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184A -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184A
KR20160077184A KR1020167014190A KR20167014190A KR20160077184A KR 20160077184 A KR20160077184 A KR 20160077184A KR 1020167014190 A KR1020167014190 A KR 1020167014190A KR 20167014190 A KR20167014190 A KR 20167014190A KR 20160077184 A KR20160077184 A KR 20160077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port
call
signal
earphone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오펑 리우
Original Assignee
쿠앙치 인텔리전트 포토닉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앙치 인텔리전트 포토닉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쿠앙치 인텔리전트 포토닉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7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7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infrared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및 단말기로, 그 방법은통화상태 감청하고, 통화 필요 여부 판단하고,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 차단하고, 통화 결속으로 판단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에 따르면, 통화 상태 감청을 통하여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 사용시, 유저는 정상 통화가 가능하고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를 뽑을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및 단말기{METHOD AND TERMINAL FOR CONNECTION SWITCHOVER FOR HEADPHONE JACK ADAPTOR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술 영역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더불어 휴대폰 등 전자설비 중심으로 각종 다양한 기능의 어댑터 설비가 출시되어, 유저에 풍부한 기능과 각종 편리를 제공하고 있다. 휴대폰 등 전자설비에 연결되는 이어폰포트 위의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는 그중의 일종으로, 일부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는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이어폰이 아니라, 기타 기능을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음성포트를 구비한 광통신 어댑터 터미널은 수신장치와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여 접근금지 식별, 광자 지불, 광자 티켓 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를 전자설비의 이어폰포트에 삽입한후, 전자설비는 이어폰 수신 상태로 전환된다. 유저가 만약 통화를 원하면 이어폰포트에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를 뽑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종의 기술에 따르면 통화상태 감청하고, 통화 필요 여부 판단하고; 통화 필요 여부를 판단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 차단하고, 통화 종료 여부 판단하고, 통화 결속으로 판단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종의 기술에 따르면 일종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바, 다음을 포함한다: 통화상태 감청 모듈, 통화상태 감청, 통화 필요 여부 판단 및 통화 종료 여부 판단. 상태 전환 모듈, 통화상태 감청 모듈의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통화 필요 여부를 판단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차단하고, 통화 결속으로 판단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한다.
본 발명의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에 따라, 통화 상태 감청을 통하여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 사용시, 유저 역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를 뽑을 필요 없이 정상 통화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제고하였다.
아래에 첨부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구체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편리를 위해 각 실시예에서 동류 구조는 같은 표기를 사용한다.
도 1은 실시예1에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절차 표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2에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절차 표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3에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절차 표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4에서 단말기의 모듈 구조 표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5에서 단말기의 모듈 구조 표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6에서 단말기의 모듈 구조 표시도이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의 일종 실시방식은 도 1을 참고하여, 다음의 절차를 포함한다.
S101. 통화상태 감청.
통상적으로, 통화기능이 있는 단말기설비(예를 들면 휴대폰)는 내장된 운영체제를 통하여 각종 기능을 제어하면서 사용한다. 자주 보는 운영체제에는 심비안(Symbian), Linux, Windows Mobiles, 안드로이드 (Android), IOS 및 WP 등이 있다. 각종 휴대폰 운영체제는 모두 통화상태에 대한 조회 또는 감청 기능을 제공한다. 편리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실예로 설명을 하기로 하고, 기타 유형의 운영체제는 유사한 방법으로 실현하는바 구체적인 운영체제 유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TelephonyManager는 휴대폰 모듈 정보 조회와 감청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TelephonyManager로 조회상태 청구를 송신하거나 또는 감청 등록을 통해 통화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TelephonyManager에 휴대폰 통화 상태를 등록한후 사건의 변화를 감청하는 방식으로 통화상태를 알아 낸다.
기타 실시방식에서, 전화가 걸려 오면 휴대폰은 진동, 소리 또는 이미지로 알린다. 전화를 걸때면 유저는 버튼, 터치스크린, 음성 또는 다이어링 방식으로 조작하는바, 따라서 관련 처리 모듈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통해 통화상태를 알아 낸다.
S102. 통화 필요 여부 판단.
절차S103을 실행하거나, 아니면 통화상태를 계속 감청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화 필요 여부 판단은 구체적으로 전화가 걸려왔는지, 전화를 걸었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며, 통화상태 감청을 통해 전화가 걸려오고 거는 사건을 알아 낸다. 기타 실시예에서, 통화 연결과정중의 기타 단계에 근거하여 통화를 해야 할지를 판단할 수도 있어, 통신 쌍방이 통화전에 판단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전화가 걸려오면 받는가를 판단하여 유저가 받고 거절하는 것을 통화 판단 결과로 할 수 있고, 전화를 걸 경우, 통화연결음을 접수하거나 상대방이 전화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통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결과로 할 수도 있다.
S103.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 차단.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audioManager.setWiredHeadsetOn(false)지령을 통해 이어폰 선을 연결하여 차단하는바, 이때 통화 음성은 단말기설비 본체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고, 다시 본체의 수화기를 통해 출력되어 유저는 바로 정상 통화를 할수 있다.
S104. 통화 종료 여부 판단.
절차S105를 실행하거나, 아니면 통화가 끝나기를 기다린다.
본 실시예에서, 통화상태 감청을 통해 통화상태 종료 여부를 알아 낸다. 기타 실시예에서, 통화 결속과 관련한 조작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실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화를 끊는 등 통화 종료 상태를 알수 있다.
S105.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한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audioManager.setWiredHeadsetOn(true)지령을 통해 음성신호와 이어폰 신호를 연결한다. 이때 이어폰포트에 삽입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는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은, 통화 상태 감청을 통하여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 사용시, 유저 역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를 뽑을 필요 없이 정상 통화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제고하였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의 또다른 일종의 실시방식은 도 2를 참고하면, 실시예1에 비교하면 구별점은 주로 이어폰 신호를 차단하기전,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방법은 다음의 절차를 포함한다:
S201. 통화상태 감청.
S202. 통화 필요 여부 판단. 절차S203을 실행하거나, 아니면 계속 통화상태를 감청한다.
상술한 절차S201- S202는 S101- S102중의 상응한 절차를 참고로 실행할 수 있는바 여기서 생략한다.
S203.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가 이어폰포트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절차S204를 실행하거나, 아니면 절차를 끝낸다. 기타 실시예에서, 아니면 계속 통화상태를 감청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audioManager.isWiredHeadSetOn()의 반환값이 true인지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통해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삽입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true이면 삽입을, 반대이로면 미삽입을 의미한다.
S204.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 차단.
S205. 통화 종료 여부 판단. 절차S206을 실행하거나, 아니면 통화가 끝나기를 기다린다.
S206.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한다.
상술한 절차S204- S206은 S103- S105중의 상응한 절차에 따라 실행하며 여기서 생략한다.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가 이어폰포트에 삽입된후에 만이, 단말기설비가 음성포트 관리기에 의해 삽입 정보를 피드백하고, 상응한 수신 모드를 시동하기 때문에, 설비 본체의 수화기와 마이크, 이어폰선의 수화기와 마이크 등을 꺼야 한다. 따라서,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 차단 절차를 실행하기전 우선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불필요한 차단 조작을 피면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는 통화상태 판단후 실행하며, 기타 실시방식에서, 통화 판단 이전에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실시예에서 관련되는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는 각종 전자설비의 이어폰포트와 연결을 통해 기능을 실현하는 주변 설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접촉식 통신 어댑터 터밀널이 있다. 소위 비접촉식 통신의 통신매체는 가시광, 적외선, 자외선, 차음파, 가청음파, 초음파의 집합중의 최소한 일종을 선택한다
특히는, 위에서 언급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는 광봉으로, 소위 광봉은 일종 양방향 광통신 설비이며, 이어폰포트의 좌우 트랙과 연결되는 가시광 발사기(예컨데 다이오드LED)로 설정되고, 이어폰포트의 마이크 통로와 연결된 적외선 수신기로 설정된 적외선 수신기는, 형상이 이어폰포트와 맞물리는 음성 니플을 통해 이어폰포트에 삽입된다. 가시광 발사기는 광 접수 터미널 설비로 출력되는 신호로 설정하고; 적외선 수신기는 수신 신호, 즉 적외선으로 설정한다. 음성포트 니플을 전자설비의 음성포트에 삽입하면,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어되어, 광 접수 터미널과의 양방향 통신을 실현할 수 있는바 이를 접근통제 시스템의 광열쇠 등에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의 또다른 일종의 실시방식은 도 3을 참고한다. 실시예1에 비해 구별되는 점은 주로 이어폰 신호를 연결하기전,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방법은 다음의 절차를 포함한다:
S301. 통화상태 감청.
S302. 통화 필요 여부 판단. 절차S303을 실행하거나, 아니면 통화상태를 계속 감청한다.
S303.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 차단.
S304. 통화 종료 여부 판단. 절차S305를 실행하거나, 아니면 통화가 끝나기를 기다린다.
상술한 절차S301- S304는 S101- S104중의 상응한 절차를 참고하여 실행하며 여기서 생략한다.
S305.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가 이어폰포트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절차S306을 실행하거나, 아니면 절차를 끝낸다. 기타 실시예에서, 아니면 통화상태를 계속 감청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audioManager.isWiredHeadSetOn()의 반환값이 true인지에 따라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삽입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true이면 삽입을, 반대로이면 미삽입을 의미한다.
S306.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한다. 이 절차는 S105에 따라 실행하고 여기서 생략한다.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를 이어폰포트에 삽입해야 만이, 단말기설비의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를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하고 절차를 실행하기전 우선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가 삽입되었는지 확인하여 불필요한 연결 조작을 피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의 전부 또는 부분 절차는 절차 지령과 관련되는 하드웨어를 통해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절차는 컴퓨터의 판독이 가능한 매개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절차 실행시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절차를 포함하여 실행하고, 상기 저장 매개체에는 읽기만 가능한 메모리(ROM), 수시로 쓰고 읽기가 가능한 메모리(RAM), 디스크 또는 CD 등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개체를 포함한다
실시예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일종 실시방식은 도 4를 참고한다. 상기 단말기(400)은 실시예1중의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실행에 사용되고, 단말기에는 통화상태 감청 모듈(401)과 상태 전환 모듈(402)를 포함한다. 그중:
통화상태 감청 모듈(401), 통화상태 감청, 통화 필요 여부 판단 및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상태 전환 모듈(402), 통화상태 감청 모듈(401)의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통화 필요 여부를 판단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차단하고, 통화 결속으로 판단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휴대폰, 개인 디지털 보조기기, 템플릿 PC 등 통화기능이 있는 모바일단말기 설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화 상태 감청을 통하여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상태를 전환하여,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 사용시, 유저 역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를 뽑을 필요 없이 정상 통화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제고하였다.
실시예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또 다른 일종의 실시방식은 도 5를 참고한다. 상기 단말기(500)은 실시예2중의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실행에 사용되고, 단말기에는 통화상태 감청 모듈(501), 상태 전환 모듈(502)와 이어폰포트 접속 검측 모듈(503)을 포함한다. 그중:
통화상태 감청 모듈(501), 통화상태 감청, 통화 필요 여부 판단 및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폰포트 접속 검측 모듈(503),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를 이어폰포트에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검측한다.
상태 전환 모듈(502), 통화상태 감청 모듈(501)의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통화 필요 여부를 판단하면, 이어폰포트 접속 검측 모듈(503)의 검측 결과에 근거하여 처리한다.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가 이어폰포트에 삽입되었다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차단하고, 아니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차단하지 않는다. 통화 결속으로 판단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 차단을 실행하기전 우선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 삽입 여부를 판단하여 불필요한 차단 조작을 피면한다.
실시예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또 다른 일종의 실시방식은 도 6을 참고한다. 상기 단말기(600)는 실시예3중의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실행에 사용되고, 단말기에는 통화상태 감청 모듈(601), 상태 전환 모듈602와 이어폰포트 접속 검측 모듈(603)을 포함한다, 그중:
통화상태 감청 모듈(601), 통화상태 감청, 통화 필요 여부 판단 및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폰포트 접속 검측 모듈(603),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가 이어폰포트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검측한다.
상태 전환 모듈(602), 통화상태 감청 모듈(601)의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통화 필요 여부를 판단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차단하고, 통화 결속으로 판단하면, 이어폰포트 접속 검측 모듈(603)의 검측 결과에 근거하여 처리한다. 만약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가 이어폰포트에 삽입되었다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하고, 아니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하지 아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하는 절차이전에 우선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불필요한 연결 조작을 피면한다.
이상의 응용의 개별적인 구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시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이상의 실시방식은 오직 본 발명에 대한 해석으로 이해해야지,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본 영역의 일반 기술을 작악한 자라면 본 발명의 구상에 따라 상술한 구체 실시방식에 대한 변화를 시도할 수 있다.
산업상의실용성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화 상태 감청을 통하여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 사용시, 유저 역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를 뽑을 필요 없이 정상 통화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제고하였다.

Claims (10)

  1. 통화상태 감청하고,
    통화 필요 여부 판단하고,
    통화 필요 여부를 판단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 차단하고,
    통화 종료 여부 판단하고,
    통화 결속으로 판단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차단하기 전에,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가 이어폰포트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검측하는 과정에서, 삽입되면 상술한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 차단 절차를 실행하고, 아니면 상술한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 차단 절차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하기 전에,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가 이어폰포트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검측하는 과정에서, 삽입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 절차를 실행하고, 아니면 상술한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 절차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필요 여부 판단은 구체적으로 전화가 걸려왔는가의 판단, 전화 수신여부 판단, 전화를 걸었는가의 판단 중 최소한 일종을 선택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는 비접촉식 통신 어댑터 터미널이고, 상기 비접촉식 통신 매체는 가시광, 적외선, 자외선, 차음파, 가청음파, 초음파 집합중의 최소한 일종을 선택하는 방법.
  6. 통화상태 감청, 통화 필요 여부 판단 및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통화상태 감청 모듈과,
    상기 통화상태 감청 모듈의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통화 필요 여부를 판단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차단하고, 통화 결속으로 판단하면,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하는 상태 전환 모듈를 포함하는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실행에 사용되는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를 이어폰포트에의 삽입 여부를 검측하는 이어폰포트 접속 검측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전환 모듈은 또한 통화 필요를 판단하면, 상기 이어폰포트 접속 검측 모듈의 검측결과에 근거하여 처리하고,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를 이어폰포트에 삽입하면, 상기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 차단 절차를 실행하고, 아니면 상기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 차단 절차를 실행하지 않는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를 이어폰포트에 삽입하였가의 여부를 검측하는 이어폰포트 접속 검측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전환 모듈은 또한, 통화 결속으로 판단하면, 상기 이어폰포트 접속 검측 모듈의 검측 결과에 근거하여 처리하고.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가 이어폰포트에 삽입되면, 상기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 절차를 실행하고, 아니면 상기 음성신호와 이어폰포트 신호를 접속 절차를 실행하지 않는 단말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는 비접촉식 통신의 어댑터 터미널이고, 상기 비접촉식 통신 매체는 가시광, 적외선, 자외선, 차음파, 가청음파, 초음파 집합에서 최소한 일종을 포함하는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는 광봉이고, 상기 광봉은 이어폰포트의 좌우 트랙과 연결된 가시광 발사기와 이어폰포트의 마이크 통로와 연결된 적외선 수신기인 단말기.
KR1020167014190A 2013-11-15 2014-07-31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및 단말기 KR201600771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569139.3A CN103795853B (zh) 2013-11-15 2013-11-15 耳机接口适配设备的连接切换方法及终端
CN201310569139.3 2013-11-15
PCT/CN2014/083456 WO2015070643A1 (zh) 2013-11-15 2014-07-31 耳机接口适配设备的连接切换方法及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184A true KR20160077184A (ko) 2016-07-01

Family

ID=5067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190A KR20160077184A (ko) 2013-11-15 2014-07-31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35165B2 (ko)
EP (1) EP3070913A4 (ko)
JP (1) JP2017504988A (ko)
KR (1) KR20160077184A (ko)
CN (1) CN103795853B (ko)
WO (1) WO2015070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5853B (zh) * 2013-11-15 2016-01-20 深圳光启智能光子技术有限公司 耳机接口适配设备的连接切换方法及终端
US10057716B1 (en) * 2017-04-18 2018-08-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nitoring a status of a disconnected device by a mobile device and an audio analysis system in an infrastructure
CN107124512B (zh) * 2017-04-28 2019-11-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音频播放模式的切换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060A (ja) * 1995-12-28 1997-07-15 Nec Corp ワイヤレスイヤホン付き携帯電話機
JP2001197583A (ja) * 2000-01-13 2001-07-19 Tdk Corp 音楽再生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イヤホン
JP2001333161A (ja) * 2000-05-18 2001-11-30 Nec Corp 携帯端末
US6947728B2 (en) * 2000-10-13 2005-09-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bile phone with music reproduction function, music data reproduction method by mobile phone with music reproduction function, and the program thereof
KR100395933B1 (ko) * 2001-03-31 2003-09-03 주식회사 니오스 적외선 송신기 및 무선 헤드폰
CN2489525Y (zh) * 2001-06-01 2002-05-01 黄建南 手提电话音响转换器
CN2492026Y (zh) * 2001-06-21 2002-05-15 王茂森 可自行切断汽车音响电源的移动电话接收装置
JP2003032333A (ja) * 2001-07-12 2003-01-31 Toshiba Corp 携帯端末装置
JP2003174408A (ja) * 2001-12-07 2003-06-20 Nec Tokin Corp 音声装置
KR20040090577A (ko) * 2003-04-17 2004-10-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07235767A (ja) * 2006-03-03 2007-09-13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携帯電話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754825B1 (ko) * 2006-06-30 2007-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모바일 커머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7920903B2 (en) * 2007-01-04 2011-04-05 Bose Corporation Microphone techniques
JP2010119019A (ja) * 2008-11-14 2010-05-27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音声出力制御方法及び音声出力制御プログラム
CN103795853B (zh) * 2013-11-15 2016-01-20 深圳光启智能光子技术有限公司 耳机接口适配设备的连接切换方法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0913A1 (en) 2016-09-21
WO2015070643A1 (zh) 2015-05-21
JP2017504988A (ja) 2017-02-09
CN103795853A (zh) 2014-05-14
CN103795853B (zh) 2016-01-20
US20160261732A1 (en) 2016-09-08
EP3070913A4 (en) 2017-07-19
US9635165B2 (en) 201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1240B2 (en)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call using voice recognition
CN103974163B (zh) 耳机兼容方法和装置及移动终端
CN103200311A (zh) 一种通讯终端通话音频通路的控制方法、装置及通讯终端
KR100453042B1 (ko) 휴대 전화기,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N103227863A (zh) 自动切换通话方向系统、方法及应用该系统的移动终端
CN105827812A (zh) 一种通话模式切换方法和移动通信终端
CN103513757A (zh) 一种用户手持状态检测方法、装置及终端
CN101159451B (zh) 蓝牙认证中音频设备的连接方法
CN103260124A (zh) 移动终端的音频测试方法及其测试系统
KR20160077184A (ko) 이어폰포트 어댑터 설비의 연결 전환 방법 및 단말기
US20160094907A1 (en) Earphone device, electronic device assembly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ssembly
CN104023117B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N102945575A (zh) 用于开锁发出提示音的方法和系统
CN103533126B (zh) 一种自动进行手机测试的装置及方法
CN103095913B (zh) 拨号方法及电子设备
US9300778B2 (en) Bluetooth headset for mobile phone
CN104539803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3685679B (zh) 移动通信终端及其通话控制方法
KR20110133143A (ko)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장치
CN113766406A (zh) 一种耳机测试的方法、系统及装置
KR20120080746A (ko) 블루투스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선택 분실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205232413U (zh) 一种耳机
CN101547243B (zh) 一种分体式移动通信终端
CN204810548U (zh) 一种新型蓝牙多功能音频模块
CN202818630U (zh) 移动通信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