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344A - 백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백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백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344A
KR20160080344A KR1020140191973A KR20140191973A KR20160080344A KR 20160080344 A KR20160080344 A KR 20160080344A KR 1020140191973 A KR1020140191973 A KR 1020140191973A KR 20140191973 A KR20140191973 A KR 20140191973A KR 20160080344 A KR20160080344 A KR 20160080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lay
molded article
glaz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953B1 (ko
Inventor
서광윤
Original Assignee
서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윤 filed Critical 서광윤
Priority to KR102014019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9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랜덤한 형태의 요철을 포함하는 백자(白磁)의 제조를 위한 유약 조성물로서, 도석 100 중량부, 석회석 10 내지 30 중량부, 장석 20 내지 40 중량부, 대리석 5 내지 15 중량부, 규석 1 내지 10 중량부; 및 물 3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백자용 유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은은한 파스텔 톤의 붉은 빛깔을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표면에 자연스럽고 투박한 미를 갖는 요철이 형성된 백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백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백자의 제조방법{GLAZE COMPOSITION FOR WHITHE PORCELA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HITHE PORCELAIN BY USING THE SAME}
본 기술은 요업 분야의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자기 제조 분야 특히 표면에 요철을 갖는 백자(白磁) 제조에 관한 기술이다.
백자는 고려 초기부터 청자와 함께 일부가 만들어졌으며, 그 수법은 계속 이어져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백자는 무늬를 표현하는 수법, 물감(안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백자는 사용되는 흙의 종류, 유약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백색의 연출이 가능하고, 물성 또한 전술한 흙이나 유약에 따라 이질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가마에서 열처리될 때의 온도 조건이나 초벌 및 재벌의 운용에 따라서도 백자의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한편, 기본적으로 백색의 빛깔을 나타내면서 별도의 안료 도색 작업이 아닌, 흙이나 유약의 특성에 의하여 백색 이외의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거나, 표면 특성을 다양화 하는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백자의 다양화를 위하여 도출된 발명으로서, 은은한 파스텔 톤의 적색 빛깔이 일부 표현되고, 표면에 자연스럽고 투박한 미를 갖는 요철이 형성된 백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미적 관점에서 자연스러우면서도 투박한 미를 갖는 백자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자용 유약 조성물은 표면에 랜덤한 형태의 요철을 포함하는 백자(白磁)의 제조를 위한 유약 조성물로서, 도석 100 중량부, 석회석 10 내지 30 중량부, 장석 20 내지 40 중량부, 대리석 5 내지 15 중량부, 규석 1 내지 10 중량부, 및 물 3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석은 출토지역이 서로 다른 복수종의 도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자의 제조방법은 점토와 백토를 각각 1 : 4~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원료흙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료흙을 성형하여 성형품을 준비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품을 900 내지 1000℃의 온도 하에서 열처리하는 초벌단계, 상기 초벌된 성형품의 표면에 제1항의 유약 조성물을 바른 후, 1050 내지 1150℃의 온도 하에서 1 내지 2회 반복적으로 열처리하는 1차 재벌 단계, 및 상기 1차 재벌된 성형품을 1240 내지 1300℃의 온도 하에서 2차 재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백토로서는 최초 출토된 백토를 초기 상태 그대로 유지한 미가공 백토를 사용한다.
상기 초벌단계를 마친 후 재벌단계 이전에, 일부의 유약 조성물을 우선 바른 후, 900 내지 1000℃ 하에서 2차 초벌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상기 성형단계는 도자기의 기본 형태를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 및 바닥부 및 장식부를 성형하는 2차 성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성형품의 표면을 조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벌단계 및 재벌단계 사이에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문양이나 그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원료흙의 조성 및 유약 조성에 의하면, 표면에 은은한 파스텔 톤의 적색이 부분적으로 표현될 수 있고, 표면에 투박한 미를 갖는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작업 중 성형품이 갈라지거나 주저 앉는 등의 내구성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백자의 완성품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자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내용은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하기 내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오직 후술할 청구범위에 의하여 고려될 수 있을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백자의 제조(S1000)를 위해서는 우선 성형작업을 위한 원료 흙을 준비하여야 한다(S100). 본 실시예에서 원료 흙으로서는 점토 성분의 흙으로서 화천에서 출토한 분청도석과 양구 및 광주에서 출토한 백토를 사용한다. 이처럼 백토의 경우 지역마다 입도가 상이하고 성분이 상이하므로,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역에서 출토된 복수의 백토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백토로서는 출토된 흙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미 가공 상태의 백토를 사용한다. 이는 큰 입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최초의 불규칙한 입도 분포를 그대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제조되는 백자의 표면에 투박한 요철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점토와 백토의 비율 중량기준으로 1: 4~6의 범위가 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점토와 백토의 비율은 1:4로 조절됨으로써 원료 흙이 준비된다(S100).
상기 점토 성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열처리되는 과정에서 백자 표면에 은은한 파스텔 톤의 적색을 부분적으로 발현하게 한다.
원료 흙이 준비되면, 반죽 후 성형 단계(S200)를 수행한다. 상기 성형단계는 우선 도자기의 기본틀(기본형태)을 물레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성형한다. 기본틀이 성형된 이후 약간의 건조과정을 거친다. 기본틀이 성형되면, 바닥부 형태, 장식부 등의 추가적인 성형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추가 성형이 완료되면 마찬가지로 약간의 건조과정을 거치침으로써 성형품이 준비될 수 있다. 이후,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적인 조각 공정을 통하여, 성형품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을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순서로 성형단계(S200)를 거쳐 준비된 성형품은 초벌단계(S300)를 거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약 조성물을 바르기 전의 초벌단계(S300)는 1회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와 다르게 동일한 과정의 초벌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초벌단계(S300)에서는 준비된 성형품을 가마에 배치하고, 900 내지 1000℃의 온도 하에서 대략 7 내지 10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초벌 온도로서, 바람직하게는 970 내지 990℃의 온도 조건이 유지된다. 가마 내의 배치, 온도의 변화 및 시간 등은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되, 최종 제품의 빛깔이나 표면 상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숙련된 경험에 의하여 의도한 최종 제품의 상태를 예측하여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초벌단계(S300)가 완료되면 초벌된 성형품의 표면에 그림이나 다양한 문양 등을 그려 넣을 수 있다. 즉, 표면에 인위적인 회화 기법을 표현할 수 있다.
이후, 초벌이 이루어진 성형품의 표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약 조성물을 바른다. 상기 유약 조성물을 모두 바른 후 후술할 재벌 단계(S500)를 거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정량의 유약 조성물 중 일부만을 우선 얇게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바르고 2차 초벌 단계(S400)를 거치도록 한다. 2차 초벌단계(S40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준비된 성형품을 가마에 배치하고, 900 내지 1000℃의 온도 하에서 대략 7 내지 10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유약을 시기적으로 분할하여 바름으로써 유약의 균일하고 안정적인 표면 흡수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유약 조성물은 도석 100 중량부, 석회석 10 내지 30 중량부, 장석 20 내지 40 중량부, 대리석 5 내지 15 중량부, 규석 1 내지 10 중량부, 및 물 3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석회석으로는 입자가 마이크로 수준의 크기를 갖는 미세 석회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규석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규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예를 들면 백규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되는 백자의 내구성은 원료 흙에 의하여 지배되기도 하나, 상기 대리석 등이 보조적으로 백자의 작업중 또는 완제품 상태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고온 환경에서 작업중 성형품이 주저 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2차 초벌단계(S400)가 완료되면, 나머지 유약 조성물을 모두 바른 후 재벌단계(S500, S600)를 수행한다. 상기 재벌단계는 온도 조건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재벌 단계를 포함한다. 1차 재벌 단계(S500)에서는 1050 내지 1150℃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지며 대략 15시간 내외 동안 이루어진다. 이러한 1차 재벌 단계는 경우에 따라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재벌 단계(S500)가 완료되면 보다 고온 환경인 1240 내지 1300℃의 온도 하에서 대략 15시간 내외 동안 열처리 되는 2차 재벌 단계(S600)를 거치게 된다. 2차 재벌 단계에서 백자의 백색 발현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재벌단계(S500, S600)를 거치면서, 점토의 붉은 성분이 랜덤하게 표면으로 표출될 수 있다.
한편, 최초 미가공 백토를 그대로 사용함에 따라서, 상기 초벌단계(S400) 및 재벌단계(S500, 600)를 거치면서 백토의 거칠기가 자연스럽게 백자 표면에 표현됨으로써, 표면에 투박한 요철을 갖는 백자가 제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백자의 완성품 사진들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표면에 불규칙하면서 투박한 요철이 랜덤하게 형성된 백자를 확인할 수 있다.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요철들은 투박함과 더불어 자연스러운 미를 극대화하고 있다.
한편, 도 4의 백자에서 극명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점토 성분의 은은한 표출로 인하여 표면에 파스텔 톤의 적색 부위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백자의 색다른 맛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가공 백토의 사용을 통하여, 양각의 요철 뿐만 아니라 마치 스크래치 형상의 음각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백자의 자연스러움이 한층 강화될 수 있다.

Claims (8)

  1. 표면에 랜덤한 형태의 요철을 포함하는 백자(白磁)의 제조를 위한 유약 조성물로서,
    도석 100 중량부;
    석회석 10 내지 30 중량부;
    장석 20 내지 40 중량부;
    대리석 5 내지 15 중량부;
    규석 1 내지 10 중량부; 및
    물 3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백자용 유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석은 출토지역이 서로 다른 복수종의 도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자용 유약 조성물.
  3. 점토와 백토를 각각 1 : 4~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원료흙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료흙을 성형하여 성형품을 준비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품을 900 내지 1000℃의 온도 하에서 열처리하는 초벌단계; 및
    상기 초벌된 성형품의 표면에 제1항의 유약 조성물을 바른 후, 1050 내지 1150℃의 온도 하에서 1 내지 2회 반복적으로 열처리하는 1차 재벌 단계; 및
    상기 1차 재벌된 성형품을 1240 내지 1300℃의 온도 하에서 2차 재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토는 최초 출토된 백토를 초기 상태 그대로 유지한 미가공 백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자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단계를 마친 후 재벌단계 이전에, 일부의 유약 조성물을 우선 바른 후, 900 내지 1000℃ 하에서 2차 초벌 단계를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자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는 도자기의 기본 형태를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 및 바닥부 및 장식부를 성형하는 2차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자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성형단계는 상기 성형품의 표면을 조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자의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단계 및 재벌단계 사이에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문양이나 그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백자의 제조방법.
KR1020140191973A 2014-12-29 2014-12-29 백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백자의 제조방법 KR101705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973A KR101705953B1 (ko) 2014-12-29 2014-12-29 백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백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973A KR101705953B1 (ko) 2014-12-29 2014-12-29 백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백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344A true KR20160080344A (ko) 2016-07-08
KR101705953B1 KR101705953B1 (ko) 2017-02-10

Family

ID=5650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973A KR101705953B1 (ko) 2014-12-29 2014-12-29 백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백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9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1201A (zh) * 2019-12-31 2020-04-10 湖南省醴陵市楚华陶瓷实业有限公司 一种仿皮纹釉料及仿皮纹釉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831A (ko) * 2000-08-04 2002-02-09 윤영애 도자기 표면에 돌기 무늬를 형성시키는 유약 및 그 유약을사용하여 제작된 도자기
KR20060013010A (ko) * 2004-08-05 2006-02-09 김선식 도자기 제조방법
KR101424594B1 (ko) * 2013-01-23 2014-08-01 신왕건 표피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831A (ko) * 2000-08-04 2002-02-09 윤영애 도자기 표면에 돌기 무늬를 형성시키는 유약 및 그 유약을사용하여 제작된 도자기
KR20060013010A (ko) * 2004-08-05 2006-02-09 김선식 도자기 제조방법
KR101424594B1 (ko) * 2013-01-23 2014-08-01 신왕건 표피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1201A (zh) * 2019-12-31 2020-04-10 湖南省醴陵市楚华陶瓷实业有限公司 一种仿皮纹釉料及仿皮纹釉的制备方法
CN110981201B (zh) * 2019-12-31 2022-05-03 湖南省醴陵市楚华陶瓷实业有限公司 一种仿皮纹釉料及仿皮纹釉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953B1 (ko) 2017-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718B1 (ko) 불투명 유약을 이용한 옻칠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N109231824A (zh) 一种黑金花釉陶瓷的制作方法
CN104876539B (zh) 一种原料含大球泥的瓷器烧制工艺
KR101588556B1 (ko) 황금 재 유약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CN102633488A (zh) 一种在紫砂、陶瓷制品上镶嵌贵金属及宝石的工艺
KR101727373B1 (ko) 진사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사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2372480B (zh) 一种建水紫陶饰品的制作方法
KR100908305B1 (ko) 결정유 도자기 제조방법
KR101705953B1 (ko) 백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백자의 제조방법
KR101204686B1 (ko)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KR101275216B1 (ko) 입체문양이 표현된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3011797B (zh) 一种高透光度陶瓷精细浮雕板画的制作工艺
KR102118630B1 (ko) 무궁화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 무궁화 도자기를 이용한 무궁화 공예품 제조방법
CN104310954B (zh) 免施釉仿白色系大理石花纹瓷器及其制作工艺
KR20130058240A (ko) 다양한 색상이 표출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KR101518118B1 (ko) 유색 문양을 갖는 유기제품 제조방법
CN100551653C (zh) 一种艺术瓷砖的制作工艺方法
KR101692879B1 (ko) 백회령유 도자기 제조방법
KR20020092500A (ko) 도자기의 입체무늬 형성용 입체부착부재의 조성물
KR200387526Y1 (ko)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CN101456757A (zh) 带有浅浮雕装饰的紫砂陶瓷制品及其制备方法
KR20120092959A (ko) 자연물 형태와 질감을 갖는 소형 도자조형물 제작방법
KR101818648B1 (ko) 표면에 삼베의 결이 구현된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CN111745806A (zh) 一种陶瓷产品干粒布料工艺
CN102615693A (zh) 一种立体瓷砖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