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949A -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949A
KR20160076949A KR1020150024253A KR20150024253A KR20160076949A KR 20160076949 A KR20160076949 A KR 20160076949A KR 1020150024253 A KR1020150024253 A KR 1020150024253A KR 20150024253 A KR20150024253 A KR 20150024253A KR 20160076949 A KR20160076949 A KR 20160076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base
construction
fixing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286B1 (ko
Inventor
김성만
김효은
Original Assignee
김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만 filed Critical 김성만
Publication of KR2016007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69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 E06B1/6076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of screw-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 또는 개보수시 콘크리트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에 창틀(또는 문틀)을 고정하는 경우 개구부와 창틀 사이의 틈새를 메우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승강체 및 작동체를 도입하여 수평 맞춤 및 고정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종래 창틀 고정 작업과 같이 건물 외부 위치에서 앵커볼트 박기 작업 등의 고정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하고 앵커볼트를 박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 문제가 없어 쾌적한 공사 환경이 보장되고 이웃의 민원 소지도 없애며, 창틀에 구멍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방수 및 방풍 특성이 보다 완벽해 지며, 즉시 창문을 장착할 수 있어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비바람이 차단되므로 공사 실내 작업 및 거주 환경 확보가 조기에 가능한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는 안내부 및 결합부를 구비한 베이스; 일측에 구비되고 베이스의 안내부에 결합되는 활주 구속부 및 암나사부를 갖는 승강체;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에 장착되어 선회하고 승강체의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갖는 작동체; 및 상기 승강체의 타측에 구비된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WINDOW FRAME}
본 발명은 창틀 또는 문틀 시공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 또는 개보수시 콘크리트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에 창틀 또는 문틀을 고정하는 경우 개구부와 창틀(또는 문틀) 사이의 틈새를 메우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승강체 및 작동체를 도입하여 수평 맞춤 및 고정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종래 창틀 고정 작업과 같이 건물 외부 위치에서 앵커볼트 박기 작업 등의 고정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하고 앵커볼트를 박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 문제가 없어 쾌적한 공사 환경이 보장되고 이웃의 민원 소지도 없애며, 창틀(또는 문틀)에 구멍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방수 및 방풍 특성이 보다 완벽해 지며, 즉시 창문 또는 문짝을 장착할 수 있어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비바람이 차단되므로 공사 실내 작업 및 거주 환경 확보가 조기에 가능한 창틀(또는 문틀) 시공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창틀 또는 문틀 시공시에는 각목이나 벽돌 조각 등 다양한 건축 부자재를 이용하여 수평을 맞추고 앵커볼트를 박아 고정한 후 시멘트, 실리콘이나 발포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와 창틀 또는 문틀 사이의 틈새를 메운 후 최종 미장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숙련공이 창틀 또는 문틀의 수평 맞춤 및 앵커볼트 고정 작업을 수행하며, 시멘트, 실리콘이나 발포 합성수지가 완전히 경화된 후 창문 또는 문짝을 달게 된다.
이에 따라 앵커볼트 고정 작업시의 소음 및 분진 문제가 크며, 이에 대한 이웃의 민원제기가 빈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공기가 그만큼 지연될 뿐 아니라 실내로 비바람이 들이치게 되는 문제가 상존하고, 실내 인테리어 작업 등의 쾌적한 환경 보장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를 일으킨다.
부가적으로 앵커볼트에 의한 창틀 천공으로 방수 및 방풍 특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고, 창틀 고정시 공사용 난간대 등을 이용하여 실외에서 일부 작업을 수행하므로 그만큼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한편, 창틀 시공과 관련된 문헌으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44767호(등록일자 2009년05월29일) [창틀 지지대]가 있는데,
이 등록고안은 발코니 외벽에 폭이 큰 이중창 및 중하중을 요하는 시스템창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창틀고정 받침부재를 제작하여 창틀의 내외측을 받쳐 안정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설치시 탈부착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창틀 지지대를 제시하고 있다.
이 등록고안은 창틀프레임에 받침 부재와 끼움부재 및 높이 조절부재를 간단하게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창틀프레임의 어느 위치에든 이동 및 고정을 쉽고, 또 끼움부재와 높이조절 부재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결합 및 해제에 따라 용이하게 높이조절이 가능하므로, 창틀의 설치 및 수평유지 등의 작업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창틀프레임 하단부 단열재 시공시에도 상기 끼움부재와 높이조절부재의 용이한 탈부착으로 인하여, 빠른 시공으로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 등록고안의 지지대는 창틀을 온전히 지지하기에는 안정석이 부족하며 보조적으로 활용되는 것이며, 창틀 전체를 앵커볼트의 활용 없이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도 아니며, 또 창틀에서의 분리가 예정되어 있어 불필요한 작업과정이 추가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나아가 높낮이 조절이 어렵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신축 또는 개보수시 콘크리트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에 창틀 또는 문틀을 고정하는 경우 개구부와 창틀 또는 문틀 사이의 틈새를 메우도록 높이가 조절되고 베이스에 설치된 승강체 및 작동체를 도입하여 수평 맞춤 및 고정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종래 창틀 또는 문틀 고정 작업과 같이 건물 외부 위치에서 앵커볼트 박기 작업 등의 고정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하고 앵커볼트를 박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 문제가 없어 쾌적한 공사 환경이 보장되고 이웃의 민원 소지도 없애며, 창틀 또는 문틀에 구멍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방수 및 방풍 특성이 보다 완벽해 질 수 있고, 즉시 창문 또는 문짝을 장착할 수 있어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비바람이 차단되므로 공사 실내 작업 및 거주 환경 확보가 조기에 가능한 창틀(또는 문틀) 시공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베이스의 대편에 선회핀에 의하여 승강체 타측과 연결되는 지지패널로 구성된 지지체를 더 도입하여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 둘레의 콘크리트 또는 창틀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보장되도록 한 창틀(또는 문틀) 시공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승강체를 제1 및 제2 승강부재로 구성하여 콘크리트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와 창틀 사이의 틈새를 메워 창틀을 지지·고정하기 위하여 작동체 회동시 작동체의 수나사부와 결합된 승강체의 암나사부의 직선 운동에 따른 제1 및 제2 승강부재의 상승 변위 동작이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창틀 시공용 고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이스 또는 지지체의 지지패널에 스페이서가 더 결합되어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와 창틀 사이의 틈새 치수 변화 상황에 쉽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창틀(또는 문틀) 시공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틀(또는 문틀) 시공용 고정장치는
결합부를 구비한 베이스;
활주 구속부 및 암나사부를 갖는 승강체;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에 장착되어 선회하고 승강체의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갖는 작동체; 및
상기 승강체의 타측에 구비된 지지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창틀(또는 문틀) 시공용 고정장치에서
상기 지지체는 승강체의 타측과 선회핀에 의하여 연결된 지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체는 각각 일측에 활주 구속부를 갖고, 타측이 연결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제1 및 제2 승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스페이서가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또는 문틀) 시공용 고정장치는 신축 또는 개보수시 콘크리트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에 창틀을 고정하는 경우 개구부와 창틀 사이의 틈새를 메우도록 높이가 조절되고 베이스에 설치된 승강체 및 작동체를 도입하여 수평 맞춤 및 고정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종래 창틀 고정 작업과 같이 건물 외부 위치에서 앵커볼트 박기 작업 등의 고정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하고 앵커볼트를 박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 문제가 없어 쾌적한 공사 환경이 보장되고 이웃의 민원 소지도 없애며, 창틀에 구멍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방수 및 방풍 특성이 보다 완벽해 질 수 있고, 즉시 창문을 장착할 수 있어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비바람이 차단되므로 공사 실내 작업 및 거주 환경 확보가 조기에 가능한 창틀(또는 문틀) 시공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베이스의 대편에 선회핀에 의하여 승강체 타측과 연결되는 지지패널로 구성된 지지체를 더 도입하여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 둘레의 콘크리트 또는 창틀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보장되도록 한 창틀(또는 문틀) 시공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승강체를 제1 및 제2 승강부재로 구성하여 콘크리트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와 창틀 사이의 틈새를 메워 창틀을 지지·고정하기 위하여 작동체 회동시 작동체의 수나사부와 결합된 승강체의 암나사부의 직선 운동에 따른 제1 및 제2 승강부재의 상승 변위 동작이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창틀 시공용 고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이스 또는 지지체의 지지패널에 스페이서가 더 결합되어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와 창틀 사이의 틈새 치수 변화 상황에 쉽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창틀(또는 문틀) 시공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의 변형예와 관련된 결합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의 다른 변형예에 대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도 1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도 2의 개략적인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틀(또는 문틀) 시공용 고정장치(A)는 크게 베이스(10), 승강체(20), 작동체(30), 지지체(40)로 구성된다.
본 시공용 고정장치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창틀' 시공 위주로 설명하는 바, 이는 편의상의 기재일 뿐이며, 발명의 명칭, 명세서,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고정장치가 창틀만을 위한 것으로 한정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2 [A]의 승강체(20) 상승 상태도([B]는 승강체 하강 상태도)의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설치 상태 측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A)는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 둘레 콘크리트(w) 내에 창틀(W)을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 맞춤 및 고정 용도로 활용된다.
필요에 따라 설치 개구부 둘레의 건축구조체의 콘크리트(w)와 창틀(W)과 본 발명에 따른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A), 특히 베이스(10) 및 지지패널(41)의 접면에는 콘크리트(w)와 창틀(W) 소재와 접합성을 갖는 접착제(B)(도 2 [A]의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확대도 참조), 양면테이프,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고정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종래 사용하던 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한 고정력을 보장할 수 있다.
또 발명에 따른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A)는 철 또는 알루미늄 등 비철금속 소재, 합성수지 소재, 기타 복합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압출, 사출, 다이캐스팅 등의 다양한 공법을 이용하여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도 2 [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10) 또는 지지체(40)의 지지패널(41)에 스페이서(S)가 더 결합되어 건축구조체의 장착 개구부 둘레 콘크리트(w)와 창틀(W) 사이의 틈새 치수 변화 상황에 쉽게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S)는 둘 이상 중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호 양면테이프, 접착제,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결속하며, 스페이서의 소재로는 금속, 목재, 합성수지 소재의 패널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안내부(11) 및 결합부(13)를 갖고,
작동체(30)의 공구결합부(35)에 전동공구의 공구팁을 결합하고 전동공구를 작동하여 작동체를 회전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건축구조체의 장착 개구부 둘레 콘크리트(w)는 울툴불퉁하고 평활도가 불규칙할 수 있기 때문)
베이스(10)는 창틀(W)에 미리 접착 또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체(30)는 베이스의 결합부(13)에 배열되어 작동체의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피결합부(33)를 갖고, 베이스 외측에 공구결합부(35)가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체(30)는 수나사부(31)를 갖고, 봉사의 작동체는 중앙을 기점으로 수나사부가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상호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A]의 샘플 사진과 도 3 [B]의 결합사시도, 그리고 도 4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된 변형 고정장치(Am)에서는 베이스(10)가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압출물로 제조되며, 하부패널 양 측단 상부로 돌설된 안내부(11) 각각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날개부(10w)를 갖고,
작동체(30)의 피결합부(33)를 위한 결합부(13)는 별도의 결합블록(B13)에 형성된다.
이 결합블록(B13)은 양 날개부(10w) 하부에 배열되며, 베이스(10) 하부패널의 양 단부에 2개 위치하고, 가압 가공된 날개부의 코킹부(C10)에 의하여 확고하고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3에서 작동체(30)는 중앙 무문(無紋)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서로 반대 반향의 수나사부(31)를 갖는다.
조립성을 위하여 작동체의 수나사부는 결합블록(B13)의 결합부(13)를 무단 통과할 수 있는 외경을 갖고,
베이스에 결합블록을 코팅부(C10)를 통하여 결합한 후, 양 수나사부가 가공된 반(半)작동체를
결합블록의 결합부에 끼운 후
반작동체의 양단에 이탈방지핀(P33,p33)을 결합하며,
이 이탈방지핀의 헤드는 결합블록의 결합부 내경 보다 커서 작동체의 결합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이탈방지핀과 반작동체는 암수 결합되며, 억지끼움, 용접,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확고히 결합되며,
두 이탈방지핀(P33,p33) 모두는 동일한 공구결합부(35)(십자홈, 육각홈 등)를 가져 방향성에 무관한 시공 편리성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탈방지핀과 반작동체는 공구를 이용한 지지체의 높낮이 조절시 공회전이나 분리가 방지될 정도로 확고히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승강체(20)는 일측에 구비되고 베이스(10)의 안내부(11)에 결합되는 활주 구속부(23) 및 암나사부(21)를 갖는다.
특히 도면에서 상기 승강체(20)는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로 구성되며, 각 승강부재는 일측에 활주 구속부(23)를 갖고, 타측이 연결핀(27)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건축구조체(w)의 장착 개구부와 창틀(W) 사이의 틈새를 메워 창틀을 지지·고정하기 위하여 작동체(30) 회동시 작동체의 수나사부(31)와 결합된 승강체(20)의 암나사부(21)의 직선 운동에 따른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의 상승 변위 동작이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체의 회전에 따라 수나사부(31)가 제자리 회전을 하면 승강체의 암나사부(31) 승강체가 활주 구속부(23)를 통하여 베이스(10)의 안내부(11)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승강체(20)의 하부, 즉 활주 구속부(23)는 직선운동을 하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의 각 활주 구속부(23)는 상호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게 되고,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의 타측은 연결핀(27)을 통하여 구속되어 있어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며,
지지체(40), 즉 승강체의 타측과 선회핀에 의하여 연결된 지지패널(41)도 상승 또는 하강 조절된다. 지지패널에는 선회핀(25)과의 결합을 위한 축공부(43)가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체 및 승강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도 2 [A]의 우측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건축구조체(w)의 장착 개구부와 창틀(W) 사이의 틈새를 메우고 수평을 맞추는 형태로 조절하여 창틀 고정작업을 수행한다.
최종적으로 시멘트, 실리콘이나 발포 합성수지를 창틀과 건축구조체(w)의 틈새에 주입하고, 최종 미장 작업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변형 고정장치(Am)에서는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가 각각 두 패널(20p)을 한 세트로 하여 구성되며,
고정장치는 중앙에 암나사부(21)를 갖고, 양측에 축설부(p21)를 갖는 암나사축핀(P21)을 포함하며,
이 두 암나사축핀의 양 축설부(p21)에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의 각 세트 패널(20p)의 하부 축공부(S20)가 각각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승강체의 활주구속부는 암나사축핀(P21)과 베이스(10) 패널의 상면의 접촉 구속으로 구현되어, 작동체(30)의 회전운동이 승강부재, 본질적으로는 암나사축핀(P2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지지체(40)는 역시 지지패널(41)로 구성되며,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의 각 세트 패널(20p)의 상부 축공부(s20)는 선회핀(25)을 통하여 연결되며,
각 세트 패널(20p) 외측에는 역시 두 축공부(S40) 각각을 통하여 지지패널(41)이 선회핀(25)에 결합된다.
'선회핀'(25)은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의 각 세트 패널(20p) 상부 축공부(s20)의 결합을 통하여 지지체의 상승에 따라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의 선회 상승을 보장하는 것이며,
'연결핀'은 지지체(40)의 지지패널(41)이 승강부재의 승하강과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데,
도 2의 기본 모델 및 도 3의 변형모델에서는 선회핀과 연결핀의 기능이 하나의 축핀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어서 선회핀(25)의 이탈방지는 역시 지지패널의 축공부(S40)의 코킹부(C40)를 통하여 구현된다.
이 지지패널(41)의 코킹부(C40)는 또 내측에 구비된 각 세트 패널(20p) 및 선회핀(25)과의 분리방지는 물론,
각 세트 패널(20p)의 하부 축공부(S20)가 암나사축핀(P21)의 축설부(p21)에서 분리되는 것도 방지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지지체(40)는 지지패널(41)이 생략되고, 승강부재(20A,20B)의 상단이 기능하도록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의 상부 축공부(s20) 또는 지지패널(41)의 축공부(S40), 또는 이 둘 모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정도
패널(20p)(41) 하면에서 돌출되어 있어(바람지하기로는 승강 패널(20p)의 하부 축공부(S20)도 패널 하면에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함)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의 각 세트 패널(20p)의 하부 축공부(S20) 및 두 암나사축핀(P21)이 완전히 벌어져 지지체(40)가 완전히 하강한 경우에도
패널(20p)(41)과 베이스(10) 상면이 이격되어 있어
승강체(20)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 초기 작동체(30)의 회전으로 승강체 및 지지체를 상승시키는 경우(특히 창틀 또는 문틀을 지지하고 있어 하중이 실린 경우)
원활한 상승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각 세트 패널(20p)의 하부 축공부(S20)는 패널 하면에서 돌출된 높이(hS)가
각 세트 패널(20p)의 상부 축공부(s20)는 패널 하면에서 돌출된 높이(hs) 또는
지지패널(41)의 축공부(S40)의 패널 하면에서 돌출된 높이(Hs) 보다 작아서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의 각 세트 패널(20p)의 하부 축공부(S20) 및 두 암나사축핀(P21)이 완전히 벌어져 지지체(40)가 완전히 하강한 경우에도
두 세트 패널(20p)은 완전히 펼쳐져 180도를 이루거나, 선회핀(25)을 중심으로 아래로 꺾여 '∨' 형상을 이루지 않고,
상시적으로 선회핀(25)을 중심으로 '∧' 형상으로 위로 꺾인 형상을 유지하여
승강체 및 지지체의 원활한 상승이 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두 세트 패널(20p)이 선회핀(25)을 중심으로 '∧'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다른 대안적인 방안은
베이스(10)의 두 결합블록(B13) 사이의 거리가 두 암나사축핀(P21)의 벌어짐 정도 및 두 승강부재(20A,20B)의 벌어짐 정도를 제한하여
두 세트 패널(20p)이 선회핀(25)을 중심으로 완전히 펼쳐지거너 역으로 꺾이지 않고 '∧'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서 대략 '△' 형상을 갖도록 타측이 연결핀(27)을 통하여 연결된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는
이 연결핀(27)이 지지체(40)의 지지패널(41)과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의 타측을 연결하는 선회핀(25)의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도 2 [A]의 좌측 일점 쇄선 원 내 일련의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측 첫 번째 변형예의 승강체(20m)는 대략 알파벳 역 'Y'자 형상을 이루고,
지지패널(41)과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의 타측을 연결하는 선회핀(25)과, 제1 및 제2 승강부재(20A)(20B)를 연결하는 연결핀(27)이 따로 도입되어 있다.
좌측에서 두 번째 변형예의 승강체(20M)는 베이스(10)와 승강체(20M) 및 지지체(40)가 알파벳 'Z'자 형상을 이루는 형태이며, 기본예의 승강체(20)와 달리 지지체와 승강체를 연결하는 선회핀(25)만이 도입되어 있다.
좌측에서 세 번째 변형예의 승강체(m20)는 두 승강부재가 알파벳 'X' 형태로 교체하며 그 중앙이 연결핀(27)에 의하여 두 승강부재가 연결되며,
지지체(40)는 각 승강부재의 타측(즉 상부) 각각과 선회핀(25)에 의하여 연결되고,
작동체(30)의 조절에 따라 승강체(20)가 승하강 하는 경우 선회핀(25)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지지체의 지지패널에는 안내레일(45)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5에는 또 다른 변형 고정장치(AM)로 도 3의 고정장치(Am)를 2개 결합한 것과 유사한 구조의 고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 고정장치(AM)에서는 승강체가 하부의 '▽' 형상 및 상부의 '△' 형상을 이루며, 중앙에 작동체(30)를 공유하는 형태이며,
'▽' 형상 승강체(20a)의 하부에 베이스(10)가 배열되고,'△' 형상 승강체(20b)의 상부에 지지체(40), 즉 지지패널(41)이 배열된 형태이다.
각 상하 승강체(20a,20b)를 이루는 승강부재(다양한 크기 및 수를 가질 수 있다)가 역시 암나사축핀(P21)의 축설부에 결합되어 있고, 두 암나사축핀(P21)의 암나사부에 결합된 작동체(30)의 회전에 따라 암나사축핀이 상호 가까워지고 멀어지면서
상하 승강체가 모두 승하강이 가능므로 그만큼 베이스(10)와 지지체(40)가 더 많이 벌어질 수 있어
건물구조체와 창틀의 간격이 많이 벌어진 시공 상황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모델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창틀 시공 공정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고정장치 W: 창틀
w: 건물구조체 B: 접착제
10: 베이스 11: 안내부
13: 결합부
20: 승강체 21: 암나사부
23: 활주 구속부 25: 선회핀
27: 연결핀 20A,20B: 승강부재
30: 작동체 31: 수나사부
33: 피결합부 35: 공구결합부
40: 지지체

Claims (4)

  1. 결합부를 구비한 베이스;
    활주 구속부 및 암나사부를 갖는 승강체;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에 장착되어 선회하고 승강체의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갖는 작동체; 및
    상기 승강체의 암나사부 반대편 타측에 구비된 지지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승강체의 타측과 선회핀에 의하여 연결된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는 각각 일측에 활주 구속부를 갖고, 타측이 연결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제1 및 제2 승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스페이서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
KR1020150024253A 2014-12-23 2015-02-17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 KR101679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7530 2014-12-23
KR1020140187530 2014-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949A true KR20160076949A (ko) 2016-07-01
KR101679286B1 KR101679286B1 (ko) 2016-11-25

Family

ID=5650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253A KR101679286B1 (ko) 2014-12-23 2015-02-17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2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4374A (zh) * 2017-10-31 2017-12-29 赵桂金 一种便于拆卸的升降窗户固定框架
CN107676003A (zh) * 2017-10-31 2018-02-09 浙江精工钢结构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门及其伸缩机构及其开关方法
CN111119663A (zh) * 2018-10-30 2020-05-08 上海德意达门窗有限公司 一种防渗水窗框结构的快速安装方法
CN115419352A (zh) * 2022-10-08 2022-12-02 中建八局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双曲面电动塞拉门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435B1 (ko) * 2017-12-07 2018-05-04 황인호 창호설치용 간격조절지그 및 그 간격조절지그를 이용한 간격조절방법
KR20230043447A (ko) 2021-09-24 2023-03-31 이광우 창호프레임 지지용 소음저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670Y1 (ko) * 2004-03-30 2004-07-07 김근유 문틀 및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4374A (zh) * 2017-10-31 2017-12-29 赵桂金 一种便于拆卸的升降窗户固定框架
CN107676003A (zh) * 2017-10-31 2018-02-09 浙江精工钢结构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门及其伸缩机构及其开关方法
CN107524374B (zh) * 2017-10-31 2019-03-12 宜昌东阳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升降窗户固定框架
CN111119663A (zh) * 2018-10-30 2020-05-08 上海德意达门窗有限公司 一种防渗水窗框结构的快速安装方法
CN115419352A (zh) * 2022-10-08 2022-12-02 中建八局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双曲面电动塞拉门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286B1 (ko) 201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286B1 (ko)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
KR101473150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CN103210167A (zh) 轨道隐蔽型门窗装置
KR200474071Y1 (ko) 엘리베이터 도어실과 결합된 엘리베이터 홀 플로어 커버
CN104453566B (zh) 自动升降式门槛装置
CN107100487B (zh) 一种便于拆装的水密型窗框
KR20160149652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CN205078064U (zh) 方便擦窗的多功能隐藏式铰链
KR101818289B1 (ko) 개보수 창호용 창틀 지지장치
WO2016186451A1 (ko)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KR100935160B1 (ko) 커튼 어셈블리와 안전난간대가 매입된 단열이중창
KR101694861B1 (ko) 창틀 시공용 수평조절장치
KR100943028B1 (ko) 기어방식을 이용한 창호 여닫이 구조
KR101903826B1 (ko) 개보수 창호 마감용 블록조립체
JP2008230786A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KR101818291B1 (ko) 개보수 창호 마감용 조립체
JP4912795B2 (ja) 引戸装置
CN205778140U (zh) 一种用于转角淋浴房的联动机构
JP4252517B2 (ja) 引き戸装置
CN205778212U (zh) 一种楼顶门
KR101818290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개보수 창호 마감용 조립체
CN205348472U (zh) 可水平移动的全铝建筑墙体
KR101939999B1 (ko)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JP2008045288A (ja) 引戸装置
KR20150123565A (ko) 개보수 창호용 창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