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765A -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765A
KR20160077765A KR1020140188079A KR20140188079A KR20160077765A KR 20160077765 A KR20160077765 A KR 20160077765A KR 1020140188079 A KR1020140188079 A KR 1020140188079A KR 20140188079 A KR20140188079 A KR 20140188079A KR 20160077765 A KR20160077765 A KR 20160077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leads
cartridge assembly
secondary battery
sen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7237B1 (ko
Inventor
이범현
채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8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237B1/ko
Priority to US15/533,855 priority patent/US10629881B2/en
Priority to CN201580070618.8A priority patent/CN107112485B/zh
Priority to PCT/KR2015/014282 priority patent/WO2016105169A1/ko
Priority to JP2017530003A priority patent/JP6440002B2/ja
Priority to EP15873696.7A priority patent/EP3220449A4/en
Publication of KR2016007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32Bond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23K26/323Bond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involving parts made of dissimilar metall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0Aluminium or alloy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2Copper or alloy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8Dissimilar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이웃하는 셀의 리드들이 겹쳐지는 다수의 리드 중첩부들이 카트리지 측벽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위치되고, 각각의 셀을 수납하면서 적층된 다수의 카트리지들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및 각각의 리드 중첩부에 상응하게 위치되어 용접될 수 있는 다수의 버스 바들이 마련되고 카트리지 조립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는 센싱 하우징을 구비하고; 각각의 리드 중첩부를 구성하는 셀의 제1 리드는 제1 리드와 반대되는 극성의 제2 리드보다 미리 결정된 폭 보다 짧게 구성되고, 카트리지 조립체에 센싱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버스 바는 제1 리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상에서 제2 리드에 접촉되어 제2 리드와 버스 바가 용접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Method for welding of electrode-leads & secondary battery module utilizing thereof}
본 발명은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튬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와 버스 바의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종래 이차전지로서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수소이온 전지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온 전지 및 리튬 폴리머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로서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리튬 복합 산화물 등을 사용하는 중량 대비 높은 출력과 용량의 리튬 이차전지가 크게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세퍼레이터/음극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질과 함께 밀폐된 용기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며,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을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 LIB), 리튬 폴리머 전지(Polymer Lithium Ion Battery, PLIB) 등으로 나누어진다. 통상, 이들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시트(sheet), 메시(mesh), 필름(film), 호일(foil) 등의 집전체에 양극 또는 음극 활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차전지 모듈은 각각의 카트리지에 수납된 셀들의 직렬 또는 병렬 구성 방법은 각각의 셀 리드 사이를 용접, 볼팅, 리벳팅 방법을 이용하여 패스를 구성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 모듈에서 각각의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구성할 때 알루미늄 재질을 가진 양극 리드와 구리 재질을 가진 음극 리드, 및 센싱을 위해 배치되는 구리 재질의 버스바와 같은 3개의 부재들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이차전지 모듈들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모듈을 구성하는 카트리지 및 센싱을 위한 버스바의 구조 및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효율적인 접속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센싱 구조물의 용접 품질이 저하되고 이차전지 모듈의 불필요한 공간을 용접 등의 작업을 위해 마련해야 하므로, 최종적으로 이차전지 모듈의 에너지 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장치 또는 전력 저장 장치에 사용되는 이차전지 모듈은 에너지 효율 또는 밀도를 높이기 위해 이차전지 모듈을 최대한 컴팩트하게 구성하는데 기술개발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한편, 일반적인 이차전지 모듈의 구성에 있어서, 셀의 전극 리드들(Al)(Cu)와 버스 바(Cu)의 용접(특히, 레이저 용접)은 소재별 용융점의 차이로 인하여 알루미늄 리드-구리 리드-버스 바의 순서로 모재를 배치한 후 셀 리드 쪽으로부터 레이저를 조사하여 용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순서로 용접을 하게 되면, 셀 리드들이 먼저 레이저에 의해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착상된 것으로서, 이차전지 모듈의 인접하는 셀들의 상응하는 전극 리드들이 접촉되어 중첩되는 경우 버스 바와 재질이 다른 리드를 일부 잘라내고 그 자리에 버스 바를 위치시켜 버스 바와 재질의 리드에 용접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은, 이웃하는 셀의 리드들이 겹쳐지는 다수의 리드 중첩부들이 카트리지 측벽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위치되고, 각각의 셀을 수납하면서 적층된 다수의 카트리지들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및 각각의 리드 중첩부에 상응하게 위치되어 용접될 수 있는 다수의 버스 바들이 마련되고 카트리지 조립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는 센싱 하우징을 구비하고; 각각의 리드 중첩부를 구성하는 셀의 제1 리드는 제1 리드와 반대되는 극성의 제2 리드보다 미리 결정된 폭 보다 짧게 구성되고, 카트리지 조립체에 센싱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버스 바는 제1 리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상에서 제2 리드에 접촉되어 제2 리드와 버스 바가 용접된다.
바람직하게, 이차전지 모듈은 용접 작업시 셀을 보호하기 위해 각각의 카트리지의 측면에 마련된 격벽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셀의 리드는 상응하는 카트리지에 수납된 상태에서 리드 절연부로부터 대략 1mm 지점에서 직각으로 굴곡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접은 레이저 용접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이저의 방향은 센싱 하우징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바람직하게, 버스 바와 제2 리드는 구리로 제작되고, 제1 리드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 센싱 하우징은 버스 바에 의해 감지되는 각각의 셀의 전압 및/또는 온도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BMS 회로 기판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센싱 하우징은 카트리지 조립체에 스냅 또는 후크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센싱 하우징에 결합되는 센싱 커버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센싱 커버는 센싱 하우징에 스냅 또는 후크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카트리지 조립체의 이웃하는 2개의 카트리지들은 서로 후크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카트리지 조립체는 양단의 카트리지들에 각각 후크 결합되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를 더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의 용접 방법은, (a) 제1 리드의 폭이 제2 리드의 폭 보다 더 짧게 형성된 서로 반대되는 극성의 리드들이 반대 방향으로 굴곡된 다수의 셀들을 준비하는 단계; (b) 이웃하는 셀의 반대되는 극성의 리드들이 겹쳐지는 리드 중첩부들이 카트리지 측면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위치되도록 각각의 셀이 수납된 다수의 카트리지들을 적층시켜 카트리지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c) 대응되는 버스 바가 제1 리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상에서 제2 리드에 접촉되도록, 각각의 리드 중첩부에 상응하는 다수의 버스 바들이 설치된 센싱 하우징을 카트리지 조립체의 측면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d) 각각의 리드 중첩부의 제2 리드와 버스 바를 용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제1 리드와 제2 리드가 놓여지는 각각의 측면에 격벽이 마련된 카트리지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응하는 카트리지에 수납된 상태에서 셀의 리드 절연부로부터 각각의 리드가 대략 1mm 지점에서 직각으로 굴곡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레이저 용접기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 레이저 용접기의 레이저 주사 방향은 센싱 하우징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바람직하게, 버스 바와 제2 리드는 구리로 제작되고, 제1 리드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들이 결합된 이차전지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단자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셀의 리드의 벤딩 길이를 최소로 구성하고, 버스 바가 부착된 구조물을 카트리지 조립체의 측면에 조립시키는 과정에서 버스 바와 동일한 재질의 셀의 리드를 용접시키는 방식 즉, 동종재 용접에 의해 센싱 구조물의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모듈 구성에서 있어서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시켜 모듈을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버스 바와 동일한 재질의 알루미늄 리드를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리드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넷째, 셀 리드들과 버스 바 사이의 용접 모재의 순서에 있어서, 용접 주사 방향에 대해 버스 바가 먼저 주사되는 방식을 적용하여 리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에 사용될 수 있는 센싱 하우징 부위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에 사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 조립체 부위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셀의 리드의 굴곡 부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조립 과정에서 센싱 하우징의 버스 바와 각각의 셀 리드 사이의 용접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의 이차전지 모듈에서 각각의 셀의 제1 리드는 적색으로 도시되고, 제2 리드는 청색으로 도시되고, 센싱 하우징의 각각의 버스 바는 황색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100)은 각각의 셀(2)을 수납하는 다수의 카트리지들(10)이 적층된 카트리지 조립체(20), 및 카트리지 조립체(20)의 측면에 예들 들어, 원터치 형태 또는 스냅핏(snap-fit), 후크 형태로 결합되는 센싱 하우징(30)을 구비한다.
카트리지 조립체(20)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고 셀(2)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다수의 카트리지들(10)이 적층된 것으로서, 각각의 카트리지(10)는 서로 스냅-핏 또는 후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조립체(20)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들(2)의 반대 극성을 가진 리드들(12)(14) 예를 들어, 제1 극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제1 리드(12)와 제1 극성에 반대되는 제2 극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구리로 제조되는 제2 리드(14)가 겹쳐지는 다수의 리드 중첩부들(16)이 각각의 카트리지(10)의 측벽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위치된다.
또한, 카트리지 조립체(20)는 양단의 카트리지들(10)에 예를 들어, 후크 결합되는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3)를 구비한다.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3)는 각각 카트리지 조립체(20)의 개별 카트리지(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사출 성형된다.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3)는 양단의 카트리지(10)에 수납된 셀(2)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차전지 모듈(100)의 외형을 마무리하여 둘러싸는 기능과 구조를 가지는 것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에 사용될 수 있는 센싱 하우징 부위의 발췌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에 사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 조립체 부위의 발췌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센싱 하우징(30)은 각각의 리드 중첩부(16)에 상응하는 다수의 버스 바들(32)이 마련된다. 각각의 버스 바(32)는 예를 들어, 구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싱 하우징(30)은 대략 직사각 형태로 예를 들어, 절연성 플라스틱에 의해 사출 성형될 수 있고, 각각의 버스 바(32)를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 구멍들(35)이 소정 패턴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센싱 하우징(3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응하는 버스 바(32)에 의해 감지되는 각각의 셀(2)의 전압 및/또는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서 해당하는 셀(2)을 밸런싱하고 모듈의 다른 제어부(미도시)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BMS 회로 기판(34)이 설치된다. BMS 회로 기판(34)은 각각의 버스 바(3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리드와 제2 리드(14)는 각각의 셀(2)의 사이드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 및 굴곡되고 소정의 폭을 각각 가진다. 각각의 셀(2)의 제1 리드(12)는 도면의 상방으로 90도 각도 굴곡되고, 제2 리드(14)는 도면의 하방으로 90도 굴곡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드(12)의 폭(W1)은 제2 리드(14)의 폭(W2)보다 짧으며, 따라서, 제1 리드(12)의 폭(W1)과 후술하는 버스 바(32)의 길이(Lb)의 합은 제2 리드(14)의 폭(W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참조부호 36은 다수의 모듈들(100)이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BMS 회로 기판(34)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한 쌍의 데이타 통신 포트들이고, 참조부호 38은 이차전지 모듈(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미도시)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온도 데이터 포트이다. 참조부호 31은 완성된 이차전지 모듈(100)의 양극 터미널 단자와 음극 터미널 단자를 각각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리드 중첩부(16)를 구성하는 셀(2)의 제1 리드(12)는 제1 리드(12)와 반대되는 극성의 제2 리드(14)보다 미리 결정된 폭 보다 짧게 구성되고, 카트리지 조립체(20)에 센싱 하우징(30)이 결합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각각의 버스 바(32)는 제1 리드(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상에서 제2 리드(14)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 리드(14)와 버스 바(32)는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리드(12), 제2 리드(14), 및 상응하는 버스 바(32)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셀의 리드의 굴곡 부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조립 과정에서 센싱 하우징의 버스 바와 각각의 셀 리드 사이의 용접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리드 중첩부(16)에 이웃하는 셀들(2)의 제1 리드(12)와 제2 리드(14)가 접촉되어 중첩된 상태의 카트리지 조립체(20)의 측면에 센싱 하우징(30)이 결합되어 이차전지 모듈(100)을 구성하게 되면, 모듈(100)의 외측 즉, 레이저 용접이 수행되는 방향으로부터 카트리지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버스 바(32), 제1 리드(12) 및 제2 리드(14)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모재들의 배치 상태에서 리드들(12)(14) 사이, 및 버스 바(32)와 리드들(12)(14) 사이를 용접할 때 특히, 센싱 하우징(3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레이저를 주사할 때, 카트리지 조립체(20)의 각각의 카트리지(10)에 수납된 셀(2)을 보호하기 위해 각각의 카트리지(10)는 측면에 마련된 격벽(18)을 구비한다. 이러한 격벽(18)은 레이저 장치(미도시)에 의해 주사되는 레이저(미도시)가 셀(2)에 직접적으로 주사되는 것을 막기 위한 차단벽 기능을 가지는 것을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전지 모듈을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 각각의 셀(2)의 리드(12)(14)는 상응하는 카트리지에 수납된 상태에서 리드 절연부(15)로부터 대략 0.8 내지 1.2 mm 지점에서 직각으로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최종 조립전 분리 사시도인 도 8과 최종 결합 사시도인 도 9를 각각 참조하면, 센싱 하우징(30)이 카트리지 조립체(20)에 결합된 상태에서, BMS 회로 기판(34)과 버스 바(32)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센싱 하우징(30)에 센싱 커버(4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센싱 커버(40)는 센싱 하우징(30)에 스냅 또는 후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의 용접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리드(12)의 폭(W1)이 제2 리드(14)의 폭(W2) 보다 더 짧게 형성(예, 각각의 버스 바(32)의 길이(Lb)만큼 짧게 형성)되고, 서로 반대되는 극성의 리드들(12)(14)이 반대 방향으로 굴곡된 다수의 셀들(2)을 준비한다. 여기서, 제1 리드(12)의 폭(W1)은 처음부터 제2 리드(14)의 폭(W2) 보다 더 짧게 셀(2)을 제조할 수도 있고, 제1 리드(12)와 제2 리드(14)의 폭이 동일하도록 셀(2)을 제조한 후 각각의 셀(2)에서 제1 리드(12)의 폭(W1)을 일정한 길이만큼 절단하게 그 폭(W1)을 짧게 구성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또한, 셀(2)이 각각 상응하는 카트리지(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셀의 리드(12)(14)는 리드 절연부(15)로부터 대략 0.8 내지 1.2mm 바람직하게, 1mm 지점에서 직각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 시킬 수 있다.
이어서, 이웃하는 셀들(2)의 반대되 극성의 리드들(12)(14)이 서로 겹쳐져서 리드 중첩부들(16)이 카트리지(10)의 측벽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위치되도록 각각의 셀(2)이 수납된 다수의 카트리지들(10)을 적층시켜 카트리지 조립체(20)를 형성한다. 카트리지 조립체(20)를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카트리지(10)는 셀(2)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마련되고 이웃하는 한 쌍의 카트리지(10)는 서로 스냅-핏 또는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와 슬롯이 형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카트리지 조립체(20)의 양면에서는 각각 셀(2)을 수납 및 보호할 수 있는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3)가 예를 들어, 스냅-핏 또는 후크 결합된다. 또한, 제1 리드(12)와 제2 리드(14)가 놓여지는 카트리지(10)는 각각의 측면에 격벽(18)이 마련된 카트리지를 이용함으로써, 후술하는 레이저 용접 작업시 레이저로부터 셀(2)을 보호한다.
다음, 대응되는 버스 바(32)가 제1 리드(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상에서 제2 리드(14)에 접촉되도록, 각각의 리드 중첩부(16)에 상응하는 다수의 버스 바들(32)이 설치된 센싱 하우징(30)을 카트리지 조립체(20)의 측면에 후크 또는 스냅-핏 형태로 결합시킨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버스 바들(32)은 센싱 하우징(30)에 소정 패턴으로 미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리드(12)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고, 제2 리드(14)와 버스 바(32)는 구리로 제작된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리드 중첩부(16)의 제2 리드(14)와 버스 바(32)를 용접시킨다. 이 단계는 다수의 용접 포인트를 가진 용접 시스템을 사용할 수도 있고, 개별 레이저 용접기를 이용하여 포인트 용접을 수회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리드(12)와 제2 리드(14) 사이는 별도의 레이저 용접기 또는 용접 포인트를 이용하는 것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또한, 레이저 용접기는 센싱 하우징(3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레이저를 주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들(100)은 서로 직/병렬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케이스에 수납되어 예를 들어, 가정용 광기전(PV) 태양 에너지 패널을 위한 전력저장장치를 위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셀 10...카트리지
11...상부 커버 12...제1 리드
13...하부 커버 14...제2 리드
15...리드 절연부 16...리드 중첩부
18...격벽 20...카트리지 조립체
30...센싱 하우징 31...터미널 단자
32...버스 바 34...BMS 회로 기판
35...수납 구멍 38...온도 데이터 포트
40...센싱 커버

Claims (20)

  1. 이웃하는 셀의 리드들이 겹쳐지는 다수의 리드 중첩부들이 카트리지 측벽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위치되고, 각각의 셀을 수납하면서 적층된 다수의 카트리지들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및
    각각의 리드 중첩부에 상응하게 위치되어 용접될 수 있는 다수의 버스 바들이 마련되고 카트리지 조립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는 센싱 하우징을 구비하고;
    각각의 리드 중첩부를 구성하는 셀의 제1 리드는 제1 리드와 반대되는 극성의 제2 리드보다 미리 결정된 폭 보다 짧게 구성되고, 카트리지 조립체에 센싱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버스 바는 제1 리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상에서 제2 리드에 접촉되어 제2 리드와 버스 바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용접 작업시 셀을 보호하기 위해 각각의 카트리지의 측면에 마련된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셀의 리드는 상응하는 카트리지에 수납된 상태에서 리드 절연부로부터 대략 1mm 지점에서 직각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레이저 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의 방향은 센싱 하우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버스 바와 제2 리드는 구리로 제작되고, 제1 리드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센싱 하우징은 버스 바에 의해 감지되는 각각의 셀의 전압 및/또는 온도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BMS 회로 기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센싱 하우징은 카트리지 조립체에 스냅 또는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9. 청구항 7에 있어서,
    센싱 하우징에 결합되는 센싱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센싱 커버는 센싱 하우징에 스냅 또는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카트리지 조립체의 이웃하는 2개의 카트리지들은 서로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카트리지 조립체는 양단의 카트리지에 각각 후크 결합되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13. (a) 제1 리드의 폭이 제2 리드의 폭 보다 더 짧게 형성된 서로 반대되는 극성의 리드들이 반대 방향으로 굴곡된 다수의 셀들을 준비하는 단계;
    (b) 이웃하는 셀의 반대되는 극성의 리드들이 겹쳐지는 리드 중첩부들이 카트리지 측벽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위치되도록 각각의 셀이 수납된 다수의 카트리지들을 적층시켜 카트리지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c) 대응되는 버스 바가 제1 리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상에서 제2 리드에 접촉되도록, 각각의 리드 중첩부에 상응하는 다수의 버스 바들이 설치된 센싱 하우징을 카트리지 조립체의 측면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d) 각각의 리드 중첩부의 제2 리드와 버스 바를 용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제1 리드와 제2 리드가 놓여지는 각각의 측면에 격벽이 마련된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응하는 카트리지에 수납된 상태에서 셀의 리드 절연부로부터 각각의 리드가 대략 1mm 지점에서 직각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레이저 용접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레이저 용접기의 레이저 주사 방향은 센싱 하우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버스 바와 제2 리드는 구리로 제작되고, 제1 리드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19.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20. 청구항 19의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KR1020140188079A 2014-12-24 2014-12-24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KR101817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079A KR101817237B1 (ko) 2014-12-24 2014-12-24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US15/533,855 US10629881B2 (en) 2014-12-24 2015-12-24 Method for welding electrode leads of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compact secondary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CN201580070618.8A CN107112485B (zh) 2014-12-24 2015-12-24 焊接二次电池模块的电极引线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紧凑二次电池模块
PCT/KR2015/014282 WO2016105169A1 (ko) 2014-12-24 2015-12-24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JP2017530003A JP6440002B2 (ja) 2014-12-24 2015-12-24 二次電池モジュールの電極リード溶接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パクトな二次電池モジュール
EP15873696.7A EP3220449A4 (en) 2014-12-24 2015-12-24 Method for welding electrode leads of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compact secondary battery module for which the method has been us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079A KR101817237B1 (ko) 2014-12-24 2014-12-24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765A true KR20160077765A (ko) 2016-07-04
KR101817237B1 KR101817237B1 (ko) 2018-01-11

Family

ID=5615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079A KR101817237B1 (ko) 2014-12-24 2014-12-24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29881B2 (ko)
EP (1) EP3220449A4 (ko)
JP (1) JP6440002B2 (ko)
KR (1) KR101817237B1 (ko)
CN (1) CN107112485B (ko)
WO (1) WO2016105169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088A1 (ja) * 2016-11-07 2018-05-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ペーサ、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KR20180069211A (ko) * 2016-12-14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WO2020004780A1 (ko) * 2018-06-29 2020-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를 버스바에 밀착시키는 자동 가압 지그 장치
WO2021221284A1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11228061B2 (en) 2017-08-10 2022-01-18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WO2022019549A1 (ko) * 2020-07-22 2022-01-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리드와 전압 센싱부재 간의 연결을 단순화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1413712B2 (en) 2017-09-11 2022-08-16 Lg Energy Solution, Ltd. Laser welding jig and laser welding device comprising same
WO2022182136A1 (ko) * 2021-02-23 2022-09-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830974B2 (en) 2017-11-16 2023-11-28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sensing assembly and bus bar assembly
US11967735B2 (en) 2018-12-06 2024-04-23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5437B2 (ja) * 2015-06-24 2018-08-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
US11088410B2 (en) * 2016-12-23 2021-08-10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module
KR102209769B1 (ko) 2017-06-07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JP6479924B1 (ja) * 2017-10-03 2019-03-0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組電池の製造方法及び組電池
JP6472858B1 (ja) * 2017-10-03 2019-02-2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組電池
CN108461802A (zh) * 2018-04-09 2018-08-28 江西恒动新能源有限公司 一种储能模块电芯的摆置结构及摆置方法
KR102258177B1 (ko) * 2018-09-20 2021-05-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09175679A (zh) * 2018-10-29 2019-01-11 武汉逸飞激光智能装备有限公司 焊接系统
CN210129547U (zh) * 2019-06-17 2020-03-06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组件及电化学装置
CN117219971A (zh) * 2019-06-17 2023-12-12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池组件及电化学装置
CN110828598B (zh) * 2019-10-30 2024-03-08 江苏朗道新能源有限公司 一种半片叠瓦组件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458B1 (ko) * 2004-12-24 2008-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 카트리지와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개방형 전지 모듈
KR101136800B1 (ko) 2008-02-29 2012-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의 제조방법 및 중대형 전지팩
CN102379058B (zh) * 2009-04-01 2014-06-18 株式会社Lg化学 电压感测部件和采用该电压感测部件的电池模块
KR101298872B1 (ko) * 2011-12-28 2013-08-21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KR101459400B1 (ko) * 2012-03-26 2014-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1924193B1 (ko) * 2012-06-20 2018-12-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용접 방법 및 용접구조
KR20140056836A (ko) 2012-11-01 2014-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6107442B2 (ja) 2013-06-06 2017-04-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551A (ko) * 2016-11-07 2019-06-26 가부시키가이샤 인비젼 에이이에스씨 재팬 스페이서, 조전지 및 조전지의 제조 방법
JPWO2018084088A1 (ja) * 2016-11-07 2019-09-19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スペーサ、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WO2018084088A1 (ja) * 2016-11-07 2018-05-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ペーサ、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US11128006B2 (en) 2016-11-07 2021-09-21 Envision Aesc Japan Ltd. Spacer,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KR20180069211A (ko) * 2016-12-14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11228061B2 (en) 2017-08-10 2022-01-18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US11413712B2 (en) 2017-09-11 2022-08-16 Lg Energy Solution, Ltd. Laser welding jig and laser welding device comprising same
US11830974B2 (en) 2017-11-16 2023-11-28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sensing assembly and bus bar assembly
WO2020004780A1 (ko) * 2018-06-29 2020-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를 버스바에 밀착시키는 자동 가압 지그 장치
CN111448685B (zh) * 2018-06-29 2022-07-12 株式会社Lg化学 用于将电极引线紧密附着至汇流条的自动按压夹具设备
US11623308B2 (en) 2018-06-29 2023-04-11 Lg Energy Solution, Ltd. Auto-pressing jig apparatus for pressing electrode lead to busbar
CN111448685A (zh) * 2018-06-29 2020-07-24 株式会社Lg化学 用于将电极引线紧密附着至汇流条的自动按压夹具设备
US11967735B2 (en) 2018-12-06 2024-04-23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WO2021221284A1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19549A1 (ko) * 2020-07-22 2022-01-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리드와 전압 센싱부재 간의 연결을 단순화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2182136A1 (ko) * 2021-02-23 2022-09-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5169A1 (ko) 2016-06-30
US10629881B2 (en) 2020-04-21
EP3220449A4 (en) 2018-08-01
EP3220449A1 (en) 2017-09-20
JP2017539061A (ja) 2017-12-28
KR101817237B1 (ko) 2018-01-11
CN107112485A (zh) 2017-08-29
CN107112485B (zh) 2020-04-28
US20170331097A1 (en) 2017-11-16
JP6440002B2 (ja)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237B1 (ko)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KR101817236B1 (ko)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US9548475B2 (en) Battery cell of irregular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KR101808310B1 (ko) Bms 통합형 컴팩트 이차전지 모듈
EP1812982B1 (en)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configuration of alternative orientation
KR102046122B1 (ko) Pcb접속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전지모듈제작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작된 전지모듈
US11158895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KR102122930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2214538B1 (ko) 단위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20220376361A1 (en) Battery module having busbar, battery pack and vehicle
KR20170067007A (ko) Bms 통합형 컴팩트 이차전지 모듈
KR102355380B1 (ko) 측면 와이어 본딩 가능한 전지팩,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 제조 방법
KR101985762B1 (ko) 단자의 연결 구조가 개선된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N103972455A (zh) 电池组
KR101864482B1 (ko) 컴팩트 이차전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팩
KR20130062543A (ko) 2차 전지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 모듈
KR20210011813A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101913375B1 (ko) 배터리 모듈
KR101783917B1 (ko) 후크 구조가 구비된 컴팩트 이차전지 모듈
CN105990601B (zh) 电池组
KR101839653B1 (ko) 컴팩트 이차전지 모듈
KR20160054268A (ko) 이차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2018010836A (ja) 蓄電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128022A (zh) 电池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