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967A -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 - Google Patents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967A
KR20160077967A KR1020140188545A KR20140188545A KR20160077967A KR 20160077967 A KR20160077967 A KR 20160077967A KR 1020140188545 A KR1020140188545 A KR 1020140188545A KR 20140188545 A KR20140188545 A KR 20140188545A KR 20160077967 A KR20160077967 A KR 20160077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coil
pressure roll
strip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946B1 (ko
Inventor
고세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8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9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Of Web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는, 스트립이 코일 형태로 감겨진 페이오프릴의 일측에 설치되어 감긴 상태의 상기 스트립에 접촉하여 상기 페이오프릴을 가압하며, 상기 페이오프릴로부터 풀려서 상기 페이오프릴의 일측에 설치되는 롤로 이동하는 상기 스트립의 이동경로가 연직방향과 기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동 가능한 프레셔롤;을 포함하며, 스트립 표면의 압연방향에 직각으로 나타나는 주름형태의 결함인 곱쇠결함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DEVIATION OF COIL BREAK IN HOT COIL}
본 발명은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 표면의 압연방향에 직각으로 나타나는 주름형태의 결함인 곱쇠결함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는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질 압연(SKIN PASS MILL) 공정은 스트립(STRIP)을 1~4% 압연하여 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설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은 페이 오프 릴(10)에서 프레셔 롤(20)을 통해서 작업롤(30)로 이송되어 조질 압연되고, 이후 텐션 릴(40)에 권취된다.
이때, 프레셔 롤(20)은 페이오프릴(10)에 장착된 코일의 언코일링시에 코일의 반경이 감소하더라도 코일에서 풀리는 스트립의 꺽임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코일의 길이 방향으로 곱쇠 결함 발생 정도에 편차가 발생하여 코일의 표면 품질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1216호(2014.07.01.)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질 압연 공정에서 코일의 언코일링시 나타나는 곱쇠결함(Coil Break)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는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는, 스트립이 코일 형태로 감겨진 페이오프릴의 일측에 설치되어 감긴 상태의 상기 스트립에 접촉하여 상기 페이오프릴을 가압하며, 상기 페이오프릴로부터 풀려서 상기 페이오프릴의 일측에 설치되는 롤로 이동하는 상기 스트립의 이동경로가 연직방향과 기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동 가능한 프레셔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는, 상기 프레셔롤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축회전 가능한 중심축; 일단부가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며, 상기 중심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연결프레임; 그리고 일측이 상기 연결프레임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프레셔롤이 장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는,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며, 상기 중심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회전구동부; 상기 이동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에 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선형구동부;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선형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코일의 반경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페이오프릴의 중심과 상기 프레셔롤의 중심을 이은 중심선이 상기 이동경로와 각도 θ[rad]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선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θ는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R은 상기 코일의 반경[m], r은 상기 프레셔롤의 반경[m])
상기 제어부는, 하기의 수학식2에 의해서 상기 페이오프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셔롤의 중심이 위치할 중심좌표(Xc, Yc)를 산출하되, 상기 프레셔롤의 중심이 상기 중심좌표(Xc, Yc)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선형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여기서, β는 상기 스트립의 이동경로가 연직방향과 이루는 각도[ra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방법은, 코일이 장착된 페이오프릴로부터 풀려서 상기 페이오프릴의 일측에 설치되는 롤로 이동하는 스트립의 이동경로가 연직방향과 기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트립에 접촉되는 프레셔롤을 이동하는 이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계는, 상기 페이오프릴의 중심과 상기 프레셔롤의 중심을 이은 중심선이 상기 이동경로와 각도 θ[rad]를 유지하도록 상기 프레셔롤을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θ는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4
(여기서, R은 상기 코일의 반경[m], r은 상기 프레셔롤의 반경[m])
상기 이동단계는, 상기 프레셔롤의 중심을 상기 페이오프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셔롤의 중심좌표(Xc, Yc)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좌표(Xc, Yc)는 하기의 수학식2에 의해서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여기서, β는 상기 스트립의 이동경로가 연직방향과 이루는 각도[rad])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일 표면의 압연방향에 직각으로 나타나는 주름형태의 결함인 곱쇠결함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코일 표면의 곱쇠 편차를 저감함으로써 코일의 표면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질 압연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가 조질 압연 공정에 사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6은 기존의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의 프레셔롤이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의 프레셔롤이 이동하는 경로는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곱쇠는 권취된 일반탄소강 열연코일을 냉간압연 또는 부품가공 등을 행하기 위해 코일을 풀거나 재권취할 때 압연 직각방향으로 판 표면이 미세하게 갈라지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스트레스 스트레인(stress-strain) 또는 코일 브레이크(coil break)라고 부르기도 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결함은 제품의 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키지는 않으나, 열연 이후의 냉연 등의 가공 공정 시에 압연 두께를 불균일하게 하거나, 강판의 표면 불량을 초래하는 등 각종 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외관이 중요한 각종 부품으로의 사용에 불편을 초래한다. 이러한 곱쇠의 발생 원인은 강의 인장시험 시 확인할 수 있는 항복점 연신 현상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가 조질 압연(SKIN PASS MILL) 공정에 사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트립(S)은 페이오프릴(10)에서 프레셔 롤(20)을 통해서 작업롤(30)로 이송되어 조질 압연된 후, 텐션 릴(40)에 권취된다. 이때, 프레셔 롤(20)은 페이오프릴(10)에 장착된 코일(C)의 언코일링(Uncoiling)시에 코일(C)의 반경이 감소하더라도 페이오프릴(10)에서 풀리는 스트립(S)의 꺽임 각도(α)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립(S)의 길이 방향으로 곱쇠 결함 발생 정도에 편차가 생겨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코일의 표면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1)는 스트립(S)의 길이 방향으로 곱쇠결함 정도에 편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셔롤(20), 중심축(60), 연결프레임(70), 이동프레임(80), 지지프레임(90), 회전구동부(100), 선형구동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셔롤(20)은 코일(C)이 장착된 페이오프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페이오프릴(10)에 감긴 상태의 스트립(S)의 상면에 접촉하여 페이오프릴(10)을 가압함으로써 스트립(S)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프레셔롤(20)은 스트립(S)과의 접촉에 의해서 스트립(S)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페이오프릴(10)오부터 풀린 스트립(S)은 핀치롤(5)로 이동되며, 핀치롤(5)에 의해서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핀치롤(5)은 페이오프릴(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서 스트립(S)의 이동을 돕는다.
프레셔롤(20)은 스트립(S)의 이동경로가 연직 방향과 기설정된 각도(β[rad])를 유지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프레셔롤(20)은 중심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페이오프릴(10)의 둘레를 따라 직선운동함으로써 스트립(S)의 이동경로가 연직 방향과 기설정된 각도(β[rad])를 유지할 수 있다.
중심축(60)은 페이오프릴(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축을 중심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70)은 일단부가 중심축(60)에 결합되며 타단부에 프레셔롤(20)이 연결된다. 즉, 중심축(60)의 회전으로 중심축(60)에 결합된 연결프레임(70)이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연결프레임(70)이 회전함으로써 프레셔롤(20)이 중심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동프레임(80)은 일측이 연결프레임(7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프레임(70)에 연결되며, 타측에는 프레셔롤(20)이 장착된다. 이동프레임(80)은 후술할 선형구동부(200)로부터 제공받는 구동력에 의해서 연결프레임(7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지지프레임(90)은 일측이 중심축(60)에 연결되며, 타측은 후술할 회전구동부(100)에 연결된다. 지지프레임(90)은 중심축(6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100)는 지지프레임(90)을 통해서 중심축(6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100)는 중심축(60)에 연결되며, 중심축(6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회전구동부(100)는 지지프레임(90)을 통해서 중심축(60)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회전구동부(100)는 실린더(110) 및 실린더로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로드(120)는 일단이 지지프레임(9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실린더(110)의 내부공간에 위치한다. 실린더로드(120)는 실린더(110)의 내부공간의 압력에 의해서 실린더(1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로드(120)는 직선운동에 의해서 지지프레임(90)과 중심축(6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선형구동부(200)는 이동프레임(80)에 연결되며, 이동프레임(80)이 연결프레임(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동프레임(7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선형구동부(200)는 실린더 또는 모터에 연결된 리드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회전구동부(100) 및 선형구동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전구동부(100) 및 선형구동부(200)를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스트립(S)이 페이오프릴(10)에서 풀림으로 인해 코일(C)의 반경이 감소함에 따라서 페이오프릴(10)의 중심과 프레셔롤(20)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이 스트립(S)의 이동경로와 후술할 각도 θ[rad]를 유지하도록 회전구동부(100) 및 선형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원리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기존의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의 프레셔롤이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의 프레셔롤이 이동하는 경로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존의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의 프레셔롤(20)은 중심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경로(K)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스트립(S)의 풀림으로 인해서 코일(C)의 반경이 감소하면, 페이오프릴(10)에서 풀린 스트립(S)이 페이오프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횡축(X축)과 이루는 각도α[rad]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립(S)의 인장-압축 응력의 편차가 발생하므로, 스트립(S)의 길이방향에 따라 곱쇠발생 정도에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직교좌표계를 이용하여 페이오프릴(10)의 중심의 중심좌표 O(0,0)와 프레셔롤(10)의 중심의 중심좌표 P(Xc, Yc)를 직선으로 연결한 중심선이 스트립(S)의 이동경로와 각도 θ[rad]를 이루도록 회전구동부(100) 및 선형구동부(20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서 각도 θ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7
(여기서, R은 코일(C)의 반경[m], r은 프레셔롤(20)의 반경[m])
제어부(300)는 페이오프릴(10)의 중심의 중심좌표 O(0,0)를 기준으로 프레셔롤(20)의 중심이 위치할 중심좌표(Xc, Yc)를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서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프레셔롤(20) 중심이 중심좌표(Xc, Yc)로 이동하도록 회전구동부(100) 및 선형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셔롤(20)의 중심이 중심좌표(Xc, Yc)에 위치하게 되면 각도 β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아래의 [수학식 3]에서와 같이, 직각 삼각형에서 각도 β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므로 각도 α도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여기서, R은 코일(C)의 반경[m], r은 프레셔롤(20)의 반경[m], β는 스트립(S)의 이동경로가 연직방향과 이루는 각도[rad])
[수학식 3]
Figure pat00010
(여기서, α는 페이오프릴(10)에서 풀린 스트립(S)이 수평방향(X축)과 이루는 각도[rad], β는 스트립(S)의 이동경로가 연직방향(Y축)과 이루는 각도[rad])
또한, 제어부(300)는 스트립(S)이 풀리고 남은 코일(C)의 반경을 아래의 [수학식 4]에 의해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페이오프릴(10)의 회전수(회전한 수)는 페이오프릴의 중심축에 연결된 구동모터(도시 안함)의 회전수(회전한 수)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4]
R = R₁- (T × N)
(여기서, R은 코일(C)의 현재 반경[m], R₁은 코일(C)의 초기반경[m], T는 코일(C)에서 풀리는 스트립(S)의 두께[m], N은 스트립(S)이 풀리는 동안 페이오프릴(10)이 회전한 수[turn])
또한, 제어부(300)는 코일(C)의 초기반경 R₁을 아래의 [수학식 5]에 의해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5]
π×(R₁²- Z²)×W×δ = M
(여기서, R₁은 코일(C)의 초기반경[m], Z은 페이오프릴(10)의 반경[m], W는 코일(C)의 폭[m], δ는 코일의 밀도[kg/㎥], M은 코일(C)의 초기 무게[kg])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스트립(S)이 코일(C)이 장착된 페이오프릴(10)로부터 풀려서 핀치롤(5)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프레셔롤(20)은 스트립(S)의 상면에 접하며 스트립(S)의 이동경로가 연직방향과 기설정된 각도(β[rad])를 유지하도록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코일(C)의 반경이 감소함에 따라서 페이오프릴(10)의 중심과 프레셔롤(20)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이 스트립(S)의 이동경로와 각도 θ[rad]를 유지하면서 스트립(S)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회전구동부(100) 및 선형구동부(200)를 구동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각도 θ[rad]를 위의 [수학식 1]에 의해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페이오프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프레셔롤(20)의 중심이 위치할 중심좌표 P(Xc, Yc)를 위의 [수학식 2]에 의해서 산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회전구동부(100) 및 선형구동부(200)를 구동하여, 프레셔롤(20)의 중심을 중심좌표(Xc, Yc)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셔롤(20)의 중심이 중심좌표(Xc, Yc)에 위치하게 되면 각도 β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아래의 [수학식 3]에서와 같이, 직각 삼각형에서 각도 β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므로 각도 α도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1)는 코일(C)의 언코일링(Uncoiling)시에 코일(C)의 반경이 감소하더라도 코일(C)에서 풀리는 스트립(S)의 꺽임 각도(α)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코일(C)의 길이 방향으로 곱쇠결함 발생 정도에 편차가 생겨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코일의 표면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5: 핀치롤
10: 페이오프릴 20: 프레셔롤
30: 작업롤 40:텐션릴
60: 중심축 70: 연결프레임
80: 이동프레임 90: 지지프레임
100: 회전구동부 110: 실린더
120: 실린더로드 200: 선형구동부
300: 제어부

Claims (7)

  1. 스트립이 코일 형태로 감겨진 페이오프릴의 일측에 설치되어 감긴 상태의 상기 스트립에 접촉하여 상기 페이오프릴을 가압하며, 상기 페이오프릴로부터 풀려서 상기 페이오프릴의 일측에 설치되는 롤로 이동하는 상기 스트립의 이동경로가 연직방향과 기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동 가능한 프레셔롤;을 포함하는,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는,
    상기 프레셔롤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축회전 가능한 중심축;
    일단부가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며, 상기 중심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연결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연결프레임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프레셔롤이 장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는,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며, 상기 중심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회전구동부;
    상기 이동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에 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선형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선형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코일의 반경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페이오프릴의 중심과 상기 프레셔롤의 중심을 이은 중심선이 상기 이동경로와 각도 θ[rad]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선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θ는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서 결정되는,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수학식 1]
    Figure pat00011

    (여기서, R은 상기 코일의 반경[m], r은 상기 프레셔롤의 반경[m])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기의 수학식2에 의해서 상기 페이오프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셔롤의 중심이 위치할 중심좌표(Xc, Yc)를 산출하되, 상기 프레셔롤의 중심이 상기 중심좌표(Xc, Yc)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선형구동부를 제어하는,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수학식 2]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여기서, β는 상기 스트립의 이동경로가 연직방향과 이루는 각도[rad])
  5. 코일이 장착된 페이오프릴로부터 풀려서 상기 페이오프릴의 일측에 설치되는 롤로 이동하는 스트립의 이동경로가 연직방향과 기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트립에 접촉되는 프레셔롤을 이동하는 이동단계;를 포함하는,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는,
    상기 페이오프릴의 중심과 상기 프레셔롤의 중심을 이은 중심선이 상기 이동경로와 각도 θ[rad]를 유지하도록 상기 프레셔롤을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θ는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서 결정되는,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14

    (여기서, R은 상기 코일의 반경[m], r은 상기 프레셔롤의 반경[m])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는,
    상기 프레셔롤의 중심을 상기 페이오프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셔롤의 중심좌표(Xc, Yc)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좌표(Xc, Yc)는 하기의 수학식2에 의해서 산출되는,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방법.
    [수학식 2]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여기서, β는 상기 스트립의 이동경로가 연직방향과 이루는 각도[rad])
KR1020140188545A 2014-12-24 2014-12-24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 KR101673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545A KR101673946B1 (ko) 2014-12-24 2014-12-24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545A KR101673946B1 (ko) 2014-12-24 2014-12-24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967A true KR20160077967A (ko) 2016-07-04
KR101673946B1 KR101673946B1 (ko) 2016-11-08

Family

ID=5650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545A KR101673946B1 (ko) 2014-12-24 2014-12-24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9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027Y1 (ko) * 1999-11-18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일 풀림시의 곱쇠 결함방지장치
KR100902829B1 (ko) * 2002-12-23 2009-06-12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내부흠 제거장치
KR20140081216A (ko)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포스코 스킨패스 밀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027Y1 (ko) * 1999-11-18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일 풀림시의 곱쇠 결함방지장치
KR100902829B1 (ko) * 2002-12-23 2009-06-12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내부흠 제거장치
KR20140081216A (ko)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포스코 스킨패스 밀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946B1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54324C (zh) 带有平坦度测量辊的薄带材卷取机
US10022760B2 (en) Cut-to-length steel coil processing line with stretcher leveler and temper mill
RU2403112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матывания горячекатаной ленты
JP2011088204A (ja) マグネシウム合金薄板熱間圧延装置
KR101673946B1 (ko) 코일의 곱쇠 편차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
CA2986646C (en) Method for stepped rolling of a metal strip
JP5561596B2 (ja) 被圧延材の張力調整装置及び張力調整方法
KR102215843B1 (ko) 강판 코일 외경모서리 보호재 제조장치
KR101984372B1 (ko) 평탄화가 가능한 리코일러 장치
JPH05304747A (ja) 帯状線材の連続巻線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940870B1 (ko) 스트립 권취 장치
JP2016097479A (ja) 切断装置
EP2134481B1 (en) Dual pivot ironing roll
US3368378A (en) Prebending device for thick strip
KR20140081216A (ko) 스킨패스 밀 유닛
KR101316158B1 (ko) 권취기
JP7302294B2 (ja) ブライドルロール、冷間圧延装置、及び冷間圧延方法
KR101373137B1 (ko) 강판의 엔드마크 방지용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강판 권취장치
JP2011143423A (ja) 鋼線コイルの湾曲矯正作業台
US32188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velling steel strip disposed in a vertical plane
KR102020442B1 (ko) 코일링 장치
US9669441B2 (en) Segmented breaker roll apparatus and method
KR101623264B1 (ko)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KR20110034472A (ko) 강판의 조질 압연 방법과 조질 압연 장치
KR101498893B1 (ko) 핀치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