(10)에 장착된 카세트(14)와 핸들링부(2) 간의 지폐의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이송부(12)는 장착부(10)에 장착된 카세트(14)와 제 1 이송부(9) 간의 지폐의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이송부(12)는, 예를 들어, 핸들링부(2)의 전방 측에 제공될 수 있고, 핸들링부(2)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는 인터페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14)가 장착부(10)에 장착되었을 때 카세트(14), 예를 들어 카세트(14)의 상부는 상기 인터페이스(13)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제 2 이송부(12)와 카세트(14)가 서로 연결되어 지폐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장착부(10)에 장착되는 카세트(14)는 지폐의 보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저장부(5)에 특정 지폐를 보충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어(8)를 조작하여 금고(6)를 개방하지 않고도 카세트(14)에 상기 특정 지폐를 넣은 후 장착부(10)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지폐는 제 2 이송부(12) 및 제 1 이송부(9)를 거쳐 특정 저장부(7)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10)에 장착되는 카세트(14)는 지폐의 회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저장부(7)의 지폐를 회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카세트(14)를 장착부(10)에 장착한 후 상기 특정 저장부(7)의 지폐가 카세트(14)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구획부(7)의 지폐는 제 1 이송부(9) 및 제 2 이송부(12)를 거쳐 카세트(14)에 저장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로서는 도어(8)를 조작하여 금고(6)를 개방하지 않고도 지폐의 회수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핸들링부(2)에는 비정상지폐를 감별하는 지폐 감별장치(15)가 포함될 수 있는데, 지폐의 출금 시 일부 지폐가 비정상으로 판별된다면 이러한 비정상 지폐는 출금부(4)가 아닌 장착부(10)의 카세트(14)로 이송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로서는 도어(8)를 조작하여 금고(6)를 개방하지 않고도 비정상지폐를 쉽게 확인 및 회수할 수 있다(지폐 입금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또한, 장착부(10)에 장착된 카세트(14)는 입금부(3)를 통해 입금된 지폐의 일시보관고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카세트(14)에 일시보관된 지폐 중 일부는 저장부(7)로 이송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출금부(4)를 통해 반환될 수 있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1)의 전방에는 금융자동화기기(1)를 덮을 수 있는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금융자동화기기(1)를 덮는 커버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금융자동화기기(1)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없고, 금융자동화기기(1) 내부로부터의 소음을 차단할 수 없으며, 보안 상의 문제와 미관 상의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커버 부재, 즉 핸들링부(2)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상부 커버(19)와 금고(6)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하부 커버(20)로 금융자동화기기(1)를 전방을 덮는 것을 고려해보기로 한다. 참고로, 상기 커버(19, 20)는 금융자동화기기(1)의 일측,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외측 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고, 그 일부는 금융자동화기기(1)에 힌지 결합 등의 방식으로 체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부 커버(19)가 도 1의 오른쪽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핸들링부(2)의 외곽선 자체가 핸들링부(2)의 커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핸들링부(2)의 외곽선은 핸들링부(2)의 내부 구성들이라고 간주하고 별도의 커버가 더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의 ①은 핸들링부(2)의 하단의 연장선이고, ②는 금고(6)의 상단의 연장선이며, ③은 도어(8)의 상단의 연장선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상부 커버(19)와 하부 커버(20)의 경계를 도 1의 ⓐ와 같이 설정한다면, 즉 상부 커버(19)와 하부 커버(20)의 경계가 핸들링부(2)의 하단의 연장선(①)이라면, 사용자가 상부 커버(19)를 열고 핸들링부(2)를 전방으로 당길 때 인터페이스(13)와 하부 커버(20)의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만약 상부 커버(19)와 하부 커버(20)의 경계를 도 1의 ⓑ와 같이 설정한다면, 즉 상부 커버(19)와 하부 커버(20)의 경계가 금고(6)의 상단 연장선(②)이라면, 사용자가 상부 커버(19)를 열고 핸들링부(2)를 전방으로 당길 때 인터페이스(13)와 하부 커버(20)의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공차 문제 때문이다. 또한, 하부 커버(20)를 개방한 상태에서 금융자동화기기(1)의 전방으로부터 카세트(14)가 장착될 때 카세트(14)의 상단과 상부 커버(19)의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만약 상부 커버(19)와 하부 커버(20)의 경계를 도 1의 ⓒ와 같이 설정한다면, 즉 상부 커버(19)와 하부 커버(20)의 경계가 도어(8)의 상단 연장선(③)이라면, 카세트(14)가 장착될 때 카세트(14)의 상단과 상부 커버(19)의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결국, 2개의 커버 부재만으로 금융자동화기기(1)의 전방을 덮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렵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제안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의 전방 측 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를 전방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참고로, 도 2에서는 핸들링부(2)의 전단부는 간략하게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고, 카세트(14)가 장착되었을 때의 카세트(14)의 위치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도 3에서는 명확한 이해를 위해 제 2 커버(120)는 점선으로 표시하였고, 대신 카세트(14)를 도시하였다(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14)가 장착될 때에는 제 2 커버(120)는 개방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는 금융자동화기기(1)의 전방을 실질적으로 전부 덮을 수 있는 커버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모듈(100)은, 제 1 커버(110), 제 2 커버(120) 및 제 3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버(110)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어 핸들링부(2)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 2 커버(120)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어 도어(8)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 3 커버(130)는 상술한 제 1 커버(110)와 제 2 커버(12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금융자동화기기(1)의 전방이 실질적으로 커버모듈(100)에 의해 전부 덮일 수 있어서, 이물질 유입 문제, 소음 문제, 보안 문제, 미관 문제 등이 해결될 수 있다.
제 3 커버(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자동화기기(1)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커버(130)는 제 1 커버(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버(110)의 폭(d1)은 제 3 커버(130)의 폭(d2)보다 클 수 있고, 나아가 제 1 커버(110)는 제 3 커버(130)의 좌우 측을 감쌀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회전축(115)은 제 1 커버(110)와 제 3 커버(130)를 일거에 관통할 수 있고, 제 3 커버(130)는 제 3 커버(13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115)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회전축(115)의 양단은 금융자동화기기(1)의 일측,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외측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제 1 커버(110)와 제 3 커버(130)는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 1 커버(110) 또는 제 3 커버(130)를 열거나 닫으면 제 1 커버(110)와 제 3 커버(130)는 함께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로서는 핸들링부(2)를 전방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제 1 커버(110)와 제 3 커버(130)를 각각 개방할 필요 없이, 제 1 커버(110)와 제 3 커버(130)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면 충분할 수 있다.
카세트(14)가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로서는 카세트(14)의 장착을 위해 제 2 커버(120)를 개방한 뒤 카세트(14)를 금융자동화기기(1)의 전방 측으로 ?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카세트(14)가 이동함에 따라 카세트(14)의 상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커버(130)를 금융자동화기기(1)의 후방 측으로 밀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커버(130)는 금융자동화기기(1)의 후방 측, 즉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회동하면서 카세트(14)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카세트(14)는 지속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1) 측으로 이동하여 장착부(10)에 장착되면서 인터페이스(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커버(130)의 상단은 인터페이스(13)의 하단보다 높을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즉 제 3 커버(130)가 도 2에 도시된 것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여 제 3 커버(130)의 상단이 인터페이스(13)의 하단 이하라면 카세트(14)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터페이스(13)에 연결되지 못하고 인터페이스(13)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카세트(14)의 탈착 과정은 앞서 설명한 것의 역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세트(14)가 X 방향으로 이동하면 카세트(14)의 상단부는 제 3 커버(130)를 금융자동화기기(1)의 전방 측으로 밀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3 커버(130)는 금융자동화기기(1)의 전방 측, 즉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회동하면서 카세트(14)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14)가 제 3 커버(130)를 밀어 회동시키기 때문에,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서 제 3 커버(130)의 폭(d2)은 카세트(14)의 폭(d3)보다 클 수 있다.
잼(jam) 제거나 핸들링부(2) 내부 구성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핸들링부(2)를 전방 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 1 커버(110)를 개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커버(110)뿐만 아니라 제 3 커버(130) 역시 개방될 수 있다. 제 1 커버(110)와 제 3 커버(130)의 개방 후 사용자는 핸들링부(2)를 아무런 간섭 없이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장부(7)에 대한 특정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저장부(7)를 전방 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 2 커버(120)와 도어(8)를 차례로 개방한 후 아무런 간섭 없이 저장부(7)를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3 커버(130)의 하단은 도어(8)의 상단(③)보다 높을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도어(8)의 개방 시 도어(8)가 제 3 커버(130)에 의해 간섭되어 완전하게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커버모듈(100)에 의한다면, 금융자동화기기(1)의 전방을 실질적으로 전부 덮을 수 있고, 금융자동화기기(1)의 각 구성의 이동 또는 동작 시 각 구성 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2: 핸들링부
3: 입금부 4: 출금부
5: 입출금 이송부 6: 금고
7: 저장부 8: 도어
9: 제 1 이송부 10: 카세트 장착부
12: 제 2 이송부 13: 인터페이스
14: 카세트 15: 지폐 감별장치
16: 지지부재 100: 커버모듈
110: 제 1 커버 120: 제 2 커버
130: 제 3 커버

Claims (9)

  1.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로서,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상부에 제공되고, 지폐가 입금되는 입금부 및 지폐가 출금되는 출금부를 포함하는 핸들링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하부에 제공되고, 지폐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내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금고;
    상기 금고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핸들링부와 상기 저장부 간의 지폐의 이송을 수행하는 제 1 이송부;
    상기 도어의 외측에 제공되는 카세트 장착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된 카세트와 상기 핸들링부, 또는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된 카세트와 상기 제 1 이송부 간의 지폐의 이송을 수행하며, 상기 핸들링부보다 하방 돌출되어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된 카세트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 2 이송부; 및
    상기 핸들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1 커버와,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2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 및 상기 제 2 커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3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모듈을 포함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커버는, 상기 제 3 커버의 상부를 중심으로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전후로 회동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 3 커버는 카세트에 의해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후방으로 밀려서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후방으로 회동하고,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서 탈착되는 경우 상기 제 3 커버는 상기 카세트에 의해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전방으로 밀려서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전방으로 회동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커버와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측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3 커버는 서로 연결되어 함께 개폐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의 폭은 상기 제 3 커버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 1 커버는 상기 제 3 커버의 좌우 측을 감싸며,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3 커버를 일거에 관통하며, 상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커버의 상단은 상기 인터페이스의 하단보다 높은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커버의 하단은 상기 도어의 상단보다 높은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커버의 폭은 카세트의 폭보다 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20140193171A 2014-12-30 2014-12-30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160080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171A KR20160080620A (ko) 2014-12-30 2014-12-30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171A KR20160080620A (ko) 2014-12-30 2014-12-30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620A true KR20160080620A (ko) 2016-07-08

Family

ID=5650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171A KR20160080620A (ko) 2014-12-30 2014-12-30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06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7568A (zh) * 2016-08-04 2016-11-09 广州智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柜员机存取款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698A (ko) 2008-02-29 2009-09-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698A (ko) 2008-02-29 2009-09-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7568A (zh) * 2016-08-04 2016-11-09 广州智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柜员机存取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613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351172B1 (ko) 지폐입출금기
KR100424425B1 (ko) 지폐입출금기
JP6483281B2 (ja) 自動取引装置
JP5821588B2 (ja) 紙幣処理装置
JP2009288909A (ja) 紙幣入出金装置
EP3032506B1 (en) Teller cash recycler
KR102312908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제어방법
JP4366434B2 (ja) 自動取引装置
KR20160080620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2008171451A (ja) 紙幣入出金機
KR20160077908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2009199619A (ja) 自動取引装置
KR101628204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2006085736A (ja) 自動取引装置
JP5487278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6490330B2 (ja) 現金処理装置
KR101750394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제어방법
KR20130051724A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JP3799320B2 (ja) 紙幣カセット及び紙幣取扱装置
JP6492907B2 (ja) 媒体処理装置
KR101628206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2120967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JP5498516B2 (ja) 紙幣入出金機
EP3675070B1 (en) Medium storage apparatus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