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725A -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위한 전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위한 전원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725A
KR20160077725A KR1020140187995A KR20140187995A KR20160077725A KR 20160077725 A KR20160077725 A KR 20160077725A KR 1020140187995 A KR1020140187995 A KR 1020140187995A KR 20140187995 A KR20140187995 A KR 20140187995A KR 20160077725 A KR20160077725 A KR 20160077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power supply
supply targe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396B1 (ko
Inventor
신철우
박은홍
강차군
임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to KR1020140187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396B1/ko
Priority to PCT/KR2015/014132 priority patent/WO2016105105A1/ko
Publication of KR20160077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성이 우수하면서도 전원 공급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향상된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위한 전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는 전원이 항상 공급되는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또는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부 및 보조 전원부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메인 전원부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메인 전원부를 차단하고,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위한 전원 관리 방법{Digital radiation detector and power manag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성이 우수하면서도 전원 공급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향상된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위한 전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Digital radiation detector)(이하 '디텍터'라 칭함)는 인체 또는 물체를 투과한 엑스선(X-ray)과 같은 방사선을 필름 없이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즉, 방사선을 조사(照射)하여 얻어진 영상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검출함으로써, 인체의 골격이나 장기의 이상 여부 또는 물체의 균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디텍터는 방사선 영상을 검출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직접 방식과 간접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직접 방식은 통상적으로 비정질 셀레늄(또는 비정질 실리콘)과 박막 필름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용하여 인체를 투과한 방사선에 의해 발생한 전기신호를 직접 검출하는 방식이고, 간접 방식은 방사선을 가시광선으로 바꾸어주는 아이오딘화 세슘(CsI) 등과 같은 형광물질에 의해서 발생한 광신호를 수광소자를 사용하여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방식이다.
최근 들어 이러한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는 인체나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병원이나, 다양한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가 필요한 산업 현장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구비된 방사선 촬영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이동이 가능하고, 필요시에 방사선 촬영 장치에 삽입되어 방사선 촬영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상 시간적, 공간적으로 자유로운 카세트형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로 발전하고 있다.
카세트형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는 외부 전원과 접속되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방사선 촬영 장치에 고정된 고정형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와는 달리 방사선 촬영을 위하여 휴대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로 이동하는 등이 빈번히 발생하므로, 휴대 혹은 이동에 간편하도록 무게 혹은 부피가 늘어나지 않으면서도 카세트형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를 이용하여 방사선 촬영하거나, 획득된 촬영 정보의 전송 등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등록특허 제10-04139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이용하여 휴대성이 우수하면서도 전원 공급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향상된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위한 전원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는 전원이 항상 공급되는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또는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부 및 보조 전원부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메인 전원부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메인 전원부를 차단하고,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원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는 입사하는 방사선의 세기 또는 양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사선 감지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를 운용하는 중앙처리부; 또는 상기 중앙처리부에 연결되어 외부와 통신하는 네트워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는 입사하는 방사선의 세기 또는 양에 따라 변화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는 A/D 컨버터;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집적회로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메인 전원부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메인 전원부가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전원부는 외부 전원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전원부를 경유하여 상기 보조 전원부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에만 전원을 공급하기 전에,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 관리 방법은 메인 전원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메인 전원부가 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는 메인 전원부가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메인 전원부가 비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는 상기 메인 전원부를 차단하고, 보조 전원부에 의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에만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메인 전원부가 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메인 전원부는 상기 보조 전원부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전원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메인 전원부가 외부 전원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상기 메인 전원부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는 입사하는 방사선의 세기 또는 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방사선 감지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를 운용하는 중앙처리부; 또는 상기 중앙처리부에 연결되어 외부와 통신하는 네트워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는 입사하는 방사선의 세기 또는 양에 따라 변화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는 A/D 컨버터;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집적회로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에만 전원을 공급하기 전에,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위한 전원 관리 방법에 의하면,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전체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부와 함께 메인 전원부가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보조 전원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휴대성이 우수하면서도 안정성과 신뢰성이 향상된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그리고, 메인 전원부의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조 전원부가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상시 전원공급대상부는 단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재부팅 또는 초기화 시간을 제거할 수 있어서 사용상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재부팅에 따른 오프셋 변화로 인한 영상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전원부는 메인 전원부의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일부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무게와 부피가 크지 않은 소용량의 배터리로도 충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전체 시스템의 무게와 부피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서 휴대성 혹은 이동성이 우수한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공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 공급 태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그 크기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구성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공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 공급 태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는 방사선 발생기(미도시), 카세트형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지지부(1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0)을 포함한다.
방사선 발생기는 엑스선(X-ray), 알파선(α-ray), 감마선(γ-ray), 전자선, 자외선 등의 방사선을 발생하여 피검사체(40)를 향하여 방출하는 장치이다.
카세트형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은 방사선 감지부(100), 증폭부(200), A/D 컨버터(300), 직접회로부(400), 중앙처리부(500), 네트워크부(600), 및 전원부(700)를 포함한다.
방사선 감지부(100)는 방사선 발생기에서 방출된 방사선이 피검사체(4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방사선의 세기 또는 양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방사선 감지부(100)은 2차원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방사선에 감응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센싱 픽셀, 및 각 센싱 픽셀에서 발생된 전기 신호를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출력할지를 결정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포함한다. 방사선 감지부(100)의 센싱 픽셀은 디지털 방식으로 방사선을 감지하면 광전물질을 사용하는 직접 변환 방식 또는 신틸레이터를 사용하는 간접 변환 방식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증폭부(200)는 입사하는 방사선의 세기 또는 양에 따라 변화하는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방사선 감지부(100)로부터 입력 받아 증폭하고, A/D 컨버터(300)는 증폭부(200)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여 출력하고, 집적회로부(400)는 A/D 컨버터(300)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병합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방사선 감지부(10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직접회로부(400)는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처리부(500)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시스템을 운용하고, 네트워크부(600)는 중앙처리부(500)에 연결되어 외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전원부(700)는 방사선 감지부(100), 증폭부(200), A/D 컨버터(300), 직접회로부(400), 중앙처리부(500), 네트워크부(600) 등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데, 전원부(700)는 외부 전원(800)과 연결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부(700)는 전원 관리부(710), 메인 전원부(720), 충전부(730), 보조 전원부(740), 부하 멀티플렉스(750)를 포함한다.
메인 전원부(720)는 외부 전원(8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아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의 각종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고, 보조 전원부(7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배터리로서 메인 전원부(720)을 보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데, 메인 전원부(720)과 보조 전원부(740)의 자세한 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충전부(730)는 메인 전원부(720)에 연결되어 있어서 필요시에 보조 전원부(740)을 충전할 수 있는데,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각종 부하(900)와 충전부(730)에 공급되는 전기의 비율은 필요에 따라서 조절이 가능하다. 부하 멀티플렉스(750)는 메인 전원부(720) 또는 보조 전원부(7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부하(9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관리부(710)는 메인 전원부(720), 충전부(730), 보조 전원부(740), 부하 멀티플렉스(750)에 연결되어 각 구성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는 전원이 항상 공급되는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920);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 또는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9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부(720) 및 보조 전원부(740)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및 전원공급부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전원 관리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가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지지부(10)의 삽입구(15)에 삽입되면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10)와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지지부(10)에 각각 제공된 전기적 접속단자 상호 접촉하거나, 무선 전기 공급을 위한 송신단(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지지부 측)과 수신단(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측)이 서로 송수신하거나, 혹은 별도의 전원 케이블에 의해서 외부 전원(800)이 메인 전원부(7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메인 전원부(720)이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10)의 부하(9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을 휴대하여 이동할 필요가 있어서 외부 전원(800)과 메인 전원부(7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단락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인 전원부(720)에 의해서 공급되던 전원이 단전된다. 단전에 의해서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이 완전히 off 상태가 된 이후에, 다시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재부팅 과정을 통하여 초기화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초기화 과정 중에는 방사선이 입력되지 않은 채로 스캐닝하여 얻는 다크(dark) 이미지를 이용하여 방사선 감지부(100)의 각 센싱 픽셀들은 오프셋 값들에 의해서 보정을 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데,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를 재부팅하는 경우에는 각 센싱 픽셀들에 인가되는 역방향 전압이 변화하게 되어 오프셋 값들이 변화하게 되어 이전의 초기화 과정을 통하여 노이즈가 제거되도록 최적화되어 있던 상태에서 노이즈가 증대하여 방사선 촬영 영상의 품질이 저하된다.
한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40W 이상의 대용량 배터리를 메인 전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대용량 배터리의 방전에 의해서 출력 전압이 소정의 값 이하로 떨어지거나, 방전된 대용량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로부터 교체하는 경우에도 오프셋 값들의 변화를 초래하여 방사선 촬영 영상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전원 관리부(710)는 메인 전원부(720)을 모니터링하여 메인 전원부(720)가 정상 상태인지 혹은 비정상 상태인지를 판단하도록 하고, 메인 전원부(720)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메인 전원부(720)가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920)를 포함하는 전체 부하(9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4(a) 참조). 한편, 전원 관리부(710)가 메인 전원부(720)의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전원 관리부(710)는 상기 메인 전원부(720)를 차단하고, 상기 보조 전원부(740)에 의해서 방사선 촬영 영상의 품질 저하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항상 on 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재부팅 혹은 초기화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다(도 4(b) 참조).
이때, 전원 관리부(710)이 메인 전원부(720), 및 메인 전원부(720)과 외부 전원(800)의 연결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메인 전원부(720)가 외부 전원(8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메인 전원부(720)의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하면, 메인 전원부(720)의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영상의 품질 저하 방지 혹은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사용자 편의성 향상 등을 위해서 항상 온(on)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오프(off)되는 경우 각 센싱 픽셀의 오프셋 값들의 변화와 이로 인한 방사선 촬영 영상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방사선 감지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처리부(500)는 오프되면 안정화 및 초기화를 위해서 재부팅하는 경우 수분이 소요되고, 중앙처리부(500)와 연결된 네트워크(600)는 외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0)와 통신하면서 방사선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상태를 확인하므로(사용자 인터페이스(30)는 네트워크부(600)과 통신이 실패하면 계속해서 접속할 수 있도록 재실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30)에 큰 부하가 발생함),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를 방사선 촬영 장치로 휴대하여 이동한 후 삽입하여 메인 전원부(720)가 전체 부하(900)에 전원을 공급하면 바로 방사선 촬영이 가능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부(500) 및/또는 네트워크(600)는 항상 온(on)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전원부(720)이 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전원이 공급되어 방사선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고, 메인 전원부(720)이 비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되더라도 방사선 촬영 영상의 품질 저하 혹은 사용자 편의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920)는 증폭부(200), A/D 컨버터(300), 및/또는 집적회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920)는 공급되는 전원이 지속적으로 온/오프(on/off)되더라도 디지털 출력이나 영상 획득에 영향이 없다.
한편, 방사선 디지털 디텍터를 짧은 거리만 이동하여 단기간 동안 전체 부하에 전원공급이 필요한 경우 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서는 보조 전원부(740)의 전원 공급 태양을 다양하게 변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전원부(740)가 충분한 충전량을 보유하는 경우에는 보조 전원부(740)가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920)를 포함하는 전체 부하(900)에 전원을 공급하다가, 보조 전원부(740)의 충전량이 소정의 값 이하로 떨어지면, 방사선 촬영 영상의 품질 저하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항상 on 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관리부(710)는 보조 전원부(740)의 충전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원 관리부(710)가 메인 전원부(720)의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경우에, 전원 관리부(710)는 상기 메인 전원부(720)를 차단한 후, 그리고 보조 전원부(740)으로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에만 전원을 공급하기 전에, 보조 전원부(740)에 의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9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전원부(720)가 비정상 상태에 있더라도, 오프(off) 되는 경우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의 사용자 편의성 및 방사선 촬영 영상의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에 대해서는 보조 전원부(740)에 의해서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유지하여,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의 재부팅이 필요없이 방사선 촬영이 필요한 시점에 바로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지지부(10)에 삽입하여 방사선 촬영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프셋 값들의 변화로 인한 방사선 촬영 영상의 품질 저하도 막을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보조 전원부(740)는 메인 전원부(720)의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일부 영역인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에 한하여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10W 이하의 소용량의 배터리로도 충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10W 이하의 소용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수 시간 정도를 온(on)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서, 방사선 촬영을 위하여 이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전원부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40W 이상의 용량을 요구하므로,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무게와 부피는 크게 증가할 수 밖에 없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소용량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전체 시스템의 무게와 부피의 추가적인 증가를 상당부분 억제할 수 있어서 휴대성 혹은 이동성이 우수한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의 전원 관리 방법은 메인 전원부(720)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는, 메인 전원부(720)가 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는 메인 전원부(720)가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920)에 전원을 공급하고, 메인 전원부(720)가 비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는 상기 메인 전원부(720)를 차단하고, 상기 보조 전원부(740)에 의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에만 전원을 공급한다.
메인 전원부(720)가 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메인 전원부(720)는 보조 전원부(740)를 충전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920)에 공급해야하는 전기 부하에 따라서 충전부(730)에 공급되는 전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메인 전원부(720)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메인 전원부(720)가 외부 전원부(8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상기 메인 전원부(720)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의 사용자 편의성 및 방사선 촬영 영상의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구성으로서, 입사하는 방사선의 세기 또는 양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사선 감지부(100)를 포함하거나, 상기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를 운용하는 중앙처리부(500); 또는 상기 중앙처리부에 연결되어 외부와 통신하는 네트워크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920)는 입사하는 방사선의 세기 또는 양에 따라 변화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00);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는 A/D 컨버터(300);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집적회로부(400)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는 방사선 디지털 디텍터를 짧은 거리만 이동하여 단기간 동안 전체 부하에 전원공급이 필요한 경우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는 보조 전원부(740)의 전원 공급 태양을 다양하게 변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전원부(740)의 충전량을 모니터링해서 보조 전원부(740)가 충분한 충전량을 보유하는 경우에는 보조 전원부(740)가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920)를 포함하는 전체 부하(900)에 전원을 공급하다가, 보조 전원부(740)의 충전량이 소정의 값 이하로 떨어지면, 방사선 촬영 영상의 품질 저하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항상 on 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메인 전원부(720)의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 전원부(720)를 차단한 후, 그리고 보조 전원부(740)으로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에만 전원을 공급하기 전에, 보조 전원부(740)에 의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9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의 전원 관리 방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생략된 내용을 활용할 수 있다.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를 다양한 방사선 촬영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에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가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지지부(10)로 부터 이탈되면 메인 전원부(720)과 외부 전원(800)의 연결이 끊어지고(즉, 메인 전압부(720)의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보조 전원부(740)에 의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방선 촬영 장소에서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20)이 다시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지지부(10)에 삽입하면, 메인 전원부(720)과 외부 전원(800)의 연결이 다시 회복되어(메인 전원부(720)의 정상 상태) 메인 전원부(720)가 상시 전원공급대상부(910)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920)의 전체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720)를 휴대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재부팅 혹은 초기화 작업 등을 진행할 필요 없이 바로 방사선 촬영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지지부 15: 삽입구
20: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30: 사용자 인터페이스
40: 피검사체 100: 방사선 감지부
200: 증폭부 300: A/D 컨버터
400: 집적회로부 500: 중앙처리부
600: 네트워크부 610: 무선 네트워크부
620: 유선 네트워크부 700: 전원부
710: 전원 관리부 720: 메인 전원부
730: 충전부 740: 보조 전원부
750: 부하 멀티플렉스 800: 외부 전원
810: 무선 외부 전원 820: 유선 외부 전원
900: 부하 910: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920: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

Claims (15)

  1. 전원이 항상 공급되는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또는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부 및 보조 전원부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메인 전원부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메인 전원부를 차단하고,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인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는 입사하는 방사선의 세기 또는 양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사선 감지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는 상기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를 운용하는 중앙처리부; 또는 상기 중앙처리부에 연결되어 외부와 통신하는 네트워크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는 입사하는 방사선의 세기 또는 양에 따라 변화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는 A/D 컨버터;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집적회로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메인 전원부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메인 전원부가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부는 외부 전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전원부를 경유하여 상기 보조 전원부가 충전되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에만 전원을 공급하기 전에,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9. 메인 전원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메인 전원부가 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는 메인 전원부가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메인 전원부가 비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는 상기 메인 전원부를 차단하고, 보조 전원부에 의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 관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부가 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메인 전원부는 상기 보조 전원부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 관리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메인 전원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메인 전원부가 외부 전원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상기 메인 전원부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 관리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는 입사하는 방사선의 세기 또는 양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사선 감지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 관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는 상기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를 운용하는 중앙처리부; 또는 상기 중앙처리부에 연결되어 외부와 통신하는 네트워크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 관리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는 입사하는 방사선의 세기 또는 양에 따라 변화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는 A/D 컨버터;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집적회로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 관리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에만 전원을 공급하기 전에,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해서 상기 상시 전원공급대상부 및 선택적 전원공급대상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는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의 전원 관리 방법.
KR1020140187995A 2014-12-24 2014-12-24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위한 전원 관리 방법 KR101639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995A KR101639396B1 (ko) 2014-12-24 2014-12-24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위한 전원 관리 방법
PCT/KR2015/014132 WO2016105105A1 (ko) 2014-12-24 2015-12-22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위한 전원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995A KR101639396B1 (ko) 2014-12-24 2014-12-24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위한 전원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725A true KR20160077725A (ko) 2016-07-04
KR101639396B1 KR101639396B1 (ko) 2016-07-13

Family

ID=5615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995A KR101639396B1 (ko) 2014-12-24 2014-12-24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위한 전원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9396B1 (ko)
WO (1) WO2016105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997B1 (ko) 2019-02-20 2021-01-25 주식회사 디알텍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2586A (ja) * 1993-05-20 199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保護回路
JP2001028844A (ja) * 1999-05-12 2001-01-30 Nec Eng Ltd バックアップ式電源装置の補助電源寿命検出方法及び補助電源寿命監視装置
KR100413946B1 (ko) 2000-11-16 2004-01-07 주식회사 디알텍 평판형 디지털 x선촬영 카세트
KR101223230B1 (ko) * 2012-07-09 2013-01-17 주식회사 지스콥 방사능 감지 디바이스의 작동 이상 체크 시스템
KR20130068396A (ko) * 2011-12-15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디텍터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322A (ja) * 2005-03-25 2006-10-05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コンソール、コンソールで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2586A (ja) * 1993-05-20 199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保護回路
JP2001028844A (ja) * 1999-05-12 2001-01-30 Nec Eng Ltd バックアップ式電源装置の補助電源寿命検出方法及び補助電源寿命監視装置
KR100413946B1 (ko) 2000-11-16 2004-01-07 주식회사 디알텍 평판형 디지털 x선촬영 카세트
KR20130068396A (ko) * 2011-12-15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디텍터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장치
KR101223230B1 (ko) * 2012-07-09 2013-01-17 주식회사 지스콥 방사능 감지 디바이스의 작동 이상 체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5105A1 (ko) 2016-06-30
KR101639396B1 (ko)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3048B2 (en)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8193509B2 (en) Radiation image detector
US9078624B2 (en) Radiation image detecting device, electronic cassette, and radiation imaging system
US8953742B2 (en) Radiation image detec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879689B2 (en) Radiographic image detec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841891B (zh) 放射线摄影系统及其控制方法以及放射线图像检测装置
EP2564784B1 (en) Radiographing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automatic exposure in radiographing system, and radiological image detection device
JP5797630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画素値取得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75682B2 (ja) 放射線画像検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放射線撮影システム
US20130193339A1 (en) Radiation irradiation initiation determination apparatus, radiation image capturing device, radiation image capture control apparatus, radiation irradiation initi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30058456A1 (en) Radiographing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automatic exposure in radiographing system, and radiological image detection device
JP2010107202A (ja) 放射線固体検出器
JP2010071659A (ja) 放射線固体検出器
JP2010075671A (ja) 放射線検出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温度補償方法
JP542875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5601209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装置
US20120166607A1 (en) Portable radiographic image capture device, image capture controller and radiographic image capture system
KR101639396B1 (ko) 디지털 방사선 디텍터 및 이를 위한 전원 관리 방법
JP2000254115A (ja) 放射線検出器
US20230341567A1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radiation imag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radiation imaging apparatus
US11828888B2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JP2023161291A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撮影装置の制御装置
JP2021010654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撮影装置
JP2011242707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撮影装置の充電方法
JP2012249909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