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149A - 전환 중에 컨버터블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전환 중에 컨버터블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149A
KR20160077149A KR1020167013958A KR20167013958A KR20160077149A KR 20160077149 A KR20160077149 A KR 20160077149A KR 1020167013958 A KR1020167013958 A KR 1020167013958A KR 20167013958 A KR20167013958 A KR 20167013958A KR 20160077149 A KR20160077149 A KR 20160077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mobile device
base unit
control logic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엠 풋졸루
브라이언 이 우드러프
쳉 펭
케빈 에스 로데스
시앙 조우
케비 에스 장
프로나이 두타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7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움직임 데이터를 처리하고 - 움직임 데이터는 베이스 유닛의 제1 가속도계로부터 그리고 모바일 장치의 베이스 유닛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제2 가속도계로부터 수집됨 -, 디스플레이 패널이 베이스 유닛에 대해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 동안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 결정된 기간 동안 모바일 장치의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일시적으로 무시 또는 디스에이블하기 위한 제어 로직을 포함하고, 제어 로직의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다.

Description

전환 중에 컨버터블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메커니즘{MECHANISM TO AVOID UNINTENTIONAL USER INTERACTION WITH A CONVERTIBLE MOBILE DEVICE DURING CONVERS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전자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장치의 동작 모드의 전환 중에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는 것과 관련된다.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모바일 인터넷 장치(MID), 핸드헬드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DA) 및 다른 유사한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는 사업 및 개인 용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목적을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모바일 장치는 사용자가 그러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명령 및 응답을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메커니즘을 필요로 한다. 모바일 장치가 더 작지만 더 완전한 기능을 갖게 됨에 따라, 감소된 수의 사용자 입력 장치(예로서, 스위치, 버튼, 트랙볼, 다이얼, 터치 센서 및 터치스크린)를 이용하여 증가하는 수의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수행한다.
"투-인-원"으로도 지칭되는 울트라북 컨버터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램쉘(전통적인 랩탑) 모드(101) 및 태블릿 모드(102)에서 동작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다. 일부 울트라북 컨버터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텐트 모드(103) 및 스탠드 모드(104)로도 동작할 수 있다. 클렘쉘 모드는 스크린이 키보드를 향하고 이들 2개가 평행한 클램쉘 폐쇄 모드 또는 스크린이 가로 배향에서 사용자를 향하고 클램쉘 폐쇄 상태로부터 180도보다 적게 열리는 클램쉘 개방 모드일 수 있다. 텐트 모드는 스크린이 가로(landscape) 또는 반전 가로(inverted landscape) 배향에서 사용자를 향하고 클램쉘 폐쇄 상태로부터 180도 넘게 열리지만 완전히 태블릿(360도) 상태는 아닌 구성을 지칭한다. 태블릿 모드는 스크린이 가로, 세로, 반전 가로 또는 반전 세로 배향에서 사용자를 향하는 구성을 지칭한다. 키보드는 스크린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향하며, 이들 2개는 평행하다. 스탠드 모드는 스크린이 가로 모드에서 사용자를 향하는 구성을 지칭하며, 키보드는 테이블 상에 평평하게 배치된다. 스크린은 키보드에 대해 270도 내지 360도의 각도로 연결된다.
모드 간의 전환은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뒤집거나 뒤틀어서 이를 베이스 유닛의 일부로서 키보드 위 또는 아래로 접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를 행하는 동안, 사용자가 시스템의 요소를 비의도적으로 터치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부작용을 유발한다. 예로서, 사용자는 실수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커서의 입력 초점을 변경할 수 있거나, 그가 누르기를 원하지 않은 키보드 상의 키를 누를 수 있다. 비의도적으로 터치될 수 있는 시스템의 다른 요소는 터치패드, 터치패드 버튼, 또는 시스템 버튼, 예로서 볼륨 업, 볼륨 다운, 묵음, 스크린 회전 잠금 또는 전력 버튼을 포함한다. 시스템이 의외로 반응하게 하는 것(예로서, 사용자가 클램쉘 모드와 태블릿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동안 전력 버튼을 비의도적으로 터칭함으로 인한 셧 오프)은 좋지 못한 사용자 경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요소를 지시하는 첨부 도면에 한정이 아니라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1은 컨버터블 모바일 장치의 소정 동작 모드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컴포넌트 간의 소정 트랜잭션을 나타내는 타임라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소정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양태가 후술하는 상세와 관련하여 설명되며,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낼 것이다. 아래의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예시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상세가 설명된다. 그러나, 소정 예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공지된 또는 통상적인 상세는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에 대한 참조는 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내의 다양한 곳에서의 "일 실시예에서"라는 표현의 출현은 모두가 반드시 동일 실시예를 지칭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장치의 동작을 위한 터치 센서 제스처 인식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는 셀롤러 전화, 스마트폰, 모바일 인터넷 장치(MID), 핸드헬드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DA) 및 다른 유사한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 또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물리적 터치에 의해 생성되는 입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를 의미하며, 장치 또는 시스템의 사용자의 엄지 또는 다른 손가락에 의한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는 신호의 입력을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는 복수의 센서 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 장치 또는 시스템이 (1) 다수의 동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위한 구역 터치 센서; (2)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는 제스처 식별 알고리즘의 선택; 및 (3) 터치 센서의 신경망 광학 교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한 조작을 위해 설계된 도구 표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장치 사용자의 엄지(또는 다른 손가락)에 의해 특히 액세스 가능할 수 있는 장치의 일측에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의 표면은 임의 형상으로 설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는 안장 형상의 직사각 교점으로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는 터치 센서와 관계하는 데 사용되는 엄지에 비해 비교적 작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를 위한 도구는 장치 입력 요소의 표면 아래에 내장되는 용량 센서 및/또는 광학 또는 다른 타입의 센서의 사용을 통해 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센서는 전체 감도 및 신호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의 가능한 패턴 중 하나의 패턴으로 배열되지만, (예로서, 센서 영역의 에지에서의 모션, 작은 모션 또는 특정 제스처를 포함하는) 상이한 동작 또는 특징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키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센서 배열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용량 센서에 대한 많은 상이한 센서 배열이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는 센서와 인터페이싱되고 표준 인터페이스 버스와 같은 버스를 통해 범용 프로세서와 같은 컴퓨터 프로세서에 접속하도록 설계되는 제어 집적 회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 입력 데이터의 수집을 담당하는 서브프로세서가 컴퓨터 프로세서에 다양하게 접속되며, 컴퓨터 프로세서는 응용에 따라 주 CPU 또는 보조 마이크로컨트롤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 데이터는 데이터가 모든 센서 입력의 처리를 담당하는 프로세서에 도달하기 전에 다수의 서브프로세서를 통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컨버터블 울트라북과 같은 모바일 장치 또는 모바일 시스템은 리드(lid)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배치된 2개의 가속도계 및 모바일 장치의 베이스 유닛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하고 리드와 베이스 유닛의 상대 각도를 모니터링하는 (센서 제어기, 센서 제어 로직, 센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간단히 제어 로직으로도 지칭되는) 센서 로직을 포함한다. 리드와 베이스 유닛 간의 각도가 변하기 시작할 때, 센서 로직은 (예로서, 클램쉘에서 슬레이트로의 또는 그 반대로의) 전환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내장 제어기(EC) 또는 제어 로직은 다른 제어기(터치 제어기, 터치패드 제어기)와 함께 이 신호를 수신하고, 그들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하거나, 전환 기간 동안 대응하는 센서 또는 키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무시한다. 이를 행함으로써, 전환 프로세스 동안 비의도적인 사용자 입력의 발생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가속도계를 사용하는 것에 더하여, 모바일 장치는 가속도계와 연계하여 모바일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자기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리드 및 베이스가 태블릿 모드 또는 클램쉘 폐쇄 모드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을 때, 자기계는 리드 상태의 확인을 제공한다. 가속도계는 삼차원에서 중력에 대한 표면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2개의 가속도계를 갖는 울트라북은 리드와 베이스 사이의 중력에 대한 각도차를 이용하여 2개의 표면 사이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대향 표면 상의 자석에 대향 배치된 하나의 표면 내의 자기계는 해당 표면의 배향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리드가 닫힐 때, 자기장은 강하게 양성일 수 있으며, 리드가 열릴 때, 자기장은 강하게 음성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축 상에서 관측되는 자기장 강도는 강하게 양성 또는 음성일 수 있다. 가속도계 및 자기계로부터의 정보를 센서 솔루션 내의 다른 물리 또는 퓨전 센서와 결합하여, 공간 내의 플랫폼의 위치 및 그의 표면 내의 위치의 정확한 표현을 계산할 수 있다.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운영 체제(OS)는 검출된 동작 모드에 더 적합한 동작 환경을 재구성하거나 그에 대한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로도 지칭되는) 하나의 표면 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리드(250) 및 베이스 유닛(또는 간단히 베이스)(260) 각각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202A, 202B)를 포함한다. (예로서, 센서 로직과 같은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은) 제어 로직(201)이 가속도계(202A-202B)에 결합되어, 가속도계(202A-202B)에 의해 캡처되는 움직임 데이터를 처리하여, 리드(250)와 베이스 유닛(260) 간의 상대 각도를 결정한다. 제어 로직(201)은 후술하는 것과 같은 다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전반에서, 제어기가 제어 로직의 일례로서 사용되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리드(250)와 베이스(260) 간의 각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센서 로직(201)은 리드(250)가 베이스(260)에 대해 이동(예로서, 폐쇄, 개방, 뒤집기, 뒤틀기, 회전 또는 이들의 조합)하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로직은 대부분의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의 상이한 모드의 전환을 완료했을 사전 결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및 키보드와 같은 다른 입력 장치 또는 회로를 제어하는 다른 제어기를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하거나, 그러한 입력 장치 또는 회로로 하여금 입력 장치와의 임의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무시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 결정된 기간은 약 1초 내지 3초의 범위에 걸칠 수 있고, 이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모바일 장치의 영구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입력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200)는 리드(250) 및 베이스(260) 내에 각각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자기계(203A-203B)를 더 포함한다. 자기계(203A-203B)로부터 수집된 자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센서 로직(201)은 베이스(206)에 대한 리드(250)의 배향을 계산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베이스(260)에 대한 리드(250)의 배향에 기초하여, 센서 로직(201)은 모바일 장치(200)가 어느 동작 모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클램쉘 모드, 태블릿 모드, 텐트 모드 및 스탠드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센서 로직(201)은 이러한 정보를 운영 체제와 같은 다른 소프트웨어로 통신하여, 운영 체제가 그러한 특정 동작 모드에 가장 적합한 모바일 장치(200)의 동작 환경을 조정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모바일 장치(300)는 도 2의 장치(20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300)는 움직임 데이터 및 자기 데이터를 각각 수신 및 처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202) 및 하나 이상의 자기계(203)에 결합되는 센서 로직(201)을 포함한다. 가속도계(202)는 모바일 장치의 리드 및 베이스 유닛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속도계(202)로부터 수집된 움직임 데이터(예로서, 리드와 베이스 간의 각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방향 검출기(302)가 기준 신호(304)를 고려하여 리드(디스플레이 패널)가 베이스 유닛에 대해 이동하고 있는지 그리고/또는 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리드가 베이스에 대해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센서 로직(201)은 신호를 내장 제어기(301)로 전송함으로써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내장 제어기(301)는 사용자 입력 장치와의 임의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제어기를 디스에이블하거나 다른 제어기로 하여금 관련 사용자 입력 장치 또는 회로를 무시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내장 제어기(301)는 터치스크린 제어기(305)를 디스에이블하거나 터치스크린 제어기(305)로 하여금 관련 터치스크린(309)과의 임의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무시하게 할 수 있다. 내장 제어기(301)는 터치패드 제어기(306)를 디스에이블하거나 터치패드 제어기(306)로 하여금 관련 터치패드(310)와의 임의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무시하게 할 수 있다. 내장 제어기(301)는 키보드 제어기(307)를 디스에이블하거나 키보드 제어기(307)로 하여금 관련 키보드(311)와의 임의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무시하게 할 수 있다. 유사하게, 내장 제어기(301)는 예로서 시스템 버튼(예로서, 볼륨 버튼, 묵음 버튼, 스크린 회전 잠금 버튼 및 전력 버튼)과 같은 다른 입력 장치를 디스에이블 또는 무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드 각도의 변경의 검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리드 각도를 센서 로직(201) 내에 저장하고, 측정된 가속도가 변경되는 경우에 인터럽트를 생성하도록 베이스 및 리드 가속도계 양자를 구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 센서 로직(201)은 양자가 중력을 가리키는 양 가속도계(202A-202B)의 전류 값에 더하여 플랫폼의 사용자 조작으로부터의 소정의 추가 가속도를 판독한다. 센서 로직(201)은 2개의 가속도계 값을 이용하여 리드와 베이스 사이의 각도를 계산하고, 새로운 각도 값을 이전의 각도 판독치와 비교한다. 판독치가 다른 경우, 이것은 리드와 베이스 사이의 각도가 변하고 있다(즉,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을 때, 센서 로직(201)은 신호(예로서, 범용 입출력 또는 GPIO 신호)를 어써트(assert)한다. 이 신호는 전력 버튼, 볼륨 버튼 및 키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내장 제어기(301)에 의해 수신된다. 이 신호는 터치패널 제어기(305) 및 터치패드 제어기(306)에 의해서도 수신된다. 이러한 장치 모두는 신호를 수신할 때 모든 입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한다. 센서 로직(201)은 리드와 베이스 사이의 각도에 대한 추가 변경이 검출되지 않고서 짧은 양의 시간(예로서, 100 밀리초 또는 ms)이 경과한 후에 신호의 어써트를 중지할 것이다. 신호가 어써트되지 않을 때, 내장 제어기(301), 터치패널 제어기(305), 터치패드 제어기(306) 및 임의의 다른 장치는 입력의 차단을 중지하고, 그들의 정상 동작을 재개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센서 로직(201)은 자기계(203)로부터 획득된 자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모바일 장치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한 배향 검출기(303)를 더 포함한다. 자기계(203)로부터 수집된 자기 데이터 및 가속도계(202)로부터 수집된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센서 로직(201)은 모바일 장치가 어느 동작 모드(예로서, 클램쉘, 태블릿, 텐트 및 스탠드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검출된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구성도 조정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방법(500)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로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방법(500)은 센서 로직(201) 및/또는 내장 제어기(3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록 501에서, 처리 로직은 모바일 장치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로부터 획득된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의 리드/디스플레이 패널과 베이스 간의 이동을 결정한다. 블록 502에서, 처리 로직은 옵션으로서 모바일 장치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자기계로부터 획득된 자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베이스에 대한 리드의 배향을 결정한다. 블록 503에서, 처리 로직은 움직임 데이터 및/또는 자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가 제1 동작 모드(예로서, 클램쉘 모드)로부터 제2 동작 모드(예로서, 태블릿 모드)로 전환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블록 504에서, 처리 로직은 임의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액션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 결정된 기간 동안 모바일 장치의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 또는 인터페이스(예로서,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키보드, 다른 버튼)를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 또는 무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 결정된 기간은 약 1초 내지 3초의 범위에 걸칠 수 있고, 이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구성 가능할 수 있고, 모바일 장치의 영구 저장 영역(예로서, 하드 드라이브 또는 BIOS와 같은 판독 전용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360도 힌지 투-인-원 울트라북 설계와 같은 일부 모바일 장치는 전통적인 클램쉘 노트북으로서, 텐트 모드에서 위로 힌지되거나 스탠드 모드에서 평평하게 힌지되는 테이블 상에 서 있는 태블릿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특징을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기 위해 시스템이 베이스에 대한 리드의 각도를 아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태블릿, 텐트, 스탠드 또는 리드 폐쇄 모드에 있을 때, 키보드 및 터치패드가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리드가 닫힐 때, 스크린이 턴오프되고, 절전 특징이 인에이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드와 베이스가 태블릿 모드 또는 리드 폐쇄 모드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을 때, 자기계는 리드 상태의 확인을 제공한다.
가속도계는 삼차원에서 중력에 대한 표면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2개의 가속도계를 갖는 울트라북은 리드와 베이스 사이의 중력에 대한 각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2개의 표면 사이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대향 표면 상의 다른 자기계(예로서, 제2 자기계)에 대향 배치된 하나의 표면 내의 자기계(예로서, 제1 자기계)는 해당 표면의 배향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리드가 닫힐 때, 자기장은 강하게 양성일 수 있으며, 리드가 열릴 때, 자기장은 강하게 음성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축 상에서 관측되는 자기장 강도는 강하게 양성 또는 음성일 수 있다. 가속도계(들) 및 자기계(들)로부터의 정보를 센서 솔루션 내의 다른 물리 또는 퓨전 센서와 결합하여, 공간 내의 플랫폼의 위치 및 그의 표면 내의 위치의 정확한 표현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리드 폐쇄 및 개방 이벤트와 같은 이벤트의 형태로 운영 체제(0S)로 통신될 수도 있고, 이어서 운영 체제는 시스템이 대기에 들어가거나 대기를 종료하는 것과 같은 상이한 방식으로 동작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는 리드 폐쇄 및 태블릿 상태를 구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기계를 포함한다. 리드 각도 계산은 센서 로직(예로서,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실행되고 있으므로, 시스템이 저전력 상태에 있을 때에도 리드 각도에 대해 접속 대기 및 유지 상태에서 계속 실행될 수 있다. 플랫폼 구성의 지속적인 인식은 보다 양호한 사용자 경험을 유발하는데, 이는 플랫폼이 저전력 상태에 있는 동안에 표면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시스템이 예상대로 거동하기 때문이다. 센서 로직은 플랫폼 전력 상태를 인식하므로, 리드가 리드 폐쇄 또는 태블릿 위치 근처에 있지 않는 한 리드 감지 자기계를 디스에이블함으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센서 로직은 주 가속도계에서 모션이 검출되지 않는 한 제2 가속도계를 디스에이블함으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도계(들)에 의해 제공되는 움직임 데이터 및 자기계(들)에 의해 제공되는 자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의 동작 모드(예로서, 클램쉘, 태블릿, 텐트 및 스탠드 모드)가 결정될 수 있고, 모바일 장치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운영 체제는 그러한 특정 동작 모드에 적합한 동작 환경을 구성 또는 조정할 수 있다.
통상적인 클램쉘 시스템에서, 키보드 상의 임의의 키를 누르는 것은 플랫폼 제어기 허브(PCH) 상의 GPIO 변경 상태를 유발한다. PCH는 소정 데이터 경로를 제어하며, 프로세서 또는 CPU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는 클럭킹(시스템 클럭),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FDI) 및 직접 매체 인터페이스(DMI)를 포함하지만, FDI는 칩셋이 통합 그래픽을 갖는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때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전의 아키텍처에 비해 I/O 기능이 이러한 새로운 중앙 허브와 프로세서 사이에 재할당되는데, 이전의 아키텍처에서는 일부 노스브리지 기능, 메모리 제어기 및 PCI-e 레인이 CPU 안에 통합된 반면에 PCH가 사우스브리지의 전통적인 역할에 더하여 나머지 기능을 떠맡았다. 통상적으로, PCH는 이것이 발생할 때 시스템을 깨우도록 운영 체제에 의해 구성되었을 것이다. 당해 GPIO는 키 누름을 실제로 검출하는 장치인 내장 제어기에 의해 종종 구동된다. 360도 힌지 시스템에서, 키보드는 클램쉘 상태에 있을 때만 잠재적인 시스템이 깨어나게 해야 한다(이는 시스템이 그렇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함). 이것은 플랫폼이 상이한 전력 상태에 있는 동안 폐쇄, 텐트 또는 태블릿 모드에 대해 클램쉘 상태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 EC는 다른 상태들에 대해 클램쉘 상태를 검출하고 버튼 누름 지시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시스템이 클램쉘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EC는 센서 로직으로부터의 입력 GPIO에 의존한다. 이러한 GPIO는 TABLET_MODE GPIO로서 지칭된다. 센서 로직은 2개의 가속도계, 즉 리드 내의 하나의 가속도계, 베이스 내의 하나의 가속도계를 이용하며, 그들 사이의 중력 벡터 판독의 차이를 측정하여 그들 간의 각도(0도-360도)를 결정한다. 각도가 180도를 초과할 때, 센서 로직은 TABLET_MODE GPIO의 상태를 활성(하이)으로 설정한다. 각도가 180도 이하일 때, 센서 로직은 TABLET_MODE GPIO의 상태를 비활성(로우)으로 설정한다.
처리되어야 하는 코너 조건 - 0도 및 360도 상태가 가속도계만을 이용해서는 구별되지 못함 -이 존재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이러한 2개의 상태를 구별하기 위해 자기계가 사용된다. 자석(또는 스피커와 같은 자기 물체)이 시스템의 대향 표면 내에 배치된다. 가속도계가 0도 또는 360도에 가까운 리드-베이스 각도를 지시할 때, 시스템의 베이스 내의 자기계는 자석의 상대 극성을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자석의 극성은 시스템이 폐쇄(0도) 상태인지 또는 태블릿 구성(360도)을 갖는지를 지시한다. 센서 로직은 리드 각도와 자기계 상태의 조합을 이용하여 LID_OPEN_GPIO라고 하는 GPIO를 트리거한다.
통상적인 클램쉘 시스템에서, LID를 닫거나 여는 것은 PCH 상의 GPIO 변경 상태를 유발한다. 통상적으로, PCH는 이것이 발생할 때 이를 시스템에 통지하도록(리드 개방 지시 시에 시스템을 잠재적으로 깨우도록) OS에 의해 구성되었을 것이다. 당해 GPIO는 홀-효과 스위치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예로서, EC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홀-효과 스위치는 베이스 내에 배치될 것이며, 리드 내의 자석은 리드가 닫히거나 열릴 때 홀-효과 스위치가 상태를 변경하도록 배향될 것이다. 홀-효과 스위치는 리드 내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이것은 리드와 베이스 사이에 추가적인 와이어를 필요로 하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360도 힌지 시스템에서, 홀-효과 스위치는 리드의 폐쇄/개방 및 태블릿 모드의 진입/종료를 구별하지 못할 것이다. 이것은 양 시나리오에서 리드 내의 자석이 홀-효과 스위치에 근접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진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홀-효과 스위치 대신, 센서 로직은 360도 힌지 시스템에서 리드 폐쇄/리드 개방을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센서 로직은 리드 및 베이스 내의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시스템이 리드 폐쇄 또는 태블릿 모드 상태에 들어가는지/나가는지를 결정하고, 이어서 자기계 및 알려진 극성의 자석을 이용하여 리드 폐쇄/개방 전환과 태블릿 진입/종료 전환을 구별한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 로직은 GPIO 신호의 상태를 PCH로 변경하여 리드 폐쇄 또는 리드 개방 이벤트를 지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방법(700)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로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방법(700)은 센서 로직(210) 및/또는 내장 제어기(3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록 701에서, 센서 로직은 모바일 장치의 리드와 베이스 사이의 이동을 검출한다. 블록 702에서, 센서 로직은 리드와 베이스 사이의 각도를 계산하고 갱신한다. 블록 703에서, 센서 로직은 이전 각도로부터의 각도의 변화가 5도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크지 않은 경우, 블록 704에서, 어떠한 액션도 필요하지 않으며, 큰 경우에는 블록 705에서 새로운 각도가 저장되고, 신호가 어써트되고, 타이머가 활성화된다. 블록 706에서, 각도의 변화가 -10도(예로서, 350도)보다 크고 10도보다 작은지를 결정한다. 그러한 경우, 블록 707에서 자기계를 판독하여, 블록 709에서 리드가 닫혔는지를 결정한다. 그러한 경우에 블록 712에서 모바일 장치는 클램쉘 폐쇄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블록 711에서 모바일 장치는 텐트, 스탠드 또는 태블릿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
각도가 -10와 10도 사이의 범위에 있지 않은 경우, 블록 708에서 각도가 1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지를 결정한다. 그러한 경우, 블록 710에서 모바일 장치는 클램쉘 개방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블록 711에서 모바일 장치는 텐트, 스탠드 또는 태블릿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는 내부에 배치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갖는 베이스 유닛 - 베이스 유닛은 그 안에 내장된 제1 가속도계를 가짐 -; 베이스 유닛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 -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바일 장치가 복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 유닛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 안에 내장된 제2 가속도계를 가짐 -; 및 제1 및 제2 가속도계로부터 수집된 움직임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이 베이스 유닛에 대해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 동안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 결정된 기간 동안 모바일 장치의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일시적으로 무시 또는 디스에이블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과 베이스 유닛의 표면 사이의 각도를 결정하고, 각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이 베이스 유닛에 대해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장치는 베이스 유닛 내에 배치된 제1 자기계; 및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배치된 제2 자기계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제1 및 제2 자기계로부터 수집된 자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베이스 유닛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제1 및 제2 자기계에 의해 검출되는 자기장의 강도 및/또는 극성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가 클램쉘 모드, 태블릿 모드, 텐트 모드 및 스탠드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서 동작하는지를 결정한다. 제어기는 자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의 현재 동작 모드를 지시하는 신호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운영 체제로 전송하여, 운영 체제가 모바일 장치의 결정된 동작 모드에 적합한 모바일 장치의 동작 환경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장치는 제어기에 결합되는 터치 패널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 유닛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 동안, 제어기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입력을 무시하도록 터치 패널 제어기에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장치는 제어기에 결합되는 터치패드 및 터치패드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 유닛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 동안, 제어기는 터치패드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입력을 무시하도록 터치패드 제어기에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장치는 제어기에 결합되는 키보드 및 키보드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 유닛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 동안, 제어기는 키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키스트로크를 무시하도록 키보드 제어기에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로서, 시스템(900)은 전술한 임의의 프로세스 또는 방법을 수행하는 전술한 임의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나타낼 수 있다. 시스템(900)은 많은 상이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는 컴퓨터 시스템의 마더보드 또는 애드-인 카드와 같은 회로 보드에 적응되는 집적 회로(IC), 그의 부분, 개별 전자 장치 또는 다른 모듈로서, 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섀시 내에 달리 통합되는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900)은 컴퓨터 시스템의 많은 컴포넌트의 하이 레벨 뷰를 나타내는 것을 의도한다는 점에도 유의한다. 그러나, 소정 구현에서는 추가 컴포넌트가 존재할 수 있고, 더구나 다른 구현에서는 도시된 컴포넌트의 상이한 배열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시스템(900)은 데스크탑, 랩탑, 태블릿, 서버, 모바일 전화, 미디어 플레이어, 개인 휴대 단말기(PDA), 개인용 통신기, 게이밍 장치, 네트워크 라우터 또는 허브,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중계기, 셋톱 박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900)은 버스 또는 상호접속(910)을 통하는 프로세서(901), 메모리(903) 및 장치(905-90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01)는 단일 프로세서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 안에는 단일 프로세서 코어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코어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901)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CPU)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범용 프로세서를 나타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01)는 복합 명령어 세트 컴퓨팅(CISC) 마이크로프로세서, 축소 명령어 세트 컴퓨팅(RISC) 마이크로프로세서, 매우 긴 명령 단어(VLIW)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명령어 세트를 구현하는 프로세서, 또는 명령어 세트의 조합을 구현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901)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 셀룰러 또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네트워크 프로세서, 그래픽 프로세서, 네트워크 프로세서, 통신 프로세서, 암호 프로세서, 코-프로세서, 내장 프로세서, 또는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로직 중 하나 이상의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초저전압 프로세서와 같은 저전력 멀티코어 프로세서 소켓일 수 있는 프로세서(901)는 시스템의 다양한 컴포넌트와 통신하기 위한 주 처리 유닛 및 중앙 허브로서 동작할 수 있다. 그러한 프로세서는 시스템 온 칩(SoC)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901)는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의 인텔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i3, i5, i7 또는 다른 그러한 프로세서와 같은 인텔(등록상표) 아키텍처 코어(상표) 기반 프로세서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캘리포니아 서니베일의 AMD(Advanced Micro Devices, Inc.)로부터 입수 가능한 것, ARM 홀딩스 사로부터의 ARM 기반 설계 또는 캘리포니아 서니베일의 MIPS 테크놀로지스 사로부터의 MIPS 기반 설계, 또는 그들의 판매자 또는 채택자로부터 입수 가능한 것과 같은 다른 저전력 프로세서가 대신 존재할 수 있다.
프로세서(901)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동작 및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900)은 디스플레이 제어기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그래픽 서브시스템(904)과 통신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901)는 일 실시예에서 주어진 양의 시스템 메모리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메모리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메모리(903)와 통신할 수 있다. 예로서, 메모리는 JEDEC(Joint Electron Devices Engineering Council) 저전력 더블 데이터 레이트(LPDDR) 기반 설계, 예로서 (2009년 4월에 발표된) JEDEC JESD 209-2E에 따른 현행 LPDDR2 표준, 또는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LPDDR2에 대한 확장을 제공하는 LPDDR3으로 지칭되는 차세대 LPDDR 표준에 따를 수 있다. 예로서, 2/4/8 기가바이트(GB)의 시스템 메모리가 존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메모리 상호접속을 통해 프로세서(8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개별 메모리 장치는 단일 다이 패키지(SDP), 이중 다이 패키지(DDP) 또는 사중 다이 패키지(QDP)와 같은 상이한 패키지 타입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일부 실시예에서 더 낮은 프로필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마더보드 상에 직접 솔더링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는 주어진 커넥터에 의해 마더보드에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903)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동적 RAM(DRAM), 동기 DRAM(SDRAM), 정적 RAM(SRAM), 또는 다른 타입의 저장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휘발성 저장(또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03)는 프로세서(901) 또는 임의의 다른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 시퀀스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로서, 다양한 운영 체제, 장치 드라이버, 펌웨어(예로서, 입출력 기본 시스템 또는 BIOS)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가능 코드 및/또는 데이터가 메모리(903) 내에 로딩되고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로서 마이크로소프트(등록상표)의 윈도우(등록상표) 운영 체제, 애플의 맥 OS(등록상표)/iOS(등록상표), 구글(등록상표)의 안드로이드(등록상표), 리눅스(등록상표), 유닉스(등록상표), 또는 VxWorks와 같은 다른 실시간 또는 내장 운영 체제와 같은 임의 유형의 운영 체제일 수 있다.
시스템(900)은 무선 송수신기(들)(905), 입력 장치(들)(906), 오디오 IO 장치(들)(907) 및 다른 IO 장치(908)를 포함하는 장치(905-908)와 같은 IO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기(905)는 와이파이 송수신기, 적외선 송수신기, 블루투스 송수신기, WiMAX 송수신기, 무선 셀룰러 전화 송수신기, 위성 송수신기(예로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송수신기), 또는 다른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입력 장치(들)(906)는 마우스, 터치패드, (디스플레이 장치(904)와 통합될 수 있는) 터치 감지 스크린, 스타일러스와 같은 포인터 장치 및/또는 키보드(예로서, 물리 키보드 또는 터치 감지 스크린의 일부로서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입력 장치(906)는 터치스크린에 결합되는 터치스크린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제어기는 예로서 용량, 저항, 적외선 및 표면 음파 기술은 물론,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의 하나 이상의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근접 센서 어레이 또는 다른 요소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터치 감지 기술 중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그의 이동 또는 해제를 검출할 수 있다.
오디오 IO 장치(907)는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 및/또는 전화 기능과 같은 음성 인에이블드 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스피커 및/또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옵션 장치(908)는 저장 장치(예로서,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장치), 유니버설 직렬 버스(USB) 포트(들), 병렬 포트(들), 직렬 포트(들), 프린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버스 브리지(예로서, PCI-PCI 브리지), 센서(들)(예로서,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기계, 광 센서, 나침반, 근접 센서 등과 같은 모션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옵션 장치(908)는 사진 및 비디오 클립의 기록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촉진하는 데 사용되는 전하 결합 소자(CCD) 또는 상보형 금속-산화물-반도체(CMOS) 광 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 이미징 처리 서브시스템(예로서, 카메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센서는 센서 로직(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상호접속(910)에 결합될 수 있고, 키보드 또는 열 센서와 같은 다른 장치는 시스템(900)의 특정 구성 또는 설계에 따라 내장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하나 이상의 운영 체제 등과 같은 정보의 영구 저장을 제공하기 위해, 대용량 저장소(도시되지 않음)도 프로세서(901)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더 얇고 더 가벼운 시스템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시스템 응답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러한 대용량 저장소는 SSD(solid state device)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대용량 저장소는 시스템 활동의 재개 시에 빠른 파워업이 발생할 수 있도록 파워다운 이벤트 동안 컨텍스트 상태 및 다른 그러한 정보의 비휘발성 저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SSD 캐시로서 동작하기 위한 더 적은 양의 SSD 저장소를 갖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를 이용하여 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장치는 예로서 직렬 주변장치 인터페이스(SPI)를 통해 프로세서(901)에 결합될 수 있다. 플래시 장치는 기본 입출력 소프트웨어(BIOS)를 포함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물론, 시스템의 다른 펌웨어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900)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것은 컴포넌트를 상호접속하는 임의의 특정 아키텍처 또는 방식을 나타내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는데, 이는 그러한 상세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밀접한 관계를 갖지 않기 때문이다. 더 적은 컴포넌트 또는 아마도 더 많은 컴포넌트를 갖는 네트워크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모바일 전화 및 다른 데이터 처리 시스템도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전술한 설명의 일부 부분은 컴퓨터 메모리 내의 데이터 비트에 대한 연산의 알고리즘 및 심벌 표현과 관련하여 제공되었다. 이러한 알고리즘 설명 및 표현은 데이터 처리 기술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그들의 연구 내용을 다른 기술자에게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사용되는 방식이다. 알고리즘은 본 명세서에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유도하는 일관된 동작 시퀀스인 것으로 생각된다. 동작은 물리량의 물리적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및 유사한 용어는 적절한 물리량과 관련되어야 하며, 이러한 양에 적용되는 편리한 라벨일 뿐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은 본 설명 전반에서 아래의 청구항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용어를 이용하는 설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레지스터 및 메모리 내에 물리(전자) 양으로 표현되는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 또는 다른 그러한 정보 저장, 전송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물리량으로서 유사하게 표현되는 다른 데이터로 조작 및 변환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유사한 전자 컴퓨팅 장치의 액션 및 프로세스를 지칭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도면에 도시된 기술은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 상에 저장 및 실행되는 코드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전자 장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예로서,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장치; 상변화 메모리) 및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전송 매체(예로서, 전기, 광, 음향 또는 다른 형태의 전파 신호, 예로서 반송파, 적외선 신호, 디지털 신호)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코드 및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그리고/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저장 및 통신한다.
전술한 도면에 도시된 프로세스 또는 방법은 하드웨어(예로서, 회로, 전용 로직 등), 펌웨어, (예로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을 포함하는 처리 로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 또는 방법이 위에서 일부 순차적인 동작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설명된 동작의 일부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동작은 순차적이 아니라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위의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정한 전형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아래의 청구항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더 넓은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그에 대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한정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24)

  1. 적어도 일부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제어 로직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어 로직은,
    움직임 데이터(motion data)를 처리하고 - 상기 움직임 데이터는 베이스 유닛(base unit)의 제1 가속도계로부터 그리고 모바일 장치의 베이스 유닛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제2 가속도계로부터 수집됨 -,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 동안 상기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 결정된 기간 동안 상기 모바일 장치의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일시적으로 무시 또는 디스에이블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과 상기 베이스 유닛의 표면 사이의 각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베이스 유닛 내에 배치된 제1 자기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배치된 제2 자기계로부터 수집된 자기 데이터(magnetic data)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제1 자기계 및 상기 제2 자기계에 의해 검출되는 자기장의 강도 및/또는 극성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클램쉘 모드, 태블릿 모드, 텐트 모드 및 스탠드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자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동작 모드를 지시하는 신호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운영 체제로 전송하여, 상기 운영 체제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적합한 상기 모바일 장치의 동작 환경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이동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입력을 무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이동 동안 상기 모바일 장치의 터치패드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입력을 무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이동 동안 상기 모바일 장치의 키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키스트로크를 무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9. 내부에 배치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갖는 베이스 유닛 - 상기 베이스 유닛은 내장된 제1 가속도계를 가짐 - 과,
    상기 베이스 유닛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 -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바일 장치가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내장된 제2 가속도계를 가짐 - 과,
    상기 제1 가속도계 및 상기 제2 가속도계로부터 수집된 움직임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 동안 상기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 결정된 기간 동안 상기 모바일 장치의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일시적으로 무시 또는 디스에이블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로직 - 상기 제어 로직의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로 구현됨 - 를 포함하는
    모바일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과 상기 베이스 유닛의 표면 사이의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각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 내에 배치된 제1 자기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배치된 제2 자기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제1 자기계 및 상기 제2 자기계로부터 수집되는 자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제1 자기계 및 상기 제2 자기계에 의해 검출되는 자기장의 강도 및/또는 극성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클램쉘 모드, 태블릿 모드, 텐트 모드 및 스탠드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모바일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자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동작 모드를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운영 체제로 전송하여, 상기 운영 체제가 상기 모바일 장치의 결정된 동작 모드에 적합한 상기 모바일 장치의 동작 환경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에 결합되는 터치 패널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이동 동안,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입력을 무시하도록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에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에 결합되는 터치패드 및 터치패드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이동 동안,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입력을 무시하도록 상기 터치패드 제어기에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에 결합되는 키보드 및 키보드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이동 동안,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키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키스트로크를 무시하도록 상기 키보드 제어기에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시스템.
  17.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동작은
    내부에 배치된 모바일 장치의 제어 로직 - 상기 제어 로직의 일부는 하드웨어로 구현됨 - 에 의해, 상기 모바일 장치의 베이스 유닛 내에 배치된 제1 가속도계 및 상기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배치된 제2 가속도계로부터 움직임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 -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모바일 장치가 복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음 - 과,
    상기 제어 로직에 의해, 상기 제1 가속도계 및 상기 제2 가속도계로부터 수집되는 상기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이동 동안 상기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 결정된 기간 동안 상기 모바일 장치의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일시적으로 무시 또는 디스에이블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과 상기 베이스 유닛의 표면 사이의 각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베이스 유닛 내에 배치된 제1 자기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배치된 제2 자기계로부터 수집되는 자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향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제1 자기계 및 상기 제2 자기계에 의해 검출되는 자기장의 강도 및/또는 극성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클램쉘 모드, 태블릿 모드, 텐트 모드 및 스탠드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자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동작 모드를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운영 체제로 전송하여, 상기 운영 체제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적합한 상기 모바일 장치의 동작 환경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이동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입력을 무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이동 동안 상기 모바일 장치의 터치패드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입력을 무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이동 동안 상기 모바일 장치의 키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키스트로크를 무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67013958A 2013-12-26 2013-12-26 전환 중에 컨버터블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메커니즘 KR201600771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90531 WO2015096084A1 (en) 2013-12-26 2013-12-26 Mechanism to avoid unintentional user interaction with a convertible mobile device during convers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020A Division KR102030950B1 (ko) 2013-12-26 2013-12-26 전환 중에 컨버터블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메커니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149A true KR20160077149A (ko) 2016-07-01

Family

ID=534773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958A KR20160077149A (ko) 2013-12-26 2013-12-26 전환 중에 컨버터블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메커니즘
KR1020187026020A KR102030950B1 (ko) 2013-12-26 2013-12-26 전환 중에 컨버터블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메커니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020A KR102030950B1 (ko) 2013-12-26 2013-12-26 전환 중에 컨버터블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메커니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916031B2 (ko)
EP (1) EP3087459B1 (ko)
JP (1) JP6363205B2 (ko)
KR (2) KR20160077149A (ko)
CN (1) CN105765496B (ko)
RU (1) RU2644064C2 (ko)
WO (1) WO20150960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789A1 (ko) * 2022-11-07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1116A1 (en) * 2012-12-28 2014-07-03 Nokia Corporation Responding to user input gestures
RU2644064C2 (ru) * 2013-12-26 2018-02-07 Интел Корпорейшн Механизм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преднамерен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с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м моби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во время трансформации
KR20150081062A (ko) * 2014-01-03 201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버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965029B2 (en) * 2015-03-30 2018-05-0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965022B2 (en) * 2015-07-06 2018-05-08 Google Llc Accelerometer based Hall effect sensor filtering for computing devices
US10261568B2 (en) * 2015-09-16 2019-04-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ing user experience relative to peripheral devices
US9977530B2 (en) * 2015-12-11 2018-05-22 Google Llc Use of accelerometer input to change operating state of convertible computing device
CN108472010B (zh) * 2015-12-29 2022-04-0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具有多模式触摸屏接口的超声成像系统
WO2018063258A1 (en) * 2016-09-29 2018-04-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able power button
US9880800B1 (en) * 2016-10-26 2018-01-30 Dell Products L. P. Routing content in a dual-display computing device
US10228839B2 (en) 2016-11-10 2019-03-12 Dell Products L.P. Auto-scrolling input in a dual-display computing device
US10514844B2 (en) 2016-11-16 2019-12-24 Dell Products L.P. Automatically modifying an input area based on a proximity to one or more edges
JP2018084908A (ja) * 2016-11-22 2018-05-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70061B2 (en) * 2016-11-30 2019-01-01 Dell Products L.P. Backlight compensation for a computing device with two or more display devices
CN108401061A (zh) * 2017-02-04 2018-08-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和装置、以及终端
WO2018194612A1 (en) * 2017-04-20 2018-10-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on-wakeable system states
JP2018194700A (ja) * 2017-05-18 2018-12-0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投影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203774B1 (en) * 2017-07-20 2019-02-12 Pixart Imaging Inc. Handhel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650527B (zh) * 2017-07-31 2019-02-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及控制方法
US11245396B2 (en) * 2018-05-11 2022-02-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miting inadvertent actuations of a touchpad
CN109348399B (zh) * 2018-08-09 2021-05-14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终端及其立体声音效的控制方法
US11009908B1 (en) * 2018-10-16 2021-05-18 Mcube, Inc.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methods
KR20200101192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EP3699738B1 (en) * 2019-02-19 202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US11720160B2 (en) * 2019-04-12 2023-08-08 Dell Products, L.P. Preventing false wake events from a low-power state
JP2021093051A (ja) * 2019-12-12 2021-06-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JP6982647B2 (ja) * 2020-04-01 2021-12-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IT202000009937A1 (it) * 2020-05-05 2021-11-05 St Microelectronics Srl Metodo di controllo di un apparecchio elettronico eseguito tramite il calcolo di un angolo di apertura, relativo apparecchio elettronico e prodotto software
JP7065154B2 (ja) 2020-08-18 2022-05-1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WO2023277870A1 (en) * 2021-06-29 2023-01-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gnetic port covers for computing devices
US20220123776A1 (en) * 2021-12-24 2022-04-21 Tarakesava Reddy Koki Tablet and tablet cover with configuration detection
CN116449969A (zh) * 2022-01-07 2023-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键盘套、键盘状态的控制方法、电子设备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0253A (ja) * 2003-01-14 2004-08-05 Sharp Corp 電子機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982A (ja) * 2001-03-05 2002-09-13 Nec Corp ノート型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277775A (ja) * 2004-03-24 2005-10-06 Sharp Corp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US7787245B2 (en) * 2004-08-27 2010-08-31 Fujitsu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and program
JP4801336B2 (ja) * 2004-08-27 2011-10-2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797286A (zh) * 2004-12-29 2006-07-05 乐金电子(昆山)电脑有限公司 双用型电脑的键误操作防止方法
CN1854983A (zh) * 2005-04-26 2006-11-01 乐金电子(昆山)电脑有限公司 可转换电脑的电源按钮锁定设备
JP2008250835A (ja) 2007-03-30 2008-10-1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8136402B2 (en) * 2007-11-28 2012-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celerometer module for use with a touch sensitive device
CN101493745A (zh) * 2008-01-24 2009-07-29 倚天资讯股份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9009984B2 (en) 2008-09-08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8121640B2 (en) * 2009-03-19 2012-02-21 Microsoft Corporation Dual module portable devices
US10054444B2 (en) * 2009-05-29 2018-08-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 acquisition of inertial sensor data
US8934229B2 (en) * 2009-07-03 2015-01-13 Sony Corporation Electronics device having rotatable panels configured for display and adaptive interface
US8095191B2 (en) * 2009-07-06 2012-01-10 Motorola Mobility, Inc. Detection and function of seven self-supported orientations in a portable device
JP5663916B2 (ja) * 2010-03-26 2015-02-0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2168618A (ja) * 2011-02-10 2012-09-06 Kyocera Corp 電子機器
TWI472903B (zh) * 2011-12-23 2015-02-11 Pegatron Corp 擴充座
US9837050B2 (en) * 2012-03-12 2017-12-05 Lenovo (Beijing)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ethod for driving image collection unit and electrical device
CN102662436B (zh) 2012-03-26 2014-12-03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驱动图像采集单元的方法
WO2013147726A1 (en) * 2012-03-25 2013-10-03 Intel Corporation Orientation sensing computing devices
CN103369144B (zh) 2013-07-11 2015-05-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结合加速度传感器来处理手机通话过程中误操作的方法
RU2644064C2 (ru) * 2013-12-26 2018-02-07 Интел Корпорейшн Механизм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преднамерен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с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м моби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во время трансформаци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0253A (ja) * 2003-01-14 2004-08-05 Sharp Corp 電子機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789A1 (ko) * 2022-11-07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44064C2 (ru) 2018-02-07
US10209824B2 (en) 2019-02-19
KR102030950B1 (ko) 2019-10-10
WO2015096084A1 (en) 2015-07-02
CN105765496A (zh) 2016-07-13
US20160274722A1 (en) 2016-09-22
JP6363205B2 (ja) 2018-07-25
CN105765496B (zh) 2019-08-20
RU2016120704A (ru) 2017-12-01
JP2017500661A (ja) 2017-01-05
KR20180102701A (ko) 2018-09-17
EP3087459B1 (en) 2020-08-05
US9916031B2 (en) 2018-03-13
EP3087459A1 (en) 2016-11-02
US20180203564A1 (en) 2018-07-19
EP3087459A4 (en)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950B1 (ko) 전환 중에 컨버터블 모바일 장치와의 비의도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메커니즘
CN110462556B (zh) 显示控制方法及装置
JP5858155B2 (ja) 携帯型端末装置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自動的に切り替える方法、及び携帯型端末装置
US9892490B2 (en) Electronic apparatus
EP274379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camera module in sleep mode
EP3100133B1 (en) Buttonless display activation
US9377811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8538590A (ja) 加速度計の入力を用いたコンバーチブル型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の動作状態の変更
US101853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information unividedly
WO2017161826A1 (zh) 一种功能的控制方法和终端
US20150186311A1 (en) Smart direct memory access
EP4109281B1 (en) Peer-to-peer link sharing for upstream communications from xpus to a host processor
CN102812430A (zh) 信息处理装置、显示切换方法、程序和记录介质
EP4141680A1 (en) Debug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multiple chips
EP3123287A1 (en) Alternate dynamic keyboard for convertible tablet computers
KR20140103584A (ko)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US20130293505A1 (en) Multi-dimensional interaction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EP4243064A1 (en) Modular low latency electrical sequence for die-to-die interface
JP5529098B2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同期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US20140092042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hang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74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07

Effective date: 2019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